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822A -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822A
KR20220150822A KR1020220036809A KR20220036809A KR20220150822A KR 20220150822 A KR20220150822 A KR 20220150822A KR 1020220036809 A KR1020220036809 A KR 1020220036809A KR 20220036809 A KR20220036809 A KR 20220036809A KR 20220150822 A KR20220150822 A KR 2022015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ng
curved portion
present specific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하경보
남슬기
문사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480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50820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TW11111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TWI837654B/zh
Priority to US17/735,012 priority patent/US20220371051A1/en
Priority to JP2022076199A priority patent/JP2022172467A/ja
Priority to EP22171193.0A priority patent/EP4087272A1/en
Priority to CN202210480009.1A priority patent/CN115297410A/zh
Publication of KR2022015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치{APPARATUS}
본 명세서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에 것이다.
장치,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표시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시 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 언급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 패널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할 때 음향의 진행 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표시 패널의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와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장치(또는 표시 장치)와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음역대 음향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장치(또는 표시 장치)와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동 부재를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진동 부재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또는 표시 장치)와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곡면부를 갖는 지지 부재, 및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수동 진동 부재, 및 수동 진동 부재에 연결되고 수동 진동 부재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곡면부를 갖는 지지 부재, 및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 플레이트로 사용하여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음향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저음역대 음향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스테레오 음향, 입체 음향, 또는 멀티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진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이다.
도 35a 내지 도 35d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복수의 진동 발생부 각각의 진동층 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46과 도 47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50a 및 도 50b는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46 또는 도 49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선 VIII-VIII'의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와 도 53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56a 및 도 56b는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7은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59는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0은 본 명세서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59와 도 60의 운전석과 전방 동승석 주변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도 59와 도 60의 도어 및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도 59와 도 60의 루프 패널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도 59와 도 60의 루프 패널과 유리창 및 좌석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와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과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제 2, 및 제 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제 2, 또는 제 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 1, 제 2, 및 제 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는 흑백 또는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는 컬러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부화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차량용 또는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 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 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100), 지지 부재(3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100)는 음향과 진동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는 진동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100)는 진동판, 수동 진동판, 또는 수동 진동 부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은 전자 영상 (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 (digital image) 또는 정지 영상 (still image) 또는 비디오 영상 (video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은 흑백 또는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자 습윤 표시 패널, 또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등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에서, 화소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있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서, 화소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있는 유기 발광층 등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발광 표시 패널에서 무기 발광층 등의 무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을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글라스 재질,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는 후면 커버, 백 커버, 시스템 후면 커버, 하우징, 시스템 하우징, 세트 커버, 후면 세트 커버, 최외곽 커버, 최외곽 세트 커버, 제품 커버, 또는 최외곽 제품 커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는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또는 가로 길이)의 중심 라인(또는 제 1 중심 라인)(CL1)을 기준으로,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 각각은 후면부(310)에서 동일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길이의 중심 라인(CL1)은 제 1 중심 라인 또는 가로 중심 라인일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중심 라인(CL1)'이라 칭한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300A1)은 제 1 후면 영역, 좌측 영역, 또는 후면 좌측 영역일 수 있으며, 제 2 영역(300A2)은 제 2 후면 영역, 우측 영역, 또는 후면 우측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은 지지 부재(300)의 장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수평 방향, 또는 XYZ축 방향에서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 각각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또는 세로 길이)의 중심 라인(CL2)을 기준으로, 제 1 서브 영역(300B1)과 제 2 서브 영역(3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 각각에서 제 1 서브 영역(300B1)과 제 2 서브 영역(300B2) 각각은 후면부(310)에서 동일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길이의 중심 라인(CL2)은 제 2 중심 라인 또는 세로 중심 라인일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중심 라인(CL2)'이라 칭한다. 예를 들면, 제 2 방향(Y)은 지지 부재(300)의 단변 길이 방향, 세로 방향, 수직 방향, 또는 XYZ축 방향에서의 Y축 방향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후면부(310)에 배치된 보강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320)는 지지 부재(3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부(320)는 보강 부재, 보강 패턴, 보강 패턴부, 강성부, 강성 보강 부재, 강성 패턴, 또는 강성 패턴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강부(32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제 1 보강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강부(321)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강부(321)는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 1 보강부(321)는 지지 부재(300)의 강성 또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장치 또는 진동 부재(100)의 휨 현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강부(321)는 제 1 보강 부재, 제 1 보강 패턴, 제 1 보강 패턴부, 제 1 강성부, 제 1 강성 보강 부재, 제 1 강성 패턴, 제 1 강성 패턴부, 에지 보강부, 에지 보강 패턴, 또는 테두리 보강 패턴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강부(32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 제 2 보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보강부(322)는 제 1 방향(X), 및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강부(322)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도록 후면부(3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 2 보강부(322)는 지지 부재(300)의 강성 또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함으로써 장치 또는 진동 부재(100)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되는 휨 현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강부(322)는 제 2 보강 부재, 제 2 보강 패턴, 제 2 보강 패턴부, 제 2 강성부, 제 2 강성 보강 부재, 제 2 강성 패턴, 제 2 강성 패턴부, 중간 보강부, 중간 보강 부재, 중간 보강 패턴, 또는 중간 보강 패턴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에 배치되고 진동 부재(100)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필름형 진동 장치이거나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장치(500)는 음향 발생 장치, 음향 발생 소자, 음향 발생 부재, 음향 발생기, 진동원, 능동 진동 부재, 능동 진동 소자, 능동 진동 장치, 압전 진동 장치, 압전 진동 소자, 압전 진동 부재, 압전 진동기, 압전 진동 발생기, 플렉서블 진동 발생기, 플렉서블 액츄에이터, 플렉서블 스피커,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에 사전 응력이 가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에 비평면(또는 비평탄)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에 곡면 형상 또는 곡면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제 1 진동 장치(500-1) 및 제 2 진동 장치(5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필름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지지 부재(3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보강부(320)의 제 2 보강부(3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중심 라인(CL1)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또는 좌우 대칭 구조) 또는 비대칭 구조(또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1 후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에 정렬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 내의 제 2 중심 라인(CL2) 상에서 지지 부재(300)의 제 1 중심 라인(CL1)과 지지 부재(300)의 제 1 측벽(또는 제 1 단변 또는 제 1 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 내에서 제 1 보강부(321)와 제 2 보강부(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 내에서 지지 부재(300)의 제 1 중심 라인(CL1)보다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측벽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제 1 영역(300A1)의 제 1 서브 영역(300B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ΔL)만큼 이격된 제 1 영역(300A1)의 제 1 서브 영역(300B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에 의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표시 장치에 적용될 때, 지지 부재(300)의 제 2 서브 영역(300B2)의 최하부(또는 최하단)은 받침대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300)의 진동에 있어서 제 2 서브 영역(300B2)의 최하부로부터 제 1 서브 영역(300B1)의 최상부로 갈수록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진동할 수 있는 자유단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CP)가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서브 영역(300B1)에 위치할 때, 동일한 구동 신호에 대한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중심부(CP)가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에 위치할 때보다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2 후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에 정렬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 내의 제 2 중심 라인(CL2) 상에서 지지 부재(300)의 제 1 중심 라인(CL1)과 지지 부재(300)의 제 2 측벽(또는 제 2 단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 내에서 제 1 보강부(321)와 제 2 보강부(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 내에서 지지 부재(300)의 제 1 중심 라인(CL1)보다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측벽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제 2 영역(300A2)의 제 1 서브 영역(300B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중심부(또는 정중앙부)(CP)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중심 라인(CL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ΔL)만큼 이격된 제 2 영역(300A2)의 제 1 서브 영역(300B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이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를 포함하거나 음향 신호와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진동 부재(100)를 진동시킴으로써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른 음향(S)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는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장치(500)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음향(S) 및/또는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은 진동 부재(100)의 전면(前面) 방향 또는 화면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을 진동 부재(100)의 전면(前面) 방향 또는 화면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을 통해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진동 부재(100)를 음향 발생(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진동 부재(100)의 전면 방향 또는 화면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음향 전달이 가능하며, 음질 및/또는 음향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지지 부재(300)는 후면부(310), 측면부(330), 및 곡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부(31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는 바닥면(또는 지지면)(310a)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면부(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후면부(310)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330)는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부(33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측면부(300)는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구현됨으로써,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 위에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330)는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벤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330)는 측벽부 또는 측면 커버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곡면부(350)는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100)를 간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포함하도록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후면부(310)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변곡점이 없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후면부(310)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단일의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곡면 돌출부, 바닥 곡면 돌출부, 후면 곡면부, 곡면 구조물, 곡률 구조물, 포밍부, 또는 응력 인가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부재(100)와 마주하는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을 기준으로, 제 1 형상의 곡면부, 오목부, 오목 곡면부, 오목 아치부, 홈부, 또는 오목 홈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의 중심부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곡면부(350) 사이의 높이(또는 거리)는 곡면부(35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는 후면부(310)로부터 제 1 높이(H1)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의 제 1 높이(H1)는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과 곡면부(350)의 최후면 사이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의 제 1 높이(H1)는 진동 장치(500)에 사전 응력을 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의 제 1 높이(H1)는 2mm ~ 200mm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장치(50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곡면부(350)의 제 1 높이(H1)는 진동 부재(100)의 제 2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100)의 제 2 높이(H2)는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과 진동 부재(100)의 최상면(또는 최상부 표면) 사이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의 제 1 높이(H1)가 진동 부재(100)의 제 2 높이(H2)보다 클 경우, 장치 또는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고, 이에 의해 슬림화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는 제 1 곡면부(350a) 및 제 2 곡면부(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에 대응되는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진동 장치(500-1)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곡면부(350b)는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에 대응되는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진동 장치(500-2)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an equiangular shape or a conformal shape)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의 윤곽(contour or morphology)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곡면부(350)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a non-equiangular shape or a non-conformal shape)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가 곡면부(350)에 의해 인장 스트레스가 아닌 압축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를 포함함으로써 단면 2차 모멘트(second Moment of inertia)가 증가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로 인하여 진동 시 발생되는 공진 주파수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노드(node)(또는 마디점)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음향의 특성과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로 인한 공진 주파수의 개수의 감소에 따라 모드 형상(mode shape)이 보정됨으로써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헝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진동 방향(또는 변위 방향 또는 벤딩 방향 또는 구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될 수 있으며, 동적 변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곡면부(350)의 중심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고, 진동 부재(100)로 전달되는 음압이 증가되거나 증폭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제 1 곡면부(350a)를 진동시켜 음향 또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진동 장치(500-1)와 중첩되는 진동 부재(100)의 제 1 영역은 제 1 곡면부(350a)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를 전달 받아 진동됨으로써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제 2 곡면부(350b)를 진동시켜 음향 또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진동 장치(500-2)와 중첩되는 진동 부재(100)의 제 2 영역은 제 2 곡면부(350b)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를 전달 받아 진동됨으로써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명세서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평면적으로 정사각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으로 아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제 1변 및 제 2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제 1 길이(L1)를 갖는 한 쌍의 제 1 변, 및 제 1 길이(L1)와 동일한 제 2 길이(L2)를 갖는 한 쌍의 제 2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의 곡면은 한 쌍의 제 2 변 사이에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길이(L1)는 제 1 방향(X)과 나란할 수 있으며, 제 1 방향 길이, 가로 길이 또는 수평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길이(L2)는 제 2 방향(Y)과 나란할 수 있으며, 제 2 방향 길이, 세로 길이 또는 수직 길이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평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으로 아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단변 및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제 3 길이(L3)를 갖는 한 쌍의 단변, 및 제 3 길이(L3)보다 긴 제 4 길이(L4)를 갖는 한 쌍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의 곡면은 한 쌍의 장변 사이에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길이(L3)는 제 1 방향(X)과 나란할 수 있으며, 단변 길이, 제 1 방향 길이, 가로 길이 또는 수평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길이(L4)는 제 2 방향(Y)과 나란할 수 있으며, 장변 길이, 제 2 방향 길이, 세로 길이 또는 수직 길이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평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으로 아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제 5 길이(L5)를 갖는 한 쌍의 장변, 및 제 5 길이(L5)보다 짧은 제 6 길이(L6)를 갖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 또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의 곡면은 한 쌍의 단변 사이에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길이(L5)는 제 1 방향(X)과 나란할 수 있으며, 장변 길이, 제 1 방향 길이, 가로 길이 또는 수평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길이(L6)는 제 2 방향(Y)과 나란할 수 있으며, 단변 길이, 제 2 방향 길이, 세로 길이 또는 수직 길이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진동 부재(100), 지지 부재(3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100)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영상을 표시하면서 음향을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110)는 표시 패널(111) 및 가이드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1)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1)은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자 습윤 표시 패널, 또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1)이 액정 표시 패널일 때, 진동 부재(100)는 표시 패널(111)과 지지 부재(300) 사이에 배치된 백라이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제 1 기판(111a), 제 2 기판(111b), 제 1 편광 부재(111c), 및 제 2 편광 부재(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11a)은 상부 기판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어레이(또는 표시부 또는 표시 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11a)은 제 1 가장자리(또는 제 1 비표시부)에 마련되고 패널 구동 회로에 연결된 패드부, 및 제 2 가장자리(또는 제 2 비표시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구동 회로는 패드부에 연결되고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구동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의 제 1 및 제 2 영역(300A1, 300A2) 각각의 제 2 서브 영역(300B2)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구동 회로는 커버 쉴드(400)에 의해 덮이거나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쉴드(400)는 패널 구동 회로의 유저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제 1 및 제 2 영역(300A1, 300A2) 각각의 제 2 서브 영역(300B2)에 결합되거나 고정됨으로써 패널 구동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제 2 기판(111b)은 하부 기판 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제 1 기판(111a)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 개구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판(111b)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기판(111a)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합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제 1 기판(111a) 및 제 2 기판(111b)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각 화소마다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편광 부재(111c)는 제 2 기판(111b)의 하면에 부착되어 백라이트(113)로부터 입사되어 액정층으로 진행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제 2 편광 부재(111d)는 제 1 기판(111a)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1 기판(111a)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11a)이 영상 표시면을 구성하므로,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 없이 전면(前面)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제 1 기판(111a)이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기판(111b)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이 상하 반전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111)의 패드부는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1)은 완충 부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19)는 표시 패널(111)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9)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11)의 측면을 보호하거나 표시 패널(111)의 측면의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백라이트(또는 조명부 또는 백라이트부)(113)는 표시 패널(111)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11)의 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113)는 도광판(113a), 광원부, 반사 시트(113b), 및 광학 시트부(또는 광학 부재)(113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광판(또는 광 가이드 부재)(113a)은 표시 패널(111)과 중첩되도록 지지 부재(300)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마련된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13a)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광판(113a)은 광원부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표시 패널(111) 쪽으로 진행(또는 출광)시킬 수 있다.
광원부는 도광판(113a)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는 표시 패널(111)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되도록 지지 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는 광원용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도광판(113a)의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113b)는 도광판(113a)의 후면을 덮도록 지지 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113b)는 도광판(113a)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13a)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13c)는 도광판(113a)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13a)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부(113c)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13c)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한 장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학 시트부(113c)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1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광의 확산과 집광 기능을 갖는 한 장의 복합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5)는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5)는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되도록 지지 부재(300)에 지지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5)는 표시 패널(111)의 각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표시 패널(111)의 후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또는 지지 프레임)(115)는 가이드 프레임(115a) 및 가이드 측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115)는 가이드 프레임(115a)과 가이드 측부(115b)의 결합 구조에 따라 "┓"자(감마형) 또는 "┏"자(회전된"┓"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프레임(115a)은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고 지지 부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15a)은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사각 띠(band or belt)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15a)은 백라이트(113)의 최상면,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13c)의 최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광학 시트부(113c)의 최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측부(115b)는 가이드 프레임(115a)에 연결되어 지지 부재(300)의 일측 또는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측부(115b)는 가이드 프레임(115a)으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측면 쪽으로 벤딩되어 지지 부재(300)의 측면들을 둘러싸거나 지지 부재(3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15)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금속 재질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115)는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표시 패널(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15)는 표시 패널(111)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 진동을 손실 없이 표시 패널(111)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115)는 표시 패널(111)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 진동을 표시 패널(111)로 전달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15)는 결합 부재(또는 패널 결합 부재)(114)를 매개로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14)는 표시 패널(111)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가이드 부재(115)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1)을 가이드 부재(115)에 배치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114)는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114)는 가이드 부재(115)의 진동이 표시 패널(111)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114)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폼 접착 패드 또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수지 경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114)의 전면(前面)은 표시 패널(111)의 제 2 기판(111b) 또는 제 1 편광 부재(111c)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14)는 표시 패널(111)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제 2 기판(111b)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114)는 제 1 편광 부재(111c)의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제 1 편광 부재(111c)에서 발생되는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부재(114)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 부재(114)는 가이드 부재(115)의 가이드 프레임(115a)과 함께, 표시 패널(111)과 백라이트(113)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14)는 가이드 부재(115)의 가이드 프레임(115a)에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114)는 가이드 부재(115)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표시 패널(111)의 최후면과 백라이트(113)의 최상면 사이에 마련되는 음 전달 공간(STS)을 밀폐시킴으로써 음 전달 공간(STS)에 전달되는 음압의 누설(또는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음 전달 공간(STS)은 백라이트(113)의 진동에 따라 음압이 발생되는 음압 발생 공간이거나 표시 패널(111)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패널 진동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전달 공간(STS)은 음파 전달부 또는 음향 전달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후면부(310), 측면부(330), 및 곡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는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를 지지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은 백라이트(113)의 후면과 접촉하거나 백라이트(113)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310)의 바닥면(310a)은 백라이트(113)의 반사 시트(113b)와 접촉하거나 반사 시트(113b)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측면부(330)는 진동 부재(100)의 가이드 부재(115)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부(330)의 측면은 가이드 부재(115)의 가이드 측부(115b)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지지 부재(300)의 측면부(330)를 통해 가이드 부재(115)와 결합 부재(114)를 통해 표시 패널(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130)는 측벽부 또는 측면 커버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곡면부(350)는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350)는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진동 부재(100) 사이에 마련된 갭 공간(G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갭 공간(GS)은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진동 부재(10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곡면부(350)와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곡면부(350)와 백라이트(113)의 반사 시트(113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갭 공간(GS)은 곡면부(350)의 진동에 따라 음향 또는 음압이 발생되는 공간, 곡면부(35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공간,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가 진동 부재(100)로 전파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에어 갭, 음압 발생 공간, 음향 공간, 음압 공간, 울림부, 울림통, 음파 전파 경로, 음향 에너지 입사부, 또는 음향 경로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후면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곡면부(350)에 배치되거나 결합되는 진동 장치(500)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여 곡면부(350)를 진동시킴으로써 곡면부(350)의 진동에 따라 진동 부재(100)를 진동시켜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키거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곡면부(350)를 진동시키고, 이에 의해 곡면부(35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으로 출력되고, 갭 공간(GS)의 음향에 따른 백라이트(113)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음 전달 공간(STS)으로 출력되고, 음 전달 공간(STS)의 음향에 따른 표시 패널(111)의 진동에 따라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진동 장치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진동 발생기(510) 및 연결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는 인가되는 구동 신호(또는 전기 신호 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진동(또는 변위)하여 진동 부재(100)를 진동(또는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진동 소자, 진동 구조물, 진동기, 진동 발생 소자, 음향 발생기, 음향 소자, 음향 발생 구조물, 또는 음향 발생 소자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압전 특성을 갖는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는 압전 물질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른 압전 물질의 진동(또는 변위)에 따라 자체적으로 진동(또는 변위)하거나 진동 부재(100)를 진동(또는 변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수축 및/또는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또는 변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 및/또는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수직 방향(또는 두께 방향)(Z)으로 진동(또는 변위)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곡면을 포함하는 비평면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및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길이와 제 2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 형상을 포함하거나 제 1 길이와 제 2 길이가 상이한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 형상의 진동 발생기(510)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의 진동 발생기(510)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는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520)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1 면, 및 제 1 면과 다른(또는 반대되는) 제 2 면 중 어느 한 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에서, 제 1 면은 상면, 전면(前面), 상부면, 또는 앞면일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에서, 제 2 면은 하면, 배면, 후면, 하부면, 또는 뒷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20)는 제 1 연결 부재, 접착 부재, 또는 제 1 접착 부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520)는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또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20)는 양면 접착 테이프, 양면 접착 폼 패드, 또는 점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20)가 점착 시트(또는 점착층)를 포함할 때, 연결 부재(520)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베이스 부재 없이 접착층 또는 점착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520)의 접착층(또는 점착층)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실리콘(silicone),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520)의 접착층(또는 점착층)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5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발생기(510)를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연결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2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진동 발생기(510)의 제 1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2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진동 발생기(510)의 제 1 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기(510)는 연결 부재(520)를 통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의 곡면 형상에 따라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장치에 패드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진동 발생기(510), 연결 부재(520), 및 패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 및 연결 부재(520) 각각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2 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2 면 중 중심부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530)는 다각 기둥 형상 또는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벤딩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에 대해 중량체(또는 질량체)(mass)로 작용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 발생기(510)의 최저 공진 주파수(또는 최저 고유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기(510)는 패드(530)에 의한 중량 증가로 따른 최저 공진 주파수(또는 최저 고유 주파수)의 감소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530)는 공진 패드, 질량 부재, 무게 추, 또는 중량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음역대는 300Hz 또는 500Hz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장치에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플레이트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을 도 3 또는 도 5와 결부하면,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진동 발생기(510), 제 1 연결 부재(520),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 및 제 1 연결 부재(520) 각각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트(540)는 제 1 연결 부재(520)에 연결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540)는 진동 발생기(510)보다 큰 크기를 가지거나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40)의 중심부는 진동 발생기(510)의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정렬될 수 있다. 플레이트(540)는 제 2 연결 부재(550)를 매개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510)가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 각각의 모듈러스(또는 영률)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지거나, 제 1 연결 부재(520)와 제 2 연결 부재(550) 각각의 모듈러스와 동일하고 플레이트(540)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40)는 진동 발생기(510)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를 통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음향 재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를 매개로 하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진동시 진동이 손실 없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40)의 탄성율이 진동 발생기(510)의 탄성율보다 클 때, 진동 발생기(51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지기 어렵고,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를 매개로 하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 재생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540)는 진동 발생기(510)가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을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40)는 진동 발생기(510)의 벤딩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540)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섬유, 가죽, 고무, 목재, 천, 및 종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40)는 지지 플레이트, 강성 플레이트, 전달 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또는 진동 전달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연결 부재(5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40)를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연결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55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플레이트(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55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플레이트(5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550)는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또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550)는 제 1 연결 부재(520)와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부재(520)는 플레이트(540)와 진동 발생기(510)가 곡면 형상으로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 2 연결 부재(550)보다 큰 모듈러스(또는 접착력 또는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를 통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의 곡면 형상에 따라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동 장치에 패드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진동 발생기(510), 제 1 연결 부재(520), 플레이트(540), 제 2 연결 부재(550), 및 패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 제 1 연결 부재(520),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 각각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2 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2 면 중 중심부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패드(530)는 진동 발생기(510)의 중량을 증가시켜 진동 발생기(510)의 최저 공진 주파수(또는 최저 고유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패드(53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드(5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1)에 인클로저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는 인클로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인클로저(enclosure; 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밀폐 부재, 밀폐 캡, 밀폐 박스, 또는 사운드 박스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공간은 에어 갭, 진동 공간, 음향 공간, 또는 울림통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작용하는 공기(air)에 의한 임피던스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 주변의 공기(air)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의 진동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주파수에 따라 다른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임피던스 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기(air)에 의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작용하는 임피던스 성분(또는 에어 임피던스 또는 탄성 임피던스)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이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역대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음역대는 3kHz 이상 또는 5kHz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는 제 1 영역(300A1), 제 2 영역(300A2), 및 제 3 영역(300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또는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300A1)은 제 1 후면 영역, 좌측 영역, 또는 후면 좌측 영역일 수 있다. 제 2 영역(300A2)은 제 2 후면 영역, 우측 영역, 또는 후면 우측 영역일 수 있다. 제 3 영역(300A3)은 제 1 영역(300A1)과 제 2 영역(300A2)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영역(300A3)은 지지 부재(300)의 제 1 길이의 중간 라인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곡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는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은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의 돌출 구조와 곡률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는 제 1 곡면부(350a)에 배치된 제 1 진동 장치(500-1), 제 2 곡면부(350b)에 배치된 제 2 진동 장치(500-2), 및 제 3 곡면부(350c)에 배치된 제 3 진동 장치(50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의 곡률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크기와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곡면부(350c)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곡면부(350)는 제 3 곡면부(350c)가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진동 장치(500-3)는 제 3 곡면부(350c)에 배치되므로, 제 3 곡면부(350c)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므로, 제 1 진동 장치(500-1)과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은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의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진동 부재(100)의 좌측, 우측, 및 정중앙측(또는 중앙측)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으로 인하여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3채널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장치(500-3)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제 3 진동 장치(500-3)보다 넓은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을 통해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 3 진동 장치(500-3)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저음역대의 음향으로 인하여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홀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는 진동 부재(100), 지지 부재(3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후면부(310), 측면부(330), 곡면부(350), 및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와 측면부(330) 및 곡면부(350) 각각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면부(310), 측면부(330), 및 곡면부(350) 각각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의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곡면부(35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3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360)은 개구부, 연통부, 개구홀, 연통홀, 관통부, 관통구, 관통홀, 지지홀, 슬릿, 슬롯 또는 음향 통과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3 방향(Z)은 지지 부재(300)의 두께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이거나 XYZ축 방향에서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홀(360)은 곡면부(35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또는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35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또는 중간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또는 중간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곡면부(350)에 형성되고, 진동 장치(5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가 정사각 형상을 가질 때,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가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곡면부(350)의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장치(500-1, 500-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360)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가 진동 장치(500-1, 500-2)의 전체 크기보다 클 때, 진동 장치(500-1, 500-2)가 하나 이상의 홀(360)에 삽입(또는 관통 또는 수용)됨에 따라 별도의 기구물 없이는 진동 장치(500-1, 500-2)가 곡면부(350)에 배치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홀(360)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가 진동 장치(500-1, 500-2)의 전체 크기보다 작을 때, 별도의 기구물 없이 진동 장치(500-1, 500-2)가 하나 이상의 홀(360)과 중첩되거나 홀(360)을 덮도록 곡면부(35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부재(100)와 진동 장치(500-1, 50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부재(100)와 진동 장치(500-1, 500-2) 사이에 갭 공간(GS)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장치(1)와 비교하여, 진동 부재(100)와 곡면부(250a, 350b) 사이의 갭 공간(GS)이 곡면부(250a, 350b)의 두께에 대응되는 공간만큼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에어 갭, 음압 발생 공간, 음향 공간, 음압 공간, 울림부, 울림통, 음파 전파 경로, 음향 에너지 입사부, 또는 음향 경로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와 진동 장치(500-1, 50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백라이트(113)와 진동 장치(500-1, 500-2) 사이에 갭 공간(G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백라이트(113)의 반사 시트(113b)와 진동 장치(500-1, 500-2) 사이에 갭 공간(GS)을 마련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하나 이상의 홀(360)을 덮도록 곡면부(350a, 350b)에 연결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의 곡률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하나 이상의 홀(360)을 통해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하나 이상의 홀(360)을 통해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와 마주하거나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하나 이상의 홀(360)을 통해 백라이트(113)의 반사 시트(113b)와 마주하거나 반사 시트(113b)와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는 하나 이상의 홀(360) 또는 갭 공간(GS)을 통해 진동 부재(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는 하나 이상의 홀(360) 또는 갭 공간(GS)을 통해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갭 공간(GS)으로 음향(또는 음파)을 출력하고, 갭 공간(GS)의 음향에 따른 백라이트(113)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음 전달 공간(STS)으로 출력되고, 음 전달 공간(STS)의 음향에 따른 표시 패널(111)의 진동에 따라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형성된 홀(36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가 진동 부재(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의 전달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밀폐 부재, 밀폐 캡, 밀폐 박스, 또는 사운드 박스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공간은 에어 갭, 진동 공간, 음향 공간, 또는 울림통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시, 진동 장치(500)에 작용하는 공기(air)에 의한 임피던스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 주변의 공기(air)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주파수에 따라 다른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임피던스 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기(air)에 의해 진동 장치(500)에 작용하는 임피던스 성분(또는 에어 임피던스 또는 탄성 임피던스)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역대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진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는 진동 발생기(510), 제 1 연결 부재(520),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0), 제 1 연결 부재(520), 및 플레이트(540) 각각은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4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플레이트(540)는 곡면부(3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520)를 매개로 진동 발생기(510)를 지지하거나 결합된 플레이트(540)는 지지 부재(300)의 하나 이상의 홀(360)을 덮을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56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플레이트(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56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플레이트(54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560)는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연결 부재(550)와 동일한 접착층(또는 점착층) 또는 접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 부재(560)는 하나 이상의 홀(360)에 대응되거나 중첩되는 개구부(5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56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와 플레이트(54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되거나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560)는 개구부(561)를 갖는 사각 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 부재(560)는 플레이트(54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되거나 중첩되도록 4개 이상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의 진동 발생기(510)는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여 하나 이상의 홀(360) 또는 갭 공간(GS)을 통해 음향(또는 음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 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6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에 형성된 복수의 홀(3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351)은 제 1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홀(351)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및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사이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351)은 제 1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의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홀(351)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및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사이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351)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또는 슬롯)(3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슬릿(352)은 제 1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슬릿(352)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및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사이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352)은 제 1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슬릿(352)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및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사이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352)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에서, 곡면부(350)의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중 하나 이상은 도 12에 도시된 인클로저(9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는 후면부(310)의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곡면부(350c)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곡면부(35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3 곡면부(350c)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3 곡면부(350c)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은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d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는 후면부(310)의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3 영역(300A3)에 배치된 곡면부(350c)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는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d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노 음향 또는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b와 같이 하나의 홀(360)로 구성하는 경우, 비용이 저감된 장치에 의하여 모노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에서, 곡면부(350)의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도 12에 도시된 인클로저(9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진동 부재(100), 지지 부재(3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후면부(310), 측면부(330), 돌출부(340), 및 곡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와 측면부(330) 각각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면부(310)와 측면부(330)와 각각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340)는 후면부(310)에 구현될 수 있다. 돌출부(340)는 후면부(310)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40)는 후면부(310)로부터 지지 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40)는 사다리꼴 형상, 파리미드 형상, 또는 5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40)는 수납부, 수용부, 포켓부, 또는 홈부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340)는 후면부(310)와 나란하고, 진동 부재(100)와 마주하는 돌출면(또는 돌출 바닥면)(341), 및 후면부(310)와 돌출면(341)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측면(또는 돌출벽)(34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342)은 후면부(310)와 돌출면(341) 사이에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진동 부재(100) 사이에 마련된 갭 공간(G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갭 공간(GS)은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진동 부재(10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돌출부(340)의 돌출면(341)과 진동 부재(100)의 백라이트(1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돌출부(340)의 돌출면(341)과 백라이트(113)의 반사 시트(113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곡면부(350)는 돌출부(340)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350)는 돌출부(340)의 돌출면(341)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100)를 간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포함하도록 돌출부(34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돌출부(340)의 돌출면(341)으로부터 진동 부재(100) 쪽으로 돌출된 곡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부(340)의 돌출면(34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변곡점이 없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돌출부(340)의 돌출면(341)으로부터 진동 부재(100)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단일의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후면 돌출부, 곡면 돌출부, 바닥 돌출부, 후면 곡면부, 곡면 구조물, 곡률 구조물, 포밍부, 또는 응력 인가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부재(100)와 마주하는 돌출부(340)의 돌출면(341)을 기준으로, 제 2 형상의 곡면부, 볼록부, 볼록 돌출부, 볼록 곡면부, 볼록 아치부, 돌기부, 또는 융기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의 중심부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곡면부(350) 사이의 높이(또는 거리)는 곡면부(35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350)는 돌출부(340)의 돌출면(341)로부터 제 1 높이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350)의 제 1 높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진동 장치(500)에 사전 응력을 가할 수 있도록 2mm ~ 200mm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장치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곡면부(350)의 제 1 높이는 진동 부재(100)의 제 2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40)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영역(300A1)에 배치된 제 1 돌출부(340a), 및 지지 부재(300)의 제 2 영역(300A2)에 배치된 제 2 돌출부(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40a)와 제 2 돌출부(340) 각각은 전술한 돌출면(341) 및 복수의 측면(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350)는 제 1 곡면부(350a) 및 제 2 곡면부(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돌출부(340a)에 구현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돌출부(340a)의 돌출면(341)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진동 장치(500-1)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는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돌출부(340b)에 구현될 수 있다.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돌출부(340b)의 돌출면(341)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진동 장치(500-2)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곡면부(350b)는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진동 부재(100)와 곡면부(350) 사이에서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고,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제 1 곡면부(350a)의 내측면(또는 내부 곡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돌출부(340)에 의해 마련되는 갭 공간(GS) 내에서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갭 공간(GS) 내에서 곡면부(350)의 내측면(또는 내부 곡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곡면부(350)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또는 진동 발생기)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3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3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340)에 구현된 곡면부(3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는 제 1 진동 장치(500-1) 및 제 2 진동 장치(5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은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의 제 1 진동 장치(500-1)(또는 진동 발생기)는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진동 부재(100)와 제 1 곡면부(350a) 사이에서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고,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제 1 곡면부(350a)의 내측면(또는 내부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돌출부(340a)에 의해 마련되는 갭 공간(GS) 내에서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돌출부(340a)에 의해 마련되는 갭 공간(GS) 내에서 제 1 곡면부(350a)의 내측면(또는 내부 곡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또는 진동 발생기)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제 1 곡면부(350a)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제 1 곡면부(350a)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진동 장치(500-1)는 제 1 곡면부(350a)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음향 또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는 갭 공간(GS)을 통해 진동 부재(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00-1)와 중첩되는 진동 부재(100)의 제 1 영역은 제 1 진동 장치(500-1)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를 전달 받아 진동됨으로써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2 진동 장치(500-2)(또는 진동 발생기)는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진동 부재(100)와 제 2 곡면부(350b) 사이에서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고,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제 2 곡면부(350b)의 내측면(또는 내부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돌출부(340b)에 의해 마련되는 갭 공간(GS) 내에서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돌출부(340b)에 의해 마련되는 갭 공간(GS) 내에서 제 2 곡면부(350b)의 내측면(또는 내부 곡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00-2)(또는 진동 발생기)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제 2 곡면부(350b)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제 2 곡면부(350b)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진동 장치(500-2)는 제 2 곡면부(350b)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음향 또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는 갭 공간(GS)을 통해 진동 부재(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이 진동 부재(1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00-2)와 중첩되는 진동 부재(100)의 제 2 영역은 제 2 진동 장치(500-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를 전달 받아 진동됨으로써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또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진동 장치(500)가 진동 부재(100)와 지지 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배치됨에 따라 슬림화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최외곽 후면의 디자인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곡면부(35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곡면부(35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곡면부(35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밀폐 부재, 밀폐 캡, 밀폐 박스, 또는 사운드 박스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공간은 에어 갭, 진동 공간, 음향 공간, 또는 울림통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작용하는 공기(air)에 의한 임피던스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00) 주변의 공기(air)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의 진동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주파수에 따라 다른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임피던스 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와 곡면부(350)를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기(air)에 의해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작용하는 임피던스 성분(또는 에어 임피던스 또는 탄성 임피던스)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역대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3)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은 도 2에 도시된 선 II-II'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홀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진동 부재(100), 지지 부재(3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100)는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00)는 진동 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후면부(310), 측면부(330), 돌출부(340), 곡면부(350), 및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310), 측면부(330), 돌출부(340), 및 곡면부(350) 각각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부(310), 측면부(330), 돌출부(340), 및 곡면부(350) 각각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곡면부(350)의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돌출부(340)에 형성된 곡면부(350)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곡면부(350)의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되고, 진동 장치(500-1, 500-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하나 이상의 홀(360)을 덮도록 곡면부(350a, 350b)에 연결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350)의 곡률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곡면부(350a)와 제 2 곡면부(350b)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진동(또는 변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진동에 따라 갭 공간(GS)에 발생되는 음압이 증가됨으로써 갭 공간(GS)의 음압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또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형성된 홀(36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1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되어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클로저(9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22a 내지 도 22e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돌출부(340)는 후면부(310)의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돌출부(340a, 340b, 340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40)는 후면부(310)의 제 3 영역(300A3)에 배치된 제 3 돌출부(34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돌출부(3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는 후면부(310)의 제 1 내지 제 3 영역(300A1, 300A2, 300A3) 각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3 돌출부(340a, 340b, 340c) 각각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의 돌출 구조와 곡률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는 제 1 곡면부(350a)에 배치된 제 1 진동 장치(500-1), 제 2 곡면부(350b)에 배치된 제 2 진동 장치(500-2), 및 제 3 곡면부(350c)에 배치된 제 3 진동 장치(50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의 곡률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3 곡면부(350c)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3 곡면부(350c)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e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돌출부(340a, 340b, 340c)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돌출부(340a, 340b, 340c) 중 하나 이상은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돌출부(340c)는 제 1 및 제 2 돌출부(340a, 34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2e에 도시된 돌출부(340)는 제 3 돌출부(340c)가 제 1 및 제 2 돌출부(340a, 34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크기와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부(3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부(3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곡면부(350c)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2e에 도시된 곡면부(350)는 제 3 곡면부(350c)가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진동 장치(500-3)는 제 3 곡면부(350c)에 배치되고 제 3 곡면부(350c)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므로, 제 1 진동 장치(500-1)과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2e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2b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e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은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의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진동 부재(100)의 좌측, 우측, 및 정중앙측(또는 중앙측)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으로 인하여 음향, 예를 들면,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3채널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장치(500-3)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진동 장치(500-1, 500-2) 각각은 제 3 진동 장치(500-3)보다 넓은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4)는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을 통해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 3 진동 장치(500-3)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저음역대의 음향으로 인하여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2b 내지 도 22e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는 장치(4)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에 의해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진동 장치(5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1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되어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노 음향 또는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2c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홀(360)로 구성하는 경우, 비용이 저감된 장치에 의하여 모노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에서, 제 1 내지 제 3 돌출부(340a, 340b, 340c) 중 하나 이상은 도 20에 도시된 인클로저(9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돌출부(340), 및 제 3 곡면부(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지지 부재(300)의 제 1 및 제 2 영역(300A1, 300A2)에서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는 도 2 내지 도 5, 도 11a, 도 11b,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340)는 지지 부재(300)의 제 3 영역(300A3)에서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40)는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돌출부(34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곡면부(350c)는 돌출부(3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3 곡면부(350c)는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곡면부(35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b 및 도 23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12 및 도 13, 도 17a, 도 17c, 및 도 17d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곡면부(350c)는 도 22a, 도 22b, 및 도 23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곡면부(35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곡면부(350a, 350b)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3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곡면부(350c)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360)은 도 22c 및 도 22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는 장치(4)는 제 1 진동 장치(500-1)와 제 2 진동 장치(500-2) 각각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을 통해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 3 진동 장치(500-3)의 구동에 따른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저음역대의 음향으로 인하여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는 장치(4)는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형성된 홀(36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진동 장치(500-1, 500-2, 500-3) 각각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1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되어 진동 부재(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갭 공간(GS) 또는 진동 부재(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노 음향 또는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a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홀(360)로 구성하는 경우, 비용이 저감된 장치에 의하여 모노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에서, 곡면부(350)의 제 1 내지 제 3 곡면부(350a, 350b, 350c) 중 하나 이상은 도 20에 도시된 인클로저(9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며,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진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1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플렉서블 진동 구조물, 플렉서블 진동기, 플렉서블 진동 발생 소자, 플렉서블 진동 발생기, 플렉서블 음향기, 플렉서블 음향 소자, 플렉서블 음향 발생 소자, 플렉서블 음향 발생기, 플렉서블 액츄에이터, 플렉서블 스피커,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진동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511)는 진동층(511a), 제 1 전극층(511b), 및 제 2 전극층(511c)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층(511a)은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진동층(511a)은 압전층, 압전 물질층, 전기 활성층, 압전 물질부, 전기 활성부, 압전 구조물, 압전 복합층, 압전 복합체, 또는 압전 세라믹 복합체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층(511a)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진동층(511a)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2 부분(511a2)은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은 진동층(511a)의 가로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Y)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진동층(511a)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방향(X)은 진동층(511a)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Y)은 진동층(511a)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무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무기 물질부는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 복합 압전 물질, 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압전 및 역압전 효과를 가지며, 배향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AB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A 사이트는 2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며, B 사이트는 4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ABO3의 화학식에서, A 사이트 및 B 사이트는 cations일 수 있고, O는 anio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PbTiO3, PbZrO3, PbZr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중앙이온, 예를 들면, PbTiO3일 경우, Ti이온의 위치가 변동되어 분극(polarization 또는 poling)이 변화하여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대칭인(symmetric) 구조인 큐빅(cubic) 형상에서 대칭이 아닌(unsymmetric) 구조인 사각형(tetragonal), 직방형(orthorhombic), 및 마름모(rhombohedral) 등의 형상으로 변함으로써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대칭이 아닌 구조를 갖는 사각형(tetragonal) 및 마름모(rhombohedral)의 상전이 경계영역(Morphotropic Phase Boundary)에서 분극이 높고, 분극의 재배열이 용이하므로 높은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은 납(Pb), 지르코늄(Zr), 티탄(Ti),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은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를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지르코늄(Zr)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진동층(511a)은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복수의 제 2 부분(511a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1 폭(W1)을 가지면서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은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폭(W2)을 가지면서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폭(W1)은 제 2 폭(W2)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폭(W1)은 제 2 폭(W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를 갖는 라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층(511a)은 2-2 진동 모드의 압전 특성을 갖는 2-2 복합체(composite) 구조를 가짐으로써 20kHz 이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의 공진 주파수는 형태, 길이, 및 두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진동층(511a)에서, 복수의 제 1 부분(511a1)과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511a1)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511a1)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층(511a)은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의 측면 결합(또는 연결)에 의해 원하는 크기 또는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진동층(511a)에서,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의 폭(W2)은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가장자리 부분(또는 양 끝단)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2 부분(511a2) 중 가장 큰 폭(W2)을 갖는 제 2 부분(511a2)은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가 상하 방향(Z)(또는 두께 방향)으로 진동할 때, 가장 큰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511a2) 중 가장 작은 폭(W2)을 갖는 제 2 부분(511a2)은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가 상하 방향(Z)으로 진동할 때,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응력이 발생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511a2) 중 가장 큰 폭(W2)을 갖는 제 2 부분(511a2)은 진동층(511a)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 2 부분(511a2) 중 가장 작은 폭(W2)을 갖는 제 2 부분(511a2)은 진동층(511a)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가 상하 방향(Z)으로 진동할 때, 가장 큰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간섭 또는 공진 주파수의 중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저음역대에서 발생되는 음압 저하(dip) 현상이 개선될 수 있고,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의 평탄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특성의 평탄도는 최고 음압과 최저 음압 사이의 편차의 크기일 수 있다.
진동층(511a)에서,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또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크기(또는 넓이)는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가장자리 부분(또는 양 끝단)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진동에 따른 다양한 고유 진동 주파수에 의해 음향의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음향의 재생 대역이 확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는 제 2 부분(511a2)에 의해 제 1 부분(511a1)의 단위 격자 내의 링크에 의한 진동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진동 특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압전 특성과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511a2)은 에폭시(epoxy) 계열 폴리머, 아크릴(acrylic) 계열 폴리며, 및 실리콘(silicone) 계열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은 유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물질부는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 사이마다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 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무기 물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stress)를 릴리징(releasing)하여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는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지지 부재의 곡면부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지지 부재의 곡면부의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분(511a2)은 제 1 부분(511a1)과 비교하여 낮은 모듈러스(modulus)(또는 영률)와 점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부분(511a1)의 취성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취약한 제 1 부분(511a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511a2)은 0.01 ~ 1의 손실 계수와 0.1 ~ 10Gpa의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에 구성되는 유기 물질부는 제 1 부분(511a1)인 무기 물질부와 비교하여 유연한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 유기 폴리머, 유기 압전 물질, 또는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511a2)은 유연성을 갖는 접착부, 신축부, 벤딩부, 댐핑부, 또는 연성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이 동일 평면에 배치(또는 연결)됨으로써 단일의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의 복수의 제 1 부분(511a1)이 일측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은 진동층(511a)의 전체에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은 진동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511a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 제 2 부분(511a2)에 의해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에서, 제 1 부분(511a1)의 크기 및 제 2 부분(511a2)의 크기는 진동층(511a) 또는 진동 발생기(510)에 요구되는 압전 특성 및 유연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유연성보다 압전 특성을 요구하는 진동층(511a)의 경우, 제 1 부분(511a1)의 크기가 제 2 부분(511a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압전 특성보다 유연성을 요구하는 진동층(511a)의 경우, 제 2 부분(511a2)의 크기가 제 1 부분(511a1)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층(511a)의 크기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진동층(511a)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 1 전극층(511b)은 진동층(511a)의 제 1 면(또는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층(511b)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제 1 면과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의 제 1 면에 공통적으로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층(511b)은 진동층(511a)의 제 1 면 전체에 배치된 단일 전극(또는 하나의 전극)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층(511b)은 진동층(51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전극층(511c)은 진동층(511a)의 제 1 면과 다른(또는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극층(511c)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제 2 면과 복수의 제 2 부분(511a2) 각각의 제 2 면에 공통적으로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511c)은 진동층(511a)의 제 2 면 전체에 배치된 단일 전극(또는 하나의 전극)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511c)은 진동층(511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층(511b)과 제 2 전극층(511c) 중 하나 이상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층(511a)은 일정한 온도 분위기 또는 고온에서 상온으로 변화되는 온도 분위기에서 제 1 전극층(511b)과 제 2 전극층(511c)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은 외부로부터 제 1 전극층(511b)과 제 2 전극층(511c)에 인가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 및/또는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은 제 1 전극층(511b)과 제 2 전극층(511c)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d33) 및 평면 방향의 진동(d31)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진동층(511a)의 평면 방향의 수축 및/또는 팽창에 의해 진동 부재의 변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 부재(512)는 진동부(511)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전극층(511b)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전극층(511b)을 보호할 수 있다.
제 2 커버 부재(513)는 진동부(511)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전극층(511c)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전극층(511c)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플라스틱, 섬유, 천, 종이, 가죽, 고무,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접착층(514)을 매개로 제 1 전극층(511b)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접착층(514)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제 1 전극층(511b)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접착층(515)을 매개로 제 2 전극층(511c)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접착층(515)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제 2 전극층(511c)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는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514)은 제 1 전극층(511b)과 제 1 커버 부재(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515)은 제 2 전극층(511c)과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14)와 제 2 접착층(515)은 진동층(511a)과 제 1 전극층(511b) 및 제 2 전극층(511c)을 완전히 감싸도록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과 제 1 전극층(511b) 및 제 2 전극층(511c)은 제 1 접착층(514)와 제 2 접착층(515) 사이에 매립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층(514)와 제 2 접착층(515) 각각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압축과 복원이 가능한 전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14)와 제 2 접착층(515) 각각은 에폭시(epoxy)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실리콘(silicone) 수지, 또는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20)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는 도 5, 도 7 내지 도 9,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520)와 플레이트(540) 및 제 2 연결 부재(550, 560)를 지지 부재(300)의 곡면부(3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커버 부재(512)에 배치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커버 부재(513)에 배치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5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전극층(511b)과 제 1 커버 부재(5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1 전극층(511b)의 중앙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접착층(514)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전극층(511c)과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2 전극층(511c)의 중앙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접착층(515)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공급 라인(PL1)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경우 제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2 전원 공급 라인(PL2) 사이의 쇼트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패드부(516)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의 일측(또는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516)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드 전극은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패드 전극은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패드 전극은 제 1 패드 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드 전극은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패드부(516) 각각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516)는 신호 케이블(5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케이블(517)은 진동 발생기(510)에 배치된 패드부(5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향 처리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구동 신호(또는 음향 신호)를 진동 발생기(5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에에 따른 신호 케이블(517)은 패드부(516)의 제 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 및 패드부(516)의 제 2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케이블(517)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 케이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단면 플렉서블 인쇄 회로, 단면 플렉서블 인쇄 회로 보드, 플렉서블 다층 인쇄 회로, 또는 플렉서블 다층 인쇄 회로 보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향 처리 회로는 외부의 음향 데이터 생성 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진동 구동 신호 및 제 2 진동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교류 형태의 진동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신호 케이블(517)의 제 1 단자와 패드부(516)의 제 1 패드 전극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을 통해서 제 1 전극층(511b)에 공급될 수 있다.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신호 케이블(517)의 제 2 단자와 패드부(516)의 제 2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을 통해서 제 2 전극층(511c)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케이블(517)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압전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511a1)과 유연성을 갖는 제 2 부분(511a2)이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연결됨으로써 얇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지지 부재의 곡면서 또는 진동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0)는 연결 부재를 매개로 다양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진동 부재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때, 진동 부재의 곡면부 형상을 따라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고, 곡면 형상으로 휘어지더라도 손상 또는 파손 등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유연성을 갖는 제 2 부분(511a2)으로 인하여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 따른 진동층(511a)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를 가지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부분(511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511a2)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511a1)들 사이의 갭을 채우거나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511a1)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X)을 따라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의 폭은 제 1 부분(511a1)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제 2 방향(Y)을 따라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의 폭은 제 1 부분(511a1)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부분(511a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층(511a)은 1-3 진동 모드의 압전 특성을 갖는 1-3 복합체 구조를 포함으로써 30MHz 이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층(511a)의 공진 주파수는 형태, 길이, 및 두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 따른 진동층(511a)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원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타원 형태, 다각 형태, 또는 도넛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부분(511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511a2)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측면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부분(511a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 따른 진동층(511a)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삼각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삼각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부분(511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중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511a1)은 사각 형태(또는 정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꼭지점은 사각 형태의 중앙부(또는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측면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부분(511a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삼각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중 인접한 2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부분(511a1)은 2N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중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511a1)은 육각 형태(또는 정육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육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꼭지점은 육각 형태의 중앙부(또는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511a2)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의 측면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511a1)과 제 2 부분(511a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1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 및/또는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는 제 1 방향(X)을 따라 일정한 간격(D1)으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타일링된 진동 발생기(510)는 진동 어레이, 진동 어레이부, 진동 모듈 어레이부, 진동 어레이 구조물, 타일링 진동 어레이, 타일링 어레이 모듈, 또는 타일링 진동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5cm 이상의 폭을 갖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5cm×5c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진동 발생기(51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타일링에 의해 대면적화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완전한 하나의 단일체 형태로 구동되는 하나의 진동 장치(또는 단일 진동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의 제 1 이격 거리(D1)는 0.1mm 이상 3cm 미만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0.1mm 이상 3cm 미만의 이격 거리(또는 간격)(D1)를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 및 음향의 음압 특성 각각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을 증가시키고 저음역대 음향,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압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은 0.1mm 이상 5mm 미만의 간격(D1)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0.1mm 미만의 간격(D1) 또는 간격(D1) 없이 배치될 때,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진동시 서로 간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한 크랙의 발생 또는 파손으로 인하여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또는 진동 발생기(510)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3cm 이상의 간격(D1)으로 배치될 때,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독립적인 진동으로 인하여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 및 음향의 음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3cm 이상의 간격(D1)으로 배치될 때, 저음역대,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향 특성과 음압 특성이 각각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5mm의 간격(D1)으로 배치될 때,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이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저음역대, 예를 들면, 200Hz 이하에서 음향 특성과 음압 특성이 각각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1mm의 간격(D1)으로 배치될 때,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하나의 진동 장치로 진동함에 따라 음향의 재생 대역이 증가되고 저음역대 음향,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압 특성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가 1mm의 간격(D1)으로 배치될 때,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적화됨에 따른 대면적화된 진동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에 따른 대면적 진동체로 구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진동 발생기(510)의 대면적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과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 음압 특성 각각이 증가되거나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또는 하나의 진동 장치)을 구현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0.1mm 이상 3cm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또는 하나의 진동 장치)을 구현하면서 저음역대 음향의 음압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0.1mm 이상 5mm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진동층(511a), 제 1 전극층(511b), 및 제 2 전극층(5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진동층(511a)은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진동층(511a)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부(5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부(511)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진동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층(511b)은 진동층(511a)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진동층(511a)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전극층(51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전극층(511c)은 진동층(511a)의 제 2 면에 배치되고, 진동층(511a)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전극층(511b)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 부재(512)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층(511b)을 덮음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거나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을 공통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 또는 제 1 전극층(511b)을 보호할 수 있다.
제 2 커버 부재(513)는 진동 발생기(510)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층(511c)을 덮음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거나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을 공통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 또는 제 2 전극층(511c)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플라스틱, 섬유, 가죽, 고무, 목재, 천, 및 종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접착층(514)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는 제 1 접착층(514)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일정한 간격(D1)을 가지도록 제 1 커버 부재(512)에 일체화(또는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접착층(515)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 부재(513)는 제 2 접착층(515)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일정한 간격(D1)을 가지도록 제 2 커버 부재(513)에 일체화(또는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는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514)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14)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커버 부재(512)의 후면(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에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과 제 1 커버 부재(5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515)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접착층(515)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커버 부재(513)의 전면(前面)(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에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과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은 제 1 접착층(514)와 제 2 접착층(515) 사이에 매립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 각각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압축과 복원이 가능한 전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 각각은 에폭시(epoxy)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실리콘(silicone) 수지, 또는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 각각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커버 부재(512)에 배치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커버 부재(513)에 배치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5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커버 부재(51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전극층(511b)과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제 1 접착층(514)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상부 전원 라인(PL11)은 제 1 진동부(511-1)의 제 1 전극층(511b)과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2)은 제 2 진동부(511-2)의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커버 부재(513)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전극층(511c)과 연결되거나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제 2 접착층(515)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부 전원 라인(PL21)은 제 1 진동부(511-1)의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부 전원 라인(PL21)은 제 1 상부 전원 라인(PL11)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부 전원 라인(PL21)이 제 1 상부 전원 라인(PL11)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경우, 제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2 전원 공급 라인(PL2) 사이의 쇼트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2)은 제 2 진동부(511-2)의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2)은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2)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2)이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2)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경우, 제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2 전원 공급 라인(PL2) 사이의 쇼트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패드부(518)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의 일측(또는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518)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드 전극은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 각각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 각각의 일단은 제 1 패드 전극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 2 패드 전극은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 각각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 각각의 일단은 제 2 패드 전극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신호 케이블(5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케이블(519)은 진동 발생기(510)에 배치된 패드부(5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향 처리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구동 신호(또는 음향 신호)를 진동 발생기(5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에에 따른 신호 케이블(519)은 패드부(518)의 제 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 및 패드부(518)의 제 2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회로 케이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단면 플렉서블 인쇄 회로, 단면 플렉서블 인쇄 회로 보드, 플렉서블 다층 인쇄 회로, 또는 플렉서블 다층 인쇄 회로 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처리 회로는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진동 구동 신호 및 제 2 진동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교류 형태의 진동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신호 케이블(519)의 제 1 단자와 패드부(518)의 제 1 패드 전극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1 전극층(511b)에 공급될 수 있다.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신호 케이블(519)의 제 2 단자와 패드부(518)의 제 2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 각각의 제 2 전극층(511c)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얇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진동 부재 또는 진동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고, 다양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진동 부재를 용이하게 진동시킬 수 있으며, 진동 부재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 진동체로 구현되도록 일정한 간격(D1)으로 배열(또는 타일링)된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를 포함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부(511-1, 511-2)의 단일체 진동에 따른 대면적 진동체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에 4개의 진동 발생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4개의 진동 발생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32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은 도 31에 도시된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복수의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i×j 형태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진동 발생기(51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진동부(511-1, 511-2, 511-3, 511-4)의 타일링에 의해 대면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는 제 1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진동 발생기의 개수로서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진동 발생기의 개수로서 i와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2×2 형태로 배열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1-1, 511-2)는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진동 발생부(511-3, 511-4)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1-1, 511-2)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진동 발생부(511-1, 511-3)는 서로 마주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2 및 제 4 진동 발생부(511-2, 511-4)는 서로 마주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는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각각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를 연결하거나 공통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를 하나의 진동 장치(또는 단일 진동 장치)로 구동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는 커버 부재(512, 514)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타일링됨으로써 하나의 진동 장치(또는 단일 진동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0과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는 완전한 단일체 진동 또는 대면적 진동을 위하여,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0.1mm 이상 3cm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또는 타일링)될 수 있으며, 0.1mm 이상 5mm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또는 타일링)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진동층(511a), 제 1 전극층(511b), 및 제 2 전극층(5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의 진동층(511a)은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의 진동층(511a)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층(511a)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진동층(511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중 하나 이상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 중 다른 진동층(5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층(511b)은 해당하는 진동층(511a)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진동층(511a)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전극층(51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전극층(511c)은 진동층(511a)의 제 2 면에 배치되고, 진동층(511a)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전극층(511b)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514, 515)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 1 커버 부재(512)와 제 2 커버 부재(513)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각각은 제 1 접착층(514)과 제 2 접착층(515) 사이에 매립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패드부(5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와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과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와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상부 전원 라인(PL11)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중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1 열에 배치된 제 1 및 제 3 진동 발생부(511-1, 511-3) 각각의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2)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중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열에 배치된 제 2 및 제 4 진동 발생부(511-2, 511-4) 각각의 제 1 전극층(5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부 전원 라인(PL21)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중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1 열에 배치된 제 1 및 제 3 진동 발생부(511-1, 511-3) 각각의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2)은 제 1 내지 제 4 진동부(511-1, 511-2, 511-3, 511-4) 중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열에 배치된 제 2 및 제 4 진동 발생부(511-2, 511-4) 각각의 제 2 전극층(5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518)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의 일측(또는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커버 부재(512) 및 제 2 커버 부재(5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성될 수 있다. 패드부(518)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드부(5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51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이다. 도 33 및 도 34는 도 1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및 중간 부재(510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는 제 1 진동 발생부(510A), 제 2 진동 발생부(510B), 및 제 1 진동 발생부(510A)와 제 2 진동 발생부(510B) 사이에 있는 중간 부재(510m)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A, 510B)는 진동 발생기(510)의 진폭 변위 및/또는 진동 부재의 진폭 변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또는 구동 또는 진동)되도록 서로 겹쳐지거나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일측(또는 끝부분 또는 끝단 또는 외측면 또는 각 모서리 부분)은 제 3 방향(Z)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VL)에 정렬되거나 가상의 연장선(VL)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부(510A)는 제 2 진동 발생부(510B)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은 도 24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510) 중 어느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는 진동층(511a)의 분극 방향을 기반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또는 구동 또는 진동)되도록 서로 겹쳐지거나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진동층(511a)이 동일한 분극 방향을 가질 때, 제 2 진동 발생기(510B)는 제 1 진동 발생기(510A)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진동층(511a)이 서로 반대의 분극 방향을 가질 때, 제 2 진동 발생기(510B)는 상하 반전된 형태로 제 1 진동 발생기(510A)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부재(510m)는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사이에 배치되거나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부재(510m)는 제 1 진동 발생부(510A)의 제 2 보호 부재(513)와 제 2 진동 발생부(510B)의 제 1 보호 부재(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부재(510m)는 상하로 겹쳐진 제 1 진동 발생부(510A) 및 제 2 진동 발생부(510B) 각각에 대해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부재(510m)는 폼 패드, 단면 테이프, 양면 테이프, 단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단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간 부재(510m)의 접착층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실리콘(silicone), 또는 우레탄(urethane) 계열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 부재(510m)의 접착층은 아크릴과 우레탄 중 아크릴보다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물질(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0) 내에서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간의 변위 간섭에 따른 진동 손실이 최소화되거나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이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부재(510m)는 열 경화성 접착제, 광 경화성 접착제, 및 열융착 접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는 열융착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 접착제는 열활성 타입 또는 열경화성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융착 접착제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510m)는 열과 압력에 의해 인접한 2개의 진동 발생부(510A, 510B)를 서로 접착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융착 접착제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510m)는 진동 발생기(510)의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는 중간 부재(510m)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하나의 구조물(또는 부품)로 일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는 롤러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35a 내지 도 35d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복수의 진동 발생부 각각의 진동층 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5a를 참조하면,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진동층(511a)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1 부분(511a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층(511a)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중 하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1 부분(511a1)과 상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1 부분(511a1)은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중 하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2 부분(511a2)과 상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2 부분(511a2)은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제 1 부분(511a1)이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또는 구동 또는 진동)함으로써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합성 진동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폭 변위 및/또는 진동 부재의 진폭 변위가 증가되거나 최대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 부재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3, 도 35b 내지 도 35d를 참조하면,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진동층(511a)은 복수의 제 1 부분(511a1), 및 복수의 제 1 부분(511a1)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 2 부분(511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층(511a)은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층(51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중 하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1 부분(511a1)과 상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1 부분(511a1)은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중 하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2 부분(511a2)과 상층에 배치된 진동 발생부(510B)의 제 2 부분(511a2)은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제 1 부분(511a1)이 서로 엇갈림 없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중첩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또는 구동 또는 진동)함으로써 복수의 진동 발생부(510A, 510B) 각각의 합성 진동에 의해 진동 발생기(510)의 진폭 변위 및/또는 진동 부재의 진폭 변위가 증가되거나 최대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 부재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단면도이며, 도 38은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음향 장치, 음향 출력 장치, 사운드 바, 음향 시스템, 운송 장치용 음향 장치, 운송 장치용 음향 출력 장치, 또는 운송 장치용 사운드 바 등을 구현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하나 이상의 좌석과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차량, 기차, 선박, 또는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광고용 간판, 포스터, 안내판 등의 아날로그 사이니지(analog signage)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진동 부재(600), 지지 부재(7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60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600)는 수동 진동 부재, 정면 부재, 진동 대상물, 진동판, 진동 패널, 음향판, 음향 출력 부재, 또는 음향 출력 패널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부재(6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600)는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600)의 금속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마그네슘(Mg), 마그네슘(Mg) 합금, 및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부재(600)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섬유, 가죽, 목재, 천, 고무, 및 종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600)는 광고용 간판, 포스터, 및 안내판 등의 아날로그 사이니지 등과 같은 사이니지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600)이 사이니지 패널을 구현할 때, 아날로그 사이니지는 문장, 그림, 및 기호 등의 사이니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니지 컨텐츠는 시인 가능하도록 진동 부재(6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니지 컨텐츠는 진동 부재(600)의 제 1 면(또는 정면)(600a), 및 제 1 면(600a)과 다른(또는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600b) 중 하나 이상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니지 컨텐츠는 종이 등의 매체에 인쇄될 수 있고, 사이니지 컨텐츠가 인쇄된 매체는 진동 부재(600)의 제 1 면(600a)과 제 2 면(600a) 중 하나 이상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니지 컨텐츠가 진동 부재(600)의 제 2 면(600a)에 부착될 때, 진동 부재(60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600)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600)는 사각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부재(600)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가로 길이, 및 제 2 방향(Y)과 나란한 세로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600)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600)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700)는 진동 부재(6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진동 부재(600)의 후면을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후면부(710), 측면부(730), 및 곡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진동 부재(60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710), 후면부(710)에 연결되어 진동 부재(600)를 지지하는 측면부(730), 및 후면부(710)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곡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710)와 측면부(730) 및 곡면부(750) 각각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와 측면부(330) 및 곡면부(350) 각각과 동일하므로, 도 2 내지 도 11b에 도시된 지지 부재(300)에 대한 설명(또는 기재 내용)은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지지 부재(70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지지 부재(700)의 측면부(730)는 결합 부재(601)를 매개로 진동 부재(6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601)는 진동 부재(600)의 진동이 지지 부재(7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601)는 진동의 차단에 적합한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601)는 진동 흡수(또는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60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601)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및 양면 쿠션 테이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 부재(601)는 진동 부재(600)과 지지 부재(700)의 측면부(730)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또는 마찰)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진동 부재(600)과 지지 부재(700)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또는 마찰)에 의한 소음(또는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601)는 완충 부재, 탄성 부재, 댐핑 부재, 진동 흡수 부재, 또는 진동 차단 부재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는 복수의 곡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750)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후면부(710)에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6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600)를 간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도 2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2 내지 도 11b에 도시된 곡면부(350)에 대한 설명(또는 기재 내용)은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곡면부(75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미리 설정된 곡률을 포함하도록 후면부(7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후면부(710)로부터 지지 부재(7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변곡점이 없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후면부(710)로부터 지지 부재(700)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단일의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곡면부(750)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중 어느 하나는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곡면부(350c)와 같이 나머지 곡면부(7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와 진동 부재(600) 사이에 마련된 갭 공간(G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갭 공간(GS)은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와 진동 부재(60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갭 공간(GS)은 곡면부(350)의 진동에 따라 음향 또는 음압이 발생되는 공간, 곡면부(35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공간,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가 진동 부재(100)로 전파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갭 공간(GS)은 에어 갭, 음압 발생 공간, 음향 공간, 음압 공간, 울림부, 울림통, 음파 전파 경로, 음향 에너지 입사부, 또는 음향 경로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700)에 구현된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을 진동시킴으로써 갭 공간(GS)으로 음향(또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 부재(600)는 갭 공간(GS)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또는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곡면부(750)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7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7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7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장치(50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장치와 도 24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진동 장치(500)에 대한 설명과 도 24 내지 도 35d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510)에 대한 설명은 도 37에 도시된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배치된 진동 장치(500)는 서로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 장치(500)를 포함하며,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장치(500)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한 음역대의 음향 또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따른 진동 부재(600)의 영역별 진동에 따라 발생되거나 출력되는 음향으로 인하여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 또는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 채널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6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진동에 따라 진동 부재(600)를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음향,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향 또는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 채널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장치(5)에 인클로저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9에 대한 설명에서는 인클로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인클로저(enclosure; 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700)의 후면부(7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7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700)의 후면부(7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밀폐 부재, 밀폐 캡, 밀폐 박스, 또는 사운드 박스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공간은 에어 갭, 진동 공간, 음향 공간, 또는 울림통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시,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에 작용하는 공기(air)에 의한 임피던스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700) 주변의 공기(air)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의 진동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주파수에 따라 다른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임피던스 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기(air)에 의해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에 작용하는 임피던스 성분(또는 에어 임피던스 또는 탄성 임피던스)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역대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0은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및 도 41은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5)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홀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0과 도 41에 대한 설명에서는 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6)에서, 지지 부재(700)는 복수의 곡면부(750)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760)은 복수의 곡면부(750)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거나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7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7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760)은 개구부, 연통부, 개구홀, 연통홀, 관통부, 관통구, 관통홀, 지지홀, 슬릿, 슬롯 또는 음향 통과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홀(760)은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홀(3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홀(360)에 대한 설명은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홀(76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760)은 원 형상, 타원 형상, 사각 형상, 슬릿 형상, 슬롯 형상, 또는 점선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6)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1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6)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에 형성된 홀(76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가 진동 부재(6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의 전달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진동 부재(6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6)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2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 및 도 43은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5)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2와 도 43에 대한 설명에서는 곡면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7)의 지지 부재(700)는 복수의 곡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곡면부(750)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후면부(710)에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6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미리 설정된 곡률을 포함하도록 후면부(7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후면부(710)로부터 진동 부재(600)의 후면 쪽으로 돌출된 곡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후면부(310)로부터 진동 부재(600)의 후면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변곡점이 없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후면부(710)로부터 진동 부재(600)의 후면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단일의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부재(600)의 후면 쪽으로 볼록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곡면부(750)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지지 부재(700)의 후면부(710)의 바닥면(710a)을 기준으로, 도 37에 도시된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과 정반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은 진동 부재(600)와 마주하는 후면부(710)의 바닥면(710a)을 기준으로, 제 2 형상의 곡면부, 볼록부, 볼록 돌출부, 볼록 곡면부, 볼록 아치부, 돌기부, 또는 융기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곡면부(750)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곡면부(750) 중 어느 하나는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곡면부(350c)와 같이 나머지 곡면부(7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700)에 구현된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진동 부재(600)와 곡면부(750) 사이에서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고, 진동 부재(6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6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음향 또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는 갭 공간(GS)을 통해 진동 부재(6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진동 부재(6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 부재(6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진동 부재(600)와 곡면부(750) 사이에서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고, 진동 부재(6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6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갭 공간(GS) 내에서 곡면부(750)의 내측면(또는 내부 곡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마주하거나 진동 부재(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곡면부(750)의 내측면(또는 내부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7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7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7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장치(50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7)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또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6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7)는 진동 장치(500)가 진동 부재(600)와 지지 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에 배치됨에 따라 슬림화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최외곽 후면의 디자인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7)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도 42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7)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홀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4와 도 45에 대한 설명에서는 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장치(8)에서, 지지 부재(700)는 하나 이상의 홀(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760)은 복수의 곡면부(750)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거나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홀(7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7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760)은 개구부, 연통부, 개구홀, 연통홀, 관통부, 관통구, 관통홀, 지지홀, 슬릿, 슬롯 또는 음향 통과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홀(360)은 지지 부재(700)의 후면부(710)로부터 진동 부재(600) 쪽으로 형성된 곡면부(350)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0과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홀(36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장치(500)의 진동 장치(500)는 홀(760)을 덮도록 곡면부(750)에 연결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750)의 곡률에 의해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곡면부(750) 각각에 형성된 홀(760)은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진동(또는 변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진동 장치(500) 각각의 진동에 따라 갭 공간(GS)에 발생되는 음압이 증가됨으로써 갭 공간(GS)의 음압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부재(6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6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장치(8)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또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거나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되므로,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 부재(60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장치(8)는 지지 부재(700)의 곡면부(750)에 형성된 홀(76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진동 장치(5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600)의 진동폭(또는 변위폭)이 증가되어 진동 부재(6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장치(8)는 인클로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30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300)의 후면부(31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단면도이며, 도 48은 도 46과 도 47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진동 부재(90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어 진동 부재(900)를 진동시켜 진동 또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현된 하나의(또는 단일) 진동 부품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진동 발생 장치, 진동원, 진동 발생 유닛, 진동 유닛, 진동 모듈, 진동 발생 부품, 능동 진동 부재, 음향 발생 소자, 음향 발생 유닛, 투명 진동 발생 장치, 투명 음향 발생 유닛, 반투명 음향 발생 유닛, 불투명 음향 발생 유닛, 투명 음향 발생 소자, 투명 진동원, 반투명 진동원, 불투명 진동원, 또는 진동 구조물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음향 장치, 음향 출력 장치, 사운드 바, 음향 시스템, 운송 장치용 음향 장치, 운송 장치용 음향 출력 장치, 또는 운송 장치용 사운드 바 등을 구현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하나 이상의 좌석과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차량, 기차, 선박, 또는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5)는 광고용 간판, 포스터, 안내판 등의 아날로그 사이니지(analog signage)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지지 부재(8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3각 이상의 다각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 3각 이상의 비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9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단면은 도 47에 도시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800)는 곡면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850)는 지지 부재(8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지지 부재(8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800)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지지 부재(800)의 정면(800a)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350) 또는 도 37과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7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곡면부(350)에 대한 설명 또는 도 37과 도 38에 도시된 곡면부(750)에 대한 설명은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된 곡면부(85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및 곡면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3각 이상의 다각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 3각 이상의 비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80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불투명 플라스틱 재질, 목재,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곡면부(85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가장자리 부분(811)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지지 부재(800)의 정면(800a)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350) 또는 도 37과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7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곡면부(350)에 대한 설명 또는 도 37과 도 38에 도시된 곡면부(750)에 대한 설명은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된 곡면부(85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볼록 곡면부, 볼록 아치부, 또는 볼록 돌출부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800)에 구현된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를 진동시킴으로써 지지 부재(800)의 정면으로 음향(또는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는 등각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의 곡률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비등각 형상을 가지거나 곡면부(850)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8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8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사전 응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장치(50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장치(500)와 도 24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진동 장치(500)에 대한 설명과 도 24 내지 도 35d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510)에 대한 설명은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진동 장치(50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결합 부재(901)를 매개로 진동 부재(900)에 결합되고,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에 따라 진동 부재(9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9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900)는 진동 플레이트, 진동 대상물, 음향 출력 플레이트, 음향 진동 플레이트, 또는 영상 스크린 등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부재(900)는 장치(9)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진동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900)는 금속, 플라스틱, 종이, 섬유, 천, 가죽, 목재, 고무, 유리,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진동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이는 스피커용 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콘지는 펄프 또는 발포 플라스틱 등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9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거나 비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재(9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조명 패널, 사이니지 패널, 운송 수단의 내장재, 운송 수단의 외장재, 운송 수단의 유리창, 운송 수단의 좌석 내장재, 건물의 천장재, 건물의 내장재, 건물의 유리창, 항공기의 내장재, 항공기의 유리창,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표시 패널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또는 장치), 유기 발광 조명 패널(또는 장치), 또는 무기 발광 조명 패널(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 부재(901)는 진동 부재(900)의 진동이 지지 부재(8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901)는 진동의 차단에 적합한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901)는 진동 흡수(또는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90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합 부재(901)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및 양면 쿠션 테이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곡면부(850)의 중심부의 정면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9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0a 및 도 50b는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0a 및 도 50b는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지지 부재에 하나 이상의 홀을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0a 및 도 50b에 대한 설명에서는 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0a 및 도 50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에서, 지지 부재(800)는 하나 이상의 홀(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곡면부(85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8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860)은 개구부, 연통부, 개구홀, 연통홀, 관통부, 관통구, 관통홀, 지지홀, 슬릿, 슬롯 또는 음향 통과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도 16a와 도 16b에 도시된 홀(351, 3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도 16a와 도 16b에 도시된 홀(351, 352)에 대한 설명은 도 50a 및 도 50b에 도시된 홀(86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860)은 원 형상, 타원 형상, 사각 형상, 슬릿 형상, 슬롯 형상, 또는 점선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860)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을 곡면부(850)의 중심부의 정면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9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1은 도 46 또는 도 49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46 내지 도 50b에 도시된 장치(9)에 인클로저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1에 대한 설명에서는 인클로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인클로저(enclosure; 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8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진동 장치(500)를 덮도록 지지 부재(8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결합 부재(951)를 매개로 지지 부재(8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8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덮거나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밀폐 부재, 밀폐 캡, 밀폐 박스, 또는 사운드 박스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공간은 에어 갭, 진동 공간, 음향 공간, 또는 울림통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클로저(950)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및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시,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에 작용하는 공기(air)에 의한 임피던스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 주변의 공기(air)는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의 진동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주파수에 따라 다른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임피던스 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클로저(950)는 지지 부재(800)의 후면에 진동 장치(500)를 둘러싸는 밀폐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기(air)에 의해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에 작용하는 임피던스 성분(또는 에어 임피던스 또는 탄성 임피던스)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역대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9)는 인클로저(95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선 VIII-VIII'의 단면도이며, 도 54는 도 52와 도 53에 도시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4는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9)에서 지지 부재의 곡면부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2 내지 도 54에 대한 설명에서는 곡면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2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지지 부재(800) 및 진동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3각 이상의 다각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 3각 이상의 비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5에 도시된 선 VIII-VIII'의 단면은 도 53에 도시된다.
지지 부재(800)는 돌출부(840) 및 곡면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840)는 지지 부재(8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840)는 지지 부재(8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800)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840)는 지지 부재(800)의 정면(800a)으로부터 지지 부재(800)의 후면 방향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840)는 사다리꼴 형상, 파리미드 형상, 또는 5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840)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돌출부(3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하며,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돌출부(340)에 대한 설명은 도 52 내지 도 54에 도시된 돌출부(84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돌출부(840)로부터 지지 부재(800)의 정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800)의 정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돌출부(840)로부터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볼록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하며,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곡면부(350)에 대한 설명은 도 52 내지 도 54에 도시된 곡면부(35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돌출부(840), 및 곡면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3각 이상의 다각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 3각 이상의 비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80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80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불투명 플라스틱 재질, 목재,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84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정면(800a)과 나란한 돌출면(또는 돌출 바닥면)(841), 및 베이스 플레이트(810)와 돌출면(840)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측면(또는 돌출벽)(84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842)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와 돌출면(841) 사이에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의 돌출면(841)에 구현될 수 있다. 곡면부(8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곡면부(8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부(340)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850)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포함하도록 돌출부(84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의 돌출면(841)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정면 쪽으로 돌출된 곡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부(840)의 돌출면(84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변곡점이 없는 하나의 곡률(또는 단일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의 돌출면(841)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정면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단일의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돌출부(840)의 돌출면(841)을 기준으로, 제 2 형상의 곡면부, 볼록부, 볼록 돌출부, 볼록 곡면부, 볼록 아치부, 돌기부, 또는 융기부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장치(500)는 지지 부재(800)의 돌출부(840)에 구현된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돌출부(840)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부에서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돌출부(840)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부에서 곡면부(850)의 내측면(또는 내부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돌출부(840)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부에서 곡면부(850)에 결합되거나 부착됨으로써 곡면부(850)에 의해 사전 응력을 가지거나 받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곡면부(850)의 곡률에 따라 인장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850)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장치(500)에 인장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장치(50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방향의 일원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장치(500)와 도 24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진동 장치(500)에 대한 설명과 도 24 내지 도 35d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510)에 대한 설명은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진동 장치(500)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사전 응력(또는 사전 인장 스트레스)을 받거나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장치(500)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원화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곡면부(850)의 중심부의 정면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9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진동 장치(500)가 돌출부(84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돌출부(840)에 의해 둘러싸임에 따라 슬림화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장치(10)의 최외곽 후면의 디자인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6a 및 도 56b는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6a 및 도 56b는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지지 부재에 하나 이상의 홀을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6a 및 도 56b에 대한 설명에서는 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6a 및 도 56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에서, 지지 부재(800)는 하나 이상의 홀(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곡면부(85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제 3 방향(Z)을 따라 곡면부(8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860)은 개구부, 연통부, 개구홀, 연통홀, 관통부, 관통구, 관통홀, 지지홀, 슬릿, 슬롯 또는 음향 통과부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홀(860)은 도 50a 및 도 50b에 도시된 홀(8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홀(860)은 원 형상, 타원 형상, 사각 형상, 슬릿 형상, 슬롯 형상, 또는 점선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860)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을 곡면부(850)의 중심부의 정면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9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7은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도 46 내지 도 56b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된 장치를 포함하거나 적용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11)는 운송 장치용 진동 장치, 운송 장치용 진동 발생 장치, 운송 장치용 음향 장치, 운송 장치용 음향 발생 장치, 운송 장치용 스피커, 차량용 음향 장치,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또는 차량용 스피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11)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 및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좌석과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차량, 기차,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장치(20)는 메인 구조물(20a), 외장재(20b), 및 내장재(20c)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구조물(또는 프레임 구조물)(21)은 메인 프레임, 서브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도어 프레임, 언더 프레임, 및 좌석(seat)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장재(20b)는 메인 구조물(20a)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장재(20b)는 메인 구조물(20a)의 외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20b)는 후드 패널, 프런트 휀더 패널, 데시 패널, 필러 패널, 트렁크 패널, 루프 패널, 플로어 패널, 도어 이너 패널, 및 도어 아우터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20b)는 평면부와 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장재(20b)는 해당하는 메인 구조물(20a)의 표면 구조와 대응되는 표면 구조를 가지거나, 해당하는 메인 구조물(20a)의 표면 구조와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장재(20c)는 운송 장치(20)의 내부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포함하거나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 배치된 모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재(20c)는 운송 장치(20)의 인테리어 부재 또는 내부 마감 부재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20c)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서 메인 구조물(20a)과 외장재(20b) 중 하나 이상을 덮으면서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재(20c)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또는 필러 트림), 플로어 내장재(또는 플로어 카펫), 루프 내장재(또는 헤드라이너), 도어 내장재(또는 도어 트림), 핸들 내장재(또는 스티어링 커버), 좌석 내장재, 리어 패키지 내장재(또는 뒷좌석 선반), 오버헤드 콘솔(또는 실내 조명 내장재), 리어 뷰 미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20c)는 플라스틱, 섬유, 가죽, 천, 목재,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20c)는 베이스 부재와 표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는 사출물, 제 1 내장재, 내부 내장재, 또는 후면 내장재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피 부재는 제 2 내장재, 외부 내장재, 전면 내장재, 외피 부재, 보강 부재, 또는 장식 부재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장재(20c) 또는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재(20c) 또는 베이스 부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공정에 의해 구현된 사출물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장재(20c) 또는 베이스 부재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서 메인 구조물(20a)과 외장재(20b) 중 하나 이상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재(20c) 또는 베이스 부재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된 메인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도어 프레임, 핸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또는 내장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피 부재는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피 부재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서 베이스 부재를 덮으면서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피 부재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는 베이스 부재의 앞면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피 부재는 플라스틱, 섬유, 가죽, 천, 목재,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
섬유 재질의 내장재(20c) 또는 표피 부재는 합성 섬유, 탄소 섬유(또는 아라미드 섬유), 및 천연 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 재질의 내장재(20c) 또는 표피 부재는 직물 시트, 편물 시트,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섬유 재질의 내장재(20c) 또는 표피 부재는 페브릭 부재(fabric member)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교적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단일 수지의 섬유이거나 코어-쉘 구조의 섬유일 수 있다. 천연 섬유는 황마(Jute) 섬유, 양마(Kenaf) 섬유, 아바카(Abaca) 섬유, 코코넛 섬유, 및 나무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 섬유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에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에 배치되고,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은 음향을 발생하거나 출력하는 진동 부재 또는 수동 진동 부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의 공간에서 외장재(20b) 또는 내장재(20c)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운송 장치(20)의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은 음향의 출력을 위한 진동판, 음향 진동판, 또는 음향 발생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출력을 위한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므로, 대면적의 진동판, 음향 진동판, 또는 음향 발생판의 기능을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에 의해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 음향의 주파수는 500Hz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운송 장치(20)의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에서 외장재(20b) 및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고, 외장재(20b) 및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제 9 또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9, 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의 공간에서 결합 부재(40)를 매개로 외장재(20b) 또는 내장재(20c) 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가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9)를 포함할 때, 지지 부재(800)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의 공간에서 결합 부재(40)를 매개로 내장재(20c) 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와 내장재(20c) 사이에 갭 공간(GS)이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5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이 갭 공간(GS)으로 출력되고, 내장재(20c)는 갭 공간(GS)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또는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S)을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11)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내장재(20c)를 진동시켜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장치(11)는 운송 장치(20)의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8은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도 46 내지 도 56b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된 장치를 포함하거나 적용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5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12)는 운송 장치(20)의 유리 창(20d)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 장치(20)의 유리 창(20d)은 전면 유리 창 및 옆면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운송 장치(20)의 유리 창(20d)은 후면 유리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창(20d)은 전체적으로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창(20d)은 투명부, 및 투명부를 둘러싸는 반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창(20d)은 투명부, 및 투명부를 둘러싸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창(20d)이 전체적으로 투명할 때,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투명하도록 구성되고, 유리 창(20d)의 중간 영역 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 창(20d)이 반투명부 또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하도록 구성되고 유리 창(20d)의 반투명부 또는 불투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투명 진동 발생 장치 또는 투명 음향 발생 장치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된 유리 창(20d)의 일면(또는 실내 표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전면 유리 창 및 옆면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 유리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유리 창(20d)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자체 진동에 따라 실내 공간(IS)으로 음향을 출력하거나 유리 창(20d)을 진동시켜 실내 공간(IS)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제 9 또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장치(9, 10)를 포함하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부재(800)와 진동 장치(5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결합 부재(60)를 매개로 유리 창(20d)의 일면(또는 실내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가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9)를 포함할 때, 지지 부재(800)는 결합 부재(60)를 매개로 유리 창(20d)의 일면(또는 실내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12)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른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을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12)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른 지지 부재(800)의 곡면부(850)의 진동을 통해 유리 창(20d)을 진동시켜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음향(S)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는 유리 창(20d)의 일면(또는 실내 표면)에 부착된 광학 필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광학 필름은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를 덮도록 유리 창(20d)의 일면(또는 실내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를 보호하거나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70)를 유리 창(20d)에 고정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 필름,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 필름, 및 열을 차단하는 열 차단 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장치(12)는 유리 창(20d)에 연결되어 자체 진동하거나 유리 창(20d)을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을 운송 장치(20)의 실내 공간(IS)과 외부 공간(OS)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9는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0은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59과 도 60의 운전석과 전방 동승석 주변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2는 도 59과 도 60의 도어 및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도 59과 도 60의 루프 패널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4는 도 59와 도 60의 루프 패널과 유리창 및 좌석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좌석과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운송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 장치는 차량, 기차,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메인 구조물(20a)과 외장재(20b) 및 내장재(20c) 사이에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는 메인 구조물(20a)과 외장재(20b) 사이, 메인 구조물(20a)과 내장재(20c) 사이, 또는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사이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는 데시 보드(23A), 필러 내장재(23B), 루프 내장재(23C), 도어 내장재(23D), 좌석 내장재(23E), 핸들 내장재(23F), 및 플로어 내장재(23G)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메인 구조물(또는 외장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G)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는 제 1 내지 제 7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23A) 사이에 배치되고, 데시 보드(23A)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데시 보드 스피커 또는 제 1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23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F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또는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23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조수석(FPS)과 마주하면서 경사진 제 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데시 보드(23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데시 보드(23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4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데시 보드(23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시 보드(23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시 보드(23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진동 발생 장치(25A)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필러 패널과 필러 내장재(23B) 사이에 배치되고 필러 내장재(23B)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필러 스피커, 트위터 스피커, 또는 제 2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패널은 전방 유리 창의 양쪽에 배치된 제 1 필러(또는 A 필러), 차체 중앙의 양쪽에 배치된 제 2 필러(또는 B 필러), 및 차체 뒤쪽의 양측에 배치된 제 3 필러(또는 C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내장재(23B)는 제 1 필러를 덮는 제 1 필러 내장재(23B1), 제 2 필러를 덮는 제 2 필러 내장재(23B2), 및 제 3 필러를 덮는 제 3 필러 내장재(23B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제 1 필러와 제 1 필러 내장재(23B1) 사이, 제 2 필러와 제 2 필러 내장재(23B2) 사이, 및 제 3 필러와 제 3 필러 내장재(23B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필러 내장재(23B1, 23B2, 23B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필러 내장재(23B1, 23B2, 23B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진동 발생 장치(25B)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0, 도 63,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루프 패널과 루프 내장재(23C) 사이에 배치되고 루프 내장재(23C)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루프 스피커 또는 제 3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패널 및 루프 패널을 덮는 루프 내장재(23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F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운전석(DS)과 조수석(FPS) 사이에 대응되는 제 3 영역, 운전석(DS) 뒤쪽의 제 1 후방 동승석(FPS1)에 대응되는 제 4 영역, 조수석(FPS) 뒤쪽의 제 2 후방 동승석(FPS2)에 대응되는 제 5 영역, 제 1 후방 동승석(FPS1)과 제 2 후방 동승석(FPS2) 사이에 대응되는 제 6 영역, 및 제 3 영역과 제 6 영역 사이의 제 7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루프 내장재(23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23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23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23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23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은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23D)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23D)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은 도어 스피커 또는 제 4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23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높이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23D) 사이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도어 내장재(23D)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은 제 1 도어 프레임(또는 좌측 프런트 도어 프레임), 제 2 도어 프레임(또는 우측 프런트 도어 프레임), 제 3 도어 프레임(또는 좌측 리어 도어 프레임), 및 제 4 도어 프레임(또는 우측 리어 도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장재(23D)는 제 1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1 도어 내장재(또는 좌측 프런트 도어 내장재)(23D1), 제 2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2 도어 내장재(또는 우측 프런트 도어 내장재)(23D2), 제 3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3 도어 내장재(또는 좌측 리어 도어 내장재)(23D3), 및 제 4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4 도어 내장재(또는 우측 리어 도어 내장재)(23D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각각과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사이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영역 또는/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중간 영역 또는/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영역 또는/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중간 영역 또는/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 1 도어 내장재(23D1)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와 제 2 도어 내장재(23D2)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도어 내장재(23D1)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와 제 2 도어 내장재(23D2)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도어 내장재(23D3)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4 도어 내장재(23D4)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상부 영역은 데시 보드(23A)에 인접한 제 1 상부 영역, 뒷자석(RPS1, RPS2, RPS3)에 인접한 제 2 상부 영역, 및 제 1 상부 영역과 제 2 상부 영역 사이의 제 3 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23D1, 23D2) 각각의 제 1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23D1, 23D2) 각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내지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23D1, 23D2) 중 하나 이상의 제 1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23D1, 23D2) 각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23D1, 23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9, 도 60,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좌석 프레임과 좌석 내장재(23E) 사이에 배치되고 좌석 내장재(23E)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시트 스피커, 헤드레스트 스피커, 또는 제 5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 프레임은 제 1 좌석 프레임(또는 운전석 프레임), 제 2 좌석 프레임(또는 조수석 프레임), 제 3 좌석 프레임(또는 제 1 동승석 프레임), 제 4 좌석 프레임(또는 제 2 동승석 프레임), 및 제 5 좌석 프레임(또는 제 3 동승석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 내장재(23E)는 제 1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1 좌석 내장재, 제 2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2 좌석 내장재, 제 3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3 좌석 내장재, 제 4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4 좌석 내장재, 및 제 5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5 좌석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5 좌석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좌석 바닥 프레임, 좌석 후방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내장재(23E)는 좌석 바닥 프레임을 둘러싸는 좌석 바닥 내장재(23E1), 좌석 후방 프레임을 둘러싸는 좌석 후방 내장재(23E2),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둘러싸는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바닥 내장재(23E1), 좌석 후방 내장재(23E2), 및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좌석 내부 내장재 및 좌석 외부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내부 내장재는 발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 외부 내장재는 섬유 또는 가죽을 포함하는 표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 외부 내장재는 표피층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좌석 후방 프레임과 좌석 후방 내장재(23E2) 사이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좌석 후방 내장재(23E2)의 좌석 외부 내장재와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의 좌석 외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및 조수석(F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좌석 후방 프레임과 좌석 후방 내장재(23E2) 사이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동승석(RPS1, RPS2, RP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동승석(RPS1, RPS2, RP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및 조수석(F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 후방 내장재(23E2)를 진동시키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조수석(FPS), 및 제 1 내지 제 3 동승석(RPS1, RPS2, RP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레스트 내장재(23E3)를 진동시키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25E)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는 핸들 프레임과 핸들 내장재(23F) 사이에 배치되고 핸들 내장재(23F)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는 핸들 스피커, 스티어링 스피커, 또는 제 6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는 핸들 내장재(23F)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내지 제 5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E)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하거나 다른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내지 제 5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하거나 다른 음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는 운전자에게만 제공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1 내지 제 5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E)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25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1 내지 제 5 진동 발생 장치(25A 내지 25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내장재(23G) 사이에 배치되고 플로어 내장재(23G)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앞좌석(DS, FPS)과 제 3 후방 동승석(FPS3) 사이에 배치된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내장재(23G)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플로어 스피커, 바닥 스피커, 언더 스피커, 또는 제 7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9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실내 공간에 노출된 내장재(20c)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25-2) 대신에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만을 포함하거나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재(20c)는 리어 뷰 미러(23H), 오버헤드 콘솔(23I),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 글러브 박스(23K), 및 선바이저(23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는 리어 뷰 미러(23H), 오버헤드 콘솔(23I),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 글러브 박스(23K), 및 선바이저(23L)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25H 내지 25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는 제 8 내지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H 내지 25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제 8 진동 발생 장치(25H)는 리어 뷰 미러(23H)에 배치되고 리어 뷰 미러(23H)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8 진동 발생 장치(25H)는 메인 구조물에 연결된 미러 하우징 및 미러 하우징에 지지된 리어 뷰 미러(23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진동 발생 장치(25H)는 도 5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5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8 진동 발생 장치(25H)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진동 발생 장치(25H)는 미러 스피커 또는 제 8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0, 도 61, 및 도 63을 참조하면,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오버헤드 콘솔(23I)에 배치되고 오버헤드 콘솔(23I)의 콘솔 커버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헤드 콘솔(23I)은 루프 패널에 매립된 콘솔 박스, 콘솔 박스에 배치된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와 콘솔 박스를 덮는 콘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오버헤드 콘솔(23I)의 콘솔 박스와 콘솔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콘솔 커버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오버헤드 콘솔(23I)의 콘솔 박스와 콘솔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콘솔 커버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콘솔 스피커, 조명 스피커, 또는 제 9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루프 내장재(23C)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중앙 조명 박스, 중앙 조명 박스에 배치된 중앙 조명 기구, 및 중앙 조명 기구를 덮는 중앙 조명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9 진동 발생 장치(25I)는 중앙 조명 기구의 중앙 조명 박스와 중앙 조명 커버 사이에 추가로 배치되고 중앙 조명 커버를 추가로 진동시킬 수 있다.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에 배치되고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는 제 1 내지 제 3 동승석(RPS1, RPS2, RPS3)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일부는 후방 유리창(23C)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배면에 배치되고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스피커 또는 제 10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는 제 1 후방 동승석(FPS1)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제 2 후방 동승석(FPS2)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3 후방 동승석(FPS3)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0 진동 발생 장치(25J)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제 11 진동 발생 장치(25K)는 글러브 박스(23K)에 배치되고 글러브 박스(23K)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러브 박스(23K)는 조수석(FPS)의 전방에 대응되는 데시 보드(23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1 진동 발생 장치(25K)는 글러브 박스(23K)의 안쪽면에 배치되고 글러브 박스(23K)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발생 장치(25K)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발생 장치(25K)는 글러브 박스 스피커 또는 제 11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1을 참조하면,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선바이저(23L)에 배치되고 선바이저(23L)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바이저(23L)는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선바이저(23L1), 및 조수석(FPS)에 대응되는 제 2 선바이저(23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제 1 선바이저(23L1) 및 제 2 선바이저(23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제 1 선바이저(23L1) 및 제 2 선바이저(23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진동 발생 장치(25G)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선바이저 스피커 또는 제 12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선바이저(23L1) 및 제 2 선바이저(23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선바이저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제 1 선바이저(23L1) 및 제 2 선바이저(23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바이저 미러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바이저 미러를 진동시키는 제 12 진동 발생 장치(25L)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9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유리창(20d)에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25-1, 2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신에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를 포함하거나 제 1 내지 제 3 음향 발생 장치(25-1, 25-2, 25-3)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는 유리창(20d)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25M 내지 25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는 제 13 내지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M 내지 25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는 윈도우 스피커, 투명 음향 발생 장치, 투명 스피커, 또는 투명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3 내지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M 내지 25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유리창(20d)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내지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M 내지 25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를 포함하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창(20d)은 전방 유리 창(24A), 옆면 유리 창(24B), 및 후방 유리 창(24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창(20d)은 루프 유리 창(2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가 루프 유리 창(24D)을 포함할 때, 루프 프레임과 루프 내장재(23C)의 영역 중 일부는 루프 유리 창(24D)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가 루프 유리 창(24D)을 포함할 때, 제 3 진동 발생 장치(25C)는 루프 유리 창(24D)을 둘러싸는 루프 내장재(23C)의 가장자리 부분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전방 유리 창(24A)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전방 유리 창(24A)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유리 창(24A)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F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또는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전방 유리 창(24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전방 유리 창(24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전방 유리 창(24A)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유리 창(24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유리 창(24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진동 발생 장치(25M)는 전방 윈도우 스피커 또는 제 13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0 내지 도 62,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옆면 유리 창(24B)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옆면 유리 창(24B)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옆면 유리창(23B)은 제 1 옆면 유리 창(또는 좌측 프런트 윈도우)(23B1), 제 2 옆면 유리 창(또는 우측 프런트 윈도우)(23B2), 제 3 옆면 유리 창(또는 좌측 리어 윈도우)(23B3), 및 제 4 옆면 유리 창(또는 우측 리어 윈도우)(23B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4B1 내지 23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4B1 내지 23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4B1 내지 23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해당하는 옆면 유리 창(24B1 내지 23B4)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4B1 내지 23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진동 발생 장치(25N)는 옆면 윈도우 스피커 또는 제 14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유리 창(24C)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후방 유리 창(24C)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유리 창(24C)은 제 1 후방 동승석(FPS1)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제 2 후방 동승석(FPS2)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3 후방 동승석(FPS3)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4C)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진동 발생 장치(25O)는 후방 윈도우 스피커 또는 제 15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루프 유리 창(24D)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루프 유리 창(24D)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유리 창(24D)은 앞좌석(DS, FPS)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루프 유리 창(24D)의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루프 윈도우 스피커 또는 제 16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유리 창(24D)은 앞좌석(DS, PS) 위에 배치되거나 앞좌석(DS, PS)과 뒷자석(RPS1, RPS2, RPS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유리 창(24D)은 앞좌석(DS, P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및 뒷자석(RPS1, RPS2, RPS3)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 유리 창(24D)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루프 유리 창(24D)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루프 유리 창(24D)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유리 창(24D)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6 진동 발생 장치(25P)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데시 보드(23A), 도어 프레임(23B),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우퍼 스피커(W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WS)는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우퍼 스피커(WS)는 60Hz에서 150Hz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퍼 스피커(WS)는 60Hz에서 150Hz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데시 보드(23A)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도어 내장재(23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각각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23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하부 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도어 내장재(23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23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각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는 우퍼 스피커(WS)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23D1 내지 23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제 4 진동 발생 장치(25D)은 우퍼 스피커(WS)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1 및 도 6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실내 공간에 노출된 내장재(20c)의 일부를 덮는 가니쉬 부재(23M), 및 내장재(20c)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장치(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니쉬 부재(23M)는 실내 공간에 노출된 도어 내장재(23D)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니쉬 부재(23M)는 실내 공간에 노출된 데시 보드(23A), 필러 내장재(23B), 및 루프 내장재(23C) 중 하나 이상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니쉬 부재(23M)는 진동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니쉬 부재(23M)의 금속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마그네슘(Mg), 마그네슘(Mg) 합금, 및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니쉬 부재(23M)의 비금속 재질(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은 플라스틱, 섬유, 가죽, 목재, 고무, 천, 가죽, 및 종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니쉬 부재(23M)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재료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음역대는 1kHz 이상 또는 3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4 음향 발생 장치(25-4)는 가니쉬 부재(23M)와 내장재(20c) 사이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25Q)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장치(25-4)는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장치(25-4) 또는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는 가니쉬 스피커 또는 제 17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는 메인 내장재(20c)와 가니쉬 부재(23M) 사이에 배치되고 결합 부재를 통해 가니쉬 부재(23M)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는 가니쉬 부재(23M)를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장치(20)의 실내 공간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7 진동 발생 장치(25Q)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외장재(20b)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 5 음향 발생 장치(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5 음향 발생 장치(25-5)는 후드 패널(22A), 프런트 휀더 패널(22B), 및 트렁크 패널(22C) 중 하나 이상과 메인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25R, 25S, 25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음향 발생 장치(25-5)는 하나 이상의 제 18 내지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R, 25S, 25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후드 패널(22A)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고, 후드 패널(22A)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장치(20)의 외부 공간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후드 패널(22A)의 내측면의 중심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결합 부재를 통해 후드 패널(22A)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8 진동 발생 장치(25R)는 후드 패널 스피커 또는 제 18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프런트 휀더 패널(22B)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고, 프런트 휀더 패널(22B)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장치(20)의 외부 공간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프런트 휀더 패널(22B)의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결합 부재를 매개로 프런트 휀더 패널(22B)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19 진동 발생 장치(25S)는 휀더 패널 스피커 또는 제 19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트렁크 패널(22C)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고, 트렁크 패널(22C)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장치(20)의 외부 공간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트렁크 패널(22C)의 내측면의 중심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도 46 내지 도 5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9, 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트렁크 패널(22C)의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 20 진동 발생 장치(25T)는 트렁크 패널 스피커 또는 제 20 스피커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제 5 음향 발생 장치(25-5)는 도어 이너 패널 및 도어 아우터 패널 중 하나 이상과 메인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계기판 장치(26)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장치(26)는 운전석(DS)을 향하도록 데시 보드(23A)의 제 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계기판 장치(26)는 운전석(DS)을 향하도록 데시 보드(23A)의 제 1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또는 제 1 디스플레이)(2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26A)는 도 1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 2, 3, 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계기판 장치(26)은 제 1 디스플레이(26A)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른 진동 부재(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운전석(D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기판 장치(26)의 제 1 디스플레이(26A)에 배치된 진동 장치(500)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데시 보드(23A)의 제 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데시 보드(23A)의 제 3 영역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데시 보드(23A)의 제 3 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장치(20)의 전원 오프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데시 보드(23A)의 내부로 수납 또는 수용되고, 장치(20)의 전원 온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데시 보드(23A)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데시 보드(23A)의 제 3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또는 제 2 디스플레이)(27A), 및 디스플레이 승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27A)는 도 1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 2, 3, 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장치(27)는 제 2 디스플레이(27A)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운전석(D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장치(27)의 제 2 디스플레이(27A)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승강 장치는 데시 보드(23A)의 제 3 영역 내부에 배치되어 제 2 디스플레이(27A)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승강 장치는 장치(20)의 전원이 온되거나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27A)를 상승시켜 데시 보드(23A) 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승강 장치는 장치(20)의 전원 오프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27A)를 하강시켜 데시 보드(23A)의 내부로 수납 또는 수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메인 구조물(20a)과 내장재(20c) 사이에 배치된 제 1 음향 발생 장치(25-1), 실내 공간에 노출된 내장재(20c)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25-2), 유리창(20d)에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25-3), 가니쉬 부재(23M)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장치(25-4), 및 외장재(20b)에 배치된 제 5 음향 발생 장치(25-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음향을 실내 공간 및 외부 공간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외장재(20b)와 내장재(20c) 중 하나 이상을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다채널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계기판 장치(26)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6A, 2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음향 발생 장치(25-1, 25-2, 25-3)와 계기판 장치(26)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7) 각각을 통해 더욱 실감나는 다채널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5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장치(20)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23J) 상에 배치된 사운드 바(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바(28)는 인포테인먼트 장치(27)에 연동되어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바(28)는 도 36 내지 4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제 5 내지 제 9 실시예에 따른 장치(2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와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응답 속도(Responsed; m/s/V))을 나타낸다. 도 65의 굵은 실선은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를 나타내고, 실선은 지지 부재의 평탄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한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를 나타낸다.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는 음향 분석 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 분석 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 카드, 그리고 사운드 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진동 장치에 증폭 전달하는 앰프(amplifier), 진동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 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장치의 피크 응답 속도를 분석하게 된다.
피크 응답 속도는 사방이 폐쇄된 무향실에서 측정되었으며, 측정 장비는 Audio Precision사의 APX525 장비를 사용하였다. 측정 시, 인가된 주파수 신호는 20Hz~5kHz까지 사인 스윕(Sine sweep)으로 하였고, 측정 결과는 1/3 옥타브 스무딩(Octave smoothing)을 실시하였다. 장치와 마이크 사이의 이격 거리는 50cm로 하였다. 측정 방법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 65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은 실선과 비교하여, 200Hz 대역에서 피크 응답 속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굵은 실선의 피크 응답 속도는 실선의 피크 응답 속도와 비교하여, 200Hz에서 대략 10배 정도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저음역대에서 응답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과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64의 굵은 실선은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압 특성을 나타내고, 점선은 지지 부재의 평탄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한 실험예에 따른 장치의 음압 특성을 나타낸다.
음향 출력 특성은 음향 분석 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 분석 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 카드, 그리고 사운드 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진동 장치에 증폭 전달하는 앰프(amplifier), 진동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 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음향 출력 특성은 사방이 폐쇄된 무향실에서 측정되었으며, 측정 장비는 Audio Precision사의 APX525 장비를 사용하였다. 측정 시, 인가된 주파수 신호는 20Hz~40kHz까지 사인 스윕(Sine sweep)으로 하였고, 측정 결과는 1/3 옥타브 스무딩(Octave smoothing)을 실시하였다. 장치와 마이크 사이의 이격 거리는 50cm로 하였다. 측정 방법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 66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은 실선과 비교하여, 200Hz 대역에서 음압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굵은 실선의 음압은 실선의 음압과 비교하여, 대략 200Hz에서의 음압이 15dB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의 곡면부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저음역대에서 음압 증가로 인하여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6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2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60dB 이상의 음압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우수한 압전 물질로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를 이용해 저역음대의 음압 특성이 향상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68에서, 굵은 실선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 1cm의 높이(또는 곡률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고, 실선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 2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며, 점선은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예의 음압 특성이다. X축 방향은 진동 발생 장치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도 68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은 점선과 비교하여, 200Hz 이상 300Hz이하에서의 음압이 감소하지만, 1kHz 이상 2kHz 이하에서의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X축 방향으로 곡면부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역대에서의 피크(Peak)와 딥(Dip)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피크는 특정주파수에서 음압이 튀는 현상이고, 딥은 특성주파수의 음향 발생이 억제되어 낮은 음압이 발생되는 현상일 수 있다.
도 6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69에서, 굵은 실선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 0.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고, 실선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 0.2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며, 점선은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예의 음압 특성이다.
도 69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은 점선과 비교하여, 200Hz 이하에서의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점선의 경우 250Hz 부근에서 피크가 형성되지만,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의 경우 대략 180Hz에서 피크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실험예보다 더 넓은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저역음대의 음압 특성이 향상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70에서, 굵은 실선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Y축 방향으로 0.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고, 실선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Y축 방향으로 1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며, 점선은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예의 음압 특성이다. Y축 방향은 진동 발생 장치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이다.
도 70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은 점선과 비교하여, 200Hz 이상 300Hz이하에서의 음압이 감소하지만, 1kHz 이상 2kHz 이하에서의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Y축 방향으로 곡면부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역대에서의 피크(Peak)와 딥(Dip)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1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71에서, 굵은 실선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Y축 방향으로 0.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고, 실선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Y축 방향으로 0.2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며, 점선은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예의 음압 특성이다.
도 71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은 점선과 비교하여, 300Hz에서의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선은 굵은 실선과 실선 각각과 비교하여, 300Hz에서의 음압 감소로 인하여 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Y축 방향으로 곡면부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역대에서의 피크(Peak)와 딥(Dip)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별 음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2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72에서, 굵은 실선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 0.2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고, 실선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Y축 방향으로 0.5cm의 높이를 갖는 곡면부로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의 음압 특성이며, 점선은 진동 발생 장치에 인장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예의 음압 특성이다.
도 72에서 알 수 있듯이, 곡면부의 높이가 진동 발생 장치의 장변 방향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형성될 때, 곡면부의 높이가 진동 발생 장치의 단변 방향과 나란한 X축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보다 더 높은 음압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우수한 압전 물질을 이용한 진동 발생 장치에서, 곡면부의 곡률 높이와 곡률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역대에서의 피크(Peak)와 딥(Dip)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이 향상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곡면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곡면부에 배치되고 곡면부의 곡면에 의해 곡면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고 곡면부를 갖는 후면부, 및 후면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진동 부재를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는 후면부로부터 지지 부재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의 곡면부와 진동 부재 사이의 갭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 및 곡면부와 진동 발생기 사이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층,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있는 복수의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진동층,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곡면부와 연결 부재 사이에 있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의 중심부와 진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진동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과 진동 부재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곡면을 갖는 곡면부, 및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홀을 덮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진동 발생기, 및 플레이트와 진동 발생기 사이에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금속, 플라스틱, 종이, 목재, 고무, 섬유, 천,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진동 부재의 후면과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후면부; 후면부로부터 후면부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돌출부로부터 진동 부재의 후면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및 후면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진동 부재를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곡면부에 배치되고 진동 부재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표시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 발광 조명 패널, 무기 발광 조명 패널, 및 사이니지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금속,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섬유, 천, 종이, 거울,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고, 지지 부재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표시 패널은 진동 장치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자 습윤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표시 패널과 지지 부재 사이에 있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백라이트를 진동시키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곡면부를 갖는 지지 부재, 및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진동 발생기; 및 곡면부와 진동 발생기 사이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층,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있는 복수의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진동층,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곡면부는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홀을 덮도록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고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덮는 인클로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곡면부는 돌출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하며, 진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홀을 덮도록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수동 진동 부재, 및 수동 진동 부재에 연결되고 수동 진동 부재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수동 진동 부재, 및 수동 진동 부재에 연결되고 수동 진동 부재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곡면부를 갖는 지지 부재, 및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진동 부재는 금속, 플라스틱, 종이, 섬유, 목재, 고무, 천, 가죽, 유리,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 발광 조명 패널, 무기 발광 조명 패널, 사이니지 패널, 운송 수단의 내장재, 운송 수단의 외장재, 운송 수단의 유리창, 운송 수단의 좌석 내장재, 건물의 천장재, 건물의 내장재, 건물의 유리창, 항공기의 내장재, 항공기의 유리창,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진동 부재는 차량의 내장재이며, 차량 내장재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플로어 내장재,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플로어 내장재,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장치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슬라이딩 기기(sliding apparatus), 가변형 기기(variable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차량용 장치, 극장용 장치, 극장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유기 발광 조명 장치 또는 무기 발광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가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경우 스피커, 리시버, 및 햅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진동 부재
300: 지지 부재
500: 진동 장치

Claims (35)

  1.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지지 부재; 및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곡면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의 곡면에 의해 곡면 형상으로 벤딩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고 상기 곡면부를 갖는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부재를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곡면부와 상기 진동 부재 사이의 갭 공간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진동 발생기; 및
    상기 곡면부와 상기 진동 발생기 사이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층;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있는 복수의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진동층;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곡면부와 연결 부재 사이에 있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의 중심부와 상기 진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진동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진동 부재 사이의 거리와 다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곡면을 갖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을 덮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진동 발생기;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진동 발생기 사이에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금속, 플라스틱, 종이, 목재, 고무, 섬유, 천,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과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에 있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로부터 상기 후면부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부재를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과 마주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표시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 발광 조명 패널, 무기 발광 조명 패널, 및 사이니지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금속,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섬유, 천, 종이, 거울,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진동 장치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자 습윤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인,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있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를 진동시키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
  22. 곡면부를 갖는 지지 부재; 및
    상기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진동 발생기; 및
    상기 곡면부와 상기 진동 발생기 사이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층;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있는 복수의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진동층;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에 있는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층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을 덮도록 상기 곡면부에 배치된,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덮는 인클로저를 더 포함하는, 장치.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곡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을 덮도록 상기 곡면부에 배치된, 장치.
  32. 수동 진동 부재; 및
    상기 수동 진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 진동 부재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진동 부재는 금속, 플라스틱, 종이, 섬유, 목재, 고무, 천, 가죽, 유리,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 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 발광 조명 패널, 무기 발광 조명 패널, 사이니지 패널, 운송 수단의 내장재, 운송 수단의 외장재, 운송 수단의 유리창, 운송 수단의 좌석 내장재, 건물의 천장재, 건물의 내장재, 건물의 유리창, 항공기의 내장재, 항공기의 유리창,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진동 부재는 차량의 내장재이며,
    상기 차량 내장재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플로어 내장재,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플로어 내장재,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는, 장치.
KR1020220036809A 2021-05-04 2022-03-24 장치 KR2022015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1116524A TWI837654B (zh) 2021-05-04 2022-04-29 用於輸出聲音的設備
US17/735,012 US20220371051A1 (en) 2021-05-04 2022-05-02 Apparatus
JP2022076199A JP2022172467A (ja) 2021-05-04 2022-05-02 装置
EP22171193.0A EP4087272A1 (en) 2021-05-04 2022-05-02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CN202210480009.1A CN115297410A (zh) 2021-05-04 2022-05-05 声音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7923 2021-05-04
KR1020210057923 2021-05-04
KR1020210194809 2021-12-31
KR1020210194809A KR20220150820A (ko) 2021-05-04 2021-12-31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822A true KR20220150822A (ko) 2022-11-11

Family

ID=8404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809A KR20220150822A (ko) 2021-05-04 2022-03-24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87272A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CN111276076B (zh) 显示设备
CN111276062A (zh) 显示设备
US20230007404A1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and vehicula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WI837654B (zh) 用於輸出聲音的設備
KR20220150822A (ko) 장치
KR20220150820A (ko) 장치
EP4207807A1 (en) Apparatus
US20230121224A1 (en) Vibration apparatu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vehicular apparatus including the vibration apparatus
KR20230173953A (ko)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US20230217185A1 (en) Apparatus
US20240179457A1 (en) Apparatus
US20240007795A1 (en) Apparatus
US20240098405A1 (en) Vibration apparatus,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03908A (ko) 장치
KR20220097279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KR20230103751A (ko)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TW202414381A (zh) 振動設備及聲音輸出設備及包含其之車用設備
KR20220097278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CN113691913A (zh) 显示设备
JP2022105325A (ja)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TW202410702A (zh) 聲音輸出裝置以及振動產生裝置
JP2022105326A (ja)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