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538A -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538A
KR20220050538A KR1020200134321A KR20200134321A KR20220050538A KR 20220050538 A KR20220050538 A KR 20220050538A KR 1020200134321 A KR1020200134321 A KR 1020200134321A KR 20200134321 A KR20200134321 A KR 20200134321A KR 20220050538 A KR20220050538 A KR 2022005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ousing member
edge cover
fan hous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일
홍현진
박진원
권선덕
백주현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538A/ko
Publication of KR2022005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팬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팬이 수용되는 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팬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하는 팬 둘레 커버부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팬의 양측에 구비되는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팬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엣지 커버부,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주 리브 및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형성하는 내주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FAN ASSEMBLY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공기중에 섞여있는 먼지와 냄새 등을 걸러 다시 실내로 송풍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송풍유닛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송풍유닛 작동으로 공기청정기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청정기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로 흡인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져 공기청정기의 토출구에서 토출될 수 있다.
송풍유닛에는 팬과 팬하우징이 구비된다. 팬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팬하우징은 팬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송풍유닛 중에는 팬의 개구부에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의 돌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개구부에 있어서 원주형 팬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리브 또는 원주형 팬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리브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공기가 팬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역류 공기가 발생하면 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 송풍유닛의 송풍 성능이 저하된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16719 "원심팬의 벨마우스 구조"(특허문헌 1)에는 흡입구에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원심팬은 모터의 양측에 모터브라켓이 결합되고, 모터브라켓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와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크롤 하우징이 결합되며, 스크롤 하우징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가 구비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원심팬의 돌출 리브는 축 방향을 따라 임펠러와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단순히 유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기능만 할 뿐, 임펠러의 외주면에 구비되지도 않고 임펠러의 내주면에 구비되지도 않기 때문에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송풍팬은 송풍 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여전히 있다.
또한,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3-0014840 "팬하우징"(특허문헌 2)에도 흡입구의 가장자리에 돌출 리브 형태의 벨마우스가 설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팬하우징이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 전면 패널에서 이격된 후면 패널, 토출구를 제외하고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의 단부를 연결하여 팬하우징의 내부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2는 전면 패널, 후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팬하우징과 송풍팬 조립시 흡입구의 돌출 리브와 송풍팬의 간섭이 발생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팬의 외주면을 통해 역류하는 공기는 막을 수 없어 송풍 성능은 역류되는 공기에 의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16719 (2004.02.25.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14840 (2003.02.20.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팬 방향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쉽게 조립될 수 있는 팬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팬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팬이 수용되는 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팬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하는 팬 둘레 커버부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팬의 양측에 구비되는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팬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엣지 커버부,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주 리브 및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형성하는 내주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2 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제2 팬 엣지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팬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는 서로에 대해 상기 일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분해되거나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간의 경계는, 상기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간의 경계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배출구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팬 둘레 커버부 및 상기 팬 엣지 커버부는, 복수 개의 상기 팬이 서로 다른 팬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복수 개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는 복수 개의 상기 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팬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고 제1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팬 중 다른 하나를 커버하고 제2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3 팬 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대적인 배향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가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어느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4 팬 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 조립체는 공기청정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팬 조립체를 제조하는 팬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에 상기 모터를 안착시키는 모터 안착 단계, 상기 모터 및 상기 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팬을 상기 모터에 고정시키는 팬 조립 단계 및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고정시키는 하우징 조립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조립체는 공기가 팬으로 역류되어 흡입구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하우징 조립체는, 팬 엣지 커버부에 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리브와 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주 리부가 구비되더라도 간섭 없이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팬 조립체의 사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팬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개된 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 조립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팬 조립체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개된 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팬 조립체에서 팬 하우징 부재 일부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조립체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공기청정기(1)에는 후술할 필터(200)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청정기(1)는 필터(200)가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어 기능이 저하되면 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프레임(100), 필터(200) 및 팬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공기청정기(1)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필터(200) 및 팬 조립체(30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바디부(110), 필터 안착부(120) 및 사이드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좌우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11) 및 필터(200)에 의해 여과된 공기인 여과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와 토출구(112)는 바디부(11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구(111)는 바디부(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112)는 바디부(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입구(111)와 토출구(112)는 바디부(110)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유입구(111)와 토출구(112) 모두 바디부(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안착부(120)는 바디부(110)의 내부에 필터(200)가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필터(200)는 필터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바디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안착부(120)에는 단수의 필터(200)가 안착될 수 있으나, 복수의 필터(200)가 서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 안착부(120)는 팬 조립체(30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필터 안착부(120)의 상측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안착부(120)는 상측 단부가 복수의 유입구(111) 중 상측에 위치한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필터 안착부(120)가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필터(200)의 상측 단부도 유입구(111)를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필터 안착부(120)의 상측 단부가 기울어지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좁은 공간 안에 널은 면적의 필터(200)를 배치하고, 공기를 필터(200)의 여과면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여 여과시키기 위해서이다. 팬 조립체(300)가 필터 안착부(120)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유입구(111)를 통과한 공기는 팬 조립체(300)의 송풍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필터(2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공기는 필터(200)의 전면 중 상부에서만 집중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2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팬 조립체(300)의 송풍력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응하여 필터 안착부(120)의 상측 단부가 기울어지도록 배치할 경우, 공기는 필터(200)의 필터면을 전체적으로 통과하여 필터면에서 골고루 여과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부재(130)는 바디부(110)의 개방된 좌우면을 커버하여 바디부(110)와 함께 필터(200) 및 팬 조립체(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부재(130)는 공기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를 필터(200)로 안내하고, 필터(200)에서 제공된 여과 공기를 팬 조립체(30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부재(130)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필터(200) 및 팬 조립체(300)로 안내하기 위하여 필터 안착부(12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필터(200)는 공기청정기(1)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0)는 공기 내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는 필터 안착부(120)에 의해 상측 단부가 유입구(111)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에 의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은 유입구(111)와 필터(200) 사이에 위치한 제1 유동 공간(S1)과 필터(200)와 토출구(112) 사이에 위치한 제2 유동 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과한 후 제1 유동 공간(S1)에서 필터(200)로 유동될 수 있으며, 여과 공기는 제2 유동 공간(S2)에서 팬 조립체(300)를 통해 토출구(112)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필터(20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필터 안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200)는 동일한 종류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20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필터(200)는 제1 필터(210) 및 제2 필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10)와 제2 필터(220)는 집진, 항균, 항바이러스, 냄새 필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210)와 제2 필터(220)는 동일한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팬 조립체(300)는 외부 공기를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 유닛(300)은 여과 공기가 필터(200)와 토출구(112) 사이에서 유동하는 공간인 제2 유동 공간(S2)에 배치되되, 사이드 프레임 부재(130)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팬 조립체(300)가 제2 유동 공간(S2)에 배치되면, 팬 조립체(300)에는 필터(200)에서 여과된 공기가 통과하므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되어 팬 조립체(300)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팬 조립체(300)가 제2 유동 공간(S2)에 배치되면, 더 많은 양의 공기가 필터(200)를 통과하도록 강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유동 공간(S2)에 팬 조립체(300)가 배치되면, 제1 유동 공간(S1)에 팬 조립체(300)가 배치된 것에 비해 팬 조립체(3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압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또한, 팬 조립체(3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팬 조립체(300)가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팬 조립체(300)는 제1 방향(모터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여과 공기를 토출구(112)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팬 조립체(300)는 팬(310), 모터(320), 팬 하우징 조립체(330)을 포함할 수 있다.
팬(31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팬 하우징 조립체(3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팬(310)의 회전 중심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축 부재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팬(310)은 여과 공기가 회전축과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유입되고,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팬(310)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 제1 지지링(312) 및 제2 지지링(3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는 하나 이상의 지지링(312, 31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링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지지링은 제1 지지링(312)과 제2 지지링(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링(312)은 복수의 블레이드(311)의 일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블레이드(31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링(312)은 제2 지지링(313)보다 모터(32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링(313)은 복수의 블레이드(311)의 타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블레이드(31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링(313)은 제1 지지링(312)보다 모터(32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앞서 서술한 팬(31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310)은 모터(320)의 양측에 배치되어 모터(3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310)은 모터(3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팬(310-1) 및 모터(3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팬(3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팬(310-1) 및 제2 팬(310-2)의 사이에 모터(320)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320)는 팬 하우징 조립체(330)에 지지되어 팬(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터(3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320)는 복수 개의 팬(31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팬(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팬 하우징 조립체(330)는 팬(310)이 수용되는 팬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터(320)를 지지할 수 있다. 팬 하우징 조립체(330)는 팬 둘레 커버부(334) 및 2개의 팬 엣지 커버부(335, 336)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둘레 커버부(334)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를 반경방향의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팬 둘레 커버부(334)에는 팬 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33)가 블레이드(311)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수용공간에는 팬(310)이 위치할 수 있다. 배출구(333)는 제2 방향으로 여과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팬 둘레 커버부(334)에서 팬 엣지 커버부(335, 336)과 체결되는 부분에는 체결용 리브(334a)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용 리브(334a)는 팬 둘레 커버부(334)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용 리브(334a)는 2개의 팬 엣지 커버부(335, 336) 중 적어도 하나에 맞물려서, 팬 둘레 커버부(334)와 팬 엣지 커버부(335, 336)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용 리브(334a)는 단차 형상(step shape)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팬 엣지 커버부(335, 336)는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팬(3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는 배출구(333)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팬 엣지 커버부(335)는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보다 모터(320)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 중 하나 이상은, 엣지 커버부(335a, 336a), 외주 리브(335b, 336b), 및 내주 리브(335c, 336c)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가 각각 엣지 커버부(335a, 336a), 외주 리브(335b, 336b), 및 내주 리브(335c, 336c)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제1 팬 엣지 커버부(335)는 제1 엣지 커버부(335a), 제1 외주 리브(335b) 및 제1 내주 리브(335c)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는 제2 엣지 커버부(336a), 제2 외주 리브(336b) 및 제2 내주 리브(336c)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 커버부(335a, 336a)는 팬(310)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커버부(335a, 336a)는 외주 리브(335b, 336b)와 내주 리브(335c, 336c)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엣지 커버부(335a)는 팬(3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으며, 제2 엣지 커버부(336a)는 팬(310)의 타측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3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지지링(312)과 제2 지지링(313)이 마련될 경우, 제1 엣지 커버부(335a)와 제2 엣지 커버부(336a)는 각각 제1 지지링(312)과 제1 지지링(313)을 커버할 수 있다.
외주 리브(335b, 336b)는 팬(310)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엣지 커버부(335a, 336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외주 리브(335b, 336b)는 팬 둘레 커버부(334)의 내측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그 내주면은 팬(310)의 가장자리의 외주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러한 외주 리브(335b, 336b)는 배출구(333)로 유동되어야 할 여과 공기가 팬(3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팬(310)의 송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내주 리브(335c, 336c)는 팬(310)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엣지 커버부(335a, 336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내주 리브(335c, 336c)는 팬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331, 33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주 리브(335c, 336c)는 팬 둘레 커버부(334)의 내측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팬(310)의 가장자리의 내주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러한 내주 리브(335c, 336c)는 여과 공기가 흡입구(331, 332)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벨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주 리부(335c)는 흡입구(331, 332)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입구(331, 332)를 통해 여과 공기는 송풍력에 의해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팬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구(331, 332)는 제1 팬 엣지 커버부(335)에 형성된 제1 흡입구(331)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에 형성된 제2 흡입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구(331)는 제2 흡입구(332)보다 모터(320)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흡입구(331)가 모터(320)에 근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제1 흡입구(331) 방향으로 유입되는 여과 공기는 모터(320)의 열을 식혀주는 쿨링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팬 엣지 커버부(335) 및 제2 팬 엣지 커버부(336) 중 하나 이상에는 팬 둘레 커버부(334) 방향으로 돌출된 맞물림용 리브(335d)가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용 리브(335d)는 체결용 리브(334a)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용 리브(335d)는 체결용 리브(334a)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용 리브(334a)는 맞물림용 리브(335d)와 맞물려서 팬 둘레 커버부(334)와 팬 엣지 커버부(335, 336)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용 리브(334a)는 단차 형상(step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둘레 커버부(334)와 제2 팬 엣지 커버부(336)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었을 경우, 제1 팬 엣지 커버부(335)에서 돌출 형성된 맞물림용 리브(335d)와, 팬 둘레 커버부(334)에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용 리브(334a)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예로, 팬 둘레 커버부(334)와 제1 팬 엣지 커버부(336)는 일체로 형성될 경우, 제2 팬 엣지 커버부(336)에서 돌출 형성된 맞물림용 리브와, 팬 둘레 커버부(334)에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용 리브(334a)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팬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팬이 복수 개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팬 둘레 커버부(334) 및 팬 엣지 커버부(335, 336)는 복수 개의 팬(310)이 서로 다른 팬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복수 개로 팬 하우징 조립체(330)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 둘레 커버부(334)는 모터(320)의 양측에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팬 둘레 커버부(334) 중 모터에 일측에 구비되는 팬 둘레 커버부(334)가 제1 팬 둘레 커버부(334-1)로 명명되고, 모터에 타측에 구비되는 팬 둘레 커버부(334)가 및 제2 팬 둘레 커버부(334-2)로 명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팬 엣지 커버부(335)는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 및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 및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라는 용어에서의 내측은 모터에 인접하는 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개의 제2 팬 엣지 커버부(336)는 제1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 및 제2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 및 제2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라는 용어에서의 외측은 모터로부터 이격된 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팬 둘레 커버부(334-1),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 및 제1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는 제1 팬(310-1)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팬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여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제1 배출구(333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팬 둘레 커버부(334-2),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 및 제2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2)는 제2 팬(310-2)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팬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여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제2 배출구(333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팬 하우징 조립체(330)는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330a, 330b, 330c, 330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330a, 330b, 330c, 330d)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는 제1 팬 엣지 커버부(33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는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의 어느 일부(상부) 및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의 어느 일부(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는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는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의 상측에 위치하여 모터(320)의 상측을 커버하며 지지할 수 있다.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는 복수의 팬 엣지 커버부(335, 336) 중 제1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1)와 제1 팬 둘레 커버부재(33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는 제1 팬(310-1)을 커버하고 제1 배출구(3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는 서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서로 분해되거나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가 서로 조립될 때 체결용 리브(334a)와 맞물림용 리브(335d)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간의 경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333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제1 배출구(333b)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간의 경계는,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간의 경계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원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 있지만, 다른 예시로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는 제2 팬 외측 엣지 커버부(336-2) 및 제2 팬 둘레 커버부재(3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는 복수의 개의 팬(310) 중 다른 하나인 제2 팬(310-2)를 커버하고 제2 배출구(333b)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구(333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배출구(33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원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 있지만, 다른 예시로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는 제2 팬 엣지 커버부(336)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는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의 다른 일부(하부) 및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의 다른 일부(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는 모터(32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의 하측에 위치하여 모터(320)의 하측을 커버하며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가 조립됨에 따라, 복수의 제1 팬 엣지 커버부(335)가 제공될 수 있으며, 모터(320)가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모터(320)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 팬 하우징 조립체(330)의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와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간의 경계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원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 있지만, 다른 예시로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팬 하우징 부재(330a, 330b, 330c, 330d)는 제1 배출구(333a) 와 제2 배출구(333b)의 상대적인 배향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와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333a)와 제2 배출구(333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여과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가 조립됨에 따라 팬 하우징 조립체(3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가 원주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또는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에 결합되므로, 팬 엣지 커버부(335, 336)에 외주 리브(335b, 336b) 및 내주 리브(335c, 336c)가 구비되더라도, 팬(310)과 모터(320)를 복수의 팬 하우징 부재(330a, 330b, 330c, 330d)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팬 하우징 조립체(330)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으로 팬 둘레 커버부(334)의 어느 일부가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에 포함되고, 팬 둘레 커버부(334)의 다른 일부가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 둘레 커버부(334-1)의 어느 일부와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의 어느 일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팬 둘레 커버부(334-1)의 다른 일부와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1)의 다른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팬 둘레 커버부(334-2)의 어느 일부와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의 어느 일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팬 둘레 커버부(334-2)의 다른 일부와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335-2)의 다른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조립체(300)를 제조하는 팬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조립체(300)의 제조방법은 모터 안착 단계(S100), 팬 조립 단계(S200), 하우징 조립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안착 단계(S100)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 중 어느 하나에 모터(320)를 안착하여 모터를 지지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모터 안착 단계(S100)에서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가 조립됨에 따라 모터(320)가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에 지지될 수도 있다.
팬 조립 단계(S200)는 모터(320) 및 팬(310) 중 하나 이상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팬(310)이 모터(320)에 고정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제1 엣지 커버부(335a)는 팬(3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커버하고, 제1 외주 리브(335b)는 팬(310)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제1 내주 리브(335c)는 팬(310)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조립 단계(S300)에서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중 하나 이상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조립 단계(S300)는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 중 하나 이상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엣지 커버부(336a)는 팬(310)의 타측 가장자리를 커버하고, 제2 외주 리브(336b)는 팬(310)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내주 리브(336c)는 팬(310)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조립체(3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조립체(300)에서는 외주 리브(335b, 336b)가 여과 공기가 팬(3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주 리브(335c, 336c)가 벨마우스 구조로 형성되어 흡입구(331, 332)를 형성함에 따라 여과 공기가 팬 하우징 조립체(33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팬 하우징 부재(330b) 및 제3 팬 하우징 부재(330c)가 회전축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모터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인 제1 팬 하우징 부재(330a) 또는 제4 팬 하우징 부재(330d)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서술한 것처럼 팬 엣지 커버부(335, 336)에 외주 리브(335b, 336b) 및 내주 리브(335c, 336c)가 모두 구비되더라도,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가 팬(310)과의 간섭 없이 원활하게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팬 하우징 부재(330a, 330b, 330c, 330d)가 배출구(333a, 333b)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청정기 100: 프레임
110: 바디부 111: 유입구
112: 토출구 120: 필터안착부
130: 사이드 프레임 부재 200: 필터
300: 팬 조립체 310: 팬
311: 블레이드 312: 제1 지지링
313: 제2 지지링 320: 모터
330: 모터 하우징 조립체 330a: 제1 팬 하우징 부재
330b: 제2 팬 하우징 부재 330c: 제3 팬 하우징 부재
330d: 제4 팬 하우징 부재 331: 제1 흡입구
332: 제2 흡입구 333: 배출구
334: 팬 둘레 커버부 334b: 체결용 리브
334-1: 제1 둘레 커버부 334-2: 제2 둘레 커버부
335: 제1 팬 엣지 커버부 335a: 제1 엣지 커버부;
335b: 제1 외주 리브 335c: 제1 내주 리브
335d: 맞물림용 리브 335-1: 제1 팬 내측 엣지 커버부
335-2: 제2 팬 내측 엣지 커버부 336: 제2 팬 엣지 커버부
336a: 제2 엣지 커버부 336b: 제2 외주 리브
336c: 제2 내주 리브 336-1: 제1 팬 외측 엣지 커버부
336-2: 제2 팬 외측 엣지 커버부

Claims (10)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팬이 수용되는 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팬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하는 팬 둘레 커버부;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팬의 양측에 구비되는 2개의 팬 엣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팬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엣지 커버부;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주 리브; 및
    상기 팬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엣지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팬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형성하는 내주 리브를 포함하는,
    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2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2개의 팬 엣지 커버부 중 제2 팬 엣지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팬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는 서로에 대해 상기 일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분해되거나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팬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간의 경계는, 상기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팬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간의 경계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배출구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팬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팬 둘레 커버부 및 상기 팬 엣지 커버부는, 복수 개의 상기 팬이 서로 다른 팬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복수 개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는 복수 개의 상기 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팬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고 제1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팬 중 다른 하나를 커버하고 제2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3 팬 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팬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대적인 배향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가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팬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어느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팬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팬 엣지 커버부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4 팬 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팬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팬 조립체를 제조하는 팬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에 상기 모터를 안착시키는 모터 안착 단계;
    상기 모터 및 상기 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팬을 상기 모터에 고정시키는 팬 조립 단계; 및
    상기 제1 팬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팬 하우징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고정시키는 하우징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팬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팬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134321A 2020-10-16 2020-10-16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050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21A KR20220050538A (ko) 2020-10-16 2020-10-16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21A KR20220050538A (ko) 2020-10-16 2020-10-16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538A true KR20220050538A (ko) 2022-04-25

Family

ID=8145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21A KR20220050538A (ko) 2020-10-16 2020-10-16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5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5047A1 (zh) * 2022-03-28 2023-10-05 邬志坚 一种空气净化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40A (ko) 2001-08-13 2003-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하우징
KR20040016719A (ko)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벨마우스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40A (ko) 2001-08-13 2003-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하우징
KR20040016719A (ko)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벨마우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5047A1 (zh) * 2022-03-28 2023-10-05 邬志坚 一种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15761B (zh) 空气净化器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KR100365478B1 (ko) 전동송풍기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청소기
EP2047782B1 (en) Vacuum cleaner with mutliple exhaust points
KR20180068650A (ko)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4276907B2 (ja) 空気清浄機
EP1929915A2 (en) Fan motor case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CN101440981B (zh) 空气调节机
KR20220050538A (ko)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RU2302556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и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с таким вентилятором
KR20100063548A (ko) 사류형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0716207B1 (ko) 다익송풍기
JP3391361B2 (ja) 多翼送風機
JP200321465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3606714B (zh) 空气净化器
US20220008855A1 (en) Air cleaner
CN116018482A (zh) 空气净化器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20220131096A (ko) 공기청정기
JP4967582B2 (ja) 空気調和機
US20240035702A1 (en) Air cleaner
CN215951674U (zh) 空气净化器
KR102459168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1029A (ko)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