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142A - Antenna apparatus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142A
KR20220150142A KR1020210057500A KR20210057500A KR20220150142A KR 20220150142 A KR20220150142 A KR 20220150142A KR 1020210057500 A KR1020210057500 A KR 1020210057500A KR 20210057500 A KR20210057500 A KR 20210057500A KR 20220150142 A KR20220150142 A KR 2022015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support
antenna
sub
antenna device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234B1 (en
Inventor
박병철
김승호
권건섭
허종완
이성재
황기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5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34B1/en
Publication of KR2022015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01Q13/0208Corrugated ho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ntenna device, which comprises a parabolic reflector; a dielectric support; a sub-reflecto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and a waveguid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wherein the parabolic reflector has a curved surface with a ratio of focal length to a diamet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high gain, and a corrugation for suppressing cross polarization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ielectric support.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Antenna device {ANTENNA APPARATUS}

본 개시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파라볼릭 반사판 안테나는 위성통신용 안테나로써 널리 사용된다. 파라볼릭 안테나는 위성통신을 위한 높은 신호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넓은 대역폭 구현이 비교적 용이하다. 한편, 위성통신용 안테나는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에서 권고하는 규격인 안테나 방사 패턴을 만족해야 하는데, ITU에서 권고하는 교차편파패턴을 만족하기 위한 급전혼의 설계가 중요하다. The parabolic reflector antenna is widely used as an antenna for satellite communication. The parabolic antenna can take a high signal gain for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implement a wide bandwidth necessary to support a large-capacity communication speed. On the other hand, an antenna for satellite communication must satisfy the antenna radiation pattern, which is a standard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고이득의 안테나 신호를 얻기 위한 주반사판의 파라볼릭 곡면은 보통 0.25보다 큰 F/D(F: 파라볼릭 촛점거리, D: 안테나 직경) 값을 가진다. 한편, 이 파라볼릭 곡면을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곡면의 초점에 위치하는 급전혼의 전파 방사영역이 파라볼릭 곡면 바깥으로 노출되게 되므로, 급전혼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일부는 파라볼릭 반사판에 반사되지 않고 안테나 측면으로 직접 방사된다. 전자기파의 편파는 반사판 등의 전도체 물질을 만나는 경우 위상이 반대로 바뀌는데, 파라볼릭 반사판에 도달하지 못하고 주반사판 바깥으로 직접 방사되는 전자기파는 파라볼릭 반사판에 도달한 전자기파와 서로 위상이 반대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파라볼릭 곡면을 사용하는 경우 측면으로 방사되는 교차편파레벨이 ITU에서 권고하는 레벨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안테나 이득을 유지하면서도 교차편파레벨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The parabolic curved surface of the main reflector for obtaining a high-gain antenna signal usually has an F/D (F: parabolic focal length, D: antenna diameter) value greater than 0.25. On the other hand, if this parabolic curved surface is viewed from the side, the radio wave radiation area of the feeding horn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curved surface is exposed outside the parabolic curved surface, so some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feeding horn are not reflected by the parabolic reflector and are not reflected on the side of the antenna. is emitted directly into The phase of the polarized wave of electromagnetic waves is reversed when it meets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reflector,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hat does not reach the parabolic reflector and is directly radiated out of the main reflector is out of phase with the electromagnetic wave that arrives at the parabolic reflector. Therefore, when such a parabolic curved surface is used, the cross-polarization level radiated laterally may exceed the level recommended by the ITU. Therefore, a method capable of lowering the cross-polarization level while maintaining a high antenna gain is required.

본 발명은 반사판 안테나의 급전혼에서 방사된 전자파의 일부가 주반사판에 반사되지 않고 안테나 측면으로 직접 방사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안테나 측면 방향의 교차편파레벨을 감소시키는 실시 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odiment of reducing the cross-polarization level in the antenna side direction by solving the problem that a par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feeding horn of the reflector antenna is not reflected by the main reflector but is directly radiat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는, 파라볼릭 반사판; 유전체 지지대;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부반사판; 및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볼릭 반사판은 고이득을 위해 초점 거리 대 직경의 비율(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곡면을 갖고,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일 영역에 교차편파 억제를 위한 주름(corrugation)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parabolic reflector; dielectric support; a sub-refl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and a waveguid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wherein the parabolic reflector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for high gain, and the dielectric support A corrugation for suppressing cross-polarization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에 따르면, 고이득을 위한 초점거리 대 직경의 안테나 장치는 유전체 지지대의 일 영역에 교차편파 억제를 위한 주름을 형성하여 급전혼의 측면 방향 전파 레벨을 낮추고 최종적으로 안테나의 측면 방향 교차편파레벨을 낮추어 ITU 권고 안테나 규격 패턴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focal length versus diameter antenna device for high gain forms a corrugation for cross polarization suppression in one region of a dielectric support to lower the lateral propagation level of the feed horn and finally increase the lateral cross polarization level of the antenna It can be lowered to satisfy the ITU-recommended antenna standard pattern.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지지대를 갖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급전혼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급전혼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측면의에서 바라본 주름(162)이 형성된 유전체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3에서의 유전체 지지대를 사용한 안테나 장치의 이득 특성 그래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인 도 4의 유전체 지지대를 사용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이득 특성을 나타낸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지지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반사판을 나타낸다.
1 shows an antenna device having a dielec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shows a top view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a cross-section of a feed horn included in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shows a cross-section of a feed horn included in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shows a dielectric support on which wrinkles 162 are formed as viewed from one side.
6 shows the shape of a wrin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graph of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using the dielectric support in FIG. 3 .
FIG. 8 shows antenna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using the dielectric support of FIG. 4 , which is an embodiment.
9 and 10 show cross-sections of a dielec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shows a sub-reflective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may vary depending on intentions or precedent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 or 'all a, b, and c'.

명세서 전체에서 "주름(Corrugation)"이란,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물체 표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를 뜻하며, 그 세부적인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돌출된 구조가 여러 개인 경우 각각의 돌출된 부분 모두가 별개의 주름이 된다. 주름은 물체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물체로부터 분리 및 장착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주름의 재질은 주름을 제외한 물체의 나머지 부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corrugation" means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detailed form thereof. become wrinkled The pleats may be integral with the object or may be detachable and mountable from the object.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wrinkl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object except for the wrinkle.

명세서 전체에서 "축외각(Off-axis angle)"은 안테나의 초점을 원점으로 하고 안테나의 중심 전방을 기준 축으로 하여 잰 방위각을 말한다. 안테나의 지향 방향은 축외각이 0도일 수 있고, 안테나 지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축외각이 90도가 될 수 있으며, 안테나 뒤편 방향은 축외각이 180도가 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f-axis angle" refers to an azimuth angle measured with the focus of the antenna as the origin and the front of the center of the antenna as the reference axis.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may have an off-axis angle of 0 degre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ntenna directing direction may have an off-axis angle of 90 degrees, and a direction behind the antenna may have an off-axis angle of 180 degre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지지대를 갖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다.1 shows an antenna device having a dielec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1)는 주반사판(100), 부반사판(120), 유전체 지지대(110), 및 도파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1)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device 1 may include a main reflection plate 100 , a sub reflection plate 120 , a dielectric support 110 , and a waveguide 130 . In the antenna device 1 shown in Fig. 1,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is embodiment are shown.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

전파는 도파관(130)의 입구를 통해 급전되어, 유전체 지지대(110)를 통과하고, 부반사판(120)에 반사될 수 있다. 부반사판(120)은 주반사판(100)의 초점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반사판(120)에 반사된 전파가 주반사판(100)에 다시 반사되고 안테나의 지향 방향으로 전파가 방사될 수 있다. 여기서 주반사판(100)의 곡면은 파라볼릭 곡면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초점을 갖는 모든 곡면이 될 수 있다. The radio wave may be fed through the inlet of the waveguide 130 , pass through the dielectric support 110 , and be reflected by the sub-reflector 120 . Since the sub-reflecting plate 120 i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 the radio wave reflected by the sub-reflecting plate 120 is reflected back to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and the radio wave can be 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Here, the curved surface of the main reflector 100 may be a parabolic curved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curved surface having one or more focal points.

안테나 반사판의 높은 이득을 위해 초점거리 대 직경의 비율(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인 F/D 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커질 수 있다. 여기서, F는 초점 거리(Focal Length)를 의미하고, D는 주반사판 직경(Diameter)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반사판의 높은 이득을 얻기 위해 F/D 값이 0.25보다 같거나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a high gain of the antenna reflector, the F/D value, which is a 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 may be greater than a preset value. Here, F denotes a focal length, and D denotes a diameter of the main reflector. For example, the F/D value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25 in order to obtain a high gain of the antenna reflecto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2 shows a top view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부반사판(120)은 주반사판(100)의 초점에 위치할 수 있고 F/D 값이 커지면 직경 대비 초점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되어 부반사판(120)은 주반사판(100)의 반사면과 더욱 멀어지게 된다. 도 2에서 부반사판(120)은 주반사판(100)으로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반사판(120)에 반사된 전파 중 일부는 주반사판(100)에 반사되지 않고 안테나의 측면으로 진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안테나 측면 방향의 교차편파레벨이 높아질 수 있다. 교차편파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는 경우,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권고하는 안테나 규격 패턴을 준수할 수 없게 되고, 통신 품질 및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The sub-reflecting plate 120 may be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 and as the F/D value increases, the focal length compared to the diameter becomes longer, so that the sub-reflecting plate 120 is further away from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 will lose In FIG. 2 , it can be seen that the sub-reflecting plat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 In this case, some of the radio waves reflected by the sub-reflecting plate 120 are not reflected by the main reflector 100 and travel to the side of the antenna, and as a result, the cross-polarization level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antenna may be increased. When the cross-polarization level rises above a certain level, it is impossible to comply with the antenna standard pattern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and communication quality and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유전체 지지대(110)는 교차편파 억제를 위한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전체 지지대(110)의 일 영역에 교차편파 억제를 위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은 유전체 지지대(110)의 중심축과 동축을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유전체 지지대(110)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유전체 지지대(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복수의 주름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support 110 may include corrugations for suppressing cross-polarization. In other words, wrinkles for suppressing cross-polarization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ielectric support 110 . For example, the wrinkle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ielectric support 11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electric suppor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dielectric support 1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wrinkl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10 .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1)는 도파관(130)에 연결되는 편파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편파기(170)는 원형 편파를 위한 편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파기(170)는 격벽구조 편파기(septum polarizer), 주름형 편파기(corrugated polarizer), 및 유전체 날개(dielectric vane)가 적용된 편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olarizer 170 connected to the waveguide 13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larizer 170 may be a polarizer for circular polarization. For example, the polarizer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ptum polarizer, a corrugated polarizer, and a polarizer to which a dielectric vane is appli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급전혼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3 shows a cross-section of a feed horn included in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급전혼(11)은 유전체 지지대(112), 부반사판(122), 및 도파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전혼(11)은 유전체 지지대(112)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계단형 임피던스 정합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eeding horn 11 may include a dielectric support 112 , a sub-reflecting plate 122 , and a waveguide 132 . In addition, the feeding horn 11 may further include a stepped impedance matching unit 152 for impedance matching on the dielectric support 112 .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급전혼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4 shows a cross-section of a feed horn included in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급전혼(12)은 유전체 지지대(114), 부반사판(124), 및 도파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유전체 지지대(114), 부반사판(124), 및 도파관(134) 각각은 도 1 및 2의 유전체 지지대(110), 부반사판(120), 및 도파관(130)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급전혼(12)은 유전체 지지대(114)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계단형 임피던스 정합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 horn 12 may include a dielectric support 114 , a sub-reflector plate 124 , and a waveguide 134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the sub-reflector plate 124, and the waveguide 134 of FIG. 4 is the dielectric support 110, the sub-reflector plate 120, and the waveguide 130 of FIGS. 1 and 2, respectively. can correspond to each. In addition, the feeding horn 12 may further include a stepped impedance matching unit 154 for impedance matching on the dielectric support 114 .

유전체 지지대(114)의 일 영역에 주름(162)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162)은 유전체 지지대(114)의 상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162)은 유전체 지지대(114)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유전체 지지대(11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름(162)은 중공의 원통 형상에서 상단부 일부분이 모따기 또는 모깎기한 형상이 될 수 있다. Wrinkles 162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 The wrinkle 162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 For example, the corrugation 16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electric support 114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eats 16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end is chamfered or fill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지지대(14)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주름(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주름(162) 각각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주름(162) 중 제1주름의 내경(Inner diameter)이 복수의 주름(162) 중 제2주름의 외경(Outer diameter)보다 더 크고, 제1주름의 높이가 제2주름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wrinkles 162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4 .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pleats 162 may have a different height, an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leat of the plurality of pleats 162 is that of the second pleat of the plurality of pleats 162 . It may be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and a height of the first pleat may be great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pleat.

본 개시에서 유전체 지지대(114)에 주름(162)이 형성됨으로써 교차편파 레벨이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전체 지지대(114)에 형성되는 주름(162)을 통해 부반사판(124)에서 반사되어 주반사판(100)에 반사되지 않고 안테나 측면으로 직접 방사되는 전파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지지대(114)과 주름(162)은 몰딩 등의 방법으로 유전체 지지대(114) 상단부와 주름(162)이 맞닿는 부분에 경계가 생기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ross-polarization level may be suppressed by forming the corrugations 162 on the dielectric support 114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radio waves that are reflected from the sub-reflecting plate 124 through the wrinkles 162 formed on the dielectric support 114 and directly radiat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without being reflected by the main reflecting plate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electric support 114 and the corrugation 162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so that no boundary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and the wrinkle 162 abut by a method such as molding.

유전체 지지대(114)는 부반사판(124)과 도파관(134) 사이에 존재하면서 유전체 재질을 가지는 그 어떤 구조물도 될 수 있다. 도 4에서, 유전체 지지대(114)는 상단부가 원뿔대 형태이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원뿔대와 이어지는 원통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단부와 하단부는 이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dielectric support 114 may be any structure that exists between the sub-reflection plate 124 and the waveguide 134 and has a dielectric material. In FIG. 4 , the dielectric support 114 has a truncated upper end and a lower end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runcated con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the shape is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지지대(114)의 유전체는 유전율이 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의 재질은 테플론(teflon), 알루미나(alumina), 및 세라믹(ceramic) 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support 114 may be greater than 2. For example, the dielectric material may be Teflon, alumina, ceramic, or the like.

도 5는 일 측면의에서 바라본 주름(162)이 형성된 유전체 지지대(114)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162)의 형상을 나타낸다.5 shows the dielectric support 114 in which the wrinkles 162 are formed as viewed from one side. 6 shows the shape of the pleats 162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은 도 3에서의 급전혼(11)을 사용한 안테나 장치의 이득 특성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of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using the feed horn 11 in FIG. 3 .

앞서 설명하였듯, 고이득을 가지는 안테나는 F/D 값이 크기 때문에, 초점인 부반사판의 위치가 도 2와 같이 안테나 전방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부반사판에서 반사된 전파 중 주반사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도달하지 못한 전파는 주반사판에 반사되지 못하고 직접 방사되는데, 이를 Spill over라 한다. 도 7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100도 이하의 축외각에서는 주반사판에 반사되지 못한 전파가 직접 안테나 측면으로 방사되는 Spill over 현상이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gh-gain antenna has a large F/D value, the position of the sub-reflector, which is the focal point,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antenna as shown in FIG. 2 . In this case, among the radio waves reflected from the sub-reflector, the radio waves that do not reach the edge of the main reflector are not reflected by the main reflector and are radiated directly, which is called spill over. 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7 , at an off-axis angle of 100 degrees or less, a spill over phenomenon occurs in which radio waves that are not reflected by the main reflector are directly radiat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도 7에서 Horn pattern은 주반사판을 제외한 급전혼만의 이득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Horn pattern은 도파관과 유전체 지지대를 거쳐 부반사판에 반사된 전파의 이득 특성을 나타낸다. 도 7에서 축외각 약 100도 이하 일정 범위에서 Horn pattern의 이득이 다소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 전체의 이득 특성을 나타내는 Reflector pattern이 축외각 약 100도 이하 일정 범위에서 ITU-R S.731-1 보다 높은 이득을 가지므로, ITU의 권고 규격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In FIG. 7, the Horn pattern shows the gain characteristics of only the feed horn excluding the main reflector. Therefore, the Horn pattern shows the gain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reflected by the sub-reflector through the waveguide and the dielectric support. In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gain of the Horn pattern is rather high in a certain range of about 100 degrees off-axis or less. Because of this, the reflector pattern representing the overall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has a higher gain than ITU-R S.731-1 in a certain range of about 100 degrees off-axis or less, and thus does not meet the ITU's recommended standards.

도 8은 도 4의 급전혼(12)를 사용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이득 특성을 나타낸다. FIG. 8 shows the antenna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using the feed horn 12 of FIG. 4 .

도 3의 급전혼(11)을 사용한 도 7에서와 달리, 도 8에서의 Horn pattern은 도 7에 비하여 축외각 약 100도 이하 일정 범위에서 더 낮은 레벨을 가짐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Reflector pattern은 축외각 약 100도 이하 일정 범위에서 ITU-R S.731-1 보다 낮은 이득을 가지므로, ITU의 권고 규격을 충족하게 된다. Unlike FIG. 7 using the feeding horn 11 of FIG. 3 , the Horn pattern in FIG. 8 has a lower level in a certain range of about 100 degrees or less off-axis compared to FIG. 7 . Because of this, the reflector pattern has a lower gain than ITU-R S.731-1 in a certain range of about 100 degrees off-axis or less, and thus satisfies the ITU's recommended standards.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지지대의 단면을 나타낸다.9 and 10 show cross-sections of a dielec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 지지대(116)는 도 1 및 2의 유전체 지지대(11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유전체 지지대(116)는 주름(164)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영역(16)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164)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주름을 장착하여 교차 편파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높이와 두께를 갖는 주름(164)을 장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장착 영역(16)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영역(16)은 주름(164)을 유전체 지지대(116)에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그 어떤 구조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영역(16)은, 주름(164)과 서로 상응하는 나사산을 가져서 주름을 돌려 끼울 수 있는 나사산 구조, 주름(164)을 끼워 맞춰 구조의 횡압력과 마찰력으로 주름을 잡아주는 구조, 또는 접착제로 주름(164)을 붙일 수 있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electric support 116 may correspond to the dielectric support 110 of FIGS. 1 and 2 . In one embodiment, the dielectric support 116 may include a mounting area 16 to which the pleats 164 may be mounted. Sinc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pleats 164, the cross-polarization level can be adjusted by mounting the plea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mounting regions 16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pleats 164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thicknesses may be formed. Here, the mounting region 16 may be any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or detaching the pleats 164 to or from the dielectric support 116 . For example, the mounting region 16 may include a threaded structure that has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corrugation 164 and can be screwed in, a structure that fits the corrugation 164 and corrugates with the lateral pressure and frictional force of the structure, or It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ttaching the wrinkles 164 with an adhesive.

도 10에서 장착 영역(16)은 유전체 지지대(116)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장착 영역(16)은 유전체 지지대(116)의 하단부는 물론 그 어느 부분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In FIG. 10 , the mounting region 16 is depicted as being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16 ,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mounting region 16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116 as well as any part of the dielectric support 116 . can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반사판을 나타낸다.11 shows a sub-refl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부반사판(124)는 도 1의 부반사판(120)에 대응될 수 있다.The sub-reflective plate 124 may correspond to the sub-reflective plate 120 of FIG. 1 .

도 11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부반사판(124)은 주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반사판(124)은 계단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반사판(12)의 재질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sub-reflecting plate 124 may have a corrug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b-reflective plate 124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The material of the sub-reflecting plate 12 may be a metal such as aluminum.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예시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안테나 관련 구성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As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chnical scope is not limited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other functional aspects of antenna-related component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be used in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are includ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Finally,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in detail, and the scope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Claims (11)

안테나 장치로서,
파라볼릭 반사판;
유전체 지지대;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부반사판; 및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볼릭 반사판은 고이득을 위해 초점 거리 대 직경의 비율(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곡면을 갖고,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일 영역에 교차편파 억제를 위한 주름(corrugation)이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parabolic reflector;
dielectric support;
a sub-refl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and
and a wavegui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The parabolic reflector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ratio of focal length to diamete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for high gain,
An antenna device, in which a corrugation for suppressing cross-polarization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dielectric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값은 0.25인,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et value is 0.25, the antenna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하단부는 계단형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상기 상단부의 일 영역에 결합 가능한,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includes a stepped impedance matching portion,
The pleats a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region of the upper end, the antenna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중심축과 동축을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ugation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ielectric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uga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electric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dielectric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상단부에 복수의 주름들이 결합되는,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leat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ielectric support, the antenna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름들은,
상기 유전체 지지대의 중심축과 동축을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제1주름, 및 상기 중심축과 동축을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름의 내경(inner diameter)이 상기 제2주름의 외경(outer diameter) 보다 크고, 상기 제1주름의 높이가 상기 제2주름의 높이보다 큰, 안테나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wrinkles,
Containing a first pleat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ielectric support, and a second pleat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leat is grea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leat, and a height of the first pleat is great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pl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지지대는 상기 주름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영역을 통해 상기 주름이 상기 유전체 지지대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electric support includes a moun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eats,
and the pleats are mounted to the dielectric support via the mounting are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지지대는 유전율이 2보다 큰 유전체로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dielectric support is made of a dielectric having a permittivity greater than tw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에 연결되는 편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파기는 격벽구조 편파기(septum polarizer), 주름형 편파기(corrugated polarizer), 및 유전체 날개(dielectric vane)가 적용된 편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larizer connected to the waveguide,
The polariz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ptum polarizer, a corrugated polarizer, and a polarizer to which a dielectric van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사판의 구조는 계단형 구조 및 주름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반사판의 재질은 알루미늄인,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of the sub-reflecting plate is any one of a stepped structure and a corrugated structure, and the material of the sub-reflecting plate is aluminum.
KR1020210057500A 2021-05-03 2021-05-03 Antenna apparatus KR102476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500A KR102476234B1 (en) 2021-05-03 2021-05-03 Antenn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500A KR102476234B1 (en) 2021-05-03 2021-05-03 Antenna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142A true KR20220150142A (en) 2022-11-10
KR102476234B1 KR102476234B1 (en) 2022-12-09

Family

ID=8410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500A KR102476234B1 (en) 2021-05-03 2021-05-03 Antenna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933A (en)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극동통신 Dielectric loaded horn and dual reflector antenna using the same
KR20130141580A (en) * 2010-11-08 2013-12-26 배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Antenna system
KR20140119782A (en) * 2012-01-31 2014-10-10 알까뗄 루슨트 Subreflector of a dual-reflector antenna
KR20150108859A (en) * 2013-01-22 2015-09-3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tactless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933A (en)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극동통신 Dielectric loaded horn and dual reflector antenna using the same
KR20130141580A (en) * 2010-11-08 2013-12-26 배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Antenna system
KR20140119782A (en) * 2012-01-31 2014-10-10 알까뗄 루슨트 Subreflector of a dual-reflector antenna
KR20150108859A (en) * 2013-01-22 2015-09-3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tactless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34B1 (en)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449A (en) Reflector antenna with a self-supported feed
US5959590A (en) Low sidelobe reflector antenna system employing a corrugated subreflector
US4626863A (en) Low side lobe Gregorian antenna
EP0136818A1 (en) Dual mode feed horn or horn antenna for two or more frequency bands
EP1004151B1 (en) Improved reflector antenna with a self-supported feed
JP2019525689A (en) Horn antenna
US10476166B2 (en) Dual-reflector microwave antenna
CA1078956A (en) Microstrip feed with reduced aperture blockage
WO2020238909A1 (en) Antenna and feed source assembly
CN112490674B (en) Low-focal-diameter-ratio reflector antenna based on double-frequency feed source feed
US5182569A (en) Antenna having a circularly symmetrical reflector
KR20220150142A (en) Antenna apparatus
CN1115009C (en) Feed source of corrugated horn for improving cross polarization characterisitics of offset parabolic antenna
WO2023231476A1 (en) Antenna structure
TWI449445B (en) Beamwidth adjustment device
US4622559A (en) Paraboloid reflector antenna feed having a flange with tapered corrugations
US2591486A (en) Electromagnetic horn antenna
US20240145935A1 (en) Antenna apparatus
CN108281795B (en) Frequency selection surface type curved surface medium and Cassegrain antenna system
US5184144A (en) Ogival cross-section combined microwave waveguide for reflector antenna feed and spar support therefor
US11605898B2 (en) Antenna
US4516129A (en) Waveguide with dielectric coated flange antenna feed
EP0155761A1 (en) Planar-parabolic reflector antenna with recessed feed horn
KR20100049933A (en) Dielectric loaded horn and dual reflector antenna using the same
EP0136817A1 (en) Low side lobe gregoria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