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368A - Wearable air cleaner - Google Patents

Wearable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368A
KR20220154368A KR1020210061800A KR20210061800A KR20220154368A KR 20220154368 A KR20220154368 A KR 20220154368A KR 1020210061800 A KR1020210061800 A KR 1020210061800A KR 20210061800 A KR20210061800 A KR 20210061800A KR 20220154368 A KR20220154368 A KR 2022015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sk
wearable
neck ban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8696B1 (en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섭 filed Critical 김준섭
Priority to KR102021006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96B1/en
Publication of KR2022015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68A/en
Priority to KR1020220173816A priority patent/KR20230002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s disclosed. The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comprise: a mask member which has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and a neck band member which has an air inlet path for air transport formed therein, has both end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a mask, injects filtered air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the both ends, and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both ends.

Description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Wearable air cleaner}Wearable air cleaner {Wear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코로나로 인해, 전국민은 마스크 없이 일상 생활이 불가능해졌다. 어느 공간에 있던 일상 생활에서 마스크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으며, 특히 외부에서 타인과 접촉하는 경우 마스크는 자신과 타인의 건강을 지켜주는 필수품이 되었다. Due to Corona, the whole country has become impossible to live without a mask. Masks have become a necessity in daily life in any space, and especially when in contact with others from the outside, masks have become a necessity to protect one's own health and the health of others.

이러한, 마스크는 개당 가격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휴대하여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장기 착용시 습기가 차게 되어 불쾌감을 느끼고 호흡이 곤란해지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얼굴의 절반이 마스크로 가려지게 되어 대인관계시 상대방의 인식과 의사소통면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 한번 사용한 마스크를 버림으로써 사회적 비용이 증가되고 폐기물처리시 환경오염과 같은 심각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While these mask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per piece and easy to carry and wear, they become damp when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causing discomfort such as discomfort and difficulty breathing. It can cause problems in the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other person du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social costs are increased by throwing away masks that have been used once, and seri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may occur during waste disposal.

본 발명은 항상 쾌적하고 안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air purifier capable of always providing comfortable and safe air.

또한, 본 발명은 숨겨진 얼굴을 노출하여 대인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의 마스크와 목에 걸 수 있어 마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that can replace a mask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worn around the neck to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exposing a hidden fa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마스크 부재; 및 내부에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마스크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와 각각 결합되되,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필터링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양단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넥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member having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both ends; And an air inlet path for air transport is formed therein,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connection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and filtered air is injected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the both ends, and the other one of the both ends is formed.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 neckband member discharging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상기 연결부는 내층과 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에는 배기와 흡기를 위한 배기/흡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층에는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and exhaust/intake holes for exhaust and intake may be formed in the inner layer, and connection holes into which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outer layer.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neck band member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은 각각 원터치 커플링 결합되되, 하네스코드 방식으로 암수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Connec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and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one-touch coupling, and male and female connections may be coupled in a harness cord method.

상기 연결부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는 상기 공기에서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위치될 수 있다.A filter for filtering harmful substances from the ai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넥 밴드 부재는, 외부 공기를 상기 넥 밴드 부재 내부로 흡기하는 흡기 부재; 및 상기 넥 밴드 부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 부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넥 밴드 부재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마스크 내부의 공기는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상기 넥 밴드 부재에 형성된 제2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기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neck band member may include: an air intake member that sucks outside air into the neck band member; and an exhaust member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neck band memb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member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through a first air inlet formed in the neck band member, and the air enters the mask. The mask is introduced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and the air inside the mask is blown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formed on the neckband member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ng part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It can be moved in two direction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member.

상기 마스크 내측에서 착용자의 호흡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량에 따라 상기 흡기 부재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nsor for detecting a wearer's respiratory rate inside the mas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driving speed of the inhalation member according to a respiratory volume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마스크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는 공기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차단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는 들숨 공기를 차단하며, 다른 하나는 날숨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Connec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to prevent backflow of air, and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may block inhaled air and the other may block exhaled ai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일단이 상기 마스크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내부에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타단과 각각 결합되되,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필터링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양단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넥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having one end coupled to either end of the mask; And an air inlet path for air transport is formed therein,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respectively, injecting the filtered air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the both ends, and the other of the both ends.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 neckband member discharging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상기 연결부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A filter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에는 사이즈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바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바와 결합될 수 있다.Sliding bars for size adjustment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bars.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마스크 내부의 공기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차단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for preventing backflow of air inside the mask may be mount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안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By provid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provide pleasant and safe air.

또한, 본 발명은 숨겨진 얼굴을 노출하여 대인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의 마스크와 목에 걸 수 있어 마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lace the mask because it can be hung on the neck and a mask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to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exposing the hidden 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착용한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내층에 형성된 배기/흡기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일부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일부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후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worn;
3 is a view showing a rear side wear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haust/intake hole formed in an inner layer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neck band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artial upper surface of a neck band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partial lower surface of a neck band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liding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rear view of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착용한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내층에 형성된 배기/흡기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일부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 부재의 일부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wearabl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view showing a rear side wear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exampl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nner layer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a neckband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neck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view showing a partial upper surface of a member,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partial lower surface of a neckband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100)는 마스크 부재(110)와 넥 밴드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member 110 and a neck band member 120.

마스크 부재(110)는 외부에 얼굴이 노출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부재(110)의 내부에는 열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은 레이저 필라멘트 성장 소결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크 부재(110)는 기온 변화에 따른 마스크 내부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sk member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a f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hot wire may be formed inside the mask member 110 . Here, the hot wire may be formed through laser filament growth and sintering. Through this, the mask member 110 can prevent the inside of the mask from fogging due to temperature changes.

마스크 부재(110)는 안면 보호부(111), 제1 밀착부(112) 및 제2 밀착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안면 보호부는 안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안면 보호부 내측에 열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착부 및 제2 밀착부는 각각 코와 턱을 밀착하도록 형성되며, 재질은 안면 보호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잇다.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는 코와 턱을 밀착할 수 있도록 안면 보호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ask member 110 may include a face protection part 111 , a first contact part 112 and a second contact part 113 . The face shield is form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face, and a heat wire may be formed inside the face shield.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are 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nose and chin, respectively,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ace protection part.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face protection part so as to bring the nose and chin into close contact.

안면 보호부와 제1 밀착부 및 제2 밀착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는 안면 보호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는 코부위와 턱 부위의 일착을 위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 보호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안면 보호부, 제1 밀착부 및 제2 밀착부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ace protection part,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ace protection part or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first close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part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for attaching the nose and chin parts, and the face protection part may be formed of a polycarbonate material.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face protection part,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마스크 부재(110)의 양단에는 연결부(410)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410)는 넥 밴드 부재(120)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Connection parts 41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10 , respectively. This connecting portion 41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neck band member 12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escrip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각각의 일면에는 연결홀(4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hole 420 may be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도 4는 연결부(410)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연결부(41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unit 410, FIG. 5 is a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410, and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 내층(410b)과 외층(41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층(410b)은 착용자의 신체 일부가 맞닿는 부부이며, 외층(410a)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each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of the inner layer 410b and the outer layer 410a, respectively. The inner layer 410b is a part of the wearer's body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er layer 410a may be a par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내층(410b)과 외층(410a) 사이에는 필터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filt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ayer 410b and the outer layer 410a.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층(410b)과 외층(410a) 사이에 필터가 위치되며, 내층(410b)과 필터 사이에 마스크의 일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filt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ayer 410b and the outer layer 410a, and a portion of the mask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ayer 410b and the filter.

따라서, 외층(410a)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통해 넥 밴드 부재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외층(410a)에 인접하여 위치된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후 내층(410b)에 형성된 흡기구(710)를 통해 공기가 마스크 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Therefore, when outside air is introduced from the neckband member through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outer layer 410a, it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layer 410a, and then the intake port 710 formed in the inner layer 410b Through this,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sk member 110 .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결부(410)의 내층(410b)에는 복수의 흡기공(7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흡기공(710)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흡기공(710)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폴리곤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intake holes 710 may be formed in the inner layer 410b of the connecting portion 410 . In FIG. 7 , it is assumed that the shape of the intake hole 710 is a rectangle, but the shape of the intake hole 710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이로 인해, 마스크 부재(110)와 내층(410b) 사이에 형성된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연결부(410)의 내층(410b)에 형성된 흡기공(710)을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Due to this,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ormed between the mask member 110 and the inner layer 410b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sk through the air intake hole 710 formed in the inner layer 410b of the connecting portion 41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일면에는 연결홀(420)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홀(420)은 외층(410a)에만 형성되며, 내층(410b)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a connection hole 4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s shown in FIG. 6 ,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connection hole 420 may be formed only in the outer layer 410a and may not be formed in the inner layer 410b.

연결홀(420)은 넥 밴드 부재(12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다. 연결홀(420)을 통해 넥 밴드 부재(120)의 일부가 삽입된 후 내부에 형성된 원터치 커플링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410)와 넥 밴드 부재(120)는 하네스코드 방식으로 암수 연결을 결합될 통해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hole 420 is a configuration for inserting a part of the neck band member 120 . After a portion of the neckband member 120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20, it may be fixedly coupled through a one-touch coupling formed therein.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410 and the neck band member 120 may be coupled through a male and female connection in a harness cord method.

넥 밴드 부재(120)는 착용자의 목에 걸쳐지며, 양단에 결합된 마스크 부재(110)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neckband member 120 may be worn around the wearer's neck,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mask member 110 coupled to both ends, and discharge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따라서, 넥 밴드 부재(120)는 내부에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넥 밴드 부재(120)는 내부의 공기 유입로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흡기 부재(810)와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공기 유입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부재(820)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n air introduction path for air transport may be formed inside the neck band member 120 . In addition, the neckband member 120 is formed with an intake member 810 for injecting external air into the air inlet and an exhaust member 820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can

도 8에는 넥 밴드 부재(120)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넥 밴드 부재(120)는 흡기 부재(810)와 배기 부재(820)를 포함한다. 8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the neck band member 120 . Referring to FIG. 8 , the neck band member 120 includes an intake member 810 and an exhaust member 820 .

흡기 부재(810)와 배기 부재(820)는 넥 밴드 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intake member 810 and the exhaust member 82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ir inflow paths formed inside the neckband member 120 .

흡기 부재(810)는 외부 공기를 넥 밴드 부재로 흡기한 후 이를 넥 밴드 부재(120)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를 통해 공기를 이송하여 마스크 부재(110)로 주입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intake member 810 is a means for injecting external air into the mask member 110 by transferring the air through an air introduction path formed inside the neck band member 120 after intake of external air into the neck band memb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기 부재(810)에 의해 흡기된 공기는 넥 밴드 부재(120) 내부로 유입되되, 유입된 공기는 넥 밴드 부재(120)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마스크 부재(110)와 결합된 연결부(410)로 이동되어 필터링된 후 마스크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taken in by the intake member 810 is introduced into the neckband member 120, and the introduced ai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air introduction path formed in the neckband member 120. After being moved to the connection part 410 combined with the mask member 110 and filtered, it can be injected into the mask.

흡기 부재(810)는 흡기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take member 810 may be configured as an intake fan.

배기 부재(820)는 배기 팬일 수 있으며,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넥 밴드 부재(120)를 통해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exhaust member 820 may be an exhaust fan, and is a means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mask through the neck band member 120 to the outsid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기 부재(820)가 구동되는 경우, 마스크 내부의 공기가 마스크 부재(110)의 연결부(410)를 통해 넥 밴드 부재(120)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기 부재(8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exhaust member 820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mask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410 of the mask member 110 to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an air inlet formed inside the neckband member 120. It may be mov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member 820 .

공기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흡기 부재(81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내부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넥 밴드 부재(120)의 일단을 통해 마스크 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410)를 통해 이동된 후 연결부(410) 내부에 형성된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후 연결부(410) 내측면에 형성된 흡기/배기공(710)을 통해 마스크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movement of air, the air introduced by the intake member 81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internal air introduction path, and one end of the mask member 110 through one end of the neckband member 120. After mov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410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410, it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410, and then moves into the inside of the mask through the intake/exhaust hole 7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410.

또한, 마스크 내부의 공기는 넥 밴드 부재(120)의 타단을 통해 마스크 부재(11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부(4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흡기/배기공(710)을 통해 유입된 후 연결부(410) 내부에 위치한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후 이동되어 넥 밴드 부재(120)의 타단을 통해 내부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후 배기 부재(820)에 의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side the mask is introduc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neck band member 120 through the intake/exhaust hole 7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410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ask member 110, and then the connection part 410. ) After being filtered through a filter located inside, it is mov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neck band member 120 and moved in a second direction through an internal air inflow path, and then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member 820.

흡기 부재(810)와 배기 부재(820)는 컨트롤러(830)에 의해 구동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 밴드 부재(120)에는 속도 조절을 위한 입력 버튼(84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840)이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830)는 입력 버튼(840)의 조작에 상응하여 흡기 부재(810)와 배기 부재(82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830)는 마스크 부재(110)에 형성된 센서(미도시)를 통해 호흡량을 검출한 후 검출된 호흡량에 따라 흡기 부재(810)와 배기 부재(82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Driving speeds of the intake member 810 and the exhaust member 8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830 . Also, as shown in FIG. 9 , the neck band member 120 may include an input button 840 for adjusting speed. When the input button 840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830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s of the intake member 810 and the exhaust member 820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button 840 .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830 detects the respiratory volume through a sensor (not shown) formed on the mask member 110 and then controls the driving speed of the intake member 810 and the exhaust member 820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piratory volume. You may.

또한, 넥 밴드 부재(120)는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넥 밴드 부재(120)는 전원 버튼(840)이 눌려짐에 따라 전기가 흡기 부재(810), 배기 부재(820)로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neckband member 12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ource member including a battery. Accordingly, the neckband member 120 may be driven by applying electricity to the intake member 810 and the exhaust member 820 when the power button 840 is pressed.

전원 버튼과 속도 조절을 위한 입력 버튼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버튼이 눌려진 횟수에 따라 전원 온(On), 미풍, 약풍, 강풍, 전원 오프(Off)가 토글되도록 컨트롤러(830)가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button and the input button for speed control may be configured as one butt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830 may control power on, light wind, weak wind, strong wind, and power off to togg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liding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 sliding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 blocking member.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1100)는 마스크 부재(1110), 복수의 연결부재(1120) 및 넥 밴드 부재(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1 ,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member 1110,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120, and a neck band member 1130.

마스크 부재(1110)와 넥 밴드 부재(1130)는 복수의 연결부재(11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mask member 1110 and the neck band member 1130 may be coupl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

마스크 부재(1110)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일단에 결합되고,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1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respectively.

마스크 부재(1110)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일단에 각각 슬라이딩된 후 원터치 커플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마스크 부재(1110)의 양단에 각각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일단이 각각 슬라이딩된 후 원터치 커플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110 may be sli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and then coupled in a one-touch coupling method. For another example,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may be slid on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110 and then coupled in a one-touch coupling method.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은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에는 사이즈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바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는 넥 밴드 부재(113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마스크 부재(1110)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12 참조).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120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respectively. Sliding bar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to adjust the size. The sliding bar may allow the size of the mask member 1110 to be adjusted by moving the neck band member 1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 1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바가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에 슬라이딩바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liding bar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and the description is centered on this, but the sliding bar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은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바의 일면에 원터치 커플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120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sliding bar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in a one-touch coupling method.

또한,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에는 차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차단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부재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필터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는 들숨시 외기 흡입은 차단하고 날숨시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도 13의 (a)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부재(1120)는 마스크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11과 같이 연결부재(1120)의 슬라이딩바에 결합될 수도 있다. 넥 밴드 부재(1130)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이한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blocking member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 13 shows a blocking member. As shown in (b) of FIG. 13, a filt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blocking member.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as shown in (a) of FIG. 13 to block external air intake during inhalation and discharge internal air during exhalation. The blocking member 1120 may be coupled to a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mask member, or may be coupled to a sliding bar of the connecting member 1120 as shown in FIG. 11 .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넥 밴드 부재(1130)는 연결부재(1120)에 연결되는 방식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은 복수의 연결부재(1120)의 타단과 각각 결합되되, 슬라이딩바(1140)가 넥 밴드 부재(113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바의 이동에 따라 마스크 부재(1110)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도 있다. The neckband member 1130 differs only in how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120, and all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20, respectively, and the sliding bar 1140 may be coupled by being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130, respectively, and movement of the sliding bar The size of the mask member 1110 may be adjusted accordingly.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의 후면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view of the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넥 밴드 부재(1420)의 양종단에는 마스크 연결부(14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연결부(1430)는 넥 밴드 부재(14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4 to 16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sk connection parts 14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1420, respectively. The mask connecting portion 1430 may be connected to an air inlet formed inside the neck band member 1420 .

또한, 마스크 부재(1410)의 양단에는 넥 밴드 부재(1420)의 마스크 연결부(14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 부재(1410)의 양종단에는 넥 밴드 부재(1420)의 마스크 연결부(14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결합홈에 마스크 연결부(14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sk connecting portion 1430 of the neck band member 14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410 . Coupling grooves for coupling with the mask connecting portion 1430 of the neck band member 14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1410, and the mask connecting portion 143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grooves.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by it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110: 마스크 부재
120: 넥 밴드 부재
100: wearable air purifier
110: mask member
120: neck band member

Claims (12)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마스크 부재; 및
내부에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마스크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와 각각 결합되되,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필터링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양단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넥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 mask member having connection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n air inlet path for air transport is formed inside,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connection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and the filtered air is injected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the both ends, an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both ends.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 neckband member discharging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층과 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에는 배기와 흡기를 위한 배기/흡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층에는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is composed of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Exhaust/intake holes for exhaust and intake are formed in the inner layer,
Wearab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ayer is formed with connection holes into which both ends of the neckband member are insert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neck band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은 각각 원터치 커플링 결합되되, 하네스코드 방식으로 암수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and both ends of the neckband member are coupled by one-touch coupling, respectively, and male and female are connected in a harness cord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는 상기 공기에서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for filter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넥 밴드 부재는,
외부 공기를 상기 넥 밴드 부재 내부로 흡기하는 흡기 부재; 및
상기 넥 밴드 부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 부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넥 밴드 부재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마스크 내부의 공기는 상기 마스크 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상기 넥 밴드 부재에 형성된 제2 공기 유입로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기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eck band member,
an intake member for intake of external air into the neckband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member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neck band member to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member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through a first air introduction path formed in the neck band member and introduced into the mask through one of connection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The air inside the mask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through a second air inlet formed in the neckband member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on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memb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member. A wearable air purifier that do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내측에서 착용자의 호흡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량에 따라 상기 흡기 부재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for detecting a wearer's respiratory rate inside the mask; and
The wearabl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that adjusts a driving speed of the intake member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rate detected by the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는 공기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차단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는 들숨 공기를 차단하며, 다른 하나는 날숨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sk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that prevent air from flowing backward,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blocks the inhaled air, and the other blocks the exhaled air.
마스크;
일단이 상기 마스크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내부에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타단과 각각 결합되되,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필터링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양단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넥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mask;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having one end coupled to either end of the mask; and
An air inlet path for air transport is formed inside,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respectively, and filtered air is injected into the mask through either one of the both ends, an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both ends. A wearabl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 neckband member discharging air inside the mask to the outsid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wearab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equipped with a filt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넥 밴드 부재의 양단에는 사이즈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바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바를 통해 상기 넥 밴드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Sliding bars for size adjustment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neck band member,
The wearab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coupled to the neck band member through the sliding ba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마스크 내부의 공기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공기 청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wearab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for preventing air from flowing backward inside the mask are mount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KR1020210061800A 2021-05-13 2021-05-13 Wearable air cleaner KR102478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00A KR102478696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air cleaner
KR1020220173816A KR20230002179A (en) 2021-05-13 2022-12-13 Wearabl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00A KR102478696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air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16A Division KR20230002179A (en) 2021-05-13 2022-12-13 Wearable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68A true KR20220154368A (en) 2022-11-22
KR102478696B1 KR102478696B1 (en) 2022-12-16

Family

ID=842361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00A KR102478696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air cleaner
KR1020220173816A KR20230002179A (en) 2021-05-13 2022-12-13 Wearable air clea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16A KR20230002179A (en) 2021-05-13 2022-12-13 Wearable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6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662A (en) * 1989-05-08 1990-08-28 Townsend Jr Andrew L Air circulating surgical mask unit
KR20170132188A (en)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Breathing mask,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662A (en) * 1989-05-08 1990-08-28 Townsend Jr Andrew L Air circulating surgical mask unit
KR20170132188A (en)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Breathing mask,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696B1 (en) 2022-12-16
KR20230002179A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4126A2 (en) Glasses for breathing purified air
KR101905431B1 (en) Air purification mask system.
RU2301094C2 (en) Gas-mask
KR102273343B1 (en) Mask that guides the air exhausted by exhal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KR20070117880A (en) Mask
CN111227383A (en) Transparent mask
KR102478696B1 (en) Wearable air cleaner
KR102425539B1 (en) Mask with forced air supply and method for circulating air for breathing using the same
CN101558912A (en) Dustproof respirator
KR102359502B1 (en) Mask with forced intake and exhaust function
CN212756869U (en) Portable malleation protector
CN212756873U (en) Integral type malleation protector
KR20200094523A (en) Neckpiece type air purifying apparatus
KR20210100278A (en) Portable dustproof device
KR101926707B1 (en) Nose mask
JP2021168898A (en) mask
KR102650159B1 (en) Ventilating face shield apparatus including active ventilation device
KR102528269B1 (en) Mask for portable air sterilization
CN212214408U (en) Nano silica gel antibacterial eye-protecting mask
KR102620375B1 (en) Mask with eye protection film
CN220327808U (en) Novel split type intelligent respiratory mask
CN219307787U (en) Wearing type air filtering mask
CN213407526U (en) Anti-virus head cover
JP7407080B2 (en) Splash blocking device
CN212854380U (en) Prevent infectious disease's protective facial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