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458A -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458A
KR20220155458A KR1020210061850A KR20210061850A KR20220155458A KR 20220155458 A KR20220155458 A KR 20220155458A KR 1020210061850 A KR1020210061850 A KR 1020210061850A KR 20210061850 A KR20210061850 A KR 20210061850A KR 20220155458 A KR20220155458 A KR 2022015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unit
filter
fram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철
최수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to KR102021006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458A/ko
Publication of KR2022015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다단구조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프리필터부, 백필터부, 카본필터부 및 송풍장치를 설치하되, 프레임에 설치된 프리필터부의 바닥판 상에 복수개의 공기통과홀을 형성한 바닥판을 구비하고, 바닥판 상면에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상태로 설치되되, 그 하단이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는 필터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 하단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바닥판의 공기통과홀을 통해 필터부 하단으로 인입되고, 이때, 필터부 내측 공간으로 진입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배출하면서, 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된 프리필터부의 필터부를 바닥판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직립되게 복수개 설치하여, 설치하여, 공기통과홀을 통해 필터부 내로 인입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량이 증가되며, 이 포집량 증가로 인해 오염공기의 정화 성능이 급격하게 상승되고, 프레임 하단 개구부 면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필터부로 오염공기를 분산 공급하여, 필터부 사용 기간 증가와 동시에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특히, 필터부를 향해 직상방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가 필터부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배출되어, 오염공기의 배출 압력이 저하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Air purification equipment for vehicle painting booth}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설치된 프리필터부의 바닥판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사각판 형상의 복수개의 필터부를 설치하여, 바닥판의 공기통과홀을 통해 필터부로 인입되는 공기를 필터부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동시에 배출하면서, 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물질인 오존은 자동차 및 피도장체 및 여러 가지 연소시설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석유화학공장 및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에 의하여 광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주로 발생된다.
특히, 도장부스 내의 공기중에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이때, 이러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실외로 방출되는 경우, 대기중의 공기오염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도장부스 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성 물질을 정화하여 외부로 방출해야 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오염물질 집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 하단에 평판 구조로 설치된 1차필터,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된 2차필터, 원통형상으로 2차필터 상부에 렬 및 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그 내측에 백필터를 구비하되, 이 백필터 외부를 활성탄필터로 감싸도록 형성하고, 활성탄필터 상부에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방출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평판형상의 1차필터는 케이싱 하단부에 렬 및 행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고, 그 상부에 단면이 상협하광 구조를 이루도록 지그재그로 이루어진 2차필터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1차필터 및 2차필터로 오염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포집되어, 공기가 정화되고, 이어서, 활성탄필터 및 백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오염물질이 각각의 활성탄필터 및 백필터에 포집되어, 공기가 정화된다.
이후, 이 정화된 공기는 흡입팬으로 강제 흡입된 후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1차 필터가 케이싱 하단에 평판 구조로 설치되어 케이싱의 하단 면적 대비 1차 필터의 설치 갯수에 큰 제약이 발생되고, 1차 필터가 단일 필터 구조로 이루어져, 1차 필터에 포집되는 오염물질 량이 현저히 저하되며, 오염물질 포집량 저하로 1차 필터의 사용 기간이 단축되어, 1차 필터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1차 필터를 통해 직립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상승 압력에 의해 1차 필터에 포집되어 있던 오염물질이 탈락될 우려가 있으며, 이 오염물질 탈락 현상으로 인해 1차 필터의 기능이 상실되되, 1차 필터에서 탈락된 오염물질이 1차 필터를 통과한 후 2차 필터에 포집되어 2차 필터에 포집되는 오염물질량이 증가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15298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다단구조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프리필터부, 백필터부, 카본필터부 및 송풍장치를 설치하되, 이때, 프레임 하단에 설치된 프리필터부의 바닥판 상에 일렬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기통과홀을 형성한 바닥판을 구비하고, 이 바닥판 상면에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상태로 설치되되, 그 하단이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는 필터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 하단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바닥판의 공기통과홀을 통해 필터부 하단으로 인입되고, 이때, 필터부 내측 공간으로 진입된 오염공기를 필터부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배출하면서, 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다단 구조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전, 후면이 타공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인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프리필터부; 상기 프리필터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필터부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갖는 미세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백필터부; 상기 백필터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백필터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집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카본필터부; 및 상기 카본필터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본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정화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장치;로 구성된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는,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통과홀을 형성한 바닥판과; 사각판형상으로, 그 하단이 상기 바닥판의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 상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과홀을 통해 인입되는 오염공기가 그 내측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의 필터부는, 상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중공형 틀 형상으로, 그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는 공기유입홀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 직립가이드를 형성하며, 상단 양 측면에 회전고리를 형성한 하우징틀과; 판재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가이드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상기 하우징틀 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틀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부직포필터; 상기 부직포필터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필터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메시망; 상기 하우징틀 상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기 회전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쇠를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필터가 상기 하우징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부직포필터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부직포필터를 상기 메시망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부직포필터를 상기 메시망에 밀착 고정하는 필터고정부재를 더 형성하고, 상기 메시망은, 그 양단에 상기 부직포필터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단을 감싸 커버하도록 절곡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필터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필터고정부재를 고정하는 절곡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된 프리필터부의 필터부를 바닥판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직립되게 복수개 설치하여, 프레임의 하단 개구부 면적에 대응하도록 많은량의 필터부를 설치할 수 있고, 필터부를 다수개로 직립 설치하여, 공기통과홀을 통해 필터부 내로 인입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량이 증가되며, 이 포집량 증가로 인해 오염공기의 정화 성능이 급격하게 상승되고, 또한, 프레임 하단 개구부 면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필터부로 오염공기를 분산 공급하여, 필터부 사용 기간 증가와 동시에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특히, 필터부를 향해 직상방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가 필터부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배출되어, 오염공기의 배출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 배출 압력 저하로 인해 필터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이 필터부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프리필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필터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프리필터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다단 구조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부로 프리필터부(200), 백필터부(300), 카본필터부(400) 및 송풍장치(500)를 순차적으로 안착 고정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각각의 다단층에 상기 프리필터부(200), 백필터부(300), 카본필터부(4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프리필터부(200), 백필터부(300) 및 카본필터부(4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프리필터부(200), 백필터부(300) 및 카본필터부(400)의 유지보수를 진행한다.
프리필터부(200)는 전, 후면이 타공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인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차량 도장부스와 연결된 하부터널(미도시)을 통해 이동하는 오염공기 인입을 허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한다.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상기 백필터부(300)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1차 정화한 후 상기 백필터부(300) 방향을 향해 공기를 우회 배출한다.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통과홀(211)을 형성한 바닥판(210)과, 사각판형상으로, 그 하단이 상기 바닥판(210)의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210) 상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과홀(211)을 통해 인입되는 오염공기가 그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210)은 그 테두리에 상기 필터부(220)의 하단 외면을 지지하는 턱부(미부호)를 더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210)의 공기통과홀(211)은 장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20) 하단으로 공기가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바닥판(210)은 그 상면에 적어도 10개 이상의 공기통과홀(211)을 형성하여, 상기 필터부(220)가 설치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필터부(220)는 상기 내측공간(220a)을 기준으로, 그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오염공기가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필터부(220)의 하단은 상기 내측공간(220a)과 연통 형성되어, 오염공기가 상기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프리필터부(200)의 필터부(220)는 상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중공형 틀 형상으로, 그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과홀(211)과 연통되는 공기유입홀(221a)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 직립가이드(221b)를 형성하며, 상단 양 측면에 회전고리(221c)를 형성한 하우징틀(221)과, 판재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가이드(221b)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상기 하우징틀(221) 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틀(221)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부직포필터(222),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메시망(223) 및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기 회전고리(221c)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쇠(224a)를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하우징틀(221)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22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틀(221)은 상기 바닥판(210) 상면에 직립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공기유입홀(221a)이 상기 공기통과홀(211)과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틀(221)의 직립가이드(221b)는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 간의 거리를 이격시킨다.
상기 직립가이드(221b)는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하우징틀(221) 내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하우징틀(221)의 전면 및 후면 테두리에는 상기 직립가이드(221b)에 의해 그 사이 거리가 이격된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하우징틀(2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두리가이드(221d)를 더 형성한다.
상기 회전고리(221c)는 상기 상부커버(224)의 걸림쇠에 걸림되어, 상기 상부커버(224)가 상기 하우징(221)틀 상면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부직포필터(222)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제작되는 상용화된 기술 중 하나로, 공기중에 포함된 30%이상의 분진을 걸러낸다
상기 부직포필터(222)는 상기 직립가이드(221b)에 의해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필터(222)는 상기 하우징틀(22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으로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한다.
상기 메시망(223)은 상기 부직포필터(2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틀(221) 내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직립상태로 고정한다.
상기 메시망(223)은 그 양단에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단을 감싸 커버하도록 절곡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필터고정부재(225)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를 고정하는 절곡부(223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223a)는 상기 메시망(223) 양단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메시망(223)이 상기 부직포필터(222)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커버(224)는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를 마감하여, 상기 필터부(220)의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틀(221) 직상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걸림쇠(224a)는 상기 회전고리(221c)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상부커버(224)가 상기 하우징틀(221) 상방으로 이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에 밀착 고정하는 필터고정부재(225)를 더 형성한다.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는 상기 메시망(223)의 절곡부(223a)와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메시망(223) 방향으로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누름 가압하여, 상기 메시망(223)이 상기 부칙포필터(222)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는 링형상 또는 판형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백필터부(300)는 상기 프리필터부(2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필터부(200)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갖는 미세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백필터부(300)는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면서, 상기 프리필터부(200)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 정화한다.
상기 백필터부(300)는 공기중에 포함된 5㎛의 분진을 포집하여, 90%이상의 분진을 걸러낸다.
카본필터부(400)는 상기 백필터부(3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백필터(300)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집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카본필터부(400)는 공기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한 후, 이 정화된 공기를 오방면으로 배출하여, 상기 송풍장치(500)로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카본필터부(400)는 그 내부에 휘발성유기화화합물이 포집되도록 하는 정화물질(미도시)을 포함한다.
송풍장치(500)는 상기 카본필터부(4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본필터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송풍장치(500)는 상기 카본필터부(400)에서 정화된 공기를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송풍장치(500)는 그 내부에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임펠러(미도시)를 설치하여,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고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장부스 내에 설치된 하부터널(미도시)를 통해 오염공기가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프리필터부(200)로 공기가 인입되고, 이때, 이 프리필터부(200)의 바닥판(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통과홀(211)을 통해 상기 필터부(220)의 내측공간으로 오염공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바닥판(210)의 공기통과홀(211)과 상기 필터부(220)의 하우징틀(221)에 형성된 공기유입홀(221a)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과홀(211)로 인입되는 오염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홀(221a)을 통해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의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의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상부커버(224)에 차단되어, 상기 하우징틀(221)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되, 상기 상부커버(224)에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틀(221)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224)의 걸림쇠(224a)는 상기 하우징틀(221)의 회전고리(221c)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상승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224)가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틀(221)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하는 오염공기는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예컨대, 30%분진)을 포집하여, 공기가 1차 정화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틀(221)에 설치된 상기 부직포필터(222)는 상기 하우징틀(221)의 직립가이드(221b)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직립가이드(221b)에 밀착되어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어,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에 오염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내측공간(2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필터(222)는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 메시망(223)을 설치하여, 이 메시망(223)에 의해 직립상태가 유지되되, 서로 마주보는 외면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곡부(223a) 사이로 필터고정부재(225)를 억지 끼움하여, 상기 필터고정부재(225)에 의해 상기 메시망(223)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는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 방향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메시망(223)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프리필터부(200) 상부에 설치된 백필터부(300)로 오염공기를 통과시켜, 상기 프리필터부(200)에서 정화되는 오염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입자가 작은 미세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인 90%의 분진을 걸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부(300)에서 2차 정화된 공기를 상기 카본필터부(4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본필터부(400) 내로 오염공기를 진입시키면, 이 카본필터부(400) 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포집되어, 공기가 정화된다.
이어서, 상기 카본필터부(400) 내에서 3차 정화된 정화공기는 상기 카본필터부(400)의 상면, 전, 후면, 좌, 우측면을 통해 오방면으로 배출된 후, 상기 송풍장치(500)의 양측 방향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송풍장치(500)가 정화된 공기를 양측 방향을 통해 연속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리필터부(200)의 부직포필터(222)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리필터부(200)를 상기 프레임(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220)의 하우징틀(221)에 형성된 회전고리(221c)가 상기 상부커버(224)의 걸림쇠(224a)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224)를 상기 하우징틀(221) 상방으로 이탈시켜, 상기 하우징틀(221) 상방을 개방한 후, 상기 하우징틀(221) 내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파지하여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로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부직포필터(222)와 상기 메시망(223)의 절곡부(223a) 사이에 억지끼움된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를 상기 메시망(223) 상방으로 이탈시켜,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누름 가압력을 해제한 후,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 상방으로 이탈시킨다.
이어서, 상기 메시망(223)의 절곡부(223a)에 다른 상기 부직포필터(222) 양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절곡부(223a)와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로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를 억지 끼움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메시망(223) 방향으로 누름 가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하우징틀(221)의 직립가이드(221b)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 사이에 내측공간(220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24)를 덮어 고정하되, 상기 프리필터부(200)를 상기 프레임(100)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원위치 시킨후 상기와 같이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리필터부(200)의 바닥판(210)에 형성된 공기통과홀(211)에 사각판형상의 필터부(220)를 직립형태로 고정하여, 이 필터부(220) 하단이 공기통과홀(211)에 연통되도록 하는 구조는,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된 프리필터부(200)의 필터부(220)를 바닥판(210)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직립되게 복수개 설치하여, 프레임(100)의 하단 개구부 면적에 대응하도록 많은량의 필터부(220)를 설치할 수 있고, 필터부(220)를 다수개로 직립 설치하여, 공기통과홀(211)을 통해 필터부(220) 내로 인입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량이 증가되며, 이 포집량 증가로 인해 오염공기의 정화 성능이 급격하게 상승되고, 또한, 프레임(100) 하단 개구부 면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필터부(220)로 오염공기를 분산 공급하여, 필터부(220) 사용 기간 증가와 동시에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특히, 필터부(220)를 향해 직상방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가 필터부(220)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우회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프레임 200 : 프리필터부
210 : 바닥판 211 : 공기통과홀
220 : 필터부 220a : 내측공간
221 : 하우징틀 221a : 공기유입홀
221b : 직립가이드 221c : 회전고리
222 : 부직포필터 223 : 메시망
223a : 절곡부 224 : 상부커버
224a : 걸림쇠 225 : 필터고정부재
300 : 백필터부 400 : 카본필터부
500 : 송풍장치

Claims (3)

  1. 다단 구조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00)과;
    전, 후면이 타공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인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프리필터부(200);
    상기 프리필터부(2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필터부(200)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갖는 미세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백필터부(300);
    상기 백필터부(3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다단층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백필터(300)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집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카본필터부(400); 및
    상기 카본필터부(4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본필터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장치(500);
    로 구성된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통과홀(211)을 형성한 바닥판(210)과;
    사각판형상으로, 그 하단이 상기 바닥판(210)의 공기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210) 상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통과홀(211)을 통해 인입되는 오염공기가 그 내측공간(220a)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2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200)의 필터부(220)는,
    상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중공형 틀 형상으로, 그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과홀(211)과 연통되는 공기유입홀(221a)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 직립가이드(221b)를 형성하며, 상단 양 측면에 회전고리(221c)를 형성한 하우징틀(221)과;
    판재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가이드(221b)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상기 하우징틀(221) 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틀(221)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부직포필터(222);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메시망(223);
    상기 하우징틀(221) 상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면에 상기 회전고리(221c)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쇠(224a)를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가 상기 하우징틀(221)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22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200)는,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를 상기 메시망(223)에 밀착 고정하는 필터고정부재(225)를 더 형성하고,
    상기 메시망(223)은,
    그 양단에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단을 감싸 커버하도록 절곡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필터고정부재(225)의 양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필터(2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필터고정부재(225)를 고정하는 절곡부(223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0210061850A 2021-05-13 2021-05-13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20220155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50A KR20220155458A (ko) 2021-05-13 2021-05-13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50A KR20220155458A (ko) 2021-05-13 2021-05-13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458A true KR20220155458A (ko) 2022-11-23

Family

ID=8423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50A KR20220155458A (ko) 2021-05-13 2021-05-13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54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84B1 (ko) 2019-11-20 2020-09-07 (주)바두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오염물질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84B1 (ko) 2019-11-20 2020-09-07 (주)바두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오염물질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695B1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125307B1 (ko)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20050063592A (ko) 공기청정기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200494084Y1 (ko)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10030818A (ko) 다중 습식집진기
RU23314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90062720A (ko) 적층된 다공판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49056B1 (ko)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KR20220155458A (ko) 차량 도장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1667235B1 (ko)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KR102174694B1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20180110738A (ko)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집진장치
CN208075143U (zh) 高效电子除尘空气净化器
KR20070000410U (ko) 활성탄 카본집진기
JP6147033B2 (ja) 光触媒を用いた汚染空気の浄化装置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CN211585818U (zh) 用于实验室的高效废气处理装置
KR101827984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0155244B1 (ko) 유해가스와 미세분진을 고효율로 제거하는 필터의 구조
KR102249881B1 (ko) 차량용 도장부스 집진기 카본 필터장치
KR20240081238A (ko) 광촉매 필터의 자가 재생이 가능한 공기 정화기
KR20050066354A (ko) 공기청정기
KR20200014105A (ko) 광산화를 통한 복합오염물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