KR20220156318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318A
KR20220156318A KR1020210064192A KR20210064192A KR20220156318A KR 20220156318 A KR20220156318 A KR 20220156318A KR 1020210064192 A KR1020210064192 A KR 1020210064192A KR 20210064192 A KR20210064192 A KR 20210064192A KR 20220156318 A KR20220156318 A KR 2022015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ies
case
connection termina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102B1 (ko
Inventor
김현학
오현훈
류민재
정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어스
Priority to KR102021006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1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극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단자,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극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단자, 일면에 제1 삽입 홈이 형성되며, 타면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 제1 연결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가 수용되는 제1 케이스 및 일면에 제2 삽입 홈이 형성되며, 제1 케이스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배터리 모듈이 전자 기기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형 마트와 같은 매장에는 판매중인 다수의 상품이 진열된다. 이때 상품의 명칭, 가격, 유통기간 등과 같은 상품 정보가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며, 고객들은 표시 장치를 통해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품이 진열대에 진열되는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Electronic Shelf Label; ESL)와 같은 표시 장치를 통해 상품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표시 장치는 전선을 통해 전력을 직접 공급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 모듈과 같은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배터리 모듈은 표시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터리 모듈은 양극과 음극이 전자 기기와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 모듈의 양극과 음극이 전자 기기와 반대로 연결되는 경우, 다시 말해 배터리 모듈이 전자 기기에 역삽입되는 경우, 전자 기기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이는 전자 기기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기기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극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극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단자, 일면에 제1 삽입 홈이 형성되며, 타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수용되는 제1 케이스 및 일면에 제2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1 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면 및 제1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면 및 제2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면보다 큰 넓이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둘레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면과 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극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1 극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극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2 극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2 출력 단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극과 접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삽입 홈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케이스는 일측에 제1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일측에 제3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4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나사 결합 홀 및 상기 제3 나사 결합 홀에 제1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나사 결합 홀 및 상기 제4 나사 결합 홀에 제2 나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고정되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제1 케이스는 일측에 제1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일측에 제3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4 굴곡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자 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에 제3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4 굴곡부에 제4 나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제1 케이스에 제1 삽입 홈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에 제1 삽입 홈과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되므로, 전자 기기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일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타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제1 연결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가 보이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이 전자 기기에 삽입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일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타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제1 연결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가 보이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 제1 연결 단자(120), 제2 연결 단자(130), 제1 케이스(140) 및 제2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는 전력을 저장하며, 배터리 모듈(100)이 삽입된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는 코인 셀 형태의 배터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에는 제1 극 및 제2 극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은 양극이고, 제2 극은 음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은 음극이고, 제2 극은 양극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면(111) 및 제1 둘레면(112)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극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면(113) 및 제2 둘레면(114)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면(111)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면(113)보다 큰 넓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둘레면(112)과 제2 둘레면(114) 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 간을 연결한다. 이때 제1 연결 단자(1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둘레면(112)과 접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20)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 제1 연결부(122) 및 제1 출력 단자(12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극과 접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둘레면(112)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로부터 제1 극 전압을 공급받는다.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2)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 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연결부(122)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121)를 통해 공급된 제1 극 전압을 제1 출력 단자(123)로 전달한다.
제1 출력 단자(123)는 제1 연결부(1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출력 단자(123)는 제1 연결부(122)로부터 전달 받은 전압을 배터리 모듈(100)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1 극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1 출력 단자(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단자(120)가 제1 케이스(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4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이 전자 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출력 단자(123)가 전자 기기의 제1 극 전압 수신 단자와 접하게 됨으로써, 전자 기기로 제1 극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13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극 간을 연결한다. 이때 제2 연결 단자(13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면(113)과 접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극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130)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 제2 연결부(132) 및 제2 출력 단자(13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극과 접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면(113)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로부터 제2 극 전압을 공급받는다.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2)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 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연결부(132)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131)를 통해 공급된 제2 극 전압을 제2 출력 단자(133)로 전달한다.
제2 출력 단자(133)는 제2 연결부(1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출력 단자(133)는 제2 연결부(132)로부터 전달 받은 전압을 배터리 모듈(100)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2 극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2 출력 단자(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단자(130)가 제1 케이스(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4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이 전자 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출력 단자(133)가 전자 기기의 제2 극 전압 수신 단자와 접하게 됨으로써, 전자 기기로 제2 극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일면에 제1 삽입 홈(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케이스(140)는 타면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 제1 연결 단자(120) 및 제2 연결 단자(130)가 수용된다.
제1 케이스(140)는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를 수용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는 제2 극이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의 내측을 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2 극과 접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의 내측 둘레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에 단차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를 제2 극이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하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제1 둘레면(112)과 제2 둘레면(114) 간에 형성된 단차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가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를 제1 극이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하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가 단차에 걸림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에 완전히 수용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가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50)는 일면에 제2 삽입 홈(151)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삽입 홈(151)은 제1 삽입 홈(141)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이 전자 기기에 삽입될 때,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케이스(150)는 제1 케이스(140)의 타면을 커버한다. 즉, 제1 케이스(140)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 제1 연결 단자(120) 및 제2 연결 단자(130)가 수용되고, 제2 케이스(150)가 제1 케이스(140)의 타면을 커버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 제1 연결 단자(120) 및 제2 연결 단자(130)가 배터리 모듈(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케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152)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는 제1 극이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152)의 내측을 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152)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152)는 제2 케이스(150)가 제1 케이스(140)를 커버할 때,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42)와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일측에 제1 나사 결합 홀(145)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나사 결합 홀(1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케이스(150)는 일측에 제3 나사 결합 홀(155)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4 나사 결합 홀(156)이 형성된다.
이때 제3 나사 결합 홀(155)은 제1 나사 결합 홀(145)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40)와 제2 케이스(150)가 결합되었을 때, 제3 나사 결합 홀(155)은 제1 나사 결합 홀(145)과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나사 결합 홀(156)은 제2 나사 결합 홀(146)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40)와 제2 케이스(150)가 결합되었을 때, 제4 나사 결합 홀(156)은 제2 나사 결합 홀(146)과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150)가 제1 케이스(140)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1 나사 결합 홀(145) 및 제3 나사 결합 홀(155)에 제1 나사(160)가 결합되고, 제2 나사 결합 홀(146) 및 제4 나사 결합 홀(156)에 제2 나사(170)가 결합됨에 따라, 제1 케이스(140)와 제2 케이스(150)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일측에 제1 굴곡부(147)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굴곡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150)는 일측에 제3 굴곡부(157)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4 굴곡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굴곡부(157)는 제1 굴곡부(14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40)와 제2 케이스(150)가 결합되었을 때, 제3 굴곡부(157)는 제1 굴곡부(147)와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굴곡부(158)는 제2 굴곡부(148)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40)와 제2 케이스(150)가 결합되었을 때, 제4 굴곡부(158)는 제2 굴곡부(148)와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전자 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굴곡부(147) 및 제3 굴곡부(157)에 제3 나사가 삽입되고, 제2 굴곡부(148) 및 제4 굴곡부(158)에 제4 나사가 삽입됨으로써, 전자 기기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이 전자 기기에 삽입되는 방법 및 고정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이 전자 기기에 삽입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이 결합되는 전자 기기 일부분은 제1 측면판(210), 제2 측면판(220) 및 결합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프레임(230)은 제1 측면판(210)과 제2 측면판(2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결합 프레임(230)에는 배터리 모듈(100)이 삽입되는 제1 슬롯(231) 및 제2 슬롯(232)이 형성된다.
제1 슬롯(231)은 결합 프레임(230)의 일측에 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슬롯(231)의 측면은 제1 측면판(210) 및 제2 측면판(220)에 의해 커버된다.
이때 제1 측면판(210)은 타면에 제1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다. 제1 삽입 가이드는 제1 측면판(210)의 타면 중 제1 슬롯(231)을 커버하는 영역에 제1 슬롯(231)의 입구에서 제1 슬롯(23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 가이드는 제1 삽입 홈(14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2 측면판(220)은 타면에 제2 삽입 가이드(221)가 형성된다. 제2 삽입 가이드(221)는 제2 측면판(220)의 타면 중 제1 슬롯(231)을 커버하는 영역에 제1 슬롯(231)의 입구에서 제1 슬롯(23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 가이드(221)는 제2 삽입 홈(15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은 제1 삽입 홈(141)이 제1 삽입 가이드에 걸리고, 제2 삽입 홈(151)이 제2 삽입 가이드(221)에 걸리도록 제1 슬롯(2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홈(141) 및 제2 삽입 홈(151)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므로, 배터리 모듈(100)은 제1 삽입 홈(141)이 제2 삽입 가이드(221)에 걸리고, 제2 삽입 홈(151)이 제1 삽입 가이드에 걸리도록 제1 슬롯(231)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이 제1 슬롯(231)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슬롯(232)은 결합 프레임(230)의 타측에 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슬롯(232)의 측면은 제1 측면판(210) 및 제2 측면판(220)에 의해 커버된다.
이때 제1 측면판(210)은 타면에 제3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다. 제3 삽입 가이드는 제1 측면판(210)의 타면 중 제2 슬롯(232)을 커버하는 영역에 제2 슬롯(232)의 입구에서 제2 슬롯(23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삽입 가이드는 제1 삽입 홈(14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2 측면판(220)은 타면에 제4 삽입 가이드(222)가 형성된다. 제4 삽입 가이드(222)는 제2 측면판(220)의 타면 중 제2 슬롯(232)을 커버하는 영역에 제2 슬롯(232)의 입구에서 제2 슬롯(23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삽입 가이드(222)는 제2 삽입 홈(15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은 제1 삽입 홈(141)이 제3 삽입 가이드에 걸리고, 제2 삽입 홈(151)이 제4 삽입 가이드(222)에 걸리도록 제2 슬롯(23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홈(141) 및 제2 삽입 홈(151)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므로, 배터리 모듈(100)은 제1 삽입 홈(141)이 제4 삽입 가이드(222)에 걸리고, 제2 삽입 홈(151)이 제3 삽입 가이드에 걸리도록 제2 슬롯(232)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0)이 제2 슬롯(232)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프레임(230)의 제1 슬롯(231)의 일측에는 제1 결합 홀(233)이 형성되고, 제1 슬롯(231)의 타측에는 제2 결합 홀(234)이 형성된다. 이때 배터리 모듈(100)이 제1 슬롯(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결합 홀(233) 및 제2 결합 홀(234) 각각에 나사(301, 30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230)의 제2 슬롯(232)의 일측에는 제3 결합 홀(235)이 형성되고, 제2 슬롯(232)의 타측에는 제4 결합 홀(236)이 형성된다. 이때 배터리 모듈(100)은 제2 슬롯(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 결합 홀(235) 및 제4 결합 홀(236) 각각에 나사(303, 30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100)은, 제1 케이스(140)에 제1 삽입 홈(141)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50)에 제1 삽입 홈(141)과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제2 삽입 홈(151)이 형성되므로, 전자 기기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배터리 모듈 110: 하나 이상의 배터리
120: 제1 연결 단자 130: 제2 연결 단자
140: 제1 케이스 150: 제2 케이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극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극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단자;
    일면에 제1 삽입 홈이 형성되며, 타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수용되는 제1 케이스; 및
    일면에 제2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1 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면 및 제1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극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면 및 제2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면보다 큰 넓이를 가지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둘레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면과 접하는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1 극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 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1 극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제2 극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접촉 단자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된 전자 기기로 제2 극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단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상기 제2 극과 접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삽입 홈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배터리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일측에 제1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일측에 제3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4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결합 홀 및 상기 제3 나사 결합 홀에 제1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나사 결합 홀 및 상기 제4 나사 결합 홀에 제2 나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고정되어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일측에 제1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일측에 제3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4 굴곡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자 기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에 제3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4 굴곡부에 제4 나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에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
KR1020210064192A 2021-05-18 2021-05-18 배터리 모듈 KR10264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92A KR102641102B1 (ko) 2021-05-18 2021-05-18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92A KR102641102B1 (ko) 2021-05-18 2021-05-18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18A true KR20220156318A (ko) 2022-11-25
KR102641102B1 KR102641102B1 (ko) 2024-02-27

Family

ID=8423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92A KR102641102B1 (ko) 2021-05-18 2021-05-18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043B2 (ja) * 1976-08-20 1983-04-15 横河電機株式会社 静電変換器
JP3473565B2 (ja) * 2000-08-21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50206461A1 (en) * 2012-07-06 2015-07-23 Pricer Ab Battery cassette and an electronic shelf label comprising said battery cassette
JP2018118715A (ja) * 2017-01-20 2018-08-02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9043B2 (ja) * 2010-04-01 2015-11-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及び回路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043B2 (ja) * 1976-08-20 1983-04-15 横河電機株式会社 静電変換器
JP3473565B2 (ja) * 2000-08-21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50206461A1 (en) * 2012-07-06 2015-07-23 Pricer Ab Battery cassette and an electronic shelf label comprising said battery cassette
JP2018118715A (ja) * 2017-01-20 2018-08-02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102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3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plug and power socket
CN109524609B (zh) 电池连接模块
US7741562B2 (en) Wall plate assembly with integral universal serial bus module
TWI500204B (zh) 電池模組
US20130244500A1 (en) Compact power adapter
US9318857B2 (en) Power strip and electrical power measurement system
US20170187155A1 (en) Wiring device with connector integrated into pcb substrate
US6411526B1 (en) Self-aligned, panel-mounted power cord set,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and an electronic equipment chassis employing the same
TW200623547A (en) Connection module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technology
US9013189B2 (en) Electrical joint monitoring device and electrical joint monitor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US7367821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220156318A (ko) 배터리 모듈
CN109557262B (zh) 空气检测装置
US20140093749A1 (en) Thin battery
US10985526B2 (en) Laser device and light-source device
US85649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ypassing the battery of a computer
US9059457B2 (en) Thin battery
ATE393487T1 (de) Steckverbinder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von verbrauchern
US20040189247A1 (en) Power source adapter for battery-operated devices
US20140199572A1 (en) Film-based battery holder
CN217061093U (zh) 一种用于售货机的防水型显示结构和售货机
CN210573600U (zh) 一种具有静电保护功能的ott主板
CN215640816U (zh) 透光孔检测装置
CN210899942U (zh) 一种太阳能充电控制器
CN214045138U (zh) 一种可充电无线供电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