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84A -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84A
KR20220153484A KR1020220044121A KR20220044121A KR20220153484A KR 20220153484 A KR20220153484 A KR 20220153484A KR 1020220044121 A KR1020220044121 A KR 1020220044121A KR 20220044121 A KR20220044121 A KR 20220044121A KR 20220153484 A KR20220153484 A KR 2022015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mill
track
circumferential surface
track bel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to US17/735,9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62626A1/en
Priority to EP22172127.7A priority patent/EP4088789A1/en
Priority to CN202210510651.XA priority patent/CN115317858A/en
Publication of KR2022015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readmill. The disclosed treadmill comprises: a frame structure; a track uni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tructure; and a rotation unit disposed on the frame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track unit to be rotatable. The track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lats arranged along a rotation direction; and a track belt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lat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ats.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first rotation member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rotation member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on members,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each of the first rotation members, and arranged along an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members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According to the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ulley is improved such that the collision between the track belt and the pulley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generation of noise of the treadmill can be reduced.

Description

트레드밀 및 이에 사용되는 풀리{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본 발명은 트레드밀 및 이에 사용되는 트레드밀의 풀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mill and a treadmill pulley used therefor.

트레드밀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런닝머신으로 불려진다. 트레드밀은, 날씨에 관계 없이,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A treadmill is an exercise device that can produce an exercise effect of walking or running in a narrow space by using a belt rotating in an endless track, and is called a treadmill. Demand for the treadmill is rapidly increasing day by day because walking or runn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indoor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weather.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트랙부가 회전하는 동력 트레드밀과, 별도의 구동 수단 없이 사용자에 동작에 의해 트랙부가 회전하는 무동력 트레드밀로 구분될 수 있다.Treadmills can be divided into powered treadmills in which a track unit rotates by a separate drive unit and non-powered treadmills in which a track unit rotates by a user's motion without a separate drive unit.

무동력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동력 트레드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장치의 크기 및 무게도 매우 작아진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무동력 트레드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Since a non-powered treadmill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riving means, it is cheaper than a powered treadmill, and the size and weight of the device are very small. Recently, the demand for such non-powered treadmills is gradually increasing.

다만, 무동력 트레드밀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트랙부가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충격에 의해 트랙부의 출렁임이 나타날 수 있다. 트랙부의 출렁임으로 인해, 트랙부와 이를 지지하는 구성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하는 소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non-powered treadmil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rack part is rotated by the user, rocking of the track part may occur due to impact by the user. Due to the rocking of the track unit, a collision may occur between the track unit and a component supporting the track unit, which may appear as noise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본 발명은, 풀리의 외주면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트랙 벨트와 풀리 사이의 충돌을 줄일 수 있는 트레드밀 및 이에 사용되는 풀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dmill capable of reducing a collision between a track belt and a pulley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and a pulley used therefor.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트레드밀은,A treadmil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트랙부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며,A frame structure, a track portion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tructure, and a rotation unit disposed on the frame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track portion to be rotatable,

상기 트랙부는,The track part,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슬래트와,A plurality of slats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상기 복수의 슬래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를 연결하는 트랙 벨트를 포함하며,I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lats and includes a track bel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ats,

상기 회전 유닛은,The rotating unit,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들과,First rotation members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structure;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 형상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회전 부재들을 포함하며,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s,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each of the first rotating member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arranged along the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s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홈이 형성된 복수의 비접촉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 벨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n-contact areas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act area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contacting the track belt.

상기 비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보다 작을 수 있다.A width of the non-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홈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ng member.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은 민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may have a smooth pattern shape.

상기 트랙부는 동력 없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ck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user without power.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 형상은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may have a shape with a concave center.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풀리는, 트레드밀에서 트랙부의 트랙 벨트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트레드밀의 풀리로서, The pulle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lley of a treadmill that rotatably supports the track belt of the track part in the treadmill,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상기 외주면은 상기 홈이 형성된 복수의 비접촉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홈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 벨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n-contact areas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act area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 areas and contacting the track belt.

상기 비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보다 작을 수 있다.A width of the non-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홈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외주면은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These general and specific aspects may be practiced using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or any combination of systems, methods, or computer programs.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트레드밀 및 이에 사용되는 풀리에 따르면, 풀리의 외주면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트랙 벨트와 풀리 사이의 충돌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레드밀의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eadmill and the pulley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llision between the track belt and the pulley, thereby reducing the noise of the treadmill.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밀의 내부 구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레드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트레드밀의 트랙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랙부가 회전할 때의 제1 회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트레드밀의 트랙부가 회전할 때, 트랙 벨트와 제1 회전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트레드밀에서 제1 회전 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제1 회전 부재와 트랙 벨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트레드밀에서 운동 전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a은 실시예 1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14a은 비교예 1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eadmill of FIG. 1 as a cent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eadmill.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track part of the treadmill.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when the track unit rotate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a track belt and a first rotating member when a track part of a treadmill rotates.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rotating member in the treadmill of FIG. 3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7 .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track belt in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9 .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in a pre-exercise state on a treadmill.
FIG. 13A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during exercise on a treadmill according to Example 1, and FIG. 13B is a partially enlarged photograph of FIG. 13A.
FIG. 14A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during exercise on a treadmil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 14B is a partially enlarged photograph of FIG. 14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r thickness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트레드밀(1)의 내부 구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레드밀(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랙부(130)의 트랙 벨트(132)와 회전 유닛(150)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사이드 프레임(113), 슬래트(131)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admil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eadmill 1 of FIG. 1 as a cent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eadmill (1). In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rack belt 132 and the rotation unit 150 of the track unit 130 are shown as the center, and the side frame 113 and the slat 131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은 프레임 구조물(110)과, 프레임 구조물(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트랙부(130)와, 트랙부(1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유닛(150)을 포함한다. 트레드밀(1)은 사용자(U)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60) 및 운동 결과를 보여주는 출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밀(1)은 동력 없이 사용자(U)의 발 동작에 의해 트랙부(130)가 회전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일 수 있다.1 to 3, the treadmi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frame structure 110, a track part 130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tructure 110, and a track part 130 rotatable. It includes a rotation unit 150 to support. The treadmill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art 160 that the user U can grip and an output part 170 showing exercise results. The treadmill 1 may be a non-powered treadmill in which the track unit 130 rotates by the foot motion of the user U without power.

프레임 구조물(110)은 트레드밀(1)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중앙 프레임(111)과 중앙 프레임(111)의 양 측부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사이드 프레임(113)은 사이드 커버(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The frame structure 110 maintains the shape of the treadmill 1 and includes a central frame 111 and side frames 11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frame 111 . The side frame 113 may be covered by the side cover 120 .

트랙부(130)는 복수의 슬래트(131)와 복수의 슬래트(131)를 연결하는 트랙 벨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ck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ats 131 and a track belt 13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ats 131 .

복수의 슬래트(131)는 트랙부(130)의 회전 방향인 제1 방향(Y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슬래트(131) 각각은 트랙부(130)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X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plurality of slats 131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rack unit 130 . Each of the plurality of slats 131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X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ck unit 130 .

트랙 벨트(132)는 제1 방향(Y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슬래트(131)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트랙 벨트(132)는 복수의 슬랙트(131) 각각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슬래트(131)를 연결한다.The track belt 132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lat 131 . A pair of track belts 132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ats 131 and connect the plurality of slats 131 .

트랙 벨트(132)는 제1 회전 부재들(151, 152)에 감겨지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 벨트(132)는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ck belt 132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first rotating members 151 and 152 . The track belt 132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트랙부(13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슬래트(131) 및 트랙 벨트(132)를 포함하는 트랙부(130)의 무게는, 5 킬로그램(kg) ~ 100 킬로그램(kg) 일 수 있다.The track unit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weight.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track unit 130 including the plurality of slats 131 and the track belt 132 may be 5 kg (kg) to 100 kg (kg).

프레임 구조물(110)에는 트랙부(1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유닛(150)이 배치된다. 회전 유닛(150)은, 프레임 구조물(11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와, 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와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회전 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닛(150)은 트랙부(1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rotation unit 150 rotatably supporting the track unit 130 is disposed in the frame structure 110 . The rotation unit 150 includes first rotation members 151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frame structure 110, first rotation members 151 disposed in the front, and first rotation members 151 disposed in the rear.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153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155 to prevent shaking of the track unit 130 .

제1 회전 부재(151)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회전 부재(151)는 중앙 프레임(111)의 전방에 설치되며, 다른 한 쌍의 제1 회전 부재(151)는 중앙 프레임(11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51)는 풀리(pulley)일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frame structure 110 . For example, a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151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central frame 111, and another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151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central frame 111. .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may be a pulley.

제2 회전 부재(153)는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부재(153)는 중앙 프레임(111)에 복수의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회전 부재(153)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상부 형상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member 1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For example, the second rotating member 15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ng members 151 in the central frame 111 .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153 may be arranged along the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110 .

중앙 프레임(111)의 상부 형상이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회전 부재(153)는 중앙 프레임(111)의 상부 형상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곡선 형태는 가운데가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153)는 베어링(bearing)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부재(153)의 배열 형상에 따라, 트랙부(130)에서 사용자가 접촉하는 표면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An upper shape of the central frame 111 may have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cond rotation members 153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upper shape of the central frame 111 . The curved shape may have a concave center. The second rotating member 153 may be a bearing member.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53, the angle of the surface that the user contacts on the track unit 130 may vary.

가이드 롤러(155)는, 트랙 벨트(132)에 제2 방향(X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트랙 벨트(132)의 제2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롤러(155)는 트랙 벨트(132)가 제2 회전 부재(153)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roller 155 may include a pair of protrusions that limit movement of the track belt 132 in the second direction even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track belt 132 in the second direction (X direction). Accordingly, the guide roller 155 can prevent the track belt 132 from coming off as contact with the second rotating member 153 is released.

트랙 벨트(132)는 슬래트(131)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회전 유닛(150)의 제1 회전 부재(151)에 감겨져 회전될 수 있다. 트랙 벨트(132)의 회전에 의해, 트랙 벨트(132)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슬래트(131)가 회전된다.The track belt 132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lat 131 and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51 of the rotation unit 150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track belt 132, a plurality of slats 131 connected by the track belt 132 are rotated.

도 4는 트레드밀(1)의 트랙부(13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트랙부(130)가 회전할 때의 제1 회전 부재(15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트레드밀(1)의 트랙부(130)가 회전할 때,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rotation of the track unit 130 of the treadmill 1,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when the track unit 130 rotate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when the track unit 130 of the treadmill 1 rotate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U)가 트랙부(130) 상에서 발 동작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해 트랙부(130)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트랙부(130)는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들(151)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회전 부재들(15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사용자(U)의 발 동작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 when the user U makes a foot motion on the track unit 130, a force to move the track unit 130 backward acts as a result. Since the track unit 1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rotational members 151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otational members 153 disposed between them, Likewise, it is rotated by the foot motion of the user U.

이러한 트레드밀(1)에서는, 사용자(U)가 빠르게 뛰면 트랙부(130)가 빠르게 회전되며, 사용자(U)가 느리게 뛰면 트랙부(130)가 느리게 회전된다. 사용자(U)가 정지하면 트랙부(130)는 정지하게 된다.In this treadmill 1, when the user U runs fast, the track unit 130 rotates quickly, and when the user U runs slowly, the track unit 130 rotates slowly. When the user U stops, the track unit 130 stops.

상기와 같이, 사용자(U)는 자기 자신의 뛰는 속도에 맞추어 회전되는 트랙부(130)에서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능동적인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U can adjust the speed naturally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by exercising on the track unit 130 tha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user U, and accordingly, more active exercise can be performed. be able to

도 5를 참조하면, 트랙 벨트(13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트랙 벨트(132)에서 하부에 위치한 하부 영역(1322)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트랙 벨트(132)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부 영역(1321)은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1 회전 부재(151)는 하부 영역(1322)이 상부 영역(1321)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트랙 벨트(132)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킨다. Referring to FIG. 5, while the track belt 132 rotates, the lower region 1322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ck belt 132 moves forward, and the upper region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track belt 132 ( 1321) moves toward the rear.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ck belt 132 while the lower region 1322 is converted to the upper region 1321 .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트랙 벨트(132)가 제1 회전 부재(151)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일정한 위치, 예를 들어 지점(SP)에서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접촉이 시작되며, 트랙 벨트(132)에서 일정 영역(1323)이 제1 회전 부재(151)와 접촉을 유지하며, 일정한 위치, 예를 들어 지점(EP)에서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리하여,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의 불규칙적인 소음의 발생 없이, 트랙부(130)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In an ideal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the track belt 132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by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at a certain position, for example, a point SP. The contact of ) starts, and the certain area 1323 of the track belt 132 maintains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t a certain position, for example, the point EP. Contact with the track belt 132 is released. Thus, the track unit 130 can rotate naturally without generating irregular noise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그러나, 실제 트레드밀(1)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발 동작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불규칙적인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an actual treadmill 1 environment, irregular slip may occur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 user's foot motion.

도 6a를 참조하면, 트랙 벨트(132)에서 제1 회전 부재(151)와 접촉이 유지되어야 할 영역(1324)에서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가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a phenomenon in which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51 do not come into contact and are spaced apart in an area 1324 in which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on member 151 is to be maintained in the track belt 132. this may appear.

이러한 현상은 트랙 벨트(132)의 상태,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속도 차이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 인 것으로 추측된다. It is assumed that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tate of the track belt 132 and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일 예로서, 트레드밀(1)에 사용되는 트랙 벨트(132)는 복수의 슬래트(131)를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을 가지는 트랙 벨트(132)는 다소 뻣뻣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랙 벨트(132)를 제조 또는 형성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굴곡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뻣뻣한 특성을 가지는 트랙 벨트(132)가 제1 회전 부재(151)에 감겨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 사이에 슬립이 나타나기도 하며,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의 접촉이 유지되어야 할 위치에서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가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ck belt 132 used in the treadmill 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in order to connect and support the plurality of slats 131 . The track belt 132 having such a material may have a somewhat stiff propert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forming the track belt 132, bending characteristics may be partially different. 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ck belt 132, which is wholly or partially stiff, by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slip may occur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51 are momentarily separated may occur at a position where contact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51 should be maintained.

다른 예로서, 트랙 벨트(132)는 제1 회전 부재(151)를 감싸며 회전하는 구조이며, 그에 따라 트랙 벨트(132)의 회전 반경은 제1 회전 부재(151)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 이와 같이,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회전 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회전 각속도가 동일하더라도,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선속도가 서로 달라진다. 그리하여,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에 슬립이 나타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rack belt 132 is a structure that rotates while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al member 151, and thus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track belt 132 is greater than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first rotational member 151. In this way, since the radii of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f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is the same,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and the linear speed of the track belt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slip may appear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이와 같이,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트랙 벨트(132)의 일부 영역(1324)이 제1 회전 부재(151)로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도 6b와 같이, 일시적으로 떨어진 트랙 벨트(132)의 일부 영역(1324)이 제1 회전 부재(151)에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불규칙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way, a phenomenon in which a portion 1324 of the track belt 132 temporarily falls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occurs due to various causes, and as shown in FIG. 6B, the temporarily dropped track belt 132 A portion of the area 1324 collides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Such collisions may appear irregular, which may generate noise tha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는 표면 구조가 개선된 제1 회전 부재(151)를 제공할 수 있다.Considering this point, the treadmi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ovide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having an improved surface structure.

도 7은 도 3의 트레드밀(1)에서 제1 회전 부재(151)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in the treadmill 1 of FIG. 3 ,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7 .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in the treadmi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9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 부재(151)는 트랙 벨트(132)의 내주면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홈(gr)이 배치될 수 있다. 7 to 10,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groove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132 (gr ) can be placed.

복수의 홈(gr)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홈(gr)의 간격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홈(gr)의 간격은 비정형적(random)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 gr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g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For example,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gr may be random.

트랙 벨트(132)의 내주면은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복수의 홈(gr)이 형성되어 있을 때, 트랙 벨트(132)의 내주면은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 벨트(132)의 내주면은 민무늬(unpattern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132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grooves (gr)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grooves or protrusions may not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132. For examp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132 may have an unpatterned shape.

이와 같이,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복수의 홈(gr)을 형성할 경우, 제1 회전 부재(151)와 트랙 벨트(132)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홈(gr)에 의해 슬립이 규칙적으로 짧게 나타나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슬립이 길게 나타남에 따른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lurality of grooves gr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even if slip occurs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track belt 132, the plurality of grooves gr Since slips regularly appear short by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noise problem caused by irregular slips appearing long.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은 홈(gr)이 형성된 비접촉 영역(1511)과 홈(gr)이 형성되지 않은 접촉 영역(15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접촉 영역(1512)은 비접촉 영역(1511)에 비해 돌출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트랙 벨트(132)와 접촉하는 반면, 비접촉 영역(1511)은 트랙 벨트(132)와 접촉하지 않는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may be divided into a non-contact area 1511 in which the groove gr is formed and a contact area 1512 in which the groove gr is not formed. Since the contact area 1512 has a protruding structure compared to the non-contact area 1511, it contacts the track belt 132, whereas the non-contact area 1511 does not contact the track belt 132.

비접촉 영역(1511)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W1)은 접촉 영역(1512)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비접촉 영역(1511)의 폭(W1)이 접촉 영역(1512)의 폭(W2)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의 접촉 면적 감소의 영향이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랙 벨트(132)와 제1 회전 부재(151) 사이의 마찰력 감소 효과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그에 반해, 비접촉 영역(1511)의 폭(W1)을 접촉 영역(1512)의 폭(W2)보다 작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 감소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불규칙적인 슬립에 따른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 width W1 of the non-contact area 15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W2 of the contact area 15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width W1 of the non-contact area 15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2 of the contact area 1512, the effect of the reduction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is significant. Accordingly, side effects may occur due to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rack belt 132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On the other hand, by making the width W1 of the non-contact area 1511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contact area 1512,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problems due to irregular slip while reducing side effects due to the decrease in contact area. .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 전체 면적에서 비접촉 영역(1511)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5% 이상일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 전체 면적에서 비접촉 영역(1511)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50% 미만일 수 있다.A ratio of an area occupied by the non-contact region 1511 to the total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may be 5% or more. A ratio of an area occupied by the non-contact region 1511 to the total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may be less than 50%.

접촉 영역(1512)은 제1 회전 부재(151)의 폭 방향과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영역(1512)의 형상은 폭보다 길이가 큰 막대(bar)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접촉 영역(15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The contact area 1512 may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The shape of the contact area 1512 may be a bar shape where the length is greater than the width. However, the shape of the contact area 15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diamond shap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에 복수의 홈(gr)이 형성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151)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의 홈(gr)은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된 4개의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복수의 제1 회전 부재(151) 중 일부의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gr is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disposed at the front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disposed at the rear is also described. Of course, it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rooves (gr)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 first rotational members 151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onal members 151 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트랙부(130)의 상부 영역(1321)이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1)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의 제1 회전 부재(151)는, 도 11과 같이, 트랙부(130)는 상부 영역이 가운데가 오목하지 않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1A)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 region 1321 of the track unit 13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treadmill 1 having a concave ce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 the track unit 130 may also be applied to the treadmill 1A having a flat upper region without a concave center.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12는 트레드밀(1)에서 운동 전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3a은 실시예 1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14a은 비교예 1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다.12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in a pre-exercise state on a treadmill 1, and FIG. 13a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during exercise on a treadmill according to Example 1, and FIG. 13b is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a part of FIG. 13A. FIG. 14A is a photograph of a process of measuring noise during exercise on a treadmil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 14B is a partially enlarged photograph of FIG. 14A.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는,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상태이다. 트레드밀(1)은 복수의 슬래트(131)를 포함하는 트랙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해 회전된다.In the treadmi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 The treadmill 1 has a track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lats 131 and is rotated by a user's foot mo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에 따른 트레드밀에서는, 제1 회전 부재(151)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나머지 구조 및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를 위한 예로서, 비교예의 트레드밀은, 실시예 1의 트레드밀에서 제1 회전 부재(151)를 외주면에 홈이 없는 제1 회전 부재로 교체된 상태이다.In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no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are the same as in Example 1. As an example for this purpose, in the treadmill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first rotating member 151 in the treadmill of Example 1 is replaced with a first rotating member having no groov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실험조건Experiment conditions

본 실험에서는, 기본 사양이 30 dB(데시벨)~130 dB, 20Hz(헤르츠)~ 8000 Hz을 가지는 측정 장비(10)를 이용하였다. 측정 장비(10)는 도 12와 같이, 트레드밀의 제1 회전 부재와의 최단 거리가 1000 mm이며, 바닥면으로부터 거리가 1200 mm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되었으며, 트레드밀을 회전시키기 전 상태의 주변 소음은 40.6 dB로 측정된 상태이다.In this experiment, the measurement equipment 10 having basic specifications of 30 dB (decibels) to 130 dB and 20 Hz (hertz) to 8000 Hz was used. As shown in FIG. 12, the measurement equipment 10 ha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of the treadmill of 1000 mm and is measured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from the floor is 1200 mm, and ambient noise before rotating the treadmill. is measured at 40.6 dB.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트레드밀 모두에서, 실험자가 14 km/h로 동일한 속도로 달릴 때에 측정된 소음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Referring to FIGS. 13a, 13b, 14a, and 14b, in both treadmill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noise measured when the experimenter ran at the same speed at 14 km/h is shown in Table 1. Same as

운동 전 소음(dB)Noise before exercise (dB) 운동 중 소음(dB)Noise during exercise (dB) 소음 증가량(dB)Noise increase (dB)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0.640.6 73.873.8 33.233.2 실시예 1Example 1 40.640.6 65.265.2 24.624.6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비교예 1의 트레드밀이 73.8 dB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은 65.2 dB로 나타났다. 운동 전에 측정한 주변 소음이 40.6 dB인 점을 고려할 때, 비교예 1의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는 33.2 dB인 반면, 실시예 1의 트레드밀에서 운동 중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는 24.6 dB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1의 트레드밀의 소음 증가량(24.6 dB)은 비교예 1의 소음 증가량(33.2 dB)의 75%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제1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함에 따라, 소음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during exercise on the treadmil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the treadmill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73.8 dB, and Example 1 was 65.2 dB. Considering that the ambient noise measured before exercise is 40.6 dB, the noise generated during exercise on the treadmill of Comparative Example 1 is 33.2 dB, whereas the noise generated during exercise on the treadmill of Example 1 is 24.6 dB was only The noise increase (24.6 dB) of the treadmill of Example 1 was reduced to 75% or less of the noise increase (33.2 dB) of Comparative Example 1. From this, as th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noise genera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se general and specific aspects may be practiced using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or any combination of systems, methods, or computer programs.

1, 1A: 트레드밀 110 : 프레임 구조물
130 : 트랙부 131 : 슬래트
132 : 트랙 벨트 150 : 회전 유닛
151 : 제1 회전 부재 1511 : 비접촉 영역
1512 : 접촉 영역 153 : 제2 회전 부재
155 : 가이드부 160 : 손잡이부
gr : 홈
1, 1A: treadmill 110: frame structure
130: track part 131: slat
132: track belt 150: rotation unit
151: first rotating member 1511: non-contact area
1512: contact area 153: second rotating member
155: guide part 160: handle part
gr: home

Claims (13)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트랙부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부는,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슬래트와,
상기 복수의 슬래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를 연결하는 트랙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제1 회전 부재들과,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 형상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회전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홈이 배치된, 트레드밀.
A frame structure, a track portion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tructure, and a rotation unit disposed on the frame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track portion to be rotatable,
The track part,
A plurality of slats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I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lats and includes a track bel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ats,
The rotating unit,
First rotation members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structure;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s,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each of the first rotating member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members arranged along the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s has a plurality of groove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홈이 형성된 복수의 비접촉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 벨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mill of claim 1,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non-contact areas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act area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contacting the track bel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보다 작은,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2,
A width of the non-contact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ontact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readmi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2,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has a shape differen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은 민무늬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5,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has a smooth pattern shape, the treadmi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는 동력 없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mill, wherein the track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user without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 형상은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has a central concave shape, the treadmill.
트레드밀에서 트랙부의 트랙 벨트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트레드밀의 풀리로서,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홈이 배치된, 트레드밀의 풀리.
As a pulley of a treadmill for rotatably supporting a track belt of a track part in a treadmill,
A pulley of a treadmill,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surface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홈이 형성된 복수의 비접촉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홈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 벨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밀의 풀리.
According to claim 9,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non-contact areas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act area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 areas and contacting the track bel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접촉 영역의 둘레 방향에 따른 폭보다 작은, 트레드밀의 풀리.
According to claim 10,
A treadmill pulley, wherein a width of the non-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ontact area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트레드밀의 풀리.
According to claim 10,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ulley of the treadmi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트랙 벨트의 내주면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의 풀리.
According to claim 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ck belt, a treadmill pulley.
KR1020220044121A 2021-05-11 2022-04-08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KR20220153484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35,970 US20220362626A1 (en) 2021-05-11 2022-05-03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EP22172127.7A EP4088789A1 (en) 2021-05-11 2022-05-06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CN202210510651.XA CN115317858A (en) 2021-05-11 2022-05-11 Treadmill and belt pulley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0603 2021-05-11
KR1020210060603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84A true KR20220153484A (en) 2022-11-18

Family

ID=842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121A KR20220153484A (en) 2021-05-11 2022-04-08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4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6988C (en) Single belt omni directional treadmill
KR0182325B1 (en) Massaging apparatus having massage rollers rotatable mounted on traveling unit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10603539B2 (en) Omnidirectional treadmill apparatus
US20060019783A1 (en) Deckless treadmill system
CA1045647A (en) Movable surface apparatus, particularly for physical exercise and training
US20190105531A1 (en) Treadmill
KR20220153484A (en)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KR20160150084A (en) Treadmill
JPH06171877A (en) Guide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
EP4088789A1 (en) Treadmill and pulley used therein
TW202239445A (en) Bouncing treadmill obtaining a bouncing function while a runner can run on the running belt
JP2004250127A (en) Guiding device for elevator
KR101811777B1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Treadmill with Bicycle
KR102630812B1 (en) Motorless treadmill
KR102180047B1 (en) Omni-directional Motion Generation Device
JP2878902B2 (en) Elevator guidance device
KR101833890B1 (en) Impact absorption mat for running machine
KR101524513B1 (en) Two directional orthogonal treadmill apparatus
CN215538128U (en) Running machine
KR101883827B1 (en) Treadmill
CN219071971U (en) Running machine with noise reduction function
JP2001120629A (en) Massaging system
KR102290525B1 (en) Rolling table roll grinding device
JP7237289B2 (en) tread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