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167A -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167A
KR20220153167A KR1020210060233A KR20210060233A KR20220153167A KR 20220153167 A KR20220153167 A KR 20220153167A KR 1020210060233 A KR1020210060233 A KR 1020210060233A KR 20210060233 A KR20210060233 A KR 20210060233A KR 20220153167 A KR20220153167 A KR 2022015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area
content providing
image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290B1 (ko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오트
Priority to KR102021006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2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이동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로그(log), 상기 컨텐츠 영상 및 상기 이동수단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업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PERSONAL MOBI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 휠 등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단말을 통해 주행 환경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3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 파괴 문제와 고유가, 그리고 웰빙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서 저탄소 녹색 성장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으며, 특히 실생활 측면에서는 교통 체증 및 환경 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 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의 근거리 개인형 이동수단이 많이 이용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은 환경적인 측면 외에도 타는 재미까지 갖추고 있어 젊은 층 사이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형 이동수단에도 IT 기술이 접목되어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개인에게 탑승 수단을 제공하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기본 기능 이외에도 주행 과정의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개인형 이동수단은 개인이 손쉽게 이용 가능하고 도로뿐 아니라 좁은 골목 등 통행 가능한 모든 지역에서 주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비용으로 제한적으로 이용되던 기존의 교통수단을 통한 외부 광고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0-00099224호 (2020.08.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 휠 등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단말을 통해 주행 환경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3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행 중이거나 주차 중인 상황에서 컨텐츠 영상이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지면 상에 동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을 향해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동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로그(log), 상기 컨텐츠 영상 및 상기 이동수단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업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 관리, 지역 기반 이미지 관리, 밀집도 관리 및 사용자 맞춤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상태 검출부; 상기 이동수단의 위치와 상기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스크린 영역의 형상,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스크린 영역 결정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상기 스크린 영역을 향해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및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동작 로그를 업로드 하는 로그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상태 검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주행방향의 전면 및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스크린 영역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가 상기 주행방향의 좌우측면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스크린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상기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사할 수 있다.
상기 주행상태 검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주차 상태가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스크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서버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을 통해,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을 통해, 상기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 관리, 지역 기반 이미지 관리, 밀집도 관리 및 사용자 맞춤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 휠 등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단말을 통해 주행 환경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3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주행 중이거나 주차 중인 상황에서 컨텐츠 영상이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지면 상에 동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을 향해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텐츠 제공 단말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텐츠 제공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 컨텐츠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에 결합되고 주행 상태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소정의 방향으로 투사하도록 구현된 영상 투사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수단은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 해당할 수 있으며,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소정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원통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현된 결합부재를 통해 원통형으로 구현된 이동수단 지지대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는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손잡이, 지지대, 발판 등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과의 결합에 따라 이동수단의 인근에 형성되는 스크린 영역으로 소정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크린 영역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 의해 투사된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가상의 화면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의 인근 지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영역은 기본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영역은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형상의 크기나 위치는 이동수단의 형태, 컨텐츠 제공 단말(110)과 이동수간 간의 결합 방식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컨텐츠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50)과 각각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110)들은 컨텐츠 서버(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컨텐츠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50)과 연동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복수의 동작들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화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큐브(cub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소형화됨에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외장형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형 배터리는 5000mAh 충전 용량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교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컨텐츠 영상의 투사를 수행하기 위해, 충격 흡수, 진동 방지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비 등의 외부 날씨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방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이동수단과 분리된 형태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이동수단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여기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동작 및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50)과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30)는 데이터의 전송 또는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동작 로그(log), 컨텐츠 영상 및 이동수단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서버(130)는 각 컨텐츠 제공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동작 로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컨텐츠 영상 및 이동수단의 식별정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는 동작 로그, 식별정보 및 주행 상태에 관한 상황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주행 정보, 경로 정보, 환경 정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로그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수행되는 컨텐츠 영상의 제공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을 관리하고, 지역 기반 이미지를 관리하며, 밀집도 관리 및 사용자 맞춤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130)는 각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을 추적하여 히스토리 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영상을 지역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영상이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광고에 해당하는 경우, 컨텐츠 서버(130)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광고 타겟 지역을 지정할 수 있고, 해당 타겟 지역의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게만 해당 광고를 전송하여 해당 타겟 지역 내에서 타겟팅 된 광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을 컨텐츠 서버(130)에 업로딩하고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동작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5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 및 컨텐츠 서버(130)과 연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 및 컨텐츠 서버(13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들은 컨텐츠 서버(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컨텐츠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컨텐츠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관리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직접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서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영상의 노출 시간, 노출 지역, 노출 횟수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컨텐츠 제공 단말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컨텐츠 제공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주행상태 검출부(310),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 컨텐츠 수신부(350), 프로젝터부(370), 로그 관리부(39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과 연결되어 동작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동작 정보에 따라 이동수단이 주행 중인지 또는 정차 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상태신호(예를 들어, 주행 신호 또는 정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하여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는 주행 상태 검출을 위해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해당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충격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GPS 좌표, 가속도, 각속도, 충격량 등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에 관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위치 변화는 이동수단의 위치 변화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50)과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직접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사용자 단말(150)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주차 상태가 검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150)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의 이동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는 크게 주행 중인 경우와 정차 중인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주행 중인 경우에도 주행 속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정차 중인 경우에도 정차 시간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이 주행을 중단하고 주차 상태로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 해당 변경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50)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즉,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사용자 단말(150)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이동수단의 주차 시점 이후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이동수단의 위치와 주행 상태에 따라 스크린 영역의 형상,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스크린 영역은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어 제3자에게 노출되는 화면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동수단의 인근 지상에 형성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에 의해 정의되는 스크린 영역은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의 지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동수단이 정차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지상에 위치한 장애요소들로 인해 스크린 영역으로 투사된 컨텐츠 영상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스크린 영역의 위치와 형상, 크기 등을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컨텐츠 영상이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이동수단이 주행 중인 경우라면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측방에 스크린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스크린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후방을 향해 컨텐츠 영상을 투사 가능한 위치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이동수단에 결합된 위치를 기초로 이동수단의 위치,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스크린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주행방향의 전면 및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스크린 영역의 위치로 결정하며 주행속도에 따라 스크린 영역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이동수단이 주행 중인 경우 이동수단의 측방에 형성되는 스크린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동수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이동수단의 측방에 주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크린 영역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 스크린 영역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영역의 형상은 통상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크린 영역의 크기 역시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 또는 주행속도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사용자 단말(150)의 이동경로 상에 스크린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주행상태 검출부(310)는 이동수단의 주차 상태가 검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150)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의 이동경로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는 이동수단이 주차된 위치를 기준으로 사람이 이동 가능한 통로가 존재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사람이 이동 가능한 통로의 위치를 중심으로 스크린 영역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이 해당 지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수단이 주차된 경우 주차위치나 방향, 공간의 구조에 따라 컨텐츠 영상이 제대로 노출되지 못하는 노출 불능 위치가 존재할 수 있으며,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는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따라 스크린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노출 불능 위치를 회피함과 동시에 컨텐츠 영상의 노출 효과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350)는 컨텐츠 서버(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350)는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자체적으로 저장된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또는 상시적으로 컨텐츠 서버(130)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여 내부 저장된 컨텐츠 영상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게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면서 컨텐츠 영상 별로 제공 횟수나 제공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350)는 컨텐츠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 의해 컨텐츠 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컨텐츠 영상에 설정된 제공 조건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젝터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스크린 영역을 향해 투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부(370)는 설정된 방향을 향해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광 투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터부(370)는 투사 방향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젝터부(37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좌우 이동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우 이동에 사용되는 보조 레일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보조레일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결합되는 이동수단의 결합부위의 구조에 따라 직선형, 곡선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부(37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이 이동수단에 고정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컨텐츠 영상을 소정의 방향과 각도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터부(370)는 스크린 영역의 위치가 주행방향의 좌우측면으로 결정된 경우 스크린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부(370)는 주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크린 영역에 맞춰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크린 영역 내에서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만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특히, 스크린 영역 내의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프로젝터부(370)는 스크린 영역 내에서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컨텐츠 영상이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상 영역에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컨텐츠 영상은 이동수단의 이동에 맞춰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컨텐츠 영상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력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프로젝터부(370)는 컨텐츠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수단의 이동에 맞춰 변경함으로써 지상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이 이동수단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재생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부(370)는 이동수단의 주행속도에 따라 스크린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컨텐츠 영상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젝터부(370)는 이동수단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컨텐츠 영상의 이동속도도 빠르게 조절하여 지상에서 투영되는 컨텐츠 영상이 가능한 일정한 장소에서 재생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부(370)는 이동수단의 주행 과정에서 스크린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컨텐츠 영상을 반복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린 영역을 통해 재생되는 되는 컨텐츠 영상은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부(370)는 이동수단의 주행속도에 따라 스크린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컨텐츠 영상 간의 반복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수단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컨텐츠 영상 간의 반복 간격은 짧아질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부(370)에 의해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사전에 생성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젝터부(370)는 컨텐츠 영상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스크린 영역 전체를 향해 투사할 수 있으며, 스크린 영역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은 프로젝터부(370)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3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터부(370)는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젝터부(370)는 이동수단의 주차 상태에서도 컨텐츠 영상의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전기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한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부(370)는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정의된 절전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프로젝터부(37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특정 시점에만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충전량이 작아질수록 설정된 시간 간격을 증가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390)는 컨텐츠 서버(130)로 동작 로그(log)를 업로드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39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동작에 관한 로그를 생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39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로그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컨텐츠 서버(130)에 업로딩할 수 있으며,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들로부터 수신된 동작 로그를 통해 각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컨텐츠 제공 현황 및 통계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주행상태 검출부(310), 스크린 영역 결정부(330), 컨텐츠 수신부(350), 프로젝터부(370) 및 로그 관리부(39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서버(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컨텐츠 제공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10). 이때, 컨텐츠 서버(130)는 컨텐츠 영상 별로 재생 시간, 재생 위치 등을 특정하는 설정 정보를 컨텐츠 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해당 설정 정보에 따라 컨텐츠 영상의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30).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는 크게 주행 중인 경우와 주차 중인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는 다양한 상황 별로 정의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지면 상에 형성된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투사할 수 있다(단계 S450). 이에 따라, 컨텐츠 영상은 이동수단의 인근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영상이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에 해당하는 경우, 이동수단의 주행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에게 노출된 경우 소정의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수단(510)의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텐츠 제공 단말(110)을 통해 지면 상에 형성된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소정의 컨텐츠 영상(53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영역의 형상, 위치 및 크기는 이동수단(510)에 결합된 위치, 이동수단(510)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큐브(cube) 형상을 가진 소형화된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를 통해 이동수단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전방의 지면 상에 형성된 가상의 컨텐츠 영역을 향해 컨텐츠 영상(530)을 투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영상(530)은 항상 이동수단의 전방에 표시되어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다. 컨텐츠 영상(530)이 광고인 경우에는 이동수단이 다양한 장소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에게 노출된 결과 높은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의 측면의 지면 상에 형성된 가상의 스크린 영역(550)을 향해 컨텐츠 영상(53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영역(550)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가상의 스크린 영역 내에서 이동수단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컨텐츠 영상(530)이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컨텐츠 영상(53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수단의 주행에도 불구하고 컨텐츠 영상(530)이 잠깐 동안이라도 고정된 위치에서 재생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영상(530)이 소정의 글자로 이루어진 경우, 글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될수록 사람들의 글자 인식력이 향상되어 컨텐츠 영상의 높은 의미 전달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가상의 스크린 영역(550)을 향해 컨텐츠 영상(53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영상(530)은 스크린 영역(550)의 진행에도 불구하고 스크린 영역(550) 내에서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수단의 인근에 있는 사람들은 컨텐츠 영상(530)을 소정의 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이동수단의 주행속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수단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컨텐츠 제공 단말(110)은 글자 등의 단순 이미지만을 투사할 수 있으며, 주행속도가 느려질수록 복잡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0: 컨텐츠 제공 단말 130: 컨텐츠 서버
15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주행상태 검출부 330: 스크린 영역 결정부
350: 컨텐츠 수신부 370: 프로젝터부
390: 로그 관리부
510: 이동수단 530: 컨텐츠 영상
550: 스크린 영역

Claims (6)

  1. 이동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로그(log), 상기 컨텐츠 영상 및 상기 이동수단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업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 관리, 지역 기반 이미지 관리, 밀집도 관리 및 사용자 맞춤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상태 검출부;
    상기 이동수단의 위치와 상기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스크린 영역의 형상,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스크린 영역 결정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상기 스크린 영역을 향해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및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동작 로그를 업로드 하는 로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검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주행방향의 전면 및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스크린 영역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가 상기 주행방향의 좌우측면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스크린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상기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검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주차 상태가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스크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스크린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컨텐츠 제공 단말, 컨텐츠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을 통해, 이동수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을 통해, 상기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스크린 영역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전송시간 관리, 지역 기반 이미지 관리, 밀집도 관리 및 사용자 맞춤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60233A 2021-05-10 2021-05-10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4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33A KR102644290B1 (ko) 2021-05-10 2021-05-10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33A KR102644290B1 (ko) 2021-05-10 2021-05-10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167A true KR20220153167A (ko) 2022-11-18
KR102644290B1 KR102644290B1 (ko) 2024-03-08

Family

ID=8423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33A KR102644290B1 (ko) 2021-05-10 2021-05-10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2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980A (ko) * 2015-11-30 2017-06-08 강봉구 실시간 로드 뷰를 제공하는 스마트 바이크
JP2018044972A (ja) * 2016-09-12 2018-03-22 一世 土本 車両を用いての広告方法
KR20190004149A (ko) * 2017-07-03 2019-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고 서버 및 광고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92685B1 (ko) * 2017-10-27 2020-03-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동형 스마트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99224A (ko) 2019-02-13 2020-08-2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디드 모빌리티 산업에서 골프 영업용 차량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28483A (ko) * 2019-05-30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980A (ko) * 2015-11-30 2017-06-08 강봉구 실시간 로드 뷰를 제공하는 스마트 바이크
JP2018044972A (ja) * 2016-09-12 2018-03-22 一世 土本 車両を用いての広告方法
KR20190004149A (ko) * 2017-07-03 2019-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고 서버 및 광고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92685B1 (ko) * 2017-10-27 2020-03-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동형 스마트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99224A (ko) 2019-02-13 2020-08-2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디드 모빌리티 산업에서 골프 영업용 차량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28483A (ko) * 2019-05-30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90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9922B1 (en) System for managing lost, mislaid, or abandoned property in a self-driving vehicle
KR102159537B1 (ko) 전자 기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53495A1 (en) Inconvenience for passenger pickups and drop offs for autonomous vehicles
KR20190107286A (ko) 차량용 광고 제공 장치 및 차량용 광고 제공 방법
US10992166B2 (en) Vehicle redundant energy system
US11215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based dynamic location sampling
US20210253046A1 (en) Supercapacitor power buffer for vehicle power system
CN104102007A (zh) 头戴式显示器及其控制方法
US20180121151A1 (en) Computer-controlled sidewalk tiles
KR102570164B1 (ko) 공항 로봇 및 그와 연결되는 서버의 동작 방법
US20180308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AV Based Mobile Messaging
US10710501B2 (en) Assisted trailer alignment system
KR20220153167A (ko)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323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yielding space of a platoon
KR102635904B1 (ko)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49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nsumption reduction based on map-based dynamic location sampling
US119274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ynamic in-vehicle content based on driving and navigation data
US202102918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to affect occupant view
KR20230081260A (ko)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의 컨텐츠 투사 장치
KR102512921B1 (ko) 스팟파인더
CN112923948A (zh) 车辆导航播报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50204686A1 (en) Navigation system with landmark recogni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0489456C (zh) 整合定位和指向机制的多功能电子装置与相关方法
CN107816997A (zh) 具有设备操作机制的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US11538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reproduction of an off-roa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