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740A -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 Google Patents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740A
KR20220151740A KR1020210058914A KR20210058914A KR20220151740A KR 20220151740 A KR20220151740 A KR 20220151740A KR 1020210058914 A KR1020210058914 A KR 1020210058914A KR 20210058914 A KR20210058914 A KR 20210058914A KR 20220151740 A KR20220151740 A KR 2022015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atient
adjusting unit
height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준
Original Assignee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740A/en
Publication of KR2022015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5Determining bladder or urethr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by means introduced into body 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55Intestines, colon or append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2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at the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ethral catheter that is inserted inside the bladder of a patient; a first senso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urethral catheter to measure an intravesical pressure; a rectal catheter that is inserted inside the rectum of the patient;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and connected to the rectal catheter to measure an abdominal pressure; and a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ccording to a posture of the pati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test result of the patient to be more accurately interpreted.

Description

센서 높이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Urodynamic test device for sensor height adjustment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본 발명은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방광압센서 및 복압센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s of a bladder pressure sensor and an abdominal pressure sensor of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적절한 소변의 저장(storage)과 배출(emptying)은 방광(urinary bladder)과 요도 괄약근(urethral sphincter) 및 이 장기들을 통제하는 신경계(nervous system)의 기능이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는 방광과 요도 괄약근(urethral sphincter)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는 정밀검사이다. 요역동학검사는 요류검사(uroflowmetry), 충만기 방광내압측정술(filling cystometry), 배뇨기 압력요류검사(pressure-flow study), 요도단압검사(urethral pressure profile), 괄약근근전도측정술 (urethral sphincter electromyography) 등의 여러 세부항목으로 이루어진 검사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배뇨장애와 요실금 환자들에 있어서 세부항목 검사들이 선택적으로 시행된다.Proper storage and emptying of urine is achiev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urinary bladder, urethral sphincter, and the nervous system that controls these organs. A urodynamic study is a precise test for diagnosing dysfunction of the bladder and urethral sphincter. Urodynamic tests include uroflowmetry, filling cystometry, pressure-flow study, urethral pressure profile, and urethral sphincter electromyography. ). In patients with dysuria and urinary incontinence, subtests are optionally performed.

의료진은 요역동학검사를 통하여 하부요로 기능이상(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필요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의료진은 요역동학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단일 질환(single disease entity)이라 할지라도 임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들의 방광과 요도 기능이상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Medical staff can obtain detailed information needed to accurately characterize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through urodynamics. Medical staff can clearly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bladder and urethral dysfunction that can be clinically expressed even if it is a single disease entity based on the urodynamic test results.

요역동학검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의료진으로 하여금 특정 요로기능 이상을 가진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의료진은 요역동학검사에서 파악된 하부요로 기능이상 소견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최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role of urodynamic examination i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l staff to determine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pecific urinary tract dysfunction and to establish a treatment plan.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est treatment method applicable to the patient.

요역동학검사는 하부요로 기능이상의 예후와 치료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단일 검사이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요역동학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Urodynamics is the most important single test in determining the prognosis and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medical staff to accurately interpret the patient's urodynamic test results.

도 1a는 환자가 바로누운자세(앙와위, supine position)에서 충전 방광내압측정술시 측정되는 방광내압(intravesical pressure, Pves), 복압(abdominal pressure. Pabd), 배뇨근압(detrusor pressure, Pdet) 및 요도괄약근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활성도(activity)의 그래프이다.Figure 1a shows intravesical pressure (Pves), abdominal pressure (Pabd), detrusor pressure (Pdet) and urethra measured during filling cystometry in a supine position (supine position) of the patient. It is a graph of sphincter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도 1a를 참조하면, 요역동학검사는 소변의 저장(storage) 및 배출(emptying)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을 식별하는 여러 세부 측정들을 포함한다. 요역동학검사는 이렇게 요역동학검사 장치를 통해 측정된 환자의 방광 내압(11, Pves), 복압(12, Pabd), 배뇨근압(13, Pdet), 요도괄약근 활성도(14, urinary sphincter activity) 정보를 의료진으로 하여금 결과를 해석하게 하여 환자의 하부요로 기능이상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1A , the urodynamic test includes several detailed measurements to identify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the storage and emptying function of urine. The urodynamic test uses the patient's bladder pressure (11, Pves), abdominal pressure (12, Pabd), detrusor pressure (13, Pdet), and urinary sphincter activity (14, urinary sphincter activ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rodynamic test device. It enables the medical staff to interpret the results and diagnose the patient's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여기서 배뇨근압(13)은 요역동학검사 장치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없기 때문에 방광 내압(11)에서 복압(12)을 컴퓨터 계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뺀(subtraction) 가상의 값으로 표시된다.Here, since the detrusor pressure 13 cannot be directly measured by the urodynamics test device, it is displayed as a virtual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bdominal pressure 12 from the intravesical pressure 11 in real time through computer calculation.

올바른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기준눈금화작업(calibration)과 영점조정(zeroing)과 같은 기본적인 준비과정들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하는 압력(pressure)이나 요류(urinary flow)와 같은 요역동학검사 지표들은 전기적인 신호로 측정 후 다시 실제 값으로 실시간 재해석한 값들이다. 따라서, 매 검사마다 시행할 필요까지는 없으나, 주기적으로 실제값과 전기적인 신호 측정값들의 기준눈금화작업을 해야한다. Basic preparations such as calibration and zeroing are necessary before performing a proper urodynamic test. Currently used urodynamic test indexes such as pressure or urinary flow are measured as electrical signals and then reinterpreted as actual values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every inspection, but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andard calibration of the actual values and 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values periodically.

한편, 영점조정 과정은 매 환자의 검사마다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한 환자의 검사에 있어서도 각 세부검사마다 각각 필요하다. 요역동학검사의 경우 압력변환기가 방광내압, 복압 등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각 압력변환기들의 전기적인 신호값들은 변환 기준이 다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zero-point adjustment process is not only necessary for each patient's examination, but also for each detailed examination of one patient's examination. In the case of the urodynamics test, since the pressure transducer is not one such as intravesical pressure and abdominal pressure, the electrical signal values of each pressure transducer have different conversion standards.

특히 요역동학검사에서 배뇨근압은 방광내압과 복압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관찰하는 것인데 이 두 값들의 기준이 다르다면 측정수치들이 완전히 다른 값들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기준높이를 같게 하여 영점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매 환자마다 요역동학검사 시행 직전에 환자를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로 두고 이 변환기들의 기준높이를 영점조정한 후에 검사를 시작하게 된다. 환자는 바로누운자세에서 충만기 방광내압측정술(filling cystometry)을 시행한 후에 배뇨기 압력요류검사(pressure-flow study)릉 위해서는 통상 기립위(standing position)나 앉은자세(sitting position)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세부검사마다 환자의 자세가 바뀌면 영점 조정을 다시 해야한다. In particular, detrusor pressure in the urodynamics test is to calculate and observe the difference between intravesical pressure and abdominal pressure in real time. If the standards for these two values are different, the measured values may show completely different values. very important. Therefore, for each patient, right before the urodynamics test is performed, the patient is put in a supine position and the reference height of these transducers is zero-adjusted before the test is started. After performing filling cystometry in the supine position, the patient is usually asked to take a standing or sitting position for the urinary pressure-flow study. do. Therefore, if the patient's posture changes for each detailed examination, the zero point must be adjusted again.

압력을 영점조정하는 방법은 먼저 압력변환기 위치를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에서 기준높이에 맞추고 여기를 영점 조정하여 영으로 맞춘 후 압력을 측정한다. 국제요실금학회(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에서는 이 기준높이는 치골상연(upper edge of the symphysis pubis)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ICS reference level이라고 한다.To zero-adjust the pressure, first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transducer to the standard height at atmospheric pressure, adjust the zero point here, set it to zero, and then measure the pressure.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 has established this reference level as the upper edge of the symphysis pubis, which is called the ICS reference level.

요역동학검사의 세부검사들을 시행할 때, 환자의 검사자세를 기립위(standing position)나 앉은자세(sitting position), 비스듬히 누운 자세(semi-Fowler's position) 등으로 변경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 위치변경시마다 치골상연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때마다 압력변환기의 기준높이를 환자의 치골상연 위치에 매번 수동으로 맞추어야 한다. 한편, 요역동학검사 중 환자는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 앉은자세(sitting position), 선자세(standing position) 등의 자세를 취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압력변환기와, 환자의 방광이나 직장에 위치한 카테터 단부는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방광 내압(11, Pves) 측정치와, 복압(12, Pabd) 측정치에 영향을 미친다.When performing detailed examinations of the urodynamic examination, the examination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examination posture of the patient to a standing position, a sitting position, or a semi-Fowler's position. Whenever this position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suprapubic bone changes, and each time, the reference height of the pressure transducer must be manually adjusted to the suprapubic position of the patient.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urodynamics test, the patient can take a posture such as a supine position, a sitting position, or a standing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pressure transducer and the patient's bladder or rectum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positioned catheter ends occurs, which affects the measured intravesical pressure (11, Pves) and the measured abdominal pressure (12, Pabd).

그런데 종래의 요역동학검사 장치는 환자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카테터 단부의 높이 변화가 그대로 측정치에 반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rodynamics test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change in height of the catheter end caused by the change in the patient's posture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measured value.

도 1b는 충전시 환자가 바로누운자세에서 선자세로 바꾸었을때 측정되는 방광 내압, 복압, 배뇨근압 및 요도 괄약근 활성도의 그래프이다.1B is a graph of intravesical pressure, abdominal pressure, detrusor pressure, and urethral sphincter activity measured when the patient changes from a supine position to a standing position during charging.

도 1b를 더 참조하면, 환자가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에서 선자세(standing position)로 자세를 바꾸는 시점(t1)에, 방광 내압(11, Pves), 복압(12, Pabd)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1B , at a time point (t1) when the patient changes posture from a supine position to a standing position, intravesical pressure (11, Pves) and abdominal pressure (12, Pabd) increase rapidly. can confirm that

즉, 종래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에서는 카테터 단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방광 내압(Pves) 측정치와, 복압(Pabd) 측정치가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의료진의 오진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asurement of intravesical pressure (Pves) and the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Pabd) are affected by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catheter, and this problem may cause misdiagnosis by medical staff.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환자의 자세에 따라 센서와 카테터 단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ensor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the positions of a sensor and an end of a catheter according to a patient's pos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검사 장치는 방광내압(Pves) 측정을 위해 환자의 요도를 통해 방광 내부로 삽입되는 요도 카테터(urethral catheter); 환자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요도 카테터와 연결되어 방광 내압을 측정하는 제1센서; 환자의 복압(Pabd) 측정을 위해 직장 내부로 삽입되는 직장 카테터(rectal catheter); 환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직장 카테터와 연결되어 복압을 측정하는 제2센서; 및 환자의 자세에 따라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A urodynamics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rethral catheter inserted into a bladder through the urethra of a patient to measure intravesical pressure (Pves); a first senso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urinary catheter to measure intravesical pressure; A rectal catheter inserted into the rectum to measure the patient's abdominal pressure (Pabd);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and connected to the rectal catheter to measure abdominal pressure; and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치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치골 사이의 거리가 최단 거리가 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이송 레일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 transport rail, and a mounting frame coupl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nsport rail, on whic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talled, and the mounting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The mounting frame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nsfer rail so that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patient's pubis and a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patient's pubic bone become the shortest distance.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는 상기 요도 카테터 팁 및 상기 직장 카테터의 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2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rodynamics te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respectively, according to positions of the tip of the urethral catheter and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조절부와, 상기 제1높이 조절부와 인접하게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sensor,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adjacent to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sensor. It may include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는 환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환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st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ture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posture detection unit, respectively. It can be characterized as regulating.

본 발명의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는, 환자의 자세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은 방광 내압, 복압, 배뇨근압에 관한 데이터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어, 의료진은 영점조정에 관한 검사상 오류없이 환자의 검사결과를 더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The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medical staff with data on intravesical pressure, abdominal pressure, and detrusor muscle pressure that are not affected by changes in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make errors in the zeroing test. can more accurately interpret the patient's test results without

도 1a는 환자가 바로누운자세에서 충전시 측정되는 방광 내압, 복압, 배뇨근압 및 요도 괄약근 활성도의 그래프이고,
도 1b는 충전시 환자가 바로누운자세에서 선자세로 바꾸었을때 측정되는 방광 내압, 복압, 배뇨근압 및 요도 괄약근 활성도의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누운자세의 환자에게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선자세의 환자에게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제1위치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환자가 누워 있을 때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요도 카테터와 직장 카테터의 단부 각각 방광 및 직장에 삽입된 모습의 도면이고,
도 7은 환자가 서 있을 때 도4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요도 카테터와 직장 카테터의 단부 각각 방광 및 직장에 삽입된 모습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제2위치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A is a graph of intravesical pressure, abdominal pressure, detrusor pressure, and urethral sphincter activity measured when a patient is filled in a supine position;
1B is a graph of intravesical pressure, abdominal pressure, detrusor pressure, and urethral sphincter activity measured when a patient changes from a supine position to a standing position during chargin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art of a urodynamics test apparatus for adjusting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ing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atient in a supine posi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ing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atient in a standing posi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of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of FIG. 3;
FIG. 6 is a view showing the ends of the urinary catheter and the rectal catheter of the urodynamics testing device of FIG. 3 inserted into the bladder and the rectum, respectively,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ends of the urinary catheter and the rectal catheter of the urodynamics test device of FIG. 4 inserted into the bladder and the rectum, respectively,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urodynamics testing device of FIG. 3;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of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of FIG. 3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n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a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바로누운자세의 환자에게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선자세의 환자에게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개념도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of a urodynamics test apparatus for adjusting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n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atient in a supine posi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ment,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atient in a standing posi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위치 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100, 이하, “요역동학검사 장치”라고 함)는 환자의 방광(11) 내부로 삽입되는 요도 카테터(110, urethral catheter)와, 환자의 직장 내부로 삽입되는 직장 카테터(130, rectal catheter)와, 상기 요도 카테터(110)와 연결되어 환자의 방광(11)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압력변화기(120, 이하 “제1센서”라고 함)와, 상기 직장 카테터(130, rectal catheter)와 연결되어 환자의 복압을 측정하는 제2압력변환기(140, 이하 “제2센서”라고 함)와,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기 제1센서(120), 상기 제2센서(140), 상기 요도 카테터(110), 및 상기 직장 카테터(130)에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을 공급하는 제1주머니(101)와, 상기 요도 카테터(110)와 연결되어 요도 카테터(110)에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제2주머니(10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4 , a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ladder 11 of a patient. The urethral catheter (110), the rectal catheter (130) inserted into the patient's rectum, and the urethral catheter (110) are connected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atient's bladder (11). A pressure transducer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ensor”) and a second pressure transducer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ensor”) connected to the rectal catheter (130, referred to as “second sensor”) to measure the abdominal pressure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20, the second sensor 140, the urinary catheter 110, and the rectal catheter ( 130) and a first bag 101 for supplying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nd a second bag 102 connected to the urinary catheter 110 and supplying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to the urinary catheter 110. .

상기 요도 카테터(110)는 상기 제1센서(120)와 연결되는 제1유로(111)와, 상기 제2주머니와 연결되는 제2유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도 카테터(110)는 상기 제1유로(111)와 상기 제2유로(112)가 하나 관 내부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rinary catheter 11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111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20 and a second flow path 112 connected to the second bag. In the urinary catheter 110, the first flow path 111 and the second flow path 112 may be formed independently inside one tube.

상기 제2주머니(102)와 상기 제2유로(112) 사이에는 펌프(103)가 구비되며, 상기 펌프(103)는 상기 제2주머니(102)의 유체를 상기 제2유로(112)를 통해 환자의 방광(1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A pump 10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ag 102 and the second flow path 112, and the pump 103 pumps the fluid in the second bag 10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12.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patient's bladder (11).

도 5는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제1위치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of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of FIG. 3 .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100)는 제1위치조절부(150) 및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

상기 요도 카테터(110)는 팁 부분이 환자의 방광(11)에 위치하도록 환자의 요도를 통해 방광(11)으로 삽입된다.The urinary catheter 110 is inserted into the bladder 11 through the urethra of the patient so that the tip is positioned in the bladder 11 of the patient.

상기 제1주머니(101)의 유체가 상기 제1센서(120) 및 상기 제1유로(111)에 주입되면, 상기 제1유로(111)의 단부에서는 환자의 방광(111)으로 유체가 배출되고, 이때 상기 제1센서(120)는 상기 제1유로(111)의 유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방광(11)의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fluid in the first bag 101 is injected into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first flow path 111, the fluid is discharged into the patient's bladder 111 at the end of the first flow path 111. , 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120 may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atient's bladder 11 by measur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111 .

상기 제1센서(120)는 상기 제2유로(112)를 통해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를 환자의 방광(11)에 공급하는 충만기(filling phase)와, 환자의 방광(11)에 채워진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가 요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뇨기(voiding phase) 때, 환자의 방광(11)의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20 includes a filling phase in which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is supplied to the patient's bladder 11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12 and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filled in the patient's bladder 11. During a voiding phase in which fluid such as the back is discharged through the urethra,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atient's bladder 11 may be measured.

상기 직장 카테터(130)는 팁 부분이 환자의 직장(12)에 위치하도록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12)으로 삽입된다.The rectal catheter 130 is inserted into the rectum 12 through the anus of the patient so that the tip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rectum 12 of the patient.

상기 직장 카테터(130)의 팁 부분에는 직장풍선(131)이 구비되고, 상기 직장풍선(131)에는 생리 식염수 등의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A rectal balloon 131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130, and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may be filled in the rectal balloon 131.

상기 제1주머니(101)의 유체가 상기 제2센서(140) 및 상기 직장 카테터(130)에 주입되면, 상기 직장 카테터(130)의 팁에 위치한 직장풍선(131)에 유체가 유입된다.When the fluid in the first bag 101 is injected into the second sensor 140 and the rectal catheter 130, the fluid flows into the rectal balloon 131 located at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130.

이때 상기 제2센서(140)는 상기 직장 카테터(130)의 유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복압을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ensor 140 may measure the patient's abdominal pressure by measur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rectal catheter 130 .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100)는 근전도 전극(electrode)(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yography electrode 165 .

상기 근전도 전극(165)은 환자의 항문에 인접하게 부착되며, 요도괄약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근전도 활성도는 배뇨근 수축(detrusor contraction)이 요도괄약근 활성(urethral sphincter activity)과 협동적(synergic) 또는 비협동적(dyssynergic)인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he EMG electrode 165 is attached adjacent to the patient's anus and measures the activity of the urethral sphincter, and the measured EMG activity indicates that detrusor contraction is synergic with urethral sphincter activity. or dyssynergic.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20), 상기 제2센서(140) 및 상기 근전도 전극(165)과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120), 상기 제2센서(140) 및 상기 근전도 전극(165)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방광 내압(11, Pves), 복압(12, Pabd), 배뇨근압(13, Pdet), 요도괄약근 활성도(14)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20, the second sensor 140, and the EMG electrode 165, and the first sensor 120, the second sensor 140, and the EMG electrod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165, intravesical pressure (11, Pves), abdominal pressure (12, Pabd), detrusor pressure (13, Pdet), and urethral sphincter activity (14)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제1위치조절부(150)에는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가 장착된다.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mounted o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150 .

상기 제1위치조절부(150)는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기준 높이인 치골 상연 높이(ICS reference level)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150 may adjust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ccording to an ICS reference level, which is a reference height.

즉, 상기 제1위치조절부(150)는 환자의 자세에 따라 바뀌는 환자의 치골 상연 높이를 추종하여,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150 can change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by following the height of the upper lip of the patient's pubic bon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atient's posture.

이를 위해 상기 제1위치조절부(150)는, 신호 송수신부(151)와, 장착 프레임(152)과, 이송 레일(153)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150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1, a mounting frame 152, and a transfer rail 153.

상기 이송 레일(153)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는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152)은 상기 이송 레일(153)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transfer rail 153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152, and the mounting frame 152 is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ail 153.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152)은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송 레일(153)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unting frame 152 may move vertically on the transfer rail 153 by a driving force of an actuator such as a motor.

상기 신호 송수신부(151)는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과 상기 장착 프레임(15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1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patient's upper lip 14 and the mounting frame 152 .

상기 신호 송수신부(151)는 수신부(1511)와 발신부(1512)를 포함한다.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1 includes a reception unit 1511 and a transmission unit 1512.

상기 수신부(1511)와 발신부(1512) 중 어느 하나는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 설치되어,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과 상기 장착 프레임(15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One of the receiving unit 1511 and the transmitting unit 1512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and the other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152, so that the upper edge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and the upper edge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frames 152 can be measured.

예컨대, 상기 수신부(1511)는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발신부(1512)는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 설치되어,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과 상기 장착 프레임(15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er 1511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and the transmitter 1512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152, and the upper edge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and the mounting frame ( 152) can be measured.

상기 발신부(1512)에서 송신한 신호를 상기 수신부(1511)에서 수신되는 시간으로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may be measured as a time when a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1512 is received by the receiver 1511 .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가 송수신하는 신호는 초음파, 비젼, 적외선, 가시광 등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unit 1512 and the receiving unit 1511 may be any signal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such as ultrasonic waves, vision, infrared rays, and visible light.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51)에서 측정된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의 거리를 기초로,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과 상기 장착 프레임(152) 사이의 거리가 최단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송 레일(153)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152)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lip 14 of the patient and the mounting frame 152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1512 and the reception unit 1511 measured by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1.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frame 152 on the transfer rail 153 may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of is maintained at the shortest distance.

예컨대, 환자의 치골 상연(14)의 부분보다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가 더 높을 경우,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는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L2)는 기준거리(L1)보다 멀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L1)가 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기 이송 레일(153)을 하측으로 이송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lip 14 of the patient,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occurs, and the distance L2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becomes farth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L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transfers the transfer rail 153 downward from the mounting frame 15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becomes the reference distance L1. can

그리고 환자의 치골 상연(14)의 부분보다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가 더 낮을 경우에도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는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L3)는 기준거리(L1)보다 멀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L1)가 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기 이송 레일(153)을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nd even 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lip 14 of the patient,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occurs. Then, the distance L3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becomes farth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L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moves the transfer rail 153 upward from the mounting frame 15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becomes the reference distance L1. can

여기서 기준거리(L1)는 환자의 치골 상연(14)의 부분의 높이와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가 같을 때,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기 이송 레일(153)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 사이의 거리는 최단 거리가 되는 지점을 찾아 기준거리(L1)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distance L1 is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lip 14 of the patient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the same, the transmitting unit 1512 and the receiving unit ( 1511), and the control unit 160 transfers the transfer rail 153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mounting frame 15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1512 and the receiver 1511 is the shortest The reference distance (L1) can be determined by finding a point that becomes the distance.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자세에 따라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의 높이를 추적하여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가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is track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the heights of the upper part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You can control it to match the height.

구체적으로 환자가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 앉은자세(sitting position), 선자세(standing position) 등의 자세를 바꿀 때, 환자의 치골 상연(14)의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수신부(1511)의 위치는 변경되고, 이때 발신부(1512)는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발신부(1512)와 상기 수신부(1511)의 최단 거리를 찾아 환자의 치골 상연(14)의 높이를 추적하면,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는 환자의 치골 상연(14) 부분의 높이에 추종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atient changes posture such as a supine position, a sitting position, and a standing position, of the receiver 151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bic bone 14 The position is changed,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unit 151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unting frame 152, and find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1512 and the reception unit 1511, and the upper edge of the pubic bone 14 of the patient. If the height of is traced, the height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may follow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pubis 14 of the patient.

도 6은 환자가 누워 있을 때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요도 카테터와 직장 카테터의 단부 각각 방광 및 직장에 삽입된 모습의 도면이고, 도 7은 환자가 서 있을 때 도4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요도 카테터와 직장 카테터의 단부 각각 방광 및 직장에 삽입된 모습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3의 요역동학검사 장치의 제2위치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end of the urethral catheter and the rectal catheter of the urodynamics test device of FIG. 3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and inserted into the bladder and the rectum, respectively, and FIG. 7 is the urodynamics test device of FIG. 4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Figure 8 is a block diagram of the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of FIG. 3, Figure 9 is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of the urodynamic examination device of FIG.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part.

도 6 내지 9를 더 참조하면,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100)는 제2위치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S. 6 to 9 ,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는 상기 요도 카테터(110)의 팁 및 상기 직장 카테터(130)의 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adjusts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ip of the urinary catheter 110 and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130, respectively. can be adjusted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는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may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152 .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는 제1높이조절부(171)와 제2높이조절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171 and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172 .

상기 제1높이조절부(171)와 상기 제2높이조절부(172)는 각각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171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172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such as a motor, and can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mounting frame.

상기 제1높이조절부(171)에는 상기 제1센서(12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센서(120)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171)에 의해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20 is installed in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171, and the first sensor 120 moves vertically from the mounting frame 152 by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171. can be transported

상기 제2높이조절부(172)에는 상기 제2센서(140)가 설치된다.The second sensor 140 is installed in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172 .

상기 제2높이조절부(172)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171)와 인접하며,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140)는 상기 제2높이조절부(172)에 의해 상기 장착 프레임(152)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172 is adjacent to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171 and can move vertically in the mounting frame 152 . The second sensor 140 may be moved vertically from the mounting frame 152 by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172 .

즉,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는 상기 제1센서(120)의 높이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may individually transfer the height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ensor 140 .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는, 환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are resp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이를 위해 상기 요역동학검사 장치(100)는 자세 검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rodynamics tes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ture detection unit 180 .

상기 자세 검출부(180)는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 앉은자세(sitting position), 선자세(standing position) 등의 환자의 자세를 검출한다.The posture detection unit 180 detects the patient's posture, such as a supine position, a sitting position, and a standing position.

상기 자세 검출부(18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titude detector 18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자세 검출부(180)에서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ture detection unit 180 to set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respectively.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환자의 자세에 따라, 환자의 방광(11)과 직장(12)의 높이가 달라져서 발생되는 상기 요도 카테터(110) 팁과 상기 직장 카테터(130)의 팁의 높이 변경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위치조절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센서(120)와 상기 제2센서(1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urinary catheter 110 and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130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bladder 11 and the rectum 12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patient's posture, the control unit ( 160 may control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170 to adjust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40 respectiv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described above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요역동학검사 장치
110: 요도 카테터
120: 제1센서
130: 직장 카테터
140: 제2센서
150: 제1위치조절부
160: 제어부
170: 제2위치조절부
100: urodynamics test device
110: urinary catheter
120: first sensor
130 rectal catheter
140: second sensor
150: first position control unit
160: control unit
170: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Claims (5)

환자의 방광 내부에 삽입되는 요도 카테터(urethral catheter);
환자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요도 카테터와 연결되어 방광 내압을 측정하는 제1센서;
환자의 직장 내부에 삽입되는 직장 카테터(rectal catheter);
환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직장 카테터와 연결되어 복압을 측정하는 제2센서; 및
환자의 자세에 따라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요역동학검사 장치.
a urethral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ladder;
a first senso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urinary catheter to measure intravesical pressure;
a rectal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rectum;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and connected to the rectal catheter to measure abdominal pressure; and
A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ccording to the patient's pos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치골 상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장착 프레임과 환자의 치골 상연 사이의 거리가 최단 거리가 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이송 레일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는 요역동학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 transport rail;
A mounting frame coupl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nsport rail and on whic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upper lip of the patient's pubic bone;
The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mounting frame is transported in an up-and-down direction on the transfer rail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upper edge of the pubic bone of the patient is the shortest dist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도 카테터 팁 및 상기 직장 카테터의 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2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rodynamics test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respectively, according to positions of the tip of the urinary catheter and the tip of the rectal cathet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조절부와,
상기 제1높이 조절부와 인접하게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요역동학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adjacent to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cond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
환자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환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역동학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ost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atient's posture,
The urodynamic 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heigh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posture detection unit.
KR1020210058914A 2021-05-07 2021-05-07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KR202201517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14A KR20220151740A (en) 2021-05-07 2021-05-07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14A KR20220151740A (en) 2021-05-07 2021-05-07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40A true KR20220151740A (en) 2022-11-15

Family

ID=8404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14A KR20220151740A (en) 2021-05-07 2021-05-07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74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9668A (en) * 2023-04-12 2023-07-18 成都维信电子科大新技术有限公司 Positioning device of intra-abdominal pressure dynamic monitoring system
WO2023243745A1 (en) * 2022-06-16 2023-12-21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Urodynamic study apparatus for controlling sensor lo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45A1 (en) * 2022-06-16 2023-12-21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Urodynamic study apparatus for controlling sensor location
CN116439668A (en) * 2023-04-12 2023-07-18 成都维信电子科大新技术有限公司 Positioning device of intra-abdominal pressure dynamic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ake et al. Fundamentals of urodynamic practice, based on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good urodynamic practices recommendations
US20210106787A1 (en)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Schäfer et al. Good urodynamic practices: uroflowmetry, filling cystometry, and pressure‐flow studies
KR20220151740A (en)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KR100984807B1 (en)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KR1024552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Zehnder et al. Air charged and microtip catheters cannot be used interchangeably for urethral pressure measurement: a prospective,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US20220378347A1 (en)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Raz et al. Urodynamic testing: physiological background, setting‐up, calibration and artefacts
US20220361791A1 (en) Uro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or
WO2023243745A1 (en) Urodynamic study apparatus for controlling sensor location
Sutherst et al. Detection of the Urethral Incompetence in Women using the Fluid‐Bridge Test
Aror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a high-fidelity wireless intravaginal pressure sensor
Masata et al. Ultrasound study of the effect of TVT operation on the mobility of the whole urethra
KR102435929B1 (en) Pressure reducing apparatus and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including the same
KR102447322B1 (en) System for fluid circulation
KR102470551B1 (en) Pressure transmission case and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including the same
KR102495694B1 (en) Compliance control apparatus and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including the same
KR102470556B1 (en) Lower urinary tract apparatus and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including the same
KR102470547B1 (en)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Lewin et al. Dynamics of the lower urinary tract: a method of study
Lotze A comparison of external transducers and microtransducers in urodynamic studies of female patients
Hashim et al. BASIC URODYNAMIC TESTS
Klarskov Tests of Urethral Function
Sheng Comparison of air-charged and water-filled catheters for use in cystometric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