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242A -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242A
KR20220150242A KR1020220137487A KR20220137487A KR20220150242A KR 20220150242 A KR20220150242 A KR 20220150242A KR 1020220137487 A KR1020220137487 A KR 1020220137487A KR 20220137487 A KR20220137487 A KR 20220137487A KR 20220150242 A KR20220150242 A KR 2022015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scanner
sensor
processor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용
김경호
진남민
이인호
김형기
이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손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손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손컴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5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test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Abstract

본 개시는, 캐리어, 제1 센서, 제1 스캐너, RF 인코더, 제2 스캐너,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RF 인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RADIO FREQUENCY ENCOD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개시는, QR 코드의 스캔을 이용하여 RF칩을 인코딩하고, 인코딩한 RF칩을 식별함으로써 검수하는,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뢰성의 이유로, 식별 라벨을 이용한 식별시스템은 정보가 저장된 전자칩과 원격 리더와 데이터를 교환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전자칩과 안테나가 서로 연결된 RF 방식의 무선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고유 ID나 센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리더가 요청하면 그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식별) 방식은 물류, 운송, 식별, 위조 방지와 같은 많은 산업 및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RFID 시스템들은, 추적되는 물품들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태그들"의 안테나와 송수신기들 또는 RFID 판독기들의 안테나를 연결시킴으로써 동작한다. 종래의 RFID 장치들은 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들 중 하나의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고, 서로 다른 다수의 인코딩 구조들(encoding schemes) 중 하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현재 125 kHz, 13.56 MHz, 915 MHz, 및 2.4 GHz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을 이용 가능하다. 단일 주파수에서만 동작하고 추적되는 물품들에 부착된 RFID 태그들은 그 주파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고유하고 호환성이 없는 인코딩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RF칩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장치는, RF칩의 손상 또는 인코딩의 오류 등에 따른 인코딩된 RF칩의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RF칩을 인코딩하는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RF칩에 대한 검수 단계가 포함되지 않아 불량 RF칩을 필터링할 수 없고, 별도의 필터링 장치 및 단계가 더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 상기 제1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 상기 RF 인코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 상기 제2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는,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 상기 제1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RF 인코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 상기 제2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캐너 및 상기 제2 스캐너는, 상기 RF칩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로서 상기 RF칩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기록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QR 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 리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기 RF칩의 배출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된 회전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타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RF칩의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RF칩의 배출을 감지함에 기반하여,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에 따라 상기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이 정상인 경우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이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상기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및 상기 RF 리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RF 리더에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식별 가능하고,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제2 스캐너에서 스캔한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RF칩을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방법은, 제1 센서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벨트로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동작, 제1 스캐너에서,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 RF 인코더에서,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동작, 제2 스캐너에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 RF 리더에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은,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일측으로 상기 RF칩을 개별로 컷팅하여 제공하는 공급 장치,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 상기 제1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RF 인코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 상기 제2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RF칩을 인코딩한 이후에 시각적 인식 코드와의 비교를 통해 불량 여부를 검수함으로써 인코딩한 RF칩의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를 통해 신속하게 RF칩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정확하고 신속한 RF칩의 인코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RF칩을 공급하고, 인코딩 및 검수가 완료된 RF칩을 연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RF칩의 인코딩 속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은, RF 인코딩 장치(100) 및 공급 장치(200)를 포함한다.
먼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식별)는 식별 시스템과 특정 대상 사이에 기계적 또는 광학적 접촉을 설정할 필요없이 특정 대상을 식별하고 무선 신호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읽고 쓸 수있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무선 신호는 무선 주파수에 맞춰진 전자기장을 통해 물체에 부착 된 라벨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물체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추적한다. 기본적으로,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 리더 및 RFID 안테나. RFID는 판독기 범위 내에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RFID를 사용하는 전자 칩의 외부 환경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물, 기름, 화학 물질과 같은 물질에 대한 내성이 강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강력한 방오 효과를 갖는다.
또한,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전자 RF칩을 사용하고, 그 데이터는 인코딩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위조 및 변경이 쉽지 않으므로, 강력한 보안성을 갖는다.
또한, 바코드는 한 번에 하나씩만 스캔할 수 있으며 판독기에 가까이 있어야하는 반면, RFID 시스템은 전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고 RFID 리더는 장거리에서 여러 개의 RFID 태그를 동시에 식별하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판독시 크기와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판독 정확도를 위해 용지의 고정 크기 및 인쇄 품질과 일치할 필요가 없어, 다양한 용도에 맞게 소형화 및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고, 바코드 용량의 수십 배가 되는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어 정보 업데이트가 용이하다. 또한, RFID 태그는 최대 10 년의 긴 서비스 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종이, 목재 및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또는 불투명 재료를 관통할 수 있어, 투명하게 통신할 수 있다.
즉, RFID는 기존의 바코드 등과 같은 식별 방식에 대비하여,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RFID는 물류, 운송, 식별, 위조 방지와 같은 많은 산업 및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다만, 비용, 설치 등의 문제로 RFID 시스템의 적용이 불완전한 문제에 따라, RF칩은 바코드 등과 같은 시각적 인식 코드와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칩은, 의류에 부착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F칩은 의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섬유 재질 또는 지류 재질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F칩은 섬유 재질 또는 지류 재질의 상면 및 하면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면과 하면의 접착 또는 결합에 의해 상면 및 하면 사이의 포켓에 삽입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100)는,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111)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111)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110), 상기 이송벨트(111)의 일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111)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120), 상기 이송벨트(1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센서(120)보다 상기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120)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130), 상기 제1 스캐너(130)보다 상기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130)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140), 상기 이송벨트(1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RF 인코더(140)보다 상기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150), 상기 제2 스캐너(150)보다 상기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1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10)는, 이송벨트(111)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10)는 프로세서(19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캐리어(110)에는 전력을 공급 받아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모터는 프로세서(19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방향 및/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되거나,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랙기어는 이송벨트(11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피니언기어는 이송벨트(111)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111)에 의해 둘러싸이는 롤러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11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외부로 노출된 상면이 캐리어(110)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벨트(111)는 캐리어(110)에 포함된 랙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랙기어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벨트(111)는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내주면의 일부가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 롤러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111)의 내주면 또는 롤러에는 서로 슬립을 방지하도록 요철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송벨트(111)는 슬립이 방지되도록 마찰력이 큰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벨트(111)는 마찰계수가 큰 고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111)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외측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걸림턱(112)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걸림턱(112) 사이에는 공급 장치(200)에서 공급된 RF칩이 위치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스(S)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스페이스(S)는 각각의 일측 및 타측에 걸림턱(112)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의 걸림턱(112)에 의해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스페이스(S)는 RF칩의 크기보다 큰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걸림턱(112)은, 이송벨트(11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양측이 스페이스(S)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90)는 캐리어(110)가 이송벨트(111)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속도 중에서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속도는 하기의 수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v는 캐리어(110)가 이송벨트(111)를 이동시키는 속도([m/sec])이고, n은 자연수(1, 2, 3…)이며, l는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스페이스(S) 사이의 거리(또는 스페이스(S)의 길이)이고, x는 공급 장치(200)가 단위 시간당 이송벨트(111)로 공급하는 RF칩의 개수([ea/sec])이다.
예를 들어, n이 1이면 복수 개의 스페이스(S)마다 RF칩이 공급되며, n이 2이면 2개의 스페이스(S)마다 하나씩 RF칩이 공급되며, n이 3이면 3개의 스페이스(S)마다 하나씩 RF칩이 공급될 수 있다. 캐리어(110)가 이송벨트(111)를 이동시키는 속도([m/sec])의 최솟값은 v = l * x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장치(200)에 의해 공급되는 RF칩이 이송벨트(111)의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각각의 스페이스(S)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120)는, 이송벨트(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급 장치(200)에서 공급되어 유입되는 RF칩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20)의 센싱 영역은 이송벨트(111)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벨트(111)의 상면으로 유입된 RF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12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제1 센서(12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20)는 이송벨트(1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방에서 이송벨트(111)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이송벨트(111)의 이동에 의해 이송벨트(111)의 상면에서 이송되는 RF칩의 높이보다 큰 이격거리로 이송벨트(1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캐너(130)는, 제1 센서(120)의 측방에 위치되며, 특히 제1 센서(12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되어, 제1 센서(120)에서 유입을 감지한 RF칩의 시각적 인식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스캐너(130)는 캐리어(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기둥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송벨트(111)의 상면을 향하도록 감지영역이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제1 스캐너(130)는 감지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제1 센서(12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스캐너(130)에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으로 시각적 인식 코드를 조사(照射)하는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져 시각적 인식 코드를 조사하는 발광장치 및 시각적 인식 코드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판독하는 판독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시각적 인식 코드로에서 반사된 광신호는 포토트랜지스터 기반 시스템에 의한 CCD 센서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일 실시예로, RF칩은 시각적 인식 코드를 구비할 수 있고, 시각적 인식 코드는 RF칩을 감싸는 커버(예를 들어, 섬유 재질 또는 지류 재질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는 QR 코드이거나, 바코드일 수 있다.
제1 스캐너(130)는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스캐너(130)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더(140)는 제1 스캐너(13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스캐너(130)에서 스캔된 RF칩에 제1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1 스캐너(130)에서 스캔된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90)에는, 상호 구분되는 복수의 시각적 인식 코드 각각에 대응되어 RF칩에 인코딩 되어야 할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시각적 인식 코드 각각에 대응되어 RF칩에 인코딩 되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F 인코더(140)는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가 디지털 정보의 형태로 RF칩에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RF 인코더(140)에는 송수신기 역할을 수행하는 RF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프로세서(190)로부터 제1 데이터를 전달받고, RF칩으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캐너(150)는, RF 인코더(14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스캐너(150)는 RF 인코더(140)에서 데이터를 인코딩한 RF칩의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캐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캐너(150)는 제1 스캐너(130)와 동일하게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캐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2 스캐너(150)는 캐리어(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2 기둥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송벨트(111)의 상면을 향하도록 감지영역이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은 이송벨트(11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스캐너(130) 및 제2 스캐너(150)는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의 상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스캐너(130)는 제1 기둥의 상단부에서 제2 스캐너(150)로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스캐너(150)는 제2 기둥의 상단부에서 제1 스캐너(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스캐너(130) 및 제2 스캐너(150)는, RF칩과 일체로 형성되어 RF칩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기록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QR 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RF칩에 일체로 형성된 시각적 인식 코드는 QR 코드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를 통해 신속하게 RF칩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정확하고 신속한 RF칩의 인코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리더(160)는 제2 스캐너(15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캐너(150)에서 스캐닝한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데이터는 RF칩에 일체로 형성된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1 데이터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RF 리더(160)는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수득하여, 프로세서(19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RF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F인터페이스는 RF칩으로의 데이터 전송과, RF칩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확보하기 위해 신호의 변조와 복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100) 및 공급 장치(200)는, 작업다이(D)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다이(D)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상일 수 있고,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작업다이(D)의 상면에 RF 인코딩 장치(100) 및 공급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작업다이(D)의 상면의 하방에는 비어 있는 하방 공간이 형성되고, 하방 공간에는 RF 인코딩 장치(100) 및/또는 공급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다이(D)의 하방 공간에는 액추에이터(180), 배전반 등이 배치되고, 작업다이(D)의 상면에 배치된 RF 인코딩 장치(100) 및/또는 공급 장치(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업다이(D)에는 하방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도어(D)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도어(D)는 측방으로 개폐 가능하여 하방 공간을 선택적으로 측방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100)는, 제2 센서(170) 및/또는 액추에이터(180)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0)는 제2 센서(170), 회전플레이트(181) 및/또는 액추에이터(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170)는, RF 리더(16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170)는 제1 센서(12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고, RF 리더(160)를 통과하면서 제2 데이터가 획득된 RF칩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170)는 이송벨트(111)의 타측에서 RF칩을 감지함으로써, 이송벨트(111)를 통해 이송되는 RF칩이 배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181)는 제2 센서(17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타측에 배치되어, 제2 센서(170)에서 이송벨트(111)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RF칩과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80)는 회전플레이트(181)와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181)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며, 회전플레이트(181)를 제1 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RF칩의 배출 경로를 제1 경로로 설정하거나, 또는 회전플레이트(181)를 제2 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RF칩의 배출 경로를 제2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플레이트(181)가 제1 상태인 경우에는 회전플레이트(181)의 일측 단부가 이송벨트(111)의 타측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송벨트(111)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RF칩이 회전플레이트(181)를 통해 이동되어 이송벨트(111)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는 제1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회전플레이트(181)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회전플레이트(181)의 일측 단부가 이송벨트(111)의 타측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특히 회전플레이트(181)의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어 이송벨트(111)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RF칩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RF칩이 이송벨트(111)로부터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제2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90)에 연결된 RF 인코딩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9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메인 프로세서(190)(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0))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90)(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90), 센서 허브 프로세서(190),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인코딩 장치(100)가 메인 프로세서(190) 및 보조 프로세서(190)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90)는 메인 프로세서(190)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90)는 메인 프로세서(190)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RF 인코딩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90) 또는 센서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미들 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RF 인코딩 장치(100)는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RF 인코딩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인코딩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미도시)은 RF 인코딩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19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미도시)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장치(100)에 따르면, RF칩을 인코딩한 이후에,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인코딩 정보와의 비교를 통한 인코딩 불량 여부를 검수함으로써 인코딩한 RF칩의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200)는, 제1 센서(120)보다 이송벨트(111)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RF칩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 장치(200)는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RF칩을 개별로 컷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200)는, 컨베이어(210), 로테이터(220), 커터(230) 및/또는 감지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장치(200)는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프로세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서 RF 인코딩 장치(100)의 프로세서(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210)는 커터(230)에 의해 개별로 컷팅된 RF칩을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210)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컨베이어(210)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RF칩 자체의 하중에 따른 중력에 의해 이송되도록 컨베이어(210)는 이송벨트(111)보다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컨베이어(210)는 이송벨트(111)로 공급하는 RF칩의 속도가 이송벨트(111)가 이동하는 속도(v)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21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컨베이어(210)에서 배출되어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RF칩의 속도가 이송벨트(111)의 이동 속도(v)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RF칩이 이송벨트(11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되는 RF칩의 이동 속도의 평균(v_avg)은 하기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v는 이송벨트(111)가 이동하는 속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터(230)는 로테이터(220)에 감겨있는 RF칩을 개별로 컷팅할 수 있다. 커터(230)는 공급 장치(200)가 단위 시간당 이송벨트(111)로 공급하는 RF칩의 개수(x [ea/sec])와 동일하게 단위 시간당 RF칩을 컷팅할 수 있다. 즉, 커터(230)는 RF칩을 단위 시간당 x 회 컷팅함으로써 x 개의 RF칩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터(230)는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RF칩이 개별로 구분되어 안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커터(230)는 일정한 길이(L)로 연장된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RF칩이 하나씩만 이동되도록 작동되며, 컨베이어(210)의 RF칩이 이송벨트(111)로 공급되는 순간에, 커터(230)가 새로운 RF칩을 컷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장치(200)가 단위 시간당 이송벨트(111)로 공급하는 RF칩의 개수 및 커터(230)가 단위 시간당 컷팅하는 RF칩의 개수(x [ea/sec])는 하기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터(220)는, 복수 개의 RF칩이 연장되어 두루말이 형태로 말려있는 RF칩을 커터(2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테이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말려진 상태의 RF칩 뭉치는 일단부는 커터(230)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부 측에서 순차적으로 커터(230)에 의해 개별로 컷팅될 수 있다. 특히, 커터(230) 측으로 연장된 RF칩 뭉치의 일단부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커터(23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RF칩 뭉치에서 복수 개의 RF칩은 식별자에 의해 구분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커터(230)는 RF칩 뭉치 상의 식별자를 인식하여 식별자 위치를 커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터(230)는, 이송되는 RF칩 뭉치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의 상부에 위치되어 RF칩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는 커팅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가 상방 이동되는 경우 블레이드는 이송되는 RF칩 뭉치의 일부를 사이에 두어 상측의 커팅지지블록과 맞닿을 수 있고, 그 사이에 위치된 RF칩 뭉치의 일부는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240)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240)는, 로테이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말려진 상태의 RF칩 뭉치의 일단부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240)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거리센서이고, 커터(230) 측에 배치되어, RF칩 뭉치의 일단부와의 이격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테이터(220)에 말려진 RF칩 뭉치는, 커터(230) 측으로 연장된 RF칩 뭉치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칩 뭉치의 일단부에는 하중을 갖는 가이드블록(250)이 RF칩 뭉치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RF칩 뭉치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즉, RF칩 뭉치의 일단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블록(250)에 의해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커터(23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감지센서(240)는 커터(230) 측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된 위치로부터 가이드블록(250) 사이의 거리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는 RF칩 뭉치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테이터(220)는 프로세서(19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며, 프로세서(190)는 감지센서(240)의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로테이터(2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RF칩 뭉치의 일단부로부터 커터(230)에 의해 순차적으로 RF칩이 컷팅됨으로써, 가이드블록(250)에 의해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상방으로 절곡된 RF칩 뭉치의 일단부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가이드블록(250)이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감지센서(240)에서 센싱한 커터(230)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90)는 감지센서(240)에서 센싱한 가이드블록(250)까지의 이격 거리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는 RF칩 뭉치의 일단부까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짐에 기반하여, RF칩 뭉치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로테이터(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240)는 이송벨트(111)의 외주면에 걸림턱(112)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감지센서(240)에서 센싱한 걸림턱(112)을 기반으로 커터(230) 및/또는 컨베이어(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이송벨트(111)가 이동됨에 따라 감지센서(240)에서 센싱한 걸림턱(112)을 기반으로, 개별로 컷팅되어 이송벨트(111)의 상면으로 제공되는 RF칩이 복수 개의 걸림턱(112) 사이에 구획된 스페이스(S)에 안착되도록 커터(230) 및/또는 컨베이어(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1 센서(120)에서 감지한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RF 리더(160), 제2 센서(170), 액추에이터(180) 및/또는 공급 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송벨트(111)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캐리어(110)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제1 센서(120)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개별의 RF칩을 이송벨트(111)의 일측으로 제공하도록 공급 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1 센서(120)에서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및 RF 리더(1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이송벨트(111)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속도(v)를 기반으로,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및 RF 리더(1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이송벨트(111)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속도(v)가 이송벨트(111)를 통해 이송되는 RF칩의 속도(v')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제1 센서(120)로부터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및 RF 리더(160)까지 이격된 거리(L1, L2, L3, L4)를 기반으로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및 RF 리더(1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제1 센서(120)에서 RF칩을 감지한 순간부터 L1/v, L2/v, L3/v 및 L4/v 이후에 제1 스캐너(130), RF 인코더(140), 제2 스캐너(150) 및 RF 리더(16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2 스캐너(150)의 스캔 결과 및 RF 리더(160)에서 식별한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190)는 제1 스캐너(130)의 스캔 결과, RF 인코더(140)에서 인코딩한 제1 데이터, 제2 스캐너(150)의 스캔 결과 및 RF 리더(160)에서 식별한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RF 리더(160)에서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 가능하고, 동시에 RF 리더(160)에서 식별한 제2 데이터가 제2 스캐너(150)에서 스캔한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RF칩을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90)는 RF칩의 불량으로 인한 RF 리더(160)에서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RF 인코더(140)의 오작동으로 인한 인코딩된 데이터가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RF칩을 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제2 센서(1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1 센서(120)에서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제2 센서(17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이송벨트(111)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속도(v) 및 제1 센서(120)와 제2 센서(170) 사이의 거리(L5)를 기반으로, 제2 센서(170)의 작동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2 센서(170)에서 RF칩의 배출을 감지함에 기반하여, 배출을 감지한 RF칩의 정상 여부에 따라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액추에이터(18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배출을 감지한 RF칩이 정상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배출 경로가 제1 경로로 설정되도록 회전플레이트(181)를 제1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90)는 배출을 감지한 RF칩이 비정상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배출 경로가 제2 경로로 설정되도록 회전플레이트(181)를 제2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경로에서는, 이송벨트(111)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RF칩이 회전플레이트(181)를 통해 이동되어 이송벨트(111)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경로에서는, 회전플레이트(181)의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어 이송벨트(111)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RF칩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RF칩이 이송벨트(111)로부터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RF칩을 공급하고, 인코딩 및 검수가 완료된 RF칩을 연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RF칩의 인코딩 속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방법의 순서도(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방법은, 제1 센서(120)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벨트(111)로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동작(610), 제1 스캐너(130)에서, 상기 제1 센서(120)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620), RF 인코더(140)에서, 상기 제1 스캐너(130)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동작(630), 제2 스캐너(150)에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640), RF 리더(160)에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65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0)에서, 상기 제2 스캐너(150)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160)에서 식별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66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RF 인코딩 방법은, 제2 센서(170)에서, 상기 이송벨트(111)로부터 상기 RF칩의 배출을 감지하는 동작(670), 및/또는 액추에이터(180)에서, 상기 이송벨트(111)를 통하여 상기 타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RF칩의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회전플레이트(181)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회전시키는 동작(6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RF 인코딩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RF 인코딩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 RF 인코딩 장치
110 : 캐리어
120 : 제1 센서
130 : 제1 스캐너
140 : RF 인코더
150 : 제2 스캐너
160 : RF 리더
170 : 제2 센서
180 : 액추에이터
190 : 프로세서
200 : 공급 장치

Claims (10)

  1.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
    상기 제1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RF 인코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
    상기 제2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캐너 및 상기 제2 스캐너는, 상기 RF칩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로서 상기 RF칩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기록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QR 코드 스캐너인,
    RF 인코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리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기 RF칩의 배출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RF 인코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된 회전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타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RF칩의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에서 상기 RF칩의 배출을 감지함에 기반하여,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에 따라 상기 배출 경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이 정상인 경우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배출을 감지한 상기 RF칩이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상기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및 상기 RF 리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RF 리더에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식별 가능하고,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제2 스캐너에서 스캔한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RF칩을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장치.
  9. 제1 센서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벨트로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동작;
    제1 스캐너에서,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
    RF 인코더에서,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동작;
    제2 스캐너에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
    RF 리더에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RF 인코딩 방법.
  10. 작동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이송벨트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상면에 위치된 RF칩을 이송시키는 캐리어;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센싱 영역이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로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상기 일측으로 상기 RF칩을 개별로 컷팅하여 제공하는 공급 장치;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센서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1 스캐너;
    상기 제1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캐너의 스캔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상기 RF칩에 인코딩하는 RF 인코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RF 인코더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과 동시에 이송되는 상기 시각적 인식 코드를 스캔하는 제2 스캐너;
    상기 제2 스캐너보다 상기 이송벨트가 연장된 방향에 따른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RF 리더;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작동 신호의 획득에 기반하여,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RF칩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센서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RF칩의 유입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RF 인코더, 상기 제2 스캐너 또는 상기 RF 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캐너의 스캔 결과 및 상기 RF 리더에서 식별한 상기 RF칩에 인코딩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칩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RF 인코딩 시스템.
KR1020220137487A 2022-06-09 2022-10-24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50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48 2022-06-09
KR20220070148 2022-06-09
KR1020220070681 2022-06-10
KR20220070681 2022-06-10
KR1020220071266A KR102459929B1 (ko) 2022-06-09 2022-06-13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66A Division KR102459929B1 (ko) 2022-06-09 2022-06-13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242A true KR20220150242A (ko) 2022-11-10

Family

ID=838103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66A KR102459929B1 (ko) 2022-06-09 2022-06-13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37487A KR20220150242A (ko) 2022-06-09 2022-10-24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37490A KR20220150243A (ko) 2022-06-09 2022-10-24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66A KR102459929B1 (ko) 2022-06-09 2022-06-13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490A KR20220150243A (ko) 2022-06-09 2022-10-24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599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3712B2 (en) * 2003-08-06 2006-07-11 Clintrak Clinical Labeling Services, Llc RFID encoding/verifying apparatus
US8207824B2 (en) * 2007-10-24 2012-06-26 Ncr Corporation Two sided thermal RF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929B1 (ko) 2022-10-27
KR20220150243A (ko) 2022-11-10
KR20220150241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41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readable symbol backup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US9892351B2 (en) Bluetooth low energy i(BLE)-based asset tag with integrated scanner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 asset-identifying code as a beacon transmission
US9679180B2 (en) Portable data capture device
US20080030324A1 (en) Data communication with sensors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protocol
CN101609626A (zh) 产品防伪防窜货的附标方法
US961323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f RFID inlays
US20220292323A1 (en) Correlated asset identifier association
CN1695161A (zh) 存储并分发射频识别标签中信息的方法和装置
US8919648B2 (en) Barcode and RFID reading apparatus
Connolly Warehouse management technologies
KR100652022B1 (ko) 태그와 리더기 간의 인식률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7643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erifying, and printing of rfid enabled objects
US20080100452A1 (en) RFID tag with barcode symbology antenna configuration
KR102459929B1 (ko) Rf 인코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4045887A1 (zh) 一种光触发rfid识别方法及系统
KR102665687B1 (ko) Rf칩을 연속 공급하고 인코딩 및 불량 검수를 연속으로 수행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인코딩이 가능한 rf 인코딩 시스템
EP16888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electroni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KR101026438B1 (ko)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4166865A (zh) 基于rfid无线射频识别技术的港口调度方法和装置
JP4197282B2 (ja) 物体形状自動認識システム及び非接触識別タグへの書き込みシステム
Su et al. On the creation of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infrastructure via RFID
CN112955895B (zh) 用于对hf转发器编码的装置和方法
KR101520063B1 (ko) Rfid 태그 검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rfid 인코딩 시스템
CN112955895A (zh) 用于对hf转发器编码的装置和方法
Kovács et al. The Role and Adaptability of Product Traceability in Logis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