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150A -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 Google Patents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150A
KR20220153150A KR1020210060057A KR20210060057A KR20220153150A KR 20220153150 A KR20220153150 A KR 20220153150A KR 1020210060057 A KR1020210060057 A KR 1020210060057A KR 20210060057 A KR20210060057 A KR 20210060057A KR 20220153150 A KR20220153150 A KR 2022015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nterior light
vehicle
swit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석
Original Assignee
(주)성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성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6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150A/en
Publication of KR2022015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1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pecting an interior lamp for a vehicle, the device comprising: a base; a support body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base and having a lamp, a socket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 switch converting the lamp into a light-off mode, a temporary light-on mode, and a constant light-on mode,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cket and the lamp according to mode conversion by the switch, and an interior lamp for a vehic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unting clips for mounting when buried in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support body back and forth in the base;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indoor light to supply power when the supporter advances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a switch operation unit operating the switch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lamp when the supporter advances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and an optical sensor sensing when the lamp is turned on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check whether the lamp blinks normally for each mode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interior light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Vehicle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천장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실내등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등을 이루는 램프, 스위치용 슬라이더, 마운팅클립, 볼트 등의 장착 유무 및 정위치 장착 여부를 검사하면서 스위치를 자동으로 조작하여 램프의 점등 여부를 검사하고 측정된 조도를 통해 기설정된 조도값 범위 내의 램프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n interior light installed in an interior ceiling of a vehicle to illuminate the interior, and in particular, to determine whether a lamp constituting the interior light, a slider for a switch, a mounting clip, a bolt, etc. are mounted and whether they are properly installed. A technology for inspecting an interior lamp for a vehicle capable of inspecting whether a lamp is turned on by automatically operating a switch during inspection and inspecting whether the lamp is within a preset illuminance range through the measured illuminance.

차량용 실내등은 차량의 실내 천장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차량 도어 오픈 시 자동으로 점멸되거나 수동 조작하여 점멸되는 조명기구이다.An interior light for a vehicle is a lighting fixture that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eiling of a vehicle and automatically turns on or off when a vehicle door is opened or is manually operated.

이러한 조명기구인 차량용 실내등에 대한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로는,As a technology related to an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ior light for a vehicle, which is such a light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13896호 (2006.08.1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13896 (registered on August 10,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Automotive parts inspection device using a vision system』 is proposed,

문헌 1은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검사방과, 상기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가 검사방내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자동차부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광원을 공급하는 조명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구성됨으로써, 카메라에서 촬영된 검사대상의 영상과 기설정된 양호한 검사대상의 영상 비교에 의해 제어부에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가 자동적으로 검사될 수 있도록 한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Document 1 discloses an inspection room sealed to block light from the outside, a jig for fixing the automobile parts, a guide unit for moving the jig into the inspection room,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utomobile parts, and a photograph of the camera. It consists of a lighting supplying a light source necessary for the inspection,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vehicle part is defective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monitor display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utomobile parts using a vision system in which a control unit automatically inspects whether or not a vehicle part is defective by compa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good inspection target.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75835호 (2014.12.1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차량의 선바이저 조명부의 조도 및 전류 검사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75835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Illuminance and Current Inspection Device for Sunvisor Lighting Part of Vehicle』 is proposed,

문헌 2는 선바이저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순환식 이동 레일부와, 상기 순환식 이동 레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선바이저를 상기 순환식 이동레일부의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순환식 이동 레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하여 상승된 상기 선바이저의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 및 상기 조명부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검사하는 검사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불량검사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노무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량 제품을 판정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선바이저 조명부의 조도 및 전류 검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discloses a circulating movable rail unit for horizontally transporting a sun visor, a lifting unit provided in the circulating movable rail unit and elevating the sun visor to an upper side of the circulating movable rail unit, and the circular movable rail unit. By including an inspection spac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unit and inspect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of the sun visor raised by the lifting unit and the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lighting unit, the whole process of product defect inspection is included. This technology relates to an illuminance and current inspection device for a sun visor lighting part of a vehicle, which automatically performs and reduces labor costs,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es defective products, and improves product reliability.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13896호 (2006.08.10.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13896 (Registration on August 10, 2006)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75835호 (2014.12.17.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5835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4)

본 발명은 실내등을 이루는 각종 구성요소들의 장착 유무 및 정상 위치 장착 여부 등을 검사하고, 스위치에 의한 램프의 점멸(點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nspect whether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an interior light are mounted and whether or not they are mounted in a normal position, and automatically inspect whether or not a lamp blinks normally by a switch. But it has a purpose.

나아가 본 발명은 실내등 검사 시 실내등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which allows a more accurate and precise inspection to be performed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interior light during the interior light inspection.

아울러 본 발명은 실내등에 대한 검사가 완료된 후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생산일자 등의 롯트넘버를 각인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inting a lot number such as a production date when the interior light is judged to be normal after the inspection of the interior light is completed.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Base;

램프 및 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과, 상기 램프에 대해 소등모드, 일시점등모드, 상시점등모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한 모드 전환에 맞게 상기 소켓과 상기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과, 차량의 천장 매립 시 장착을 위한 다수의 마운팅클립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실내등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체;A lamp and a socket for supplying power thereto, a switch for converting the lamp into an off mode, a temporary lighting mode, and a constant lighting mode,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cket and the lamp according to mode conversion by the switch and a support body disposed above the base, on which an interior light for a vehicle is seated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unting clips for mounting when buried in a ceiling of a vehicle;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지지체를 전후로 진퇴(進退)시키기 위한 진퇴구동유닛;a forward and backward drive unit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support body back and forth from the base;

상기 진퇴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체 전진 시 상기 실내등의 소켓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유닛;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by being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indoor light when the supporter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상기 진퇴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체 전진 시 상기 램프의 각 모드에 맞게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조작유닛; 및a switch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switch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ramp when the supporter moves forwar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unit; and

상기 스위치조작유닛에 의해 상기 램프 점등 시 이를 감지하는 광센서;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when the lamp is turned on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An apparatus for inspecting an interior ligh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실내등의 스위치를 자동 조작하여 램프 점멸(點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와, 검사대상체인 실내등에 맞는 램프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와, 실내등을 이루는 터미널, 램프 등의 구성요소 장착 유무 각각을 한꺼번에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Whether or not lamps blink normally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interior light of the vehicle, whether or not a lamp suitable for the interior light, which is the subject of inspection, is installed, and whether or not components such as terminals and lamps that make up the interior light are installed, each at once. It has the biggest effect that can be checked automatically.

도 1은 검사대상체인 실내등을 나타낸 평면 및 저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베이스, 지지체 및 각인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4는 스위치조작유닛, 광센서 및 푸시정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6은 베이스, 지지체, 전원공급유닛, 각 객체감지센서 및 각인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
도 7은 스위치조작유닛, 광센서 및 푸시정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이젝팅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1 is a plan and botto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door light as an inspection object;
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inspecting an interior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base, a support and an engraving unit;
4 is a partial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witch operation unit, an optical sensor, and a push alignment unit;
5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pla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base, a support, a power supply unit, each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n engraving unit;
7 is a partial pla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witch operation unit, an optical sensor, and a push alignment unit;
8 to 10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n eject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s and variations.

도 2를 기준으로 지지체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푸시정력유닛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of the supporter side is specified as the rear side or the rear side, and the push power unit side is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아울러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언급하게 되는 차량용 실내등(1)은 램프(1a) 및 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b)과, 상기 램프(1a)에 대해 소등모드, 일시점등모드, 상시점등모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1c)와, 상기 스위치(1c)에 의한 모드 전환에 맞게 상기 소켓(1b)과 상기 램프(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1d)과, 차량의 천장 매립 시 장착을 위한 다수의 마운팅클립(1e)으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스위치(1a)는 실내등(1)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간에 슬라이딩 되게 구비된 슬라이더(1f)와 상호 연결되며, 이러한 슬라이더(1f)는 상기 스위치(1a)의 조작 범위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n interior light 1 for a vehicle to be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1a and a socket 1b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1a, a light-off mode, a temporary light-on mode, and a lamp 1a. A switch (1c) for converting to a constant lighting mode, a terminal (1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cket (1b) and the lamp (1a) in accordance with the mode conversion by the switch (1c), and a ceiling embedded in the vehicl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mounting clips (1e) for mounting. At this time, the switch 1a is interconnected with a slider 1f provided to slide in the spa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light 1, and this slider 1f serves to guide the operating range of the switch 1a. Do it.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As shown in FIGS. 1 to 11, the vehicle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베이스(10), 지지체(20), 진퇴구동유닛(30), 전원공급유닛(40), 스위치조작유닛(50) 및 광센서(60)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base 10, a support 20, a forward and backward drive unit 30, a power supply unit 40, a switch operation unit 50, and an optical sensor 6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mponent:

상기 베이스(10)는The base 10 is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5,

사각의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상기 지지체(20)는The support 20 is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3, 5 and 6,

검사대상체인 차량용 실내등(1)을 안착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vehicle interior light (1), which is an inspection target,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사각의 바텀블록(21), 그리고A square bottom block 21 disposed biasedly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se 10, and

상기 바텀블록(21)의 상부면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세워지며 상단에 실내등(1)의 네 모서리 영역이 안착되는 받침공간부(221)를 갖는 네 사이드블록(22)Four side blocks (22) each built on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 (21) and having supporting space portions (221) on which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interior light (1) are seated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상기 진퇴구동유닛(30)은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0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5,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지지체(20)를 전후로 진퇴(進退)시키기 위한 것으로,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support 20 back and forth from the base 10,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 사이 공간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면서 좌우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바(31),A pair of rail bars 31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hile being longitudinall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상기 각 레일바(31)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 하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블록(32), 그리고A pair of sliding blocks 32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rail bars 31 and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and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전방 측에 설치되며 내장된 피스톤 단부가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연결되고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진퇴구동용 공압실린더본체(33)A pneumatic cylinder body 33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10 and having a built-in piston end connected to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and moving the piston forward and backward by selectively supplying ai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결국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진퇴구동용 공압실린더본체(33)에 의해 피스톤 진퇴 시 상기 지지체(20)가 전후로 이동 동작을 하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when the piston advances and retreats by the pneumatic cylinder body 33 for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the support 20 moves back and forth.

이러한 상기 진퇴구동유닛(30)은 일예이고 상기 지지체(20)를 전후로 진퇴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30 is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pport body 20 .

상기 전원공급유닛(40)은The power supply unit 40 is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6,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의 소켓(1b)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It is connected to the socket (1b) of the indoor lamp (1) to supply power when the support (20) moves forwar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30).

상기 실내등(1)의 소켓(1b)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41),A connector 41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ocket 1b of the interior light 1,

상기 커넥터(41)를 지지하는 서포트(42), 그리고A support 42 supporting the connector 41, and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장착되며 상기 소켓(1b)과 상기 커넥터(41) 간의 상호 접속 및 이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4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커넥터접속구동부(43)A connector connection driver 43 mounted on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and moving the support 42 left and right to enabl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1b and the connector 41 and release thereof.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에 상기 커넥터접속구동부(43)는 상기 서포트(42)의 우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바텀블록(21)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블록(431)과, 상기 가이드블록(431)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블록(431)을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42)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면서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커넥터접속용 공압실린더본체(432)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connection driver 43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42 and is mounted on a guide block 431 fixedly installed to the bottom block 21 and the guide block 431, and the guide block ( 431) and a pneumatic cylinder body 432 for connection to a connector that advances and retreats the piston by selectively supplying air while the piston connected to the support 42 is embedded.

아울러 상기 커넥터접속용 공압실린더본체(432)에 의해 피스톤 진퇴 시 진퇴 동작을 안정케 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42)와 상기 가이드블록(431)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서포트(42)에 장착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바(43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42 and the guide block 431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stabilize the movement of the piston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neumatic cylinder body 432 for connection to the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guide bar 433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커넥터접속용 공압실린더본체(432)가 동작되면서 이의 피스톤의 진퇴 동작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41)가 상기 소켓(1b)에 자동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진퇴구동유닛(30)은 일예이고 상기 커넥터(41)를 진퇴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body 20 is moved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ing unit 30, the pneumatic cylinder body 432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is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and the connector 41 is moved to the socket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its piston ( 1b) is automatically connected.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driving unit 30 is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connector 41 .

상기 커넥터(41)는 별도의 외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소켓(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전원이 자동 공급된다.As the connector 41 is connected to a separate external power supply,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1b.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은The switch operation unit 50 is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4 and 7,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램프(1a)의 각 모드에 맞게 상기 스위치(1c)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For operating the switch 1c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ramp 1a when the support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0,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포스트(51),A plurality of posts 51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0,

상기 각 포스트(51)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수평플레이트(52),A horizontal plate 52 disposed in a form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posts 51;

상기 수평플레이트(52) 하부 측에 배치되는 조작헤드(53),The manipulation head 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52,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헤드(53)를 상하로 승강케 하는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 그리고A control head lifting driver 54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lifting the control head 53 up and down, and

상기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에 의해 하강된 상기 조작헤드(53)가 상기 스위치(1c)를 잡게 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1a)의 각 모드별로 상기 조작헤드(53)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조작헤드이동구동부(55)An operation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head 53 for each mode of the lamp 1a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head 53 lowered by the control head elevation driver 54 holds the switch 1c Head moving drive unit (5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헤드(53)는 단부에 호형(弧形)의 그립부(531)가 형성됨에 따라 이 그립부(531)가 실내등(1)의 스위치(1c) 돌기 형상에 맞게 끼워져 상호 간에 결합력이 높아진다. 결국 상기 조작헤드(53)에 의해 스위치(1c) 조작 시 상기 조작헤드(53)가 상기 스위치(1c)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as the arc-shaped grip part 53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trol head 53, the grip part 531 fits into the protrusion shape of the switch 1c of the interior light 1, bonding with each other increases. As a result, when the switch 1c is operated by the control head 53, a slip phenomenon such as the control head 53 being separated from the switch 1c can be prevented, and through this, a more accurate and precise switch manipulatio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는 상기 조작헤드(53)가 구비되는 승강블록(541)과,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블록(541)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이동케 하는 조작헤드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54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 head lift driver 54 includes an lift block 541 equipped with the control head 53 and a piston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connected to the lift block 541, and is equipped with air It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body 542 for lifting the control head to move the piston up and down by selective supply.

그리고 상기 조작헤드이동구동부(55)는 상기 승강블록(541)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좌우가이드바(551)와, 상기 좌우가이드바(551)에 상기 조작헤드(53) 상단이 슬라이딩 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헤드(53)의 측면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좌우로 이동케 하는 조작헤드이동용 공압실린더본체(55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 head movement driving unit 55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bars 551 disposed left and right long on the lifting block 541, and the top of the control head 53 is slid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bars 551. In this state, a pisto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trol head 53 is built-in and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body 552 for moving the control head to move the piston left and right by selectively supplying air.

이러한 상기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와 조작헤드이동구동부(55)는 일예이고 상기 조작헤드(53)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또 상기 조작헤드(53)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ng head lifting driver 54 and the operating head moving driver 55 are examples, an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lifting the operating head 53 up and down and moving the operating head 53 left and right. It will be possible to transform and change in various ways.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조작헤드(53)가 하강하여 이의 그립부(531)가 실내등(1)의 스위치(1c)를 잡게 되고, 이후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조작헤드이동구동부(55)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조작헤드(53)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9 and 10 , when the support 20 advances, the control head elevation driver 54 is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so that the control head 53 descends and the grip part 531 of the interior light ( The switch 1c of 1) is held, and the operation head 53 is moved left and right as the operation head moving driver 55 is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다시 말해, 실내등(1)의 스위치(1c)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헤드(53)가 좌로 이동 시 실내등(1)의 램프(1a)가 점등되고, 다시 우로 이동 시 실내등(1)의 램프(1a)가 점등되며, 다시 우로 이동 시 실내등(1)의 램프(1a)가 소등되며, 마지막으로 좌로 이동 시 실내등(1)의 램프(1a)가 점등된다. 이는 최초 일시점등모드에서 상시점등모드, 일시점등모드, 소등모드, 일시점등모드 순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 head 53 is moved to the left in a state where the switch 1c of the interior light 1 is located in the center, the lamp 1a of the interior light 1 is turned on, and when the switch 1c of the interior light 1 is moved to the right, The lamp 1a is turned on, and when moving to the right again, the lamp 1a of the interior lamp 1 is turned off, and finally, when moving to the left, the lamp 1a of the interior lamp 1 is turned on. In this cas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first temporary lighting mode, constant lighting mode, temporary lighting mode, unlit mode, and temporary lighting mode.

상기 광센서(60)는The optical sensor 60 is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5,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에 의해 상기 램프(1a) 점등 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detecting when the lamp 1a is turned on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상기 지지체(20)에 안착된 실내등(1)의 램프(1a)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수평플레이트(52)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기둥부 단부에 상기 광센서(60)가 구비된다.The interior lamp 1 seated on the support 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amp 1a, and for this, the optical sensor 6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lla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52. .

상기 광센서(60)는 실내등(1)의 램프(1a) 점등 시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특히 실내등(1)의 램프(1a) 밝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조도 측정이 가능한 모듈이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optical sensor 60 is a sensor that detects light when the lamp 1a of the interior light 1 is turned on, and in particular, a module capable of measuring illuminance is built-in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lamp 1a of the interior light 1. desirable.

따라서 상기 광센서(60)는 상기 스위치조작유닛(60)에 의해 램프(1a) 점등 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표시장치나 별도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면서 램프(1a)의 조도값 또한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컨트롤러에서 기설정된 조도값 내인지 아니면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외부표시장치 등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optical sensor 60 detects when the lamp 1a is turned on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60 and transmit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lamp 1a while transmitting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or a separate controller.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whether the illuminance is within or out of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and display it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 푸시정렬유닛(7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nterior lamp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ush alignment unit 70,

상기 푸시정렬유닛(70)은The push alignment unit 70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4 and 7,

상기 지지체(20)의 상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을 눌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20 and is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indoor light 1 when the support body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0.

상기 수평플레이트(52) 하부 측에 배치되되 상기 실내등(1)의 상부면 양단부 측에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푸시로드(71), 그리고A pair of push rods 71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52 and vertically spaced apart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ior light 1, and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며 상기 각 푸시로드(71)를 상하로 승강케 하는 푸시로드승강구동부(72)A push rod lifting driver 72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lifting each of the push rods 71 up and down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 상기 각 푸시로드(71)는 단부에 탄성의 고무패드(711)가 구비됨에 따라 푸시 동작 시 실내등(1)에 대한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실내등(1)으로부터의 슬립(slip)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ush rods 7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pad 711 at an end thereof to prevent damage to the interior light 1 as much as possible and prevent a slip phenomenon from the interior light 1 during the pushing operation. can do.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승강구동부(72)는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71)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승강케 하는 푸시로드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721)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승강구동부(72)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각 푸시로드(71)가 하강하여 실내등(1)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Further, the push rod lifting actuator 72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has a built-in piston connected to the push rod 71, and has pneumatic pressure for lifting the push rod to lift the piston up and down by selectively supplying air. It consists of a cylinder body 721. As a result, when the support body 20 moves forward, the push rod lift driver 72 is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so that each push rod 71 descends to support and fix the indoor lamp 1 .

이렇게 상기 각 푸시로드(71)에 의해 실내등(1)이 지지 고정된 이후에 상기 전원공급유닛(40),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 후술할 각인유닛(90) 각각이 외부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interior lamp 1 is supported and fixed by each of the push rods 71, the power supply unit 40,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and the engraving unit 90 to be described later are sequentially operated by external control.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t so that it can be operated a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 제1 내지 제4 객체감지센서(80A, 80B, 80C, 80D) 및 각인유닛(9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first to fourth object detection sensors 80A, 80B, 80C, 80D and an engraving unit 90,

상기 제1객체감지센서(80A)는The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80A i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지지체(20)에 안착된 실내등(1)의 스위치(1c)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f)가 정상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detecting whether the slider 1f connected to the switch 1c of the interior light 1 seated on the support 20 is mounted in a normal position,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연결된 브래킷의 단부에 결합되어 적외선 등을 이용해 객체를 감지하는 일종의 물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객체감지센서(80A)는 객체 감지 시 점등되는 별도의 표시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ket connected to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body 20 and consists of a kind of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using infrared light. In this case, the first object detecting sensor 80A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indicator lamp that is turned 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따라서 실내등(1)의 홈에 상기 슬라이더(1f)가 삐져나오지 않고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를 검사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inspected whether the slider 1f is normally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interior light 1 without sticking out.

상기 제2객체감지센서(80B)는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80B i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실내등(1)의 각 마운팅클립(1e)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mounting clip (1e) of the interior light (1),

상기 지지체(20)에 안착된 실내등(1)의 각 마운팅클립(1e) 위치에 맞게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연결된 브래킷이 배치되어 있고, 이 브래킷 단부에 결합되어 적외선 등을 이용해 객체를 감지하는 일종의 물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객체 감지 시 점등되는 별도의 표시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bracket connected to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is arranged to match the position of each mounting clip 1e of the interior light 1 seated on the support 2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ket to emit infrared light. It is made of a kind of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using the object, an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indicator lamp that is turned 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3객체감지센서(80C)는The third object detection sensor 80C i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실내등(1)의 터미널(1d)을 고정하는 볼트(1g)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lt 1g fixing the terminal 1d of the interior light 1,

상기 지지체(20)에 안착된 실내등(1)의 볼트(1g) 위치에 맞게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연결된 브래킷이 배치되어 있고, 이 브래킷 단부에 결합되어 적외선 등을 이용해 객체를 감지하는 일종의 물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객체 감지 시 점등되는 별도의 표시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bracket connected to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bolt 1g of the interior light 1 seated on the support 2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ket to transmit an object using an infrared light. It is made of a kind of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indicator light that is turned 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4객체감지센서(80D)는The fourth object detection sensor 80D i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실내등(1)의 램프(1a)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amp 1a of the indoor lamp 1,

상기 지지체(20)에 안착된 실내등(1)의 램프(1a) 위치에 맞게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연결된 브래킷이 배치되어 있고, 이 브래킷 단부에 결합되어 적외선 등을 이용해 객체를 감지하는 일종의 물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객체 감지 시 점등되는 별도의 표시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bracket connected to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amp 1a of the indoor lamp 1 seated on the support 2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ket to emit an infrared light to an object. It is made of a kind of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indicator light that is turned 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각인유닛(90)은The engraving unit 90 is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3, 5 and 6,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에 롯트넘버(lot number)를 새기기 위한 것으로,To engrave a lot number on the interior light 1 when the support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0,

상기 지지체(10)의 바텀블록(21) 전방 단부에 세워지는 각인블록(91)과,A stamping block 91 erect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10,

상기 각인블록(91)의 후방에 연결되며 단부에 다수의 마킹부(92)를 갖는 중계블록(93)과,A relay block 9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engraving block 91 and having a plurality of marking parts 92 at the end;

실내등(1)에서 롯트넘버가 새겨지기 위해 구비되는 각인패널(1h)의 후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세워지는 답면블록(94)A tread block 94 built on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engraving panel 1h provided to engrave the lot number in the interior light 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중계블록(93)에서 상기 각 마킹부(92)는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일자 등에 맞게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마킹부(92)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실내등(1)의 각인패널(1h)에 음각 형태로 롯트넘버를 새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marking part 92 in the relay block 93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so that it can be replaced and mount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date, etc., and each marking part 92 is As it is heated by the interior lamp 1, the lot number is engraved on the engraving panel 1h in the form of an intaglio.

따라서 상기 각인유닛(90)은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 상기 각 객체감지센서(80A, 80B, 80C) 등에 의해 실내등(1)에 대한 검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불량품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인유닛(90)이 동작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engraving unit 90 is externally controlled when it is judged to be normal after the inspection of the interior light 1 is completed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and each of the object detecting sensors 80A, 80B, and 80C. It can be implemented to operate by In other words, when the product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the engraving unit 90 not to oper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는 이젝팅유닛(1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Meanwhile,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an interior ligh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jecting unit 100.

상기 이젝팅유닛(100)은The ejecting unit 100 i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1,

실내등(1)의 하부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젝터핀(101), 그리고An ejector pin 101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ior light 1, and

상기 이젝터핀(101)에 단부가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고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승강케 하며 상기 지지체(20)의 바텀블록(21)에 장착되는 이젝팅핀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102)A pneumatic cylinder body for lifting the ejecting pin mounted on the bottom block 21 of the support 20 and having a built-in piston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ejector pin 101 and lifting the piston up and down by selective air supply ( 10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이젝팅유닛(100)은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 상기 각 객체감지센서(80A, 80B, 80C) 등에 의해 실내등(1)에 대한 검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외부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지지체(20)로부터 상방 경사지게 튀어나온 실내등(1)을 작업자가 정상 물품인 것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지지체(20)로부터 실내등(1)을 쉽게 꺼낼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ejecting unit 100 externally controls only when the inspection of the interior light 1 is determined to be normal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and each of the object detecting sensors 80A, 80B, and 80C. Through this,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interior light 1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20 as a normal item, and also can easily take the interior light 1 out of the support 20. There will b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 : 실내등
1a : 램프
1b : 소켓
1c : 스위치
1d : 터미널
1e : 마운팅클립
1f : 슬라이더
1g : 볼트
1h : 각인패널
10 : 베이스
20 : 지지체
21 : 바텀블록
22 : 사이드블록
221 : 받침공간부
30 : 진퇴구동유닛
31 : 레일바
32 : 슬라이딩블록
33 : 진퇴구동용 공압실린더본체
40 : 전원공급유닛
41 : 커넥터
42 : 서포트
43 : 커넥터접속구동부
431 : 가이드블록
432 : 커넥터접속용 공압실린더본체
433 : 가이드바
50 : 스위치조작유닛
51 : 포스트
52 : 수평플레이트
53 : 조작헤드
531 : 그립부
54 : 조작헤드승강구동부
541 : 승강블록
542 : 조작헤드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
55 : 조작헤드이동구동부
551 : 좌우가이드바
552 : 조작헤드이동용 공압실린더본체
60 : 광센서
70 : 푸시정렬유닛
71 : 푸시로드
711 : 고무패드
72 : 푸시로드승강구동부
721 : 푸시로드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
80A, 80B, 80C, 80D : 제1, 2, 3, 4 객체감지센서
90 : 각인유닛
91 : 각인블록
92 : 마킹부
93 : 중계블록
94 : 답면블록
100 : 이젝팅유닛
101 : 이젝터핀
102 : 이젝팅핀승강용 공압실린더본체
1 : interior light
1a: lamp
1b: socket
1c: switch
1d: Terminal
1e: Mounting Clip
1f: Slider
1g: Bolt
1h: Engraving panel
10: base
20: support
21 : Bottom Block
22: side block
221: support space
30: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1 : Rail bar
32: sliding block
33: pneumatic cylinder body for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40: power supply unit
41: connector
42: support
43: connector connection driving unit
431: guide block
432: pneumatic cylinder body for connector connection
433: guide bar
50: switch operation unit
51: Post
52: horizontal plate
53: control head
531: grip part
54: control head lifting drive unit
541: lifting block
542: Pneumatic cylinder body for lifting the control head
55: control head movement drive unit
551: left and right guide bar
552: Pneumatic cylinder body for moving the control head
60: optical sensor
70: push alignment unit
71: push rod
711: rubber pad
72: push rod lifting drive unit
721: Pneumatic cylinder body for lifting the push rod
80A, 80B, 80C, 80D: 1st, 2nd, 3rd, 4th object detection sensor
90: engraving unit
91: engraving block
92: marking unit
93: relay block
94: answer block
100: ejecting unit
101: ejector pin
102: pneumatic cylinder body for elevating ejecting pin

Claims (7)

베이스(10);
램프(1a) 및 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b)과, 상기 램프(1a)에 대해 소등모드, 일시점등모드, 상시점등모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1c)와, 상기 스위치(1c)에 의한 모드 전환에 맞게 상기 소켓(1b)과 상기 램프(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1d)과, 차량의 천장 매립 시 장착을 위한 다수의 마운팅클립(1e)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실내등(1)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체(20);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지지체(20)를 전후로 진퇴(進退)시키기 위한 진퇴구동유닛(30);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의 소켓(1b)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유닛(40);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램프(1a)의 각 모드에 맞게 상기 스위치(1c)를 조작하는 스위치조작유닛(50); 및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에 의해 상기 램프(1a) 점등 시 이를 감지하는 광센서(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base 10;
A lamp 1a, a socket 1b for supplying power thereto, a switch 1c for converting the lamp 1a into a light-off mode, a temporary light-on mode, and a constant light-on mode, and a switch 1c The vehicle interior lamp 1, which is composed of a terminal 1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cket 1b and the lamp 1a according to mode conversion and a plurality of mounting clips 1e for mounting when buried in the ceiling of a vehicle, is seated. and a support 20 disposed on the base 10;
a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30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support 20 back and forth from the base 10;
a power supply unit (40) connected to the socket (1b) of the interior light (1) to supply power when the supporter (20) advances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ing unit (30);
a switch operation unit 50 that operates the switch 1c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ramp 1a when the support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ing unit 30; and
an optical sensor 60 for detecting when the lamp 1a is turned on by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유닛(50)은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포스트(51)와,
상기 각 포스트(51)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수평플레이트(52)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2) 하부 측에 배치되는 조작헤드(53)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헤드(53)를 상하로 승강케 하는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와,
상기 조작헤드승강구동부(54)에 의해 하강된 상기 조작헤드(53)가 상기 스위치(1c)를 잡게 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1a)의 각 모드별로 상기 조작헤드(53)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조작헤드이동구동부(5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operation unit 50 is
A plurality of posts 51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0,
A horizontal plate 52 disposed in a form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posts 51;
An operating head 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52;
An operating head elevation driving unit 54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lifting the operating head 53 up and down;
An operation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head 53 for each mode of the lamp 1a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head 53 lowered by the control head elevation driver 54 holds the switch 1c Head moving drive unit (55)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의 상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을 눌러 지지하는 푸시정렬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push alignment unit (7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20) and pressing and supporting the interior light (1) when the support body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e unit (30) is further included. Vehicle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정렬유닛(7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52) 하부 측에 배치되되 상기 실내등(1)의 상부면 양단부 측에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푸시로드(7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2)에 장착되며 상기 각 푸시로드(71)를 상하로 승강케 하는 푸시로드승강구동부(72)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ush alignment unit 70
A pair of push rods 71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52 and vertically spaced apart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ior light 1;
A push rod lifting driver 72 mounted on the horizontal plate 52 and lifting each of the push rods 71 up and down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40)은
상기 실내등(1)의 소켓(1b)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41)와,
상기 커넥터(41)를 지지하는 서포트(42)와,
상기 지지체(20)에 장착되며 상기 소켓(1b)과 상기 커넥터(41) 간의 상호 접속 및 이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4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커넥터접속구동부(4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40 is
A connector (41)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ocket (1b) of the interior light (1);
A support 42 supporting the connector 41;
A connector connection driving unit 43 mounted on the support 20 and moving the support 42 left and right to enabl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1b and the connector 41 and release thereof.
Interior light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에는 이에 안착된 상기 실내등(1)의 스위치(1c)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f)에 대한 정상 위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객체감지센서(80A)와, 상기 실내등(1)의 각 마운팅클립(1e)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는 제2객체감지센서(80B)들과, 상기 실내등(1)의 터미널(1d)을 고정하는 볼트(1g)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는 제3객체감지센서(80C)와, 상기 실내등(1)의 램프(1a)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는 제4객체감지센서(80D)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upport 20 includes a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80A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lider 1f connected to the switch 1c of the interior light 1 seated thereon is mounted in a normal position, and the interior light 1 )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mounting clip 1e, and the third object detection sensors 80B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lt 1g fixing the terminal 1d of the interior light 1. An interior light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object sensor (80C) and a fourth object sensor (80D)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terior light (1) is relative to the lamp (1a) are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지지체(20) 전진 시 상기 실내등(1)에 롯트넘버(lot number)를 새기는 각인유닛(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 검사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n engraving unit (90) which engraves a lot number on the interior light (1) when the support (20) moves forward by the advance and retreat driving unit (30).
KR1020210060057A 2021-05-10 2021-05-10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KR202201531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57A KR20220153150A (en) 2021-05-10 2021-05-10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57A KR20220153150A (en) 2021-05-10 2021-05-10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150A true KR20220153150A (en) 2022-11-18

Family

ID=8423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57A KR20220153150A (en) 2021-05-10 2021-05-10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1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60B1 (en) 2023-07-27 2024-02-23 주식회사 성우플라텍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lighting for the key pad la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6B1 (en) 2004-01-08 2006-08-22 주식회사 금창 The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parts using vision system
KR101475835B1 (en) 2012-12-06 2014-12-2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Lightness or Electronic flow Tester Apparatus for Lighter of a sunvisor in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6B1 (en) 2004-01-08 2006-08-22 주식회사 금창 The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parts using vision system
KR101475835B1 (en) 2012-12-06 2014-12-2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Lightness or Electronic flow Tester Apparatus for Lighter of a sunvisor in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60B1 (en) 2023-07-27 2024-02-23 주식회사 성우플라텍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lighting for the key pad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3150A (en)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light
CN108956027B (en) Airtight lighting detection equipment for car lamp
US8096044B2 (en) Vehicle side glass setting apparatus
CN108927422A (en) Trimmer and skylight detection system
CN210802298U (en) Ball bubble lamp detection device
CN111307363B (en) Tire pressure detection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CN213121645U (en) Automatic change car light tool for car light check out test set
CN213121646U (en) Automatic change car light check out test set
CN215728729U (en) Double-basin-frame conduction detection jig
CN210572663U (en) Automatic lighting function testing device
CN115773711A (en) Plane detection device of automobile decorative plate
CN212779870U (en) Detection equipment for OLED of car lamp
CN108717795A (en) A kind of multi-operation mode traffic lights
CN208254774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light type detection machine
CN217980212U (en) Bearing heating detection device
TWM308888U (en) Monitoring car with separable carriage
CN219777868U (en) Car double flashing light switch circular telegram detection device
CN213121643U (en) Automatic change elevating platform device for car light check out test set
TW202022320A (en) Vehicle interior detecting system
CN216285639U (en) Map lamp function detects frock
CN219532104U (en) Multi-vision sensor fixing device
CN214583958U (en) Atmosphere lamp detection device
JP2002168906A (en) Device for connecting test head
CN220252187U (en) Expansion turnbuckle installation in-place detection tool for skylight assembly
CN219785374U (en) Multi-camera align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