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188A -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188A
KR20220156188A KR1020210063864A KR20210063864A KR20220156188A KR 20220156188 A KR20220156188 A KR 20220156188A KR 1020210063864 A KR1020210063864 A KR 1020210063864A KR 20210063864 A KR20210063864 A KR 20210063864A KR 20220156188 A KR20220156188 A KR 2022015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optical guide
optical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진
나정산
이영철
장내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6188A/ko
Priority to PCT/KR2022/005031 priority patent/WO2022244980A1/ko
Publication of KR2022015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는, 기판,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원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이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광원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를 포함하고, 광학 가이드는, 광원이 조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가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면, 광원을 둘러싸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내측면 및 내측면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BACK 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을 둘러싸는 광학 가이드를 포함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 또는 서브 픽셀 단위의 동작으로 다양한 색을 표현하는 출력 장치로서,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개선과 더불어 대형화 및 슬림화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장치는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백라이트 유닛은 광효율을 개선하고 도광판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엣지형(edge type)이 아닌 직하형(direct type)을 채택하여 왔다.
그러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에 인접한 부분에서 암부, 휘부, 색감 등에 따른 얼룩인 무라(mura)가 발생하여 화질적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백라이트 유닛과 광학 시트 사이에는 광학 시트를 지지하는 서포터 플레이트(support plate)를 포함하는 구조가 존재하였으나, 구조적인 한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적 열화를 적극적으로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요구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무라 현상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슬림화를 구현하는 개선된 구조를 구비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상기 광원 및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상기 광원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광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가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면,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을 반사시키며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의 방출을 차단하는 반사 부재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상기 반사 부재가 도포된 일부 영역 이외의 다른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의 일부가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상면에 대향되며,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도포된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내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기 내측면은,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의 개구는 상기 광원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측면은 상기 광원의 상면의 일부 및 측면와 마주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외주면을 감싸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 및 상기 확산 몰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산 영역에 배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확산 물질은, 실리콘, 광학 레진 또는 고형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 영역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상기 광원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 및 상기 광원 상부에 배치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가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면,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상기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학 시트에 접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 면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의 상면 위치는 개방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내측면으로 전달받아 외측면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가이드 상부에,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가 상기 광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광학 시트에 접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원과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기 내측면의 이격된 공간에 광확산 물질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B-B'를 따라 나타낸 광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패키지의 직상부와 측면부에서의 광학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A'’을 따라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 패키지의 직상부와 측면부에서의 광학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의 중복 설명은 되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11)을 통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하우징(50), 디스플레이 패널(20), 확산 시트(30), 광학 시트(40) 및 백라이트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화면(11)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50)은 디스플레이 패널(20), 확산 시트(30), 광학 시트(40) 및 백라이트 유닛(100)을 내부에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전면에 개구를 포함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화면(11)을 형성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각종 영상을 전방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독자적으로 발광하지 않으므로, 백라이트 유닛(100)로부터 광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컬러 필터 기판(미도시)과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컬러 필터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사이에는 액정(미도시)이 충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공지된 기술에 의한 액정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산 시트(3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3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시트(30)는 백라이트 유닛(100)에서 출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여 광학 시트(4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전달하여 시야각을 넓히고 휘점, 휘선, 얼룩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확산 시트(30) 사이에 배치되어, 광의 굴절과 반사 등을 이용하여 낭비되는 광을 최소화함에 따라, 확산 시트(30)를 통해 방출되는 광의 밝기를 향상시키고, 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프리즘 시트(미도시), 보호 시트(미도시), 이중 휘도 향상 필름(Double Bright Enhancement Film, DBEF)(미도시), 양자점 시트(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리즘 시트 및 이중 휘도 향상 필름은 확산 시트(30)를 통해 확산된 광을 굴절 또는 집광하여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보호 시트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향상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을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양자점 시트는 다양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하여 원하는 파장대의 광으로 산란시킬 수 있는 양자점(Quantun Dot, QD)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은 수십 나노미터(nm) 이하의 무기물 결정물질 또는 미세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00)이 청색광을 조사하는 경우, 양자점 시트를 투과하는 광은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파장이 다양하게 변하여 순도 높은 색을 표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구현되는 화상의 색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기판(110), 광원(120) 및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고, 광원(120) 및 광학 가이드(150)로 형성되는 발광 구조를 광원 어셈블리(130)로 부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에는 복수의 광원(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의 상면에는 반사 부재가 코팅될 수 있으며, 기판(110)의 상면 중 광원(120), 광원 어셈블리(130) 또는 광원 패키지(125)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사 부재는 복수의 광원(120), 광원 어셈블리(130) 또는 광원 패키지(125)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기판(110)의 상면 대부분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부재는 광학 가이드(150)를 둘러싸도록 기판(110)에 부착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 및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며, 기판(110)의 상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30)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100)은 직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130)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B-B''를 따라 나타낸 광원 어셈블리(130)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 및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0)은 기판(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12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원(120)은 다양한 종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광원(120)은 LED(light emitting diode) 칩과 LED 칩을 커버하는 봉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봉지재는 투평 에폭시,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LED 칩에서 발생한 빛이 봉지재 내에 흡수 또는 산란되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iO2 등과 같은 반사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은 확산 시트(30) 및/또는 광학 시트(40)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이동할 수 있다. 광원(120)은 표면실장기술로 기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원(120)이 배치되는 기판(110)의 일 면에는 반사 부재가 도포될 수 있으며, 반사 부재는 기판(110)에서 광원 어셈블리(130)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20)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발광 소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학 가이드(150)는 광원(120)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로, 광원(120)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광원(12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빛을 다방면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가이드(150)는 실리콘, 유리 또는 폴리머 계열의 PMMA, PC 또는 PMMA-PC 중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PMMA, PC 또는 PMMA-PC 재질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광확산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다면체 구조물로써, 광원(120)을 둘러싸며 광학 가이드(150)의 중심 방향을 바라보는 내측면(153) 및 내측면(153)에 대향되며 광학 가이드(150)의 외부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1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가이드(150)는 내측면(153)과 외측면(155)을 연결하며 기판(110)의 상면 방향을 바라보는 상면(151) 및 기판(110)의 일면에 접하며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에 대향되는 하면(157)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을 광원(12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확산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은 광원(120)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고,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은 내측면(153)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광학 가이드(15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은 광원(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152)를 포함하여, 개구(152)를 통하여 광원(120)이 상부 방향으로 조사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의 개구(152)는 광원(120)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가이드(150)의 개구(152)는 일종의 광학 슬릿으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광원(120)의 상부로 방출은 빛은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의 개구(152)를 통과하며 회절되어, 더욱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가이드(150)는 상면(151)에 반사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반사 부재가 도포된 면은 광학 가이드(150) 내부의 빛의 외부 방출을 차단하며, 광학 가이드(150) 내부의 빛을 내부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가이드(150)를 통과한 빛은 외주면에서 전 방향으로 퍼지며, 광원(120)에 인접한 영역에까지 확산될 수 있다.
반사 부재는 고반사율을 갖도록 PSR(Photo Solder Resist), 폴리에스테르 테레프탈레이트(Polyester terephl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반사 부재는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의 대부분의 영역에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반사 부재는 상면(151)의 일부 영역에 한정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반사 부재가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의 일부 영역에만 도포된 실시예에서는, 반사 부재가 도포되지 않은 다른 일부 영역을 통하여 광학 가이드(150) 내부의 빛의 일부가 광학 가이드(150)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은 반사 부재가 도포되는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광원 어셈블리(130)의 발광 범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광원 어셈블리(130)의 배치 구조 및 배열 구조를 고려하여 상면(151)의 반사 부재의 도포 영역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가이드(150)는 하면(157)에 반사 부재가 도포될 수 있고, 광학 가이드(150)는 상면(151) 및 하면(157)을 통하여 광학 가이드(150) 내부로 전달되는 빛을 외측면(155)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부재는 기판(110)의 일 면에도 도포될 수 있으며, 반사 부재는 광원 어셈블리(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를 상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상면(151) 및/또는 하면(157)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반사 부재가 도포되어, 내측면(153)으로부터 외측면(155)으로 빛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광학 가이드(150) 외부로 빛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광원 어셈블리(130)의 광확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b의 광학 가이드(150)의 단면 구조를 참고하면,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 및/또는 외측면(155)의 단면은 기설정된 각도로 상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은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광원(1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광원(120)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이 광학 가이드(15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광학 가이드(150)의 높이는 광원(120)보다 높거나 광원(120)과 동일할 수 있으며, 광학 가이드(150)의 높이와 내측면(153)의 단면의 각도에 따라 광학 가이드(150)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20)의 높이보다 광학 가이드(150)의 높이가 큰 실시예에서는, 광원(120)의 상면의 일부 영역은 광학 가이드(150)의 개구(152)에 대향되어, 광원(120)은 조사된 빛의 일부를 광학 가이드(150)의 개구(152)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20)의 상면의 다른 일부 영역 및 광원(120)의 측면은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과 마주보며, 광원(120)은 조사된 빛의 일부를 광학 가이드(1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의 단면의 각도 및 형상과 광학 가이드(150)의 높이에 따라 개구(152)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양과 광학 가이드(150)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은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과 평행할 수 있으며,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의 단면의 각도 및 형상에 따라 광학 가이드(150)를 통과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과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내측면(153)과 외측면(155)이 평행한 경우, 광학 가이드(150)의 제조 및 설치 공정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은 광원(120)의 적어도 일부와 접할 수 있다. 또한, 광원(120)과 광학 가이드(150)는 이격 배치되거나, 광학 가이드(150)가 광원(120)의 측면 전 영역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 내측면(15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광원(120)과 이격 배치된 경우, 이격 공간에는 확산 영역(123)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영역(123)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충진되거나 광학산 물질이 충진될 수 있으며, 광확산 물질(126)이 충진된 확산 영역(123)에 대하여는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광학 가이드(150)는 빛을 확산시키고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다면체 입체 구조물로써, 광학 가이드(150)의 형상과 단면 구조에 따라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 위치, 방출 방향 또는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130)의 직상부와 측면부에서의 광학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130)의 광 분포를 예상할 수 있다.
중심 영역(C)은 광학 가이드(150)의 개구(152)가 형성된 위치로, 광학 가이드(150)의 개구(152)를 통하여 광원(120)의 상부 방향으로의 빛이 회절되며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외부 영역(D)은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이 형성되는 위치로, 광원(120)이 조사하는 빛 중 광학 가이드(150)를 통과한 빛이 외부 영역(D)에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의 광학 프로파일을 참고하면, 광학 가이드(150)를 통하여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의 빛을 상대적으로 먼 거리로 전달할 수 있고,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의 빛을 효율적으로 넓은 영역으로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광원(120)이 위치하는 영역과 광원(120)에 인접한 영역에서 암부가 형성되며 휘도, 색감 차이에 의한 얼룩인 무라(mur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까지 빛을 전달하여 확산시킬 수 있기에, 확산 시트(30)의 배면으로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고, 무라 현상을 방지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원(120)의 중심 영역(C)뿐만 아니라, 광원(120)과 광원(1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영역(D)에서도 높은 조도의 빛이 방출되기에, 광원(120) 사이의 간격을 넓게 조정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100)이 필요로 하는 전체 광원(120)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 및 백라이트 유닛(100)의 전체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A''을 따라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5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 확산 시트(30), 광학 시트(40) 및 백라이트 유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50)은 상부 하우징(51), 중간 하우징(52) 하부 하우징(5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52)은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확산 시트(30) 및/또는 광학 시트(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51)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곽 측이 중간 하우징(5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 및 중간 하우징(52)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53)은 백라이트 유닛(100)을 수용하며 중간 하우징(52)의 후방 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53)의 하단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인쇄회로기판(55)이 배치되고, 하우징(50)은 인쇄회로기판(55)을 덮으며 가리는 케이스(5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각각 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 기판(23)과 제2 기판(24)을 포함하고, 마주하는 제1 기판(23)과 제2 기판(24) 사이에 액정(미도시)이 봉입되어 형성되는 액정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하측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정보를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2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하측으로는 인쇄회로기판(22)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칩온필름(이하 COF, Chip On Film)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과 백라이트 유닛(100) 사이에는 백라이트 유닛(100)에서 출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는 확산 시트(30) 및 백라이트 유닛(100)에서 공급된 빛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광학 시트(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단면 구조는 도 5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00)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광학 시트(40) 또는 확산 시트(3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00) 상면(151)으로 광학 시트(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기초로 설명하며, 실제 구현 시에는 확산 시트(30)를 포함하거나 확산 시트(30)와 광학 시트(40)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배치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100)은 광원(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몰딩을 포함한 상태인 광원 패키지(125)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패키지(125)는 몰딩 구조를 통하여 내부의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원(1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의 기판(110)과 광학 시트(40) 사이의 거리(d)는 광학 거리(Optical Depth)일 수 있다. 광학 거리(d)는 광원(120)과 광학 시트(40)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학 거리(d)를 확보하여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평 방향으로 넓게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광학 거리(d)가 짧은 경우,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곧바로 광학 시트(40)로 진행되지만, 광학 거리(d)가 긴 경우,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학 거리(d)를 진행하는 동안 확산되며 광학 시트(40)로 진행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00)에 의한 무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학 거리(d)를 확보하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100)의 기판(110)으로부터 광학 시트(40) 또는 확산 시트(30)로 연장되는 서포터 플레이트(support plate, 미도시)를 포함하여 광학 거리(d)를 확보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광원(120) 또는 광원 패키지(1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광학 거리(d)에서도 광원 패키지(125)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을 넓게 확산시킬 수 있으며, 서포터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하는 실시예와 비교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상면(151)의 적어도 일부가 광학 시트(40)에 접할 수 있으며, 즉 광학 가이드(150)의 높이는 광학 거리(d)와 동일한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가이드(150)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학 시트(40)에 도달하기 전까지 빛의 수평 방향 확산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무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백라이트 유닛(100)의 기판(110)과 광학 시트(40)에 접하여, 광학 시트(40)와 백라이트 유닛(100) 사이의 빈 공간인 이격 공간(127)을 채우고,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가 휘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성 요소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지지할 수 있다.
즉, 광학 가이드(150)는 광원(120) 또는 광원 패키지(1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학 시트(4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가이드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광학 거리(d)에서도 무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질 열화를 방지하며 동시에 두께를 줄여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광원 패키지(125)와 광학 가이드(15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 패키지(125)는 광원(120) 및 광원(1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몰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패키지(125)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원 패키지(125)와 구조 또는 재질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원 패키지(125)는 상면이 광학 시트(40)에 접할 수 있으며, 측면은 광학 가이드(150)에 접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는 내측면(153)은 광원 패키지(125)의 외주면에 접하여 광원 패키지(125)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전달받을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반사 부재로 도포될 수 있으며,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으로 빛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빛은 광원 패키지(125)의 상면과 광학 가이드(150)의 외주면에서 방출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와 인접한 다른 광학 가이드(150) 사이, 즉 광원 어셈블리(130)의 이격 배치된 이격 공간(127)은 빈 공간으로 마련되어 진공 상태이거나 공기가 충진될 수 있으며, 또는, 광확산 물질(126, 도 8 참조)이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원(120)과 광원(120) 사이 또는 광원 패키지(125)와 다른 광원 패키지(125) 사이 공간에 광학 가이드(150)의 외측면(155)을 배치하여 광원(120)의 빛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며 확산시킬 수 있으며, 광학 거리(d)를 최소화하며 화질 열화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의 직상부와 측면부에서의 광학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130)를 복수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 분포를 예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7은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를 이격 배치하고 전원을 인가하여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에 인접한 영역의 휘도를 도시한 광학 프로파일이다.
도 7은 4개의 광원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이며, 각각의 광원 어셈블리(130)의 광원(120) 또는 광원 패키지(125)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X축 위치, Y축 위치)를 기준으로 (-10, -10), (-10, +10), (+10, -10), (+10, +10)이거나 이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직상부와 측면부의 휘도를 참고하면,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의 광원(120)이 배치되는 영역의 내부 전체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휘도는 0.0008 W/mm^2 이상의 상태로 고르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학 가이드(15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20) 또는 광원 패키지(125)가 배치되는 범위 내에서 휘도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며, 이로 인한 얼룩이 관찰되고 무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개시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가 배치되는 범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무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7의 광학 프로파일을 참고하면, 광학 가이드(150)를 통하여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원(120)의 빛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산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30) 사이의 이격 거리로도 광원(120)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본 개시의 백라이트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라 현상을 방지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13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광원 어셈블리(130)는 광확산 물질(126)을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 물질(126)은 광원(120)과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이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확산 영역(123)에 충진되는 물질이며, 광확산 물질(126)은 확산 영역(123)에 배치되어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확산 물질(126)은 실리콘, 광학 레진 또는 고형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고형 형광체는 광확산 물질(126)의 매질 내부에 복수로 존재하는 자체 발광 물질이거나 또는 양자점(Quantun Dot, QD)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 실시예의 고형 형광체는 QD(Quantum Dot) 발광을 이용하여,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을 변환하거나 광량을 개선하는 QD 입자일 수 있다. 고형 형광체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색좌표 및 색역 등을 조정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광원(120)과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한 이후 확산 영역(123)에 QD ink를 디스펜싱하여 광확산 물질(126)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방법은 기판(110)을 준비하는 단계(S10), 기판(110)의 일 면에 광원(120)을 배치하는 단계(S20), 광원(120)을 둘러싸도록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하는 단계(S30)를 통하여 백라이트 유닛(100)을 제조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100)의 제조 이후 광학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되어 진행될 수 있다.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하는 단계(S30)는, 광원(120)을 둘러싸며 광원(120)의 상면 위치는 개방되는 상면(151)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120)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내측면(153)으로 전달받아 외측면(155)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광학 가이드(150)의 구조 및 단면의 형상은 상술한 광학 가이드(15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하는 단계(S30)는, 광학 가이드(150)가 광원(1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의 적어도 일부가 광원(12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확산 영역(12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20)과 광학 가이드(150)의 내측면(153)의 이격된 공간에 광확산 물질(126)을 배치되어, 도 8의 광확산 물질(126)이 충진된 광원 어셈블리(130)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은, 광학 가이드(150)를 배치하는 단계(S30)를 거쳐 백라이트 유닛(100) 또는 광원 어셈블리(130)를 제조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30)는 단일 어셈블리 단위로 분리되어 백라이트 유닛(1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의 발광원으로 부착되어 활용될 수 있다.
광학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S40)는 광학 가이드(150) 상부에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중간 하우징(52)이 지지하도록 기판(1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 시트(40)는 광학 가이드(150)의 상면(151)의 적어도 일부가 광학 시트(40)에 접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학 시트(40)의 상부에는 확산 시트(3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0 : 백라이트 유닛
120 : 광원 125 : 광원 패키지
130 : 광원 어셈블리 150 : 광학 가이드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상기 광원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가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면;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을 반사시키며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의 방출을 차단하는 반사 부재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도포된,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상기 반사 부재가 도포된 상기 일부 영역 이외의 다른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의 일부가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상면에 대향되며, 상기 광학 가이드 내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도포된 하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내측면과 평행한,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내측면은,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개구는 상기 광원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측면은 상기 광원의 상면의 일부 및 측면와 마주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의 외주면을 감싸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 및 상기 확산 몰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영역에 배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 물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물질은,
    실리콘, 광학 레진 또는 고형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영역에는 공기가 충진되는, 백라이트 유닛.
  15.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입체 구조물이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상기 광원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 및
    상기 광원 상부에 배치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가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면;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전달받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광학 가이드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가이드는,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학 시트에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 면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상기 광원의 상면 위치는 개방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의 일부를 내측면으로 전달받아 외측면으로 가이드하는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가이드 상부에,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가 상기 광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학 시트에 접하도록 부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 가이드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원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가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가이드의 내측면의 이격된 공간에 광확산 물질을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0063864A 2021-05-18 2021-05-18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56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64A KR20220156188A (ko) 2021-05-18 2021-05-18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22/005031 WO2022244980A1 (ko) 2021-05-18 2022-04-07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64A KR20220156188A (ko) 2021-05-18 2021-05-18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88A true KR20220156188A (ko) 2022-11-25

Family

ID=8414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64A KR20220156188A (ko) 2021-05-18 2021-05-18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56188A (ko)
WO (1) WO20222449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611B1 (ko) * 2013-09-13 2020-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143087B1 (ko) * 2015-09-23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7644B1 (ko) * 2017-09-28 2021-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622376B1 (ko) * 2019-07-23 2024-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87324B1 (ko) * 2019-09-23 2020-12-04 반신애 화이트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필름 일체형 도광판을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4980A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404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8964131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JP5660752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1014539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43696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332243B1 (ko) 반사형 확산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6974A (ko) 광 확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50883B (zh) 显示装置以及制造量子点单元的方法
KR20060111266A (ko) 광학 패키지, 광학 렌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장치
US11487158B2 (en) Backlight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015948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3072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8700772B (zh) 显示装置
KR2013001925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5438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49368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20156188A (ko)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9946876B (zh) 背光单元和包括其的液晶显示装置
KR101998123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6543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7576A (ko)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893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5437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877204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10153756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