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271A -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 Google Patents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271A
KR20220151271A KR1020210058290A KR20210058290A KR20220151271A KR 20220151271 A KR20220151271 A KR 20220151271A KR 1020210058290 A KR1020210058290 A KR 1020210058290A KR 20210058290 A KR20210058290 A KR 20210058290A KR 20220151271 A KR20220151271 A KR 2022015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floating
tube
floating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1138B1 (en
Inventor
차대선
이태욱
Original Assignee
차대선
이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대선, 이태욱 filed Critical 차대선
Priority to KR102021005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38B1/en
Publication of KR2022015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2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loating system that is installed on a drone and operates when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a dron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loating system. The floating system may comprise a tube and a gas supply unit for injecting gas into the tube, and the tube expands by the injected gas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escription

드론 및 드론에 탈부착 가능한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플로팅 시스템을 구비한 드론과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having a detachable floating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the floating system of the drone.

드론은 군사용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다. 근래 들어, 드론은,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드론은, 여러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 추락의 우려가 높은 것 또한 현실이다. 드론 및 그에 속한 여러 부품들이 워낙 고가이므로, 드론에 따른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심각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드론이 추락하는 경우, 드론 자체의 파손으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다. 특히 기체 중량이 12㎏ 이상의 드론이 군중 속으로 추락한다면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다. 또 위험시설이나 고속도로 등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사고까지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 사용상 주의가 반드시 요망된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 원인으로는 드론의 자체적인 기능상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드론 사용에 대한 안전 수칙 준수, 안전관리나 안전의식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점도 한 몫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론에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드론이 추락 시 안전 착륙을 위하여 드론에 낙하산 장치를 마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6892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38495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3727호에서 소개되고 있다.Drones have been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In recent years, drone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delivery, disaster relief, broadcasting leisur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military use,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speed, and economy. Although drones have many advantages, it is also a reality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falling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and inexperience in driving operation. Since drones and various parts belonging to them are very expensive, economic damage due to damage caused by drones is inevitably serious. In addition, when a drone crashes, the risk of secondary damage to persons and objects as well as enormous economic damage due to damage to the drone itself is serious. In particular, if a drone weighing more than 12 kg crashes into a crowd, it can lead to a serious human accident. In addition, if a fall accident occurs at a dangerous facility or highwa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major accident, so care must be taken when using it. The cause of these problems is not only functional problems of drones themselves, but also the lack of compliance with safety rules, safety management, and safety awareness for drone use.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drones to solve these problems. Representatively,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parachute device to a drone for safe landing in case of a drone crash,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9689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8495,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 It is introduced in issue -2003727.

아울러, 전술한 문제점과 더불어 최근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은 드론의 유실이다. 드론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가격 상승과 드론에 탑재되는 각종 부가 장비들의 고비용을 고려했을 때, 드론이 유실되는 경우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특히, 재난 구조와 같은 환경에서는 악천후, 악조건 하에서 드론이 비행을 하는 경우가 많고, 상대적으로 드론의 추락 발생 가능성이 높다. 육지 상에서 드론이 추락하는 경우 파손된 드론을 수리하는 등의 사후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해양 영역에서의 드론이 추락하는 경우 드론이 수중으로 완전히 유실되므로 사후적인 조치가 불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에 낙하산 장치를 마련하여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해수면 상에서의 낙하산에 덮혀 있는 드론과 일반 부유물 간의 차이를 분간하기 어렵고, 수중에 잠긴 드론의 통신 장애로 인하여 드론이 유실된 영역으로 추정된 전체 영역을 모두 수색해야 하는 점, 드론의 무게로 인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낙하산과 함께 수중으로 가라 앉게 되는 점 그리고 장시간의 침수로 인하여 수리 등으로 손상된 드론의 기능을 복구하는 것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종래의 기술은 여전히 많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어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long wit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loss of drones has recently emerged significantly. Considering the price increase due to the advancement of drone technology and the high cost of various additional equipment mounted on drones, loss of drones causes great economic losses. In particular, in an environment such as disaster relief, there are many cases where drones fly under bad weather and bad conditions, and the possibility of a drone crash is relatively high. In the case of a drone crash on land, follow-up measures such as repairing the damaged drone can be taken, but in the case of a drone crash in the sea, the drone is completely lost underwater, so follow-up measures are impossib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sider preventing the loss of the drone by providing a parachute device on the drone,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one covered by the parachute on the sea level and a general floating object, and due to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drone submerged in the water, the drone The fact that the entire area estimated as this lost area must be searched, the fact that the drone sinks into the water with the parachute over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drone, and the function of the drone damaged by repair due to prolonged submersion is restored.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doing thi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till has many limitations, so a new technology is requir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6892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9689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384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8495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372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03727

실시에는, 드론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구동하여 부유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하는 플로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ing system that is installed on a drone and operates when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o provide floating force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다른 측면에서, 튜브와 상기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주입된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하는 플로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floating system including a tube and a gas supply unit injecting gas into the tube, and the tube expands by the injected gas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플로팅 시스템은 추락하는 드론의 고도가 기 설정 고도가 되어 부유력을 제공하는 자동 제어 모드 또는 외부의 단말기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부유력을 제공하는 수동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드론을 수면상에서 부유시키는 플로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loating system is in either an automatic control mode in which the altitude of the falling drone becomes a preset altitude to provide buoyancy or a manual control mode in which buoyancy is provid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a floating system for floating the dron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드론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드론의 하측에 탈부착되는 플로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floating system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one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one may be provided.

또 다른 측면에서, 드론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플로팅 시스템; 및 상기 드론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비행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구동하여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부유력을 제공하고, 상기 드론이 상기 수면 상에서 부유하면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드론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floating system install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drone; and a propeller installed on the drone to provide propulsion for flight of the drone, wherein the floating system is driven when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o provide floating force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drone A drone in which the propeller rotates to move the drone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드론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드론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상기 드론이 균형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드론을 부유하면서 이동시키는 드론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dron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drone corresponds to a preset range, and moves the drone while floating by rotating the propeller when the inclination of the drone corresponds to the preset range and the drone is balanced. can provide.

다른 측면에서,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상기 드론의 수면 착지전까지 상기 드론의 기울기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드론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낙하산을 구동하는 드론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when the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ilt information of the drone is monitored until the drone land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when the tilt angle of the dron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drone that drives a parachute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드론 상태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자동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드론에 설치된 튜브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튜브의 팽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가 팽창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수동 제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튜브를 팽창시켜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플로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to a terminal; monitoring whether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Inflating a tube installed in the drone by executing an automatic mode when the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is inflated; and if the tube is not inflate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terminal and inflating the tube by executing a manual control mod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by using a floating system of a drone.

다른 측면에서,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면 자동 회수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determining whether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and when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executing an automatic recovery mode so that the drone moves while floating. can

실시예는, 드론이 정상 비행 모드에서는 튜브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비행의 저항력 발생을 최소화하고, 드론이 해양 영역에 추락하는 경우 튜브를 팽창시켜 드론을 부유시킴으로써 해양 영역에서 드론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drone maintains a contracted state in the normal flight mode whil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flight resistance, and when the drone crashes in the marine area, the tube expands to float the drone, thereby preventing loss of the drone in the marine area. It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예는 튜브의 공기 저항력에 튜브가 일종의 낙하산과 같은 역할을 하게되어 결과적으로 드론이 뒤집혀서 드론이 역방향으로 추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tube serves as a kind of parachute to the air resistance of the tub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one from falling in the reverse direction due to the drone being overturned.

또한, 실시예는 가스제공부의 오동작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서 튜브가 팽창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tube does not expand according to various causes such as malfunction of the gas supply unit.

또한, 실시예는 추락한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facilitate collection by allowing the fallen drone to move whil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실시예는 추락한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 시 프로펠러와 물과의 반복된 마찰로 인하여 프로펠러가 손상되는 문제, 물과의 마찰 저항력에 따라서 드론이 순간적으로 뒤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problem of the propeller being damaged due to repeated friction between the propeller and the water when the crashed drone is moving while floating, and the problem of the drone being instantly overturned according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water.

또한, 실시예는 추락한 드론의 프로펠러를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기 위한 추진력 발생 장치로 활용함으로써 드론이 원하는 목표지점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facilitate collection by enabling the drone to quickly move to a desired target point by using the propeller of the crashed drone as a propulsion generating device for moving the drone while floating.

또한, 실시예는 드론의 통신 장치의 비정상 작동 등의 원인으로 드론과 컨트롤러의 통신 두절시에도 드론에 탑재된 플로팅 시스템이 정상 구동하여 드론이 수중으로 유실되지 않고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even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is interrupted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drone, the floating system mounted on the drone operates normally so that the drone can float without being lost underwater.

또한, 실시예는 추락하는 드론의 기울기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필요에 따라 낙하산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드론의 정상적인 위치를 유지시켜 드론의 뒤집히는 등의 비정상적인 위치 상태로 수면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의 팽창에 따라 수면 상에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maintains the normal position of the drone by monitoring the tilt information of the falling drone and operating the parachute system as necessary to prevent the drone from falling to the water surface in an abnormal position such as overturning, an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ube. It allows it to float stably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드론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과 단말기 및 서버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8은 가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가스제공부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예시적인 튜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강이 있는 해양 영역에서 드론이 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드론의 추락(a)과 플로팅 시스템의 구동(b) 및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것(c)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드론의 튜브의 일부 영역의 팽창 및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시스템을 구비한 드론의 낙하산 구동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drone of FIG. 1 .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a drone, a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block diagrams of floating system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d,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gas supply unit for explaining the gas supply unit. And,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n exemplary tube.
10 shows a drone flying in an ocean area with a river.
11 schematically depicts a drone falling (a), a floating system driving (b), and a drone moving while floating (c).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expansion of a partial region of a drone tube and movement of a drone while floating.
1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loating system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arachute driving process of a drone equipped with a parachut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 드론 - dr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론(100)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거나, 설정된 비행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조종되면서 무인 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론(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본체(20), 수평 및 수직이동 추진장치(10) 및 착륙용 레그(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드론(100)이 수면 상에서 플로팅(Floating) 되도록 하기 위한 부유력을 제공하는 플로팅 시스템(200)은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100 is manually operated by a manager or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set flight program to fly unmanned. As shown in FIG. 1, the drone 100 includes a main body 20,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propulsion devices 10, and landing legs 30. In particular, the dr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ating system 200 that provides buoyancy to allow the drone 100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수평 및 수직이동 추진장치(10)는 본체(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및 수직이동 추진장치(10)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프로펠러(11)와 모터(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 및 수직이동 추진장치(10)는 프로펠러(11)가 아닌 에어 분사형 추진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propulsion device 10 is composed of one or more propellers 11 installed vertically on the main body 20,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propuls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11 and motors 12. 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propulsion device 10 may be formed of an air injection type propulsion structure other than the propeller 1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로펠러(11)와 모터(12)는 갑작스러운 우천시나 수면상에 부유시의 액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1 and the motor 12 may have a waterproof function to prevent damage caused by liquid during sudden rain or when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 개의 프로펠러 지지부는 본체(20)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프로펠러 지지부에는 모터(12)가 장착될 수 있고, 각각의 모터(12)에는 프로펠러(11)가 장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peller supports may be radially formed in the main body 20 . A motor 12 may be mounted on each propeller support, and a propeller 11 may be mounted on each motor 12.

복수 개의 프로펠러(11)는 본체(20)를 중심을 기준하여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프로펠러(11)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이 조합되도록 모터(12)의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본체(20)를 중심을 기준하여 대칭되는 한 쌍의 프로펠러(11)의 회전 방향은 동일(예를 들어, 시계 방향)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쌍의 프로펠러(11)는 이와 달리 회전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The plurality of propellers 11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2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1 is a combination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Rotation directions of the pair of propellers 11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0 may be set to be the same (for example, clockwise). In addition, the other pair of propellers 11 may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착륙용 레그(30)는 본체(20)의 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착륙용 레그(30)의 하부에는 드론(100)이 착륙할 때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는 완충 지지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드론(100)은 상술한 바와 다른 드론 구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anding leg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0 . In addition, a buffer support memb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leg 30 to minimize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with the ground when the drone 100 la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the drone 10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tructur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 드론의 구성요소의 제어 관계 - Control relationship of drone components

도 2는 도 1의 드론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dron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드론(100)은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서 각종 센서들을 이용해 자신의 비행상태를 측정한다. 드론(1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100)의 비행상태는 회전운동상태(Rotational States)와 병진운동상태(Translational States)로 정의된다. 회전운동상태는 '요(Yaw)', '피치 (Pitch)', 및 '롤 (Roll)'을 의미하며, 병진운동상태는 경도, 위도, 고도, 및 속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롤', '피치', 및 '요'는 오일러 (Euler) 각도라 부르며, 드론 기체좌표 x, y, z 세 축이 어떤 특정 좌표, 예를 들어, NED 좌표 N, E, D 세 축에 대하여 회전된 각도를 나타낸다. 드론(100) 전면이 기체좌표의 z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경우, 기체좌표의 x축은 NED 좌표의 N축에 대하여 각도 차이가 생기게 되며, 이각도를 "요"(Ψ)라고 한다. 드론(100)의 전면이 오른쪽으로 향한 y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을 할 경우, 기체좌표의 z축은 NED 좌표의 D축에 대하여 각도 차이가 생기게 되며, 이 각도를 "피치"(θ)라고 한다. 드론(100)이 전면을 향한 x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게 될 경우, 기체좌표의 y축은 NED 좌표의 E축에 대하여 각도가 생기게 되며, 이 각도를 "롤"(Φ)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drone 100 measures its own flight state using various sensors in order to fly stably. The drone 10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30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The flight state of the drone 100 is defined as a rotational state and a translational state. The rotational motion state means 'yaw', 'pitch', and 'roll', and the translational motion state means longitude, latitude, altitude, and speed. Here, 'roll', 'pitch', and 'yaw' are called Euler angles, and the drone aircraft coordinates x, y, and z three axes are certain specific coordinates, for example, NED coordinates N, E, and D Indicates the angle rotated about an axis. When the front of the drone 100 rotates left and right based on the z-axis of the aircraft coordinates, the x-axis of the aircraft coordinates has an angular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N-axis of the NED coordinates, and this angle is called "yaw" (Ψ). When the front of the drone 100 rotates up and down based on the y-axis directed to the right, the z-axis of the aircraft coordinates has an angl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D-axis of the NED coordinates, and this angle is called "pitch" (θ) . When the drone 100 tilt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ront-facing x-axis, the y-axis of the aircraft coordinates has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E-axis of the NED coordinates, and this angle is referred to as "roll" (Φ).

드론(100)은 회전운동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3축 자이로 센서(Gyroscopes), 3축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s), 및 3축 지자기 센서(Magnetometers)를 이용하고, 병진운동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GPS 센서와 기압 센서(Barometric Pressure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The drone 100 uses 3-axis gyro sensors (Gyroscopes), 3-axis accelerometers, and 3-axis geomagnetic sensors (Magnetometers) to measure the rotational motion state, and uses a GPS sensor and a GPS sensor to measure the translational motion state.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may be used.

본 발명의 센싱부(13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영상 센서 및 기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는 드론(100)의 기체좌표(Body Frame Coordinate)가 지구관성 좌표(Earth Centered Inertial Coordinate)에 대해 회전한 상태와 가속된 상태를 측정해주는데,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해 관성측정기(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라 부르는 단일 칩(Single Chip)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IMU 칩 내부에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지구관성좌표 기준의 측정치들을 지역좌표 (Local Coordinate), 예를 들어 GPS가 사용하는 NED(North-East-Down) 좌표로 변환해주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드론(100)의 기체좌표 x, y, z 세 축이 지구관성 좌표에 대하여 회전하는 각속도를 측정한 후 고정좌표로 변환된 값(Wx.gyro, Wy.gyro, Wz.gyro)을 계산하고, 이 값을 선형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오일러 각도(Φgyro, θgyro, ψgyro)로 변환한다.The sens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sensor, an image sensor, and an air pressure sensor. Here,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 the rotated state and the accelerated state of the body frame coordinates of the drone 100 with respect to the earth centered inertial coordinates,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It can also be manufactured as a single chip calle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using semiconductor process technology. In addition, inside the IMU chip, there is a microcontroller that converts the measurements based on the Earth's inertial coordinate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nto local coordinates, for example, NED (North-East-Down) coordinates used by GPS. can be included The gyro sensor measures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three axes x, y, and z of the drone 100 with respect to the earth inertial coordinates, and converts the values (Wx.gyro, Wy.gyro, Wz.gyro) into fixed coordinates. Calculate and convert this value to Euler angles (Φgyro, θgyro, ψgyro) using a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가속도 센서는 드론(100)의 기체좌표 x, y, z 세 축의 지구관성좌표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한 후 고정좌표로 변환된 값(fx,acc, fy,acc, fz,acc)을 계산하고, 이 값을 '롤(Φacc)'과 '피치(θacc)'로 변환하며, 이 값 들은 자이로 센서의 측정치를 이용해 계산한 '롤(Φgyro)'과 '피치(θgyro)'에 포함된 바이어스 오차를 제거하는 데 이용된다.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s the acceleration with respect to the earth inertial coordinates of the three axes of x, y, and z of the drone 100's aircraft coordinates, and then calculates the values (fx,acc, fy,acc, fz,acc) converted to fixed coordinates, This value is converted into 'roll (Φacc)' and 'pitch (θacc)', and these values are calculated us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gyro sensor, and the bias error included in 'roll (Φgyro)' and 'pitch (θgyro)' used to remove

지자기 센서는 드론(100)의 기체좌표 x, y, z 세 축의 자북점에 대한 방향을 측정하고, 이 값을 이용해 기체좌표의 NED 좌표에 대한 '요' 값을 계산한다.The geomagnetic sensor measures the direction of the drone 100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north point of the three axes x, y, and z of the aircraft coordinates, and calculates the 'yaw' value for the NED coordinates of the aircraft coordinates using this value.

GPS 센서는 GPS 위성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해 NED 좌표 상에서 드론(100)의 병진운동상태, 즉, 위도(Pn.GPS), 경도(Pe.GPS), 고도(hMSL.GPS), 위도 상의 속도(Vn.GPS), 경도 상의 속도(Ve.GPS), 및 고도 상의 속도(Vd.GPS)를 계산한다. 여기서, 첨자 MSL은 해수면(MSL: Mean Sea Level)을 의미한다. 기압 센서는 드론(100)의 고도(hALP.baro)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첨자 ALP는 기압(Air-Level Pressor)을 의미하며, 기압 센서는 드론(100)의 이륙시 기압과 현재 비행고도에서의 기압을 비교해 이륙 지점으로부터의 현재 고도를 계산한다.The GPS sensor uses signals received from GPS satellites to determine the translational motion state of the drone 100 on NED coordinates, that is, latitude (Pn.GPS), longitude (Pe.GPS), altitude (hMSL.GPS), and speed on latitude. (Vn.GPS), speed on longitude (Ve.GPS), and speed on altitude (Vd.GPS) are calculated. Here, the subscript MSL means mean sea level (MSL). The air pressure sensor may measure the altitude (hALP.baro) of the drone 100 . Here, the subscript ALP means air-level pressor, and the air pressure sensor calculates the current altitude from the take-off point by comparing the air pressure at the time of take-off of the drone 100 with the air pressure at the current flight altitude.

카메라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 개의 광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mera sensor includes an image sensor (eg, CMOS image sensor) including at least one optical lens and a plurality of photodiodes (eg, pixels) forming an image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en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for composing an image based on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diodes may be includ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can create not only still images, but also moving images composed of frames composed of still images.

드론(100)은 정보를 입력받거나 수신하고 정보를 출력하거나 송신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모듈(170)은 외부의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드론 통신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모듈(170)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모듈(170)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출력부(173)는 드론(100)에 생략되고 단말기(3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dron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70 that receives or receives information and outputs or transmits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may include a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other external devices.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may include an input unit 171 for inputting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may include an output unit 173 that outputs information. Of course, the output unit 173 may be omitted in the drone 100 and formed in the terminal 300.

일 예로, 드론(100)은 입력부(171)로부터 직접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드론(100)은 별도의 단말기(300) 또는 서버(400)에 입력된 정보를 드론 통신부(175)를 통해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드론(100)은 출력부(173)로 직접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드론(100)은 드론 통신부(175)를 통해 별도의 단말기(300)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300)가 정보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one 100 may directl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71. As another example, the dron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put to a separate terminal 300 or the server 400 through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For example, the drone 100 may directly output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173. As another example, the dron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a separate terminal 300 through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so that the terminal 300 outputs the information.

드론 통신부(175)는, 외부의 서버(400), 단말기(300) 등과 통신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론 통신부(175)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원격제어장치, 컨트롤러 등의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드론 통신부(175)는 단말기(300)로 출력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드론 통신부(175)로부터 받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드론 통신부(175)는 단말기(300) 또는/및 서버(400)로부터 각종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드론 통신부(175)는 단말기(300) 또는/및 서버(400)로부터 주행을 위한 구역 정보, 주행 경로, 주행 명령, 플로팅 시스템(200)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역 정보는 비행 제한 구역 정보, 접근 제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400, terminal 300, and the like.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may receiv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300 such as a smartphone, computer, remote control device, or controller.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may transmit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terminal 300 . The terminal 300 m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may receive various command signals from the terminal 300 or/and the server 400.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may receive area information for driving, a driving route, a driving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floating system 200 from the terminal 300 or/and the server 400 . Here, the zone information may include flight restriction zone information and access restriction distance information.

입력부(17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구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 밖에 입력부(171)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각종 버튼이나 터치패드, 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71 may receive On/Off or various commands. The input unit 171 may receive area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71 may 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input unit 171 may include various buttons, a touch pad, or a microphone.

출력부(173)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출력부(173)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73)는 주행 중 감지한 발견물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73)는 발견물의 식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73)는 발견물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73)는 드론(100)이 추락한 경우 사용자가 드론(100)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색상으로 발광을 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73 may inform the user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73 may include a speaker and/or a display. The output unit 173 may output information on a found object detected while driving. The output unit 173 may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ound object. The output unit 173 may output location information of a found object.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73 may emit light in a color for the user to easily identify the drone 100 when the drone 100 crashes.

드론(100)은 맵핑 및/또는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등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드론(1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통해, 드론(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one 100 includes a controller 140 that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apping and/or recognizing a current location.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one 100 through control of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drone 100 .

제어부(140)는 커뮤니케이션 모듈(170)로부터 정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71)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드론 통신부(175)로부터 정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re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 The controller 140 may re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71 .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from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제어부(140)는 센싱부(130)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nd proces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30 .

제어부(140)는 모터(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작업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모터(12)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driving of the motor 12 .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ork unit 40 .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motors 1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may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2 .

드론(10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는 드론(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data. The storage unit 150 record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drone 100, and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저장부(150)에는 주행구역에 대한 맵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맵 정보는 드론(100)과 드론 통신부(175)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드론(100)이 스스로 학습을 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외부 단말기(300)로는 맵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리모콘, PDA, 랩탑(laptop), 스마트 폰, 태블릿, 드론 컨트롤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Map information on a driving are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map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external terminal 300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the drone 100 and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or may be generated by the drone 100 through self-learning. In the former case, the external terminal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a PDA, a laptop, a smart phone, a tablet, a drone controller, etc. loaded with an application for setting a map.

- 기기들 간의 제어 관계 -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devic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과 단말기 및 서버간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a drone, a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드론(100)과 단말기(300) 및 서버(400)는 서로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법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 the drone 100, the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인터넷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이 있다. 특히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보다 빠른 응답이 가능하다.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may be used.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5G. In particular, faster response is possibl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5G communication network.

- 플로팅 시스템 - Floating system

도 4 내지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8은 가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가스제공부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예시적인 튜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4 to 7 are block diagrams of floating system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d,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gas supply unit for explaining the gas supply unit. And,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n exemplary tub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의 플로팅 시스템(200)은 드론(100)의 본체(2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락하는 드론(100)이 심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로팅 시스템(200)은 드론(100)에 탑재될 때 드론(100)의 무게 중심이 하측 중심 방향이 되도록 드론(100)에 탑재될 수 있다. 플로팅 시스템(200)은 본체(20)와 탈부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드론(100)의 비행 영역 내에 해양 영역이 포함된 경우, 드론(100)이 비행 중에 해양 영역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론(100)의 비행 전에 드론(100)에 플로팅 시스템(200)을 장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드론(100)의 비행 영역 내에 해양 영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팅 시스템(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드론(100)이 비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loating system 200 of the dro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20 of the drone 100. In some embodiments, in order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falling drone 100 is severely tilted, the floating system 200 is mounted on the drone 10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rone 100 i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center of the drone 100. ) can be mounted. The floating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from the main body 20 . When the marine area is included in the flight area of the drone 100, the floating system 200 is mounted on the drone 100 before the drone 100 flies in order to prevent the drone 100 from being lost in the marine area during flight. can do. In another aspect, when the marine area is not included in the flight area of the drone 100, the drone 100 may fly in a state in which the floating system 200 is not mounted.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론(100)에 플로팅 시스템(200)을 탈부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는 별도로 마련된 도킹 시스템 상의 플로팅 시스템(200)과 드론(100)의 자동 탈부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100)은 비행 중에 컨트롤러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및/또는 미리 설정된 비행 알고리즘에 따라 비행 경로 상에서의 해양 영역으로의 진입 전에 인근 지역에 마련된 도킹 시스템에 착륙하여 플로팅 시스템(200)과 결합하고, 드론(100)은 플로팅 시스템(200)을 탑재한 상태로 해양 영역을 비행할 수도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user may manually attach and detach the floating system 200 to the dron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bodiment automatically attaches and detaches the floating system 200 and the drone 100 on a separately provided docking system.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etachable function. Therefore, the drone 100 lands on a docking system provided in a nearby area before entering the marine area on the flight path based on a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or according to a preset flight algorithm during flight, and the floating system 200 Combined with, the drone 100 may fly in the marine area with the floating system 200 mounted thereon.

플로팅 시스템(200)은 본체(20)와 연결되면 드론(100)의 제어부(140)와 페어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플로팅 시스템(200)과 본체(2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floating system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it may be paired with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rone 100.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whether the floating system 200 and the body 20 are attached or detached.

플로팅 시스템(200)은 플로팅 제어부(210), 튜브(220) 및 가스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로팅 제어부(210)는 전술한 제어부(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플로팅 제어부(210)의 기능은 제어부(140)가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ating system 200 may include a floating controller 210 , a tube 220 and a gas supply unit 230 . In various embodiments,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be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controller 140 . That is, the function of the floating controller 210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튜브(220)는 가스제공부(230)로부터 제공되는 가스에 의해서 소정의 크기만큼 팽창할 수 있다. 튜브(220)의 팽창 정도는 드론(100)이 수중에 가라않지 않고 부유할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튜브(220)는 드론(100)이 수면 상에서 크게 기울어지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전방, 후방, 좌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22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이들 복수의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할 수도 있다.The tube 220 may expand by a predetermined size by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unit 230 .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tube 220 may be such that the drone 100 can float in the water without sinking. In addition, the tube 220 may expand in at least one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rone 100 does not tilt or overturn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some embodiments, the tube 220 is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and these multiple regions may exp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가스제공부(230)는 플로팅 제어부(210)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튜브에 순간적으로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gas providing unit 230 may instantaneously provide gas to the tube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floating controller 210 .

도 8을 더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가스제공부(230)는 카트리지(231), 실린더(232) 및 모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8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gas supply unit 230 may include a cartridge 231 , a cylinder 232 and a motor unit 233 .

실린더(232)는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고, 카트리지(231)에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232)는 카트리지(231)에 교체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린더(232)는 CO2 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ylinder 232 may compress and store gas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231 . The cylinder 232 may be configured as a replacement type for the cartridge 231 . By way of example, the cylinder 232 may store CO2 g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카트리지(231)는 실린더(232)를 수납하고 모터부(233)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격발침이 실린더(232)를 격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232)는 격발에 의해 저장된 압축 가스를 분출할 수 있다. 모터부(233)는 카트리지(231)와 연결되고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카트리지(231)와 모터부(233)를 연결하는 끈을 당겨 카트리지(231) 내의 격발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rtridge 231 accommodates the cylinder 232 and the cylinder 232 can be triggered by an internal triggering needle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233 . And, the cylinder 232 may eject the stored compressed gas by percussion. The motor unit 233 is connected to the cartridge 231 and can operate the percussion system in the cartridge 231 by pulling a string connecting the cartridge 231 and the motor unit 233 according to driving of the built-in motor.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제공부(2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팽창하는 복수의 튜뷰들 각각에 가스를 주입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gas supply units 230 may be provided, and gas may be injected into each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expanding tubes.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200)에서 플로팅 제어부(210)는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가스제공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싱부(13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100)의 추락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드론(100)의 위치가 강이나 바다, 호수와 같은 해양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현재 드론(100)이 해양 영역 내에서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드론(100)의 고도가 기 설정 고도가 되면 튜브의 팽창의 실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플로팅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 설정 고도는 추락하는 드론(100)의 튜브가 팽창하여 튜브의 공기 저항으로 인한 드론(100)이 뒤집히는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추락하는 드론(100)이 수면과 수직 거리가 수미터 이내의 인접한 위치일 때 비로서 튜브가 팽창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floating system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gas supply unit 230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ler 140 . Exemplarily,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drone 100 has falle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an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rone 100 is in a marine area such as a river, sea, or lake. can judg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drone 100 is currently falling within the marine area, and when the altitude of the drone 100 reaches a preset altitud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tube expansion is transmitted to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can transmit In various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altitude may be preset based on the time taken for the tube of the falling drone 100 to expand and the drone 100 to turn over due to the air resistance of the tube. In various embodiments, the tube may be inflated when the falling drone 100 is in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water surface is within several meters.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300)는 드론 통신부(175)와 통신하여 튜브의 팽창의 실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에 응답하여 플로팅 제어부(210)로 튜브의 팽창의 실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플로팅 제어부(210)가 가스제공부(2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erminal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175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commanding execution of tube expansion to the drone 100 .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140 provides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with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tube to expand, so that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allows the gas supply unit 230 to operate.

일부 실시예에서, 플로팅 제어부(210)는 튜브(220)의 팽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플로팅 제어부(210)는 튜브(220)의 팽창이 감지되면 튜브 팽창 완료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튜브 팽창 완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말기(300)로 튜브 팽창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tube 220 is inflated.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transmit a tube expans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when the expansion of the tube 220 is detected.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140 may transmit a tube expansion completion signal to the terminal 3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tube expansion completion signal.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200)은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제어부(210)는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100)의 수면 착지 여부를 판단하고, 드론(100)이 수면에 착지한 것으로 판단하면 가스제공부(230)를 동작시켜 튜브(220)가 팽창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는 전술한 센싱부(130)와 하나의 센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loating system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drone 100 has land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urface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ne 100 has land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gas supply unit 230 ) to cause the tube 220 to expand. The surface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130 and one sensor device.

도 9를 참조하면,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20)는 본체 대응 영역(229),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 각각은 본체 대응 영역(229)을 향해 말려들어가는 형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 각각은 말림이 펴지면서 팽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s shown in (a), the tube 220 may be divided into a body corresponding region 229, a front expansion region 221, and a rear expansion region 222. Each of the front inflation area 221 and the rear inflation area 222 may be in a folded state rolled toward the main body corresponding area 229 . Each of the front expansion area 221 and the rear expansion area 222 may expand while being rolled up by the injected ga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고, 플로팅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 중 어느 하나만 팽창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ront expansion area 221 and the rear expansion area 22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nflated, and the front expansion area 221 and the rear expansion area 222 are controlled by the floating controller 210. Either one of them may expan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20)는 본체 대응 영역(229), 전방 팽창 영역(221) 및 후방 팽창 영역(222)뿐만 아니라 우측 팽창 영역(223) 및 좌측 팽창 영역(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 영역들(221, 222, 223, 224) 각각은 본체 대응 영역(229)을 향해 말려들어가는 형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전방 팽창 영역(221)은 전방으로, 후방 팽창 영역(222)은 후방으로, 우측 팽창 영역(223)은 우측으로 그리고 좌측 팽창 영역(224)은 좌측으로 팽창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b), tube 220 has body counterpart region 229, front inflation region 221 and rear inflation region 222 as well as right inflation region 223 and left inflation region. (224) may be further included. Each of the expansion regions 221 , 222 , 223 , and 224 may be in a folded state rolled toward the body corresponding region 229 . In addition, the front expansion area 221 can expand forward, the rear expansion area 222 can expand backward, the right expansion area 223 can expand rightward, and the left expansion area 224 can expand leftward by the injected gas.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팽창 영역들(221, 222, 223, 224)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고, 플로팅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만이 팽창할 수도 있다.Each of the expansion areas 221 , 222 , 223 , and 224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nflated, or only one or more may be infl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loating controller 210 .

드론(100)이 정상 비행 모드에서는 튜브(220)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비행의 저항력 발생을 최소화하고, 드론(100)이 해양 영역에 추락하는 경우 튜브(220)를 팽창시켜 드론(100)을 부유시킴으로써 해양 영역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normal flight mode of the drone 100, the tube 220 maintains a contracted state to minimize flight resistance, and when the drone 100 crashes in a marine area, the tube 220 is inflated so that the drone 100 by floating to prevent loss in the maritime domain.

-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 - How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the drone's floating system

도 10은 강이 있는 해양 영역에서 드론이 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11은 드론의 추락(a)과 플로팅 시스템의 구동(b) 및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것(c)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10 shows a drone flying in an ocean area with a river, and FIG. 11 schematically depicts a drone's fall (a), a floating system's operation (b), and a drone's movement while floating (c). will be.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도 2,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S100)은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01), 추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102), 자동 모드 실행 단계(S103), 튜브의 팽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수동 제어 모드를 실행(S105)하거나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6, and 10 to 12,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includes transmitting drone state information. (S101), monitoring whether a fall is detected (S102), executing an automatic mode (S103),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ube is inflated (S104), executing a manual control mode (S105) or receiving drone status information. It may include transmitting (S106).

1)One)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01)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S101)

드론(100)은 단말기(300)로 자신의 비행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단말기(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의 비행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drone 100 may periodically transmit its own flight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300 or may transmit its own flight st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300 .

단말기(300) 상에서는 드론(100)의 고도 정보, 드론(100)의 이동 속도 정보, 드론(100)의 위치 정보 등의 드론(100)의 비행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flight state of the drone 100, such as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300.

2)2) 추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102)A step of monitoring whether a fall is detected (S102)

드론(100)은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추락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론(100)의 제어부(140)는 센싱부(13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추락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drone 100 may fall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wind and inexperience in driving opera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rone 100 may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or not the drone 100 has falle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

제어부(140)는 드론(100)의 추락이 감지되면 드론(100)이 현재 추락 상태임을 단말기(300)로 알릴 수 있다.When the fall of the drone 100 is detected, the controller 140 may notify the terminal 300 that the drone 100 is currently in a fallen state.

3)3) 자동 제어 모드 실행 단계(S103)Automatic control mode execution step (S103)

제어부(140)는 센싱부(13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100)이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어 모드 실행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at the drone 100 is falling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may enter an automatic control mode execution step.

자동 제어 모드 실행 단계는 플로팅 시스템(200)의 구동 단계로, 제어부(140)는 플로팅 제어부(210)로 플로팅 동작 실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플로팅 제어부(210)는 이에 응답하여 튜브(220)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가스제공부(23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control mode execution step is a driving step of the floating system 200. The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to execute a floating operation, and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The gas supply unit 230 may be operated to inflate the 22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플로팅 시스템(200)은 스스로 드론(100)의 추락 여부를 판단하고 튜브(220)를 팽창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loating system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one 100 has fallen by itself and perform an operation for inflating the tube 22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드론(100)이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드론(100)의 고도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자동 모드 실행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자동 모드가 드론(100)이 적정 높이일 때(예를 들어 드론(100)이 수면과 가까워졌을 때)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고도에서 튜브(220)가 팽창함에 따라 튜브(220)의 공기 저항력에 튜브(220)가 일종의 낙하산과 같은 역할을 하게되어 결과적으로 드론(100)이 뒤집혀서 드론(100)이 역방향으로 추락하는 문제를 방지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140 may enter an automatic mode execution step when the drone 10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ne 100 is falling. That is, the air resistance of the tube 220 as the tube 220 expands at a high altitude by enabling the automatic mode to be executed when the drone 100 is at an appropriate height (for example, when the drone 100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tube 220 serves as a kind of parachute, and as a result, the drone 100 is overturned to prevent the drone 100 from falling in the reverse direction.

4)4) 튜브의 팽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is inflated (S104)

플로팅 제어부(210)는 자동 모드 실행 후, 튜브(220)의 팽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스제공부(230)의 오동작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서 튜브(220)가 팽창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팅 제어부(210)는 튜브(220)의 미팽창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After executing the automatic mode,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may check whether the tube 220 is inflated. The tube 220 may not expand according to various causes such as malfunction of the gas supply unit 230 . In this case,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nexpansion of the tube 220 to the terminal 300 .

5)5) 수동 제어 모드를 실행(S105)Run manual control mode (S105)

단말기(300) 상에서 튜브(220)의 미팽창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의 단말기(300)는 드론(100)으로 튜브 팽창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300)는 튜브 팽창 명령 신호를 플로팅 시스템(200)으로 다이렉트 전송할 수도 있다.When information about the unexpansion of the tube 220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300, the user's terminal 300 may transmit a tube expansion command signal to the drone 10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300 may directly transmit a tube expansion command signal to the floating system 200 .

플로팅 제어부(21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튜브 팽창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가스제공부(230)를 동작시켜 튜브(220)를 팽창시킬 수 있다. The floating controller 210 may expand the tube 220 by operating the gas supply unit 230 in response to the tube expansion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300 .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스제공부(230)의 오동작에 따른 튜브(220)가 팽창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제공부(230)는 메인 가스제공부와 보조 가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가스제공부는 자동 모드 실행에 따라 동작하여 튜브(220)에 가스를 주입하는 장치이고, 보조 가스제공부는 수동 실행 모드에 따라 튜브(220)에 가스를 주입하는 보조장치가 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in that the tube 220 does not expand due to a malfunction of the gas supply unit 230, the gas supply unit 230 may include a main gas supply unit and an auxiliary gas supply unit. The main gas supply unit is a devic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de execution and injects gas into the tube 220, and the auxiliary gas supply unit may be an auxiliary device that injects gas into the tube 220 according to the manual execution mode.

6)6)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06)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S106)

드론(100)은 자동 제어 모드 실행 또는 수동 제어 모드 실행에 의해 튜브(220)의 팽창이 완료되면 드론(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rone 100 may transmit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to the terminal 300 when the expansion of the tube 220 is completed by executing the automatic control mode or the manual control mode.

단말기(300) 상에는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양 영역에서 부유하고 있는 드론(100)을 수거할 수 있다.On the terminal 300, the drone 100 floating in the marine area may be collect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1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300)는 수면에서 부유하는 드론(100)에 수거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드론(100)은 수거 제어 명령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미리 프로그램밍된 순서대로 동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유하고 있는 드론(100)의 프로펠러(11)가 구동하면 드론(100)은 수면과 프로펠러(11)의 구동에 따른 하측 방향의 공기 저항이 지면보다 약하여 공중으로 부양하지 못하는 반면에 전방으로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란, 드론(100)에 마련된 복수의 프로렐러(11)들 중 적어도 일부와 나머지 일부를 구분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시킴으로써 드론(100)이 다양한 방향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론(100)은 미리 기록된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최초 비행 지점 인근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드론(100)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erminal 300 may transmit a collection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drone 100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drone 100 may operate and move in a pre-programmed sequence based on reception of the collection control command signal. Illustratively, when the propeller 11 of the floating drone 100 is driven, the drone 100 cannot float in the air because the air resistance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ater surface and the propeller 11 is weaker than that of the ground. You can move forwar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1 provided in the drone 100 and the remaining parts are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drone 100 moves in one of various directions. can do. In some embodiments, the drone 100 may move to the vicinity of the first flight point by moving in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previously recorded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user may collect the drone 100.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300) 상에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고, 단말기(300)를 통해 드론(100)을 원격 조정하여 사용자가 수거하기 용이한 위치로 드론(100)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300, and the drone 100 is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terminal 300 to specify the drone 100 to a loca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collect it. direction can be moved.

도 2,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S200)은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01), 추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202), 자동 모드 실행 단계(S203), 튜브의 팽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4), 수동 제어 모드를 실행(S205)하거나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06),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7),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면 자동 회수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208) 및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2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 6, and 10 to 13, a method (S200) of preventing loss of a drone in a marine area using a drone flo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Step (S201), monitoring whether a fall is detected (S202), executing automatic mode (S203),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ube is inflated (S204), executing manual control mode (S205) or drone status information transmitting (S206),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S207), executing an automatic recovery mode if the balance of the drone is maintained (S208), and standby if the balance of the drone is not maintained A step of executing the mode (S209) may be included. Hereinafter, step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One) 드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06)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S206)

드론(100)은 자동 제어 모드 실행 또는 수동 제어 모드 실행에 의해 튜브(220)의 팽창이 완료되면 드론(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rone 100 may transmit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to the terminal 300 when the expansion of the tube 220 is completed by executing the automatic control mode or the manual control mode.

2)2)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7)Determining whether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S207)

드론(100)의 제어부(140)는 드론(100)의 기울어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드론(100)이 균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of the drone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rone 100 maintains a balan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ilt angle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

이러한 판단은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determination may be made periodically and repeatedly.

드론(100)의 추락 지점인 해양 영역의 수면의 상태(예를 들어, 파도나 유속 등)에 따라서 드론(100)은 기울어진 각도는 매순간 달라질 수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rone 100 may change every mo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ater surface (eg, wave or current speed) in the marine area,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drone 100 crashes.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드론(100)의 기울어진 각도의 변화 정보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드론(100)이 균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드론(100)의 기울어진 각도의 변화 정보가 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100)이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잇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at the drone 100 maintains balanc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rone 100 is within a preset range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the drone 100 maintains a balance for a preset time period. When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ilted angle of is out of a preset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one 100 is not maintaining balance.

3)3)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면 자동 회수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208)When the balance of the drone is maintained, the step of executing the automatic recovery mode (S208)

제어부(140)는 드론(100)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자동 회수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that the drone 100 maintains balance,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n automatic recovery mode.

자동 회수 모드에 따라서, 드론(100)의 프로펠러(11)가 구동하여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위치로 수면을 부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자동 회수 모드에 따라서, 드론(100)의 프로펠러(11)가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recovery mode, the propeller 11 of the drone 100 is driven to move to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300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automatic recovery mode, the propeller 11 of the drone 100 may be driven and moved to a preset position.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자동 회수 모드 단계의 실행 후 주기적으로 센싱부(13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부유하며 이동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140 may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balance of the floating and moving drone is maintain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after the automatic recovery mode step is executed.

4)4)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209)Executing a standby mode if the balance of the drone is not maintained (S209)

제어부(140)는 드론(100)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센싱부(13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드론(100)의 균형이 유지되면 드론(100)은 즉시 자동 회수 모드 실행 단계(S208)로 전환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ne 100 does not maintain balan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and if the balance of the drone 100 is maintained, the drone 100 immediately It can be switched to the automatic recovery mode execution step (S208).

실시예는, 드론(100)의 균형 상태에 따라서 드론(100)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파도, 유속, 조류의 상태 등에 따라서 드론(100)의 기울기가 불균형한 경우나 파도가 드론(100)을 반복적으로 덮치는 경우, 빠르게 회전하는 프로펠러(11)와 물과의 반복된 마찰로 인하여 프로펠러(11)가 손상되는 문제, 물과의 마찰 저항력에 따라서 드론(100)이 순간적으로 뒤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n operation in which the drone 100 moves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balance state of the drone 100 . In detail, when the inclination of the drone 100 is imbalanced according to waves, flow speed, current conditions, etc., or when waves repeatedly hit the drone 100, repeated friction between the rapidly rotating propeller 11 and water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ropeller 11 is damaged and the problem that the drone 100 is instantly overturned according to the friction resistance with water.

도 14는 드론의 튜브의 일부 영역의 팽창 및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expansion of a partial region of a drone tube and movement of a drone while floating.

도 9의 (a) 및 도 14를 참조하면, 드론(100)의 튜브(220)는 전방 팽창 영역(221) 만이 팽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론(100)이 추락하면 자동 제어 모드 실행에 따라 튜브(220) 전체가 팽창하고, 드론(100)이 수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하게 되면, 후방 팽창 영역(222)에 주입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팽창 영역(221)만이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and FIG. 14 , only the front expansion area 221 of the tube 220 of the drone 100 may expand.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drone 100 falls, the entire tube 220 expand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when the drone 100 floats stably on the water surface, the gas injected into the rear expansion area 222 may be emitted. Accordingly, only the front inflation region 221 can maintain an inflated state.

전방 팽창 영역(221)만이 팽창함에 따라 드론(100)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프로펠러(11)의 적어도 일부 프로펠러, 예시적으로 전방 프로펠러(11a) 및 후방 프로펠러(11b) 중 후방 프로펠러(11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중에 잠기된다. 제어부(140)는 드론(100)의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프로펠러(11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중에 잠긴으로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 프로펠러(11b)를 회전시켜 이동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프로펠러(11b)의 회전속도는 저속 비행 시의 회전속보다 낮은 속도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프로펠러(11b)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프로펠러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프로펠러들 각각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어느 하나의 프로펠러만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드론(100)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As only the front inflation area 221 expands, the drone 100 tilts backward, and as a result, at least some of the propellers of the propeller 11, eg, the rear propeller among the front propeller 11a and the rear propeller 11b ( At least part of the area of 11b) is submerged in w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propeller 11b is submerged in water based on the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driving force by rotating the rear propeller 11b. In some embodimen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propeller 11b may be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during low-speed flight.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rear propeller 11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is adjusted or only one propeller rotates so that the drone 100 moves while floating. You can also control the direction.

실시예는, 프로펠러(11)를 드론(100)이 부유하면서 이동하기 위한 추진력 발생 장치로 활용함으로써 드론(100)이 원하는 목표지점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by using the propeller 11 as a propulsion generating device for moving the drone 100 while floating, the drone 100 can quickly move to a desired target point, thereby facilitating collection.

도 15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loating system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플로팅 시스템(200)은 플로팅 제어부(210), 튜브(220), 가스제공부(230),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 플로팅 통신부(250) 및 전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제공부(230)는 카트리지(231), 가스가 주입된 실린더(232), 모터(233) 및 격발장치(235)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31)는 실린더(232)와 연결되고, 카트리지(231) 내의 격발장치(235)에 의해 실린더(232) 내의 가스가 카트리지(231) 내로 방출되며, 카트리지(231)와 연결된 튜브(220)로 분출된 가스가 주입된다. 격발장치(235)는 가압부(235a), 격발침(235b) 및 회수부(235c) 및 입수부(235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35a)는 모터(233)와 연결되어 모터(233)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23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23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부(235a)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가압부(235a)의 이동에 비례하는 탄성력을 생성하는 회수부(235c)가 가압부(235a)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격발침(235b)은 실린더(232)의 가스 출력 영역과 마주하는 가압부(235a)의 타측에 설치되고, 가압부(235a)가 실린더(23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격발침(235b)은 실린더(232)의 가스 출력 영역을 물리적으로 뚫고 실린더(23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235a)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35a)는 원위로 복귀하면서 격발침(235b)은 실린더(232)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물리적으로 뚫여진 가스 출력 영역을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floating system 200 includes a floating control unit 210, a tube 220, a gas supply unit 230, a surface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a floating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power supply unit 260. can include The gas supply unit 230 may include a cartridge 231, a cylinder 232 into which gas is injected, a motor 233, and a triggering device 235. The cartridge 231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232, the gas in the cylinder 232 is discharged into the cartridge 231 by the percussion device 235 in the cartridge 231, and the tube 220 connected to the cartridge 231 The ejected gas is injected. The triggering device 235 may include a pressing unit 235a, a triggering needle 235b, a recovery unit 235c, and an acquisition unit 235d. The pressing part 235a is connected to the motor 233 and may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ylinder 232 according to driving of the motor 233 . In addition, the recovery unit 235c that generates an elastic force proportional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235a so that the pressing unit 235a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otor 233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pressing unit 235a )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e trigger needle 235b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izing part 235a facing the gas output area of the cylinder 232, and as the pressurizing part 235a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ylinder 232, the trigger needle 235b ) may physically penetrate the gas output region of the cylinder 232 and be inserted into the cylinder 232 .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235a is returned to the dist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art 235a, and the percussion needle 235b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232, and th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physically opened gas output area. can

또한,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는 드론(100)이 수면에 추락함에 따라 입수구(235d)를 통해 유입된 수분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may detect moist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35d as the drone 100 crash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로팅 시스템(200)의 플로팅 제어부(210)는 드론의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팅 제어부(210)는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의 센싱 정보 및/또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시스템(200)은 수면 착지 감지 센서부(240)가 수분을 감지하면 드론(100)이 해양 영역으로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튜브(220)를 팽창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시스템(200)은 드론(100)이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라 하여도, 플로팅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300)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튜브(220)를 팽창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loating control unit 210 of the floating system 200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r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preset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f and/or a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300 . Accordingly, the floating system 200 may determine that the drone 100 has crashed into the ocean area when the water landing detection sensor unit 240 detects moisture,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to inflate the tube 220 . In addition, the floating system 200 is configured to inflate the tube 220 based on a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300 received through the floating communication unit 250 even when the drone 100 is in a communication disabled state. You can also perform actions.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시스템을 구비한 드론의 낙하산 구동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arachute driving process of a drone equipped with a parachut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낙하산 시스템(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 시스템(500)은 플로팅 시스템(200)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팅 시스템(200)에 포함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낙하산 시스템(500)은 낙하산 구동 프로세스에 따라 드론(100)의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 신호, 플로팅 제어부(210)의 제어 명령 신호 및/또는 단말기(300)로부터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내장된 낙하산을 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100)의 제어부(140)는 드론(100)의 추락이 감지되면 드론(100)의 수면에 착지 전까지 드론(100)의 기울기 정보(angle)를 모니터링 하고 드론(100)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낙하산 시스템(500)으로 하여금 낙하산을 펼치도록 하는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로팅 제어부(210)는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 드론(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100)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낙하산 시스템(500)으로 하여금 낙하산을 펼치도록 하는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낙하산 시스템(500)은 자체적으로 낙하산 펼침 구동의 기준이되는 드론(100)의 기울기 정도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300)로부터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낙하산 펼침 구동이 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기울기 각도의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60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락하는 드론(100)이 기준치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 낙하산의 펼침을 통해 드론(100)의 기울기를 정상화하고 드론(100)이 안정적으로 수면에 착지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튜브(220)의 팽창에 따라 드론(100)이 수중에 잠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면 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7 and 16 , the dron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achute system 500. The parachute system 500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floating system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in the floating system 200. The parachute system 500 is embedd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ler 140 of the drone 100,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floating controller 210, and/or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arachute driving process. The parachute can be deployed. For example, when the fall of the drone 10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rone 100 monitors the tilt information (angle) of the drone 100 until the drone 100 land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monitors the tilt information (angle) of the drone 100.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arachute system 500 may instruct the parachute system 500 to open the parachute. In some embodiments, the floating controller 210 causes the parachute system 500 to parachut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rone 100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40. You can instruct the action to unfold. In some embodiments, the parachute system 500 may itself sens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drone 100, which is a criterion for driving the parachute to open. In some embodiments, parachute deployment operation may be initiat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300 . The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aforementioned inclination angle may be 6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falling drone 100 is tilted more than a reference value, the tilt of the drone 100 is normalized by unfolding the parachute, and the drone 100 is guided to land stably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ube 220, the drone 100 can stably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out being submerged in the water.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structio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componen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9)

드론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구동하여 부유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하는
플로팅 시스템.
Installed on a drone and driven when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floating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튜브와 상기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주입된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하는
플로팅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a tube and a gas supply unit for injecting gas into the tube,
The tube expands by the injected gas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floating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시스템은 추락하는 드론의 고도가 기 설정 고도가 되어 부유력을 제공하는 자동 제어 모드 또는 외부의 단말기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부유력을 제공하는 수동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드론을 수면상에서 부유시키는
플로팅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floating system moves the drone according to either an automatic control mode in which the altitude of the falling drone reaches a preset altitude to provide buoyancy, or a manual control mode in which buoyancy is provid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floating on the surface
floating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드론의 하측에 탈부착되는
플로팅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one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one
floating system.
드론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플로팅 시스템; 및
상기 드론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비행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구동하여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부유하도록 부유력을 제공하고,
상기 드론이 상기 수면 상에서 부유하면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드론.
A floating system install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drone; and
A propeller installed on the drone to provide propulsion for flight of the drone;
The floating system,
When the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it is driven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The propeller rotates to move the drone while the drone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ron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드론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상기 드론이 균형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드론을 부유하면서 이동시키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5,
Determining whether the tilt of the drone corresponds to a preset range;
Moving the drone while floating by rotating the propeller when the tilt of the drone corresponds to a preset range and the drone is balanced
dron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상기 드론의 수면 착지전까지 상기 드론의 기울기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드론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낙하산을 구동하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the tilt information of the drone is monitored until the drone land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parachute is driven when the tilt angle of the dron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drone.
드론 상태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자동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드론에 설치된 튜브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튜브의 팽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가 팽창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수동 제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튜브를 팽창시켜 상기 드론이 수면 상에서 플로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
Transmitting drone status information to a terminal;
monitoring whether a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Inflating a tube installed in the drone by executing an automatic mode when the fall of the drone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is inflated; and
If the tube is not inflate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terminal and inflating the tube by executing a manual control mod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terminal so that the drone floats on the water surface; including doing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a drone in the marine area using a drone's floating system.
제8 항에 있어서,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하는 드론의 균형이 유지되면 자동 회수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드론이 부유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의 플로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영역에서 드론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8,
Determining whether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and
Executing an automatic recovery mode when the balance of the floating drone is maintained so that the drone moves while floating;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a drone in the marine area using a drone's floating system.
KR1020210058290A 2021-05-06 2021-05-06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KR102511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90A KR102511138B1 (en) 2021-05-06 2021-05-06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90A KR102511138B1 (en) 2021-05-06 2021-05-06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271A true KR20220151271A (en) 2022-11-15
KR102511138B1 KR102511138B1 (en) 2023-03-17

Family

ID=8404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290A KR102511138B1 (en) 2021-05-06 2021-05-06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38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27A (en)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forming th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20140038495A (en) 2014-03-05 2014-03-28 진정회 The rotor blade drone safety landing pack
KR101496892B1 (en) 2014-06-19 2015-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copter dron
US20160167470A1 (en) * 2014-12-11 2016-06-16 Parrot Gliding mobile, in particular hydrofoil, propelled by a rotary-wing drone
KR20170017365A (en) * 2015-08-06 2017-02-15 장성훈 Air Bag of Drone or Quad Cop for safe Landing
US20170197714A1 (en) * 2016-01-13 2017-07-13 Wolf-Tek, Llc Drone capable of operating in an aqueous environment
KR20180064155A (en)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헥사팩토리 Apparatus for Preventing Drop Accident of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095051A (en) * 2016-12-12 2018-06-21 株式会社自律制御システム研究所 Unmanned aircraft
KR20190106493A (en) * 2018-03-09 2019-09-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cording accident information of a vessel
KR102032051B1 (en) * 2018-04-10 2019-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including structures for floating on the surface
US20200010193A1 (en) * 2018-07-04 2020-01-09 Dwight Darwin Alexander Method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Maritime Float Vehicle That Sense and Report Relevant Data from Physic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
JP2021062652A (en) * 2019-10-10 2021-04-22 株式会社フジタ Submersible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27A (en)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forming th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20140038495A (en) 2014-03-05 2014-03-28 진정회 The rotor blade drone safety landing pack
KR101496892B1 (en) 2014-06-19 2015-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copter dron
US20160167470A1 (en) * 2014-12-11 2016-06-16 Parrot Gliding mobile, in particular hydrofoil, propelled by a rotary-wing drone
KR20170017365A (en) * 2015-08-06 2017-02-15 장성훈 Air Bag of Drone or Quad Cop for safe Landing
US20170197714A1 (en) * 2016-01-13 2017-07-13 Wolf-Tek, Llc Drone capable of operating in an aqueous environment
KR20180064155A (en)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헥사팩토리 Apparatus for Preventing Drop Accident of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095051A (en) * 2016-12-12 2018-06-21 株式会社自律制御システム研究所 Unmanned aircraft
JP6866143B2 (en) * 2016-12-12 2021-04-28 株式会社自律制御システム研究所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106493A (en) * 2018-03-09 2019-09-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cording accident information of a vessel
KR102032051B1 (en) * 2018-04-10 2019-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including structures for floating on the surface
US20200010193A1 (en) * 2018-07-04 2020-01-09 Dwight Darwin Alexander Method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Maritime Float Vehicle That Sense and Report Relevant Data from Physic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
JP2021062652A (en) * 2019-10-10 2021-04-22 株式会社フジタ Submersible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138B1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074B2 (en) Flying camera with string assembly fo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US9789969B2 (en) Impact protection apparatus
CN107531322B (en) Aerial capture platform
JP6670065B2 (en) Autonomous flight control system
KR10200372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rop Accident of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530043A (en) Dr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drone landing control method
KR102280688B1 (en) Controll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35877B1 (en) Systems that perform rescue missions using mission equipment mounted on unmanned aircraft and methods of performing rescue missions using them
JP686448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200120221A (en) Crash preventing drone
JP2018095051A (en) Unmanned aircraft
KR101990981B1 (en) Method for dropping rescue equipment and drone for rescue using the same
KR102511138B1 (en) A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drones in the marine area using a floating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drone, and the drone
JP7095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343556B (en) Unmanned plane water surface turning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210122458A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65893A (en) Drone Sinking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