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169A -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169A
KR20220156169A KR1020210063799A KR20210063799A KR20220156169A KR 20220156169 A KR20220156169 A KR 20220156169A KR 1020210063799 A KR1020210063799 A KR 1020210063799A KR 20210063799 A KR20210063799 A KR 20210063799A KR 20220156169 A KR20220156169 A KR 2022015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sumption
daily average
month
meter reading
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538B1 (ko
Inventor
지창윤
최민석
윤종돈
권오인
이동수
정하림
Original Assignee
한국부동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부동산원 filed Critical 한국부동산원
Priority to KR102021006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으로서,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와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100); 상기 정보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실제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i)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 및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이다.

Description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CORRECTION SYSTEM AND CORRECTION METHOD FOR ENERGY CONSUMPTION DATA REFLECTING INSPECTION DATE AND DAILY AVERAGE TEMPERATURE INFORMATION}
본 발명은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는 기존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추상적으로 기재하는 란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추가하신 내용은 뒤의 본문에 모두 수록될 것입니다.)
현재 전기, 가스, 지역난방(열) 등의 에너지 계량기별로 구축되는 월별 에너지사용량은 검침일을 기준으로 측정, 수집, 집계된다. 하지만, 매월 말일에 일괄적으로 검침되지 않고, 특히 계량기에 따라 검침일이 상이하기 때문에, 계량기의 월별 에너지사용량은 해당 월을 정확히 반영한 수치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3월 사용량의 경우 실제 검침일이 15일일 경우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사용량이 아니라, 2월 16일부터 3월 15일까지의 사용량의 합이 해당 계량기의 3월 사용량으로 취급된다.
이와 같이, 각 계량기마다 또는 각 건물마다 검침일이 다르기 때문에 건물 등의 각 계량단위의 월사용량을 비교한다거나, 에너지 용도(냉방, 난방, 기저)에 따라 사용량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7507호(2021.04.30)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계량기의 실제 검침일을 바탕으로 실제 해당 월의 사용량으로 보정하고자 한다.
둘째, 실제 일평균온도 등의 기후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사용량을 보정하고자 한다.
셋째, 에너지사용량 보정에 관한 여러 적용모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으로서,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와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실제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 i )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및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 냉방기 모드부 및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난방기 모드부를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5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냉방기 모드부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07
본 발명에 있어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pat00008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사용량 보정부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다음의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하는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pat00009
본 발명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으로서, 정보수집부가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S100 단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200 단계;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S300 단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 i )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400 단계; 및 에너지사용량 보정부가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S50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는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 냉방기 모드부 및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난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냉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중간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하는 S6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를 처리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계량기의 실제 검침일을 바탕으로 실제 해당 월의 사용량으로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실제 일평균온도를 반영하여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난방기 모드, 냉방기 모드 및 중간기 모드 등의 에너지사용량 보정에 관한 여러 적용모드를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월 사용량 등의 정확한 기간 사용량을 산출함으로써, 건물단위 등 월별에너지사용량 비교가 가능하며, 냉방, 난방, 기저사용량 등 세분화된 에너지사용량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검침기간의 월별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월별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는 월별 에너지사용량에서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고,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과 구분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그래프의 특정 월(1월)에 대한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과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구분한 것을 나타낸다.
도 6a는 보정전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6b는 동일 기간의 일평균 기온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6c는 일평균 기온정보를 반영하여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기준월(i)의 고지서가 전월(i-1)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보정전 사용량과 일자보정후사용량 및 보정후 사용량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제 검침일자를 반영하기 전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그래프에서 실제 검침일자를 반영하여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그래프에서 실제 검침일자와 일평균 기온을 반영하여 보정된 일별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보정전의 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과 월평균기온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서 일평균 기온을 반영하여 보정된 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과 월평균기온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에너지 계량기의 월사용량을 실제 검침일과 일평균 외기온도를 기준으로 실제 해당 월의 사용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월별 에너지 고지서가 발행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월별 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산출기간은 일, 주, 월, 분기, 반기, 특정기간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월별 기간을 예시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기후 데이터를 고려한 계량기별 월간 에너지사용량 데이터의 보정 방법은 계량기별로 기록되는 검침 시작일과 종료일 데이터 및 기상청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일자별 평균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은 정보수집부(100),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 및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수집부(100)는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와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검침시작일과 검침종료일은 실제 검침기간 예로, 2월 15일부터 3월 14일을 의미한다. 또한,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은 검침시작일로부터 검침종료일까지의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2월 15일부터 3월 14일까지의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이때, 고지서에 표기되는 해당월은 3월로 고지된다.
검침시작일과 종료일 모두 계량기정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작일이 15일이면 종료일은 다음달 14일이다. 다만, 시작일이 15일이라고 해서 종료일이 반드시 14일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실무적으로 계량기 교체 또는 2달주기 검침 등의 이유로 종료일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정상적인 주기로 되돌아오면 검침시작일과 종료일은 최초 설정된 기간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일평균 기온 정보는 기상청에서 무료로 제공하거나 유료로 구입가능한 일자별 평균온도 데이터를 의미한다.
정보수집부(100)는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는 정보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실제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는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i)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는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는 정보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실제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aDECi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 동안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MECi는 고지 기준 (i)월에 해당하는 검침기간동안의 월간 에너지사용량, NDi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해당하는 검침기간도안의 날짜 수를 의미한다.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는 정보수집부(100)에 저장된 검침일자 정보를 바탕으로 수학식 1에 따라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검침기간으로 나누어줌으로써 실제 검침기간 동안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으로 분리한다.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는 1년 12개월에 대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바탕으로 12개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한다.
도 2는 검침기간의 월별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내며, 도 3은 도 2의 월별 에너지사용량을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한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에너지계량기의 검침시작일(msd)과 검침종료일(med)은 매월(i) 4일과 익월(i+1) 3일이 될 수 있다. 검침시작일과 종료일이 각각 12월 4일과 1월 3일이고, 고지서 기준월이 1월인 경우, 검침기간(ND1)은 31일이 된다.
정보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고지서의 1월 에너지사용량(MECi)이 310kWh라고 가정할 경우, 수학식 1에 따른 12월 4일부터 1월 3일까지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1)는 10kWh로 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min(aDECi)는 12개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에서는 수학식 2에 따라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를 통해 산출된 해당년도 1년 12개월 동안(1월부터 12월)의 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의 비교를 통해,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정의한다.
즉, 수학식 2와 같이,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에서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 계산된 12개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비교하여, 그 중 최저값을 기저사용량(BDEC)으로 정의한다.
도 4는 월별 에너지사용량에서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고,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과 구분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5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이 12개월 중 최저값으로 도출되어, 5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이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3kWh라고 가정하는 경우, 해당 연도의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은 3kWh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는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i)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CHDECi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동안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ECi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동안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즉,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i)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함으로써,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1)이 10kWh인 경우, 1월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CHDEC1)는 7kWh로 산출된다.
참고로, 도 5는 도 3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그래프의 특정 월(1월)에 대한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과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구분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는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할 수 있다.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520), 냉방기 모드부(530) 및 중간기 모드부(540)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여기서, HSi는 고지 기준월(i)의 난방기 해당일의 수, ADT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CSi는 고지 기준월(i)의 냉방기 해당일의 수, MSi는 고지 기준월(i)의 중간기 해당일의 수,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T1을 18℃, T2를 24℃로 설정하면, 아래의 응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4의 응용식]
Figure pat00014
일평균 기온 정보는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검침기가 위치한 지역의 일평균 기온 등 기후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는 일평균 기온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5-7에 따라 기후조건을 반영한 해당 모드부를 통해 기후조건을 반영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될 수 있다.
해당 모드부 선택을 위해, 수학식 4에 따라 일평균 기온을 바탕으로 고지서 기준월(i)의 계절을 판정한다.
이후 수학식 5-7에서 고지서 기준월(i)의 계절에 적합한 수학식을 적용하여, 보정된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학식 5는 겨울로서 난방기 모드부를 의미하며, 수학식 6은 여름으로서 냉방기 모드부를 의미하며, 수학식 7은 봄과 가을로서 중간기 모드부를 의미한다.
난방기 모드부에 적용되는 수학식 5와 냉방기 모드부에 적용하는 수학식 6의 경우, 해당일의 일평균 기온이 기준온도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음의 편차가 산정되는 경우에는 이를 “0”으로 처리한다.
그 후, 수학식 8에 따라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과 해당일 보정된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합산함으로써,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이 산출될 수 있다.
적용모드 선택부(510)가 난방기 모드부(510)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r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i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T1을 18℃로 설정하면, 아래의 응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5의 응용식]
Figure pat00016
적용모드 선택부(510)가 냉방기 모드부(530)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여기서, r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i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T2를 24℃로 설정하면, 아래의 응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6의 응용식]
Figure pat00018
적용모드 선택부(510)가 중간기 모드부(540)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r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i,j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i,j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i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m은 T1과 T2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T1을 18℃, T2를 24℃로 설정하면, Tm은 21℃로 산출되며, 아래의 응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7의 응용식]
Figure pat00020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에 있어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21
여기서, rDECi,j는 기온 보정된 (i)월 (j)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rCHDECi,j는 (i)월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도 6a는 보정전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6b는 동일 기간의 일평균 기온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6c는 일평균 기온정보를 반영하여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에서는 일평균 기온과 기준온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기후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한다.
아래의 표 1 내지 표 3은 각각 난방기 모드부(520), 냉방기 모드부(530) 및 중간기 모드부(540)에 따른 계절별 실시예를 보여준다.
먼저, 표 1은 고지서 기준 1월 (난방기)에 대한 일별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과 일평균 기온을 나타낸다.
표 1은 난방기(겨울)의 실시 예를 보여준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월 고지서의 에너지 사용일(검침기간)은 12월 4일부터 1월 3일까지로서, 31간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12월 4일부터 1월 3일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바탕으로 계절 판별을 한 결과, 31일 모두 18℃ 미만으로 1월은 난방기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각 해당일의 일평균 기온과 기준온도(18℃)와의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보정된다. 예를 들어, 12월 4일과 12월 28일의 일평균 기온은 각각 6.7℃와 -10.5℃이기 때문에, 상대적인 편차는 각각 0.57와 1.44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12월 4일과 12월 28일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수학식 5에 따라 각각 3.98과 10.05로 기온 보정된 일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된다.
Figure pat00022
다음으로, 표 2는 고지서 기준 8월 (냉방기)에 대한 일별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과 일평균 기온을 나타낸다.
표 2는 냉방기(여름)의 실시 예를 보여준다.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8월 고지서의 에너지사용일(검침기간)은 7월 4일부터 8월 3일까지로서, 31일간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한다. 7월 4일부터 8월 3일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바탕으로 계절 판별을 한 결과, 31일 중 27일은 24℃를 초과하고 4일은 24℃ 이하로 확인되어, 8월은 냉방기로 분류된다.
이에 각 해당일의 일평균 기온과 기준온도(24℃)와의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보정된다.
예를 들어, 7월 4일과 8월 3일의 일평균 기온은 각각 25.4℃와 29.4℃이다. 7월 10일을 포함한 일평균 기온은 24℃ 이하인 4일간에 대해서는 기준온도와의 편차가 '0'으로 처리된다.
냉방기 기준온도(24℃)를 만족하지 못한 4일을 제외하여 7월 4일과 8월 3일의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면, 각각 0.51와 1.97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7월 4일과 8월 3일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수학식 6에 따라 각각 1.02과 3.95로 기온 보정된 일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된다.
Figure pat00023
다음으로, 표 3은 고지서 기준 5월(중간기)에 대한 일별 일평균 냉방에너지 사용량과 일평균 기온을 나타낸다.
표 3은 중간기(봄)의 실시 예를 보여준다.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5월 고지서의 에너지 사용일(검침기간)은 4월 4일부터 5월 3일까지로서, 30일간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한다.
4월 4일부터 5월 3일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바탕으로 계절 판별을 한 결과, 30일 중 21일이 18℃와 24℃ 사이에 포함되어, 5월은 중간기로 분류된다.
이에 각 해당일의 일평균 기온과 기준온도(21℃)와의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보정된다.
예를 들어, 4월 4일과 5월 3일의 일평균 기온은 각각 19.5℃와 23.1℃이다. 이를 바탕으로 4월 4일과 5월 3일의 상대적인 편차를 산정하면, 각각 0.630와 0.84로 산출된다.
결국, 4월 4일과 5월 3일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은 수학식 7에 따라 각각 0.9과 1.3으로 기온 보정된 일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된다.
Figure pat00024
한편, 본 발명은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다음의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5
여기서, rMECi는 (i)월의 보정된 월간 에너지사용량, rDECi는 고지 기준 (i)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rDECi+1,j는 고지 기준 (i+1)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fd는 (i)월의 시작일(1일), med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 종료일, msd는 고지 기준 (i+1)월의 검침 시작일, ed는 (i)월의 마지막 날짜를 의미한다.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에서는 일평균 기온 기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을 수학식 9에 따라 실제 월단위로 합산하여 월별 사용량을 산출한다.
도 7은 기준월(i)의 고지서가 전월(i-1)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월(i)의 고지서가 전월(i-1)의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학식 9에 따라 보정된 기준월(i)의 월간 에너지사용량(rMECi)이 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보정전 사용량과 일자보정후사용량 및 보정후 사용량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결과 월별사용량을 비교하면 도 8과 같으며, 일자보정 전 후 확실한 차이를 나타냈다.
먼저 보정 전 월사용량의 경우, 겨울철은 1월과 2월이 여름철은 8월과 9월이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일자보정 후 월사용량은 겨울철이 1월과 12월이 가장 크고, 여름철은 7월과 8월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보정 전 월사용량이 검침검침일로 인해 실제 월사용량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일자보정 후와 기온보정 후의 사용량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월별사용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으나, 일평균 기온이 가장 작은 1월과 일평균 기온이 가장 큰 8월에 기온 영향으로 인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결과 해당일사용량을 비교하면 도 9 내지 도 11와 같다.
도 9는 실제 검침일자를 반영하기 전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그래프에서 실제 검침일자를 반영하여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그래프에서 실제 검침일자와 일평균 기온을 반영하여 보정된 일별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낸다.
먼저 보정전 해당일 사용량의 경우, 겨울철 2월이 가장 크고, 여름철 9월이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일자 보정 후 해당일사용량은 겨울철 1월이 가장 크고, 여름철 8월이 가장 크게 나타나 일자 보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일자보정 후의 해당일사용량은 동일 월의 경우 모두 같게 나타나지만, 기온보정 후의 해당일사용량은 해당일 평균기온에 따라 사용량이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결과 보정 전과 보정 후의 월별사용량과 월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면 도 12 및 도 13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보정전의 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과 월평균기온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서 일평균 기온을 반영하여 보정된 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과 월평균기온을 나타낸다.
먼저 보정 전의 경우, 월평균기온이 비슷하더라도 월사용량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월사용량과 월평균기온과의 관계가 크지 않은 것처럼 나타났다.
그러나, 기온보정 후의 월사용량을 살펴보면, 월평균기온이 비슷할 경우, 월사용량도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고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보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은 보정방법 발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보정방법 발명은 전술한 보정시스템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나, 발명의 카테고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공통되는 구성의 설명은 보정시스템 발명으로 대체하고, 아래와 같이 발명의 주요 요지를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으로서, 정보수집부(100)가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S100 단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가 상기 정보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200 단계;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300)가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200)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S300 단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400)가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i)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400 단계; 및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가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S50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는 전술한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520), 냉방기 모드부(530) 및 중간기 모드부(540)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난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전술한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냉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전술한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중간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가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500)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하는 S6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를 처리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보수집부
200 :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300 :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400 :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500 : 에너지사용량 보정부
510 : 적용모드 선택부
520 : 난방기 모드부
530 : 냉방기 모드부
540 : 중간기 모드부
600 :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Claims (18)

  1.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으로서,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와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실제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 i )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 및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26

    (여기서, aDEC i 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 동안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MEC i 는 고지 기준 (i)월에 해당하는 검침기간동안의 월간 에너지사용량, ND i 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해당하는 검침기간도안의 날짜 수를 의미한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2]
    Figure pat00027

    (여기서,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min(aDEC i )는 12개월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3]
    Figure pat00028

    (여기서, CHDEC i 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동안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EC i 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기간동안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 냉방기 모드부 및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4]
    Figure pat00029

    (여기서, HS i 는 고지 기준월(i)의 난방기 해당일의 수,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CS i 는 고지 기준월(i)의 냉방기 해당일의 수, MS i 는 고지 기준월(i)의 중간기 해당일의 수,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난방기 모드부를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5]
    Figure pat00030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냉방기 모드부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6]
    Figure pat00031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용모드 선택부가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7]
    Figure pat00032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m은 T1과 T2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8]
    Figure pat00033

    (여기서, rDEC i,j 는 기온 보정된 (i)월 (j)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rCHDEC i,j 는 (i)월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사용량 보정부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다음의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하는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시스템.
    [수학식 9]
    Figure pat00034

    (여기서, rMEC i 는 (i)월의 보정된 월간 에너지사용량, rDEC i 는 고지 기준 (i)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rDEC i+1,j 는 고지 기준 (i+1)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fd는 (i)월의 시작일(1일), med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 종료일, msd는 고지 기준 (i+1)월의 검침 시작일, ed는 (i)월의 마지막 날짜를 의미한다.)
  11.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으로서,
    정보수집부가 검침시작일, 검침종료일 및 고지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정보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수집하는 S100 단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월간 에너지사용량을 검침기간으로 나누어, 실제 검침기간의 일평균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200 단계;
    기저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상기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 중 최저값을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으로 산출하는 S300 단계;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매월별 일평균 에너지사용량(aDEC i )에서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을 제외하여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는 S400 단계; 및
    에너지사용량 보정부가 상기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일평균 기온 정보가 반영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으로 보정하는 S50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난방기 모드부, 냉방기 모드부 및 중간기 모드부를 선택하는 적용모드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4]
    Figure pat00035

    (여기서, HS i 는 고지 기준월(i)의 난방기 해당일의 수,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CS i 는 고지 기준월(i)의 냉방기 해당일의 수, MS i 는 고지 기준월(i)의 중간기 해당일의 수,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난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5]
    Figure pat00036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1은 난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난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냉방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6]
    Figure pat00037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2는 냉방기와 중간기를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냉방기준온도를 의미한다.)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중간기 모드부로 선택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통해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7]
    Figure pat00038

    (여기서, r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CHDEC i,j 는 고지 기준월(i)의 일평균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ADT i,j 는 고지 기준월(i)의 (j)일에서의 일평균 기온, ND i 는 고지 기준월(i)의 검침기간에 포함된 날짜수, j는 고지서 기준 (i)월에 포함된 각 날짜, Tm은 T1과 T2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에서 기온 보정된 특정 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은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BDEC)과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rCHDEC)을 합산하는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8]
    Figure pat00039

    (여기서, rDEC i,j 는 기온 보정된 (i)월 (j)일의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BDEC는 일평균 기저 에너지사용량, rCHDEC i,j 는 (i)월 (j)일에서의 기온 보정된 해당일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을 의미한다.)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 산출부가 S500 단계의 에너지사용량 보정부에서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rDEC)을 다음의 수학식 9에 대입하여, 보정된 월별 에너지사용량(rMEC)을 산출하는 S60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
    [수학식 9]
    Figure pat00040

    (여기서, rMEC i 는 (i)월의 보정된 월간 에너지사용량, rDEC i 는 고지 기준 (i)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rDEC i+1,j 는 고지 기준 (i+1)월 (j)일의 보정된 해당일 에너지사용량, fd는 (i)월의 시작일(1일), med는 고지 기준 (i)월의 검침 종료일, msd는 고지 기준 (i+1)월의 검침 시작일, ed는 (i)월의 마지막 날짜를 의미한다.)
  18.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를 처리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1의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 보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10063799A 2021-05-18 2021-05-18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KR10260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99A KR102602538B1 (ko) 2021-05-18 2021-05-18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99A KR102602538B1 (ko) 2021-05-18 2021-05-18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69A true KR20220156169A (ko) 2022-11-25
KR102602538B1 KR102602538B1 (ko) 2023-11-14

Family

ID=8423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99A KR102602538B1 (ko) 2021-05-18 2021-05-18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67A (ko)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진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KR102106307B1 (ko) * 2019-11-11 2020-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1699B1 (ko) * 2020-07-06 2021-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사용량의 일별 기간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47507A (ko) 2019-10-22 2021-04-30 한국전력공사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67A (ko)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진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7507A (ko) 2019-10-22 2021-04-30 한국전력공사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6307B1 (ko) * 2019-11-11 2020-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1699B1 (ko) * 2020-07-06 2021-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사용량의 일별 기간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538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5890B (zh) 能量节省测量、调整以及货币化系统和方法
JP4523124B2 (ja) エネルギサービス事業システム
US7451017B2 (en) Energy and cost savings calculation system
Haberl et al. ASHRAE's Guideline 14-2002 for Measurement of Energy and Demand Savings: How to Determine what was really saved by the retrofit
US200800216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culating And Predicting Near Term Production Cost, Incremental Heat Rate, Capacity and Emissions Of Electric Generation Power Plants Based On Current Operating and, Optionally, Atmospheric Conditions
Manfren et al. Lean and interpretable digital twins for building energy monitoring–A case study with Smart Thermostatic Radiator Valves and Gas Absorption Heat Pumps
KR20220156169A (ko) 검침일 및 일평균 기온 정보를 반영한 에너지사용량의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Murphy et al. Timed to save: the added value of accounting for hourly incidence of electricity savings from residential space-conditioning measures
Meek Heat pumps and UK’s decarbonisation: Lessons from an Ofgem dataset of more than 2000 domestic installations
JP2005250523A (ja) 電力使用量管理装置、電力使用量管理方法、電力使用量管理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6795134B1 (ja) 電力管理装置
Cowan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 Concepts and Options for Determining Energy and Water Savings-Vol. I
JP2011170805A (ja) 排出量予測システム、排出量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73945A (ja) 契約電力最適化装置
Böhm et al. Fossil Fuel Subsidy Inventories vs. Net Carbon Prices
JP2020098528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Brown et al. Summary of California DSM impact evaluation studies
US202302736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Kurnik et al. Small Commercial and Residential Unitary and Split System HVAC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Efficiency Upgrade Evaluation Protocol. The Uniform Methods Project: Methods for Determining Energy Efficiency Savings for Specific Measures
Pawlik et al. Analyzing facility energy use: A balancing act
Biermayer et al. Feasibility of an appliance energy testing and labeling program for Sri Lanka
Energy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 verification protocol
DA Life Cycle Costing Emphasizing Energy Conservation
Moore Interim Final Technical Report: Developing new methods to leverage EnergyPlus for analyzing GEB measures for the existing housing stock to reduce peak dem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save homeowners money
Conservation Life Cycle Costing Emphasizing Energy Conser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