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91A -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 Google Patents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91A
KR20220152691A KR1020210059918A KR20210059918A KR20220152691A KR 20220152691 A KR20220152691 A KR 20220152691A KR 1020210059918 A KR1020210059918 A KR 1020210059918A KR 20210059918 A KR20210059918 A KR 20210059918A KR 20220152691 A KR20220152691 A KR 20220152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iffusion barrier
flame retardant
flame
uni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윤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승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윤 filed Critical 이승윤
Priority to KR102021005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691A/ko
Publication of KR20220152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5/00Composition of materials for coverings or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47Miner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단위 섬유 직조물을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양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FIRE PREVENTION AND BLOCKING MATERIAL FOR FIRE SUPPRESSION AND FIRE DIFFUSION USING MINERAL FIBER}
본 발명은,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건물의 경우에는 소화 방재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 소방담요를 사용할 일은 없으나, 가정, 산업현장, 산, 문화재 등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불을 소화할 수 있는 장비가 없으며,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형식적인 요건만 갖추게 됨으로 화재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초기에 진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초기에 화재를 진화하면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화재가 발생되면 초기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초기 화재진압 실패시에는 화재현장을 신속하게 탈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화재의 초기진압을 위해 천장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거나 또는 소화기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면 수초 내에 스프링클러가 작동되어 소화액을 천장으로부터 분사하여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거나 또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거나 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작동이 불능 상태인 경우이거나, 소화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난자 또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화 담요 (내화 방직포) 등을 비치하는 경우가 많다. 내화 방직포는 화염, 연기로부터 사람이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초기에 화재 현장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불연성 소재로 형성된 다층구조의 내화 방직포이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내화 시트로는 주로 유리 섬유나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진 형태이나 짜여진 직물로 합성된 것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 화재 확산 방지에 용이하고, 대면적 또는 긴 구간에 활용하기 용이하고, 대피자의 긴급 피난, 구조 도구로도 활용하고, 보관 및 긴급 사용이 용이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단위 섬유 직조물을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양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순수 정제 광물질은 2,000 ℃에서 용융 섬유화한 것을 방직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칼슘(C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금속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스테인레스사(SU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의 크기는,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00 cm 내지 1,400 cm이고, 두께는 10 mm 내지 30 mm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타공, 고리, 후크, 지퍼, 내화 벨크로 테이프, 버클, 스냅, 단추, 금속봉 및 걸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권취된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일 끝단에 형성된 난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직물시트 형태로 직조하여 화재 발생 시 물이나 소화기를 대체하여 초기 진압, 화재 확산 방지에 용이하다.
특히, 식당, 가정에서 발생하는 주방 화재, 집안 화재, 주유소, 어선에서 발생하는 유류 화재, 산, 공원에서 발생하는 산불화재, 공사 현장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산업현장 환재, 박물관, 사찰, 문화재에서 발생하는 목재화재 발생 시 준비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현장에서 탈출 시 대피자의 신체를 화염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 신체를 감싼 후 대피함으로 피부에 직접적인 화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연속 결합시켜 대면적 또는 긴 구간에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대피자의 긴급 피난, 구조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권취된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긴급 사용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연결부가 타공이고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연결부가 지퍼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으로 연속 결합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연결부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가 보관을 위하여 권취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발화점을 덮은 방식의 화재 진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신체를 보호하면서 대피하는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목조 건물 등의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한 목조 건물 등의 보호를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한 화재 발생 시 건물 층 간 이동에 의한 대피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으로 연속 결합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화염 확산 방지 저지선을 구축하는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단위 섬유 직조물을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양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식당, 가정에서 발생하는 주방 화재, 집안 화재, 주유소, 어선에서 발생하는 유류 화재, 산, 공원에서 발생하는 산불화재, 공사 현장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산업현장 환재, 박물관, 사찰, 문화재에서 발생하는 목재화재 발생 시 준비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100)는, 단위 섬유 직조물(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단위 형태의 섬유 직조물인 것으로서, 복수 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순수 정제 광물질은 2,000 ℃에서 용융 섬유화한 것을 방직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전기 스파크로 순수 정제 광물질을 용융시켜 스피너(spinner)에 의해서 섬유화한 것일 수 있다.
내화테스트가 1,200 ℃ 이상의 온도범위까지 열을 가하므로 순수 정제 광물질을 사용하여 단위 섬유 직조물을 제조하였을 때 내화테스트 후 내화 성능이 일반 소방 담요를 사용한 내화 성능과 비교하여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광물질 섬유포사로 직조되어 피부에 자극이 없고 불에 닿아도 타지 않으며 불연성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칼슘(C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물질은, , 산화마그네슘(MgO)비중 1 g/cm3 내지 1.2 g/cm3, 융점 1500 ℃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물질 섬유포는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화학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고강도, 내열성, 내수성, 흡음성,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내 의료기기 및 침구류, 주방기기 등 생활용품 전반에 걸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900 ℃ 이상의 고온에서도 원형을 유지할 수 있어 방염복과 내화 시트, 소방포, 방화문 등 화재 관련 제품으로 그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상기에 나열된 섬유사 및 광물질을 직조하여 직물 시트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지며 위사와 경사 모두 광물질 섬유포사로 직조할 수도 있고, 위사 및 경사 중 어느 하나를 광물질 섬유포사를 이용하여 직물시트를 직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금속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금속사)는, 스테인레스사(SU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스테인레스사(SUS),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칼슘(CaO)을 섬유화하여 합사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금속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사의 직경은, 0.1 mm 내지 0.5 mm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110) 내에 무기 섬유(금속사)를 합사하여 내구성 및 내화성능이 더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의 크기는,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00 cm 내지 1,400 c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의 규격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의 두께는 10 mm 내지 30 mm, 또는 14 mm 내지 25 mm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타공, 고리, 후크, 지퍼, 내화 벨크로 테이프, 버클, 스냅, 단추, 금속봉 및 걸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연결부가 타공이고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100)의 연결부(120)는 사방에 타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타공은 25 내지 50 m/m φ 타공으로 된 연결부(120)에 내화 끈, 철사 또는 스텐사 3 ~ 5 φ로 연결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의 연결부가 지퍼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100)의 길이는 7 m 내지 14 m 이상이고, 폭은 1 m 내지 2 m인 것일 수 있다.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100)의 연결부(120')는 양 끝단이 지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퍼로 된 연결부(120')에 의해 단위 섬유 직조물을 연속으로 복수 개 연결하여 대면적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연결부가 타공 또는 지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후크나, 철사 또는 스텐사로 연결할 수도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위 섬유 직조물을 특정 위치, 또는 복수 개의 단위 섬유 직조물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퍼의 경우에는 틈 발생이 최소화되어 화연의 확산 방지에 더 효과적이고, 후크와 같은 고리 연결의 경우 신속한 연결의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가 타공인 경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금속봉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섬유 직조물(110)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수평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으로 연속 결합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연결부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단위 섬유 직조물 단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연결부가 지퍼로 되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3 장,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5 장, 7 장, 10 장 이상으로도 확장할 수 있고, 지퍼로 되어 있어 확장이 매우 편리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권취된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가 보관을 위하여 권취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권취되어 있어서 보관 및 취급 편의성 우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발화점을 덮은 방식의 화재 진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신속하게 권출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에 직접 덮어 산소를 차단시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가정, 일반 건물 내 화재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 용접 현장, 페인트 도색작업 등 산업현장에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다.
도 7은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신체를 보호하면서 대피하는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산불 발생 시 또는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대피자가 신속하게 권취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권출하여 직접 신체를 감싼 후 대피함으로써 피부에 직접적인 화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목조 건물 등의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한 목조 건물 등의 보호를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산불 발생 시 인근 사찰과 같은 목조 건물의 지붕에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신속하게 권출하여 목조 건물로 화염을 차단시켜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일 끝단에 형성된 난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부를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한 화재 발생 시 건물 층 간 이동에 의한 대피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부를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건물 난간에 고정하고, 소방 로프를 대체하여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타고 사람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긴급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소재 특성 상 불연소성이라는 점에 더하여 인장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로프 대용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으로 연속 결합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이용하여 화염 확산 방지 저지선을 구축하는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결합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산불 발화 지점 근처에 고정하여 확산 방지 저지선을 구축하여 산불 등의 확산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특히, 산불 등이 발생하였을 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저지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헬리콥터에서 본 발명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곳곳에 투하하고, 소방인력은 특별한 장비 등을 가지고 갈 필요 없이 신속하게 낙하지점으로 이동하여 투하된 본 발명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본 발명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화재 확산 방지 저지선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직물시트 형태로 직조하여 화재 발생 시 물이나 소화기를 대체하여 초기 진압, 화재 확산 방지에 용이하다.
또한, 화재현장에서 탈출 시 대피자의 신체를 화염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 신체를 감싼 후 대피함으로 피부에 직접적인 화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연속 결합시켜 대면적 또는 긴 구간에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대피자의 긴급 피난, 구조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를 권취된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긴급 사용에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110: 단위 섬유 직조물
120: 연결부

Claims (10)

  1. 광물질을 포함하는 단위 섬유 직조물을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로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양끝단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순수 정제 광물질은 2,000 ℃에서 용융 섬유화한 것을 방직한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칼슘(C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금속 섬유를 더 포함하는,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스테인레스사(SUS)를 포함하는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의 크기는,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00 cm 내지 1,400 cm이고, 두께는 10 mm 내지 30 mm인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타공, 고리, 후크, 지퍼, 내화 벨크로 테이프, 버클, 스냅, 단추, 금속봉 및 걸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이 서로 연결된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는 권취된 형태인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섬유 직조물은 일 끝단에 형성된 난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KR1020210059918A 2021-05-10 2021-05-10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KR20220152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18A KR20220152691A (ko) 2021-05-10 2021-05-10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18A KR20220152691A (ko) 2021-05-10 2021-05-10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91A true KR20220152691A (ko) 2022-11-17

Family

ID=8423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18A KR20220152691A (ko) 2021-05-10 2021-05-10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6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JP2009215721A (ja) 耐火断熱シート
CN210751002U (zh) 一种注射式灭火毯
KR20010013900A (ko)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RU161992U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KR20220152691A (ko) 광물질 섬유포를 이용한 화염 방지 및 확산 차단재
KR20090101029A (ko) 이산화규소를 함유한 세라믹섬유로 구성된 직물을 이용한고내열성 및 차연성 방화용 직물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방화 직물
KR102310133B1 (ko) 현무암을 이용한 화재진압용 소방포 제조방법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CN213947636U (zh) 一种服装用防火面料
CN215485716U (zh) 一种双轨双帘无机特级防火卷帘门
KR102506975B1 (ko) 화재진압용 질식포
JPH11235393A (ja) 耐火スクリーン
CN206052259U (zh) 一种高强度阻燃背带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CN218871113U (zh) 一种消防用灭火毯
US201000867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acrylonitrile fiber cloth and fireproof cloth made of such cloth
KR101183058B1 (ko) 고층건물탈출용 피난장비
KR20220030861A (ko) 질식 소화포
CN219505576U (zh) 镁质岩棉防火板
US9452589B2 (en) Composite basalt fabric tent liner
RU26748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2143332A (ja) ベランダ用遮煙装置及びこの遮煙装置を備えたベランダ
JP3340966B2 (ja) 耐火スクリーン
CN216040386U (zh) 轻质多层整体热阻燃隔热结构的消防服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