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073A -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073A
KR20220156073A KR1020227036656A KR20227036656A KR20220156073A KR 20220156073 A KR20220156073 A KR 20220156073A KR 1020227036656 A KR1020227036656 A KR 1020227036656A KR 20227036656 A KR20227036656 A KR 20227036656A KR 20220156073 A KR20220156073 A KR 2022015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ocking
mounting sheet
locking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완촨 주
지아리앙 위안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5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프레임 본체(400)에 적합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500)는 제1 장착 시트(1), 제2 장착 시트(2), 제3 장착 시트(4), 제1 잠금 구성요소(3) 및 구동 구성요소(1a, 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시트(2)는 상기 제1 장착 시트(1) 및 상기 제3 장착 시트(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상기 제2 장착 시트(2)와 상기 제3 장착 시트(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제1 해제 위치와 제1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2 장착 시트(2)와 상기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허용하거나 억제 한다. 상기 구동 구성요소(1a, 2a)는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맞닿는다. 상기 구동 구성요소(1a, 2a)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상기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500)의 접기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400)의 접기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치 특징 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child stroller)와 같은 유아용 캐리어(child carrier)는 일반적으로 접을 수 있는 프레임 본체(foldable frame body)를 사용하여 실용성과 운송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로 펼칠 수 있다.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를 접힌 상태(folded state)로 접을 수 있어 유아용 캐리어의 점유 공간을 줄여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이 용이하다.
종래의 접을 수 있는 프레임 본체는 일반적으로 기능에 따라 등받이(backrest), 좌석(eat), 후방 레그(rear leg), 전방 레그(front leg) 및 핸들(handle)로 분류될 수 있는 복수의 로드(rod)와, 복수의 로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위해 복수의 로드 사이에 배치된 잠금 기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잠금 기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동시에 복수의 로드를 잠금해제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잠금 기기는 해제버튼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몸을 굽혀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잠금 기기는 사용이 불편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이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본체에 적합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이 용이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청구항 1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대응하는 추가 개발 및 개선에 관한 것입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구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제1 장착 시트(mounting seat), 제2 장착 시트, 제3 장착 시트, 제1 잠금 구성요소(locking component) 및 구동 구성요소(driving component)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시트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pivotally connected)된다. 상기 제3 장착 시트는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상기 제3 장착 시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제1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와 제1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상기 제3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pivotal movement)은 허용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상기 제3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억제된다. 상기 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의 접기 조작(folding operation)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제4 장착 시트 및 제2 잠금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 시트는 상기 제3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3 장착 시트와 상기 제4 장착 시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제2 해제 위치와 제2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장착 시트와 상기 제4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허용된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장착 시트와 상기 제4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2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2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제5 장착 시트 및 제3 잠금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장착 시트는 상기 제4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4 장착 시트와 상기 제5 장착 시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제3 해제 위치와 제3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3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4 장착 시트와 상기 제5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허용된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3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4 장착 시트와 상기 제5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2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3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3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배치된 미는 부분(pushing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미는 부분 쪽으로 연장되는 밀리는 부분(pushed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상기 제2 장착 시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힐 때 상기 미는 부분은 상기 밀리는 부분을 밀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는 부분은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배치된 미는 경사면(pushing inclined surface)이고, 상기 밀리는 부분은 상기 미는 경사면과 협력하는 돌출부(protrusion)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는 경사면은 나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구멍(through hole)이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밀리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밀리는 부분은 상기 관통 구멍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장착 시트 및 상기 제3 장착 시트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제1 맞무는 톱니(engaging tooth)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시트는 상기 제1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engaged tooth)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장착 시트는 상기 제1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 및 상기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와 맞물리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1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탄성 구성요소(resilient component)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제2 잠금 구성요소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맞닿는 부분(abutting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는 부분은 상기 제3 장착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와 맞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투 구멍(penetrating hole)이 상기 제3 장착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맞닿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3 장착 시트 및 상기 제4 장착 시트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제2 맞무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장착 시트는 상기 제2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장착 시트는 상기 제2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2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 및 상기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와 맞물리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2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2 탄성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 쪽으로 연장되는 제2 맞닿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맞닿는 부분은 상기 제4 장착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와 맞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투 구멍이 상기 제4 장착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맞닿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제4 장착 시트 및 상기 제5 장착 시트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제3 맞무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장착 시트는 상기 제3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3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장착 시트는 상기 제3 맞무는 톱니와 협력하는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3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3 맞물리는 톱니 및 상기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와 맞물리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가 상기 제3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맞무는 톱니는 상기 제3 맞물리는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3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3 탄성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상기 제2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어셈블리(limiting assembly)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 쪽으로 돌출되는 제한 구성요소(limiting component)를 포함한다. 제한 슬롯(limiting slot)이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한 구성요소는 상기 제한 슬롯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늘어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 어셈블리는 제4 탄성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한 구성요소는 상기 제4 탄성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4 탄성 구성요소는 상기 제한 구성요소를 상기 제한 슬롯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 구성요소는 원형 기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과 구멍(passing hole)이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한 구성요소는 상기 통과 구멍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구성요소는 미는 구성요소(pushing component) 및 피구동 구성요소(driven component)를 포함한다. 상기 미는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미는 구성요소와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장 위치(extending position)와 수축 위치(retrac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미는 구성요소는 회전하여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를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잠금 기구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밀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의 접기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미는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미는 구성요소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연결 구성요소(linking component)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는 구성요소는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를 쪽으로 연장되는 인접하는 부분(adjoining portion)을 포함한다.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인접되는 부분(adjoine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인접되는 부분을 밀어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를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접하는 부분은 인접하는 돌출부이다. 상기 인접되는 부분은 인접되는 돌출부이다.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가 상기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접하는 돌출부와 상기 인접되는 돌출부는 서로 어긋나고,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가 상기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접하는 돌출부와 상기 인접되는 돌출부는 서로 정렬되어 맞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은 미는 맞닿는 부분(pushing abutting portion)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미는 맞닿는 부분 쪽으로 연장되는 밀리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미는 맞닿는 부분은 상기 밀리는 부분을 밀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장착 시트 및 상기 제2 장착 시트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의 제1 장착 시트, 제2 장착 시트 및 제3 장착 시트가 프레임 본체의 서로 다른 로드(rod)에 연결될 때,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구동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제1 잠금 구성요소를 제1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제1 장착 시트와 제2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및 제2 장착 시트와 제3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므로, 서로 다른 로드들의 상대적인 이동이 동시에 허용 되어 전체 프레임 본체의 접기 조작을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의심할 여지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유아용 캐리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서로 다른 시점(view)에서의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착 시트의 부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다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한 구성요소가 제한 슬롯 안으로 늘어난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3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F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유아용 캐리어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다른 부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7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G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9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의 H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다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J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구동 구성요소의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는 구성요소의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단(top)", "하단(bottom)", "전방(front)", "후방(back)" 등과 같은, 방향 용어는 설명되는 도면(들)의 방위를 참조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다수의 상이한 방위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용어는 설명 목적으로 사용되며,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성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또한 "연결(connect)"이라는 용어는 간접적이거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결합되면, 그 연결은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통하거나, 다른 기기 및 연결을 통한 간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유아용 캐리어(1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100)의 C 부분의 확대도이무화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점에서의 유아용 캐리어(100)의 부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유아용 캐리어(100)는 유아용 유모차(child stroller)일 수 있고 프레임 본체(400) 및 2개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를 포함한다.
2개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는 프레임 본체(400)의 프레임 본체(400)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400)의 서로 다른 로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여 서로 다른 로드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서로 대칭이다. 그러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유아용 캐리어(100)는 어린이 바구니 또는 어린이 안전 시트일 수 있고 어린이 바구니 또는 어린이 안전 시트의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만 하나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을 포함한다.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는 제1 장착 시트(1), 제2 장착 시트(2), 제3 장착 시트(4), 제1 잠금 구성요소(3), 제1 탄성 구성요소(9) 및 구동 구성요소(1a)를 포함한다. 제1 장착 시트(1), 제2 장착 시트(2) 및 제3 장착 시트(4)는 프레임 본체(400)의 3개의 상이한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장착 시트(2)는 제1 장착 시트(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장착 시트(4)는 제1 장착 시트(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 사이에 챔버가 형성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 사이의 쳄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1 해제 위치와 제1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한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글 수 있다. 즉,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2) 및 제3 장착 시트(4)의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해제 위치에 있는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즉,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장착 시트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탄성 구성요소(9)는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1 탄성 구성요소(9)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 구성요소(1a)는 제1 장착 시트(1)에 배치되고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맞닿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구동 구성요소(1a)는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구동되어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민다. 예를 들어, 제1 장착 시트(1)에 연결된 로드가 제2 장착 시트(2)에 연결된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도록(pivotally fold) 작동될 때, 제1 장착 시트(1)는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1 장착 시트(1)가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면, 구동 구성요소(1a)는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구동하여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제2 장착 시트(2)에 연결된 로드와 제3 장착 시트(4)에 연결된 로드가 서로에 대해 회적 가능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에 연결된 2개의 로드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다른 2개의 로드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는 제4 장착 시트(6), 제5 장착 시트(8), 제2 잠금 구성요소(5), 제3 잠금 구성요소(7), 제2 탄성 구성요소(10) 및 제3 탄성 구성요소(11)를 더 포함한다. 제4 장착 시트(6) , 제3 잠금 구성요소(7) 및 제5 장착 시트(8)는 접이식 로킹 기구(200)의 횡단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장착 시트(6), 제3 잠금 구성요소(7) 및 제5 장착 시트(8)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의 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3을 예로 들면, 제4 장착 시트(6), 제2 잠금 기구(7) 및 제5 장착 시트(8)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4 장착 시트(6)는 제2 장착 시트(2)로부터 떨어진 제3 장착 시트(4)의 측면에 인접해 있다. 제4 장착 시트(6)는 제3 장착 시트(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 사이에 챔버가 형성된다.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 사이의 챔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 및 제4 장착 시트(6)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2 해제 위치와 제2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2 잠금 위치에 있는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글 수 있다. 즉,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해제 위치에 있는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즉,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2 탄성 구성요소(10)는 제2 잠금 구성요소(5)를 제2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2 탄성 구성요소(1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맞닿아 있다.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1 잠금 구성요소53)를 구동하여 제2 잠금 위치에서 제2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제5 장착 시트(8)는 제3 장착 시트(4)로부터 떨어진 제4 장착 시트(6)의 측면에 인접한다. 제5 장착 시트(8)는 제4 장착 시트(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 사이에 챔버가 형성된다.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 사이의 챔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 및 제5 장착 시트(8)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3 해제 위치와 제3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3 잠금 위치에 있는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태적인 회전 운동을 잠글 수 있다. 즉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제3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해제 위치에 위치한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즉,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제3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3 탄성 구성요소(11)는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제3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3 탄성 구성요소(11)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2 잠금 구성요소(5)에 맞닿아 있다.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잠금 위치에서 제2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제3 잠금 위치에서 제3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400)는 서로 다른 봉으로 형성된
등받이(12), 시트(13), 후방 레그(14), 전방 레그(15) 및 핸들(16)를 포함한다. 등받이(12)는 제1 장착 시트(1)에 연결된다. 시트(13)는 제2 장착 시트(2)에 연결된다. 후방 레그(14)는 제3 장착 시트(4)에 연결된다. 전방 레그(15)는 제4 장착 시트(6)에 연결된다. 핸들(16)은 제5 장착 시트(8)에 연결된다. 등받이(12)와 시트(13)는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시트(13)와 후방 레그(14)는 제2 장착 시트(2)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는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은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프레임 본체(400)의 접기 조작 중에 등받이(12)와 시트(13)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 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하여,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 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 회전 운동을 동시에 허용 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본체(400)의 펴기 조작 중에, 등받이(12)와 시트(13)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 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 회전 운동을 잠궈,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 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는 등받이(12)의 상단 부분에 배치되고 등받이(12)와 시트(13)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하기 위한 해제 조작 구성요소(releasing operating component)(17)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래로 굽히지 않고 프레임 본체(400)의 모든 로드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점에서의 유아용 캐리어(100)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착 시트(1)의 부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구성요소(1a)은 제1 장착 시트(1) 상에 배치된 2개의 미는 부분을 포함한다. 2개의 미는 부분은 제1 장착 시트(1) 및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대칭이다. 2개의 미는 부분 각각은 제1 장착 시트(1)로부터 제2 장착 시트(2)를 향해 돌출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2개의 미는 부분 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밀리는 부분(31)을 포함한다. 제1 장착(1)와 제2 장착 시트(2)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힐 때, 2개의 미는 부분 각각은 대응하는 밀리는 부분(31)을 밀어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미는 부분 각각은 미는 경사면일 수 있고, 2개의 밀리는 부분(31) 각각은 대응하는 미는 경사면과 협력하는 돌출부일 수 있다. 2개의 미는 경사면 각각은 높이 차이에 의해 대응하는 돌출부를 밀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미는 경사면 각각은 나선형일 수 있고, 2개의 미는 경사면 각각의 중심축은 제1 장착 시트(1) 및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돌출부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구성요소 및 제1 잠금 구성요소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장착(4)에는 2개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고 2개의 밀리는 부분(31)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2개의 밀리는 부분(31) 각각은 대응하는 관통 구멍(2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여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 사이의 챔버 속으로 신장되어,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구동 구성요소(1a)에 의해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구동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 구성요소(1a)은 제1 장착 시트(1) 및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대칭인 2개의 미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2개의 밀리는 부분(31)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구성요소(1a)는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안정적으로 밀어 제1 잠금 구성요소(3)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미는 부분 및 밀리는 부분의 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구성요소는 단 하나의 미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잠금 구성 요소는 단 하나의 밀리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1 맞무는 톱니(32)를 더 포함한다. 제2 장착 시트(2)는 제1 맞무는 톱니(32)와 협력하는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22)를 포함한다. 제3 장착 시트(4)는 제1 맞무는 톱니(34)와 협력하는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41)를 포함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1 맞무는 톱니(32)는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22) 및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41)와 맞물려, 제2 장착 시트(3)와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이때, 제2 장착(2)와 제3 장착(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억제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1 맞무는 톱니(32)는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41)와 맞물리지만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22)와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제2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이때, 제2 안착시트(2)와 제3 안착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허용된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잠금 구성요소(5)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맞닿는 부분(33)를 포함한다. 제1 맞닿는 부분(33)는 제3 장착 시트(4)를 통과하여 제2 잠금 구성요소(5)와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제1 맞닿는 부분(33)은 제2 잠금 구성요소(5) 쪽으로 연장되는 돌출 블록(protruding block)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1 잠금 구성요소(3)의 단면은 2개의 L자형 구조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침투 구멍(42)이 제3 장착 시트(4)에 형성되고 침투 구멍(42)은 제1 맞닿는 부분(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제1 맞닿는 부분(33)은 침투 구멍(4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고하여 제2 잠금 구성요소(4)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2 맞무는 톱니(51)를 포함한다. 제3 장착 시트(4)는 제2 맞무는 톱니(51)와 협력하는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를 포함한다. 제4 장착 시트(6)는 제2 맞무는 톱니(51)와 협력하는 제2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61)를 포함한다.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2 맞무는 톱니(51)는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 및 제2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61)와 맞물려,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억제된다. 이때, 제3 장착(4)와 제4 장착(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억제된다.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맞무는 톱니(51)는 제2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61)와 맞물리지만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와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제3 장착 시트(4)와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이때, 제3 안착시트(4)와 제4 안착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맞닿는 부분(52)을 포함한다. 제2 맞닿는 부분(52)은 제4 장착 시트(6)를 통과하여 제3 잠금 구성요소(7)와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제2 맞닿는 부분(52)는 잠금 구성요소(7) 쪽으로 연장되는 돌출 블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3 잠금 구성요소(7)의 단면은 2개의 L자형 구조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침투 구멍(62)이 제4 장착 시트(6)에 형성되고 침투 구멍(62)은 제2 접촉부(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제2 맞닿는 부분(52)은 침투 구멍(6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제3 잠금 구성요소(7)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3 맞무는 톱니(71)를 포함한다. 제4 장착 시트(6)는 제3 맞무는 톱니(71)와 협력하는 제3 왼쪽 맞물리는 톱니(63)를 포함한다. 제5 장착 시트(8)는 제3 맞무는 톱니(71)와 협력하는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81)를 포함한다.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3 맞무는 톱니(71)는 제3 좌측 맞물리는 톱니(63) 및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81)와 맞물려,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이때,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억제된다.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3 맞무는 톱니(71)는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81)와 맞물리지만 제3 왼쪽 맞물리는 톱니(63)와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제4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4 장착 시트(6)와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의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100)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의 다른 부분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1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100)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한 구성요소(181)가 제한 슬롯(1b) 안으로 늘어난 유아용 캐리어(100)의 부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3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100)의 F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는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 어셈블리(18)를 더 포함한다. 제한 어셈블리(18)는 제한 구성요소(181), 제4 탄성 구성요소(182) 및 제한 연결 구성요소(183)을 포함한다. 제한 요소(181)는 제2 장착 시트(2)에 설치되고 제1 장착 시트(1) 쪽으로 돌출된다. 제한 슬롯(1b)은 제1 장착 시트(1)에 형성되고 제한 구성요소(1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한 구성요소(181)는 제한 슬롯(1b) 속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늘어난다. 제한 구성요소(181)와 제한 슬롯(1b)의 협력에 의해, 제한 어셈블리(18)는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제1 장착 시트(1)와 제2 장착 시트92)의 과도한 상대 회전 각도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한 구성요소(181)는 유아용 캐리어(100)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한 슬롯(1b)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유아용 캐리어(100)의 과도한 접기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 연결 구성요소(183)는 제2 장착 시트(2)에 고정된다. 제4 탄성 구성요소(182)의 양단부는 제한 연결 구성요소(183)와 제한 구성요소(18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한 구성요소(181)은 제4 탄성 구성요소(182) 및 제한 연결 구성요소(183)에 의해 제2 장착 시트(2)에 설치되어, 제한 구성요소(181)는 제한 슬롯(1b)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충돌로 인한 구성요소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제한 구성요소(181)는 제한 구성요소(181)의 보다 부드러운 슬라이딩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원형 기둥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장착 시트(2)에는 통과 구멍(23)이 형성되고 통과 구멍(23)은 제한 구성요소(1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한 구성요소(181)는 통과 구멍(2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여 제한 슬롯(1b)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유아용 캐리어(100)의 프레임 본체(400)를 접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해제 조작 구성요소(17)를 눌러 등받이(12)와 시트(13)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한 다음, 등받이(12)를 조작하여 등받이를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A를 따라 시트(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동하여, 화살표 방향 A을 따라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히도록 제1 장착 시트(1)를 구동한다. 제1 장착 시트(1)가 화살표 방향 A를 따라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힐 때, 구동 구성요소(1a)의 미는 부분은 제1 잠금 구성요소(3)의 밀리는 부분(31)을 밀어서 제1 탄성 구성요소(9)에 의해 생성된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B을 따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잠금 구성요소(5)에 맞닿고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잠금 구성요소(7)와 맞닿으므로, 제2 잠금 구성요소(5)와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2 잠금 위치와 제3 잠금 위치에서 각각 제2 해제 위치 및 제3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과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시트(13), 후방 레그(14), 전방 레그(15) 및 핸들(16)을 조작하여,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 과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유아용 캐리어(100)의 프레임 본체(400)의 접기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100)의 프레임 본체(400)를 펴고자 하는 경우 등받이(12)를 조작하여 등받이(12)를 화살표 방향 A과 반대 방향을 따라 시트(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펴지도록 구동하여, 제1 장착 시트(1)를 화살표 방향 A와 반대 방향을 따라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펴지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장착 시트(1)가 화살표 방향 A와 반대 방향을 따라 제2 장착 시트(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펴질 때, 구동 구성요소(1a)의 미는 부분은 화살표 방향 B를 따라 제1 잠금 요소(3)의 밀리는 부분(31)을 밀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된 제1 탄성 구성요소(9)는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화살표 방향 B와 반대 방향을 따라 제1 해제 위치에서 제1 잠금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해제 위치에서 제1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화살표 방향 B를 따라 제2 잠금 구성요소(5)를 밀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된 제2 탄성 구성요소(10)는 잠금 구성요소(5)를 화살표 방향 B와 반대 방향을 따라 제2 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화살표 방향 B를 따라 밀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된 제3 탄성 구성요소(11)는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화살표 방향 B와 반대 방향을 따라 제3 해제 위치에서 제3 잠금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한 제1 잠금 구성요소(3),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한 제2 잠금 구성요소(5), 및 제3 잠금 위치에 위치한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및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각각 잠글 수 있어, 프레임 본체(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잠길 수 있다.
제2 탄성 구성요소(10)는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잠금 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제2 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화살표 d를 따라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누르지 않습니다.
추가로 도 15 내지 도 26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유아용 캐리어(500)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부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다른 부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7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500)의 G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9에 도시된 유아용 캐리어(500)의 H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다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500)의 J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구동 구성요소(20)의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는 구성요소(19)의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캐리어(500)는 2개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와 프레임 본체(4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의 구조와 유사하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은 제4 장착 시트, 제5 장착 시트 및 제3 잠금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쉘(shell)(202)을 더 포함한다. 제3 장착 시트(4)는 제4 장착 시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도 26은 제4 장착 시트, 제5 장착 시트, 제2 잠금 구성요소, 제3 잠금 구성요소 및 제한 어셈블리를 도시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의 구조의 일부만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제4 장착 시트, 제5 장착 시트, 제2 잠금 구성요소, 제3 잠금 구성요소 및 제한 어셈블리의 구조는 제11 실시예의 제4 장착 시트(6), 제5 장착 시트(8), 제2 잠금 구성요소(5), 제3 잠금 구성요소(7) 및 제한 어셈블리(18)의 구조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게다가, 이 실시예의 2개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각각은 구동 구성요소(2a)을 포함한다. 구동 구성요소(2a)는 미는 구성요소(19), 피구동 구성요소(20) 및 연결 구성요소(201)를 포함한다. 미는 구성요소(19)는 제1 장착 시트(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미는 구성요소(19)의 회전축은 제1 장차 시트(1) 및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피구동 구성요소(20)은 미는 구성요소(19)과 제3 잠금 구성요소(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미는 구성요소(19)의 회전축은 피구동 구성요소(20)의 중심을 통과한다. 피구동 구성요소(20)는 제1 장착 시트(1) 및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연결 구성요소(201)는 미는 구성요소(19)에 연결되어, 미는 구성요소(19)가 연결 구성요소(201)에 의해 구동되어 제1 장착 시트(1)에 대해 회전하여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제1 장착 시트(1)에 대해 회전하도록 연결 구성요소(201)에 대해 구동되어 피구동 구성요소(20)를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에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당연히,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은 2개의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2개의 미는 구성요소(19)에 연결된 2개의 연결 구성요소(201)는 서로 연결되어 2개의 미는 구성요소(19)에 연결된 일체형 연결 구조(one-piece linking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는 구성요소(19)는 인접하게 배치되고 피구동 구성요소(20) 쪽으로 연장되는 3개의 인접하는 부분(191)을 포함한다. 피구동 구성요소(20)는 인접하게 배치되고 3개의 인접하는 부분(191)과 협력하는 2개의 인접되는 부분(20a)을 포함한다. 3개의 인접하는 부분(191) 각각은 대응하는 인접되는 부분(20a)을 밀어 구동 구성요소(20)를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미는 구성요소(19)에 의해 이동하도록 피구동 구성요소(20)를 구동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3개의 인접하는 부분(191) 각각은 인접하는 돌출부일 수 있다. 2개의 인접되는 부분(20a) 각각은 인접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피구동 구성요소(20)이 수축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인접되는 돌출부와 3개의 인접하는 돌출부가 서로 어긋나 있다. 즉, 2개의 인접되는 부분(20a) 각각은 2개의 대응하는 인접하는 부분(191) 사이의 오목부(recess)에 위치한다. 피구동 구성요소(20)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인접되는 돌출부와 3개의 인접하는 돌출부가 서로 정렬되어 맞닿는다. 다시 말해, 미는 구성요소(19)가 제1 장착 시트(1)에 대해 회전하여 2개의 인접되는 돌출부와 2개의 대응하는 인접하는 돌출부가 서로 정렬되어 맞닿도록 구동될 때, 피구동 구성요소(20)는 미는 구성요소(19)에 의해 구동되어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미는 구성요소(19)가 제1 장착 시트(1)에 대해 회전하여 2개의 인접되는 돌출부 각각을 2개의 대응하는 인접하는 부분(191) 사이의 오목부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될 때, 미는 구성요소(19)는 피구동 구성요소(20)를 밀지 않으므로, 피구동 구성요소(20)는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의해 구동되어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인접하는 돌출부 각각 및 2개의 인접되는 돌출부 각각은 호형 구조(arc-shaped structure)일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부분과 인접되는 부분의 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미는 구성요소는 단 하나의 인접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피구동 구성요소는 단 하나의 인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구동 구성요소(20)는 대향 배치되고 제1 잠금 구성요소(3) 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미는 맞닿는 부분(20b)을 포함한다.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2개의 미는 맞닿는 부분(20b)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밀리는 부분(31)를 포함한다. 2개의 미는 맞닿는 부분(20b)은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할 때 두 개의 밀리는 부분(31)을 밀어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미는 맞닿는 부분과 밀리는 부분의 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구동 구성요소는 단 하나의 미는 맞닿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잠금 구성요소는 단 하나의 밀리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유아용 캐리어(500)의 프레임 본체(400)를 접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해제 조작 구성요소(17)를 눌러 등받이(12)와 시트(13)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잠금해제한 다음, 연결 구성요소(20)를 조작하여 미는 구성요소(19)를 제1 장착 시트(1)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미는 구성요소(19)의 인접하는 부분(191)을 피구동 구성요소(20)의 인접되는 부분(20a)을 밀도록 구동하여,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2 잠금 구성요소에 맞닿고 제2 잠금 구성요소가 제3 잠금 구성요소에 맞닿기 때문에, 제2 잠금 구성요소 및 제3 잠금 구성요소는 제2 해제 위치와 제3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각 구동되어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그리고 전방 레그(15)와 핸들(1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각각 잠금해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시트(13), 후방 레그(14), 전방 레그(15) 및 핸들(16)을 조작하여 시트(13)와 후방 레그(14)의 상대적 회전 운동, 후방 레그(14)와 전방 레그(15)의 상대적 회전 운동 및 전방 레그(15)의 상대적 회전 운동에 의한 유아용 캐리어(500)의 프레임 본체(400)의 접기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동작 유아용 캐리어(500)의 프레임 본체(400)를 펼치고자 하는 경우, 접기 조작과 반대로 하여 프레임 본체(400)의 펴기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의 제1 장착 시트, 제2 장착 시트 및 제3 장착 시트가 프레임 본체의 상이한 로드에 연결될 때,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는 구동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제1 잠금 구성요소를 제1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제1 장착 시트와 제2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및 제2 장착 시트와 제3 장착 시트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동시에 허용할 수 있어, 상이한 로드들의 상대적인 이동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프레임 본체 전체의 접기 조작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기기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관찰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1)

  1.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foldable locking mechanism)(200, 300)로서,
    제1 장착 시트(mounting seat)(1);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pivotally connected) 제2 장착 시트(2);
    상기 제2 장착 시트(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장착 시트(4);
    상기 제2 장착 시트(2)와 상기 제3 장착 시트(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잠금 구성요소(locking component)(3) -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1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와 제1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상기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장착 시트(2)와 상기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pivotal movement)은 허용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장착 시트(2)와 상기 제3 장착 시트(4)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억제됨 -; 및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맞닿아 있는 구동 구성요소(driving component)(1a, 2a) - 상기 구동 구성요소(1a, 2a)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의 접기 조작(folding operation)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장착 시트(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4 장착 시트(6); 및
    상기 제3 장착 시트(4)와 상기 제4 장착 시트(6)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잠금 구성요소(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2 해제 위치와 제2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상기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장착 시트(4)와 상기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장착 시트(4)와 상기 제4 장착 시트(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되며,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를 상기 제2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2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장착 시트(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5 장착 시트(8); 및
    상기 제4 장착 시트(6)와 상기 제5 장착 시트(8)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3 해제 위치와 제3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상기 제3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4 장착 시트(6)와 상기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상기 제3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4 장착 시트(6)와 상기 제5 장착 시트(8)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억제되며,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2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7)를 상기 제3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3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성요소(1a)는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배치된 미는 부분(push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는 상기 미는 부분 쪽으로 연장되는 밀리는 부분(pushed portion)(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 시트(1)와 상기 제2 장착 시트(2)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힐 때 상기 미는 부분은 상기 밀리는 부분(31)을 밀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부분은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배치된 미는 경사면(pushing inclined surface)이고, 상기 밀리는 부분(31)은 상기 미는 경사면과 협력하는 돌출부(protrusion)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경사면은 나선형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7. 제4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through hole)(21)이 상기 제2 장착 시트(2)에 형성되고 상기 밀리는 부분(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밀리는 부분(31)은 상기 관통 구멍(2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상기 제2 장착 시트(2) 및 상기 제3 장착 시트(4)의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1 맞무는 톱니(engaging tooth)(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 시트(2)는 상기 제1 맞무는 톱니(32)와 협력하는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engaged tooth)(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장착 시트(4)는 상기 제1 맞무는 톱니(32)와 협력하는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맞무는 톱니(32)는 상기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22) 및 상기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41)와 맞물리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가 상기 제1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맞무는 톱니(32)는 상기 제1 왼쪽 맞물리는 톱니(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상기 제1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1 탄성 구성요소(resilient component)(9)를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제2 잠금 구성요소(5)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맞닿는 부분(abutting portion)(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는 부분(33)은 상기 제3 장착 시트(4)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와 맞닿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2. 제11항에 있어서,
    침투 구멍(penetrating hole)(42)이 상기 제3 장착 시트(4)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맞닿는 부분(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상기 제3 장착 시트(4) 및 상기 제4 장착 시트(6)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제2 맞무는 톱니(5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장착 시트(4)는 상기 제2 맞무는 톱니(51)와 협력하는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장착 시트(6)는 상기 제2 맞무는 톱니(51)와 협력하는 제2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6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상기 제2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맞무는 톱니(51)는 상기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 및 상기 제1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61)와 맞물리고,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가 상기 제2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맞무는 톱니(51)는 상기 제2 왼쪽 맞물리는 톱니(4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를 상기 제2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2 탄성 구성요소(10)를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구성요소(5)는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 쪽으로 연장되는 제2 맞닿는 부분(5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맞닿는 부분(52)은 상기 제4 장착 시트(6)를 통과하여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와 맞닿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7. 제16항에 있어서,
    침투 구멍(62)이 상기 제4 장착 시트(6)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맞닿는 부분(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상기 제4 장착 시트(6) 및 상기 제5 장착 시트(8)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는 제3 맞무는 톱니(71)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장착 시트(6)는 상기 제3 맞무는 톱니(71)와 협력하는 제3 맞물리는 톱니(63)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장착 시트(8)는 상기 제3 맞무는 톱니(71)와 협력하는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8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상기 제3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맞무는 톱니(71)는 상기 제3 맞물리는 톱니(63) 및 상기 제3 오른쪽 맞물리는 톱니(81)와 맞물리고,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가 상기 제3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맞무는 톱니(71)는 상기 제3 맞물리는 톱니(6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잠금 구성요소(7)를 상기 제3 잠금 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3 탄성 구성요소(11)를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시트(1)와 상기 제2 장착 시트(2)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어셈블리(limiting assembly)(18)를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어셈블리(18)는, 상기 제2 장착 시트(2)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1) 쪽으로 돌출되는 제한 구성요소(limiting component)(181)를 포함하고, 제한 슬롯(limiting slot)(1b)이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는 상기 제한 슬롯(1b)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늘어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어셈블리(18)는 제4 탄성 구성요소(1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는 상기 제4 탄성 구성요소(182)에 의해 상기 제2 장착 시트(2)에 설치되며, 상기 제4 탄성 구성요소(182)는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를 상기 제한 슬롯(1b)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는 원형 기둥인,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5. 제22항에 있어서,
    통과 구멍(passing hole)(23)이 상기 제2 장착 시트(2)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한 구성요소(181)는 상기 통과 구멍(2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200, 300).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성요소(2a)는,
    상기 제1 장착 시트(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미는 구성요소(19); 및
    상기 미는 구성요소(19)와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장 위치(extending position)와 수축 위치(retrac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피구동 구성요소(driven component)(20)를 포함하고,
    상기 미는 구성요소(19)는 회전하여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를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잠금 기구(3)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밀어 상기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의 접기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성요소(2a)는 상기 미는 구성요소(19)에 연결되고 상기 미는 구성요소(19)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연결 구성요소(linking component)(201)를 더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구성요소(19)는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를 쪽으로 연장되는 인접하는 부분(adjoining portion)(191)을 포함하고,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는 인접되는 부분(adjoined portion)(20a)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부분(191)은 상기 인접되는 부분(20a)을 밀어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를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부분(191)은 인접하는 돌출부이고, 상기 인접되는 부분(20a)은 인접되는 돌출부이며,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상기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접하는 돌출부와 상기 인접되는 돌출부는 서로 어긋나고,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상기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접하는 돌출부와 상기 인접되는 돌출부는 서로 정렬되어 맞닿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은 미는 맞닿는 부분(pushing abutting portion)(2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는 상기 미는 맞닿는 부분(20b) 쪽으로 연장되는 밀리는 부분(31)을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미는 맞닿는 부분(20b)은 상기 밀리는 부분(31)을 밀어 상기 제1 잠금 구성요소(3)를 상기 제1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20)는 상기 제1 장착 시트(1) 및 상기 제2 장착 시트(2)의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300).
KR1020227036656A 2020-04-10 2021-04-08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KR20220156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84012.7A CN113511248B (zh) 2020-04-10 2020-04-10 收合锁定机构
CN202010284012.7 2020-04-10
PCT/EP2021/059228 WO2021204966A1 (en) 2020-04-10 2021-04-08 Foldable lock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073A true KR20220156073A (ko) 2022-11-24

Family

ID=7552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656A KR20220156073A (ko) 2020-04-10 2021-04-08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59078A1 (ko)
EP (1) EP4121337A1 (ko)
JP (2) JP7457155B2 (ko)
KR (1) KR20220156073A (ko)
CN (2) CN113511248B (ko)
AU (1) AU2021253663B2 (ko)
CA (1) CA3179759A1 (ko)
DE (1) DE112021002251T5 (ko)
TW (2) TWI805510B (ko)
WO (1) WO2021204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19277A (zh) * 2021-11-10 2023-05-16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嬰兒載具
CN216833856U (zh) * 2022-01-14 2022-06-28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车架
CN115257907B (zh) * 2022-06-07 2024-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座兜组件及儿童推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95623Y (zh) * 2002-12-31 2003-12-31 中山隆顺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关节结构
DE102007045068B3 (de) * 2007-09-19 2009-04-02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Kinder-Sportkarre
CN103661544B (zh) * 2012-08-30 2016-03-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关节装置
ES2663808T3 (es) * 2014-06-30 2018-04-17 Wonderland Switzerland Ag Cochecito para niño
ES2767355T3 (es) * 2015-09-02 2020-06-17 Dynamic Motion Llc Silla de paseo plegable
TWI639526B (zh) * 2017-09-11 2018-11-01 穩正企業股份有限公司 具有伸縮結構的推車
CN208827909U (zh) * 2018-07-18 2019-05-07 绍兴上虞日星五金制品有限公司 两步折叠的儿童手推车
CN108791455A (zh) * 2018-09-08 2018-11-13 卢键平 具有快速定位锁定机构的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9078A1 (en) 2023-05-25
DE112021002251T5 (de) 2023-01-19
JP2023521099A (ja) 2023-05-23
EP4121337A1 (en) 2023-01-25
TW202304755A (zh) 2023-02-01
JP7457155B2 (ja) 2024-03-27
JP2024063258A (ja) 2024-05-10
TWI784469B (zh) 2022-11-21
CA3179759A1 (en) 2021-10-14
WO2021204966A1 (en) 2021-10-14
CN117401019A (zh) 2024-01-16
TW202204196A (zh) 2022-02-01
AU2021253663B2 (en) 2024-04-18
AU2021253663A1 (en) 2022-10-13
TW202335901A (zh) 2023-09-16
CN113511248B (zh) 2023-11-03
CN113511248A (zh) 2021-10-19
TWI805510B (zh) 202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6073A (ko) 접을 수 있는 잠금 기구
US8430420B2 (en) Security device and child stroller
EP3263420A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20080073879A1 (en) Foldable stroller
US20110148076A1 (en) Collapsible Child Carrier Apparatus
GB2550023A (en) Collapsible seat assembly and a stroller with the same
JP2022036941A (ja) チャイルドセーフティシート
JP7315517B2 (ja) ロック解除装置及びベビーカー
CN108313110B (zh) 收合机构及幼儿载具
TWI839209B (zh) 收合鎖定機構
TWI753519B (zh) 折疊式遊戲床
CN211076034U (zh) 便于收折的儿童手推车
TWM584760U (zh) 收折式推車車架
US20220153330A1 (en) Armrest folding mechanism and baby carriage
CN217835730U (zh) 一种儿童推车的解锁机构
AU2020369165B2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CN218852329U (zh) 一种可折叠的游戏床结构
CN220966696U (zh) 一种可折叠支撑件及折叠桌
CN211166557U (zh) 一种座兜
JPH0848254A (ja)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CN115500654A (zh) 婴儿床
EP4049556A1 (en) Locking mechanism and children product
TW202239639A (zh) 嬰兒車、嬰兒車的車架及其收合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