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21A -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21A
KR20220150721A KR1020210058041A KR20210058041A KR20220150721A KR 20220150721 A KR20220150721 A KR 20220150721A KR 1020210058041 A KR1020210058041 A KR 1020210058041A KR 20210058041 A KR20210058041 A KR 20210058041A KR 20220150721 A KR20220150721 A KR 2022015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pipe
sewage
sewage treatme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이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721A/ko
Publication of KR2022015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or close to th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에 세로로 설치되며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케이슨(caisson) 및 상기 케이슨을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오수를 처리할 때에 해저면을 향하여 상기 파이프에서 상기 케이슨을 연장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오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슨의 하단으로 처리수를 배출한다.

Description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Ship having caisson}
본 발명은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선박에서 발생하는 냉각수 등의 오수는 바다로 방출된다. 오수는 기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바다로 버려지게 된다.
오수 배출 시에는 여러 배관을 모아서 바다 아래로 배출하고 이를 위해 케이슨이 자주 이용되게 된다. 이 때, 케이슨은 수면 상의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된다.
그런데 선박이 계류하는 각 국가마다 법령 등에 의해 케이슨을 설치되는 깊이가 달라지므로, 오수를 배출할 때마다 깊이를 조절하여 선박에 케이슨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4021호
본 발명은, 설치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세로로 설치되며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케이슨(caisson) 및 상기 케이슨을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오수를 처리할 때에 해저면을 향하여 상기 파이프에서 상기 케이슨을 연장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오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슨의 하단으로 처리수를 배출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오수를 공급하는 오수 공급부 및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케이슨 내부에서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크레인 또는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슨의 외면에는 상기 크레인 또는 상기 윈치의 후크 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견인 러그(lug)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슨의 상단에 상기 플랜지가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랜지의 상면 또는 상기 케이슨 상단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슨의 연장 시에 상기 파이프와 상기 케이슨의 틈을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슨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슨의 상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서, 오수가 배출할 때에 수면 아래에 원하는 깊이로 케이슨을 배치 및 설치하는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에 설치되는 파이프 및 케이슨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에서 케이슨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에 설치되는 파이프 및 케이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에서 케이슨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30)을 구비한 선박은, 선체(10), 파이프(20), 케이슨(caisson, 30) 및 이동장치(4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선박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선체(10)에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장치 및 시스템이 갖추어지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청수 및 해수가 선체(10)에서 오수로 배출된다.
파이프(20)는, 선체(1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모아서 케이슨(30)으로 보내는 경로를 형성한다. 파이프(20)는 선체(10)에 세로로 설치되며, 오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이 관통된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체(10)의 측면에 세워져 고정되고, 하단에 케이슨(3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20)의 상단이 오수가 들어오는 유입구가 되며, 아래로 흘러서 파이프(20)에서 나가는 오수는 케이슨(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선체(10)의 측면에는 지지대(12)가 설치되어 세로로 배치된 파이프(20)를 잡아서 고정할 수 있다.
케이슨(30)은 오수를 모아서 바다 아래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슨(30)은 파이프(20)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슨(30)은 파이프(20)의 하단에 설치되며,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슨(30)은, 파이프(20)와 같이, 오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이 관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슨(30)은 파이프(2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케이슨(30)에 파이프(20)가 끼워져 배치될 수 있어서, 케이슨(30)은 파이프(20)에서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오수가 배출할 때에 케이슨(30)이 연장되며, 수면(1) 아래에 원하는 깊이로 케이슨(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20)에서 케이슨(30)이 안전하게 연장되도록, 케이슨(30)에는 파이프(2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3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30)이 파이프(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이프(20)는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 22)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22)는 케이슨(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슨(30)의 상단(32)에 플랜지(22)가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슨(30)의 상단(32)에는 플랜지(22)가 빠지지 않도록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20)와 케이슨(30)의 틈을 밀봉하는 씰링부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부재(25)는 파이프(20)와 케이슨(30)의 틈을 막아서 오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씰링부재(25)는 플랜지(22)의 상면 또는 케이슨(30) 상단의 하면에 배치되어, 케이슨(30)의 연장 시에 파이프(20)와 케이슨(30)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이동장치(40)는, 케이슨(30)을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파이프(20) 및 케이슨(30)이 세워져 배치되고, 이동장치(40)는 케이슨(30)을 파이프(2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장치(40)는 크레인 또는 윈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케이슨(30)의 외면에는 크레인 또는 윈치(44)의 후크 또는 와이어(42)가 연결되는 견인 러그(lug, 3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케이슨(30)을 구비한 선박은, 오수를 처리할 때에 해저면을 향하여 파이프(20)에서 케이슨(30)을 연장시키고, 파이프(20)의 상단에 오수를 공급하고 케이슨(30)의 하단으로 오수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케이슨(30)은 오수에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20)의 상단에 오수를 공급하는 오수 공급부(50)와, 파이프(20) 또는 케이슨(30) 내부에서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 배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수 공급부(50)는 공급관(52)을 파이프(20)에 삽입하여 냉각수 등의 오수를 공급할 수 있다. 파이프(20)에 오수를 공급하면, 파이프(20) 또는 케이슨(30) 내부에 배치된 오수 위에는 기름 등의 부유물질이 떠 있게 된다. 오염물질 배출부(60)는 배출관(62)을 파이프(20)로 삽입하여 오수 위의 부유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수 공급부(50)와 오염물질 배출부(60)는 선박에 구비되는 형태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수 공급부(50)와 오염물질 배출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계류 시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20: 파이프
22: 플랜지 30: 케이슨
40: 이동장치 50: 오수 공급부
60: 오염물질 배출부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에 세로로 설치되며,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케이슨(caisson); 및
    상기 케이슨을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오수를 처리할 때에, 해저면을 향하여 상기 파이프에서 상기 케이슨을 연장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오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슨의 하단으로 처리수를 배출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오수를 공급하는 오수 공급부; 및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케이슨 내부에서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크레인 또는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슨의 외면에는 상기 크레인 또는 상기 윈치의 후크 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견인 러그(lug)가 형성된,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케이슨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슨의 상단에 상기 플랜지가 걸려서 지지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면 또는 상기 케이슨 상단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슨의 연장 시에 상기 파이프와 상기 케이슨의 틈을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KR1020210058041A 2021-05-04 2021-05-04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KR20220150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41A KR20220150721A (ko) 2021-05-04 2021-05-04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41A KR20220150721A (ko) 2021-05-04 2021-05-04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21A true KR20220150721A (ko) 2022-11-11

Family

ID=8404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41A KR20220150721A (ko) 2021-05-04 2021-05-04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7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021A (ko) 2013-07-02 2015-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용 공조시스템의 덕트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021A (ko) 2013-07-02 2015-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용 공조시스템의 덕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191B1 (en) Horizontal gas flotation separator
CN110461145B (zh) 漂浮设备
US106339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GB20637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ubsea oil leakage and the like
JP3452573B2 (ja) 油吸取ステーション
AU2019339202A1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sludge and/or sand from the bottom of a wetland
US5108600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00037079A (ko)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KR20220150721A (ko) 오수 처리용 케이슨을 구비한 선박
EP0011052A1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s and/or slimes floating on liquid surfaces
US4797063A (en) Floating suction apparatus
US6238577B1 (en) Self-leveling weir
CA1107661A (en) Collection and separation of uncontrolled blow out material from bore holes in the ocean floor
NO20016098D0 (no) Flotasjonsapparatur for separasjon av olje/vann
KR101349860B1 (ko) 오일 언로딩 장치
KR101003190B1 (ko)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수상시설물용 포스트장치
KR101455105B1 (ko) 오일제거장치
KR101630695B1 (ko) Fpso의 배수 트렌치
CN209144897U (zh) 河道固定漂浮平台底部旋转吹扫清淤装置
KR101445780B1 (ko) 오수 처리 시설의 슬러지 부상 방지 장치
GB2257051A (en) Skimming apparatus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KR102210080B1 (ko) 유수분리장치
JP2000009039A (ja) 水位追従式水中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