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330A -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330A
KR20220154330A KR1020210061713A KR20210061713A KR20220154330A KR 20220154330 A KR20220154330 A KR 20220154330A KR 1020210061713 A KR1020210061713 A KR 1020210061713A KR 20210061713 A KR20210061713 A KR 20210061713A KR 20220154330 A KR20220154330 A KR 20220154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discrete signal
message
discre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315B1 (ko
Inventor
김태완
배준현
나기준
심재민
남형석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3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탄 발사 통제를 위한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FPGA 하드웨어 로직으로 직접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제어할 수 있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된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하고, 발사 절차 명령 수행을 위한 순차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 유도탄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RS-422 SDLC 통신으로 자동 전송하는 통신용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제어장치;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에 기반한 제어신호를 유도탄과 릴레이 회로카드로 자동 출력하는 통신용 회로카드; 및 통신용 회로카드에서 출력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에 기반하여 유도탄의 동작전원 및 다수의 점화신호를 공급하는 릴레이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연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GUIDED MISSILE LAUNCH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탄 발사 통제를 위한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FPGA 하드웨어 로직으로 직접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위한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유도탄은 발사관에 장입되며 장입된 유도탄은 발사대에 장착된다.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의 발사 전에 유도탄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 발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유도탄의 발사 전에 유도탄의 상태를 점검하고 발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도탄 연동장치를 통해서 유도탄에 전력을 공급하고 유도탄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유도탄 연동장치는 유도탄이 발사관 내에서 발사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탄과 접속되어, 전력 및 필요한 신호를 전송 및 교환하며, 유도탄이 발사관 내에서 발사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종래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운용자가 유도탄 발사를 제어하는 운용자 패널 또는 통신장비, 이더넷을 통해서 운용자 패널 또는 통신장비로부터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하고,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제어하는 유도탄 제어장치, 유도탄과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처리하는 유도탄 연동장치, 유도탄으로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 생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유도탄 전원공급기, 다수의 유도탄 또는 유도 로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타 장비로 항법장치 및 발사대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운용자가 운용자 패널 또는 통신장비를 통해서 유도탄의 발사 절차 명령을 송신하면, 관련 명령은 이더넷 통신을 통하여 유도탄 제어장치에 수신된다.
유도탄 제어장치는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서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 유도탄과의 다수의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다수의 점화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렬통신용 회로카드를 통해서 유도탄 연동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이산신호 처리용 회로카드의 이산신호 제어를 통하여 유도탄 연동장치로 명령을 송신하고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상태신호를 수신한다.
유도탄 연동장치는 직렬통신용 회로카드를 이용하여 유도탄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유도탄 연동장치 내, 프로세서는 유도탄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관장하고,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제공한 명령을 수신하고 유도탄 제어장치에 상태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유도탄 연동장치 내, 프로세서는 이산신호 처리용 회로카드와 전원/점화 전원 제어 릴레이 회로카드를 제어하여 유도탄과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된 결과와 유도탄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 입력 상태신호는 직렬통신용 회로카드를 통하여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도탄 연동장치와 유도탄 전원공급기는 유도탄과의 전기적 규격 충족을 위하여 발사대의 유도탄 근처에 장착된다. 반면에 유도탄 제어장치는 운용자가 장비를 운용하는 곳 또는 통신장비가 위치하는 장비함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유로 유도탄 연동장치와 유도탄 제어장치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상의 이격 거리가 발생된다.
한편, 종래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 제어장치가 발사 절차에 따라 유도탄과의 이산신호 입출력 처리, 동작전원 공급 및 점화 신호 제어를 위한 실시간성 확보를 위하여 상당한 노력과 시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것은 신호 제어 및 상태 확인 절차가 유도탄 연동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되므로 일정 거리 이상의 이격 거리가 발생되는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실시간성 확보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험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 연동장치가 유도탄 근처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 위험 환경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이유로 유도탄 연동장치의 내환경성 충족을 위하여 기구적 설계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외부 온도 및 기타 외부 위험 환경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민감한 특성을 갖는 프로세서의 경우, 안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장치 등의 추가 구성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종래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 제어장치와 유도탄 연동장치 사이의 이산신호 증가로 인하여 통신 케이블이 대량으로 증가하고, 배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예로 유도탄 1발 제어를 위해서는 대략적으로 80개 이상의 신호선을 필요로 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유도탄의 숫자에 비례하여 실제 연결되는 신호선은 수백개에 이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탄 발사 통제를 위한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FPGA 하드웨어 로직으로 직접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위한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된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하고, 발사 절차 명령 수행을 위한 순차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 유도탄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RS-422 SDLC 통신으로 자동 전송하는 통신용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제어장치;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에 기반한 제어신호를 유도탄과 릴레이 회로카드로 자동 출력하는 통신용 회로카드; 및 통신용 회로카드에서 출력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에 기반하여 유도탄의 동작전원 및 다수의 점화신호를 공급하는 릴레이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연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통신용 회로카드는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RS-422 SDLC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제어장치의 통신용 회로카드는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프로세서에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고, 발사 절차 수행을 위한 제어값을 저장하여 이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연동장치로 송신하고,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SDLC 통신 신호로부터 수신된 상태값을 저장하여 프로세서가 시스템버스를 통하여 읽어갈 수 있도록 하는 FPGA;프로세서와 FPGA 사이의 전기적 신호 변환을 위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FPGA와 외부 장치 사이의 RS-422 신호 변환을 위한 RS-422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연동장치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고,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수신된 SDLC 통신 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값에 기반하여 유도탄과 릴레이 회로카드 제어를 수행하고,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FPGA; FPGA와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 사이의 전기적 신호 변환을 위한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 FPGA와 외부 장치 사이의 RS-422 신호 변환을 위한 RS-422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회로카드는,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기반해서 유도탄 전원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유도탄 동작전원 및 점화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제어장치 내 FPGA는, 시스템 버스에 연결되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 프로세서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을 통하여 접근하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N 값 중에서 변경된 출력 데이터가 발생시, 자동으로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전달한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SDLC 통신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DLC 통신 제어 로직은,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은 SDLC 통신 제어 로직에 변화가 발생된 데이터를 읽고, 해당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DLC 통신 제어 로직은 FIFO를 내장하고,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SDLC 메시지가 있을 때, FIFO 엠프티 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FPGA는,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으로부터 전달받아서 FIFO에 저장된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SDLC 통신 제어 로직;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와,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사이에 연결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N 값 중에서 변경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시, 자동으로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SDLC 통신 제어로직으로 출력하는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은 SDLC 통신 제어 로직에 내장된 FIFO로부터 메시지를 읽고,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인 경우,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따라서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 N 중에서 한 개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는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이산신호를 32비트 레지스터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는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 출력되는 다수의 이산신호 출력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유도탄 제어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이산신호 출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유도탄 제어장치 내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출력값을 변경 설정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자동으로 출력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전송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변경된 이산신호를 출력한 후,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산신호 출력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전송 후, 설정시간 이내에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유도탄 연동장치의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변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 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을 변경 출력한 후,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송신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이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입력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전송 후, 설정시간 이내에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설정된 출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이면, 해당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에 출력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정상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유도탄 연동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 이면, 해당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 설정값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에 대해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의 상태 입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감시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 송신 후,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 일 때,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출력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가 정상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메시지를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일 때, 해당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을 분석하여, 해당 어드레스 값의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초기화 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 설정값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에 대해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는 유도탄 제어장치의 프로세서에서 FPGA 하드웨어 로직으로 직접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위한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도탄 연동장치에 프로세서와 같은 회로카드를 장착하지 않게 되어, 장비의 내 환경성이 우수해지고, 전체 장비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탄 제어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유도탄까지 신호 제어가 하드웨어 로직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일정한 응답 반응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된 장비와의 사이에서 이산신호의 제어 및 데이터 설정 및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장비들 간에서 매우 적절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유도탄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유도탄 연동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내 FPGA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연동장치 내 FPGA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 간의 정상적인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 간의 비정상적인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연동장치의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32121)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도탄 제어장치와 유도탄 연동장치 간의 이산신호 출력 제어를 시뮬레이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단말"과 "노드"와 "디지털 무전기"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운용자가 유도탄 발사를 제어하는 운용자 패널 또는 통신장비(350 : 이하 '통신장비'라고 명명함), 이더넷을 통해서 통신장비(350)로부터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하고,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제어하는 유도탄 및 유도 로켓 제어장치(310 ; 이하 '유도탄 제어장치'라고 명명함), 유도탄 및 유도 로켓과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처리하는 유도탄 및 유도 로켓 연동장치(320 ; 이하 '유도탄 연동장치'라고 명명함), 유도탄 또는 유도 로켓으로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 생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유도탄 전원공급기(330), 다수의 유도탄 또는 유도 로켓(이하 '유도탄'으로 명명함, 34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타 장비로 항법장치 및 발사대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운용자가 통신장비(350)를 통해서 유도탄의 발사 절차 명령을 송신하면, 관련 명령은 이더넷 통신을 통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에 수신된다.
유도탄 제어장치(310)는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 회로카드(311, 이하 '프로세서'라고 명명함)에서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 유도탄과의 다수의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다수의 점화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산신호 및 직렬통신용 회로카드(312 ; 이하 '통신용 회로카드'라고 명명함)를 통해서 유도탄 연동장치(320)와 통신을 수행하고,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명령을 송신하고 유도탄 연동장치(320)를 통해서 유도탄(340)의 상태신호를 수신한다.
유도탄 연동장치(320)는 직렬 통신 및 이산신호용 회로카드(321, 이하 '통신용 회로카드'라고 명명함)를 이용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통신용 회로카드(321)는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제어를 받고, 유도탄(340)으로부터의 상태신호를 가져와서 유도탄 제어장치(310)에 송신한다.
즉, 유도탄 제어장치(310)는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통신용 회로카드(321)와 전원/점화 전원 제어 릴레이 회로카드(324, 이하 '릴레이 회로카드'라고 명명함)를 제어하여 유도탄(340)과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어한다. 따라서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구성요소들의 제어된 결과와 유도탄(340)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 입력 상태신호는 통신용 회로카드(321)를 통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에 직접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의 발사 통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발사 절차가 제어된다.
통신장비(350)에서 발사 절차 명령이 송신되면, 관련 명령은 이더넷 통신을 통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에 수신된다.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한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프로세서(311)는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서 유도탄(340)과의 다수의 이산신호, 동작 전원 및 다수의 점화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값을 통신용 회로카드(312)에 저장한다. 통신용 회로카드(312)에 저장된 제어값(또는 설정값)은 통신용 회로카드(312)에서 RS-422 SDLC 통신으로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에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통신용 회로카드(312)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통신용 회로카드(321)는 FPGA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 구성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따라서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통신용 회로카드(312)에 저장된 제어값은 통신용 회로카드(312)에서 RS-422 SDLC 통신으로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에 자동으로 송신된다. 즉,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의 프로세서(311)에서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값이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21)까지 자동으로 전달되어진다.
유도탄 연동장치(320)는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동작전원 및 점화신호 제어값을 통신용 회로카드(321)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 저장된 값을 기반으로 유도탄(340)으로 이산신호가 출력되고, 릴레이 회로카드(324)의 제어를 위한 이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프로세서(311)는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12)를 제어함은 물론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와 릴레이 회로카드(324)까지 제어하는 유기적 연결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유도탄(340)은 입력된 다수의 이산신호에 대응되는 다수의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릴레이 회로카드(324)도 입력된 다수의 이산신호에 대응되는 다수의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유도탄(340)과 릴레이 회로카드(324)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는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에 수신되어 저장된다.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에 저장된 다수의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는 통신용 회로카드(321)에서 RS-422 SDLC 통신으로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12)에 자동 전달된다. 즉, 유도탄(340)의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21)에서 저장되면, 자동으로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12)까지 전달되어진다. 그리고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의 통신용 회로카드(312)에 입력된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는 프로세서(3110)에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340)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에 프로세서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유도탄의 근접 거리에 고온 등의 환경에 민감한 프로세서가 유도탄 연동장치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유도탄 연동장치의 내 환경성이 우수하고 설계가 간편하고 제작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 제어장치(310)에서 직접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구성요소들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된 FPGA에서 자동으로 저장된 신호 변경시에 RS-422 SDLC 메시지로 송신하므로, 유도탄(340)의 인터페이스 신호 처리가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발사절차 순서에 따라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은, 유도탄 제어장치(310)와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통신용 회로카드를 구현함에 있어서, FPGA 하드웨어 로직을 활용한다. 즉, 통신용 회로카드(312,321)에 구현된 FPGA 하드웨어 로직은, RS-422 SDLC 통신을 통하여 수신신호를 자동 전달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도탄 제어장치(310)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간에 통신신호선 만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의 직경이 작아지고, 배선이 용이하며, 구동이 되는 발사대에서도 적용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수의 유도탄 또는 유도 로켓을 연동시키는 유도탄 연동장치를 다수개 구비하는 경우에서도, 유도탄 제어장치(310)에서는 RS-422 SDLC 통신 선로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확장성이 매우 우수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유도탄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도탄 제어장치(310)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유도탄 발사 절차를 전체적으로 관장하는 프로세서(311)와, 외부와 이산신호 및 직렬 통신을 위한 통신용 회로카드(3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1)는 장비의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통신용 회로카드(312)를 제어한다. 시스템 버스는 VME 버스, PCI 버스, PCIe 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용 회로카드(312)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3121), FPGA (3122), RS-422 트랜시버(3123)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3121)는, 시스템 버스와 FPGA(3122) 간의 연결을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 및 시스템 클럭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FPGA(3122)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한 디바이스이고, 프로세서(311)에서 유도탄의 발사 절차를 제어하기 위하여 저장된 설정값 또는 제어값(이하 '제어값'으로 명명함)을 저장한다. FPGA(3122)는 하드웨어적으로 저장된 제어값을,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FPGA(3122)는 SDLC 통신으로부터 수신된 상태값을 저장하고, 이 수신된 값을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311)에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3121)를 통해서 읽어갈 수 있도록 한다. SDLC 통신의 인코딩 방식은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를 적용하여 통신 상대측과 별도의 클록 신호 송/수신 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RS-422 트랜시버(3123)는 이격된 장비와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하여 RS-422 신호로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 제어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3121)를 통해서 FPGA(3122)에 제어값이 전달되어 저장되면, FPGA(3122)의 하드웨어 로직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때, FPGA(3122) 내에 탑재된 하드웨어 로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값이 RS-422 SDLC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RS-422 트랜시버(3123)로 메시지 송신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RS-422 트랜시버(3123)에 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지고, 수신된 상태신호가 FPGA(3122)에 전달되어 저장되면, FPGA(3122)의 하드웨어 로직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때 FPGA(3122) 내에 탑재된 하드웨어 로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태신호가 저장되면, 프로세서(311)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3121)를 통하여 신호를 읽어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유도탄 연동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도탄 연동장치(320)는 유도탄 제어장치와 RS-422 SDLC 통신을 수행하고, 유도탄(340)과 다수의 이산신호를 입출력하는 통신용 회로카드(321)와, 릴레이 회로카드(324)를 포함한다. 릴레이 회로카드(324)는 통신용 회로카드(321)와 다수의 이산신호를 입출력하고, 이 신호에 기반해서 유도탄(34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거나 다수의 점화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통신용 회로카드(321)는 유도탄 제어장치(310)와 RS-422 SDLC 통신을 수행하는 RS-422 트랜시버(3211), FPGA(3212) 하드웨어 로직, 이산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3213, 이하 '인터페이스 회로'라고 명명함)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3213)은 릴레이 회로카드(324) 및 유도탄(140)과 다수의 이산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RS-422 트랜시버(3211)는 이격된 장비와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하여 RS-422 신호로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이다.
FPGA(3212)는 하드웨어 로직이 탑재되는 디바이스이고,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이산신호 설정 SDLC 통신 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FPGA는 저장된 값에 의하여 인터페이스 회로(3213)를 통하여 유도탄(340)으로 이산신호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FPGA는 저장된 값에 의하여 인터페이스 회로(3213)을 통하여 릴레이 회로카드(324)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유도탄(340)과 릴레이 회로카드(324)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는 인터페이스 회로(3213)를 통하여 FPGA(3212)에 저장되고, FPGA(3121)에서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송신되어진다.
SDLC 통신의 인코딩 방식은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를 적용하여 통신 상대측과 별도의 클록 신호 송/수신 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릴레이 회로카드(324)는 유도탄 전원공급기(130)에서 제공되는 유도탄 동작 전원 및 점화전원을 입력하고, 유도탄(340)으로 제공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회로(3213)에서 전달받은 이산신호를 제어신호로 이용하여 유도탄(340)으로 동작전원의 공급 제어 및 다수의 점화신호의 전달을 제어한다. 릴레이 회로카드(324)는 대부분 릴레이 부품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 내 FPGA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31221)은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프로세서(311)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에 접근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31221)은 유도탄 제어장치(310)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버스 종류(일 예로 VME, PCI, PCIe)에 따라 구현이 달라질 수 있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31221)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 사이에서 다수의 32비트 폭의 레지스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레지스터를 접근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Write, Read, CS(Select))를 제공한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출력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데이터N 값 중에서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값에서 변경되는 출력데이터가 발생시, 자동으로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으로 출력한다. 전달 방법은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에 내장된 FIFO에 송신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1개의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32비트 폭)는 32개의 이산신호 제어를 지원한다.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로 출력되는 메시지 구조는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 번호에 매핑이 되는 어드레스 값을 추가하여 어드레스(2바이트) + 데이터(4바이트)로 구성된다. 메시지는 한번에 한개의 출력데이터(4바이트, 32비트)를 송신한다.
어드레스(2바이트)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의 고유의 위치 정보이다. 데이터(4바이트)는 32 비트로 구성되고, 1개의 비트는 1개의 이산신호의 출력 및 입력 상태를 표시한다.
반대로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수신된 SDLC 메시지가 있으면,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의 FIFO Empty 신호(FIFO 엠프티 신호)가 변화하게 된다. 이때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에서는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에 내장된 FIFO로부터 메시지를 읽어온다. 이때 읽어온 데이터가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 일 경우, 메시지의 어드레스(2바이트)의 값에 따라 데이터(4바이트)를 이산신호 입력데이터0 ~ 이산신호 입력데이터N 중 1개로 출력한다.
그리고 SDLC 통신 제어 로직(31225)는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로부터 FIFO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기능과, 유도탄 연동장치(320)으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장되어 있는 FIFO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연동장치 내 FPGA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SDLC 통신 제어 로직(31225)은 유도탄 제어장치(310)으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장되어 있는 FIFO에 저장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그리고 SDLC 통신 제어 로직(31225)는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으로부터 FIFO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2)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입력데이터0~이산신호 입력데이터N 값 중에서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값에서 변경이 되는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로 출력한다.
1개의 이산신호 입력데이터N(32비트 폭)는 32개의 이산신호 입력을 지원한다. 전달방법은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에 내장되어 있는 FIFO에 송신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때 메시지 구조는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 번호에 매핑이 되는 어드레스 값을 추가하여 "어드레스(2바이트) + 데이터(4바이트)"로 구성된다. 메시지는 한번에 한개의 출력데이터(4바이트, 32비트)를 송신한다.
어드레스(2바이트)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 및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3)의 고유의 위치 정보이다. 데이터(4바이트)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개의 비트는 1개의 이산신호의 출력 및 입력상태를 표시한다.
유도탄 제어장치(310)으로부터 수신된 SDLC 메시지가 있으면,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의 FIFO Empty 신호가 변화하게 된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에서는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에 내장된 FIFO로부터 메시지를 읽고,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일 경우 메시지의 어드레스(2바이트) 값에 따라 데이터(4바이트)를 이산신호 출력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데이터N 중 1개에 저장하게 된다.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2)는 유도탄(340)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324)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이산신호를 32비트 레지스터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 개의 레지스터는 32개의 이산신호 입력을 지원한다. 또한 입력 이산신호 변화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글리치(Glitch) 방지 로직도 내장된다.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2123)는 유도탄(34)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324)로 출력되는 이산신호 출력 설정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와 도 5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FPGA(3122)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FPGA(3212)가 자동으로 데이터 동기화 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도탄 제어장치(310)는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와 SDLC 통신 제어 로직(31225)을 포함하고, 유도탄 연동장치(320)는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와 SDLC 통신 제어 로직(32225)을 포함한다.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FPGA(3122)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을 포함하고,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FPGA(3212)는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2)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2123)을 포함하고 있고, 유도탄 제어장치(310)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입출력 레지스터 사이에는 하드웨어 로직과 장비 간 SDLC 통신을 통하여 자동으로 동기화 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프로세서(311)의 설정값에 의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으로 입력되는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 값이 변경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고, 이를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로 전달된다. SDLC 통신 제어로직(31225)는 입력된 데이터를 SDLC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송신한다.
반면에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SDLC 통신 제어로직(3225)은 수신된 SDLC 통신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으로 전달한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은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인지 확인하고, 메시지의 데이터 값을 적용하여 이산신호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 간의 정상적인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유도탄 제어장치(310)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이산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프로세서(311)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이산신호 출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에 해당 이산신호 출력값의 변경을 설정한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자동으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의 출력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산신호 출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터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로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은 변경된 이산신호를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 출력하고,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로 송신한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출력 변경 절차는 완료된다.
다음, 유도탄 연동장치(320)에서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이산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변동이 발생되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에서 자동으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으로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을 변경 출력하고,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으로 송신한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이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입력 변경 절차는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310)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와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 간의 비정상적인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통신 선로 상에서 임의의 이유로 송수신 메시지의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유도탄 제어장치(310)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이산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이다.
프로세서(311)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이산신호 출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에 해당 이산신호 출력값의 변경을 설정한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자동으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의 출력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산신호 출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터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유도탄 연동장치(320) 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로 전송한다.
이상의 과정이 수행된 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에서 대략 1msec 이내에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이후,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은 앞의 과정과 같이 정상적인 과정을 수행한다. 즉, 메시지를 수신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은 변경된 이산신호를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 출력하고,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로 송신한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출력 변경 절차는 완료된다.
다음, 유도탄 연동장치(320)에서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이산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변동이 발생되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에서 자동으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으로 전송한다.
이상의 과정이 수행된 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에서 대략 1msec 이내에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이후,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앞의 과정과 같이 정상적인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을 변경 출력하고,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으로 송신한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이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입력 변경 절차는 완료된다.
마찬가지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아니라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의 전송과정에서도 오류가 발생되면, 동일하게 재전송이 수행된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에 설정된 출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1 단계).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값이 있으면, S405 단계로 진행한다. 변경된 이산신호가 없이 이전 값과 동일하면 S402 단계로 진행한다.
S405 단계에서는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송신한다. 메시지 송신 후, S406 단계로 진행한다.
S406 단계에서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응답 메시지가 수신 안될 경우, 재전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재전송 요청 타이머를 이용하여 카운트를 수행한다.
재전송 요청 타이머는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 별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임아웃 시간 설정은 1msec이다. 이후 S401 단계로 진행한다.
S402 단계에서는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유도탄 연동장치(320)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존재하면, S407 단계로 진행한다.
S407 단계에서는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S408 단계로 진행한다.
S408 단계에서는 수신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로 출력한다.
그리고 S409 단계에서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송신한다.
그리고 S407 단계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S410 단계로 진행한다.
S410 단계에서는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 수신인 경우에는 S411 단계로 진행한다.
S411 단계에서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을 분석하여, 해당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를 중단하고 초기화한다. 그리고 S401 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S403 단계에서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없을 때,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에서 설정값(1msec)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가 존재하면 S404 단계로 진행하고, 반대의 경우에서는 S401 단계로 복귀한다.
S404 단계에서는 타임아웃 된 재전송 타이머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값을 참조하고,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이후 S401 단계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에 설정된 출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감시하고,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제어장치 내,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은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해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1223)에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는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에서, 재전송 요청 타이머를 카운트하여 정상적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한다.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연동장치의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32121)의 동작 흐름도이다.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32121)은 상태 출력값이 변경이 되었는지 판단한다.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값이 있으면, S505 단계로 진행한다. 변경된 값 없이 이전 값과 동일하면 S502 단계로 진행한다.
S505 단계에서는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2)의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S505 단계에서 메시지 송신 후,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미수신되었을 때, 재전송을 위하여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S506 단계). 이때 재전송 요청 타이머들은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 별로 각각 존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현한 타임아웃 시간 설정은 1msec이다. 그리고 S501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501 단계에서 변경된 이산신호의 입력값이 없을 때, S502 단계에서는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메시지가 존재하면, S507 단계로 진행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없으면 S503 단계로 진행한다.
S507 단계는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가 맞으면 S508 단계로 진행하고, 해당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서는 S510 단계로 진행한다.
S508 단계는 수신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값을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2123)에 출력한다. 이후 S509 단계로 진행한다.
S509 단계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메시지를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송신한다. 그리고 S501 단계로 복귀한다.
S507 단계에서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경우, S510 단계에는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가 맞으면 S511 단계로 진행한다.
S511 단계에서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을 분석하여, 해당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중단하고 초기화 한다. 이후 S50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S503 단계에서는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 설정값(1msec)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가 존재하면 S504 단계로 진행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가 없을 때는 S501 단계로 진행한다.
S504 단계에서는 타임아웃 된 재전송 타이머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값을 참조하고,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이후 S501 단계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연동장치의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32121)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32122)의 상태 출력값이 변경되는지를 감시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값이 있을 때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 제어한다.
또한,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감시하고,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2123)으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2121)는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에서, 재전송 요청 타이머를 카운트하여 정상적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도탄 제어장치와 유도탄 연동장치 간의 이산신호 출력 제어를 시뮬레이션 예시도이다.
실시예에서 SDLC 통신은 2MHz, FPGA 동작 주파수는 50MHz를 기준으로 수행하였다.
ⓐ는 SDLC 통신신호이고, 유도탄 제어장치(310)로부터 유도탄 연동장치(320)로 출력되는 신호이다.
ⓑ는 SDLC 통신신호이고, 유도탄 연동장치(320)로부터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입력되는 신호이다.
ⓒ는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1222)로부터 출력되는 레지스터 값 중, 특정 1개에 대한 데이터 값이다.
ⓓ는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32123)로 입력되는 레지스터 값 중, ⓒ의 레지스터와 맵핑이 되는 데이터 값이다.
ⓔ는 유도탄 제어장치(310)의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31224)의 내부 저장 값으로, 유도탄 연동장치(32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데이터 값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 이산신호 출력값이 기존 H'CC111111'에서 H'CC123456'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에서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SDLC 통신 경로 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유도탄 제어장치(310)으로부터 유도탄 연동장치(320)으로 송신된다.
이후, 유도탄 연동장치(320)의 ⓓ이산신호 출력신호가 기존 H'CC111111'에서 H'CC123456'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55μsec 가 소요되었다.
ⓓ의 값이 업데이트 된 이후, ⓗ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SDLC 통신 경로 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응답 메시지가 유도탄 연동장치(320)으로부터 유도탄 제어장치(310)로 송신된다.
이후, ⓔ의 값이 동일한 H'CC123456'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초 값이 이산신호 출력 설정값이 변경된 이후 응답까지 받아 업데이트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약 110μsec 이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결과 본 발명의 신호 송수신과정에서 소요된 응답시간은 이격된 장비에서 이산신호를 제어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10 : 유도탄 제어장치, 311 : 프로세서, 312 및 321 : 통신용 회로카드, 324 : 릴레이 회로카드, 320 : 유도탄 연동장치, 330 : 유도탄 전원공급기, 340 : 유도탄, 350 : 통신장비, 3121 :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 3122 및 3212 : FPGA, 3123 및 3211 : RS-422 트랜시버, 3213 :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 31221 :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 31222 및 32123 :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31223 및 32122 :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 31224 :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31225 및 32225 : SDLC 통신 제어 로직, 32121 :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Claims (19)

  1. 외부에서 입력된 발사 절차 명령을 수신하고, 발사 절차 명령 수행을 위한 순차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발사 절차 순서에 따라 유도탄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RS-422 SDLC 통신으로 자동 전송하는 통신용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제어장치;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에 기반한 제어신호를 유도탄과 릴레이 회로카드로 자동 출력하는 통신용 회로카드; 및
    통신용 회로카드에서 출력된 이산신호 및 제어값에 기반하여 유도탄의 동작전원 및 다수의 점화신호를 공급하는 릴레이 회로카드를 포함하는 유도탄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통신용 회로카드는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RS-422 SDLC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로 자동 전송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유도탄 제어장치의 통신용 회로카드는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RS-422 SDLC 통신으로 수신된 이산신호 및 상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프로세서에서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유도탄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고, 발사 절차 수행을 위한 제어값을 저장하여 이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연동장치로 송신하고,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SDLC 통신 신호로부터 수신된 상태값을 저장하여 프로세서가 시스템버스를 통하여 읽어갈 수 있도록 하는 FPGA;
    프로세서와 FPGA 사이의 전기적 신호 변환을 위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
    FPGA와 외부 장치 사이의 RS-422 신호 변환을 위한 RS-42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유도탄 연동장치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되고,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수신된 SDLC 통신 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값에 기반하여 유도탄과 릴레이 회로카드 제어를 수행하고,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이산신호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자동으로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FPGA;
    FPGA와 유도탄(및 릴레이 회로카드) 사이의 전기적 신호 변환을 위한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
    FPGA와 외부 장치 사이의 RS-422 신호 변환을 위한 RS-42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릴레이 회로카드는, 이산신호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기반해서 유도탄 전원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유도탄 동작전원 및 점화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유도탄 제어장치 내 FPGA는,
    시스템 버스에 연결되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
    프로세서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 로직을 통하여 접근하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와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N 값 중에서 변경된 출력 데이터가 발생시, 자동으로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전달한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SDLC 통신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SDLC 통신 제어 로직은,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은 SDLC 통신 제어 로직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읽고, 해당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로 출력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SDLC 통신 제어 로직은 FIFO를 내장하고,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SDLC 메시지가 있을 때, FIFO 엠프티 신호를 변화시키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FPGA는,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SDLC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로직으로부터 전달받아서 FIFO에 저장된 데이터를 SDLC 통신으로 변환하여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SDLC 통신 제어 로직;
    유도탄 및 릴레이 회로카드와,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 사이에 연결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와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입력 데이터N 값 중에서 변경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시, 자동으로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SDLC 통신 제어로직으로 출력하는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을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은 SDLC 통신 제어 로직에 내장된 FIFO로부터 메시지를 읽고,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인 경우,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따라서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0 ~ 이산신호 출력 데이터 N 중에서 한 개에 저장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는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이산신호를 32비트 레지스터 형태로 저장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유도탄 연동장치 내,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는 유도탄 또는 릴레이 회로카드로 출력되는 다수의 이산신호 출력 설정값을 저장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유도탄 제어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이산신호 출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유도탄 제어장치 내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출력값을 변경 설정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자동으로 출력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전송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변경된 이산신호를 출력한 후,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산신호 출력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전송 후, 설정시간 이내에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유도탄 연동장치의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이산신호에 변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 값이 포함된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을 변경 출력한 후,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으로 송신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이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산신호 입력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전송 후, 설정시간 이내에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설정된 출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이면, 해당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에 출력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가 정상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유도탄 연동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연동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 이면, 해당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단계;
    제어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 설정값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에 대해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의 상태 입력값이 변경되었는지를 감시하고, 변경된 이산신호 입력 레지스터 데이터를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 송신 후,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 일 때,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에 해당하는 이산신호 출력 레지스터에 출력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요청'메시지가 정상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산신호 출력 업데이트 응답'메시지를 유도탄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유도탄 제어장치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이산신호 입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일 때, 해당 메시지의 어드레스 값을 분석하여, 해당 어드레스 값의 재전송 요청 타이머의 동작을 초기화 하는 단계;
    연동장치 자동 이산신호 동기화 로직에서 메시지의 어드레스 별로 존재하는 재전송 요청 타이머 중, 설정값에 도달한 타이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타임아웃이 발생한 타이머에 대해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10061713A 2021-05-13 2021-05-13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248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13A KR102487315B1 (ko) 2021-05-13 2021-05-13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13A KR102487315B1 (ko) 2021-05-13 2021-05-13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30A true KR20220154330A (ko) 2022-11-22
KR102487315B1 KR102487315B1 (ko) 2023-01-11

Family

ID=8423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713A KR102487315B1 (ko) 2021-05-13 2021-05-13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3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32B1 (ko) * 2010-10-22 2011-07-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점화 신호 점검 장치 및 그 점검 방법
KR101186539B1 (ko) * 2011-09-19 2012-10-08 국방과학연구소 Gps 유도킷트 탑재용 gps/ins 통합 항법 시스템
KR20130029674A (ko) * 2011-09-15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비행 모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32B1 (ko) * 2010-10-22 2011-07-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점화 신호 점검 장치 및 그 점검 방법
KR20130029674A (ko) * 2011-09-15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비행 모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86539B1 (ko) * 2011-09-19 2012-10-08 국방과학연구소 Gps 유도킷트 탑재용 gps/ins 통합 항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315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5200B2 (en) Military standard (MIL-STD-1760) interface bridge
US4484266A (en) Externally specified index peripheral simulation system
US6631484B1 (en) System for packet communication where received packet is stored either in a FIFO or in buffer storage based on size of received packet
EP0972168B1 (en) Aircraft interface device and crossover cable kit
US4538224A (en) Direct memory access peripheral unit controller
US4506324A (en) Simulator interface system
AU617446B2 (en) Improved parity checking apparatus
US9916277B2 (en) Translation of universal armament interface (UAI) to military standard (mil-std-1760) messaging interface
US2007016007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a bus controller and one or more remote terminals
US5455911A (e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use in transferring data over a serial bus
US4779190A (en) Communication bus interface
JP2016062611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内で、オンオフバルブをコントローラに通信可能に接続する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US7137599B1 (en) Launcher with dual mode electronics
US5101477A (en) System for high speed transfer of data frames between a channel and an input/output device with request and backup request count registers
JP2007251947A (ja) マルチマスタのチェーン接続された二線シリアルバス
GB2194085A (en) Bus
KR102487315B1 (ko) 유도탄 발사 통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EP2747347A1 (e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imulation
EP0055741B1 (en) Input/output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for peripheral devices in data processing system
US4835346A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data transmission through a standard serial link
GB2176917A (en) Data port
US7493045B2 (en) Real time fiber optic matrix switch interconnection
Sabnis et al. 1553B communication using DSP based digital controller
KR100343936B1 (ko) 시스템 보드간의 lan 인터페이스 장치
US20200092620A1 (en) Sensor Array Multiple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