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188A -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3188A KR20180083188A KR1020170005438A KR20170005438A KR20180083188A KR 20180083188 A KR20180083188 A KR 20180083188A KR 1020170005438 A KR1020170005438 A KR 1020170005438A KR 20170005438 A KR20170005438 A KR 20170005438A KR 20180083188 A KR20180083188 A KR 20180083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heart rate
- wearable device
- sleep
- respi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01000002859 sleep apne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06010029412 Nightmar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1100000430 skin reaction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461 rapid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053 non-rapid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3403 autonom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820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02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67 sleep st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52 non REM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622 sleep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89 sympa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2519 Poor quality slee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14 Skin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303 breathing proble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4 parasympa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3 skin re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06F19/3418—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장치(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하고, 깊은 수면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기기의 작동으로 조명, 오디오 기기, TV 등을 꺼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기 안전사고 및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고,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 줌으로써, 기상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earer's wearer's wearer's body, Audio equipment, TV, and the lik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take a comfortable sleep while preventing electric safety accidents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in the morning, when the user's brain is awake but is not awake (IoT) function capable of making an environment where the weather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lighting device, the audio device, or the coffee maker, And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device.
오늘날, 무선 네트워크 기술 분야의 발전으로 생활이 훨씬 쉬워졌다. 에어컨, 팬, TV와 같은 가전제품에서부터 차량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것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안락한 삶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감시(monitoring)하고 특정 활동을 돕기 위한 것이다.Today, advances in wireless network technology have made life a lot easier. Almost everything from home appliances such as air conditioners, fans and TVs to cars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These technological advances are helping to monitor our health as well as for a comfortable life. In addition, this new concept is intended to monit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assist in certain activities.
사람들 중에는 잠자기 전에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이 있으며, 때때로 그와 같이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는 동안 잠들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음악을 듣는 동안 볼륨을 크게 하는 습관이 있다. 시끄러운 음악과 함께 잠에 빠지는 것은 잠자는 동안 귀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귀에 대한 연속적인 소리, TV에서 나오는 소리 또는 사용자 주위를 밝히는 조명이 사용자를 잠에서 깨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든 후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스마트하게 감지하여 자동으로 해당 장치 및 조명을 끄는 장치가 있으면 좋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악몽을 꾸거나 잠자는 동안 호흡 문제(예컨대, 수면 무호흡증)가 있을 때 주위 사람이나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Many people have a habit of listening to music or watching TV before going to bed, sometimes sleeping while listening to music or watching TV. Some people have a habit of increasing volume while listening to music. Falling asleep with loud music can damage your ears while you sleep. In addition, a continuous sound for the ear, a sound from the TV, or a light illuminating the user's surroundings can awaken the user from sleep. Therefore, it would be good if there is a device that smartly senses the user's sleeping state after the user is asleep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device and the light. It would also be nice if there was a device that could warn people or people around them when they had a nightmare or had a breathing problem (such as sleep apnea) while sleeping.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1122호(특허문헌 1)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면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터 네트워크에서 수면환경 제공 방법은, 수면자 단말기 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서버에 기저장된 수면시간을 통해 수면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가 선택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서버에 전송된 영상정보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서버는 기저장된 체온 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체온의 정상범위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기가 수신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1122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 system for providing a sleeping environment in a ubiquitous sensor network ",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leeping environment in the ubiquitous center network, A sleep mode is set through a sleep time previously stored in a wireless terminal or a ubiquitous sensor network serve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a video server, the infrared radiographed camera being selecte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image server to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server;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server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with the image information to discriminate a normal range of body temperatur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household appliance corresponding to the body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s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al details of the home appliances to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server.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적외선 열 감지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면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에 맞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수면이 될 수 있고, 수면자의 체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체온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이상징후를 확인하여 수면자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으며, 체온의 이상으로 응급상황 발생시 수면자, 주변 사람들 또는 기관에 연락함으로써, 빠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수면자의 체온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면자의 다른 생체 정보, 예를 들면 심장 박동이나 호흡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혹은 수면자가 악몽에 시달린다거나 할 경우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sleeping environment by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a sleeping person by using an infrared heat sensing camera to provid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body temperature, and by confirming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leeping pers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health of a sleeping person by confirming an abnormal symptom,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quick emergency treatment by contacting a sleeping person, nearby people or an institu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due to abnormal body temperature. However, since Patent Document 1 uses only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leeping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cope with othe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leeping person,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heartbeat or breathing, or when the sleeping person suffers a nightma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잠들어 있으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장치(기기)가 수면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설정치에 기반하여 조명, TV 등을 끄고, 사용자가 악몽을 꾸거나 운전중에 잠에 빠져들 때, 잠자는 동안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 줌으로써, 기상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sideration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sleep state by a device (device) worn by a user when the user is asleep, To alert the user when a user has a nightmare or fall asleep while driving, or if sleep apnea occurs during sleep, to allow the user to take a comfortable sleep, and to avoid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at risk The user can be protected and in the morning the user's brain can be awakened, but in an unfrequented state, by lighting, turning on the audio device, or taking the coffee from the coffee maker, etc., (Wearable) with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Internet of Thing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s,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by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and an IoT function worn on a user's body,
a) 활동중 및 수면(Non-REM 및 REM) 동안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모니터링을 유지하는 단계;a) maintaining monitoring of a user's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by the wearable device during activity and during sleep (Non-REM and REM);
b) 상기 모니터링에 따른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를 훈련시키는 단계;b) recording data on a user's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and training a device for identifying a user's state using the recorded data;
c) 사용자의 심박수(HR), 호흡 및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훈련된 장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면을 감지하는 단계; 및c) monitoring the user's heart rate (HR), breathing and body temperature, and comparing the data with the trained device to detect sleep; And
d) Non-REM 단계 동안 사용자의 과거 훈련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심박수(HR),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률이 규칙적으로 되면,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기기로 전송하는 ES(Environment Switching)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d) During the non-REM phase, if the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ory rate become regular as compared with the user's past training data, an ES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witching operation.
여기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은 조명 끄기, 조명 약하게 하기, TV 끄기, 미디어 요청 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d),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ighting off, lighting down, TV off, and media request off.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Wi-Fi, 블루투스,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d), the usable mediu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and infrared rays.
여기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심박수(HR), GSR(Galvanic Skin Response)-발한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ontinuing monitoring of heart rate (HR), GSR (Galvanic Skin Response) - sweating, preferably also when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REM과 NREM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은지 판별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heart rate (H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sweating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sweating in the REM and NREM states; And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으면 악몽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HR of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sweating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sweating, the user is regarded as a nightmare and the user is aler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호흡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continuously monitoring respiration when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breathing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monitoring process; And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되고 피부 전도도가 증가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기반하여 영역 내의 다른 사람이 착용한 다른 장치에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ay be considered to be sleep apnea if the respiration of the user is interrup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kin conductivity is increased, and warning to the user or warning to other devices worn by other people in the area based on the user setting.
이때,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10초 이상 중단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user's breathing is stopped for 10 seconds or longer, it can be regarded as sleep apnea.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일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작동에 의해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려주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urning on the lighting, the audio device, or allowing the coffee maker to lower the coffee by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preferably in the morning when the user's brain is awake but not waking up.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잠들어 있으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장치(기기)가 수면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설정치에 기반하여 조명, TV 등을 끄고, 사용자가 악몽을 꾸거나 운전중에 잠에 빠져들 때, 잠자는 동안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s asleep, a device (device)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senses the sleeping state and turns off lights, a TV or the like based on preset values set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hen falling asleep while driving, when sleep apnea occurs during sleep, the user can be alerted by taking a comfortable sleep, and the user can be protected from situations in which the user may be at risk .
또한,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 줌으로써, 기상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orning, when the user's brain is awake but is not waking up,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easier to do weather by turning on lights, audio devices, or taking coffee from a coffee maker have.
도 1은 인간의 자율 신경계 및 그 기본 작용(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깨어 있는 상태와 REM/non-REM 수면 상태 중의 심박동수(HR) 및 심박변이(HRV)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손목시계형 측정기기(장치)와 호흡 수 감지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손목시계형 측정기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장치)를 이용한 ES 시나리오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에서 악몽 감지 및 경고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에서 수면 무호흡증 및 경고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human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its basic function (func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heart rate HR and heart rate variation (HRV) during a user awake state and REM / non-REM sleep state.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wristwatch-type measuring device (apparatus) and a breathing water detector which are employed for implement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wearing the breathing water detector.
FIG. 5 is a view showing a wristwatch-type measuring apparatus (apparatus) employed for implementing an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ES scenario using a wearable device (device) worn by a user.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ightmarish detection and warning process in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leep apnea and warning process in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device " Lt; / RTI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인간의 수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arnest, firstly, the sleep of a human being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인간의 자율 신경계 및 그 기본 작용(기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사용자가 깨어 있는 상태와 REM/non-REM 수면 상태 중의 심박동수(HR) 및 심박변이(HRV)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its basic functions (functions) of a human, FIG. 2 is a diagram showing heart rate HR and heart beat variation (HRV) in a wakeful state and REM / non-REM sleep state to 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간의 자율 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100)는 활동과 관련된 행동을 담당한다. 교감 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100a)는 스포츠, 운동과 같은 교감 신경 활동을 제어하지만, 부교감 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NS)(100b)는 "수면"을 담당한다. 여러 연구에서 교감 신경 활동 중에 사람의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는 반면, 부교감 신경 활동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잠에 대한 인체 반응의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100 is responsible for activities related to activities.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100a controls sympathetic activity such as sports and exercise, whil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NS) 100b is responsible for sleep.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while human heart rate increases during sympathetic activity, heart rate decreases in parasympathetic activ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is phenomenon of human response to sleep.
수면에는 기본적으로 4가지 단계가 있다. 즉, 비신속 안구 운동(Non Rapid Eye Movement: NREM)의 1단계, NREM의 2단계, NREM의 3단계 및 신속한 안구 운동 (Rapid Eye Movement: REM) 단계로 구성된다.There are basically four levels of sleep. It consists of the first stage of Non Rapid Eye Movement (NREM), the second stage of NREM, the third stage of NREM and the Rapid Eye Movement (REM) stage.
첫 번째 두 단계인 NREM 1단계와 2단계는 가벼운 수면 단계인 반면, 다른 두 단계인 3단계와 REM 단계는 깊은 수면 단계이다. 이상의 수면 단계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The first two stages NREM 1 and 2 are light sleep stages, while the other two stages, the third and the REM stage, are deep sleep stages.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se sleeping steps.
NREM 1단계: 이 단계는 거의 1분에서 10분 정도 지속된다. 이 단계에서 당신은 가볍게 잠들어 있거나 몸이 잠들 준비를 하고 있는 것과 같다. 이 단계에서는 쉽게 깨어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호흡이 느려지고, 심장 박동이 정상으로 되는 것과 같은 생리학적 변화가 발생하면, 혈압과 뇌 온도에서의 감소가 발생한다.NREM Step 1: This step lasts for almost 1 to 10 minutes. At this stage you are asleep lightly or as your body is getting ready to fall asleep. At this stage, you can easily wake up. During this period, when physiological changes occur, such as slowing breathing and normal heartbeat, a decrease in blood pressure and brain temperature occurs.
NREM 2단계: 이 단계는 약 20분 정도 지속된다. 이 단계에서 심박수(HR)가 느려지면서 체온이 감소하고 혈압이 감소한다.NREM Step 2: This step lasts about 20 minutes. At this stage, as the heart rate (HR) slows down, body temperature decreases and blood pressure decreases.
NREM 3단계: 이 단계는 초기 단계에서 REM 단계로의 전환 시간이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단계 후 35 내지 45분 후에 시작된다. 이 단계는 때로는 "델타 단계"라고도 한다. 이 단계에서 교란 등으로 인해 잠에서 깨어났다면 몇 분 동안 방향 감각이 상실될 수 있다.NREM Phase 3: This is the transition time from the initial phase to the REM phase. This step generally begins 35 to 45 minutes after the first step. This step is sometimes called the "delta step". If you wake up at this stage because of disturbances, you may lose your sense of direction for a few minutes.
REM 단계: 이 단계는 NREM 1단계에서 90분 후에 정상적으로 시작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단계에서 모든 방향으로 눈이 빠르게 움직인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꿈의 대부분이 일어나는 가장 깊은 수면 시간이다. 또한, 이것은 일부 사람들이 잠을 자거나 침대를 적시는 시간이다. 이 단계에서 사람의 심박수가 증가하고 호흡수와 심장 리듬조차도 규칙적이지 않다. 이것은 이 시간 동안 SNS 활동이 꿈을 꾸는 것 때문에 증가하기 때문이다.REM Step: This step starts normally after 90 minutes in NREM Step 1. As the name suggests, the eyes move quickly in all directions at this stage. This is basically the deepest sleep time that most of the dreams take place. In addition, this is the time for some people to sleep or wet the bed. At this stage, the person's heart rate increases and even the respiratory rate and heart rhythm are not regular. This is because during this time the SNS activity increases due to the dreaming.
그러면, 이상과 같은 수면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leep-related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일단 사용자가 활동중 및 수면 (Non-REM 및 REM) 동안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단계 S301). 여기서, 이와 같은 모니터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장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시계형 측정기기(장치)(410)와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형 호흡 수 감지기(4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3,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nd an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and an IoT function, (HR),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by the wearable device once during the active and non-REM (Non-REM and REM) (step S301). 4 and 5, the wristwatch-
또한, 상기 모니터링에 따른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예컨대, 손목시계형 측정기기(410))를 훈련시킨다(단계 S302).In addition, a device (for example, a wristwatch-type measuring device 410) for recording data on a user's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and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user using the recorded data (Step S302).
이후, 사용자의 심박수(HR), 호흡 및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훈련된 장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수면(즉, 수면 상태)을 감지한다(단계 S303).Then, the user's heart rate (HR), respiration and body temperature are monitored, and the data obtained by the monitoring is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trained device to detect the user's sleeping state (i.e., the sleeping state) (step S303).
사용자의 수면 상태, 즉 Non-REM 단계 동안 사용자의 과거 훈련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심박수(HR),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률이 규칙적으로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기기로 전송하는 ES(Environment Switching)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304). 여기서,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은 조명(601) 끄기, 조명(601) 약하게 하기, TV(602) 끄기, 미디어 요청 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Wi-Fi, 블루투스,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HR,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respiration rate become regular when the user's sleep state, that is, the non-REM step, is compared with the user's past training data, An ES (Environment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transmit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evice to the device (step S304). Here,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urning off the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심박수(HR), GSR(Galvanic Skin Response)-발한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S701)와; REM과 NREM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은지 판별하는 단계(S702);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으면, 악몽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S7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when the user is in the sleep state, the heart rate (HR), the GSR (Galvanic), and the heart rate Skin Response) - continuously monitoring perspiration (S701); Step S702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heart rate H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sweating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sweating in the REM and NREM states; And if the heart rate HR of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perspiration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perspiration, the user is regarded as a nightmare and the user is warned (S703).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호흡률 및 피부 전도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S801)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호흡(호흡률)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호흡률 간격이 일정 시간 이상 증가)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802);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되고 피부 전도도가 증가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기반하여 영역 내의 다른 사람이 착용한 다른 장치에 경고하는 단계(S8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10초 이상 중단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onitors respiration rate and skin conductivity when the user is in the sleep state, as shown in FIG. 8 Step S801; (S802)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breathing rate (respiration rat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respiratory rate interval is increa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onitoring process; And a step (S803) in which the user is regarded as sleep apnea if the respiration of the user is interrup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the skin conductivity is increased, and warning to the user or warning to another device worn by another person in the area based on the user setting can do. At this time, if the user's breathing is stopped for 10 seconds or longer, it can be regarded as sleep apnea.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일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410, 420)의 작동에 의해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려주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user's brain is awake in the morning, And turning on the audio device or letting the coffee maker lower the coffee.
여기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장치)와 관련하여 부연 설명을 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earable device (apparatus) used for realizing the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the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 개념적 모델 ><Conceptual model>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장치)는 심박수 감지, 체온 감지 및 땀 발생 감지용 갈바니 피부 반응 감지기(GSR-발한)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호흡수를 감지하기 위한 추가 모듈은 "Locket" 형태로,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주위에 착용된다.The wearable device (apparatus) used for realiz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lvanic skin reaction sensor (GSR-sweating) for detecting heart rate, body temperature, Features. However, users can add other modules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An additional module for sensing respiratory rate is in the "Locket" form, which is worn around the user ' s neck, as shown in Fig.
장치 모델에 따라 이러한 심박수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GSR-발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수면 및 스트레스 수준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Depending on the device model, these heart rate data, temperature data, and GSR-sweating data are used to detect the user's sleep and stress levels.
추가 모듈(로켓)과 함께 중요한 메모 장치에서 수면 무호흡을 감지할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은 사람이 일정 기간 동안 호흡을 멈추는 것으로, 매우 위험할 수 있고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이다.With an additional module (rocket), you can detect sleep apnea in an important memo device. Sleep apnea is a health problem that can stop people breath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can be very dangerous and can cause serious problems.
따라서 수면과 ES(Environment Switching)를 감지하는 것 외에, 장치의 설정에 따라 이 장치는 잠자는 동안 사람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ES에 경고하고 그러한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에 영역 내의 다른 사람이 착용한 다른 장치에도 경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설정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거나 이메일을 통해 설정에 나열된 이메일 수신자에게 보낼 수도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detecting sleep and ES (Environment Switching),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 device will detect the condition of the person during sleep and warn the user, the ES, and, if such a problem occurs, Devices can also be warned. Based on these data settings, you can automatically upload them to the cloud or email them to the email recipients listed in your settings.
< 본 발명에 도입된 솔루션 >≪ Solution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
연구에 따르면 18세 이상의 성인의 평상시 휴식 심박수는 분당 60 ~ 80 비트(bpm)이지만, 운동 선수의 경우 약간 낮을 수 있다고 한다. 반면, 6 세에서 15 세 사이의 어린이의 경우 정상적인 휴식 심박수는 70에서 100 bpm 사이라고 한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자신의 평균 휴식 마음(심장)이 있다. "Neuropsychopharmacology"(2001)에서 K Krauchi 박사가 진행한 연구에서, 분당 64 비트에서 분당 52 비트의 평균 심장 박동이 약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여러 연구는 NREM 수면 중 심장 박동수의 비슷한 감소를 나타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단계 수면 중에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이 규칙적으로 된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면 탐지를 위해 이 개념을 활용한다.Studies have shown that the normal resting heart rate for adults over age 18 is 60 to 80 bits per minute (bpm), but it may be slightly lower for athletes. On the other hand,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6 and 15, the normal resting heart rate is between 70 and 100 bpm. So, everyone has their average resting heart (heart). In a study conducted by Dr. K Krauchi in "Neuropsychopharmacology" (2001), the average heart rate of 52 bits per minute decreased by about 8% at 64 bits per minute. Other studies show a similar decrease in heart rate during NREM sleep. Studies have shown that body temperature falls during the first stage of sleep and breathing becomes regular. Thus,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is concept for sleep detection in a wearable device.
< 웨어러블 기기(장치)의 개요 ><Outline of wearable device (device)>
본 발명에 채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밴드로 착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장치)는 모듈식 개념이다. 추가 기능 중,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흡 수 감지기(420)는 마이크를 기반으로 한다. 마이크는 호흡 소리를 포착하고, 호기 횟수를 기반으로 호기 속도가 계산된다. 따라서 호기 음향을 포획하려면 장치가 입 가까이에 있는 것이 좋다. 그래서 호흡률 탐지용 부가물(즉, 호습 수 감지기(420))은 목에 착용되는 "LOCKET"형태로 된다. 이 부가물(즉, 호습 수 감지기(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주위에 착용하는 손목시계형 측정기기(장치)(410)와 동기화되어 하나로 작동한다. The wearable device (devic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as a wrist band, as shown in Figs. As described above, such a wearable device (device) is a modular concept. Of the additional functions, the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잠들어 있을 경우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고 있는 장치(기기)가 수면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설정치를 바탕으로 조명, TV 등을 끄고, 사용자가 악몽을 꾸거나 운전중에 잠에 빠져들 때, 잠자는 동안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the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asleep, a device (device) Turn off lights, TV, etc. based on the set values that have been set, and alert the user when a user has a nightmare, falls asleep while driving, or has a sleep apnea during sleep, so that the user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protected from situations in which the user may be at risk.
또한,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 줌으로써, 기상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orning, when the user's brain is awake but is not waking up,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easier to do weather by turning on lights, audio devices, or taking coffee from a coffee maker hav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Be clear to the technicia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자율 신경계 100a: 교감 신경계
100b: 부교감 신경계 410: 손목시계형 측정기기(장치)
420: 호흡 수 감지기 601: 조명
602: TV100: autonomic
100b: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410: wristwatch type measuring apparatus (apparatus)
420: Breathing water detector 601: Lighting
602: TV
Claims (7)
a) 활동중 및 수면(Non-REM 및 REM) 동안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모니터링을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니터링에 따른 사용자의 심박수(HR), 체온, 호흡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를 훈련시키는 단계;
c) 사용자의 심박수(HR), 호흡 및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훈련된 장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면을 감지하는 단계; 및
d) Non-REM 단계 동안 사용자의 과거 훈련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심박수(HR),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률이 규칙적으로 되면,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기기로 전송하는 ES(Environment Switching)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by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and an IoT function worn on a user's body,
a) maintaining monitoring of a user's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by the wearable device during activity and during sleep (Non-REM and REM);
b) recording data on a user's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and training a device for identifying a user's state using the recorded data;
c) monitoring the user's heart rate (HR), breathing and body temperature, and comparing the data with the trained device to detect sleep; And
d) During the non-REM phase, if the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ory rate become regular as compared with the user's past training data, an ES And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IoT function.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은 조명 끄기, 조명 약하게 하기, TV 끄기, 미디어 요청 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evice in step d) includes a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lighting off, lighting down, TV off, and media request off, and an IoT function.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Wi-Fi, 블루투스,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able medium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and infrared rays, and in the step d),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and the IoT function are performed.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심박수(HR), GSR(Galvanic Skin Response)-발한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REM과 NREM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은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HR)가 평균 심박수(HR)보다 크고, GSR-발한이 평균 GSR-발한보다 높으면 악몽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inuously monitoring heart rate (HR), GSR (Galvanic Skin Response) - sweating when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Determining whether the heart rate HR of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sweating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sweating in the monitoring process in the REM and NREM states;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heart rate HR of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art rate HR and the GSR-sweating is higher than the average GSR-sweating, the user is regarded as a nightmare and warns the user. Method of using environment control.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호흡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사용자의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되고 피부 전도도가 증가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기반하여 영역 내의 다른 사람이 착용한 다른 장치에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inuously monitoring breathing when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breathing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monitoring process;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respiration of the user is interrup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skin conductivity is increased, the respiration is regarded as sleep apnea and the warning is given to the user or other device worn by another person in the area based on user setting And an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having an IoT function.
상기 사용자의 호흡이 10초 이상 중단되면 수면 무호흡으로 간주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reathing of the user is regarded as sleep apnea if the respiration is stopped for 10 seconds or more, and the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having the IoT function.
아침에 사용자의 뇌는 깨어 있으나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일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작동에 의해 조명, 오디오 기기를 켜주거나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를 내려주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및 IoT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경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the lighting, the audio device or the coffee maker by operating the wearable device in the morning when the user's brain is awake but not awake.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438A KR20180083188A (en) | 2017-01-12 | 2017-01-12 |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438A KR20180083188A (en) | 2017-01-12 | 2017-01-12 |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188A true KR20180083188A (en) | 2018-07-20 |
Family
ID=6310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438A KR20180083188A (en) | 2017-01-12 | 2017-01-12 |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3188A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3314B1 (en) * | 2019-04-18 | 2020-07-13 | 광주과학기술원 | Method for optimizing sleep |
KR20200130006A (en) *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엔플러그 |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
KR20220126473A (en) | 2021-03-09 | 2022-09-16 | (주)아와소프트 | In-ear typ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instrument |
KR20220126846A (en) | 2021-03-09 | 2022-09-19 | (주)아와소프트 |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
US11511072B2 (en) | 2018-11-23 | 2022-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editation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30100360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Remote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63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59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65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based on wearable device |
KR20230100361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US12126465B2 (en) | 2022-02-07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rver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based on sleep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757A (en) * | 2008-07-02 | 2010-01-12 | 배원규 | Alarm clock and the method using ram sleep and light |
KR20120051122A (en) | 2010-11-12 | 2012-05-22 | 디노플러스 (주) | Providing system of sleeping environ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140003867A (en) * | 2012-06-29 | 2014-01-10 | 전자부품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apnea and stage of sleep |
KR20150098098A (en) * | 2014-02-19 | 2015-08-27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for qualitatively improving sleeping status of user and control device and service device therefor |
KR101578729B1 (en) * | 2014-06-30 | 2015-12-18 | 주식회사 지파워 | Waking up device for finding out sleeping stage using bio-signal and method thereof |
KR20160012780A (en) * | 2014-07-25 | 2016-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7
- 2017-01-12 KR KR1020170005438A patent/KR2018008318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757A (en) * | 2008-07-02 | 2010-01-12 | 배원규 | Alarm clock and the method using ram sleep and light |
KR20120051122A (en) | 2010-11-12 | 2012-05-22 | 디노플러스 (주) | Providing system of sleeping environ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140003867A (en) * | 2012-06-29 | 2014-01-10 | 전자부품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apnea and stage of sleep |
KR20150098098A (en) * | 2014-02-19 | 2015-08-27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for qualitatively improving sleeping status of user and control device and service device therefor |
KR101578729B1 (en) * | 2014-06-30 | 2015-12-18 | 주식회사 지파워 | Waking up device for finding out sleeping stage using bio-signal and method thereof |
KR20160012780A (en) * | 2014-07-25 | 2016-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11072B2 (en) | 2018-11-23 | 2022-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editation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133314B1 (en) * | 2019-04-18 | 2020-07-13 | 광주과학기술원 | Method for optimizing sleep |
KR20200130006A (en) *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엔플러그 |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
KR20220126473A (en) | 2021-03-09 | 2022-09-16 | (주)아와소프트 | In-ear typ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instrument |
KR20220126846A (en) | 2021-03-09 | 2022-09-19 | (주)아와소프트 |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
KR20230100360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Remote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63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59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KR20230100365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based on wearable device |
KR20230100361A (en) | 2021-12-28 | 2023-07-05 | (주)아와소프트 |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
US12126465B2 (en) | 2022-02-07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rver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based on sleep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83188A (en) |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with bio signal measurement and IoT(Internet of Things) | |
EP3376343B1 (en) | Technique for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 |
US953895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human monitoring | |
EP3132739B1 (en) |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 |
US10117616B2 (en) | Apnea safety control | |
KR10242375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sound sleep | |
US931458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sleep | |
CN102481121B (en) | Consciousness monitoring | |
WO2017140054A1 (en) | Emotion adjustment apparatus, wearable device and hat for easing emotion | |
US20160292983A1 (en) | Wearable infant monitoring device | |
US10223497B2 (en) | Infant learning receptivity detection system | |
US20110190594A1 (en) |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assess and improve quality of sleep | |
JP2017164526A (en) | Method for predicting arousal level and arousal level prediction apparatus | |
US20160287073A1 (en) | Infant monitoring hub | |
US10839705B2 (en) | Intelligent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infant monitoring hub and infant learning receptivity detection system | |
US20160287097A1 (en) | Remotely aggregating measurement data from multiple infant monitoring systems | |
JP2018517995A (en) | Analysis of aggregate infant measurement data, prediction of infant sleep patterns, derivation of infant models based on observations related to infant data, creation of infant models using inference, and derivation of infant development models | |
CN114901335A (e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humidification | |
US20160292986A1 (en) | Remote aggregation of data relating to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infants | |
WO202106455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electronic devices | |
US20220096002A1 (en) | Biometric detection using multiple sensors | |
US11317826B2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spiratory state | |
JP2005226882A (en) |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baby bed and bed for caring | |
US20160292984A1 (en) | System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an infant | |
US20160292981A1 (en) | System for monitoring the suitablili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n inf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