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371A -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371A
KR20220151371A KR1020210058550A KR20210058550A KR20220151371A KR 20220151371 A KR20220151371 A KR 20220151371A KR 1020210058550 A KR1020210058550 A KR 1020210058550A KR 20210058550 A KR20210058550 A KR 20210058550A KR 20220151371 A KR20220151371 A KR 20220151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guide
profile
window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371B1 (ko
Inventor
정문경
Original Assignee
피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상부 프로파일과 하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에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을 장착하고,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감싸면서 슬라이딩하게 마감 부재를 장착하되 마감 부재의 양단이 창호 짝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함에 따라 마감 부재가 당겨지면서 창호 짝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 홈을 마감 부재가 덮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이물이나 먼지가 가이드 홈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창호 틀의 모서리 부분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고,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에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마감 부재가 이 아이들 롤러를 통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 창호 짝을 개폐하는 데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마감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겨 쉽게 가이드 홈을 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APPARATUS OF COVERING BETWEEN GUIDES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 바닥 부분에 하부 브래킷을 장착하고, 상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에는 상부 브래킷을 장착한 다음, 상부 브래킷의 안내를 받는 마감 부재의 양쪽이 측면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 바닥을 따라 연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이 마감 부재의 양단이 하부 브래킷의 안내 돌기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끼워져서 창호 짝 하부에 고정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하면 마감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창호 짝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 홈 부분을 마감 부재로 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창호 틀에는 모서리 부분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측면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상부 프로파일이나 하부 프로파일을 향해 꺾이는 마감 부분이 쉽게 휘어지면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창호는 바닥에 하부 프로파일을 장착하여 창호 짝이 쉽고 편리하게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하부 프로파일에는 창호 짝을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를 돌출 형성한다. 이에, 가이드 사이에 먼지나 이물 등이 유입되어 미관과 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심하면 창호 짝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기도 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창호용 하부 프로파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막아 이물이나 먼지 등이 유입을 차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97822호
이탈방지 수단이 슬라이딩하면서 창호 짝의 이탈을 방지하고, 창호 짝을 개폐함에 따라 호차가 이탈방지 수단의 마감 벨트를 강제로 눌러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호차나 다른 구성을 교환하거나 수리할 때처럼 하부 프로파일에서 창호 짝을 분리할 쉽고 편리하게 분리했다가 다시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호차에 상기 이탈방지 수단을 끼워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창호 틀에서 창호 짝을 들어내면 쉽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호차나 이탈방지 수단의 장착과 수리 그리고 교환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감 벨트가 끼워지는 턱의 폭이 안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하부 프로파일에서 마감 벨트가 쉽게 이탈하거나 벗겨지지 않게 하여 마감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026960호
방풍가이드와 호차를 이용한 창호용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에 관한 것으로, 창문의 저부에 호차를 설치하여 창문의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유도함은 물론 호차의 구조(설치 구조)를 통해 창문의 저부를 창틀의 바닥과 근접시키는 한편, 창문의 상부에 생기는 공간을 막아 외부 공기의 침투로 인한 냉난방 효율의 저하, 외부 이물질(먼지, 벌레)의 유입으로 인한 실내 오염, 창문의 흔들림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풍가이드와 호차를 이용한 창호용 기밀장치는, 창문의 저부에 조립되며 창틀의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르는 호차와; 상기 호차가 조립되는 창문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창문의 상부와 상기 창틀측 상부 가이드레일 사이의 틈을 막는 1개 이상의 방풍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호차는 상기 창문의 저부에 하부 레일홈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호차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바퀴의 일부분만 상기 호차 삽입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의 저부가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하고, 상기 방풍 가이드는 상기 창문의 상측 프레임에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레일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측과 외측 중 일측 이상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을 덮음으로써 기밀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창문을 지지하는 방풍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호차를 통해 상기 창문의 높이를 낮게 하는 한편, 상기 창문의 높이가 낮아진 만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창문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기 방풍 가이드로 막아 기밀을 유지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1473호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종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창호 틀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개구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및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커버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호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레일 프레임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레일 프레임 및 호차를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가이드 마감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도 어려움이 있고, 제작해서 사용할 때 유지보수에도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2) 특히, 창호 짝을 개폐할 때, 창호 짝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마감 벨트로 마감해야 하므로, 창호 짝의 개폐로 이처럼 마감해야 할 부분과 창호 짝 아래의 들려있어야 할 부분을 구분하여 마감하게 하는 구조가 복잡하다.
(3) 이는, 마감 장치가 고장이 나더라도 쉽게 고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장 난 상태로 방치하면 마감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또한 창호를 개폐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7822호 (등록일: 2020.12.28) 한국등록특허 제10-2026960호 (등록일: 2019.09.24)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1473호 (공개일: 2010.01.0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상부 프로파일과 하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에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을 장착하고, 이들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감싸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마감 부재를 장착하되, 이 마감 부재의 양단이 창호 짝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함에 따라 창호 짝이 마감 부재를 잡아당기면서 창호 짝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하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을 마감 부재가 덮을 수 있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이물이나 먼지가 가이드 홈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틀의 모서리 부분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고,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에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마감 부재가 이 아이들 롤러를 통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하는 데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마감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겨 쉽게 가이드 홈을 마감할 수 있게 한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는, 창호 짝(D)을 안내하는 가이드(110)를 형성함에 따라 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일정 길이로 잘라서 마주하는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되,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의 양단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창호 틀(100)에 설치하는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에서; 하부 프로파일(100a)의 가이드 홈(111)의 양쪽 면에 밀착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의 높이가 가이드 홈(111)보다 높지 않으면서 폭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입구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1안내 돌기(2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하부 브래킷(200);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가이드 홈(111)의 양쪽 면에 밀착하게 장착되어 개폐하는 창호(D)에 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되, 폭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바닥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2안내 돌기(3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상부 브래킷(300); 및 상기 제2안내 돌기(310)에 끼워져서 양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양쪽이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밀착하게 설치된 양단이 상기 제1안내 돌기(210)의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창호 짝(D)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감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 프로파일(100a)과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접하는 부분에는, 제1 아이들 롤러(410)가 설치되되, 하부 프로파일(100a)에서 측면 프로파일(100c, 100d)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기 마감 부재(400)가 상기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로파일(100b)과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접하는 부분에는, 제2 아이들 롤러(420)가 설치되되, 상부 프로파일(100b)에서 측면 프로파일(100c, 100d)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기 마감 부재(400)가 상기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창호 짝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하부 프로파일의 가이드 홈을 마감할 수 있다.
(2) 특히, 측면 프로파일과 상부 프로파일 내부를 둘러싸게 한 마감 부재의 양단이 하부 프로파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창호 짝에 고정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하는 동작을 통해 창호 짝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이물이나 먼지 등이 가이드 홈을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마감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된 브래킷을 하부 프로파일과 상부 프로파일에 장착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마감 부재를 장착하여 가이드 홀을 마감하게 함으로, 이미 시공된 창호에도 쉽게 적용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마감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을 분리하여 쉽게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쉽다.
(5) 창호 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아이들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마감 부재가 이 아이들 롤러를 통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방향 전환으로 마감 부재에 가해지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쉽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가이드 홀을 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가 적용된 창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가 적용된 창호 틀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가 상부 프로파일과 하부 프로파일 사이에서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에 장착된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가 창호 짝의 동작을 차례로 보여주는 창호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에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하부 프로파일(100a)에 장착되는 하부 브래킷(200), 상부 프로파일(100b)에 장착되는 상부 브래킷(300), 그리고 이들 사이에 장착되어 창호 짝(D)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마감 부재(4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400)는 상부 브래킷(300)에 형성된 제2안내 돌기(31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부 프로파일(100b)의 양단부에서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안쪽에 마주하여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 다음, 하부 프로파일(100a)에 장착된 하부 브래킷(200)의 제1안내 돌기(210)에 끼워진 양단이 창호 짝(D) 하부에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D)을 개폐할 때마다 마감 부재(400)가 함께 움직이면서 창호 짝(D)이 있는 만큼을 제외한 하부 프로파일(100a)의 가이드 홈(111) 전체를 항상 덮게 하여 먼지나 이물 등이 이 가이드 홈(111)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창호 틀(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1 아이들 롤러(410)와 제2 아이들 롤러(420)를 장착함으로써, 하부 브래킷(200)와 상부 브래킷(300)의 안내를 받아 밖으로 돌출함에 따라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마감 부재(400)가 이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하는 부분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때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쉽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D"는 창호 틀에 안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창호 짝을 나타낸다.
가. 창호 틀
창호 틀(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의 양단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일체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 그리고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단면 구조는 같으므로, 아래에서는 하부 프로파일(100a)의 단면 구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하부 프로파일
하부 프로파일(100a)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110)가 형성된다. 가이드(110)는 창호 틀 안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창호 짝(D)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창호 짝의 개수에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프로파일(100a)에는, [도 3]과 같이, 창호 짝(D)을 안내하는 가이드(110)를 형성함에 따라, 이웃한 두 개의 가이드(110) 사이나, 가이드(110)나 방충망 가이드 사이, 그리고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격벽과 가이드 사이에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창호 틀(100)에는, [도 2]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 각각 제1 아이들 롤러(410)와 제2 아이들 롤러(420)를 장착하여 후술할 마감 부재(400)가 원활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제1 아이들 롤러
제1 아이들 롤러(410)는, [도 2]와 같이, 하부 프로파일(100a)과 측면 프로파일(100c)이 접하는 부분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아이들 롤러(410)는 제1안내 돌기(210)에서 안내를 받는 마감 부재(400)가 측면 프로파일(100c)의 가이드 홈(111) 바닥과 마주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아이들 롤러(410)는 하부 프로파일(100a)과 다른 측면 프로파일(100d)의 연결 부분에도 장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제2 아이들 롤러
제2 아이들 롤러(420)는, [도 2]와 같이, 상부 프로파일(100b)과 측면 프로파일(100)이 접하는 부분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 아이들 롤러(420)는 제2안내 돌기(310)에서 안내를 받는 마감 부재(400)가 측면 프로파일(100c)의 가이드 홈(111) 바닥과 마주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아이들 롤러(420)는 상부 프로파일(100b)과 다른 측면 프로파일(100d)의 연결 부분에도 장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창호 틀(10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하부 프로파일(100a)의 가이드 홈(111)에는 하부 브래킷(200)이 장착되고,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가이드 홈(111)에는 상부 브래킷(300)이 장착된다.
나. 하부 브래킷
하부 브래킷(2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가이드 홈(111)에 끼워져서 한쪽이 개방되어 창호 짝이 움직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브래킷(200)은 폭 단면을 "ㄷ"자 형태가 되게 제작하여 개방된 입구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가이드 홈(111)에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브래킷(200)은, [도 3]과 같이, 가이드 홈(111)에 장착했을 때 끝 부분이 가이드(110)와 같은 높이나 이보다 약간 작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마감 부재(400)가 이 하부 브래킷(200)에 형성되는 제1안내 돌기(210)에 안내를 받게 되는데, 안내 돌기(210)가 가이드(110) 위로 돌출하여 창호 짝(D)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도 이물이나 먼지 등이 가이드 홈(111)으로 유입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1안내 돌기
제1안내 돌기(2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하부 브래킷(2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부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마주하여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 돌기(210)는 한쪽 면에 각각 쌍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마감 부재(400)의 양쪽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제1안내 돌기(210)의 안내를 받아 하부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 즉 가이드 홈(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 상부 브래킷
상부 브래킷(3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폭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게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의 가장자리에 제2안내 돌기(310)가 형성되는 구조로 상술한 하부 브래킷(200)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상부 브래킷(300)은 상기 제2안내 돌기(310)를 통해 안내하는 후술할 마감 부재(400)가 이 상부 브래킷(300)이 장착되는 상부 프로파일(100b)에 형성된 가이드 홈(111)의 바닥에 인접하게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가이드 홈(111)에는 이물이나 먼지 등이 쌓이지 않음으로 마감 부재(400)가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가이드 홈(111)을 마감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창호 짝(D) 상부에 마감 부재(400)가 닿지 않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라. 마감 부재
마감 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부 브래킷(200)과 상부 브래킷(300)을 감싸는 형태가 되게 장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마감 부재(400)는 하부 브래킷(200)과 상부 브래킷(300)의 양단에서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쉽게 휘면서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감 부재(400)의 장착에 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도 2] 및 [도 4]와 같이,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각 가이드 홈(111) 길이에 맞게 자른 하부 브래킷(200)과 상부 브래킷(300)을 일정 거리(이들 브래킷을 가이드 홈에 장착했을 때 사이 거리)만큼 떨어지게 한 다음, 상기 마감 부재(400)를 상기 제2안내 돌기(310)에 끼워서 양단이 상부 브래킷(300)의 양쪽에서 아래로 처지게 한 다음, 이 마감 부재(400)의 양단을 제1안내 돌기(310)의 양쪽에서 끼운 뒤에 창호 짝(D)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상기 마감 부재(400)는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에서는 하부 브래킷(200)과 상부 브래킷(3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고,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에서는 가이드 홈(111) 바닥에 마주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창호 틀을 구성하는 하부 프로파일에 하부 브래킷을, 하부 프로파일에 상부 브래킷을 장착한 다음, 이들 하부 브래킷과 상부 브래킷을 감싸는 형태로 마감 부재를 설치한 다음, 마감 부재의 양단을 창호 짝에 고정함으로써, 창호 짝을 개폐함에 따라 창호 짝이 마감 부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가이드 홈을 덮어 이물이나 먼지가 가이드 홈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0: 창호 틀
100a, 100b: 하부, 상부 프로파일
100c, 100d: 측면 프로파일
110 : 가이드
111: 가이드 홈
200: 하부 브래킷
210, 310: 제1, 제2안내 돌기
300: 상부 브래킷
400: 마감 부재
410, 420: 제1, 제2 아이들 롤러

Claims (3)

  1. 창호 짝(D)을 안내하는 가이드(110)를 형성함에 따라 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일정 길이로 잘라서 마주하는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되,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하부 프로파일(100a)과 상부 프로파일(100b)의 양단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창호 틀(100)에 설치하는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에서,
    하부 프로파일(100a)의 가이드 홈(111)의 양쪽 면에 밀착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의 높이가 가이드 홈(111)보다 높지 않으면서 폭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입구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1안내 돌기(2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하부 브래킷(200);
    상부 프로파일(100b)의 가이드 홈(111)의 양쪽 면에 밀착하게 장착되어 개폐하는 창호(D)에 닿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되, 폭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바닥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2안내 돌기(3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상부 브래킷(300); 및
    상기 제2안내 돌기(310)에 끼워져서 양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양쪽이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밀착하게 설치된 양단이 상기 제1안내 돌기(210)의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창호 짝(D)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감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프로파일(100a)과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접하는 부분에는,
    제1 아이들 롤러(410)가 설치되되, 하부 프로파일(100a)에서 측면 프로파일(100c, 100d)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기 마감 부재(400)가 상기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에서,
    상기 상부 프로파일(100b)과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이 접하는 부분에는,
    제2 아이들 롤러(420)가 설치되되, 상부 프로파일(100b)에서 측면 프로파일(100c, 100d)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기 마감 부재(400)가 상기 측면 프로파일(100c, 100d)의 가이드 홈(111)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1020210058550A 2021-05-06 2021-05-06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10261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50A KR102614371B1 (ko) 2021-05-06 2021-05-06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50A KR102614371B1 (ko) 2021-05-06 2021-05-06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371A true KR20220151371A (ko) 2022-11-15
KR102614371B1 KR102614371B1 (ko) 2023-12-19

Family

ID=8404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550A KR102614371B1 (ko) 2021-05-06 2021-05-06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26Y1 (ko) * 2002-11-27 2003-03-03 (주)신환건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롤 절첩식 레일덮개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KR200331777Y1 (ko) * 2003-07-15 2003-11-01 장숙희 창틀 레일용 먼지 받이대
KR20100001473A (ko) 2008-06-27 2010-01-06 최민규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20150056930A (ko) * 2013-11-18 2015-05-28 김주안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20180006239A (ko) * 2016-07-08 2018-01-17 구자호 미닫이문용 덮개식 바닥레일
KR102026960B1 (ko) 2019-01-23 2019-09-30 문여진 방풍가이드와 호차를 이용한 창호용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KR20200009284A (ko) * 2018-07-18 2020-01-30 (주)국제스틸셔터 벨트창호
KR102197822B1 (ko) 2020-08-19 2021-01-04 피디아이 주식회사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26Y1 (ko) * 2002-11-27 2003-03-03 (주)신환건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롤 절첩식 레일덮개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KR200331777Y1 (ko) * 2003-07-15 2003-11-01 장숙희 창틀 레일용 먼지 받이대
KR20100001473A (ko) 2008-06-27 2010-01-06 최민규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20150056930A (ko) * 2013-11-18 2015-05-28 김주안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20180006239A (ko) * 2016-07-08 2018-01-17 구자호 미닫이문용 덮개식 바닥레일
KR20200009284A (ko) * 2018-07-18 2020-01-30 (주)국제스틸셔터 벨트창호
KR102026960B1 (ko) 2019-01-23 2019-09-30 문여진 방풍가이드와 호차를 이용한 창호용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KR102197822B1 (ko) 2020-08-19 2021-01-04 피디아이 주식회사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371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0559A1 (en) Frame section for a black-out blind assembly
KR101721411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101441504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방충창 설치 구조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169788B1 (ko) 탄성력을 갖는 기밀부재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US8002342B2 (en) Blind cover positioning structure
US6718695B1 (en) Railless window and door system
KR102197822B1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KR20220151371A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102031649B1 (ko)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2354163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102504250B1 (ko) 유격이 없는 창호
KR101745693B1 (ko) 창호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JP4850093B2 (ja) 引き戸の案内構造
KR102399349B1 (ko)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KR102456396B1 (ko) 갭 프레임을 갖는 폴딩도어
KR20200009284A (ko) 벨트창호
JP2005306578A (ja) エレベータドアの遮煙装置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