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061A - portable electric fan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ic f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061A
KR20220152061A KR1020210059554A KR20210059554A KR20220152061A KR 20220152061 A KR20220152061 A KR 20220152061A KR 1020210059554 A KR1020210059554 A KR 1020210059554A KR 20210059554 A KR20210059554 A KR 20210059554A KR 20220152061 A KR20220152061 A KR 2022015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ertion groove
blade
stato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400B1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핑고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to KR102021005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00B1/en
Publication of KR2022015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73Battery pow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Abstract

A portable fan is disclosed. The portable fan comprises: a first housing in which a battery is built-in; a stator which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nd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 second hous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and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tator can be inserted; a rotor which is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forced press-fitting so that the stator can be plac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and a plurality of blades which ar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Therefore, the portable fan can have the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to be foldable and can stably maintain a folded state through a blade position holding unit, thereby being stored after being changed in shape to have a more compact size when stored, and can minimize damage to the blades due to collision with surrounding components when stored,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Description

휴대용 선풍기{portable electric fan}Portable electric fan {portable electric fa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ic fan that a user can freely carry and use.

일반적으로 선풍기(electric fan)는 모터를 이용하여 날개를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이다. 종래의 선풍기는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바람을 일으키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풍기는 고정된 위치에 따라 탁상용, 좌석용, 벽걸이용 또는 천정용 등으로 구분되었다.In general, an electric fan is a tool that generates wind by rotating blades using a motor. Conventional electric fans are generally fixed in a specific position to generate wind.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fan is classified into a table top, a seat, a wall mount, or a ceiling according to a fixed position.

한편, 선풍기를 구동하는 모터가 소형화되면서, 사용자의 신체 등에 파지되어 어디서든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가 외출 시 휴대하고 다니게 되면서 일종의 패션 액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otor for driving the electric fan has been miniaturized, a portable electric fan that can generate wind anywhere by gripping a user's body has appeared. Such a portable fan can serve as a kind of fashion accessory as users carry it with them when going out.

그러나, 종래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시 팬이 펼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걸리적 거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펼쳐진 팬 날개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fan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fan is not only inconvenient to carry, but also easily damaged because the fan is unfolded and is difficult to carry.

물론, 팬 날개를 커버하는 팬 커버 케이스가 마련된 선풍기도 있지만, 결국에는 팬 날개가 펼쳐진 상태를 항시 유지하고 있는바 외관적으로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보관시에도 일정이상의 공간을 차지할 수 밖에 없는 제약이 있다.Of course, there are fans with a fan cover case that covers the fan blades, but in the end, since the fan blades are alway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a compact size in appearance, so it may take up a certain amount of space even when stored. There are unavoidable limita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35384호(2021. 04. 0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35384 (2021. 04. 02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블레이드가 절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절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시 한층 컴팩트한 사이즈로 형태를 변경하여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plurality of blades are made to be collapsible and to stably maintain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to a more compact size during storage and stor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ic fan.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회전시 블레이드가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미동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결국 내구성 하락을 저감할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ic fan capable of reducing the decrease in durability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blade from rotating while finely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or up and down directions and maintains a stable rotation state during blade rotation, for another purpose.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가 내장 설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마련되며, 연결 브래킷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터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스테이터가 그 내측에 배치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스테이터로 전원 인가시 상기 제2 하우징과 동시에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선풍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in which the battery is built-in; a stator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nd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 second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tator is inserted; a rotor which is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by forcible press-fitting so that the stator can be disposed therein, and which can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housing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and a portable electric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삽입홈 바닥에는 상기 스테이터 내측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방향으로 연결봉이 돌출되고, 상기 연결봉의 돌출 단부는 상기 연결 브래킷에 형성되는 상기 중앙 관통홀을 관통한 후, 스냅링을 통해 상기 연결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다.A connecting rod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housing toward the first hous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through-hole inside the stator,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ng rod pass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bracket. After that, it can be fixed to the connection bracket through a snap ring.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비회전시에는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절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시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측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are hinged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maintain a folded state as well as being foldable toward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not rotating, and when the second housing rotates, A hinge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unfolded outwar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로터가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는 제2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비회전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가 마련되는 제2 상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are hinge-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second lower housing into which the rotor is forcibly press-fitt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blades coupled to the second lower housing and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blades are folded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unfol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not rotating. It may include a second upper housing provided with a blade position maintaining unit.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블레이드 몸체;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축 몸체;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는 각각, 상기 회전축이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축 삽입홈이 마련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리브에 마련되는 제1 돌기삽입홈; 및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홈과 이격되게 상기 지지리브에 마련되는 제2 돌기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includes a blade body; a rotating shaft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de body; Rotation shaft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body, respectively; And a protrud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 posture holding units has a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inserted,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 a pair of supporting ribs; a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the support rib so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when the blade is hingedly rotated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the support rib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shaft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otruding projection can be inserted when the blade is hingedly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housing. hav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선풍기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가 절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블레이드 자세유지부를 통해 절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시 한층 컴팩트한 사이즈로 형태를 변경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주변 구성물과의 충돌로 인해 블레이드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fa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blades are made to be foldable and to stably maintain the folded state through the blade posture holding unit, the shape can be changed to a more compact size during storage and store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by minimizing damage to the blade due to collision with surrounding components during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나타내되, 블레이드가 상측으로 접힘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의 제2 상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영역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에서 블레이드가 펼져지거나 접히는 상태를 나타내면서 블레이드의 돌출돌기가 제1 돌기삽입홈 또는 제2 돌기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lades are foldable upward;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able electric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of a portable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upper housing of a portable electric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region V of FIG. 4;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rotrusion of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or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while showing the unfolded or folded state of the blade in the portable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블레이드가 절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절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시 한층 컴팩트한 사이즈로 형태를 변경하여 보관할 수 있다.A portable electric fa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conveniently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blades are made to be foldable and to stably maintain the folded state, the portable fan has a more compact size when stored. can be changed and sto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블레이드 회전시 블레이드가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미동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회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국 내구성 하락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fa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lade from rotating while finely moving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r up and down direction when the blade rotates, a stable rotation state of the blade can be maintained, and consequently, durability degradation can be reduced.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는 제1 하우징(100), 스테이터(200), 제2 하우징(300), 로터(500) 및 복수의 블레이드(700)를 포함한다.1 and 2, a portable electric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100, a stator 200, a second housing 300, a rotor 500, and a plurality of blades 700. ).

먼저, 제1 하우징(100)은 내부에 충전 가능 배터리(110)가 내장 설치되고, 블레이드(700)의 회전 동작을 온오프함과 더불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동작스위치(120)가 마련되고, 배터리(110) 충전을 위한 커넥터(130)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130)에는 USB-A, UBS-B, USB-C 충전 케이블 등이 접속 가능하다.First, the first housing 100 has a rechargeable battery 110 installed therein, and an operation switch 120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as well as turning on/off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blade 700 is provided, A connector 130 for charging the battery 110 is provided. A USB-A, UBS-B, USB-C charging cable, etc.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0 .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200)는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마련되고 연결 브래킷(800)을 통해 제1 하우징(10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부연하자면, 제1 하우징(100) 내부에는 배터리(110)와 연결되어 블레이드(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스테이터(200)는 상기 PCB와 배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 the stator 200 is provided so that power is applied from the battery 110 and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100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800 . In other words, a PCB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ade 700 by being connected to the battery 110, and the stator 200 is connected to the PCB through wiring to provide power. can be suppli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200)는 연결 브래킷(800)에 고정 설치되고, 제1 하우징(100)과 연결 브래킷(800)은 걸림후크(140)와 걸림홀(811)을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stator 2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racket 800, and the first housing 100 and the connecting bracket 800 are mutually connected through the hook 140 and the hooking hole 811. are joined so as to be separable.

구체적으로, 연결 브래킷(800)은 다수의 걸림홀(811)이 마련되는 브래킷 몸체(810)와, 브래킷 몸체(810)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중앙 관통홀(821)이 마련되는 브래킷 돌출봉(8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테이터(200)는 브래킷 돌출봉(820)의 외측에 별도 브래킷을 개재한 상태로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bracket 800 includes a bracket body 8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ding holes 811 and a bracket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racket body 810 and having a central through hole 821 provided therein. It includes a protruding rod 8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20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protruding rod 820 with a separate bracket interposed therebetween.

다음,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00)은 연결 브래킷(800)을 통해 제1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연결 브래킷(800) 및 스테이터(200)와의 결합시 스테이터(200)가 삽입 가능하도록 내측 중앙영역에 삽입홈(310)이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2, 6 and 7, the second housing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0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800, and the connection bracket 800 and the stator 200 An insertion groove 310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so that the stator 200 can be inserted when coupled with the stator 200 .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500)는 영구자석으로서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테이터(200)가 그 내측에 배치 가능하도록 삽입홈(310)에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로터(500)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N, S 자극이 교대로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테이터(200)는 연결 브래킷(800)을 통해 제1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는바, 스테이터(200)로 전원 인가시 제2 하우징(300)과 동시에 로터(50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하우징(300)과 로터(500)의 동시 회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500)가 삽입홈(310)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가능하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rotor 500 is a permanent magnet and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is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310 through forced press-fitting so that the stator 200 can be disposed therein. The rotor 500 has a structure in which N and S magnetic poles are alternately repeated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the stator 200 is fixed to the first housing 100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800, an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the rotor 500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housing 300. . Such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rotor 500 is possible as the rotor 500 is forcibly press-fit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0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700)는 제2 하우징(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ades 70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300 .

이하, 전술한 각 구성들의 세부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00)의 삽입홈(310) 바닥에는 스테이터(200) 내측의 중앙 관통홀(821), 즉 연결 브래킷(800)의 중앙 관통홀(821)에 관통 삽입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100) 방향으로 연결봉(320)이 돌출된다.As shown in FIG. 2,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310 of the second housing 300 pass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821 inside the stator 200, that i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821 of the connecting bracket 800. The connecting rod 320 protrudes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so as to be inserted therein.

연결봉(3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연결봉(320)의 돌출 단부는 연결 브래킷(800)에 형성되는 중앙 관통홀(821)을 관통한 후, 스냅링(330)을 통해 연결 브래킷(800)에 고정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연결봉(320)을 통해 제2 하우징(300)과 연결 브래킷(8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연결 브래킷(800)과 제1 하우징(100)의 고정 결합구조에 의해 결국 제2 하우징(300)은 제1 하우징(100)에 연결되는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connecting rod 3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ng rod 320 pass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821 formed in the connecting bracket 800, and then attaches to the connecting bracket 800 through the snap ring 330. can be fix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connection bracket 8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rod 3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800 and the first housing 100 are finally connected by a fixed coupling structure. The second housing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0 and is rotatably connected.

부연하자면, 스테이터(200)로의 전원 인가시, 제2 하우징(300)은 제1 하우징(100)과 연결 브래킷(80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70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the second housing 300 relative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100 and the connection bracket 800, and thus the blade 700 rotates.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레이드(700)는 제2 하우징(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제2 하우징(300)의 비회전시에는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절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하우징(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1, 6 and 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lades 700 are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ratio of the second housing 300 When rotating, the hing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00 so as to be foldable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an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덧붙이자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의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700)를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때 블레이드(700)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하우징(300)과의 사이에 결합 구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접힌 자세 유지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when a user does not use the portable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it, the plurality of blades 700 may be folded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and stored. At this time, the blades 700 may be kept folded. A coupling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3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ded posture maintain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사용자는 한층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용 선풍기를 보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보관시 블레이드(700)가 의도치 않게 펼쳐져서 주변 구성물과의 충돌과 접촉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블레이드(700)의 접힌 상태 유지는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tore the portable fan in a more compact size and maximally prevent the blade 700 from being unintentionally spread and being damaged due to collision and contact with surrounding components. That is,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the blade 700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700)는 제2 하우징(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전술한 경우와 달리, 제2 하우징(300)의 회전시(스테이터로의 전원 인가시)에는 제2 하우징(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측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30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lades 700 are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00. Unlike the case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housing 300 rotate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the second housing It is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00 so that it can be unfolded outwar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300 .

덧붙이자면, 전술한 바와 같이, 비사용시 블레이드(700)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스테이터(2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제2 하우징(300)이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제2 하우징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not in use, the blade 700 can maintain a folded state towards the first housing 100 unless a certain external force is applied, but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to move the second housing ( 300) is rotated so that when a centrifugal force is applied (when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housing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housing while expanding outward.

이하, 제2 하우징(300)과 블레이드(700)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blade 700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00)은 제2 하부 하우징(340)과, 제2 하부 하우징과 스크루 결합되는 제2 상부 하우징(3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housing 300 includes a second lower housing 340 and a second upper housing 350 screwed to the second lower housing.

제2 하부 하우징(340)은 전술한 삽입홈(310)이 마련되며 삽입홈 내측에 로터(500)가 강제 압입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lower housing 340 is provided with the aforementioned insertion groove 310, and the rotor 500 is forcibly press-fit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하우징(350)은 제2 하우징(300)의 비회전시, 즉 블레이드(70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700)가 1)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절첩된 상태(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2) 제1 하우징(1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36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2 to 7 , the second upper housing 350 has a plurality of blades 700 when the second housing 300 is not rotating, that is, when the blades 700 are not rotating, 1) 1, a plurality of blade posture maintaining units 360 are provided to maintain a folded state (folded state) toward the housing 100 and 2) to maintain an unfolded s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0.

여기서, 상기 1) 블레이드가 제1 하우징 측으로 절첩된 상태 유지, 2) 블레이드가 제1 하우징 외측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 유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시 가능하다.Here, 1) maintenance of the state in which the blade is folded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2) maintenance of the state in which the blade is unfol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by the user.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자세유지부(360)는 스테이터(200)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첫째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접혀져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제1 하우징측으로 더욱 접근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둘째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진 후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제1 하우징(100)으로 접근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stator 200, the blade position holding unit 360 folds the first blade 700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A function that can prevent further approach to or separation from the first housing side, and the second blade 700 is unfol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0 to the first housing 100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It performs a function that can prevent movement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or moving away from i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700)는 각각, 블레이드 몸체(710), 블레이드 몸체(7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축 몸체(720), 회전축 몸체(72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730), 회전축 몸체(720)의 양측에 각각 회전축(730)과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돌기(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돌기(740)의 돌출 길이는 회전축(73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blades 700 each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blade body 710, the rotary shaft body 7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de body 710, and the rotary shaft body 720.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730 and the rotating shaft body 720 each include protruding protrusions 740 protruding apart from the rotating shaft 730 . Her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730 .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360)는 각각, 한 쌍의 지지리브(361), 제1 돌기삽입홈(364), 제2 돌기삽입홈(365)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4 and 5,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 posture maintaining parts 360 includes a pair of support ribs 361, a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and a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groove 365.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하우징(350)에는 블레이드(700)의 회전축 몸체(72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절개부(3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리브(361)는 절개부(351)를 형성하도록 절개부(351) 기준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a cutout 351 is provided in the second upper housing 350 so that the rotary shaft body 720 of the blade 700 is accommodated inside, and the support rib 361 is provided at the cutout. 35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utout 351, respectively.

한 쌍의 지지리브(361)에는 블레이드(700)의 회전축(730)이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축 삽입홈(362)이 마련되어 회전축(730)의 일측 부위를 지지한다.A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362 is provided in the pair of support ribs 361 so that the rotation shaft 730 of the blade 700 can be insert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730 .

마찬가지로, 제2 하부 하우징(340)에는 회전축(730)과 접촉되어 회전축(730)의 타측 부위를 지지하도록 하부 지지리브(미도시)가 마련된다.Similarly, a lower support rib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second lower housing 340 so as to contact the rotation shaft 730 and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730 .

제1 돌기삽입홈(364)은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100) 측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즉 스테이터(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사용자가 블레이드(700)를 제1 하우징(100)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 절첩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700)의 돌출돌기(740)가 삽입 가능하도록 지지리브(361)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돌기삽입홈(364)은 제2 상부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금형 제작비 감소를 위해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회전축 삽입홈(362)과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is in a state in which the blade 700 is hingedly rotated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that is, power is not applied to the stator 200 and the user inserts the blade 700 into the first housing 100. ) direction,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of the blade 700 is provided on the support rib 361 so as to be inserted, as shown in FIGS.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rotary shaft insertion groove 362 so as not to use a slide core in order to reduce mold manufacturing costs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second upper housing.

제1 돌기삽입홈(364)은 한 쌍의 지지리브(361)에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 측으로 회전한 경우 돌출돌기(740)가 삽입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위적으로 가해지지 않는 한 돌출돌기(740)는 제1 돌기삽입홈(364)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is made to be recessed into the pair of support ribs 361,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ade 700 is rotated toward the first housing, the protrusion 740 is inserted, As long as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not artificially applied,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may mainta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

부연하자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삽입홈(364)과 지지리브(361)의 연결 부위, 즉 상대적으로 함몰된 제1 돌기삽입홈(364)과 지지리브(361)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단턱에 의해, 돌출돌기(740)는 특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제1 돌기삽입홈(364)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돌기삽입홈을 벗어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and the support rib 361, that is, the relatively recessed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and the support rib 361 ) By the step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can maintain the inserted state in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unless a special external force acts and moves in a direction out of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Movement may be restricted.

즉, 블레이드(700)는 돌출돌기(740)와 제1 돌기삽입홈(364) 구조를 통해 일정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즉 스테이터(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한 제1 하우징(100) 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시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보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접힌 자세를 유지하여 보관시 주변 구성물과의 충돌로 인한 블레이드 손상을 방지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blade 700 operates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and the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4 unless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acts, that is, unless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the first housing 100 ) can be maintained folded to the si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in a more compact size during stora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lade due to collision with surrounding components during storage by maintaining the folded posture of the blade.

다음, 제2 돌기삽입홈(365)은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10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즉 스테이터(20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회전시킨 경우,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700)의 돌출돌기(740)가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축 삽입홈(362)과 이격되게 지지리브(361)에 마련된다.Next,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is in a state in which the blade 700 is hinged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housing 100, that is,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or power is not applied. When the user artificially rotates it in the state, as shown in FIGS. 2, 4 and 6, the support rib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362 so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of the blade 700 can be inserted. 361) is provided.

제2 돌기삽입홈(365)은 회전축 삽입홈(362)과 이격된 위치의 한 쌍의 지지리브(361)에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700)가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전한 경우 돌출돌기(740)가 삽입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위적으로 가해지지 않는 한 돌출돌기(740)는 제2 돌기삽입홈(365)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is made to be recessed into a pair of support ribs 361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shaft insertion groove 362, and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700 faces the first housing. When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is inserted when it is rotated to unfol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unless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artificially applied. have.

이와 같이, 돌출돌기(740)가 제2 돌기삽입홈(36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700)는 제2 하우징(300)에 대략 평행한 상태를 가지게 되며, 블레이드 몸체(710)가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더 이상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700)가 제2 하우징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as shown in FIGS. It has a substantially parallel state, and the rotation of the blade body 710 further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0 is restricted, so that the blade 70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housing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its state.

부연하자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기삽입홈(365)과 지지리브(361)의 연결 부위, 즉 상대적으로 함몰된 제2 돌기삽입홈(365)과 지지리브(361)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단턱에 의해, 돌출돌기(740)는 제2 돌기삽입홈(365)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돌기삽입홈을 벗어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and the support rib 361, that is, the relatively recessed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and the support rib 361 ) Due to the step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can mainta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and can be limited in movement in a direction out of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즉, 블레이드(700)는 돌출돌기(740)와 제2 돌기삽입홈(365) 구조를 통해 스테이터(200)로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는 경우, 돌출돌기(740)가 제2 돌기삽입홈(36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블레이드가 제2 하우징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레이드 몸체(710)가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블레이드(700)의 송풍 영역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00 and the blade 700 rotates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and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the protruding protrusion 740 becomes the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 while maintaining the inserted state (the blade remains parallel to the second housing), rotation can be made. That is, by preventing the blade body 710 from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0, the area of the blowing area of the blade 700 can be maximiz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제1 하우징 140: 걸림후크
200: 스테이터 300: 제2 하우징
310: 삽입홈 320: 연결봉
340: 제2 하부 하우징 350: 제2 상부 하우징
360: 블레이드 자세유지부 361: 지지리브
362: 회전축 삽입홈 364: 제1 돌기삽입홈
365: 제2 돌기삽입홈 500: 로터
700: 블레이드 730: 회전축
740: 돌출돌기 800: 연결 브래킷
100: first housing 140: hook
200: stator 300: second housing
310: insertion groove 320: connecting rod
340: second lower housing 350: second upper housing
360: blade posture holding unit 361: support rib
362: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364: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365: second projection insertion groove 500: rotor
700: blade 730: axis of rotation
740: protrusion 800: connection bracket

Claims (5)

배터리가 내장 설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마련되며, 연결 브래킷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터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스테이터가 그 내측에 배치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스테이터로 전원 인가시 상기 제2 하우징과 동시에 회전 가능한 로터;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선풍기.
A first housing in which a battery is built-in;
a stator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nd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 second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tator is inserted;
a rotor which is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by forcible press-fitting so that the stator can be disposed therein, and which can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housing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and
A portable electric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삽입홈 바닥에는 상기 스테이터 내측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방향으로 연결봉이 돌출되고,
상기 연결봉의 돌출 단부는 상기 연결 브래킷에 형성되는 상기 중앙 관통홀을 관통한 후, 스냅링을 통해 상기 연결 브래킷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rod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housing toward the first hous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through hole inside the stator,
The portable electric fan of claim 1 , wherein the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fixable to the connecting bracket through a snap ring after penetrating the central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비회전시에는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절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시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측으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When the second housing is non-rotating, the hing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foldable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maintain a folded state, and when the second housing rotates, the second housing rotates A portable fa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hinge rotatably to the second housing so that it can be unfolded outward in conjunction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로터가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는 제2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비회전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가 마련되는 제2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are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housing,
a second lower housing in which the rotor is forcibly press-fitted and fixed; and
It is combined with the second lower housing, and when the second housing is not rotating, the plurality of blades maintain a folded state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maintain a state sprea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A portable electric fan comprising a second upper housing provided with a posture hold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블레이드 몸체;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축 몸체;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자세유지부는 각각,
상기 회전축이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축 삽입홈이 마련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리브에 마련되는 제1 돌기삽입홈; 및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힌지 회전한 상태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홈과 이격되게 상기 지지리브에 마련되는 제2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풍기.


According to claim 4,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blade body;
a rotating shaft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de body;
Rotation shaft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body, respectively; and
Includes protruding protrusions protruding apart from the rotating shaft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 posture maintaining units,
a pair of support ribs having a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to allow inser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
a firs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the support rib so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when the blade is hingedly rotated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When the blade is hingedly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housing, a secon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on the support rib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otrusion projection can be inserted. A portable fan made with


KR1020210059554A 2021-05-07 2021-05-07 portable electric fan KR102534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54A KR102534400B1 (en) 2021-05-07 2021-05-07 portable electric f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54A KR102534400B1 (en) 2021-05-07 2021-05-07 portable electric f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61A true KR20220152061A (en) 2022-11-15
KR102534400B1 KR102534400B1 (en) 2023-05-26

Family

ID=8404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54A KR102534400B1 (en) 2021-05-07 2021-05-07 portable electric f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4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353U (en) * 2007-02-12 2008-08-18 이용희 An electric
CN201407192Y (en) * 2009-01-13 2010-02-17 美的集团有限公司 Portable household direct-current brushless fan
KR200489177Y1 (en) * 2018-01-24 2019-05-13 주식회사 스타쇼핑 Portable fan for easy wind control and table holder
KR102235384B1 (en) 2019-06-27 2021-04-02 최아리 Portable fan coupled with functional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353U (en) * 2007-02-12 2008-08-18 이용희 An electric
CN201407192Y (en) * 2009-01-13 2010-02-17 美的集团有限公司 Portable household direct-current brushless fan
KR200489177Y1 (en) * 2018-01-24 2019-05-13 주식회사 스타쇼핑 Portable fan for easy wind control and table holder
KR102235384B1 (en) 2019-06-27 2021-04-02 최아리 Portable fan coupled with functiona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400B1 (en)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7464A1 (en) Foldable handheld gimbal
KR102534400B1 (en) portable electric fan
ITMI20020308V0 (en) STRUCTURE OF AN ELECTRONICALLY COMMUTED ELECTRIC MOTOR
KR200479951Y1 (en) Fan Can Be Connected With Portable Terminal
JPS63297794A (en) Portable electric fan
CN214405451U (en) Support and protective shell with same
JP3447799B2 (en) Portable blower
CN111227476B (en) Convenient electric hair drier
CN218467872U (en) Portable fan
WO2020075606A1 (en) Blower
KR200243029Y1 (en) The carrying an electric fan
CN215256895U (en) Mini fan
CN217363441U (en) Electronic device
CN216408370U (en) Hand-held cloud platform
CN219304482U (en) Wireless charger
CN214788115U (en) Folding fan
KR200366239Y1 (en) Multipurpose cradle for hands free kits
CN218185663U (en) Folding structure and hair-dryer
KR100556887B1 (en) Mobile terminal with function of fixing camera position
CN213628066U (en) Folding fan
CN218093537U (en) Folding fan
CN220156778U (en) Support protective housing
CN216278580U (en) Hanging neck fan
JP2002127047A (en) Motor-driven tool
JP3510665B2 (en)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