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486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486A
KR20220149486A KR1020220136225A KR20220136225A KR20220149486A KR 20220149486 A KR20220149486 A KR 20220149486A KR 1020220136225 A KR1020220136225 A KR 1020220136225A KR 20220136225 A KR20220136225 A KR 20220136225A KR 20220149486 A KR20220149486 A KR 2022014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osed
supporter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57B1 (ko
Inventor
박동률
윤주협
이종수
김영현
박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486A/ko
Priority to KR1020240004664A priority patent/KR2024001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서큘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큘레이터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로어커버;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배치되고, 허브와, 상기 허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팬; 상기 허브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상기 허브를 연결하는 모터축; 상기 송풍팬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구를 형성하는 어퍼커버; 및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에 청정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서큘레이터가 배치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정공간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함으로써, 해당공간의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해당공간의 공기 유동을 통해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토출시킨다.
해당공간의 넓은 범위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원통형의 케이스의 둘레면에서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를 개시할 수 있다. 다만, 필터링된 공기를 해당공간의 원거리 영역으로 토출하기 위해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되는 상측으로 별도의 유동을 전환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실내공간의 넓은 영역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국내 공개 특허 10-2018-0000121호는, 하측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장치와,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전환하는 유동전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유동전환장치는, 송풍장치에 연결되는 구조로, 중심부가 폐쇄된 구조를 가지므로, 흡입구가 환형인 축류팬을 사용하고 있다. 축류팬을 적용한 유동전환장치는, 회전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풍량의 공기를 토출하여 특정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토출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경우 풍량이 저하될 수 있고, 별도의 베인 없이 그릴을 통과하는 경우, 유동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과 달리, 유동전환장치에 사류팬과 베인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송풍팬의 상측으로 모터가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유동전환장치에서 송풍팬을 분리하여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멀리 보내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송풍장치 상측에 배치되는 서큘레이터의 관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큘레이터는 하측으로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환형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사류팬을 사용한다. 사류팬의 경우, 일반적으로 팬의 상측으로 모터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측의 구조물을 제거하는 경우, 모터가 노출되므로, 상측구조물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서큘레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송풍장치의 상측으로 서큘레이터가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하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에 의해, 하측구조물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서큘레이터를 관리하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사류팬에 연결되는 모터의 배치를 변경하고, 상측구조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큘레이터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여, 서큘레이터 구조물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서큘레이터를 포함하여, 송풍장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큘레이터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배치되고, 허브와, 상기 허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팬과; 상기 허브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허브를 연결하는 모터축과; 상기 송풍팬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구를 형성하는 어퍼커버와;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 송풍팬 하측으로 모터가 배치되고, 모터 상측으로 어퍼커버와 서포터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송풍팬의 상측 구조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어퍼커버를 서포터의 일측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토출가이더와, 상기 토출가이더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링형상을 가지는 커넥트링과, 상기 토출가이더와 상기 커넥트링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더의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가 배치되어, 어퍼커버의 삽입돌기가 서포터에 삽입되어, 어퍼커버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상기 삽입돌기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에서 상기 토출가이더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돌기에 의해 고정배치된 어퍼커버가 서포터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어퍼커버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를 포함하하여, 삽입돌기가 고리에 삽입되어, 어퍼커버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일측에서 상기 어퍼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서 체결부재로 상기 어퍼커버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서포터가 어퍼커버를 고정 및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허브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커버에 연결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아우터프레임의 일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아우터프레임에 어퍼커버가 고정배치될 수 있다.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어퍼커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여, 어커퍼버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외측커버는, 일측에서 서포터와 접촉하고, 타측에서 어퍼커버와 접촉하여, 배치가 고정되어, 외측커버가 서포터와 어퍼커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돌기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여,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서포터와 어퍼커버 각각에 고정되어, 외측커버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홀 주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어퍼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통해, 어퍼커버가 서포터와 외측커버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스위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스위치홀의 일측에서, 상기 제2돌기의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배치되어, 외측커버를 서포터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서큘레이터는, 상기 송풍팬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모터의 배치를 고정하는 이너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커버는, 하측으로 상기 로어커버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어, 송풍팬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를 고정하고, 송풍팬 상측으로 배치되는 서포터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너커버는, 송풍팬 하측으로 배치되는 모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 하측에 배치되는 이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배치되어, 하우징에 의해 모터의 배치가 고정되고, 서큘레이터 상측으로 송풍팬의 분리도 가능해진다.
상기 서포터는, 일측에서 상기 이너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서 상기 이너커버와 체결되어, 서포터가 이너커버에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팬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이너커버는,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외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에지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서포터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서포터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타측으로 서포터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허브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커버에 연결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에는, 상기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대응힌지가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서큘레이터에 사류팬을 장착하여, 청정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서큘레이터에 사류팬을 장착하고, 사류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송풍팬의 하측으로 배치하여, 송풍팬의 상측구조물인 서포터, 어퍼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송풍팬의 하측으로 모터를 고정하는 이너커버를 배치하고, 서포터를 이너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 및 체결하여, 서큘레이터에서 송풍팬의 분리도 용이하여, 송풍팬의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큘레이터 및 제2송풍장치의 상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일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타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마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사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전선홀과 고정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제1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제2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제1연결프레임과 아우터프레임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제2연결프레임과 아우터프레임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커버의 삽입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커버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베인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의 제1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의 제2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제1, 제2, 제3, …의 표현은, 구성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서큘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송풍장치(100,200)는, 제1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장치(100) 및 제2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200)가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송풍장치(100)와 제2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0)는 제1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210)가 포함한다. 케이스(110,210)는, 제1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와, 제2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1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제1흡입구(112)는 제1케이스(1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킨다. 제1흡입구(112)는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는, 둘레면에 복수의 제1흡입구(112)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제1토출구(152)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흡입구(11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1흡입구(112)는, 제1케이스(11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케이스(11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1흡입구(112)가 제1케이스(1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토출구(152)를 형성하는 제1토출커버(150)가 배치된다. 제1토출구(152)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에는, 제1필터(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필터(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1필터(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필터(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제1필터(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필터(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장착공간은 제1필터(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필터(120)는 장착과정에서,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제1필터(120)는 분리 과정에서,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0)는, 제1필터(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팬하우징(130)과, 제1팬하우징(130)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팬(132)과, 제1팬(132)을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34)를 포함한다.
제1팬하우징(130)은, 하측으로 원형의 제1하우징흡입홀(130a)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고리형의 제1하우징토출홀(130b)을 형성한다. 제1팬(132)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제1팬(132)은, 원심팬 모터인 제1팬모터(134)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허브(132a)와, 제1허브(132a)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쉬라우드(132b)와, 제1허브(132a)와 제1쉬라우드(132b)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132c)를 포함한다. 제1팬모터(134)는 제1팬(13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0)는, 제1팬(132)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1팬(132)을 통과한 공기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1송풍가이더(140)를 더 포함한다.
제1송풍가이더(140)는, 제1팬(13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제1송풍유로(140a)를 형성한다.
제1송풍가이더(1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송풍바디(142)와, 제1송풍바디(14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제1팬모터(134)가 삽입되는 사발 형상의 제1모터커버(144)와, 제1송풍바디(142)와 제1모터커버(144) 사이에 형성되는 제1송풍유로(140a) 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베인(146)을 포함한다.
제1송풍가이더(140)는, 제1송풍바디(142)와 제1모터커버(144) 사이에 제1팬(13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제1송풍유로(140a)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1가이드베인(146)은 제1팬(132)에서 제1송풍유로(140a)로 토출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베인(146) 각각은 상하방향에 가깝도록 기립되어 배치되는 휘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베인(146)는 제1모터커버(144)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송풍바디(142)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제1가이드베인(146)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가이드베인(146)은 제1팬(132)을 거쳐 제1송풍가이더(140)의 제1송풍유로(140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팬모터(134)는 제1모터커버(144)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팬모터(134)의 회전축은 제1팬모터(13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모터커버(144)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제1허브(13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0)에는, 제1케이스(110)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180)가 더 포함된다. 베이스(180)는, 제1케이스(11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1케이스(110)와 베이스(18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14)가 형성된다.
공기 청정기(10)는, 제1송풍장치(100)와 제2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160)을 포함한다. 구획장치(160)에 의하여, 제2송풍장치(200)는 제1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획장치(160)은, 제1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제2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구획장치(160)에 의하여,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0)와, 제2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16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구획장치(160)은, 제1구획판(162)와, 제1구획판(162) 상측에 배치되는 제2구획판(164)를 포함한다. 제1구획판(162)는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제2구획판(164)는 하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제1구획판(162)는, 제1토출커버(150)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1구획판(162)는, 적어도 일부분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부로 형성된다. 구획장치(160)의 내부에는, PCB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장치(160)의 하측에는, 제1송풍장치(100)의 제1토출커버(150)가 배치되고, 구획장치(160)의 상측에는, 제2송풍장치(200)의 지지판(170)가 배치된다.
제2송풍장치에는, 제2송풍장치(200)의 제2필터(220)를 지지하는 지지판(170)가 더 포함된다. 지지판(17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지지판은, 제2구획판(164)의 상측에 배치된다.
지지판(170)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고,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케이스(210)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제2케이스(2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21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212)가 형성된다. 제2흡입구(21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2흡입구(212)는, 제2케이스(21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21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제2송풍장치(200)에도 제2필터(220)가 제2필터프레임(222)에 배치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제1필터(120) 및 제1필터프레임(12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0)는, 제2필터(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제2팬(232)과,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34), 제2팬(232)이 배치되는 제2팬하우징(230)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2팬(232), 제2팬모터(234), 제2팬하우징(23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팬(132), 제1팬모터(134), 제1팬하우징(130)과 동일한 구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팬(232)은, 사류팬 형태를 가지고, 제1팬(132)과 같이, 허브(232a), 쉬라우드(232b) 및 복수의 블레이드(232c)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0)는, 제2팬(2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팬(232)을 통과한 공기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2송풍가이더(240)를 더 포함한다. 제2송풍가이더(2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송풍바디(242)와, 제2송풍바디(24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제2팬모터(234)가 삽입되는 사발 형상의 제2모터커버(244)와, 제2송풍바디(242)와 제2모터커버(244) 사이에 형성되는 제2송풍유로(240a) 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베인(246)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2송풍바디(242), 제2모터커버(244), 복수의 제2가이드베인(246)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송풍바디(142), 제1모터커버(144), 복수의 제1가이드베인(146)과 동일한 구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252)를 형성하는 제2토출커버(250)가 배치된다. 제2토출구(252)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커버(250)에는, 제2토출구(252)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2토출그릴(258)이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토출커버(250)는, 제2케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원기둥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둘레면(254)과, 외둘레면(254) 내측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베이스(256)와, 가이드베이스(256)에서 외둘레면(254)으로 방사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토출그릴(258)을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10)는, 가이드베이스(25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서큘레이터(300)의 배치를 지지하는 이동가이더(260)와, 이동가이더(260)를 따라 이동하며, 서큘레이터(300)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이동장치(mover, 270)를 포함한다.
가이드베이스(256)의 상측에는, 가이드베이스(25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서큘레이터(300)의 배치를 지지하는 이동가이더(260)가 배치된다. 이동가이더(260)는, 가이드베이스(256)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서큘레이터(300)의 배치를 지지한다.
가이드베이스(256)는, 원판형태를 가지고, 둘레로 제2토출그릴(258)이 배치된다. 이동가이더(260)는, 가이드베이스(25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가이더(260)의 내측에는, 이동기어(262)와 기어모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동장치(270)는, 서큘레이터(300)와 결합되고, 이동가이더(260)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장치(270)는, 서큘레이터(300)의 경사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동장치(270)는, 이동가이더(260)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272)를 포함한다. 가이드플레이트(272)에는, 이동기어(26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기어레일(274)이 형성된다.
이동장치(270)는, 서큘레이터(300)의 하부면과 결합됨으로써, 서큘레이터(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흡입구(310a)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즉, 이동장치(270)는, 서큘레이터(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흡입구(310a)의 일부를 가림으로써, 서큘레이터(3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동가이더 (260)는, 가이드베이스(256)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가이더(260), 가이드베이스(256)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가이더(260), 가이드베이스(256)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서큘레이터(300)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동가이더(260)의 일측의 둘레면에는 랙기어(264)가 배치된다.
제2토출그릴(258)의 일측에는, 랙기어(264)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66)와, 피니언기어(266)를 작동시키는 모터(268)가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266)와 모터(268)는, 복수의 제2토출그릴(258)이 배치되는 영역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220)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0)는, 제2필터(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필터프레임(222)이 더 포함한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에서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의 제2토출구(252)의 상측에서, 제2토출구(252)가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터를 설명한다.
서큘레이터(300)는, 흡입구(310a)와 토출구(320a)가 형성되고, 제2송풍장치(200)에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 상측에 배치된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 상측에서, 배치가 변경되며, 제2송풍장치(200)에 의해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서큘레이터(300)는, 흡입구(310a)를 형성하는 로어커버(310)와, 토출구(320a)를 형성하는 어퍼커버(320)와, 로어커버(310)와 어퍼커버(32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330)과, 송풍팬(330)과 로어커버(310) 사이에 배치되고, 송풍팬(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40)와, 송풍팬(330) 하측에 배치되고, 모터(340)의 둘레에 배치되는 이너커버(350)를 포함한다.
서큘레이터(300)는, 제2송풍장치(200)의 제2토출구(252)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310a)가 하측에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320a)가 상측에 형성되고, 흡입구(310a)와 토출구(320a) 사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벽을 포함하는 케이스(310, 320)와; 케이스(310, 320) 내에 배치되고, 허브(332)와, 허브(3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334)와, 허브(332)와 쉬라우드(33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38)를 포함하는 송풍팬(330)과; 허브(332) 하측에 배치되어, 송풍팬(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40)와; 모터(34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모터(340)와 허브(332)를 연결하는 모터축(342)를 포함한다.
서큘레이터(300)의 케이스(310, 320)는, 로어커버(310)와 어퍼커버(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외측커버(3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의 외벽은, 이하에서 설명할 어퍼커버(320)의 토출가이더(322) 또는 외측커버(380)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서큘레이터(300)는, 로어커버(310)에 형성되는 흡입구(310a)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400), 어퍼커버(320)와 송풍팬(330) 사이에 배치되고, 어퍼커버(320)를 지지하는 서포터(370), 어퍼커버(320)의 토출가이더(322) 외측을 커버하는 외측커버(380), 서포터(370)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청정기(10)의 작동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90)를 더 포함한다.
송풍팬(330)은, 하측으로 원형의 흡입구(330a)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환형의 토출구(330b)가 형성되는 사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송풍팬(330)은, 하측에 형성된 흡입구(330a)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구(330b)로 공기를 토출한다.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는, 로어커버(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풍팬(330)은, 중심에 모터축(342)이 결합되는 허브(332)와, 허브(332)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30a)가 형성되는 쉬라우드(334)와, 허브(332)와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38)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38)는 허브(332)와 쉬라우드(334)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블레이드(338)의 상단은 허브(332)의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쉬라우드(334)의 상면과 결합된다. 복수의 블레이드(338)는 허브(332)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허브(332)는,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으로 복록하게 형성된 이너허브(332a)와, 이너허브(332a)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아우터허브(332b)를 포함한다.
쉬라우드(334)는,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원형의 흡입구(330a)가 형성된다. 쉬라우드(334)는, 허브(3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쉬라우드(334)는, 아우터허브(332b)에 하측으로 이격배치된다. 쉬라우드(334)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송풍팬(330)은, 쉬라우드(334)의 내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흡입가이더(336)를 포함한다. 흡입가이더(336)는, 흡입구(330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에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흡입가이더(336) 사이로 형성되는 흡입구(330a)에는, 모터(340)와 모터(340)의 둘레에 배치되는 하우징(352)이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340)는, 송풍팬(330)의 하측에 배치되고, 모터축(342)을 통해 송풍팬(330)과 연결된다. 모터(340)는, 송풍팬(330)의 허브(332) 하측에서 고정배치된다. 모터(340)는, 로어커버(3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이너커버(350)를 통해 로어커버(310)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모터(340)는, 이너허브(332a)가 하측으로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이너허브(332a)의 모터커넥터(333)와 연결된다. 모터(340)는, 상측으로 연장되고, 허브(332)와 연결되는 모터축(342)을 포함한다. 모터(340)는, 로어커버(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모터(340)는, 이하에서 설명할 로어커버(310)의 로어플레이트(314)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340)는,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로 유입되어, 송풍팬(33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모터(340)는, 이하에서 설명할, 로어커버(310)의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에 배치된다. 모터(340)는, 송풍팬(330)의 이너허브(332a)의 하측공간에 배치된다. 모터(340)는, 쉬라우드(334)가 형성하는 흡입구(330a)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40)는,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에 배치되어, 로어플레이트(314)로 가려지는 흡입구(310a) 상측에서 형성되는 와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340)는, 이하에서 설명할 이너커버(350)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로어커버(310)는, 송풍팬(330) 하측으로 배치되는 아우터플레이트(312), 아우터플레이트(312)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모터(340)의 하측을 커버하는 로어플레이트(314), 이너커버(350)의 제2연결플레이트(362) 하측에 배치되고, 로어플레이트(314)와 아우터플레이트(312)를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316), 로어플레이트(314)와 아우터플레이트(312) 사이로 형성되는 흡입구(310a)에 배치되고, 로어플레이트(314)와 아우터플레이트(312)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318)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플레이트(312)는, 이너커버(350)의 이너플레이트(358) 하측에 배치된다. 아우터플레이트(312)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아우터플레이트(312)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면형상은,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일부가 아우터플레이트(312)가 형성되는 면을 타고, 서큘레이터(300)의 토출구(320a)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어플레이트(314)는, 하우징(352)의 하측면을 커버한다. 로어플레이트(314)는, 대략 원형상을 가지고, 하측으로 서큘레이터(30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이동장치(270)와 연결된다. 로어플레이트(314)는, 로어커버(310)에 형성되는 흡입구(310a)의 중심을 커버한다. 즉, 로어플레이트(314)로 인해,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가 일부영역에서 폐쇄된다.
로어플레이트(314)는,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 하측에 배치되어,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의 일부를 가림으로써,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의 공기가 와류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으로 모터(340)가 배치되어,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 내측에서 공기가 와류될 수 있는 영역을 최소화한다.
또한,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에는, 모터(340)를 둘러싸는 하우징(352)이 배치되어, 하우징(352)이 송풍팬(330)의 쉬라우드(334)와 아우터허브(332b)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연결플레이트(316)는, 로어플레이트(314)의 일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아우터플레이트(312)로 연결된다. 제1연결플레이트(316)는, 로어플레이트(314)와, 이동장치(27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316)는, 제2연결플레이트(362)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316)는, 제2연결플레이트(362)의 하측으로 이격배치된다. 제1연결플레이트(316)와 제2연결플레이트(362) 사이에는, 모터(340)나 디스플레이(390)로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연결플레이트(316)에는, 제1송풍장치(100) 또는 제2송풍장치(20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의 단자에 배치되는 어댑터(미도시)가 고정되는 마운터(317)가 배치된다. 제1송풍장치(100) 또는 제2송풍장치(20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의 단자에는, 모터(34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1어댑터(미도시)와, 디스플레이(39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2어댑터(미도시)가 배치된다.
마운터(317)는, 제1어댑터를 고정시키는 제1마운터(317a)와, 제2어댑터를 고정시키는 제2마운터(317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송풍장치(100, 20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서큘레이터(300)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340)와 디스플레이(39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마운터(317)에 배치되는 어댑터를 통해 연결된다. 즉, 송풍장치(100, 200)에서 연장되는 전선은, 서큘레이터(300)에 배치되는 마운터(317)로 연장되어 고정되고, 마운터(317)에 고정된 어댑터를 통해, 모터(340)와 디스플레이(390) 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장치(270)에 의해 배치가 변경되는 서큘레이터(300)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안정적으로 모터(340)와 디스플레이(39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로어커버(310)는, 제1연결플레이트(316)가 아우터플레이트(312)에 인접한 부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319)를 포함한다. 사이드플레이트(319)는, 제1연결플레이트(316)의 양측단에서 제1연결플레이트(316)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사이드플레이트(319)는, 제1연결플레이트(316)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플레이트(312)와 연결된다.
사이드플레이트(319)에는, 송풍장치(100, 20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홀(319b)이 형성된다. 사이드플레이트(319)에는, 로어커버(310)의 하측에서, 로어커버(310)에 장착되는 필터(400)가 고정되는 제1고정홀(319a)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아우터플레이트(312)에는, 필터(400)가 고정되는 제2고정홀(313b)이 형성된다. 제2고정홀(313b)은, 제1고정홀(319a)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 9, 도 11을 참조하면, 제2고정홀(313b)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제1고정홀(319a)은, 제2고정홀(313b)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우터플레이트(312)의 내측에는, 상측에 배치되는 이너커버(350)의 배치를 고정시키는 어퍼리브(313)가 형성된다. 어퍼리브(313)는, 아우터플레이트(31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어퍼리브(313)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우터플레이트(312)의 내측에는, 어퍼리브(313)에 형성되는 부분에서, 이너커버(350)와 체결되는 체결부(313a)가 배치된다. 아우터플레이트(312)의 내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외측커버(38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311)가 배치된다. 스위치(311)는, 아우터플레이트(312)의 내측에서 어퍼리브(313)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어퍼리브(313)는, 스위치(311)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스위치(311)가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필터(4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0)는, 로어커버(310)에 장착되어,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400)는,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에 배치된다. 필터(400)는, 로어커버(3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400)는, 메쉬형태를 가지고, 흡입구(310a)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400)는, 복수의 강성보강리브(402)가 교차되게 배치되고, 사이에 형성된 홀로 메쉬형태의 프리필터가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필터(400)는, 로어커버(310)의 제1고정홀(319a)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404)와 제2고정홀(313b)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406)를 포함한다. 제1고정돌기(404)와 제2고정돌기(406)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너커버(350)는, 송풍팬(330)의 하측에 배치되고, 모터(3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너커버(350)에는,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구(350a)가 형성된다. 이너커버(350)에 형성된 흡입구(350a)에는, 복수의 그릴(364)이 배치된다. 복수의 그릴(364)은,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이너커버(350)는, 로어커버(310)의 상측에서 로어커버(310)에 체결된다. 이너커버(350)는, 복수의 제1체결홀(365a)을 통해 로어커버(310)와 체결된다. 따라서, 이너커버(350)는, 로어커버(310)와 체결되어, 로어커버(310)의 상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이너커버(350)는,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터(370)와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서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너커버(350)는, 송풍팬(330) 하측으로 배치되는 모터(3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352), 하우징(35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쉬라우드(334) 하측에 배치되는 이너플레이트(358), 이너플레이트(358)와 하우징(352) 사이에 형성되는 흡입구(350a)에 배치되는 그릴(364), 이너플레이트(358)의 내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벨마우스(360)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너커버(350)는, 이너커버(350)에 형성되는 흡입구(350a)를 가로질러 하우징(352)과, 이너플레이트(358)를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362)를 더 포함한다. 제2연결플레이트(362)는, 하우징(35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너플레이트(358)와 연결된다. 이너커버(350)에 형성되는 흡입구(350a)는, 제2연결플레이트(362)에 의해 일부가 폐쇄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352)은, 내부에 모터(3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352)는, 이하에서 설명할 로어커버(310)의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에 배치되어,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하우징(352)는, 로어플레이트(314) 상측에서 발생하는 와류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352)은, 로어플레이트(314)의 상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하우징(352)은, 송풍팬(330)의 이너허브(332a) 하측에 배치되는 어퍼하우징(354)와, 어퍼하우징(354)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로어하우징(356)을 포함한다.
어퍼하우징(354)은, 이너허브(332a)가 형성하는 하측 공간으로 배치된다. 어퍼하우징(354)은, 내부가 중공이고, 하측이 개구된 원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하우징(354)의 상면에는, 모터(340)의 모터축(342)이 관통하는 홀(353)이 형성된다.
로어하우징(356)은, 어퍼하우징(354)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된다. 로어하우징(356)의 둘레면은, 이너커버(350)의 흡입구(350a)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아우터허브(332b)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로어하우징(356)은, 이너커버(350)의 흡입구(350a)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모터(340)에 연결되는 전선어댑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하우징(35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하우징(357)은, 제1연결플레이트(316)의 마운터(317)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배치된다. 사이드하우징(357)은, 로어커버(310)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하우징(357)은, 제1연결플레이트(316)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로어커버(310)의 흡입구(310a)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로어하우징(356)에는, 모터(340)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다. 모터(340)는, 하우징(352)에 고정배치된다. 모터(340)는, 로어하우징(356)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354)은, 이너허브(332a)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측으로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354)의 직경은, 아우터허브(332b)의 내주단이 형성하는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너플레이트(358)는, 송풍팬(330)의 하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플레이트(358)는 내측으로, 송풍팬(33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350a)를 형성한다. 이너플레이트(358)는, 송풍팬(330)의 쉬라우드(334) 하측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너플레이트(358)에는, 이너커버(350)의 흡입구(350a)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벨마우스(360)가 배치된다. 벨마우스(360)는, 이너플레이트(358)의 내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벨마우스(360)는, 링형상을 가지고, 쉬라우드(334)의 흡입가이더(336)의 외측에 이격배치된다. 벨마우스(360)는, 이너커버(350)의 흡입구(350a)로 유입되는 공기를 송풍팬(330)의 흡입구(330a)로 가이드할 수 있다.
벨마우스(360)는, 쉬라우드(334)의 흡입가이더(336)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360)의 상단은, 흡입가이더(336)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벨마우스(360)는, 흡입가이더(33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벨마우스(360)의 직경(360D)은, 흡입가이더(336)의 직경(336D)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어커버(310)는, 모터(340)와, 이너커버(350) 하측에 배치된다. 로어커버(310)는 송풍팬(330)과 모터(340)의 하측을 커버한다. 로어커버(310)에는, 이너커버(350)에 형성되는 흡입구(350a)의 하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10a)가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너커버(350)는, 이너플레이트(358)의 외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지플레이트(365)와, 이너플레이트(358)의 외주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리브(367)를 포함한다.
에지플레이트(365)는, 링형상의 납작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지플레이트(365)는 외주단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지플레이트(365)와 가이드리브(367)는,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터(370)의 아우터프레임(372)과 결합되어, 내측으로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에지플레이트(365)에는, 로어커버(310)의 체결부(313a)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제1체결홀(365a)이 형성된다. 제1체결홀(365a)은, 로어커버(310)의 체결부(3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에지플레이트(365)에는, 서포터(370)의 일측과 체결되는 제2체결홀(365b)이 형성된다. 에지플레이트(365)에는, 서포터(37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366)를 포함한다. 힌지(366)는, 서포터(37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돌기(366a)를 포함하고, 한 쌍의 힌지돌기(366a) 사이에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홀(366b)이 형성된다.
에지플레이트(365)에는, 로어커버(310)에 배치되는 스위치(311)의 상측으로 개구된 스위치홀(365c)이 형성된다.
이너커버(350)는, 에지플레이트(365)의 일측에서 배치되는 힌지(366)로 서포터(37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서 형성되는 제2체결홀(365b)을 통해 이너커버(350)와 체결될 수 있다.
서포터(370)는, 송풍팬(3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서포터(370)는, 로어커버(310)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서포터(370)는, 로어커버(310)에 직접 장착되거나, 이너커버(350)를 통해 로어커버(310)에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서포터(370)는, 이너커버(35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서포터(370)는, 일측에서 이너커버(350)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서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너커버(350)와 체결된다.
서포터(370)는, 상측으로 어퍼커버(320)와 체결된다. 서포터(370)는, 일측에서 어퍼커버(320)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리(loop, 373)가 형성되고, 타측에서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어퍼커버(320)와 체결되는 제4체결홀(377a)이 형성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서포터(370)는, 이너커버(350)의 이너플레이트(358) 상단부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아우터프레임(372), 송풍팬(330)의 허브(332) 상측에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어퍼플레이트(374), 아우터프레임(372)과 어퍼플레이트(374)를 연결하며 어퍼플레이트(374)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376)을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아우터프레임(372)은, 링형상을 가지고, 이너플레이트(358)의 상단부 상측에 배치된다. 아우터프레임(372)은, 이너커버(350)에 연결된다. 아우터프레임(372)은, 이너커버(350)를 통해 로어커버(310)에 연결된다.
아우터프레임(372)은, 하측으로 개구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아우터프레임(372)과, 이너플레이트(358) 사이에는,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이너커버(350)의 힌지(36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대응힌지(372a)가 배치된다. 대응힌지(372a)는, 이너커버(350)에 한 쌍의 힌지돌기(366a)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이 전선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이너커버(350)의 제2체결홀(365b)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제3체결홀(372b)이 형성된다. 제3체결홀(372b)은, 대응힌지(372a)에 반대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이너커버(350)의 제2체결홀(365b)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제3체결홀(372b)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3체결홀(372b)은, 이하에서 설명할 2개의 제2연결프레임(378) 사이에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서포터(37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320)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리(373)가 배치된다.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상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한 쌍의 고리(373)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고리(373)는, 한 쌍의 제3체결홀(37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고리(373)는, 아우터프레임(372)의 상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어퍼커버(320)의 삽입돌기(322a)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고리(373)의 원거리에 배치되는 연결프레임(376)에는, 어퍼커버(32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4체결홀(377a)이 형성된다.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어퍼커버(320)의 타측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우터프레임(372)에 배치되는 고리(373)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프레임(376)에는, 어퍼커버(320)를 체결하는 제4체결홀(377a)이 형성된다.
아우터프레임(372)에는, 로어커버(310)에 배치되는 스위치(311)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스위치홀(378a)이 형성된다. 스위치홀(378a)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2연결프레임(378)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위치홀(378a)은, 제2연결프레임(378)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스위치홀(378a)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외측커버(380)의 제2돌기(38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아우터프레임(372)에는, 스위치홀(378a)의 일측에서, 외측커버(380)의 제2돌기(384)의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부(378b)가 배치된다. 외측커버(380)의 제2돌기(384)는, 스위치홀(378a)로 삽입되어, 스위치(311)의 일단을 누르고, 고정부(378b)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측커버(380)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어퍼플레이트(374)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허브(332)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어퍼플레이트(374)는, 상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390)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374)는, 아우터프레임(37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아우터프레임(37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연결프레임(376)은, 아우터프레임(372)과 어퍼플레이트(374)를 연결하고, 어퍼플레이트(374)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76)은, 아우터프레임(372)에서 어퍼플레이트(374)로 연결되고, 어퍼플레이트(374)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결프레임(377)과, 아우터프레임(372)에서 어퍼플레이트(374)로 연결되고, 어퍼플레이트(374)를 지지하는 제2연결프레임(378)을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연결프레임(377)의 일측에는, 어퍼커버(320)에 체결되는 제4체결홀(377a)이 형성된다. 제1연결프레임(377)은, 아우터프레임(372)에 배치되는 대응힌지(372a)의 상측으로 형성된다. 어퍼플레이트(374)에는, 제1연결프레임(377)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홀(375)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큘레이터(300)는, 제1연결프레임(377)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연결프레임(377)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전선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3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379)은, 제1연결프레임(377)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379)은, 제1연결프레임(377)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연결프레임(377)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전선이 송풍팬(3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어퍼커버(3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토출가이더(322), 토출가이더(32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링형상을 가지는 커넥트링(324), 및 토출가이더(322)와 커넥트링(324)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구(320a)에 배치되고 송풍팬(3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베인(326)을 포함한다.
도 22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더(322)는, 내측으로 환형의 토출구(320a)를 형성한다. 토출가이더(322)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송풍팬(3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다. 토출가이더(322)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가이더(322)의 내주단이 형성하는 직경(332D)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어퍼커버(320)는, 일측에서 서포터(370)에 삽입되고, 타측에서 서포터(370)에 체결되어, 서포터(370)의 상측에 고정된다. 어퍼커버(320)는, 서포터(370)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322a)를 포함하고, 서포터(370)의 타측으로 서포터(370)에 체결되는 제5체결홀(323a)이 형성된다.
도 23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더(322)에는, 서포터(370)의 아우터프레임(372)에 형성되는 고리(373)에 삽입되어, 어퍼커버(320)의 배치를 고정하는 삽입돌기(322a)가 배치된다. 삽입돌기(322a)는, 토출가이더(322)의 외주면 일측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삽입돌기(322a)는, 아우터프레임(372)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373)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더(322)에는, 서포터(370)의 일측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제5체결홀(323a)이 형성된다. 제5체결홀(323a)은, 삽입돌기(322a)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어퍼커버(320)의 삽입돌기(322a)를 서포터(370)의 고리(373)에 삽입시켜, 어퍼커버(320)의 배치를 고정하고, 어퍼커버(320)의 제5체결홀(323a)과 서포터(370)의 제4체결홀(377a)을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어퍼커버(320)를 서포터(370)에 체결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더(322)의 외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퍼커버(320)의 강성을 보강하는 수직리브(328)가 배치된다. 수직리브(328)는, 토출가이더(322)의 외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어퍼커버(320)에는, 외측커버(380)의 제1돌기(382)를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홈(323b)이 형성된다. 어퍼커버(320)에는, 제5체결홀(323a) 주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3)가 배치되고, 돌출부(323)의 하측에는, 제1돌기(382)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홈(323b)이 형성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커넥트링(324)은, 토출가이더(322)이 상단이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트링(324)은,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터(37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트링(324)과 토출가이더(322) 사이에는, 환형의 토출구(320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326)은, 토출가이더(322)와 커넥트링(324)에 각각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326) 각각은, 외측단이 토출가이더(322)의 하단과 연결되고, 내측단이 커넥트링(324)과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베인(326) 각각은, 송풍팬(33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복수의 베인(326)은, 송풍팬(3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회전성분을 상쇄하도록, 하부(326a)가 상하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부(326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326b)가 상하방향에 평행한 직선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외측커버(380)는, 어퍼커버(320)의 토출가이더(322) 외둘레에 배치된다. 외측커버(38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외측커버(380)는, 일측에서 서포터(370)와 접촉하고, 타측에서 어퍼커버(320)와 접촉하여 배치가 고정된다. 외측커버(380)는, 일측에서 서포터(370)의 고정부(378b)에 접촉하고, 타측에서 어퍼커버(320)의 돌출부(323)에 접촉하여 배치가 고정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외측커버(380)는, 외측커버(38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어퍼커버(320)에 접촉하여 외측커버(38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돌기(382)와, 외측커버(38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서포터(370)에 접촉하여 외측커버(38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2돌기(384)를 포함한다.
즉, 외측커버(380)는, 내측에 배치되는 제1돌기(382)가 어퍼커버(320)의 돌출부(323)에 형성되는 고정홈(323b)에 삽입되고, 내측에 배치되는 제2돌기(384)가 서포터(370)의 고정부(378b) 하측에 배치되어, 외측커버(380)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외측커버(380)는, 외측커버(38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서포터(37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돌기(382)를 포함한다. 제1돌기(382)는, 외측커버(380)가 어퍼커버(320) 둘레로 장착될 때, 어퍼커버(320)의 고정홈(323b)에 삽입되어, 외측커버(380)의 배치를 고정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외측커버(380)는, 외측커버(38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로어커버(310)에 배치되는 스위치(311)를 누르는 제2돌기(384)를 포함한다. 제2돌기(384)는, 외측커버(380)가 로어커버(310) 상측에 장착될 때, 스위치(311)를 누른다. 외측커버(380)에는, 로어커버(310)에 배치되는 2개의 스위치(311) 각각을 누르는 2개의 제2돌기(384)를 포함한다.
제2돌기(384)가 로어커버(310)에 배치된 스위치(311)를 누를때, 제2돌기(384)는, 서포터(370)의 고정부(378b) 하측에 배치되어, 외측커버(38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외측커버(38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어퍼커버(320)의 상단과 접촉하는 상단돌기(386)가 형성된다. 상단돌기(386)는, 외측커버(38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단돌기(386)는, 어퍼커버(320)의 상단의 상측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90)는, 어퍼플레이트(374) 상측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390)는,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390)는, 사용자에게, 공기청정기(10)의 작동상태나, 실내공간의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공기청정기 100 : 제1송풍장치
110 : 제1케이스 120 : 제1필터
132 : 제1팬 160 : 구획장치
180 : 베이스 200 : 제2송풍장치
210 : 제2케이스 220 : 제2필터
232 : 제2팬 250 : 제2토출커버
270 : 이동장치 300 : 서큘레이터
310 : 로어커버 312 : 아우터플레이트
313 : 어퍼리브 314 : 로어플레이트
316 : 제1연결플레이트 320 : 어퍼커버
322 : 토출가이더 324 : 커넥트링
326 : 복수의 베인 330 : 송풍팬
332 : 허브 334 : 쉬라우드
338 : 블레이드 340 : 모터
342 : 모터축 350 : 이너커버
352 : 하우징 358 : 이너플레이트
362 : 제2연결플레이트 365 : 에지플레이트
366 : 힌지 370 : 이너커버
372 : 아우터프레임 374 : 어퍼플레이트
376 : 연결프레임 377 : 제1연결프레임
378 : 제2연결프레임 380 : 외측커버
382 : 제1돌기 384 : 제2돌기
386 : 상단돌기 390 : 디스플레이
400 : 필터

Claims (17)

  1. 제1 흡입구와,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 토출구를 구비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변경하는 서큘레이터; 및
    상기 서큘레이터와 상기 송풍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서큘레이터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서큘레이터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를 형성하는 로어커버;
    일측이 상기 로어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토출구를 형성하는 어퍼커버;
    상기 로어커버와 상기 어퍼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토출가이더;
    상기 토출가이더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링형상을 가지는 커넥트링; 및
    상기 토출가이더와 상기 커넥트링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더의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삽입돌기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에서 상기 토출가이더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어퍼커버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일측에서 상기 어퍼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서 체결부재로 상기 어퍼커버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허브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커버에 연결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아우터프레임의 일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어퍼커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일측에서 서포터와 접촉하고, 타측에서 어퍼커버와 접촉하여, 배치가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돌기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커버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서포터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홀 주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스위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스위치홀의 일측에서, 상기 제2돌기의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는,
    상기 송풍팬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커버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모터의 배치를 고정하는 이너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커버는, 하측으로 상기 로어커버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공기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는,
    송풍팬 하측으로 배치되는 모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 하측에 배치되는 이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일측에서 상기 이너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서 상기 이너커버와 체결되는 공기청정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는,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외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에지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서포터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허브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커버에 연결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에는, 상기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대응힌지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136225A 2020-07-10 2022-10-21 공기청정기 KR10262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25A KR102627657B1 (ko) 2020-07-10 2022-10-21 공기청정기
KR1020240004664A KR20240011212A (ko) 2020-07-10 2024-01-11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471A KR102459168B1 (ko) 2020-07-10 2020-07-10 공기청정기
KR1020220136225A KR102627657B1 (ko) 2020-07-10 2022-10-21 공기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471A Division KR102459168B1 (ko) 2020-07-10 2020-07-10 공기청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664A Division KR20240011212A (ko) 2020-07-10 2024-01-11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486A true KR20220149486A (ko) 2022-11-08
KR102627657B1 KR102627657B1 (ko) 2024-01-19

Family

ID=800521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471A KR102459168B1 (ko) 2020-07-10 2020-07-10 공기청정기
KR1020220136225A KR102627657B1 (ko) 2020-07-10 2022-10-21 공기청정기
KR1020240004664A KR20240011212A (ko) 2020-07-10 2024-01-11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471A KR102459168B1 (ko) 2020-07-10 2020-07-10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664A KR20240011212A (ko) 2020-07-10 2024-01-11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591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70B1 (ko) * 2016-10-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077572B1 (ko) * 2018-04-0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45A (ko) * 2018-10-02 2020-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KR102169198B1 (ko) * 2018-11-14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188890B1 (ko) * 2019-10-15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70B1 (ko) * 2016-10-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077572B1 (ko) * 2018-04-0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212A (ko) 2024-01-25
KR102459168B1 (ko) 2022-10-25
KR102627657B1 (ko) 2024-01-19
KR20220007354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8097A1 (en) Air cleaner
KR102471334B1 (ko) 공기청정기
KR20220007361A (ko) 공기청정기
CN113915760B (zh) 空气净化器
CN107157399B (zh) 吸尘器
CN114061005B (zh) 空气净化器
KR102459168B1 (ko) 공기청정기
KR102459987B1 (ko) 공기청정기
KR102480008B1 (ko) 공기청정기
KR102471335B1 (ko) 공기청정기
KR20220050538A (ko)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007362A (ko) 공기청정기
KR102533664B1 (ko) 공기청정기 서큘레이터
CN113606714B (zh) 空气净化器
KR102381725B1 (ko) 공기청정기
CN118049718A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