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943A -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 Google Patents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943A
KR20220153943A KR1020210061586A KR20210061586A KR20220153943A KR 20220153943 A KR20220153943 A KR 20220153943A KR 1020210061586 A KR1020210061586 A KR 1020210061586A KR 20210061586 A KR20210061586 A KR 20210061586A KR 20220153943 A KR20220153943 A KR 2022015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joint box
frame
h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6358B1 (en
Inventor
조동문
곽명숙
Original Assignee
조동문
곽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문, 곽명숙 filed Critical 조동문
Priority to KR102021006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358B1/en
Publication of KR2022015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on stand for fixing buried piping or a buried joint box,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n accurate location even on an upper portion of formwork where rebars are placed, allows buried piping or a buried joint box to be constructed in a consistent location, and can prevent bending of the buried piping in an upwardly bent portion of a concrete pouring surface and prevent damage due to other wall processes. The protection stand comprises: a protection frame connected or fastened and fixed after buried piping or a buried joint box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on frame from a mold. Accordingly, the protection stand can allow the buried piping or the buried joint box to be constructed in an accurate location in the design, and can prevent damage to the buried piping or the buried joint box, thereby increas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securing the resulting high reliability.

Description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Protective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시공시 매립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보호가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의 상부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일관성 있는 위치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의 매립배관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벽체 타공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mount used when fixing a buried pipe or an embedded joint box to be buri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even at the top of a formwork with reinforcing bars, as well as buried pipe Or, not only can the construction of the embedded joint box be performed in a consistent position, but also the buried pipe or buried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other processes while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buried pipe at the part tha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It relates to a protective mount for fixing a joint box.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신축시에는 벽체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송·배전선이 매립된다. In general, when a building structure is newly built, various types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re buried inside the wall.

이러한 송·배전선은 즉, 전선관는 벽체에 직접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건축 구조물 시공시 벽체에 매립되는 통상 PVC 관이나 주름진 배관(이하 '매립배관'이라 한다) 내에 삽입된다. Suc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that is, electrical conduits are not directly buried in the wall, but are inserted into a normal PVC pipe or corrugated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bedded pipe') buried in the wall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ructure.

아울러, 상기 매립배관은 벽체에 직접 매립되거나 또는 단자박스나 전선박스 등과 같은 매립 조인트박스(joint box)에 연결되어 그 매립 조인트박스 내에서 전선관이 서로 결속된다. In addition, the buried pipe is directly buried in a wall or connected to a buried joint box such as a terminal box or a wire box, and conduits are bound to each other in the buried joint box.

통상 매립배관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바닥면을 거쳐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부분에 수직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데, 이때 건축 구조물의 바닥면을 먼저 콘크리트로 타설하게 됨에 따라 매립배관의 벽체에 매립될 부분이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시켜 고정해야 한다. In general, buried piping is installed to be buried vertically in the wall of a building structure via the floor where concrete is poured. Before placing concrete on the floor surface, it must be bent upwards to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and fixed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surface.

여기서, 매립배관을 벽체에 매립될 부분의 상방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때, 매립배관 끼리 서로 묶어 놓거나 혹은 바닥면에 배근(配筋) 된 철근에 각목 또는 철근 등을 세워 고정한 후 그 각목 또는 철근에 줄이나 철사 등으로 가고정시켜 놓는다. Here, when the buried piping is bent and fixed upward to the part to be embedded in the wall, the buried piping is tied to each other, or a wooden or reinforcing bar is erected and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placed on the floor, and then fixed to the wooden or reinforcing bar. Temporarily secure with a string or wire.

그로 인해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배관의 자세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므로 벽체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은 물론 작업자들이 매립배관을 밟고 다니거나 다른 건설기자재에 눌리게 되어 변형되는 것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가진다. As a result, since the posture or spacing of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wall is not constant,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embedding in the wall and workers stepping on the buried pipe or being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other construction equipment.

특히, 거푸집 등을 해체시 거푸집에 의해서 매립배관이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가진다. In particular, when the formwork is dismantled, the buried pipe is damaged by the formwork, which also frequently occurs.

또한, 매립 조인트박스 역시 각목 또는 철근 등에 가고정함에 따라 이 역시도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 또한 거푸집 등을 해체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In addition, as the embedded joint box is also temporarily fixed to a wooden beam or reinforcing bar, it is also not located in an accurate position due to concrete pouring, and the problem of being twisted or damaged frequently occurs, as well as the problem of being easily damaged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have it as it i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매립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for fixing buried pipe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67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매립배관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거푸집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전산볼트 및 상기 전산볼트에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보호관으로 구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중관 고정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First, a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667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 fix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inserting buried pipes, and a mol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 technique such as a double pipe fixing device including a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fastening member fixed to the fastening member, a power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 first protective tube positioned outside the power bolt has been proposed.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896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거푸집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바와, 상기 스크류 지지바 사이에 매립배관이 끼워지는 클램퍼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1189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selected by the present applicant, a screw support bar fixed to the formwork on both sides and an embedded between the screw support bar A technique such as a support on which a clamper to which a pipe is fitted is formed has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5845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배관 고정틀 및 상기 배관 고정틀에 매립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858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 coupling member including a support fixed to the formwork, a pipe fixing frame fixed to the support, and the pipe fixing frame A technique including a clamp for fixing the buried pip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거푸집에 체결부재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립배관을 고정부재의 결합홀에 일일이 삽입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립배관의 높이가 한정되는 단점과 함께 매립 조인트 박스를 고정할 수 없는 단점은 물론 거푸집 해체시 매립배관이 손상되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Patent Document 1 is not only cumbersome to fix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ormwork in place, but also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uried pipe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fixing member is also quite cumbersome, and the buried joint box has the disadvantage of limiting the height of the buried pipe. In addition to the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fixed, the buried pipe is damaged when the formwork is dismantled.

특허문헌 2 또한 거푸집에 정위치를 설정하기 번거로운 단점은 물론 매립배관 자체를 고정하기는 용이하나,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을 가짐은 물론 매립 조인트박스를 고정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거푸집 해체시 매립배관이 손상되는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 Patent Document 2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cumbersome to se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formwork, as well as it is easy to fix the buried piping itself, but the part tha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is easily damag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ix the buried joint box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buried pipe is damaged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along with the disadvantage of not having it.

특허문헌 3 역시 특허문헌 1 내지 2와 같이 거푸집에 정위치를 설정하기 번거로운 단점과 함께 각각의 매립배관을 일일이 고정하기 위한 작업 또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과 매립배관의 높이가 한정되는 단점은 물론 매립 조인트 박스를 고정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짐과 아울러 거푸집 해체시 매립배관이 손상되는 단점을 가진다. Patent Document 3, like Patent Documents 1 and 2, has the disadvantage of cumbersome setting on the formwork, the work for fixing each buried pipe one by one, 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height of the buried pipe is limited, as well as the disadvantage of the buried joint box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fixed and the buried pipe is damaged when the formwork is dismantl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676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67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896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896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58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85845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의 상부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일관성 있는 위치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의 매립배관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벽체 타공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hat it is easy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even at the top of the formwork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and the buried pipe or buried joint box can be constructed in a consistent position.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rotective brace for fixing an embedded pipe or an embedded joint box to prevent breakage of the buried pipe in a portion tha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while preventing damage caused by the wall drill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거푸집 상에서의 높이 조절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고정 위치의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adjust the height on the formwork as well as the fixed position of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매립배관이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밑면에 각각의 체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상부가 막히도록 가로 프레임이 형성되는 본체 틀,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배면에 상기 본체 틀 내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된 후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프레임이 형성되는 보호 틀; 및 상기 각각의 체결 플랜지에 하부로 콘크리트 타설할 거푸집에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호 틀을 거푸집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specific technical problem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a lower portion open so that buried pipes flow in and each fastening flang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 body frame having a horizontal frame formed so as to close the upper portion, and at least one fixed fram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to bind or fasten after an embedded pipe or an embedded joint box is accommodated into the body frame A protection fram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to each of the fastening flang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on frame from the formwork while being fastened and fixed to the formwork to be poured with concrete.

상기 본체 틀의 전후 폭은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된 후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본체 틀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전후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frame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so that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is not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body frame after being bound or fastened to the fixed frame after being accommodated. do.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 공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 공 및 상기 높이조절 공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 및 체결 공상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fixed frame is provided to be height-adjustable on a pair of vertical frames, and the height of the fixed frame is adjusted by using at least two or more height-adjusting balls or rectangular vertical balls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Each of the fastening ball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height adjustment ball or the rectangular vertical ball and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all are made by fastening.

상기 보호 틀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좌우로 좁은 폭을 가지는 수직방향의 직사각형 또는 좌우로 넓은 폭을 가지는 수평방향의 직사각형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이다. The protective frame is either a vertical rectangle having a narrow wid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or a horizontal rectangle having a wide wid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밑면 테두리에 거푸집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되어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부싱, 상기 지지부싱에 연결너트()를 포함하여 하단이 삽입되는 전산볼트 및 상기 체결 플랜지 상에서 전산볼트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는 아이 너트를 포함한다. The height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xed sleeve having a flange fastened to the formwork by means of screws and fixed to the bottom rim and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support bushing inserted inside or outside the fixed sleeve to prevent fluidity, and the support It includes an eye nut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threaded bolt on the fastening flange and a threaded bolt into which the lower end is inserted including a connecting nut ( ) in the bushing.

본 발명은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의 상부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일관성 있는 위치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의 매립배관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벽체 타공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 상의 배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손상이 파손을 방지함으로 인한 시공 효율성을 높힘은 물론 그로 인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even on the top of the formwork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and the buried piping or embedded joint box can be constructed in a consistent position, as well as the buried piping at the part tha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By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wall and preventing damage caused by other processes on the wall,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embedding piping or embedded joint box in the correct loca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uried piping or embedded joint box from being damaged. It not only improves construction efficiency, but also has the effect of securing high reliability.

또한, 거푸집 상에서의 높이 조절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고정 위치의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에 반영된 더욱더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by making it easy to adjust the height on the formwork as well as the fixed position of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struct at a more accurate position reflected in the design.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construction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배경의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선관이 삽입되는 매립배관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바닥면을 거쳐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부분에 수직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데, 이때 건축 구조물의 바닥면을 먼저 콘크리트로 타설하게 됨에 따라 매립배관의 벽체에 매립될 부분이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시켜 고정해야 한다. As sh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the buried pipe into which the conduit is inserted i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embedd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via the floor surface where the concrete is poured. At this time,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s the concrete is first poured, the part to be embedded in the wall of the buried pipe must be bent upwards to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and fixed before pouring the concrete on the floor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floor.

여기서, 매립배관을 벽체에 매립될 부분의 상방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때, 매립배관 끼리 서로 묶어 놓거나 혹은 바닥면에 배근(配筋) 된 철근에 각목 또는 철근 등을 세워 고정한 후 그 각목 또는 철근에 줄이나 철사 등으로 가고정시켜 놓는다. Here, when the buried piping is bent and fixed upward to the part to be embedded in the wall, the buried piping is tied to each other, or a wooden or reinforcing bar is erected and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placed on the floor, and then fixed to the wooden or reinforcing bar. Temporarily secure with a string or wire.

그로 인해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배관의 자세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므로 벽체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은 물론 작업자들이 매립배관을 밟고 다니거나 다른 건설기자재에 눌리게 되어 변형되는 것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가진다. As a result, since the posture or spacing of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wall is not constant,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embedding in the wall and workers stepping on the buried pipe or being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other construction equipment.

특히, 거푸집 등을 해체시 거푸집에 의해서 매립배관이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가진다. In particular, when the formwork is dismantled, the buried pipe is damaged by the formwork, which also frequently occurs.

또한, 매립 조인트박스 역시 각목 또는 철근 등에 가고정함에 따라 이 역시도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 또한 거푸집 등을 해체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In addition, as the embedded joint box is also temporarily fixed to a wooden beam or reinforcing bar, it is also not located in an accurate position due to concrete pouring, and the problem of being twisted or damaged frequently occurs, as well as the problem of being easily damaged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have it as it is

본 발명은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의 상부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일관성 있는 위치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의 매립배관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벽체 타공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in an accurate position even on the top of the formwork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and the buried piping or embedded joint box can be constructed in a consistent position, as well as the buried piping at the part tha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It is to provide a protective mount for fixing a buried pipe or a buried joint box to prevent damage caused by other processes on the wall while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wall.

본 발명에 따른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1)는 보호 틀(10) 및 높이 조절부재(20)를 포함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A protective mount (1) for fixing an embedded join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tective frame (10)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20).

보호 틀(10)은 매립배관(P)과 매립 조인트박스(B)가 수용되어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어 바닥 또는 벽체에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otection frame 10 serves to protect the buried pipe (P) and the buried joint box (B) by being bound or fastened to accommodate concrete pouring on the floor or wall.

이러한 보호 틀(1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매립배관(P)이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밑면에 높이 조절부재(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체결 플랜지(1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의 상부가 막히도록 가로 프레임(14)이 형성되는 본체 틀(15)을 포함한다. The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frame 10 is a pair of bottoms open so that the buried pipe P flows in and each fastening flange 12A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It includes a body frame 15 in which a horizontal frame 14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 are blocked.

또한,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 배면에 상기 본체 틀(15) 내로 매립배관(P)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B)가 수용된 후 결속 또는 볼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프레임(16)이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In addition, after the buried pipe (P) or the embedded joint box (B)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frame (15)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 at least one or more fixed frames are fastened and fixed by binding or bolts or screws. (16)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it is formed.

상기한 본체 틀(15)의 전후 폭은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된 후 고정 프레임(16)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본체 틀(15)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전후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틀 및 고정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각관 이외에 배립배관과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프레임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frame 15 is determined so that the buried pipe or the joint box is not protrud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frame 15 after being bound or fastened to the fixing frame 16 after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is accommodate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frame and the fixing frame may be made of square tubes, and any type of fram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iping and the embedded joint box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square tubes.

그에 따라 상기 보호 틀은 수용되는 매립배관을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 꺾임이 발생하지 않게 안정적으로 결속 또는 체결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tection frame can be stably bound or fastened so as not to be bent at the portion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by binding or fastening the buried pipe to the fixing frame.

아울러, 매립 조인트박스 역시 보호 틀 내에 수용되어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됨에 따라 이 역시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embedded joint box is also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frame and bound or fastened, it can also be stably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특히,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배관의 자세나 간격을 일정하게 위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들이 매립배관을 밟고 다니거나 다른 건설기자재에 눌리게 되어 변형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not only to position the buried pipe buried in the wall at a constant position or interval, but also to prevent workers from stepping on the buried pipe or being pressed by other construction equipment to prevent it from being deformed.

더욱이, 보호 틀 내에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됨에 따라 거푸집 등을 해체시 거푸집에 의해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Furthermore, as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is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fram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by the formwork when the formwork is dismantled also has a condition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벽체 타공에 따른 매립배관은 물론 매립 조인트박스 또한 손상이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damage to the buried joint box as well as the buried pipe due to the wall perforation.

한편, 상기 보호 틀(10)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의 좌우로 좁은 폭을 가지는 수직방향의 직사각형(A) 또는 좌우로 넓은 폭을 가지는 수평방향의 직사각형(B)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frame 10 is either a vertical rectangle (A) having a narrow width on the left and right or a horizontal rectangle (B) having a wide width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

다시 말해서, 좌우로 좁은 폭을 가지는 수직방향의 직사각형의 보호 틀은 매립전선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만을 전용으로 수용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rectangular protective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ing a narrow wid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exclusively accommodate only buried wires or buried joint boxes.

아울러, 좌우로 넓은 폭을 가지는 수평방향의 직사각형의 보호 틀은 많은 양의 매립전선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매립전선과 매립 조인트박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In addition, the rectangular protective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ing a wide width on the left and right ca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buried wires or buried joint boxes at the same time, and also has a condition that can accommodate buried wires and buried joint boxes at the same time.

그에 따라 보호 틀은 설계에 의한 매립전선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정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tection frame can be used by selectively installing an appropriate shape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uried electric wire or the buried joint box according to the design is arranged.

높이 조절부재(20)는 상기 각각의 체결 플랜지(12A)에 하부로 콘크리트 타설할 거푸집에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호 틀(10)을 거푸집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provid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f the protection frame 10 from the formwork while being fastened and fixed to each of the fastening flanges 12A to the formwork to be poured with concrete.

상기한 높이 조절부재(2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밑면 테두리에 거푸집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슬리브(22), 상기 고정 슬리브(22)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전산볼트의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부싱(24), 상기 지지부싱(24)에 연결너트(26A)를 포함하여 하단이 삽입되는 전산볼트(26) 및 상기 체결 플랜지(12A) 상에서 전산볼트(26)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는 아이 너트(28)를 포함한다. The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 is a fixed sleeve 22 in which a flange fixed to the formwork with screws is formed on the bottom edg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ide of the fixed sleeve 22 Alternatively, a support bushing 24 inserted to the outside and provided to prevent the fluidity of a power bolt to be described later, a power bolt 26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support bushing 24, including a connection nut 26A, and the fastening flange (12A) includes an eye nut 28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threaded bolt 26.

다시 말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보호 틀의 체결 플랜지 상에서 거푸집으로부터 보호 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바닥면의 두께에 따라 전산볼트와 연결너트 및 아이 너트에 의해 미세하게 높이 조절하여 보호 틀의 높이를 조절한다. In other words, the height adjusting member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on frame from the formwork on the fastening flange of the protection frame, and finely adjusts the height by the computerized bolt, the connection nut and the eye nu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 by concrete casting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on frame.

즉, 고정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 후 그 고정 슬리부에 지지 부싱을 결합 다음 지지 부싱에 전산볼트의 하단이 유동성 없이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연결너트 또는 아이 너트를 이용하여 보호 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That is, after fixing the fixing sleeve to the formwork, the lower end of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ushing without fluidity after coupling the support bushing to the fixing sleeve. Then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on frame using a connection nut or an eye nut.

그에 따라 보호 틀을 높이 조절부재에 의해 거푸집의 상부에서 정확한 위치의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tection frame can be installed at an accurat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ormwork by the height adjusting member.

따라서, 본 발명은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일관성 있는 위치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면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에서의 매립배관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벽체 타공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buried pipe or embedded joint box be constructed in a consistent position, but also it can prevent damage caused by other processes on the wall while preventing the buried pipe from bending at the part where it is bent upward on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have conditions that can

또한, 거푸집 상에서 높이 조절까지 이루어짐으로 설계에 따른 항시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is adjusted on the formwork, it also has the condition that it can always be positioned in an accur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desig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보호 틀의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는 매립배관이나 매립 조인트박스의 높이 또한 필요로 하는 높이로 결속 또는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that is bound or fastened to the fixed frame of the protection frame is also provided with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be bound or fastened to a required height.

고정 프레임(16)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16)의 높낮이 조절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에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 공(32)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도시하지 않음), 상기 고정 프레임(16)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 공(34) 및 상기 높이조절 공(32)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 및 체결 공(34)상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fixed frame 16 is provided to be height-adjustable on a pair of vertical frames 12, and the height of the fixed frame 16 is adjusted by at least two or more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 Ball 32 or rectangular vertical ball (not shown), each fastening ball 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16 and the height adjustment ball 32 or rectangular vertical ball and fastening ball ( 34) is made by fastening members 30 such as bolts and nuts that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다시 말해서, 매립배관 특히 매립 조인트박스는 용도 또는 설계 반영에 따라 바닥 콘크리트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바, 보호 틀 내에 수용되어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높이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buried pipe or embedded joint box, in particular, has different heights from the floor concrete depending on the use or design reflection, so the height of the buried pipe or embedded joint box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frame and bound or fastened to the fixed frame can also be adjusted.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exists.

즉, 고정 프레임을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상에 형성된 높이조절 공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로 조절함으로써, 고정 프레임의 높이를 필요한 높이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by adjusting the fixed frame to a desired position through a height adjusting ball formed on a pair of vertical frames, the height of the fixed frame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a required height.

그로 인해 보호 틀 내의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높이 또한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결속 또는 체결 고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eight of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that is bound or fastened to the fixed frame within the protection frame can also be adjusted to a desired height to be bound or fastened.

그에 따라 용도에 따른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를 설계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신뢰성 또한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Accordingly, as it has the conditions to accurately position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according to the purpose at the design position, it also has the condition to increase reliability.

1 : 보호가대
10 : 보호 틀 12 : 세로 프레임
12A : 체결 플랜지 14 : 가로 프레임
15 : 본체 틀 16 : 고정 프레임
20 : 높이 조절부 22 : 고정 슬리브
24 : 지지 부싱 26 : 전산볼트
26A : 연결너트 28 : 아이 너트
30 : 체결부재 32 : 높이조절 공
34 : 체결 공
1 : Guard
10: protective frame 12: vertical frame
12A: fastening flange 14: horizontal frame
15: body frame 16: fixed frame
20: height adjustment unit 22: fixed sleeve
24: support bushing 26: computerized bolt
26A: connection nut 28: eye nut
30: fastening member 32: height adjustment ball
34: tightening ball

Claims (5)

매립배관이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밑면에 각각의 체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상부가 막히도록 가로 프레임이 형성되는 본체 틀,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배면에 상기 본체 틀 내로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된 후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프레임이 형성되는 보호 틀; 및
상기 각각의 체결 플랜지에 하부로 콘크리트 타설할 거푸집에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보호 틀을 거푸집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A pair of vertical frames, the lower part of which is open to allow the buried pipe to flow in, and each fastening flang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body frame in which a horizontal fram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is blocke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 protective frame in which at least one fixing frame is formed so that the buried pipe or the buried joint box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then bound or fastened. and
A protective mount for fixing a buried pipe or a buried joint box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rame from the formwork while being fastened and fixed to the formwork to be poured with concrete below each of the fastening flan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틀의 전후 폭은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가 수용된 후 고정 프레임에 결속 또는 체결 고정된 다음 상기 본체 틀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의 전후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frame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so that the buried pipe or the embedded joint box is not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body frame after being bound or fastened to the fixed frame after being accommodated. A protective brace for fixing a buried pipe or a buried joint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 공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 공 및 상기 높이조절 공 또는 장방형의 수직 공 및 체결 공상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frame is provided to be height-adjustable on a pair of vertical frames, and the height of the fixed frame is adjusted by using at least two or more height-adjusting balls or rectangular vertical balls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 protective mount for fixing an embedded pipe or an embedded joint box made of fastening member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each fastening ball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height adjusting ball or rectangular vertical ball and fastening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틀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좌우로 좁은 폭을 가지는 수직방향의 직사각형 또는 좌우로 넓은 폭을 가지는 수평방향의 직사각형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frame is a vertical rectangular shape having a narrow wid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or a horizontal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e wid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밑면 테두리에 거푸집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되어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부싱, 상기 지지부싱에 연결너트()를 포함하여 하단이 삽입되는 전산볼트 및 상기 체결 플랜지 상에서 전산볼트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는 아이 너트를 포함하는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xed sleeve having a flange fastened to the formwork by means of screws and fixed to the bottom rim and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support bushing inserted inside or outside the fixed sleeve to prevent fluidity, and the support A protective mount for fixing a buried pipe or a buried joint box including a bolt whose lower end is inserted including a connection nut ( ) in the bushing and an eye nut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olt on the fastening flange.
KR1020210061586A 2021-05-12 2021-05-12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KR102626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86A KR102626358B1 (en) 2021-05-12 2021-05-12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86A KR102626358B1 (en) 2021-05-12 2021-05-12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943A true KR20220153943A (en) 2022-11-21
KR102626358B1 KR102626358B1 (en) 2024-01-18

Family

ID=8423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586A KR102626358B1 (en) 2021-05-12 2021-05-12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35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473U (en) * 1991-12-18 1993-07-13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Platform equipment for pipe support
KR20110050113A (en)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Assembly pipe tray
KR101469845B1 (en) * 2013-09-04 2014-12-09 대호씨엠씨(주) Jig for fixing of plumbing
KR20180118965A (en) 2017-04-24 2018-11-01 조동문 A support apparatus for protecting pipe
KR102185845B1 (en) 2018-12-30 2020-12-02 임종완 The device to fix and tie-up the PVC conduit which is erected inside the slab for vertical routing, or which is arrayed on the surface of wa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473U (en) * 1991-12-18 1993-07-13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Platform equipment for pipe support
KR20110050113A (en) * 2009-11-06 2011-05-13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Assembly pipe tray
KR101469845B1 (en) * 2013-09-04 2014-12-09 대호씨엠씨(주) Jig for fixing of plumbing
KR20180118965A (en) 2017-04-24 2018-11-01 조동문 A support apparatus for protecting pipe
KR102185845B1 (en) 2018-12-30 2020-12-02 임종완 The device to fix and tie-up the PVC conduit which is erected inside the slab for vertical routing, or which is arrayed on the surface of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358B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07465A (en) Foundation form apparatus
KR101304985B1 (en) Foundation bolt mount with height adjustment
BRPI0912647B1 (en) MANIFOLD STRUCTURE, SUPPORT C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NIFOLD STRUCTURE
KR101906778B1 (en) 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KR200428765Y1 (en) Mold support
KR20220153943A (en)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KR200445323Y1 (en) Rotating joint structure of embedded distribution box for apartment house
JP4563879B2 (en) Anchor bolt support device
JP2020060074A (en) Anchor frame
KR101627159B1 (en) Concrete placing leveler and installing jig thereof
KR101526200B1 (en) Cd pipe supporting apparatus and weight fixing method and wall installing method
KR100865991B1 (en) Clamp for a scaffold pipe
KR200468906Y1 (en) Foundation bolt mount with height adjustment
KR20180027907A (en) An anchor bolts for mounting bracket
CN219937884U (en) Pre-buried line box fixed knot constructs in precast concrete piece
CN220570125U (en) Fixing device for embedded distribution box body in shear wall
AU2019280062A1 (en) A precast concrete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including same
CN220957834U (en) Auxiliary installation tool for information box
JP7424518B2 (en) Anchor support member
CN219394345U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bare concrete wire box
JP7168402B2 (en) Connection metal fittings and protective fences using such connection metal fittings
KR102615347B1 (en) Standpipe Holding Device
CN217602209U (en) Fixing device for embedded box of indoor distribution box of residence
KR200490849Y1 (en) Groove Clamp for Euroform
JP4010459B2 (en) Flo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