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515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515A
KR20220154515A KR1020210062152A KR20210062152A KR20220154515A KR 20220154515 A KR20220154515 A KR 20220154515A KR 1020210062152 A KR1020210062152 A KR 1020210062152A KR 20210062152 A KR20210062152 A KR 20210062152A KR 20220154515 A KR20220154515 A KR 2022015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ick
generating material
generating device
atom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883B1 (ko
Inventor
이원경
이종섭
정헌준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6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조, 저장조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 및 심지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고, 진동함으로써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를 포함하는 무화 조립체 및 무화 조립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를 포함하고, 무화 조립체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이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 보다 더 길고, 심지는 제1 방향을 따라서 무화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되, 심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무화 조립체가 점도 하락 영역과 무화 영역을 포함하여 무화량을 증대시키고, 액적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을 대체하여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생성한 증기를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무화기로서 초음파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는 직접적으로 열을 발생하지 않고, 진동을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무화시키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기 전체에 균일하게 제공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하락하는 데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개시 후 일정 무화량을 공급받기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무화기의 진동에 의해 액적이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통로로 튀어 올라 사용자가 액적을 흡입할 경우,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이 저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장치의 작동 개시 후 단시간에 충분한 무화량을 제공하고, 무화량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액적이 튀어 오르더라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조, 저장조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 및 심지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고, 진동함으로써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를 포함하는 무화 조립체 및 무화 조립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를 포함하고, 무화 조립체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이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 보다 더 길고, 심지는 제1 방향을 따라서 무화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되, 심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이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무화 조립체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하락하는 점도 하락 영역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무화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사용 후 단시간 내로 풍부한 무화량을 제공하고 무화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적이 발생하여 튀어 오르더라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튀어 오른 액적을 심지로 되돌려보냄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튐 방지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용어들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해석할 때 단순히 용어의 명칭만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 무화기(220), 센서(12), 사용자 인터페이스(13), 메모리(14) 및 프로세서(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각 요소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는 무화기(220)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 즉, 센서(12), 사용자 인터페이스(13), 메모리(14) 및 프로세서(15)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니켈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배터리, 리튬-포스페이트 배터리,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11)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11)는 알카라인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화기(220)는 프로세서(15)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화기(220)는 배터리(11)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무화기(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무화기(220)는 카트리지에 위치하거나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무화기(22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22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무화기(220)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220)에서 전력의 공급이 필요한 부품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화기(220)는 카트리지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은 기체 중에 액체 및/또는 고체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부유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화기(22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화 및/또는 승화를 통하여 기체의 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무화기(220)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여 방출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20)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화기(220)는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히터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히터는 카트리지(3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0)는 후술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히터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2)에서 센싱된 결과는 프로세서(15)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프로세서(15)는 무화기(22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카트리지(또는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및 소리의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15)는 검출된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에 따라 퍼프 기간(puff period) 및 비 퍼프(non-puff)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사용자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센서는 스위치, 물리적 버튼, 터치 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가 발생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정전용량형 센서로부터 수신한 커패시턴스의 변화의 전후 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의 변화 전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프로세서(15)는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기울기,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움직이는 상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정지 상태, 퍼프를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 및 각 퍼프 동작들의 사이에서 퍼프 동작 시와는 다른 각도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기울어진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x축, y축 및 z축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3 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또는 거리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입술 근방으로 접근시킬 때, 이미지 센서는 입술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술로 판단될 경우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무화기(220)를 미리 동작시키거나, 히터를 예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예를 들어, 카트리지, 궐련 등)의 장착 또는 탈거를 감지할 수 있는 소모품 탈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소모품이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인덕턴스 센서이거나,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무화기(220)의 히터(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별도의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히터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인쇄회로기판(PCB),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2)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주변 환경의 압력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12)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사용자 인증 및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지문 센서, 눈동자의 홍채 무늬를 분석하는 홍채 인식 센서,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정맥 내 환원 헤모글로빈의 적외선의 흡수량을 감지하는 정맥 인식 센서, 눈, 코, 입 및 안면 윤곽 등의 특징점들을 2D 또는 3D 방식으로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및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센서(12)의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4)는 프로세서(15)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5)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22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기(2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220)가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화기(2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는 무화기(220)의 진동자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자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무화기(2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무화기(2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무화기(220)에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5)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를 충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30)와, 카트리지(30)를 지지하는 본체(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3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2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30)의 일부분이 본체(20)에 삽입되거나, 본체(20)의 일부분이 카트리지(30)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30)가 본체(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20)와 카트리지(30)는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억지 끼워 맞춤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본체(20)와 카트리지(3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카트리지(30)는 마우스피스(3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1)는 본체(20)와 결합되는 일부분과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31)는 카트리지(3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2)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저장조(100), 무화 조립체(200) 및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1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저장조(100)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저장조(10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저장조(10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 조립체(200)는 저장조(10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무화 조립체(200)는 저장조(10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210)와 심지(210)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심지(210)는 저장조(10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심지(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흡수하여 이송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210)는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셀룰로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심지(210)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심지(210)는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키기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화기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심지(210)는 저장조(10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무화기(220)로 전달할 수 있다. 무화기(220)는 심지(210)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심지(210)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무화기(220)는 배터리(11)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무화기(22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심지(210)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점도가 하락하면서 미세 입자화될 수 있고, 미세 입자화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공기가 혼합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일정 수준까지 하락하여 입자간 인력이 감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이다. 따라서 무화기에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무화기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에 의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무화기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으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무화기에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소자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지지체(2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221)는 무화기(220)를 지지하여 무화기(220)가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221)는 무화기(22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무화기(2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221)의 내측 면의 형상은 무화기(220)의 외곽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30)의 저장조(1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1) 및 저장조(100)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저장조(100)의 일부분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카트리지(3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 및 기류 통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는 저장조(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우스피스(31)의 배출공(32)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무화기(220)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마우스피스(31)의 배출공(3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류 통로(400)는 외부 공기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통로이다. 기류 통로(40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거나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혼합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통로(40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 및 기류 통로(400)의 형태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가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 통로(400)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중관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에서 에어로졸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기류 통로(400)의 구조는 상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통로는 본체(20)와 카트리지(30)가 결합할 때 본체(20)와 카트리지(30)의 사이에 형성되어 무화기(220)와 유체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본체(20)와 카트리지(3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화 조립체(2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화 조립체(200)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이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 보다 더 길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도 3에서 X축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도 3에서 Y축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무화기(220)는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하는 길쭉한 형상일 수 있다.
심지(210)와 무화기(220)는 길게 연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의 양측 단부(210e)는 심지(210)의 제1 방향의 양측 단부에 해당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장조(10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조(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심지(210)는 저장조(100)의 배출구(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심지의 양측 단부(210e)가 저장조(100)의 배출구(110)와 접촉함으로써 심지의 양측 단부(210e)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심지(210)는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송할 수 있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흡수되어 이송되므로, 무화기(220)는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부터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이송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심지(210)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하나에서부터 이송되면서 점도가 하락하여, 충분히 점도가 하락한 지점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는 무화 조립체(200)에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되,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폭이 무화 영역(201)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화 조립체(200)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는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폭이 무화 영역(201)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전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로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무화 조립체(200)는 무화 영역(201) 및 점도 하락 영역(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점도 하락 영역(20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조립체(20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점도가 하락하는 영역이고, 무화 영역(201)은 점도가 충분히 하락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로 무화되는 영역이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는 무화 조립체(200)의 점도 하락 영역(202)에 포함된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까지 점도 하락 영역(202)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무화 조립체(200)에서 점도 하락 영역(2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무화 영역(201)이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경우, 무화 영역(201)은 무화 조립체(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점도 하락 영역(202)은 무화 조립체(200)의 제1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무화 영역(201)까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점도 하락 영역(202)과 무화 영역(201)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여,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어느 하나에서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경우, 점도 하락 영역(202)은 에어로졸이 흡수되는 심지의 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까지 포함하고, 나머지 부분은 무화 영역(201)이 될 수 있다.
무화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무화 영역(201)과 점도 하락 영역(202)의 비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 무화기(220)의 성능, 사용 환경 등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점도가 높은 물질이 다량 함유된 경우 점도 하락 영역(202)의 비율이 비교적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 조립체(200)에 있어서 무화 영역(201)과 점도 하락 영역(202)의 제1 방향으로 폭의 비율은 4:6 내지 6:4 비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210)를 타고 점도 하락 영역(202)을 지나 무화 영역(201)으로 이송될 수 있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 흡수된 직후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입자간 인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상태이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점도가 하락될 것이 요구된다.
무화 조립체(20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점도 하락 영역(202)으로부터 무화 영역(2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심지(210)를 타고 이송되는 동안 무화기(22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이 인가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점도 하락 영역(202)을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입자간 인력이 약해지면서 점도가 점차 하락할 수 있다.
'무화기(22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이 인가된다'는 것은 무화기(220)가 빠르게 진동하여 발생하는 열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인가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현상과 무화기(220)의 진동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하락하고 미세 입자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심지(210)를 타고 점도 하락 영역(202)을 지나 무화 영역(201)에 도달하면 점도가 충분히 하락한 상태이므로, 무화 영역(201)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곧바로 무화기(220)에 의해 무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심지(210)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무화 영역(201)에서 본격적으로 에어로졸로 무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경우, 점도가 높은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무화기(220)가 열을 인가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하락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작동을 개시한 이후 충분한 무화량을 제공받기까지 일정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무화기(220)의 형상이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거리가 차이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단면이 정사각형이거나 원형일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하락시키는 데 필요한 영역이 부족하므로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무화량이 매우 적을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조립체(200)의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서 흡수되어 점도 하락 영역(202)을 지나면서 점도가 점차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무화 조립체(200)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형상이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1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부터 중심까지 이송되는 동안 본격적으로 무화되기 전에 충분히 점도가 하락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영역(201)에 도달하면 즉각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화기(220)의 전체 영역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균일하게 공급되어 무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무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사용자의 흡연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화기(220)는 외측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220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화기(220)는 외측 테두리에 둘 이상의 면이 만나는 선분인 모서리(220e)를 포함하는 다면체일 수 있고,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기(220)는 제1 방향의 폭이 제2 방향의 폭보다 더 긴 직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20)는 제1 방향의 폭이 약 10mm, 제2 방향의 폭이 약 5mm, 높이는 약 0.7mm인 직육면체일 수 있고, 공진 주파수가 3MHz일 수 있다. 도면에는 일 예시로서 무화기(220)가 직육면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무화기(22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무화기(220)의 제1 방향의 폭은 제2 방향의 폭의 약 1.5배 내지 약 2.5배일 수 있다. 무화기(220)의 제1 방향의 폭과 제2 방향의 폭이 차이가 없을 경우, 상술한 무화 영역(201)과 점도 하락 영역(202)이 구분되지 않으므로 무화량 증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무화기(220)의 제1 방향의 폭과 제2 방향의 폭이 너무 크게 차이가 있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크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화량 증대 효과를 가지면서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적당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도록 무화기(220)의 제1 방향의 폭은 제2 방향의 폭의 약 1.5배 내지 약 2.5배일 수 있다.
또한 무화기(220)는 무화기(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극(222) 및 제2 전극(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22)은 무화기(22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전극(223)은 무화기(220)의 일 측에 대향하는 무화기(220)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222)과 제2 전극(223)은 무화기(220)의 양 측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전극(222)과 제2 전극(223)의 배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22)은 무화기(220)의 일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고, 제2 전극(223)은 무화기(220)의 타 측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222)은 무화기(220)의 가장자리의 일부에만 배치되거나, 제2 전극(223)은 무화기(220)의 중앙에서 벗어난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심지(210)는 무화 영역(201)에 포함되는 제1 심지(211)와 점도 하락 영역(202)에 포함되는 제2 심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인 심지(210) 중에서 무화 영역(201)에 포함되는 부분은 제1 심지(211)이고, 점도 하락 영역(202)에 포함되는 부분은 제2 심지(212)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제2 심지(212)를 타고 제1 심지(211)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심지(211)의 밀도는 제2 심지(212)의 밀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심지(210)의 밀도가 작은 경우에는 부피 대비 심지(210)를 구성하는 재료의 무게가 작기 때문에 밀도가 큰 경우보다 공극률이 더 높을 수 있다.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상대적으로 높은 공극률을 가지는 제1 심지(211)를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배출 통로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심지(210)의 양측 단부(210e)를 포함하는 제2 심지(212)의 밀도가 제1 심지(211)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흡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심지(210)는 저장조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심지(212)에 흡수된 후 심지(210)의 공극들을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 심지(211)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심지(211)의 공극률이 제2 심지(212)의 공극률보다 높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영역(201)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심지(210)에 충분하게 흡수된 후 무화 영역(201)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배출 통로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불필요한 흡인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서 별도로 설명한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립체(200)에서 무화 영역(201)에 포함되는 제1 심지(211)의 두께(a)가 점도 하락 영역(202)에 포함되는 제2 심지(212)의 두께(b)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심지(21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함침량이 증가하므로, 두께의 차이에 의하여 모세관 현상이 더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심지의 양측 단부(210e) 중 적어도 하나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점도 하락 영역(202)을 지나 무화 영역(201)으로 이송될 때, 제1 심지(211)에 함침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양이 제2 심지(212)에 함침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무화 영역(201)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심지(211)의 두께(a)가 제2 심지(212)의 두께(b)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제1 심지(211)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다량 보유할 수 있으므로, 무화 영역(201)에서 지속적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의 양측 단부(210e)에 에어로졸 생성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제1 심지(211)가 다량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유하므로 일정량의 에어로졸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영역(201)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어 무화 영역(201)에 다량의 에어로졸이 흡수될 수 있도록 제1 심지(211)는 양측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그 두께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무화 조립체(200)로부터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로 튀어 오른 액적을 심지(210)로 돌려보내는 튐 방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적(droplet)'이란, 에어로졸과 구별되는 것으로, 무화되지 않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물질 또는 충분히 작은 입자로 쪼개지지 않아 에어로졸로 볼 수 없는 입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조립체(200)에 의해 무화되는 과정에서 일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미처 무화되지 못하고 액적 상태로 무화 조립체(200)에 존재할 수 있다. 생성된 액적은 무화기(22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 조립체(200)에서 이탈하여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액적을 흡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흡연감이 저하되고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튐 방지부(500)는 에어로졸은 통과시키고 액적은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흡연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내부에 튐 방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튐 방지부(500)는 무화 조립체(200)로부터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가 배치된 방향으로 튀어 오른 액적이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튐 방지부(500)는 액적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여 무화 조립체(200)로부터 튀어 오른 액적을 흡수하거나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상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액적이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통과할 때 장애물로 작용하여 액적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튐 방지부(500)는 무화 조립체(200)로부터 튀어 오른 액적을 심지(2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액적을 심지(210)로 돌려보낼 수 있다. 액적이 무화 조립체(200)로부터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향하여 튀어 오를 경우, 튐 방지부(500)에 접촉한 후 튐 방지부(50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심지(2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한 액적은 심지(210)에 재흡수되고, 다시 무화기(220)에 의하여 열이 인가됨으로써 무화될 수 있다. 미처 에어로졸로 변환되지 못한 액적을 다시 에어로졸로 변환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튐 방지부(500)는 제1 구조체(510) 및 제2 구조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체(510)는 무화 영역(201)을 향하며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무화 영역(20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2 구조체(520)는 점도 하락 영역(202)을 향하며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점도 하락 영역(20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무화 영역(201)에서 튀어 오른 액적은 제1 구조체(510)의 무화 조립체(200)를 향하는 면에 맞닿아 심지(210)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고,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튀어 오른 액적은 제2 구조체(520)의 무화 조립체(200)를 향하는 면에 맞닿아 심지(210)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
제1 구조체(510)와 제2 구조체(52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내측면에 지지 수단이 배치되고, 제1 구조체(510)와 제2 구조체(520)는 지지 수단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구조체(510)와 제2 구조체(52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가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구조체(520)의 위치는 제1 구조체(510)의 위치보다 무화 조립체(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의 하부에 무화 조립체(200)가 배치된 경우,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상에서 제1 구조체(510)는 제2 구조체(52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액적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튐 방지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튐 방지부(50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에어로졸(A)의 이동은 허용하고, 액적(D)의 이동은 제한할 수 있다. 액적(D)의 크기는 에어로졸(A)의 크기보다 큰 것을 고려하여, 튐 방지부(500)는 에어로졸(A)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무화 조립체(200)의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튀어 오른 액적(D)은 제2 구조체(520)에 의해 심지(210)로 되돌아올 수 있다.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점도가 충분히 하락하지 않은 상태이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되기 어려우므로,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생성된 액적(D)은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된 액적(D)보다 크기가 더 크고, 생성량이 더 많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튀어 오른 액적(D)의 이동 범위는 무화 영역(201)에서 튀어 오른 액적(D)의 이동 범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2 구조체(520)는 제1 구조체(510)보다 상대적으로 무화 조립체(20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액적(D)을 심지(210)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심지(210)로 되돌아간 액적(D)은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다시 심지(210)를 타고 무화 영역(2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무화 조립체(200)의 무화 영역(201)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하락한 상태이므로, 무화 영역(201)에서 생성된 액적(D)은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생성된 액적(D)보다 크기가 더 작고, 생성량이 더 적을 수 있다. 그러므로 무화 영역(201)에서 튀어 오른 액적(D)의 이동 범위는 점도 하락 영역(202)에서 튀어 오른 액적(D)의 이동 범위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구조체(510)는 제2 구조체(520)보다 상대적으로 무화 조립체(200)에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에어로졸 배출 통로(300)를 통과하는 액적(D)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튐 방지부(500)는 무화 조립체(200)를 향하는 일 면의 적어도 일부가 만곡된(curved) 형상인 만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적(D)이 튐 방지부(500)의 만곡면에 접촉한 후 만곡면을 따라 심지(21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튐 방지부(500)의 측면에서 볼 때, 튐 방지부(500)는 미리 지정된 곡률(curvature)을 갖는 아치 형상일 수 있으나, 튐 방지부(500)의 만곡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지정된 곡률'은 액적(D)이 튐 방지부(500)의 만곡면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액적(D)이 튐 방지부(500)의 만곡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튐 방지부(500)의 만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심지(210)는 무화기(2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므로, 무화기(220)의 진동면에 심지(210)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액적(D)이 튐 방지부(500)에 의해 무화 조립체(200)로 되돌아 갈 경우, 액적(D)에 의해 무화기(22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튐 방지부(500)의 일 면의 적어도 일부가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액적(D)이 무화기(220)가 아니라 심지(210)로 되돌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무화기(22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0: 저장조
200: 무화 조립체
201: 무화 영역
202: 점도 하락 영역
210: 심지
211: 제1 심지
212: 제2 심지
220: 무화기
220: 모서리
300: 에어로졸 배출 통로
400: 기류 통로
500: 튐 방지부
510: 제1 구조체
520: 제2 구조체

Claims (12)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 및 상기 심지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고, 상기 심지에 흡수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를 포함하는 무화 조립체; 및
    상기 무화 조립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화 조립체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이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 보다 더 길고,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무화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되, 상기 심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이송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조립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 영역;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하락시키는 점도 하락 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하락 영역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상기 심지의 상기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무화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심지의 밀도가 상기 점도 하락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심지 부분의 밀도보다 더 작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심지의 두께가 상기 점도 하락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심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배출 통로는 상기 무화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배출 통로의 폭이 상기 무화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의 1.5 배 내지 2.5배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외측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배출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로졸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무화 조립체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배출 통로를 향해 튀어 오른 액적(droplet)을 상기 심지로 돌려보내는 튐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튐 방지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상기 무화 조립체의 무화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구조체;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하락시키는 상기 무화 조립체의 점도 하락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에어로졸 배출 통로가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2 구조체가 상기 제1 구조체보다 상기 무화 조립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튐 방지부는 상기 무화 조립체를 향하는 일 면의 적어도 일부에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액적은 상기 만곡면을 따라서 상기 무화 조립체로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10062152A 2021-05-13 2021-05-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52A KR102634883B1 (ko) 2021-05-13 2021-05-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52A KR102634883B1 (ko) 2021-05-13 2021-05-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15A true KR20220154515A (ko) 2022-11-22
KR102634883B1 KR102634883B1 (ko) 2024-02-07

Family

ID=8423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152A KR102634883B1 (ko) 2021-05-13 2021-05-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043434U (zh) * 2016-08-18 2017-03-2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雾化器及其电子烟
KR20180001840A (ko) * 2016-06-28 2018-01-05 신종수 전자담배
CN208863587U (zh) * 2018-08-13 2019-05-1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烟
CN210114046U (zh) * 2019-04-29 2020-02-28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棉及雾化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40A (ko) * 2016-06-28 2018-01-05 신종수 전자담배
CN206043434U (zh) * 2016-08-18 2017-03-2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雾化器及其电子烟
CN208863587U (zh) * 2018-08-13 2019-05-1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烟
CN210114046U (zh) * 2019-04-29 2020-02-28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棉及雾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883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301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007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007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21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8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10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59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4980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057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6334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48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5811946A (zh) 烟弹和包括该烟弹的气溶胶生成装置
KR2022006466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6915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3B1 (ko) 진동자 밀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시스템
KR102544202B1 (ko) 진동자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0330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무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627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1916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817539C2 (ru)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картридж
US20230081109A1 (en) Atomization assembly,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83906B1 (ko) 광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
KR10259296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083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