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872A -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872A
KR20220152872A KR1020210060344A KR20210060344A KR20220152872A KR 20220152872 A KR20220152872 A KR 20220152872A KR 1020210060344 A KR1020210060344 A KR 1020210060344A KR 20210060344 A KR20210060344 A KR 20210060344A KR 20220152872 A KR20220152872 A KR 2022015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ste vinyl
blocks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실업
Priority to KR102021006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872A/en
Publication of KR2022015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Extruder as pressing tool with calibrated die openings for forming and disintegrating pasty or mel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Disclosed is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a composite recycled material. The disclosed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a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made of a composite recycled material, which are located in a storage space and formed into a hexahedron shape having a structure with adjacent sides closed, a structure with one side closed and a structure with all sides open; a plurality of finishing members made of a composite recycled material, which are finished and installed in a square plate shape in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locks; and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ocks and/or the blocks and the finishing members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components can be assembled. The block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locks disposed at the edge corners of the storage space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two adjacent sides are closed; a plurality of second blocks connected to the first block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one side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third blocks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all sides are open. Therefore, since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mutually fitted to be assembled without a special tool, a rainwater storage space of a large capacity can be provided in contrast to a site area, and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reassembled and reused in various shapes when the site area is changed.

Description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및 그 제조방법{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별한 공구 없이 서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부지면적 대비 큰용량의 빗물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부지면적 변경시 다양한 모양으로 재조립 및 재사용 가능한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s, and in detail, it can be assembled in a fitting manner without special tool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space with a large capacity compared to the site area and to be reassembled in various shapes when the site area is changed. And it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a reusable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시대를 맞아 '물 관리'가 중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도시마다 우수저장시설 확충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개발 이전에는 빗물 침투 비중이 높아 강우 유출량은 적고 지하수 함량은 높았으나, 도시개발 이후에는 빗물 침투율이 감소하면서 강우 유출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침수 피해의 원인은 도시 빗물 침투율 저하에 따른 것으로 효율적인 배수기반 시설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In the era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water management' is becoming an important concern. In particular, each city is interested in the expansion of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Prior to urban development, the rainwater infiltration rate was high, so the rainfall runoff was low and the groundwater content was high. Therefore, the cause of flood damage is the decrease in urban rainwater permeation rate, and efficient drainage infrastructure is required.

이러한 빗물 저류조는 빗물의 유출을 억제하여 홍수제어, 열환경의 개선,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하천유량의 확보, 수자원의 보전과 개발, 비점오염원제어 등 다양한 자연 물순환 기능을 회복시켜 주고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 설치 효과로는 피크유량ㆍ하천 오염부하를 제어하고, 하천유량의 확보, 빗물을 조경수로 재활용해 녹지, 가로수를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증발에 의한 기온상승을 방지해 도시 열섬현상을 방지하는 등 저류시설과 친수시설을 적절히 병행해 가치 있는 공간 창출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These rainwater storage tanks suppress the outflow of rainwater to restore various natural water circulation functions such as flood control,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securing of river flow rat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and control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installing a rainwater storage tank is to control the peak flow rate and river pollution load, secure the flow rate of the river, revitalize green areas and street trees by recycling rainwater as landscaping trees, and prevent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y preventing temperature rise due to evapor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 valuable space by appropriately combining a storage facility and a waterfront facility.

기존의 빗물 저류조는 숙련공에 의한 거푸집, 철근, 콘크리트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구조물을 구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현장별로 별도 설계가 필요해 공사기간이 길고(100톤규모의 경우 60일) 작업자의 숙련도와 날씨에 따라 품질에 편차가 생기거나 공정이 복잡하고 이동이 많아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았다.The existing rainwater storage tank w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ormwork, reinforcing bar, and concrete processes by skilled workers. Therefore, a separate design was required for each site, so the construction period was long (60 days for a 100-ton scale), and there wa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variations in qualit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workers and the weather, or the process was complicated and there was a lot of movement.

한편, 2018년 이후 중국 정부의 폐비닐 등 24종 폐기물 수입 중단조치에 따라 대중 수출이 금지되었다. 또한 2018년 1월 자원순환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폐기물처분(소각·매립) 부담금'이 부과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폐비닐 등의 재활용 폐기물 처리 대란이 발생된 바 있다. 또한, 폐비닐은 상당부분 고형연료제품(SRF, Solid Refuse Fuel)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폐기물 SRF 에너지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바, 앞으로 재활용 수요처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폐비닐의 경우, 성형 공정을 거쳐 성형품으로 재탄생하는 물질 재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Meanwhile, since 2018, exports to China have been banned according to the Chinese government's ban on imports of 24 types of waste, including waste vinyl. In addition, as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took effect in January 2018, 'waste disposal (incineration and landfill) charges' have been imposed. Due to these factors, there has been a crisis in the treatment of recycling waste such as waste vinyl. In addition, a significant portion of waste vinyl is recycled as solid fuel products (SRF, Solid Refuse Fuel), but recently, the domestic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y has been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avoiding waste SRF energy, so uncertainty in the future recycling demand is increasing. have. Therefore, in the case of waste vinyl, the necessity of recycling materials that are reborn as molded articles through a molding process is emerging.

특허문헌 1은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밀봉재는 블록의 기둥의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나사 부재의 한 쪽 수나사가 슬래브에 매립 설치된 너트 부재에 체결되고, 경사면에 형성된 너트 안치홈에서 너트가 나사 부재의 다른 쪽 수나사에 체결됨으로써 블록과 슬래브 사이에서 압착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 sealing material is fastened to a nut member embedded in a slab by a male screw on one side of a screw member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of a column of a block, and a nut is screwed in a nut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It is disclosed that the member is compressed between the block and the slab by being fastened to the male screw on the other side.

특허문헌 2는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저류블록의 저면판에는 각 블록들이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변과 같은 방향으로 철근이 돌출되도록 철근을 일체로 형성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storage block so that each block can act integrally with the foundation surface, and the coupling portion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 where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It is disclosed that the reinforcing bar is integrally formed.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우수저류조는 나사부재 또는 철근 등의 별도 결합부재를 가지고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시공시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좌우측면 결합만 가능함에 따라 빗물 저류조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지대가 높은 부지에서 활용시 적층하는 방법에 대한 점은 미기재되어 있다.The rainwater storage tan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may take a long time to construct because each block and slab are combined with a separate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member or a reinforcing bar.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s only the left and right side couplings are possible, a method for stacking whe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narrow or used in a site with high land is not described.

따라서,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 없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적층 조립이 가능하여 협소한 부지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빗물 저류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폐비닐 재활용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물 재이용을 촉진하여 도시환경 문제 해결할 수 있으며, 안정된 구조 및 강도를 가지고 적은 노동력 및 시간으로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빗물 저류조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ainwater storage tank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upling member and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ite because it can be laminated and assembled. In addition, continuou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new rainwater storage tanks that can recycle waste vinyl, solv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by promoting water reuse,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with less labor and time with stable structure and strength. have.

등록특허공보 제10-0485742호(2005.04.1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85742 (2005.04.19.) 등록특허공보 제10-0582121호(2006.05.2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582121 (2006.05.22.)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특별한 공구 없이 서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부지면적 대비 큰용량의 빗물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부지면적 변경시 다양한 모양으로 재조립 및 재사용 가능한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possible to assemble by fitting each other without special tool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space with a large capacity compared to the site area and to be reassembled and reused in various shapes when the site area is chang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t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는 저장공간에 위치하고 육면체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 및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합재생원료로 제조된 복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하부에 사각의 판형상으로 마감 설치되는 것으로, 복합재생원료로 제조된 복수의 마감부재; 및 상기 블록 및 상기 마감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블록 간 및 상기 블록과 상기 마감부재 간에 조립되도록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과 연결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3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is composed of a hexahedral structure in which two neighboring sides are closed, one side is closed, and the entire side is open. a plurality of blocks made of raw materials; A plurality of finishing members made of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which ar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lock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formed on the block and the closure member, including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assembled between the plurality of blocks and between the block and the closure member, the block being disposed at the edge corner of the storage space , a plurality of first block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two adjacent side surfaces are closed; a plurality of second blocks coupled to the first block and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one side closed; And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second block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entire side surfaces are open. It can contain 3 blocks.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밀폐부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상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상부마감부재; 및 상기 블록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밀폐부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하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하부홈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부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s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closing members consisting of an upper sea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seal the open top of the block and an upper protrusion formed at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closing members consisting of a lower sea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seal the open lower part of the block and a lower groove part having a groove formed at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have.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모서리 일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마감부재의 상기 상부돌기부 및 상기 하부홈부와 서로 맞춤 체결되며 적층 조립이 가능한 층조립홈부 또는 층조립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and may include a layer assembly groove or a layer assembly projection that is custom-fitted with the upper projection and the lower groove of the closing member and capable of stacking assembly. have.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조립수부; 및 상기 블록 측면에 위치하고 다른 블록의 상기 측면조립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 간에 좌우측면이 서로 암수결합으로 끼어맞춤되도록 되는 측면조립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side assembly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lock; and a side assembly arm portion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block and into which the side assembly arm portion of another block is inserted, so that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between the blocks are fitted into each other in a male-female coupling.

상기 측면조립암부는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조립수부는 상기 암걸림부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수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걸림부 및 상기 수걸림부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교차 대칭되게 위치하여 미끄러지면서 서로 억지끼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 간에 수평축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side assembly arm part includes an arm locking portion in which the accommodating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s the outside, and the side assembly arm part includes a male locking portion that is forcibly fitted while sliding into the arm locking part and is formed to expand toward the outside. As the hooking parts are located symmetrically crosswis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are intermittently fitted to each other while sliding, the blocks may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axis.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 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가 형성되는 측면조립암부;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측면조립암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 체결되고 상기 암걸림부와 맞춤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네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 간에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and a side assembly arm part in which an arm engag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and a reinforcing member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at least two side assembly arm parts and has a neck part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termittently fitted while sliding up and down and fitted to the arm engaging part, and reinforcing the coupling between the blocks. can do.

또한,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에는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생원료로 이루어진 펠렛으로 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 상기 제2블록, 상기 제3블록 및 상기 마감부재를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Forming a block with pellets made of the composite recycling raw material; The method may include assembling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the third block, and the finishing member into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and connecting each other.

상기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파쇄유닛을 이용하여 폐비닐을 400㎠ ~ 600㎠의 면적으로 1차 파쇄하는 단계와; 비중 선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된 상기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와; 제2파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비중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25㎠ ~ 100㎠의 면적으로 2차 파쇄하는 단계와; 자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파쇄유닛을 경유한 폐비닐 내에 포함된 금속류를 제거하는 단계와; 풍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력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비중 차이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내부 기포 또는 수분을 없애는 단계와; 제1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를 경유한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00℃에서 1차 용융 및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와; 제2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용융 압출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150℃ ~ 250℃에서 2차 용융 및 혼합하여 싱글 스크류를 통하여 가로와 세로 각각 3㎜ ~ 10㎜의 목 간격을 가지는 격자무늬 형태로 이루어진 후단 토출 노즐의 직경을 통과시켜 압출하는 단계와; 워터 커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용융 압출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커팅 및 냉각하고 최종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와; 진동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 커팅기를 경유한 상기 펠렛을 이송, 분리 및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oducing th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includes first crushing the waste vinyl to an area of 400 cm 2 to 600 cm 2 using a first shredding unit;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rimarily shredded waste vinyl using a specific gravity sorter; secondarily crushing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pecific gravity sorter into an area of 25 cm2 to 100 cm2 using a second crushing unit; removing metals included in the waste vinyl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shredding unit using a magnetic separator; addition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gnetic sorter using a wind-powered sorter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removing internal air bubbles or moisture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ind power sorter using a compressor; using a first melting extruder to first melt and mix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through the compressor at 150° C. to 200° C. and extruding; By using the second melt extruder, the waste vinyl passed through the first melt extruder is melted and mixed for the second time at 150 ° C to 250 ° C, and then through a single screw, a grid pattern having a neck gap of 3 mm to 10 m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is used. extruding through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discharge nozzle formed in the form; cutting and cooling the waste vinyl passed through the second melt extruder using a water cutting machine and producing final pellets; Transferring, separating, and dewatering the pellets passing through the water cutting machine using a vibrating vibrator may be included.

상기 펠렛은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각각은 18MPa 이상, 회분율 2.55% 이하, 불순물 2% 이하 염소농도 0.38% 이하 및 평균 입도의 99%가 5㎜ 이하일 수 있다.The pellets may have a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18 MPa or more, an ash content of 2.55% or less, an impurity of 2% or less, a chlorine concentration of 0.38% or less,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99% or less of 5 mm or l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에 배치된 빗물 저류조의 단위블록 조립예를 나타낸 레이아웃 도면.
도 2는 도 1의 단위블록 일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과 마감부재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록 조립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록과 제3블록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입체도.
도 6b는 도 6a를 외부 측면에서 봐라본 블록 입체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위블록 일부 확대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중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공정 사진.
도 10는 도 9의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의 공정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공정 중 폐비닐 풍력 선별기를 보인 정면도.
도 12은 도 11의 풍력발생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는 도 12의 측면도.
도 14(a) 및 도 14(b) 각각은 도 13의 편향풍력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렛의 TGA 분석 결과 및 외형 사진.
도 16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펠렛의 TGA 분석 결과 및 외형 사진.
1 is a layout view showing an example of unit block assembly of a rainwater storage tank disposed in a storag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unit block of FIG. 1;
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member of the first block and th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nit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member of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block perspective view of Figure 6a viewed from the outer side.
Figure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member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unit block of FIG. 7;
Figure 9 is a process photograph showing the step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rocess flow chart of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of Figure 9;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ste vinyl wind power separator during the process of FIG. 10;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Figure 11;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2;
14(a) and 14(b)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ind deflection unit of FIG. 13, respectively.
15 is a TGA analysis result and an external photograph of a pel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TGA analysis result and an external photograph of a pelle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블록"은 "빗물 저류조 블록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제조방법"은 "원재료(복합재생원료 또는 펠렛)의 제조방법", "블록의 조립방법" 및 "빗물 저류조의 시공방법"또는 "빗물 저류조의 설치방법"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term "bloc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manufacturing method" encompasses "manufacturing method of raw materials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s or pellets)", "assembly method of block",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tank" or "installa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tank", etc. used in the sense of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빗물 저류조 형태로는 크게 박스형, 크로스웨이브형 및 복합형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박스형 빗물 저류조는 공장에서 제조된(PC) 박스형 일체식 구조체를 현지에서 강선으로 조립 완성하는 시스템이다. 설계가 표준화 되어 있어 공기를 크게 단축(100톤 규모의 경우 14일)할 수 있고, 공장제품을 사용하여 고품질, 고내구성 확보로 작업이 간단하며 안전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소음이 적고 건설폐자재 발생이 거의 없는 등 장점이 많지만 현장타설 공법보다 부지형상에 제약을 받고 반입로 확보가 필요한 단점도 있다. 시스템의 유지관리 상의 특징으로는 세목스크린을 설치해 찌꺼기 등을 제거할 수 있고, 격벽 및 월류벽을 설치해 침전조를 만들어 부유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조 내부를 집중 관리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Rainwater retention tank typ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ox type, cross wave type, and complex type. First, the box-type rainwater storage tank is a system that assembles a factory-manufactured (PC) box-type integral structure with steel wires on site. The design is standardized, so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14 days in the case of 100-ton scale), and the use of factory products ensures high quality and high durability, making work simple and easy to manage safety.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low noise and almost no generation of construction waste materials,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being restricted by the site shape and needing to secure a delivery route compared to the cast-in-place method. As for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remove debris by installing a fine scree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suspended matter by creating a sedimentation tank by installing a bulkhead and overflow w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s by centrally managing the in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둘째, 최대 93%의 공극률 확보가 가능한 크로스웨이브형 빗물 저류조는 양생기간이 필요 없어 공기가 단축되고, 접합부재가 필요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고내하중 설계로 지하 5.7m까지 설치 가능하다. 또한 쌓는 것만으로 견고한 구조체가 구축되며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내약품성, 내수성이 뛰어나 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Second, the cross-wave type rainwater storage tank, which can secure up to 93% of porosity, does not require a curing period,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does not require a joint member, so it is easy to construct and can be installed up to 5.7m underground with a high load capacity design. In addition, a solid structure is built just by stacking them, and the PP (polypropylene) material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so it does not pollute water.

마지막으로, 공간식 빗물 저류조와 공극식 빗물 저류조를 결합한 복합형 빗물 저류조는 빈도가 높은 강우 시 빗물 저류조를 1차 저류조로 활용하고, 호우 시에는 빗물 저류조와 함께 크로스웨이브를 2차 저류조로 병용하는 방식이다. 저류조 설계시 유의할 사항으로는 저류조로 유입 전 필터를 통한 처리가 필요하며 유입부와 유출부의 거리차를 충분히 유지하고 저류조 내 유효수심을 3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시 주의할 사항은 조류배설물 등에 유의해 빗물의 집수면을 깨끗이 관리하고, 필터의 청소 및 소독시설 점검이 필요하며 저류조 내 슬러지를 3 ~ 5년 주기로 청소해 주고 인위적인 옥상오염 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Finally, a composite rainwater storage tank combining a spatial rainwater storage tank and an air gap rainwater storage tank utilizes the rainwater storage tank as a primary storage tank during frequent rainfall and uses a crosswave with a rainwater storage tank as a secondary storage tank during heavy rains. way. Matters to note when designing a storage tank are that treatment through a filter is required before entering the storage tank, and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must be sufficiently maintained, and the effective water depth in the storage tank must be maintained at 3m or more. In addition, precautions to be taken during maintenance include keeping the rainwater collection surface clean by paying attention to bird droppings, filter cleaning and disinfection facility inspection, cleaning the sludge in the storage tank every 3 to 5 years, and rooting out the cause of artificial rooftop contamination. It is important to block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는 세가지 형태의 빗물 저류조의 장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빗물 저류조가 갖춰야하는 유지관리시 필요한 시설물 및 장비 즉, 세목스크린, 격벽 또는 월류벽, 저류조 유입부 필터, 빗물수위 측정센서 및 장비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the advantages of the three types of rainwater storage tanks. In addition, all facilities and equipment necessary for maintenance that a basic rainwater storage tank must have, such as a fine screen, a bulkhead or overflow wall, a filter at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a rainwater level measuring sensor and equipment, etc. may be includ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에 배치된 빗물 저류조의 단위블록 조립예를 나타낸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위블록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1 is a layout view showing an assembly example of a unit block of a rainwater storage tank disposed in a storag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unit block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빗물 저류조는 복수의 블록(10), 복수의 마감부재(20) 및 결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rainwater storage tank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cks 10 , a plurality of finishing members 20 and a coupling member 30 .

먼저, 복수의 블록(10) 즉, 빗물 저류조 블록체는 저장공간(1)에 위치하고 육면체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 및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복합재생원료(50)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마감부재(20)는 블록(10)의 상하부에 사각의 판형상으로 마감 설치되는 것으로, 복합재생원료(50)로 제조될 수 있다. 결합부재(30)는 블록(10) 및 마감부재(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블록(10) 간 및 블록(10)과 마감부재(20) 간에 조립되도록 상호 결합 연결할 수 있다. 블록(10)의 사이즈는 가로, 세로 및 높이 각각이 60㎝일 수 있다. 정육면체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로 높이가 60 ~ 100㎝일 수 있다.First, the plurality of blocks 10, that is, the block body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1 and consists of a hexahedron, so that two adjacent sides are closed, one side is closed, and the entire side is open. It can be made of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The plurality of finishing members 20 are install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lock 10, and may be made of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The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on the block 10 and the finishing member 20, and may be coup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ssembled between a plurality of blocks 10 and between the block 10 and the finishing member 20. The size of the block 10 may be 60 cm in width, length and height, respectively. It may be made of a cu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have a height of 60 to 100 cm.

여기서, 블록(10)은 제1블록(11), 제2블록(12) 및 제3블록(1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블록(11)은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블록(12)은 제1블록(11)과 연결 결합되고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블록(13)은 제1블록(11)과 제2블록(12)이 서로 연결되어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블록(11), 제2블록(12) 및 제3블록(13) 각각의 개방된 구조에서 뼈대를 이루는 기둥과 모서리 부분의 두께는 약 4㎝일 수 있다. 즉, 블록 뼈대의 두께가 3cm ~ 6cm일때 블록(10)은 빗물저장공간이 크게 확보되고 빗물 저장시 무게를 지지하고 하중을 견디는 힘을 가질 수 있다. 만일 3cm 미만일 경우, 하중을 견디는 힘이 약해질 수 있고 빗물 저장시 구조체가 무너질 우려가 있다. 또한, 6cm 초과할 때, 빗물 저장공간(1)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고 내부 청소 인력이 투입되기 어려울 수 있다.Here, the block 10 may include a first block 11, a second block 12 and a third block 13. First, the first block 11 is disposed at the edge corner of the storage space 1, and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wo adjacent side surfaces are closed. The second block 12 is coupled to the first block 11 and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1,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one side closed structure. The third block 13 is the first block 11 and the second block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1 to form an inner space and to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The entire side surfac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open structures. In addition, the first block 11, the second block 12 and the third block 13, the thickness of the column and the corner portion forming the skeleton in each open structure may be about 4 cm.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block framework is 3 cm to 6 cm, the block 10 has a large rainwater storage space and can support the weight and have the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when storing rainwater. If it is less than 3 cm, the load-bearing force may be weakened and the structure may collapse during rainwater storage. In addition, when it exceeds 6 cm, the area of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 may be small and it may be difficult to input internal cleaning personnel.

반면, 복수의 블록(10)은 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면체, 팔면체 등의 다양한 다각면체로 응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blocks 10 are not limited to hexahedrons,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polyhedrons such as tetrahedrons and octahedron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과 마감부재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member of the first block and th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마감부재(20)는 복수의 상부마감부재(21) 및 복수의 하부마감부재(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부마감부재(21)는 블록(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밀폐부(21a)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블록(10)의 상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부(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하부마감부재(22)는 블록(1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밀폐부(22a)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블록(10)의 하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하부홈부(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밀폐부(21a) 및 하부밀폐부(22a)가 있는 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없어도 무관하다. 그러나, 상부밀폐부(21a) 및 하부밀폐부(22a)는 빗물이 채워질 때 빗물 저류조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고 밀폐 저장될 수 있도록 수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losing member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closing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lower closing members 22 . The plurality of upper closing members 21 are formed with an upper sealing part 21a protruding in the center to seal the open top of the block 10, and a protrusion formed at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0 It may be made of an upper protrusion (21b). The plurality of lower closing members 22 have a lower sealing part 22a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seal the open lower part of the block 10, and a groove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10. It may be made of a formed lower groove (22b). Here, it is not limited to having an upper sealing portion 21a and a lower sealing portion 22a, and may or may not exist. However, the upper sealing part 21a and the lower sealing part 22a may play a watertight role so that when the rainwater is filled,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sealed and stored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결합부재(30)는 블록(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모서리 일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마감부재(20)의 상부돌기부(21b) 및 하부홈부(22b)와 서로 맞춤 체결되며 적층 조립이 가능한 층조립홈부(31a) 또는 층조립돌기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는 별도의 나사, 너트 및 철근 등의 체결체가 필요 없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적층 조립이 가능하여 협소하거나 지대의 높이차가 있는 부지에서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층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다양한 부지에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마감부재(21) 및 하부마감부재(22) 각각의 모서리에 층조립홈부(31a)가 형성되고 그 층조립홈부(31a)에 체결되도록 별도의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3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corner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10, and is custom-fitted with the upper protrusion 21b and the lower groove 22b of the closing member 20, and stack assembly is performed. Possible layer assembly grooves (31a) or layer assembly protrusions (31b) may be included. Therefore,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separate fasteners such as screws, nuts, and reinforcing bars, so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stacked assembly is possibl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ite or a site with a difference in height. The number of floors can be reduced or increased as needed,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sit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layer assembly groove 31a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upper finishing member 21 and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and is composed of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layer assembly groove 31a. It could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록 조립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록과 제3블록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4 is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example of a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between coupling members of a second block and a thir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0)는 블록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조립수부(33) 및 블록 측면에 위치하고 다른 블록의 측면조립수부(33)가 삽입되는 것으로, 블록 간에 좌우측면이 서로 암수결합으로 끼어맞춤되도록 되는 측면조립암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블록 중 제1블록(11)이 저장공간(1)의 모서리에 배치하고 닫힌 구조의 반대편 개방된 두 측면에 제2블록(12)이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제1블록(11)에 조립된 제2블록(12)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위치에 측면이 모두 개방된 제3블록(13)이 조립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upling member 3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ide assembly unit 33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lock and the side assembly unit 33 of another block is insert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blocks are male and female. It may include a side assembly arm portion 35 to be fitted by coupling. Among the unit blocks, the first block 11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storage space 1, and the second block 12 may be assembled and installed on two open sides opposite to the closed structure. An intern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lock 12 assembled to the first block 11, and the third block 13, the side of which is both open,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there.

도 5를 참조하면, 측면조립암부(35)는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조립수부(33)는 암걸림부(35a)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수걸림부(33a)를 포함할 수 있다. 암걸림부(35a) 및 수걸림부(33a)가 수직축(Z)을 기준으로 교차 대칭되게 위치하여 미끄러지면서 서로 억지끼움 체결되는 것으로, 블록 간에 평면 상(X, Y)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측면조립암부(35) 및 측면조립수부(33)의 돌기 및 홈 두께는 1㎝ 즉, 0.5㎝ ~ 2㎝를 가질 수 있고 이 범위를 만족할 때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력이 큰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만약 0.5㎝ 미만일 때는 접촉면적이 작아서 결합력이 약해지고 2㎝ 초과할 때에는 블록(10)의 뼈대 부분의 두께를 초과하게 되어 오히려 조립의 기능이 상실되고 결합력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조 블록체(10)는 결합력이 강하고 결합 구조 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측면조립암부(35) 및 측면조립수부(33)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공 결합법과 같은 반턱짜임, 막장부짜임, 장부짜임 등 결합되어 블록 간의 접착면이 넓어 결합력이 높아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ide assembly arm part 35 may include an arm engaging part 35a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Side assembling part 33 may include a female engaging part 33a that is fitted while sliding into the female engaging part 35a and expands toward the outside. The female locking portion 35a and the male engaging portion 33a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crosswis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Z,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sliding, so that the blocks are not separated and separated on the plane (X, Y). In addition, the protrusions and grooves of the side assembly arm 35 and the side assembly receiver 33 may have a thickness of 1 cm, that is, 0.5 cm to 2 cm, and when this range is satisfied, the contact area is widened and the bonding force is large. can If it is less than 0.5 cm, the contact area is small, so the bonding force is weakened, and when it exceeds 2 cm, the thickness of the skeleton portion of the block 10 is exceeded, so that the assembly function is lost and the bonding force is reduced. Therefore,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rong bonding strength and can have a sense of stability in the bonding structure. However, the side assembly arm part 35 and the side assembly part 33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4 and 5, and are combined with half-tuck weaving, tenon weaving, etc. The adhesive surface is wide and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that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입체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외부 측면에서 봐라본 블록 입체도이다.Figure 6a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block three-dimensional view of Figure 6a viewed from the outer sid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면에 빗물 저류조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실시하고, 평탄화작업 및 기초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차수시트를 깔고 그 위에 하부마감부재(22)가 조립된 제1블록(11)을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위치시키고, 제1블록(11)과 연결하여 가장자리에 제2블록(12)을 조립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제1블록(11)과 제2블록(12)이 서로 연결되어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3블록(13)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한 층을 배치한 후 같은 방법으로 그 위에 적층하여 빗물 저류조 블록체(10)를 적층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는 특별한 공구 없이 서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부지면적 대비 큰용량의 빗물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부지면적 변경시 다양한 모양으로 재조립 및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a and 6b, excavation for rainwater storage tank construction on the ground, leveling work and foundation work can be performed. Then, a water-retardant sheet is laid, and the first block 11 on which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is assembled is placed at the edge corner of the storage space 1, connected to the first block 11, and the second block at the edge. (12) can be assembled and positioned. Then, the first block 11 and the second block 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1 and form an inner space. By being disposed in the inner spac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stall a plurality of third blocks 13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the entire side surface is open. After arranging one layer in this way,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can be laminated by stacking on it in the same way. Therefore,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by fitting each other without special tool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space with a large capacity compared to the site area, and can be reassembled and reused in various shapes when the site area is changed.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빗물이 유입되는 쪽에 빗물유입구를 구비한 빗물유입 맨홀, 유입된 맨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분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의 다른 일측에는 저류된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맨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공간(1) 내에 조립 및 적층된 빗물 저류조 블록체(10) 상부에 상부마감부재(21)를 덮어서 최종 조립 후 그 둘레에 차수시트를 둘러싸 흙을 채우고 매립하여 최종 빗물 저류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빗물 저류조 블럭체(10)를 적층 구성할 때 유지관리 작업을 고려하여 설계한 동선을 따라 작업자 출입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disclosed in the drawing, it may include a rainwater inflow manhole having a rainwater inlet on the sid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n, a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from the inflow manho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may include a discharge manhole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red rainwater. After the final assembly by covering the upper finishing member 21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assembled and stacked in the storage space 1,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completed by surrounding the water-repellent sheet around it, filling it with soil, and burying it. . At this time, when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is laminated, a worker access passage can be configured along a circulation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maintenance work.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결합부재 간 조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위블록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between coupling members of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unit block of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재(30)는 블록 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35a)가 형성되는 측면조립암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조립암부(35)의 홈 두께는 1㎝ 즉, 0.5㎝ ~ 2㎝를 가질 수 있고 이 범위를 만족할 때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력이 큰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만약 0.5㎝ 미만일 때는 접촉면적이 작아서 결합력이 약해지고 2㎝ 초과할 때에는 블록(10)의 뼈대 부분의 두께를 초과하게 되어 오히려 조립의 기능이 상실되고 결합력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측면조립암부(35) 간의 간격은 약 2㎝을 가질 수 있다.7 and 8, the coupling member 30 includes a side assembly arm 35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an arm engaging portion 35a is formed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can do. Here, the groove thickness of the side assembly arm 35 may have a thickness of 1 cm, that is, 0.5 cm to 2 cm, and when this range is satisfied, the contact area is widened and there may be a great advantage in bonding force. If it is less than 0.5 cm, the contact area is small, so the bonding force is weakened, and when it exceeds 2 cm, the thickness of the skeleton portion of the block 10 is exceeded, so that the assembly function is lost and the bonding force is reduced.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assembly arm parts 35 may have about 2 cm.

또한, 적어도 두개의 측면조립암부(35)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 체결되고 암걸림부(35a)와 맞춤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네크부(40a)가 형성되며 블록 간에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40)는 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블록(10) 간 두께 대비 상호 체결하여 결합력을 가지기에 적당한 두께일 수 있다. 즉, 보강부재(40)가 1㎝ ~ 5㎝일 때 접합면적이 넓어지고 높은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만일 1㎝ 미만일 때 결합력이 약해지고, 5㎝ 초과할 때 블록(10) 간 두께 보다 더 두꺼워져 보강부재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t is inserted between at least two side assembly arm parts 35, and the neck part 40a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is clamped while sliding up and down, and is fitted and coupled with the arm engaging part 35a, and between the blocks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40 to reinforce the coupling. Here, the reinforcing member 40 may have a thickness of 2 cm. Compared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blocks 10, it may be a thickness suitable for mutual fastening to have a bonding force.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member 40 is 1 cm to 5 cm, the bonding area can be widened and high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If it is less than 1 cm, the bonding force is weakened, and when it exceeds 5 cm, it beco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between the blocks 10 and cannot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반면, 결합부재(3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될 수 있다. 네크부(40a)와 암걸림부(35a)가 서로 빗면이 접촉하면서 블록(10) 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mber 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to 8,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be assembled. As the neck portion 40a and the arm engaging portion 35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epara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blocks 10 may be prevented and bonding force may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은 복합재생원료(5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복합재생원료(50)로 이루어진 펠렛(50)으로 블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블록(11), 제2블록, 제3블록(13) 및 마감부재(20)를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30)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50. Then, a step of forming a block with pellets 50 made of th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may be included. Finally, a step of assembling the first block 11, the second block, the third block 13, and the finishing member 20 into a coupling member 30 for coupling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may be included.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생원료(50)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중 복합재생원료(50)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공정 사진이다.9 is a process photograph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th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0)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50)를 제조하는 단계는, 먼저 제1파쇄유닛(110)을 이용하여 폐비닐을 400㎠ ~ 600㎠의 면적으로 1차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중 선별기(200)를 이용하여 1차 파쇄된 상기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파쇄유닛(130)을 이용하여 비중 선별기(200)를 경유한 폐비닐을 25㎠ ~ 100㎠의 면적으로 2차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력 선별기(300)를 이용하여 제2파쇄유닛(130)을 경유한 폐비닐 내에 포함된 금속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풍력 선별기(400)를 이용하여 자력 선별기(300)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비중 차이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 선별기(400)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내부 기포 또는 수분을 없애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용융 압출기(600)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를 경유한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00℃에서 1차 용융 및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용융 압출기(7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용융 압출기(600)를 경유한 폐비닐을 150℃ ~ 250℃에서 2차 용융 및 혼합하여 싱글 스크류를 통하여 가로와 세로 각각 3㎜ ~ 10㎜의 목 간격을 가지는 격자무늬 형태로 이루어진 후단 토출 노즐의 직경을 통과시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워터 커팅기(800)를 이용하여 제2용융 압출기(700)를 경유한 폐비닐을 커팅 및 냉각하고 최종 펠렛(5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동 바이브레이터(900)를 이용하여 워터 커팅기(800)를 경유한 펠렛(50)을 이송, 분리 및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50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100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waste vinyl is 400 times using the first shredding unit 110. It includes the step of primary crushing with an area of cm 2 ~ 600 cm 2 . and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rimarily shredded waste vinyl using a specific gravity sorter 200. and secondarily crushing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pecific gravity sorter 200 using the second crushing unit 130 to an area of 25 cm 2 to 100 cm 2 . and removing metals included in the waste vinyl through the second shredding unit 130 using the magnetic separator 300 . A step of addition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gnetic sorter 300 by using the wind power sorter 400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nd removing internal air bubbles or moisture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ind power sorter 400 using a compressor. and extruding by using a first melt extruder 600 by first melting and mixing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via the compressor at 150° C. to 200° C. By using the second melt extruder 700,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melt extruder 600 is melted and mixed for the second time at 150 ° C to 250 ° C, and through a single screw, the width and length of 3 mm to 10 mm, respectively, and extruding through a diameter of a rear end discharge nozzle having a grid pattern having a neck gap. and cutting and cooling the waste vinyl passed through the second melt extruder 700 using the water cutting machine 800 and manufacturing final pellets 50. It includes the steps of transporting, separating and dewatering the pellets 50 via the water cutting machine 800 using the vibration vibrator 900.

제1파쇄유닛(110)을 이용하여 상기 폐비닐을 소정 크기로 1차적으로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은 제1파쇄유닛(110), 비중 선별기(200), 제2파쇄유닛(130), 자력 선별기(300), 풍력 선별기(400), 압축기(500), 제1용융 압출기(600), 제2용융 압출기(700), 워터 커팅기(800) 및 진동 바이브레이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비닐을 400㎠ ~ 600㎠의 면적으로 1차 파쇄할 수 있다.A step of primarily shredding the waste vinyl into a predetermined size using the first shredding unit 110 may be included. Here,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includes a first crushing unit 110, a specific gravity separator 200, a second crushing unit 130, a magnetic separator 300, a wind separator 400, a compressor 500, and a first melt extruder. 600, a second melt extruder 700, a water cutting machine 800 and a vibration vibrator 900 may be included. The waste vinyl may be primarily crushed in an area of 400 cm 2 to 600 cm 2 .

비중 선별기(200)를 이용하여 1차 파쇄된 상기 폐비닐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중 선별기(200)는 복합 필름류 등의 복합 폐비닐을 분쇄 선별하는 것으로, 크게 비중차에 의하여 폐비닐을 선별할 수 있다. 비중 선별기(200)에는 집게차(10) 등에 의하여 운반되는 폐비닐이 투입된다. 또한 비중 선별기(10)에 의해 선별된 폐비닐은 컨베이어 장치(30) 등을 통하여 이송되며 풍력 선별기(400)에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비중 선별기(100)는 본체 프레임, 파쇄유닛 및 이물질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은 복합계 폐비닐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유닛은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비닐을 일차적으로 분쇄한다. 이를 위하여, 파쇄유닛은 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와, 파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쇄유닛는 제1구동원과 파쇄부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쇄부가 서로 이웃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파쇄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파쇄부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구동원과 제1동력전달부 각각이 2개씩 구비된 점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A step of sort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primarily shredded waste vinyl using a specific gravity sorter 200 may be included. The specific gravity sorter 200 pulverizes and sorts composite waste vinyl such as composite films, and can sort waste vinyl largely based on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Waste vinyl transported by a tong truck 10 is put into the specific gravity sorter 200. In addition, the waste vinyl sorted by the specific gravity sorter 10 is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device 30 and the like, and may be put into the wind power sorter 400. Here, the specific gravity separator 100 includes a body frame, a crushing unit, and a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The body frame may include an inlet into which composite waste vinyl is injected. The shredd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ody frame and primarily crushes the waste vinyl input through the inlet. To this end, the crush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crushing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frame, and a first driving source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crushing unit. Here, the cru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driving source and the crushing unit to transmit power. As an example, the crush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crushing units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wo first driving sources and two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s are provided so as to transmit power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units. was

또한 이물질 분리유닛은 파쇄유닛에서 파쇄된 후 낙하된 폐비닐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반면, 이물질 분리유닛은 폐비닐에 비하여 비중이 무거운 이물질 즉, 폐비닐에 달라붙어 있거나 폐비닐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수직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분리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이물질 분리유닛은 복수의 이송부와, 이 이송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물질 분리유닛은 제2구동원과 일 이송부 사이 및 복수의 이송부 중 이웃하는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송부는 배치 구조가 상이한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transfers the waste vinyl that has fallen after being shredded by the shredd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separate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having a heavier specific gravity than the waste vinyl, that i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waste vinyl or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waste vinyl by dropping them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ort units and a second driving source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port units. Here,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source and one transfer unit and between neighboring transfer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to transmit power. Here,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transfer unit and a second transfer unit having different arrangement structures.

파쇄부는 제1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간격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와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 상에 각각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복수의 고정부재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를 구비한 제1 및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는 제1파쇄 샤프트의 중심과 제2파쇄 샤프트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파쇄 샤프트의 중심에서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와 제2파쇄 샤프트의 중심에서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의 합 보다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와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는 상호 간섭없이 회전 구동되도록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 각각의 축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며 제1 또는 제2파쇄 샤프트에 삽입 고정되는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상기 파쇄 블레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fram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shafts and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shafts, whi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to be installed; 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rushing blade units having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f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n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shaft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crushing shaft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rushing shaft is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rushing shaft to the end of the crushing blade of the first crushing blade unit and the second crushing shaft. It may be arranged to be short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rushing shaft to the end of the crushing blades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unit. The crushing blades of the first crushing blade unit and the crushing blades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unit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shafts so as to be rotated without mutual interference. Each of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sists of a pair of hollow fixing plate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or second crushing shaft, and the crushing blade may b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lates.

이송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샤프트와 복수의 이송 샤프트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송 샤프트는 복수의 스커트 중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1이송 샤프트와 복수의 스커트 중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2이송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배치에 있어서, 제1이송 샤프트와 제2이송 샤프트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1이송 샤프트에 설치된 스커트와 제2이송 샤프트에 설치된 스커트는 상기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는 중첩되고,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shafts and the plurality of transfer shaft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kirt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Here, the plurality of transfer shaft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shafts in which two types of skirts having different sizes among the plurality of skirts are alternate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kirts in which two types of skirts having different sizes are alternately installed. It may include a second transfer shaft of. 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ransfer shafts, the first transfer shaft and the second transfer shaft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the skirt installed on the first transfer shaft and the skirt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fer shaft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shafts overlap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shaf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이송부를 통하여 폐비닐을 이송함에 있어서, 폐비닐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송 샤프트를 통하여 이웃한 이송 샤프트 상으로 이송되며, 후술하는 폐비닐 풍력 선별기 방향으로 이송한다. 또한 이송 과정에서 폐비닐에 부착된 이물질 및 폐비닐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은 폐비닐에 비하여 비중이 크다. 그러므로 이 비중이 큰 이물질은 복수의 스커트 사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Accordingly, when the waste vinyl 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the waste vinyl is transferred onto an adjacent conveying shaft through a plurality of continuously arranged conveying shafts, and is conveyed toward a waste vinyl wind power sorter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aste vinyl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nd the foreign matter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waste vinyl have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the waste vinyl.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falls downward through between the plurality of skirt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비중 선별기는 파쇄유닛을 통하여, 투입되는 폐비닐을 잘게 부순 후, 분쇄된 폐비닐을 이물질 분리유닛을 통하여 폐비닐과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폐비닐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ste vinyl gravity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ushes the input waste vinyl through a shredding unit, and then separates the pulverized waste vinyl from the waste vinyl and foreign matter through a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to obtain high-quality waste vinyl. There is an advantage.

연속되게 본 발명은 제2파쇄유닛(130)을 이용하여 상기 비중 선별기(200)를 경유한 폐비닐을 소정의 크기로 2차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의 선별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폐비닐과 이물질 사이의 비중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비중 선별된 상기 폐비닐을 25㎠ ~ 100㎠의 면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만일, 25㎠ 미만으로 파쇄시 이물질과의 비중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아 후단 공정인 풍력 선별기(400) 상부에 설치된 집진기(490)에 의하여 이물질과 함께 비산될 수 있다. 또한, 100㎠ 초과 파쇄시 폐비닐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 후단 공정의 선별 및 용융 시간이 지체되거나 내부 공차로 인하여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폐비닐이 타거나 아예 용융될 지 않고 후단 공정에 부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25㎠ ~ 100㎠의 면적으로 파쇄시 이물질과 폐비닐 사이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후단 공정인 풍력 선별기(400)의 분리 선별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후단 공정인 자력 선별기(300), 풍력 선별기(400), 1차 및 제2용융 압출기(600)(700) 각각에 투입시 타격하는 폐비닐의 중량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는 풍력 선별기(400)에 전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 풍력 선별기(400)의 파손 및 과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Continuous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secondarily crushing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pecific gravity sorter 200 into a predetermined size using the second crushing unit 130 .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bsequent sorting process and increase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waste vinyl and foreign matter, the specific gravity sorted waste vinyl may be crushed to an area of 25 cm 2 to 100 cm 2 . If, when crushing less than 25 cm 2 ,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with the foreign matter is not large, so it may be scattered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by the dust collector 49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nd separator 400, which is a later stage. In addition, as the area of waste vinyl increases when shredding more than 100 cm2, the sorting and melting time in the subsequent process is delayed or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due to internal tolerances, which causes the waste vinyl to burn or not melt at all, which causes a load in the subsequent process. It may cause a malfunction because of this. Therefore, when crushing with an area of 25 cm2 to 100 cm2,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wind power sorter 400, which is a later step, can be increased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oreign matter and the waste vinyl.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the waste vinyl that is hit when inputting into the magnetic separator 300, the wind separator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melt extruders 600 and 700, respectively, which are the latter stages, is heavy or hard, the wind separator 4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wind power selector 400 and prevent excessiv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자력 선별기(300)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 내에 포함된 금속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력 선별 과정은 인력, 기계 등을 이용하여 선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s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moving metals included in the foreign substances using the magnetic separator 300. At this time, the magnetic screening process may be screened using manpower, machine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풍력 선별기(400)를 이용하여 이물질과 폐비닐의 비중 차이에 의하여 폐비닐로부터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ddition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by using a wind separator 400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waste vinyl. can

풍력 선별기(400)는 본체 프레임(410), 풍력발생부(430), 풍력발생부(4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451) 및 메쉬형 회전선별통(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410)은 전처리 공정에서 파쇄된 폐비닐을 투입받는 투입 입구부(411)와 풍력 선별 후 폐비닐을 배출하는 출구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430)는 본체 프레임(4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풍력발생부(430)는 상기 폐비닐을 투입 입구부(411)에서부터 출구부(415)로 낙하 이동시키며 상기 이물질을 상기 폐비닐로부터 분리 선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풍력발생부(4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구동원(451)과 풍력발생부(4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원(451)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풍력발생부(430)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power sorter 400 may include a body frame 410, a wind power generation unit 430, a driving source 451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430, and a mesh type rotary separator 420. The body frame 410 may include an input inlet 411 for receiving the waste plastic shredd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an outlet 415 for discharging the waste plastic after air separa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frame 410 to generate wind power. 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may drop and move the waste vinyl from the input inlet 411 to the outlet 415 and separate and sort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a) and 14(b).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rive source 451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to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455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drive source 451 so that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rotates. can

메쉬형 회전선별통(420)은 상기 본체 프레임(410) 내부에 위치하고 풍력발생부(430)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쉬형 회전선별통(420)은 상부 메쉬형 회전선별통(421) 및 하부 메쉬형 회전선별통(4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메쉬형 회전선별통(421)과 하부 메쉬형 회전선별통(425) 각각은 속이 빈 반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외형 전체에 걸쳐 내외부를 관통하는 메쉬(mesh)가 형성되어 있다. 메시(mesh)망은 밀리미터(mm) 내지 서브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구멍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파쇄된 폐비닐이 메쉬형 회전선별통 내에서 풍력발생부(430)의해 회전시, 메쉬형 회전선별통(420)에 부딪히게 되고, 그 충격에 의해 잔류하는 이물질이 폐비닐로부터 분리 선별되어 메쉬형 회전선별통 외부로 분리 이탈 및 낙하될 수 있다. 이어서, 메시(mesh)망을 통과하는 이물질은 비산되어 집진기(490)에 포집될 수 있다.The mesh type rotating sorter 4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frame 410 and surround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mesh-type rotary separator 42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mesh-type rotary separator 421 and a lower mesh-type rotary separator 425. Each of the upper mesh-type rotary separator 421 and the lower mesh-type rotary separator 425 has a hollow semi-cylindrical structure, and a mesh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is formed throughout the outer shape. The mesh network may have a pore size between millimeters (mm) and submicrometers (μm). Therefore, when the shredded waste vinyl is rot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430 in the mesh-type rotary sorter, it collides with the mesh-type rotary sorter 420, and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by the impact is separated and sorted from the waste vinyl It can be separated, separated, and dropped to the outside of the mesh-type rotary sorter. Subsequently, foreign substances passing through the mesh may be scattered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490 .

도 11은 도 10의 공정 중 폐비닐 풍력 선별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풍력발생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측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ind turbine waste sorter during the process of FIG. 10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of FIG. 11 , and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2 .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풍력발생부(430)는 본체 프레임(4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샤프트(431)와, 풍력 샤프트(431)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홀더부(435) 및 편향풍력부(440)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홀더부(435) 각각은 풍력 샤프트(431) 상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편향풍력부(437)가 회동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11 to 13, the wind power generator 430 includes a wind shaft 431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frame 410 and a plurality of fixed holders installed on the wind shaft 431 ( 435) and a deflection wind power unit 440.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holder parts 435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wind shaft 431, and may support the plurality of wind deflection parts 437 to rotate.

도 14(a) 및 도 14(b) 각각은 도 5의 편향풍력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 각각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편향풍력부(440)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더부(435)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복수의 편향풍력부(440) 각각은 상기 풍력 샤프트(431)의 회전력에 의하여 원심력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서 풍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편향풍력부(440)의 회전에 의하여, 메쉬형 회전선별통(420) 내에 투입된 폐비닐이 회전하면서 출구부(415)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편향풍력부(440)는 충돌시 무게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하하여 선택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편향풍력부(440)는 고정홀더부(435) 사이에서 폐비닐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주로 폐기물을 타격, 절단 및 파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4 (a) and 14 (b)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ind deflection unit of FIG. 5 . 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 the plurality of wind deflection units 44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holder units 435. Each of the plurality of deflection wind power units 440 generates wind power while being rotated in a state of rotation in a centrifug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 shaft 431 . Therefore,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deflecting wind turbine units 440, the waste vinyl put into the mesh type rotary sorter 420 can move toward the outlet 415 while rotating.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wind deflection units 440 may be selectively filtered by falling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during collis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eflection wind turbine units 440 are installed inclined between the fixed holder units 43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te vinyl is input, and may mainly play a role of hitting, cutting, and crushing the waste.

상기 편향풍력부(440)는 투입되는 상기 폐비닐을 1차 충돌시켜 회전하는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1날개부(441) 및 일 측이 상기 제1날개부(441)의 일 측과 연결되는 제2날개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날개부(443)는 상기 제1날개부(441)와 그 사이 소정의 각도(θ)가 도 14(a)와 같이 40도 ~ 80도 또는 도 14(b)와 같이 100도 ~ 160도로 위치할 수 있다. 제2날개부(443)의 일 면이 투입 방향(타격 방향)의 상기 폐비닐과 2차 충돌하여 상기 폐비닐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탈 하여 비산 또는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40도 미만일 때 폐비닐 또는 이물질이 제1날개부(441) 및 제2날개부(443) 사이에 끼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80도 초과하거나 100도 미만 또는 160도 초과시 제1날개부(441)의 회전방향과 제2날개부(443) 일면의 회전방향이 거의 동일하여 폐비닐에 2차 충돌의 역할이 미비함에 따라 폐비닐로부터의 이물질 선별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3)의 사이의 각도가 40도 ~ 80도 또는 100도 ~ 160도일 때 폐비닐이 충돌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폐비닐로부터의 이물질 분리 선별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The deflection wind power unit 440 has a first wing unit 441 that causes the inputted plastic waste to fall in a rotating direction by first colliding with one side of the first wing unit 44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wing unit 441. A second wing portion 443 may be included. Here, the second wing 443 has a predetermined angle θ between the first wing 441 and 40 degrees to 80 degrees as shown in FIG. 14 (a) or 100 degrees to 100 degrees as shown in FIG. 14 (b). It can be positioned at 160 degrees. One side of the second wing 443 collides with the waste vinyl secondarily in the input direction (strike direction) to caus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aste vinyl to escape and scatter or fall. When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40 degrees, waste vinyl or foreign substances may be caught between the first wing 441 and the second wing 443, which may cause mechanical failure. When the angle exceeds 80 degrees, less than 100 degrees, or greater than 160 degre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wing part 441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wing part 443 are almost the same, so the role of secondary collision with the waste vinyl is insufficient. The efficiency of sorting foreign matter from vinyl may be lowered. Therefore,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wing 441 and the second wing 443 is 40 degrees to 80 degrees or 100 degrees to 160 degrees, the number of collisions of the waste vinyl is increas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복수의 편향풍력부(440) 중 일부는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3)의 사이의 각도가 40도 ~ 80도를 이루고 나머지 편향풍력부(440)는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3)의 사이의 각도가 100도 ~ 160도를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다른 각도를 가진 복수의 편향풍력부(440)는 투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로에 위치하고 그 다음 하나의 편향풍력부(440)는 세로에 위치하면서 지그재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는 폐비닐이 충돌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deflection wind turbine units 440 form an angle between the first wing unit 441 and the second wing unit 443 of 40 degrees to 80 degrees, and the remaining wind deflection units 440 form the first wing unit 440. The angle between the wing part 441 and the second wing part 443 may be installed with 100 degrees to 160 degrees. The plurality of deflection wind turbine units 440 having different angles are positioned horizontally relative to the input direction, and then one deflector wind turbine unit 44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while being vertically positioned. Therefore, this arrangement can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llisions of waste vinyl.

이때 상기 풍력 선별기(400) 상부에 배치된 집진기(490)를 이용하여 메쉬형 회전선별통(425)으로부터 이탈되어 비산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날개부(441)는 폐비닐에 부착된 이물질을 1차로 충돌시키고 제2날개부(443)는 2차로 폐비닐을 충돌시켜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분을 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은 메쉬형 회전선별통(425)에 부착되거나 미세 이물질은 메쉬를 통과한 후 비산하여 집진기(490)에 포집될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이 분리된 폐비닐은 풍력 선별기(400) 출구의 하단에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식형 풍력 선별기(400)는 별도의 세척 수단 없이 메쉬형 회전선별통(425)만 분리해서 털어내어 세척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step of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mesh type rotary sorter 425 and scattering by using the dust collector 490 disposed above the wind separator 400 may be further included. In detail, the first wing 441 primarily collid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waste vinyl, and the second wing 443 secondarily collides with the waste vinyl to remove rem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dry moisture. have.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may be attached to the mesh type rotary sorter 425 or the fine foreign matter may be scattered after passing through the mesh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490.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may be coll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let of the wind power sorter 400 . Such a dry type wind separator 400 can be cleaned by separating and shaking off only the mesh type rotary sorter 425 without a separate cleaning means.

따라서, 풍력 선별기(400) 내부 또는 후단 공정에 세척 단계를 생략할 수 있고 건식으로 폐비닐을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폐수 및 전력 소모를 발생하지 않아 폐수처리비 및 전력비 등의 제조 공정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풍력 선별기(400)는 투입되는 파쇄된 폐비닐에 대해 복수의 편향풍력부(440)의 회전과 메쉬형 회전선별통(420)을 통하여 폐비닐과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복합재생원료(펠렛(50))(50)을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the washing step in the wind power sorter 400 or in the subsequent process, and since waste vinyl can be sorted in a dry manner, wastewater and power consumption are not generat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process cost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cost and power cost.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waste vinyl wind power sort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 plurality of deflection wind power units 440 for the shredded waste vinyl and foreign substances moving together with the waste vinyl through the mesh-type rotary sorter 420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quality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pellet 50) 50 by separat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압축기(500)를 이용하여, 폐비닐 내부 기포를 없애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별된 폐비닐을 후단 공정인 제1용융 압출기(600)에 투입하기 전 내부기포 또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할 수 있다. 압축하는 단계는 1차 및 제2용융 압출기(600)(700) 내부에 내부기포 또는 수분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내부압력 또는 부하를 줄여 잔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moving air bubbles inside the waste vinyl using the compressor 500 . The selected waste vinyl may be compressed to completely remove internal air bubbles or moisture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first melting extruder 600, which is a later step. The compression step may play a role in preventing minor failures from occurring by reducing internal pressure or load that may occur due to internal bubbles or moisture inside the primary and secondary melt extruders (600, 700).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용융 압출기(6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00℃에서 1차 용융 및 혼합하여 트윈 스크류를 통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제2용융 압출기(7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50℃에서 2차 용융 및 혼합하여 싱글 스크류를 통하여 5㎜ ~ 50㎜의 눈 간격을 가진 스크린을 통과시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elting and mixing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and extruding the waste vinyl using a melt extruder. In detail, using the first melting extruder 600,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may be first melted and mixed at 150 ° C to 200 ° C, and then extruded through a twin screw. Next, by using the second melting extruder 700,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is secondary melted and mixed at 150 ° C to 250 ° C, and passed through a screen with an eye gap of 5 mm to 50 mm through a single screw. It may include the step of extruding by doing.

1차 용융 및 혼합 단계에서 75 ~ 90% 용융시킨 후 제2용융 압출기에서 싱글 스크류 고회전 믹서시킴으로서 나머지 10 ~ 25%의 폐비닐을 완전 용융 시킬 수 있다. 여기서 150℃ 이하에서는 폐비닐의 용융이 안 될 수 있고 250℃이 넘어가면 폐비닐이 소각 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용융 압출기의 회전속도와 제2용융 압출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함이 권장될 수 있다. 따라서 150℃ ~ 250℃ 범위를 가질 때 99.9%의 폐비닐이 소각되지 않고 용융될 수 있다.After melting 75 to 90% in the first melting and mixing step, the remaining 10 to 25% of the waste vinyl can be completely melted by mixing with a single screw high rotation in the second melting extruder. Here, since the waste vinyl may not be melted below 150 ° C and the waste vinyl may be incinerate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250 ° C,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melt extruder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melt extruder. have. Therefore, when it has a range of 150 ℃ ~ 250 ℃, 99.9% of the waste vinyl can be melted without being incinerated.

아울러, 최종 압출되는 제2용융 압출기(700) 후단 토출 노즐의 직경은 3㎜ ~ 10㎜의 눈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직경이 3㎜ ~ 5㎜의 눈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목 간격은 격자무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원형, 허니콤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펠렛(50)으로 다양하게 제조되도록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직경이 3㎜ 미만이거나 5㎜ 초과하는 경우 토출되는 펠렛(50)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면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에 3㎜ ~ 5㎜ 범위의 직경을 가질 때 적정 크기의 펠렛(50)이 제조될 수 있다. 펠렛(50) 크기가 3㎜ 미만인 경우 제2용융 압출기(700) 설비 상의 노즐 직경을 변경해야하고 후단 공정의 워터 커팅기(800)에서 커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펠렛(50) 크기가 5mm 초과하는 경우 최종 제품 성형시 용융 과정에 따른 공정 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3㎜ ~ 5㎜ 범위의 펠렛(50)을 경우 제2용융 압출기(700)의 설비 변경 없이 토출할 수 있고 후단 공정의 워터 커팅기(800)으로 커팅하여 최종 성형품 생산에 필요한 적합한 복합재생원료(50)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nozzle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melt extruder 700 that is finally extruded may have an eye gap of 3 mm to 10 mm.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nozzle may have an eye gap of 3 mm to 5 mm. Here, the neck spacing may have a grid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creen may be used to manufacture various pellets 50 desired by the user,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honeycomb. In addition, when the nozzle diameter is less than 3 mm or greater than 5 mm, if the size of the ejected pellets 50 is too small or large,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producing various high value-added products, so when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3 mm to 5 mm Properly sized pellets 50 may be produced. If the size of the pellets 50 is less than 3 mm, the diameter of the nozzle on the second melt extruder 700 equipment must be changed and there may be difficulty in cutting in the water cutter 800 of the subsequent process.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pellets 50 exceeds 5 mm,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melting process may be delayed during molding of the final product. Therefore, in the case of pellets 50 in the range of 3 mm to 5 mm, it can be discharged without changing the equipment of the second melt extruder 700, and it is cut with the water cutting machine 800 in the subsequent process to produce a suitabl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final molded products. (50) can b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압출된 폐비닐을 워터 커팅(Water Cutting)하고 냉각하여, 펠렛(50)(복합재생원료)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펠렛(50)화(Pelleting) 단계에서는 플라스틱 칩을 녹이고 최종적으로 고체 및 금속 이물질을 제거한 후 알갱이 형태의 3㎜ ~ 5㎜ 크기의 플라스틱 펠렛(50)을 생성할 수 있다.Finally,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ded waste vinyl is water-cut and cooled to produce pellets 50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steps may be included. In the pelleting step (50), the plastic chips are melted and solid and metal foreign substances are finally removed, and then plastic pellets 50 having a size of 3 mm to 5 mm in the form of granules may be generated.

워터 커팅기(800)는 압출다이의 후방에 상,하측으로 냉각수 급수관과 절단된 펠렛(50) 성형물을 냉각수와 함께 배출하는 배수관이 형성된 워터박스가 고정 설치되고, 워터박스 내에는 모터와 축 결합하여 고속회전하는 회전체의 전방에 결합된 절단날이 압축다이의 후면과 면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다수의 노즐공을 통해 압출되는 폐비닐 용융물을 수중의 워터박스 내에서 알갱이 형태로 절단할 수 있다.In the water cutting machine 800, a water box having a cooling water supply pipe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cut pellets 50 molded product together with the cooling water is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trusion die. The cutting blad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otating body rotating at high speed rotate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mpression die, and the waste vinyl melt extrude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can be cut in the form of granules in the water box.

상세하게, 압출된 용융물을 냉각 또는 수냉 시키면서 배출하게 되고 냉각되어 나오는 용융물은 겔 또는 펠렛(50) 상태가 된다. 이때 워터 커팅기(800)를 이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워터 커팅기는 압출다이의 후방에 상,하측으로 냉각수 급수관과 절단된 펠렛(50) 성형물을 냉각수와 함께 배출하는 배수관이 형성된 워터박스가 고정 설치되고, 워터박스 내에는 모터와 축 결합하여 고속회전하는 회전체의 전방에 결합된 절단날이 압축다이의 후면과 면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다수의 노즐공을 통해 압출되는 수지 용융물을 수중의 워터박스 내에서 알갱이 형태로 절단한다.Specifically, the extruded melt is discharged while cooling or water-cooled, and the cooled melt is in a gel or pellet 50 state. At this time, it can be cooled using the water cutting machine 800. The water cutting machine has a water box with cooling water supply pipes up and down at the rear of the extrusion die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cut pellets (50) moldings together with the cooling water. The cutting blad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mpression die to cut the resin melt extrude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to granules in the water box underwater.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재생원료 제조방법에는 진동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펠렛(50)을 이송, 분리 및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using the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transporting, separating and dehydrating the pellets 50 using a vibrator.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substituted and replaced by other equivalent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실시예 1><Example 1>

이물질이 포함된 폐비닐을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합재생원료를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Waste viny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as produced using a recycling system to produce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by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제1파쇄유닛(110)를 이용하여 폐비닐을 400㎠ ~ 600㎠의 면적으로 1차 파쇄하였다. 1차 파쇄된 상기 폐비닐을 비중 선별기(200)를 이용하여 선별하였다. 비중 선별된 상기 폐비닐을 제2파쇄유닛(130)를 이용하여 25㎠ ~ 100㎠의 면적으로 2차 파쇄하였다. 그 다음, 자력 선별기(300)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 내에 포함된 금속류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풍력 선별기(400)를 이용하여, 비중 차이에 의하여 폐비닐로부터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압축기(500)를 이용하여 폐비닐 내부 기포 또는 수분을 없앴다. 제1용융 압출기(6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00℃에서 1차 용융 및 혼합하여 트윈 스크류를 통하여 압출하였다. 또한 제2용융 압출기(7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50℃에서 2차 용융 및 혼합하여 싱글 스크류를 통하여 5㎜ ~ 10㎜의 눈 간격을 가진 스크린을 통과시켜 압출하였다. 그 다음 압출된 폐비닐을 워터 커팅기(800)로 커팅 및 냉각하여, 펠렛(50)을 제조하였다. 최종으로 진동 바이브레이터(900)를 이용하여 시편(펠렛(50)을 이송, 분리 및 탈수하여 제조하였다.The waste vinyl was firstly shredded in an area of 400 cm 2 to 600 cm 2 using the first shredding unit 110 . The primary crushed waste vinyl was sorted using a specific gravity sorter (200). The weight-selected waste vinyl was secondarily shredded using the second shredding unit 130 to an area of 25 cm2 to 100 cm2. Then, by using the magnetic separator 300, metals included in the foreign matter were removed. Subsequently, foreign substances were additionally removed from the waste vinyl by using a wind power sorter 400 due to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Subsequently, air bubbles or moisture inside the waste vinyl were removed using the compressor 500. Using the first melting extruder 600,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were removed was first melted and mixed at 150 ° C to 200 ° C, and then extruded through a twin screw. In addition, by using the second melting extruder 700,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is secondary melted and mixed at 150 ° C to 250 ° C, and extruded by passing through a screen with an eye gap of 5 mm to 10 mm through a single screw. did Then, the extruded waste vinyl was cut and cooled with a water cutting machine (800) to prepare pellets (50). Finally, the sample (pellet 50) was transported, separated, and dehydrated using a vibrating vibrator 90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비중 및 자력 선별하여 제거하였다. 그 다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이물질을 분리하였다. 탈수조를 통과시켜 탈수 및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물질이 제거된 폐자재를 1 ~ 10cm로 파쇄하였다. 분쇄된 폐비닐을 약 250℃ ~ 300℃로 1차 용융하고, 150℃ ~ 200℃로 2차 용융하였다. 용융물을 압출하여 배출하면서 용융물을 냉각성형기에 공급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Foreign substances were removed from the waste vinyl by specific gravity and magnetic separation. Then, it was washed using a washing device and foreign substances were separated. Dehydration and water were removed by passing through a dehydration tank. The waste materia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were removed was shredded to 1 to 10 cm. The pulverized waste vinyl was firstly melted at about 250°C to 300°C, and secondarily melted at 150°C to 200°C. A specimen was prepared by supplying the melt to a cooling molding machine while extruding and discharging the melt.

평가항목evaluation items 단위unit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인장강도The tensile strength MPaMPa 1818 1313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MPaMPa 1818 1515 회분율Ash rate %% 25.525.5 4545 염소농도chlorine concentration %% 0.380.38 1.21.2 평균 입도average particle size mmmm 5이하(99%)5 or less (99%) 5이하(70%)5 or less (70%)

여기서, 인장강도, 굴국강도, 회분율 및 염소농도는 한국고분자 시험연구소, 입도는 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에서 공인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 분석한 결과이다.Here, the tensile strength, bending strength, ash content and chlorine concentration are the results of testing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official test method at the Korea Polymer Testing Institute, and the particle size at the Korea Constr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Testing Institute.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생원료의 TGA 분석 결과 및 외형 사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복합재생원료의 TGA 분석 결과 및 외형 사진이다. 도 15와 도 16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는 균일한 형태를 가진 복합재생원료(펠렛)인 반면 비교예는 불균일한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 분석 결과 비교예는 불순물의 함량이 16%이었으나, 실시예는 불순물의 함량이 2%로 단일재생원료와 가까운 불순물 함량을 가짐으로써 고품질의 복합재생원료(펠렛)임을 알 수 있었다.15 is a TGA analysis result and an external photograph of a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TGA analysis result and an external photograph of a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ng FIG. 15 and FIG. 16, it was found that the example was a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pellet) having a uniform shape, whereas the comparative example had a non-uniform shap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rmal analysis of the examples, the comparative example had an impurity content of 16%, but the example had an impurity content of 2%, which is close to that of a single recycled raw material, so that high-quality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pellet ) was found to be

바람직하게, 고품질의 복합재생원료(펠렛)은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각각이 18MPa 이상, 회분율 2.55% 이하, 불순물 2% 이하 염소농도 0.38% 이하 및 평균 입도의 99%가 5㎜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Preferably, high-quality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pellets) can satisfy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18 MPa or more, ash content of 2.55% or less, impurity of 2% or less, chlorine concentration of 0.38% or less, and average particle size of 99% or less of 5 mm or less. ha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중 블록을 성형하는 단계는, 펠렛(50)을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 측면에 적어도 두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 성형틀에 넣어 제1블록(11)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펠렛(50)을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 측면에 적어도 두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 성형틀에 넣어 제2블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펠렛(50)을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 측면에 적어도 두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 성형틀에 넣어 제3블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펠렛(50)을 상기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밀폐부와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상부 결합부재와 서로 맞춤결합하는 상부돌기부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성형틀에 넣어 상부마감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펠렛(50)을 상기 블록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밀폐부(22a)와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하부 결합부재(30)와 서로 맞춤결합하는 하부홈부(22b)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성형틀에 넣어 하부마감부재(22)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성형틀에는 상하부면 모서리 일단에 상부마감부재(21) 및 하부마감부재(22) 각각의 상부돌기부(21b) 및 하부홈부(22b)와 서로 맞춤 체결되며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층조립홈부(31a) 또는 층조립돌기부(31b)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forming a block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lo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ellets 50 are open and two neighboring side surfaces are closed, and at least two coupling members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 step of molding the first block 11 by putting it in a mold may be included. Then, the pellet 50 may include a step of forming a second block by putting the pellet 50 into a block molding mol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one side surface is closed and at least two coupling members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a step of forming a third block by putting the pellets 50 into a block molding mold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an entire side surface open and at least two coupling member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may be included. Next, molding the upper finishing member by inserting the pellets 50 into a finishing member molding mold consisting of an upper sealing part sealing the open top of the block and an upper protrusion fittingly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member of the block at the corner. can include Next, a closing member molding frame composed of a lower sealing part 22a for seal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block with pellets 50 and a lower groove part 22b for custom-fitting with the lower coupling member 30 of the block at the corn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lding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by putting it in. Here, in the block molding frame, the upper projection 21b and the lower groove 22b of the upper finishing member 21 and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are fit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corners, and the layer assembly grooves allow stacking assembly. (31a) or layer assembly protrusions (31b)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중 제1블록(11), 제2블록(12), 제3블록(13) 및 마감부재(20)를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30)로 조립하는 단계는, 먼저, 제1블록(11), 제2블록(12) 및 제3블록(13) 각각에 하부마감부재(22)를 조립하여 빗물 저장공간(1) 저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빗물 저장공간에 적층 및 배치할 하부 위치에 하부마감부재(22)를 먼저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 11, the second block 12, the third block 13, and the finishing member 20 are assembled with a coupling member 30 for interconnection. The step of doing is, first, the step of assembling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to each of the first block 11, the second block 12 and the third block 13 and placing it o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storage space 1 can do.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first disposing the lower finishing member 22 at a lower position to be stacked and dispos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다음,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복수의 제1블록(1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블록(11)과 결합부재(30) 간에 연결 조립하여 저장공간(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제2블록(12)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게 제2블록(12)과 결합부재(30) 간에 연결 조립하여 복수의 제3블록(13)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blocks 11 at the edges of the storage space 1 may be included. It may include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 blocks 12 to form an inner space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plurality of first blocks 11 and the coupling member 30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1. It may include disposing a plurality of third blocks 13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between the second block 12 and the coupling member 30 to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제1블록(11), 제2블록(12) 및 제3블록(13) 각각을 결합부재(30) 간에 적층 및 조립하여 빗물 저류조 블록체(10)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stacking and assembling each of the first block 11, the second block 12, and the third block 13 between the coupling members 30 to make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빗물 저류조 블록체(10) 상부면이 밀폐되도록 마감부재(20)를 결합부재(30) 간 조립하여 최종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빗물 저류조 블록체(10)에 보강을 강화하기 위하여, 결합된 블록(10)들 사이 및 블록(10)과 마감부재(20) 사이에 펠렛(50)을 녹여서 용접하여 최종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tep of final finishing by assembling the finishing member 20 between the coupling members 3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0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sealed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in order to reinforce the reinforcement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0, the final finishing step of melting and welding the pellets 50 between the combined blocks 10 and between the block 10 and the finishing member 20 can include more.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are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 저장공간 10: 블록(빗물 저류조 블록체)
11: 제1블록 12: 제2블록
13: 제3블록 20: 마감부재
21: 상부마감부재 21a: 상부밀폐부
21b: 상부돌기부 22: 하부마감부재
22a: 하부밀폐부 22b: 하부홈부
30: 결합부재 31a: 층조립홈부
31b: 층조립돌기부 33: 측면조립수부
33a: 수걸림부 35: 측면조립암부
35a: 암걸림부 40: 보강부재
40a: 네크부 50: 복합재생원료(펠렛)
80: 집게차 90: 컨베이어 장치
100: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110: 제1파쇄유닛 130: 제2파쇄유닛
200: 비중 선별기 300: 자력 선별기
400: 풍력 선별기 410: 본체 프레임
411: 투입 입구부 415: 배출부
420: 메쉬형 회전선별통 421: 상부 메쉬형 회전선별통
425: 하부 메쉬형 회전선별통 430: 풍력발생부
431: 풍력 샤프트 435: 고정홀더부
440: 편향풍력부 441: 제1날개부
443: 제2날개부 451: 구동원
455: 동력전달부 490: 집진기
500: 압축기 600: 제1용융 압출기
700: 제2용융 압출기 800: 워터 커팅기
900: 진동 바이브레이터
1: storage space 10: block (rainwater storage tank block body)
11: first block 12: second block
13: 3rd block 20: finishing member
21: upper finishing member 21a: upper sealing part
21b: upper projection 22: lower closing member
22a: lower sealing part 22b: lower groove part
30: coupling member 31a: layer assembly groove
31b: layer assembly protrusion 33: side assembly part
33a: water hook 35: side assembly arm
35a: arm engaging part 40: reinforcing member
40a: neck part 50: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 (pellet)
80: forklift 90: conveyor device
100: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110: first crushing unit 130: second crushing unit
200: specific gravity separator 300: magnetic separator
400: wind selector 410: body frame
411: input inlet 415: discharge
420: mesh-type rotary sorter 421: upper mesh-type rotary sorter
425: lower mesh type rotary sorter 430: wind power generator
431: wind shaft 435: fixed holder
440: deflection wind power unit 441: first wing unit
443: second wing 451: driving source
455: power transmission unit 490: dust collector
500: compressor 600: first melt extruder
700: second melting extruder 800: water cutting machine
900: vibration vibrator

Claims (9)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저장공간에 위치하고 육면체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 및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합재생원료로 제조된 복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하부에 사각의 판형상으로 마감 설치되는 것으로, 복합재생원료로 제조된 복수의 마감부재; 및
상기 블록 및 상기 마감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블록 간 및 상기 블록과 상기 마감부재 간에 조립되도록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과 연결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하나의 측면이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부면이 개방되고 측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3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 plurality of blocks made of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which ar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consist of a hexahedron structure with two adjacent sides closed, one side closed and the entire side open;
A plurality of finishing members made of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which ar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lock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t is formed on the block and the closure member, and includ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assembled between the plurality of blocks and between the block and the closure member,
The block is
a plurality of first blocks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storage space and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two adjacent side surfaces closed;
a plurality of second blocks coupled to the first block and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one side closed; and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torage space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third block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entire side surfaces are open. Rainwater retention tank us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밀폐부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상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상부마감부재; 및
상기 블록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밀폐부와, 적어도 일측 모서리에 상기 블록의 하부면과 맞춤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하부홈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부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nishing member is
a plurality of upper closing members comprising an upper sea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seal the open upper part of the block and an upper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lower closing members consisting of a lower sea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seal the open lower part of the block and a lower groove part having a groove formed at at least one corner so as to be fit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Rainwater retention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모서리 일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마감부재의 상기 상부돌기부 및 상기 하부홈부와 서로 맞춤 체결되며 적층 조립이 가능한 층조립홈부 또는 층조립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2,
The coupling member is
I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and is fitted with the upper projection and the lower groove of the finishing member and includes a layer assembly groove or layer assembly projection capable of stacking assembly. Rainwater retention tank using recycled raw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조립수부; 및
상기 블록 측면에 위치하고 다른 블록의 상기 측면조립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 간에 좌우측면이 서로 암수결합으로 끼어맞춤되도록 되는 측면조립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is
A side assembly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lock; and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the side assembly arm of the other block is insert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blocks are fitted into each other by male and female coupl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조립암부는,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조립수부는,
상기 암걸림부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수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걸림부 및 상기 수걸림부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교차 대칭되게 위치하여 미끄러지면서 서로 억지끼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 간에 수평축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4,
The side assembly arm part,
Including an arm hanging portion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The side assembly part,
It includes a male engaging portion that is forcibly fitted while sliding into the female engaging portion and is formed to expand toward the outside,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male and male engaging portions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crosswis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sliding, and the block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블록 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암걸림부가 형성되는 측면조립암부;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측면조립암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 체결되고 상기 암걸림부와 맞춤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네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 간에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is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a side assembly arm part is formed with an arm engaging part in which the accommodating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and
It is inserted between at least two of the side assembly arm parts, and the neck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termittently fitted while sliding up and down and fitted to the arm engaging part, and reinforcing the coupling between the blocks.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Rainwater retention tank us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생원료로 이루어진 펠렛으로 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 상기 제2블록, 상기 제3블록 및 상기 마감부재를 상호 결합 연결하는 결합부재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 저류조의 시공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Prepar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Forming a block with pellets made of the composite recycling raw material;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comprising the step of assembling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the third block and the finishing member into a coupling member for mutually coupling and connect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생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파쇄유닛을 이용하여 폐비닐을 400㎠ ~ 600㎠의 면적으로 1차 파쇄하는 단계와;
비중 선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된 상기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와;
제2파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비중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25㎠ ~ 100㎠의 면적으로 2차 파쇄하는 단계와;
자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파쇄유닛을 경유한 폐비닐 내에 포함된 금속류를 제거하는 단계와;
풍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력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비중 차이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 선별기를 경유한 폐비닐로부터 내부 기포 또는 수분을 없애는 단계와;
제1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를 경유한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을 150℃ ~ 200℃에서 1차 용융 및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와;
제2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용융 압출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150℃ ~ 250℃에서 2차 용융 및 혼합하여 싱글 스크류를 통하여 가로와 세로 각각 3㎜ ~ 10㎜의 목 간격을 가지는 격자무늬 형태로 이루어진 후단 토출 노즐의 직경을 통과시켜 압출하는 단계와;
워터 커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용융 압출기를 경유한 폐비닐을 커팅 및 냉각하고 최종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와;
진동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 커팅기를 경유한 상기 펠렛을 이송, 분리 및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preparing the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first crushing the waste vinyl to an area of 400 cm 2 to 600 cm 2 using a first shredding unit;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rimarily shredded waste vinyl using a specific gravity sorter;
secondarily crushing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pecific gravity sorter into an area of 25 cm2 to 100 cm2 using a second crushing unit;
removing metals included in the waste vinyl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shredding unit using a magnetic separator;
addition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gnetic sorter using a wind-powered sorter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removing internal air bubbles or moisture from the waste viny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ind power sorter using a compressor;
using a first melting extruder to first melt and mix the waste viny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through the compressor at 150° C. to 200° C. and extruding;
By using the second melt extruder, the waste vinyl passed through the first melt extruder is melted and mixed for the second time at 150 ° C to 250 ° C, and then through a single screw, a grid pattern having a neck gap of 3 mm to 10 m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is used. extruding through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discharge nozzle formed in the form;
cutting and cooling the waste vinyl passed through the second melt extruder using a water cutting machine and producing final pellets;
Method for producing a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a composite renewable raw material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porting, separating and dehydrating the pellets via the water cutting machine using a vibrating vib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은,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각각은 18MPa 이상, 회분율 2.55% 이하, 불순물 2% 이하 염소농도 0.38% 이하 및 평균 입도의 99%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pellet is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re 18 MPa or more, ash content is 2.55% or less, impurity is 2% or less, chlorine concentration is 0.38% or less, and 99% of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5 mm or less.
KR1020210060344A 2021-05-10 2021-05-10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201528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44A KR20220152872A (en) 2021-05-10 2021-05-10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44A KR20220152872A (en) 2021-05-10 2021-05-10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72A true KR20220152872A (en) 2022-11-17

Family

ID=8423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344A KR20220152872A (en) 2021-05-10 2021-05-10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87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42B1 (en)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Water-storage tank
KR100582121B1 (en) 2006-03-17 2006-05-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Water storage ta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42B1 (en)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Water-storage tank
KR100582121B1 (en) 2006-03-17 2006-05-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Water storage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319B1 (en) Recycling techniques of construction waste meterial
CN105127176A (en) Building-rubbish resource treatment and use integrated treating method and treating system thereof
CN100484649C (en) Comprehensive treatment method of architectural garbage
CN210279390U (en)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quipment
CN105563694A (en) Wind power blade recovery treatment method
CN108395128B (en) Full-circulation recycling method for urban construction waste, machine-made sand, concrete and building blocks thereof prepared by full-circulation recycling method
KR100358687B1 (en)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CN111282705A (en)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CN111068896A (en) Environment-friendly treatment method for construction waste
CN201776275U (en) Urban household waste treatment system
KR20220152872A (en)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composite recycled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05637487U (en) High -rise building garbage recycling device
CN101912869B (en) City and town household garbage treat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6269180A (en) A kind of building waste recycling device
CN107020290A (en) A kind of site construction building waste treatment in situ system
CN104164822A (en) Process for paving pedestrian pavement by utilizing building debris
CN111872075B (en) Environment-friendly and energy-saving garbage treatment method
CN212681273U (en) A building waste recovery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CN210188031U (en) A concrete recovery unit for environment-friendly mixing plant
CN208728012U (en) A kind of building waste sorting equipment
KR20220045526A (en)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including Waste Wood
CN112275418A (en) Skid-mounted movable integrated device for solid waste treatment and machine-made sand production
CN108979296A (en) A kind of building waste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metho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enclosure wall
CN202105839U (en) Road rubbish separating and processing device
CN112058386A (en) Building garbage crushing device and crus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