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335A -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 Google Patents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335A
KR20220153335A KR1020210060787A KR20210060787A KR20220153335A KR 20220153335 A KR20220153335 A KR 20220153335A KR 1020210060787 A KR1020210060787 A KR 1020210060787A KR 20210060787 A KR20210060787 A KR 20210060787A KR 20220153335 A KR20220153335 A KR 2022015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ackflow
information
user terminal
sou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7378B1 (en
Inventor
최선희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박성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헬스브릿지
Priority to KR102021006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78B1/en
Publication of KR2022015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11Diagnosing or evaluating reflu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33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8Detecting noise of gastric tract, e.g. caused by void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a food reflux in an airway, which detects a reflux sound in the airway included in a sound collected from a device worn on the chest of a user and notifies the user, thereby preventing suffocation due to airway obstruction in a sleeping state. The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n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collection device which is worn on the chest of the user and generates sound information by collecting the sounds generated from inside and around a bod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which receives and stores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analyze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detects the reflux sound in real time,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including a sound suspicious as the reflux sound or an unclear sound to a diagnosis server, receives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the reflux sound; and the diagnosis server which receives and stores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generates th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reflux sound is detec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본 발명은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한 장치로부터 수집된 소리에 포함된 기도에서의 역류음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특히 수면 상태에서의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food reflux in the airway,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reflux sound in the airway included in sound collected from a device worn on the user's chest and notifying the user, particularly in a sleeping state. A system for detecting food regurgitation in an airway to prevent asphyxiation due to airway obstruction.

일반적으로, 위식도 역류질환 등의 각종 질환이나 한시적인 몸 상태의 악화에 의하여 음식물의 역류가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역류한 음식물을 다시 삼키거나 뱉는 행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food reflux occurs due to various diseases such a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or temporary deterioration of physical condition, most people can respond naturally by swallowing or spitting out the refluxed food again.

그러나 거동이 어려운 상태인 환자나 고령의 노인의 경우에는 음식물의 역류에 따른 본인 스스로의 대응이 충분하게 발생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기도의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환자나 노인이 수면 중인 상태에서는 본인이나 주변의 보호자에 의한 신속한 대응이 더욱 어렵게 되어 결국에는 질식사에 이르게 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difficulty moving or an elderly elderly person, airway obstruction may occur as the person's own response to the regurgitation of food does not occur sufficiently. It is more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by the person himself or by the guardians around him, which eventually leads to death by suffocation.

이와 같은 문제와 관련하여, 수면 중인 사용자의 기도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2856호의 “단계식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679호의 “기도확장장치”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In relation to this problem, as a conventional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airway of a sleeping us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2856 "Intraoral device for treating staged snoring and sleep apnea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inventions such as “airway expansion devic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94679 have been proposed and published.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2856호의 “단계식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에는 사용자의 하악을 상악보다 0 내지 4㎜의 길이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기도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착용하되, 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코골이 상태와 산소 포화도를 확인하여 알맞은 크기의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증상이 단계적으로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Firs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2856, "Intraoral device for treating staged snoring and sleep apnea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 user's lower jaw is advanced or backward to a length of 0 to 4 mm from the upper jaw Wear a device that allows the airway to expand, but check the snoring condition and oxygen saturation while wearing the device so that the appropriate size device can be selected so that snoring or sleep apnea symptoms can be treated step by step. An invention relate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oing has been proposed.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679호의 “기도확장장치”에는 음압 형성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와 하부의 치아에 각각 안착되는 상부 안착부와 하부 안착부를 이용하여 수면 중인 착용자의 혀를 전방 측으로 압축시켜 공기의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이갈이 등의 증상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in the “airway expansion devic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94679, the tongue of the sleeping wearer is moved forward by using the upper and lower seating parts, which are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with negative pressure forming holes formed therein. An invention related to a device for relieving symptoms such as snoring, sleep apnea, and bruxism has been proposed by compressing the device to the side to secure an air passag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수면 중에 코골이 증상이 심하거나 수면 무호흡 증상을 가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확보 가능한 기도의 면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도를 폐쇄하여 질식을 유발할 정도의 음식물이 역류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질식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inventions are aimed at users with severe snoring symptoms or sleep apnea symptoms during sleep, and since the area of the airway that can be secured is limited, food that closes the user's airway and causes suffocation In the state of regurgita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suffocation has a limit that cannot be expected.

또한, 수면중 음식물의 역류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당한 정도의 기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주어 수면을 방해하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ecuring a considerable degree of airwa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ffocation due to regurgitation of food during sleep, a side effect of disturbing sleep by giving a foreign body sensation or discomfort to the user may occur.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모두 해결하여, 수면 상태에서의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invention that solves all of the above problems and effectively prevents suffocation due to airway obstruction in a sleeping st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2856호(2018. 02. 2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32856 (2018. 02. 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679호(2018. 08. 2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94679 (2018. 08. 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거동이 어려운 상태인 환자나 고령의 노인이 수면 중인 상태에서 음식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본인이나 주변의 보호자에 의한 신속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환자 또는 노인인 본인이 질식사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When food regurgitation occurs while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with difficulty in movement is sleeping,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or the elderly person to respond quickly, resulting in suffocation. there is,

수면 중에 코골이 증상이 심하거나 수면 무호흡 증상을 가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발명들이 제안되어 있을 뿐, 음식물의 역류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발명은 제안된 바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Only inventions targeting users with severe snoring symptoms or sleep apnea symptoms during sleep have been proposed, but inventions to prevent suffocation due to regurgitation of food have not been proposed, so a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been proposed. Its purpose is to pre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몸의 내부와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 상기 수집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을 실시간 감지하며,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를 진단 서버로 전송하고, 진단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역류음의 감지에 따른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의 감지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진단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a collection device worn on a user's chest to collect sounds generated from inside and around the body to generate sound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and stor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analyzing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to detect backflow sound in real time,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 as backflow sound to a diagnosis server, and from the diagnosis server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result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backflow sound; and a diagnosis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generates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backflow sound is detec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e propose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집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후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 상기 진단 서버로 전송하며, 진단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수신된 소리 정보와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 저장부;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소리 정보로부터 역류음을 감지하는 역류음 감지부; 상기 진단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 역류음의 감지 확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receives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and after all or part of the noise is remove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 as backflow sound to the diagnosis server, and from the diagnosis server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ransmitted result information;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a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that removes all or part of the noise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nd detects backflow sound from the sound information from which all or part of the noise has been remove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when the resulta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includes detection confirmation of backflow s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진단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인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수신된 소리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저장부;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역류음을 확인하거나 소리 정보에 잔류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역류음을 판단하는 역류음 판단부; 및, 역류음의 확인 또는 판단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gnosis server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ll or part of noise is removed, and transmitt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 server storage unit for storing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A regurgitation sound judgment unit that checks the backflow sound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or removes noise remaining in the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backflow sound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nd, 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check or determine the regurgitation s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은,The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한 장치로부터 수집된 소리에 포함된 기도에서의 역류음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면 상태에서의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When sound collected from the device worn on the user's chest detects reflux sound in the airway, it is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thereby preventing suffocation due to airway obstruction in the sleeping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의 수집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의 수집 장치의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의 수집 장치의 진단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역류음의 감지에 따른 알람음의 출력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와 진단 서버의 통신 불능 상황에서의 역류음의 감지에 따른 알람음의 출력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1 is a bas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llection device of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an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terminal of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agnosis server of a collection device of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an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utput configuration of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reflux sound using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figuration of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backflow sound in a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diagnosis server.

본 발명은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몸의 내부와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100);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을 실시간 감지하며,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를 진단 서버(120)로 전송하고,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역류음의 감지에 따른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1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의 감지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진단 서버(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 collection device 100 that collects sounds generated from inside and around the body while worn on the user's chest to generate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received and stored,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tect backflow sound in real time, and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 as backflow sound is sent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 user terminal 110 that transmits, receives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backflow sound; And, receiving and stor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alyzing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to generat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backflow sound is detect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a diagnostic server 120; It relates to a food regurgitation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상기 수집 장치(100)는 음식물의 역류에 의해 사용자의 기도에서 발생하는 역류음을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써, 효과적인 소리의 수집을 위하여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of all, the collect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used for collecting the reflux sound generated in the user's airway by the reflux of food, and is worn on the user's chest for effective sound coll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made.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외부 케이스와 사용자 가슴 부위에의 고정을 위한 목적으로 그 외부 케이스에 연결되는 스트랩(strap)으로 외형이 구성될 수 있고,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역류음의 수집을 위한 소리 센서 또는 소형 마이크와 수집된 역류음의 근거리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ollection device 100 includes an external case having a shape tha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chest and a strap connected to the external case for the purpose of fixing to the user's chest. ), and a sound sensor or a small microphone for collecting backflow sound and a Bluetooth device for short-distance transmission of the collected backflow sou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을 위한 소형의 2차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외부에는 충전을 위한 포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2차 배터리를 대신하여 단추형 전지가 내입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mall secondary battery for charging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a port for charging may be provided outside, and a button-type battery may be inserted instead of the secondary battery in another way. spa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부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버튼식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tton type switch for turning on/off powe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이때,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직접 밀착하게 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공지의 청진기에 흔히 이용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의 청진판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몸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역류음의 수집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a stethoscope plate having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at commonly used in known stethoscope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se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backflow sound generated inside the user's body is further improved. can be made to improve.

다만, 소리의 특성상 사용자의 기도에서 발생하는 역류음만을 선별하여 수집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 수집 장치(100)에서 실제로 수집하게 되는 소리는 심장 박동 소리 등 사용자의 몸의 내부와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모두 포함하게 되며, 소리의 수집에 의해 생성된 소리 정보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된다.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select and collect only the reflux sound generated in the user's airway due to the nature of the sound, the sound actually collected by the collecting device 100 is generated inside and around the user's body, such as the heartbeat sound. All noises are included, and sound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sound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al time.

이때,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의 소리 정보의 전송에는 두 장치 간의 페어링에 의한 블루투스 연동 방식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가적으로는 유선 연결 방식 등 다른 방식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Bluetooth interlocking method by pairing between two devices to transmit sound information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110, but additionally, even if other methods such as a wired connection method are used free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의 분석과 전달 그리고 경고 신호의 알람에 이용되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이용만을 위한 전용의 단말기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shown in FIG. 1 is a device used for analysis and transmission of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and alarming of warning signals, and is a terminal exclusively for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수집 장치(100)와 함께 전용의 단말기를 구비하거나 자신의 스마트폰에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한 전용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여 하며,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성별, 나이, 지병 등 자신의 개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refore, a user who wants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dicated terminal together with the collection device 100 or downloads and installs a dedicated app for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his/her smartphone, and runs the installed dedicated app You can register you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and chronic disease.

물론 본 발명의 주 이용 대상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인점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에의 전용 앱의 다운로드와 설치 그리고 개인 정보의 등록 등의 모든 과정은 사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ain target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or an elderly person, all processes such as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edicated app to a smartphone and registering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user's guardian.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진단 서버(120)로 전송하고,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111)와, 수신된 소리 정보와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 저장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1 receives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storage unit 112 for storing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소리 정보로부터 역류음을 감지하는 역류음 감지부(113)와, 상기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 역류음의 감지 확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알람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user terminal 110 removes all or part of the noise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nd the sound from which all or part of the noise is removed. A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that detects backflow sound from information,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when the resulta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includes detection confirmation of backflow sound ( 11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진단 서버(120)로 전송하며, 다시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and stores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transmit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result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again. It is configured to receive.

이때,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는 그 수집 장치(100)에 의하여 수집된 모든 노이즈가 포함된 정보이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거쳐 상기 진단 서버(120)로 전송되는 소리 정보는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후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이다.At this time,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information including all noises collected by the collection device 100 or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iagnosis server 120 via the user terminal 110. Is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 as backflow sound after all or part of the noise has been removed by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즉,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에 포함된 모든 소리는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에 분석될 수 있으나, 분석에 의해 역류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진단 서버(120)로의 소리 정보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ll sounds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analyzed by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but when backflow sound is not detected by the analysis, the diagnosis server 120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no transmission of sound information to .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 역류음의 감지 확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미리 지정된 보호자나 관리자 등의 이동 전화로 사용자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nd output an alarm sound when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includes detection confirmation of backflow sound,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guardian or manager, etc. A message requesting confirmation for the user can be sent to the mobile phone of the user.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출력되는 알람음은 사용자가 수면중인 상태를 고려하여 60 데시벨(dB) 이상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나 보호자에 의해 강제로 종료되거나 기설정된 시간(1 내지 5분 이내의 범위에서 설정)이 경과할 때까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가적으로는 사용자의 인지 향상을 위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arm sound output by the user terminal 110 is preferably output at 60 decibels (dB)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leeping state, and is forcibly terminated by the user or guardian or set at a predetermined time (1 to 5 minutes) is preferably output until the time elapses, and additionally, regular or irregularly occurring vibrations may be included to enhance the user's cognit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이용만을 위한 전용의 단말기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전용의 단말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과 같이 현재의 정확한 시간을 수신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only for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A function to receive the correct tim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는 상기 수집 장치(100)의 작동을 유도하기 위한 타이머 기능이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용자나 그 사용자의 보호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타이머 기능이 발동하는 시간을 변경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다시 타이머 기능이 발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timer function for inducing operation of the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set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 or the user's guardia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ser terminal 110 to set the timer function. The activation time can be changed or canceled, and the timer function can be set to activate again.

즉, 사용자는 상기 수집 장치(100)를 자신의 가슴부위에 착용하고 작동시키는 과정을 매일 실시하여야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과정을 망각할 수 있고, 수집 장치(100)를 작동시킨 상태로 착각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has to carry out the process of wearing and operating the collection device 100 on his or her chest every day, but in some cases, the user may forget this process and mistakenly think that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operating. can do.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타이머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의 소리 정보의 전송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음과 함께 화면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나 그 사용자의 보호자는 수집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timer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when sound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at a preset time, a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long with an alarm sound.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notification message or the user's guardian may perform a process of operating the collection device 100.

또한, 상기 진단 서버(120)는 소리 정보의 분석에 이용되는 장치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의 확인 또는 판단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agnosis server 120 is a device used to analyze sound information, receives and stores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analyze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ackflow sound is confirmed or determined.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and transmit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인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121)와, 수신된 소리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저장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diagnosis server 120 receives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which all or part of the noise is remov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21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 server storage unit 122 for storing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서버(120)는 인공지능의 딥러닝 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역류음을 확인하거나 소리 정보에 잔류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역류음을 판단하는 역류음 판단부(123)와, 역류음의 확인 또는 판단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diagnosis server 120 checks the backflow sound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or removes the noise remaining in the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backflow s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gurgitation sound determination unit 123 and a generation unit 124 for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gurgitation sound is confirmed or judged.

즉, 상기 진단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역류음 감지부(113)에 의하여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인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역류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된 소리 정보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을 필요에 따라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는 소리 정보에 포함된 역류음을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diagnosis server 120 receives sound information in which all or part of noise is removed by the backflow sound detector 113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backflow sound included in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a process of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a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the reversed sound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단 서버(120)는 역류음의 확인 또는 판단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알람음의 출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diagnosis server 120 generates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backflow sound is confirm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so that an alarm sound can be output as needed. .

이때, 상기 역류음 판단부(123)에서 제거되는 노이즈는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에 의하여 제거되지 못한 노이즈이므로, 역류음 판단부(123)에서 제거되는 노이즈에 대한 정보, 즉 소리의 형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됨으로써 역류음 감지부(113)에서 딥러닝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noise removed by the backflow sound determiner 123 is noise that could not be removed by the backflow sound detector 113, information on the noise removed by the backflow sound determiner 123, that is, the shape of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so that it can be deep-learned in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진단 서버(120)와의 인터넷을 통한 연결이 차단되거나 제한된 상황에서는 진단 서버(120)로의 소리 정보의 전송과 결과 정보의 수신을 생략하고, 역류음의 실시간 감지에 의한 알람음을 즉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 situation where the connection to the diagnosis server 120 through the Internet is blocked or restricted, the user terminal 110 omits sound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reception of result information, and detects backflow sound in real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immediately output an alarm sound by.

즉, 본 발명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와 상기 진단 서버(120) 상호 간의 연결이 유지되어야 하나 사용자나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진단 서버(120) 상호 간의 인터넷을 통한 연결이 차단되거나 제한되는 상황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면중인 상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의 역류에 따른 대응이 발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smoothly use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diagnosis server 120 must be maintained through the Internet, but depending on the user or the user's environment,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diagnosis server 120 ) A situation in which mutual connection through the Internet is blocked or limited may occur at any time, and in this case, a problem occurs in which a user cannot respond to the back flow of food that occurs while the user is sleeping.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와 상기 진단 서버(120) 상호 간의 인터넷을 통한 연결이 차단되거나 제한된 상황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10) 단독에 의한 역류음의 감지와 그에 따른 알람음의 출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etection of backflow sound by the user terminal 110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diagnosis server 120 through the Internet is blocked or limited. It can be configur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by enabling the output of an alarm sound accordingly.

이러한 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에 대한 역류음의 감지 결과를 상기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가 지속적으로 딥러닝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역류음 감지부(113)는 사용자의 몸의 내부에서 자주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는 소리를 딥러닝에 반영함으로써 역류음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detection result of backflow sound for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with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perform deep learning, and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reflects the sound that frequently occurs inside the user's body or around the user to deep learning to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backflow sound. can improve

즉, 본 발명은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가 상기 역류음 판단부(123)의 코칭을 받는 형태로 역류음의 감지를 딥러닝 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의 몸의 내부에서 자주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는 소리를 딥러닝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와 그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맞춤화 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113 to deep-learn the detection of backflow sound in the form of being coached by the backflow sound determination unit 123, but it frequently occurs inside the user's body or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reflect sounds that frequently occur around the user to deep learning, so that it can be customized to the user and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이때, 상기 역류음 감지부(113)와 상기 역류음 판단부(123)에 의한 인공지능의 딥러닝에는 구글의 텐서플로(Tensor flow) 등 오픈 소스 기반의 기계 학습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an open source-based machine learning program such as Google's Tensor flow may be used for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the backflow sound detector 113 and the backflow sound determiner 123, but must be It is not limited to this.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lso,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수집 장치
110 : 사용자 단말기
→ 111 : 단말기 통신부
→ 112 : 단말기 저장부
→ 113 : 역류음 감지부
→ 114 : 알람부
120 : 진단 서버
→ 121 : 서버 통신부
→ 122 : 서버 저장부
→ 123 : 역류음 판단부
→ 124 : 생성부
100: collection device
110: user terminal
→ 111: terminal communication unit
→ 112: terminal storage unit
→ 113: Backflow sound detection unit
→ 114: alarm unit
120: diagnosis server
→ 121: server communication unit
→ 122: server storage
→ 123: backflow sound determination unit
→ 124: generation unit

Claims (4)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몸의 내부와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100);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을 실시간 감지하며,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를 진단 서버(120)로 전송하고,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역류음의 감지에 따른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1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역류음의 감지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진단 서버(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A collection device 100 that collects sounds generated from inside and around the body while worn on the user's chest to generate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received and stored,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tect backflow sound in real time, and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 as backflow sound is sent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 user terminal 110 that transmits, receives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detection of backflow sound; and,
Diagnosis for receiving and stor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alyzing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backflow sound is detect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server 120; A system for detecting food reflux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후 역류음으로 의심되거나 불분명한 소리가 포함된 소리 정보 상기 진단 서버(120)로 전송하며,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111);
수신된 소리 정보와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 저장부(112);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소리 정보로부터 역류음을 감지하는 역류음 감지부(113);
상기 진단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 역류음의 감지 확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람음을 생성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알람부(11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110,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received, all or part of noise is removed, and sound information including suspicious or unclear sounds as backflow sound is transmitted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the diagnosis server ( 120) for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1;
a terminal storage unit 112 for storing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A backflow sound detector 113 that removes all or part of noise included in s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nd detects backflow sound from all or part of noise-removed sound information;
an alarm unit 114 that generates and outputs an alarm sound when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server 120 includes confirmation of detection of backflow sound; A system for detecting food reflux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전부 또는 일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인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121);
수신된 소리 정보와 생성된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저장부(122);
인공지능의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소리 정보에 포함된 역류음을 확인하거나 소리 정보에 잔류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역류음을 판단하는 역류음 판단부(123); 및,
역류음의 확인 또는 판단 여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12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agnosis server 12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21 fo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a state in which all or part of noise is removed, and transmitt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a server storage unit 122 storing received sound information and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A backflow sound determining unit 123 that checks the backflow sound included in the sound information or removes noise remaining in the sound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backflow sound based on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nd,
a generating unit 124 for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regurgitation sound is confirmed or judged; A system for detecting food reflux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진단 서버(120)와의 인터넷을 통한 연결이 차단되거나 제한된 상황에서는 진단 서버(120)로의 소리 정보의 전송과 결과 정보의 수신을 생략하고, 역류음의 실시간 감지에 의한 알람음을 즉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110,
In a situation where the connection to the diagnosis server 120 through the Internet is blocked or limited, transmission of sound information to the diagnosis server 120 and reception of result information are omitted, and an alarm sound is immediately output by real-time detection of backflow sound. A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the airway using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60787A 2021-05-11 2021-05-11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KR102607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7A KR102607378B1 (en) 2021-05-11 2021-05-11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7A KR102607378B1 (en) 2021-05-11 2021-05-11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35A true KR20220153335A (en) 2022-11-18
KR102607378B1 KR102607378B1 (en) 2023-11-29

Family

ID=8423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87A KR102607378B1 (en) 2021-05-11 2021-05-11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37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856B1 (en) 2016-03-14 2018-02-28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Intraoral device for step-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nd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4679B1 (en) 2017-12-29 2018-10-04 김동환 Airway extension device
KR102309022B1 (en) * 2021-02-09 2021-10-07 메디팜소프트(주)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io-signal remote monitoring system
KR20220110974A (en) * 2021-02-01 2022-08-09 조승만 System of low frequency notification based on breath monitoring
KR102444598B1 (en) * 2021-03-29 2022-09-20 조재걸 Sleep apnea measur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856B1 (en) 2016-03-14 2018-02-28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Intraoral device for step-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nd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4679B1 (en) 2017-12-29 2018-10-04 김동환 Airway extension device
KR20220110974A (en) * 2021-02-01 2022-08-09 조승만 System of low frequency notification based on breath monitoring
KR102309022B1 (en) * 2021-02-09 2021-10-07 메디팜소프트(주)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io-signal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2444598B1 (en) * 2021-03-29 2022-09-20 조재걸 Sleep apnea measur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378B1 (en)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559B2 (en) Fall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543027B1 (en) Device for monitoring sleep position
CN101389268B (en) External device that continuously monitors for osdb and delivers audio stimulation therapy
JP4917373B2 (en) Biological inform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423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sound sleep
US69353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EP1655051B1 (en) Rising-alarm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849322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to wake up a sleeping subject at an advantageous time instant associated with natural arousal
US20230093747A1 (en) Ear-worn devices with deep breathing assistance
US20100056878A1 (en) Indirectly coupled personal monitor for obtaining at least one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subject
WO2016176668A1 (en)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US20160367190A1 (en) Method and system of continuous monitoring of body sounds via wearable wireless body sound monitor
US20120212345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leep-related conditions
KR20180083188A (e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US2018006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Sleep Aberrations
WO2010149374A1 (en) A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
CN114080180A (en) Detecting and measuring snoring
CN114901335A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humidification
CN104616661A (en) Intelligent snore correc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2607378B1 (en) Food reflux detection system in airway using deep learning
CN11548578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lertness
US20230238127A1 (en) Medical device control with verification bypass
KR102379386B1 (en) Method for generating motion-induced frequencies to improve sleep apnea and snoring work symptoms with motion sensors
US20230056093A1 (en) Breathing sound measurement device and sleeping state measurement system
WO2019043736A1 (en) An improved device for detecting, preventing, monitoring and treating parafunctional activities in odontological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