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160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160A
KR20220149160A KR1020210056427A KR20210056427A KR20220149160A KR 20220149160 A KR20220149160 A KR 20220149160A KR 1020210056427 A KR1020210056427 A KR 1020210056427A KR 20210056427 A KR20210056427 A KR 20210056427A KR 20220149160 A KR20220149160 A KR 2022014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kering
lng
lng bunkering
candidate area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5333B1 (en
Inventor
이창희
전영훈
유용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3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6Multi-objective optimisation, e.g. Pareto optimisation using simulated annealing [SA], ant colony algorithms or genetic algorithms [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which may include the steps of: selecting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and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by evaluating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bunkering capacity, dock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Description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본 발명은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항만 특성을 분석하여 위험도의 가능성을 평가하여, 항만별 최적 벙커링 선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LNG 벙커링 배치를 설계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alyze major port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isk, to develop an optimal bunkering selection model for each port, and to design an optimal LNG bunkering arrangement based on this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액화 천연 가스(LNG)는 운송을 위한 대체 연료로 이용되고 있다. 액화 천연 가스(LNG)는 친환경 해양 연료이며, 다른 연료에 비해 가격도 합리적인 편이다.Liquefied natural gas (LNG)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fuel for transportation. Liquefied natural gas (LNG) is an eco-friendly marine fuel, and its price is reasonable compared to other fuels.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200개 이상의 LNG 동력 운반선이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LNG 동력 운반선에는 연료와 LNG로 동작 가능한 이중 모드 엔진(dual mode engines)을 갖춘 여러 LNG 운반선도 있다.There are more than 200 LNG-powered carriers in operation worldwide today, including several LNG-powered carriers with dual mode engines capable of operating on fuel and LNG.

최근 점점 강화되고 있는 환경 규칙에 따라 이와 같은 운반선의 사용량 및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usage and demand of such carrier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increasingly stringent environmental rules.

그러나, 최근에 액화 천연 가스(LNG)가 온실 가스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고, 주로 연료의 수명 주기동안 메탄이 배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 비용이 필요하고, 또한, 현재로는 아직까지 액화 천연 가스(LNG)의 인화점 및 극저온 특성, 가스 누출 시 폭발 위험, LNG 탱크의 높은 에너지 함량 등과 관련된 안전 문제와 가용성 등과 같은 고려 대상을 모두 충족하는 LNG 벙커링 인프라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recently, interest in liquefied natural gas (LNG)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effect on greenhouse gases, and relatively high investment costs are required because methane is emitted mainly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fuel, and also, at present, has not yet been able to build an LNG bunkering infrastructure that meets all considerations such as the flash point and cryogenic characteristics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the risk of explosion in the event of a gas leak, and safety issues and availability related to the high energy content of LNG tanks. to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요 항만 특성을 분석하여 위험도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벙커링 구역을 설정하여 항만별 최적 벙커링 선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LNG 벙커링 배치를 설계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port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isk, to develop an optimal bunkering selection model for each port by setting a bunkering zone, and an LNG bunkering design device for designing an optimal LNG bunkering arrangement based on this to provide a way

또한,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을 통해 LNG 벙커링을 위한 각종 절차서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본 발명의 LNG 벙커링 설계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이 탑재된 운용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가상 훈련자 시뮬레이터를 개발함으로써, LNG 벙커링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presenting various procedures and scenarios for LNG bunkering through the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and by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and a virtual trainer simulator for educating operators equipped with an algorithm according to the LNG bunkering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aims to ensure that LNG bunkering operations can be carried out safe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벙커링 용량, 부두 시설물 특성, 위험도, 벙커링 관련 규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LNG 벙커링 방식을 평가하여,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the steps of selecting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bunkering capacity, pier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 related It provides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valuating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a parameter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regulations, and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거나,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여, 상기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signing the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by chang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방식은, 차량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1 벙커링 방식(TTS, Truck to Ship), 파이프를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2 벙커링 방식(PTS, Pipe to Ship), 그리고 LNG 벙커링 전용 선박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3 벙커링 방식(STS, Ship to Ship)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G bunkering method includes a first bunkering method (TTS, Truck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hicle, and a second bunkering method (PTS, Pipe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pipe. ), and a third bunkering method (STS, Ship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ssel exclusively for LNG bunke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벙커링 용량에 따른 파라미터는, 선박 규모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 또는 선박 종류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을 고려하여 산출하되, 상기 선박 종류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은, 기 정해진 기간동안 사용된 연료 소모량에 따른 계수와, 요구 항해 거리에 따른 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according to the bunkering capacity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size of the vessel or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type of the vessel, wherein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type of the vessel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t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equired sailing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두 시설물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는, 부두의 허용 하중, 접근성, 설비 가능성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fac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load, accessibility, and facility possibility of the pi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에 따른 파라미터는, LNG 벙커링 작업 과정에서 가스 유출 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확산 범위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diffusion range in which gas may be diffused when gas is discharged during an LNG bunker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은, 부두 구조 허용 하중, 기상 등급에 따른 선박 접이안 기준, 위험화물 선적 및 통항 선박 이격거리기 기준, 그리고 항만 기상 및 수역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considers at least one of the pier structure allowable load, the vessel docking criterion according to the weather class, the dangerous cargo loading and passage vessel separation criterion, and the port weather and water area criterion can be determin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후보 영역별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벙커링 용량, 상기 부두 시설물 특성, 상기 위험도, 및 상기 벙커링 관련 규정에 따른 파라미터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선정된 후보 영역별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of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comprises: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parameters according to the bunkering capac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facility, the risk, and the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According to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for each of the selected candidate area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하는 후보 영역 선정부와,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하고, 벙커링 용량, 부두 시설물 특성, 위험도, 벙커링 관련 규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벙커링 모델 결정부를 포함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didate area selector for selecting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and bunkering capacity It provides an LNG bunkering design device including a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n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거나,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여, 상기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는 설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and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review result, By chang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t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unit for designing the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방식은, 차량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1 벙커링 방식(TTS, Truck to Ship), 파이프를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2 벙커링 방식(PTS, Pipe to Ship), 그리고 LNG 벙커링 전용 선박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3 벙커링 방식(STS, Ship to Ship)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G bunkering method includes a first bunkering method (TTS, Truck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hicle, and a second bunkering method (PTS, Pipe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pipe. ), and a third bunkering method (STS, Ship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ssel exclusively for LNG bunker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LNG 벙커링 설계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G bunkering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NG 벙커링을 위한 각종 절차서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본 발명의 LNG 벙커링 설계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이 탑재된 운용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가상 훈련자 시뮬레이터를 개발함으로써, LNG 벙커링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enting various procedures and scenarios for LNG bunkering, and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and a virtual trainer simulator for educating an operator equipped with an algorithm according to the LNG bunkering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LNG bunkering I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stabilit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LNG 벙커링 중 가스 유출 시 확산 범위를 표시한 시뮬레이션 화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위험 지역을 분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TS 방식 등 벙커링 방식에 따라 위험 존(zone)들이 설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보 영역에 대하여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영역별로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9는 도8에서 S830 단계의 세부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mulation screen showing a diffusion range when gas is leaked during LNG bunk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of a dangerous area with respect to a targe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anger zones are set according to a bunkering method such as a PT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signed for a candidat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signed for each candidat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S830 in FIG. 8 over tim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주요 항만 특성을 분석하여 위험도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벙커링 구역을 설정하여 항만별 최적 벙커링 선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LNG 벙커링 배치를 설계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risk by analyzing major port characteristics, developing an optimal bunkering selection model for each port by setting a bunkering zone, and designing an optimal LNG bunkering arrangement based on th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을 통해 LNG 벙커링을 위한 각종 절차서와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LNG 벙커링 설계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이 탑재된 운용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가상 훈련자 시뮬레이터를 개발함으로써, LNG 벙커링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Various procedures and scenarios for LNG bunkering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ng an operator equipped with an algorithm according to the LNG bunkering desig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virtual trainer simulator,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LNG bunker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safel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장치(100)는 후보 영역 선정부(110),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 입력부(150), 설계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 a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 an input unit 150 , and a design unit 170 .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영역 선정부(110)는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영역이란, 특정 국가의 주요 항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주요 항만은 입출항 선박척수, 누적 톤급, 주요 통항 선종 및 선박 규모 등을 고려한 LNG 벙커링 대상 주요 항만(예를 들어, 부산, 울산, 인천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후보 영역 선정부(110)에 의해 선정된 후보 영역들은 추후 2차 선정 작업을 통해 설계 대상 영역을 추가적으로 선정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후보 영역 선정부(110)에 의해 선정된 후보 영역들은 모두 설계 대상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The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the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Here, the candidate area may mean a major port of a specific country, and the mai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jor port for LNG bunker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incoming and outgoing ships, cumulative ton class, main types of passing ships, and the size of ships (for example, , Busan, Ulsan, Incheon, etc.). The candidate areas selected by the candidate area selector 110 may additionally select a design target area through a secondary selection operation later. In another embodiment, all of the candidate areas selected by the candidate area selector 110 are It may be set as a design target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하고, 벙커링 용량, 부두 시설물 특성, 위험도, 벙커링 관련 규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LNG 벙커링 방식을 평가하여, 후보 영역 선정부(110)에 의해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and considers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bunkering capacity,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 related regulations. By evaluating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method,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may be determined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by the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

각 후보 영역별 최적화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로서, 부두 구조 허용하중(LNG 탱크로리(Tank lorry) 차량 통과 검토), 기상 등급에 따른 선박 접이안 기준, 위험화물 선적 및 통항 선박 이격거리기 기준, 항만 기상 및 수역 기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The main factors to be considered in selecting the optimized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for each candidate area are the pier structure allowable load (LNG tank lorry vehicle passing review), ship folding standards according to weather class, dangerous cargo loading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criteria for the separation distance of passing vessels, and the criteria of port weather and water area.

LNG 벙커링 방식으로는, 크게 TTS 방식(제1 벙커링 방식), PTS 방식(제2 벙커링 방식), 그리고 STS 방식(제3 벙커링 방식)이 있다.As the LNG bunkering method, there are largely a TTS method (first bunkering method), PTS method (second bunkering method), and STS method (third bunkering method).

TTS(Truck to Ship) 방식은, 차량(트럭)을 통한 벙커링 수급으로 50톤 트럭 1대를 기준으로 하며, 최대 LNG 벙키링량은 트럭을 다수 연결한 멀티 TTS 방식의 경우 50톤 트럭을 최대 10대 연결한 500CMB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TTS 방식은 소량의 LNG 벙커링이 가능하다는 점과, 부두 내 추가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반면에 대량의 LNG 벙커링이 불가능하며, 선박으로 트럭의 접근이 제한되는 경우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The TTS (Truck to Ship) method is based on the supply and demand of bunkering through vehicles (trucks), and is based on one 50-ton truck. It can be based on 500CMB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T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a small amount of LNG bunkering is possible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dditional facilities at the pier. There are disadvantages.

PTS(Pipe to Ship) 방식은, 육상에 전용 LNG 저장소에서 파이프를 통해 부두와 직접 LNG 공급 및 수급하는 방식이며, 대상 선박에 벙커링 수행 전용화된 설비로 벙커링량에 제한이 작다. PTS 방식은 벙커링량에 제한이 작다는 장점이 있고, 부두에 별도의 파이프를 설치(매설)해야 하며, 안전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다수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PTS (Pipe to Ship) method is a method of supplying and supplying LNG directly from a dedicated LNG storage on land to a pier through a pipe, and is a facility dedicated to performing bunkering on a target vessel and has a small limit on the amount of bunkering. The PT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mall limitation on the amount of bunkering, the need to install (buried) a separate pipe at the pier, and the disadvantages that a number of additional facilities for safety are required.

STS(Ship to Ship) 방식은, LNG 벙커링 전용 선박을 통해 해상에서 선박간의 더블 뱅킹(double banking)을 통해 벙커링 공급으로 기존 연료유(벙커-C유 등)에서 대다수 활용되는 방식이다. STS 방식은 대량의 벙커링 공급이 가능하고, 부두에 별도의 시설물 배치 필요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고, 소량의 벙커링 공급에 제한이 있고, 더블 뱅킹 중 선박간의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STS (Ship to Ship) method is mostly used in the existing fuel oil (Bunker-C oil, etc.) for supplying bunkering through double banking between ships at sea through a vessel dedicated to LNG bunkering. The STS method has advantages in that a large amount of bunkering can be supplied, the need for a separate facility arrangement is low at the pier, there is a limit to the supply of a small amount of bunkering,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safety between ships during double bank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각 후보 영역별 벙커링 용량(Bc)과, 부두 시설물 특성(Fc)과, 위험도(Ha)와, 벙커링 관련 규정(Br)에 대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결정된 후보 영역별 상술한 바와 같은 LNG 벙커링 방식에 대하여 평가하고, 이에 따라 각 후보 영역별 최적의 벙커링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arameters for the bunkering capacity (Bc) for each candidate area, the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Fc), the degree of risk (Ha), and the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Br).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above-described LNG bunkering method for each candidate area determined by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and to determine an optimal bunkering model for each candidate area accordingly.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각 파라미터별 결과를 정량화하여 각 후보 영역별 결정된 벙커링 방식을 평가할 수 있다.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quantify the result for each parameter and evaluate the bunkering method determined for each candidate area.

먼저,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가 벙커링 용량(Bc)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벙커링 용량(벙커링 필요량)은 선박 규모에 따른 벙커링 용량(Bunkering Consumption by Gross tonnage)과, 선박 종류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Bunkering Consumption by Vessel type)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First, a method in which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calculates a parameter related to the bunkering capacity Bc will be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kering capacity (bunkering required amount) must consider both the bunkering consumption by gross tonna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ssel and the bunkering consumption by vessel type related to the type of the vessel.

선박 규모에 따른 벙커링 용량(Bcg)은 해당 영역의 대상 선박의 총톤수를 기준으로 선박의 규모를 평가해야 하며, 기준 벙커링 탱크용량(예를 들어, 500m3)을 기준으로 해당 탱크용량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는 총톤수(예를 들어, 3,000톤금) 선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박 규모에 따른 벙커링 용량을 정량화 하기 위하여 각 벙커링 방식에서 가능한 최소 대상 선박 톤급과 최대 대상 톤급 선박을 기준으로 Min-Max 수식을 통하여 정량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규모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Bcg = (xa-min)/(max-min))에서, xa는 대상선박의 총톤수 일 수 있다.The bunkering capacity (Bc g )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ssel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gross tonnage of the target vessel in the area, and the size of the vessel should have the corresponding tank capacity based on the reference bunkering tank capacity (eg, 500m 3 ).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pected gross tonnage (eg, 3,000 tons of gold). In order to quantify the bunke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ssel, it can be quantified through the Min-Max formula based on the minimum target vessel ton class and the maximum target ton class vessel possible in each bunkering method. I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size of the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c g = (x a -min)/(max-min)), x a may be the gross tonnage of the target vessel.

본 발명의 일 예로, 벙커링 가능 규모 시 최대 규모는 현행 운행중인 최대 선박인 200,000톤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고, 0 이하는 0으로 반영하며 결과값이 100을 초과하는 경우는 해당 방식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0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래 <표1>은 평가 결과에 대한 예시로 최소 선박 규모 2,000톤급, 최다 빈번한 선박 규모는 5,000톤급, 최대 선박 규모는 80,000톤급에 대한 벙커링 용량을 정량화 하기 위한 기준 표이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scale for bunkering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200,000 tons, which is the largest ship currently in operation, and 0 or less is reflected as 0, and if the result value exceeds 100, the method cannot be accepted. It can be evaluated as 0 as exceeding the limit. <Table 1> below is an example of the evaluation result, and is a standard table for quantifying the bunkering capacity for the minimum vessel size of 2,000 ton class, the most frequent vessel size is 5,000 ton class, and the maximum vessel size is 80,000 ton class.

방식method MinMin MaxMax 20002000 50005000 80008000 STSSTS 30003000 200000~200000~ 00 0.010.01 0.390.39 PTSPTS 00 200000~200000~ 0.010.01 0.0250.025 0.400.40 TTSTTS 00 30003000 0.400.40 1.01.0 00

선박 종류에 따른 벙커링 용량(Bct)은 선종별 연료 소모량과 항행거리를 반영한 벙커링 방식별 민감도를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민감도 산정의 경우, 대상 선박의 연료소모량(BC)과 대상 항만에서 다음 항만까지의 평균적인 항행거리(VL)로 보정하여 산정하여야 한다.The bunkering capacity (Bc t ) according to the type of vessel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sensitivity of each bunkering method that reflects the fuel consumption and navigation distance for each type of vessel. In the case of sensitivity calculation, it should be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fuel consumption (BC) of the target ship and the average sailing distance (VL) from the target port to the next port.

선박 종류에 따른 벙커링 용량을 산출하는 방식(Bct = CL x VD)에서 CL은 1일간 연료 소모량에 따른 계수이고, VD는 요구 항해 거리에 따른 계수이다.I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bunke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type of vessel (Bc t = C L x V D ), C L is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aily fuel consumption, and V D is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equired sailing distance.

다음으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가 부두 시설물 특성(Fc, Facility characteristics)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by which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calculates a parameter related to a pier facility characteristic (Fc).

부두 특성은 중력식 부두, 잔교식 부두, 돌핀식 부두, 그리고 부유식 부두 총 4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중력식 부두는 부두에 직접 접안하며 부두 상부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해 하중 강도가 강한 경우이고, 잔교식 부두는 부두에 직접 접안하되 부두 상부에 하중이 제한이 있는 경우이며, 돌핀식 부두는 부두에 직접 접안하되, 유류 화물 위주의 부두로 접근이 제한적인 경우이고, 부유식 부두 또는 정박지는 해상에 선박 접안 또는 계류하는 경우이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gravity pier, pier pier, dolphin pier, and floating pier. Gravity-type piers are berthed directly on the pier and the load strength is strong for loading cargo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However, it is a case where access is limited to a wharf mainly for oil cargo, and a floating pier or berth is a case where a vessel is berthing or mooring at sea.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대상 영역의 부두 특성(부두의 허용 하중)과, 접근성(Ac), 설비 가능성(Ip)을 모두 고려하여 부두 시설물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calculate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pier characteristics (allowable load of the pier) of the target area, the accessibility (Ac), and the facility possibility (Ip).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접근성(Ac)과 설비 가능성(Ip)을 고려하여 대상 영역에 적용할 벙커링 방식을 확인하고, 대상 영역에 대하여 확인된 벙커링 방식과 부두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기 설정된 벙커링 방식 및 부두 특성에 따른 정량화 테이블을 참고하여, 대상 영역의 부두 시설물 특성에 따른 정량화된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130 checks the bunkering method to be applied to the targe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accessibility (Ac) and the facility possibility (Ip), and the confirmed bunkering method for the target area A quantified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may be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quantific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t bunkering method and the pie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and the bunkering method.

다음으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가 위험도(Ha, Hazard analysis)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in which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calculates a parameter related to a hazard (Ha, Hazard analysis) will be described.

위험도와 관련된 파라미터는,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해당 영역의 LNG 벙커링 방식에 따른 LNG 벙커링 중 가스 유출시 확산 범위를 주요한 고려 요소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밸브 사이의 거리와, 누설량(초당 누설량)과, 가스 유출시 폭발 상한선 및 하한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에 대한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As for the parameter related to the degree of risk, the diffusion range during gas outflow during LNG bunkering according to the LNG bunkering method of the corresponding area determined b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is a major factor to be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calculate a parameter for the degree of risk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valves, the amount of leakage (leakage per second), and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explosion when gas is leaked.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LNG 벙커링 중 가스 유출 시 확산 범위를 표시한 시뮬레이션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해당 영역에 대하여 산출된 위험도 파라미터의 결과를 레드 존(red zone), 옐로우 존(yellow zone), 그린 존(green zone)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레드 존은 3.1 내지 3.9 m 이내의 확산 범위로 정해진 구역일 수 있고, 옐로우 존은 6.8 내지 12 m 이내의 확산 범위로 정해진 구역일 수 있으며, 그린 존은 27m 이상의 확산 범위로 정해진 구역일 수 있다.2 is a simulation screen showing a diffusion range when gas is leaked during LNG bunk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splay the result of the risk parameter calculated for the corresponding area as a red zone, a yellow zone, and a green zone. For example, the red zone may be an area defined by a diffusion range within 3.1 to 3.9 m, the yellow zone may be an area defined by a diffusion range within 6.8 to 12 m, and the green zone may be an area defined by a diffusion range of 27 m or more. have.

다음으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가 벙커링 관련 규정(Br, Bunkering rules and regulations)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in which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calculates parameters related to bunkering rules and regulations (Br, Bunkering rules and regulations).

벙커링 관련 규정에 대한 파라미터는, 위험 지역 분류 규정을 주요한 고려 요소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상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위험 물질이 존재하는 장소로서, 연료 탱크 내부에 국한되지 않고 연료 탱크용 압력 도출 또는 벤팅 장치의 모든 배관, 연료 배관 및 설비와 같은 장소를 Zone 0(category 1)로 지정하고, 정상상태에서 위험 물질이 존재하기 쉬운 장소로서, 예컨대 탱크연결구역, 연료저장창구역, 통풍장치가 설치된 연료준비실, 연표탱크 출구 등이 포함된 영역 등과 같은 장소를 Zone 1(category 2)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상상태에서 위험물질이 단기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장소로서, 예컨대 Zone 1의 개방 또는 반 폐위 구역의 주위 1.5 m이내의 장소를 포함하는 등과 같은 장소를 Zone 2(category 3)로 지정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위험 지역을 분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As for the parameters for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the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regulations are a major factor to cons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ace where hazardous substances are continuously present in a normal state, it is not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fuel tank, but a place such as all pipes, fuel pipes, and facilities of a pressure relief or venting device for a fuel tank is Zone 0 Designated as (category 1), a place where hazardous substances are likely to exist under normal conditions, such as a tank connection area, a fuel storage area, an area including a fuel preparation room with ventilation system, and a timetable tank outlet, are designated as Zones. It can be designated as 1 (category 2), and places where hazardous substances can exist for a short time under abnormal conditions, such as those including places within 1.5 m around an open or semi-enclosed area of Zone 1, etc. category 3).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of a dangerous area with respect to a targe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TS 방식 등 벙커링 방식에 따라 위험 존(zone)들이 설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anger zones are set according to a bunkering method such as a PT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한 각 파라미터의 산출 결과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적인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파라미터에 적용될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미리 조사되어 산정된 가중치일 수 있다.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determine the final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o the calculation results of each parameter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Here, the different weights to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parameters may be weights calculated by researching in advance for exper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파라미터별 산출 결과에 기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출된 최종 결과에 따라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되, 이때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미리 저장된 도출된 결과 수치범위별 LNG 벙커링 모델 기준 테이블을 고려하여 대상 영역의 해당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130 determines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according to the final result deriv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calculation result for each parameter, wherein the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130 is It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of the targe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LNG bunkering model reference table for each numerical range of the derived result stored in advance.

다시 도1을 참조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는 후보 영역 선정부(110)로부터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토 결과는 LNG 벙커링과 관련된 공신력 있는 기관(예를 들어, ABS, DNY-GL, KR 등)에서 수행된 검토 결과일 수 있고, 이에 대한 검토 결과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b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by the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 can receive The review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result of a review conducted by an institution with public credibility related to LNG bunkering (eg, ABS, DNY-GL, KR, etc.), and the review result data may be input thereto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부(170)는 입력부(150)로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선정된 후부 영역별로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거나,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로부터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여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설계부(170)는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서 상기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할지, 상기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기반으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할지 결정할 수 있다.The design uni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s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rear reg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review result input to the input unit 150 , or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b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 can be changed to design the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the design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or to design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according to the input review result.

설계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이 최종 결정되면, 대상 영역에 적용할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보 영역에 대하여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산 신항에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항 묘박지에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영역별로 설계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When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s finally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design unit 170 may design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to be applied to the target area. 5 to 6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signed for a candidat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designed for Busan New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signed for each candidat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9는 도8에서 S830 단계의 세부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and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step S830 in FIG. 8 over time.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장치(100)의 후보 영역 선정부(110)는 S810 단계에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of the LNG bunkering desig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in step S810 .

그리고, S820 단계에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Then, in step S820 ,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determine the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그리고, S830 단계에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LNG 벙커링 방식 평가를 위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S83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S820 단계 이후에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S831 단계에서 후보 영역에 대한 벙커링 용량에 따른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S833 단계에서 후보 영역에 대하여 부두 시설물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S835 단계에서 후보 영역에 대하여 위험도에 따른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S837 단계에서 후보 영역에 대하여 벙커링 관련 규정에 따른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Then, in step S830 ,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may calculate result values for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 LNG bunkering method. Referring to FIG. 9, step S8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fter step S820,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calculates a parameter according to the bunkering capacity for the candidate area in step S831, and for the candidate area in step S833. A parame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ay facility may be calculated, a parame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may be calculated for the candidate area in step S835, and a parameter according to the bunkering-related regulation may be calculated for the candidate area in step S837.

상기와 같은 S831 내지 S837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each step of S831 to S837 as described above overlaps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us, will be omitted herein.

다시 도8을 참조하면,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S830)한 이후, S840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고려하여,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는 파라미터별 산출 결과에 기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출된 최종 결과에 따라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되, 도출된 결과 수치범위별 LNG 벙커링 모델 기준 테이블을 고려하여 대상 영역의 해당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 the bunkering model determiner 130 calculates the result values for the plurality of parameters ( S830 ), and then considers the result values calculated in the step S840 , to determine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according to the final result deriv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calculation result for each parameter, but considering the LNG bunkering model reference table for each numerical range of the derived result. The corresponding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can be determined.

그리고, S850 단계에서 입력부(150)는 후보 영역 선정부(110)로부터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 받는다.In step S850 , the input unit 150 receives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b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from the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10 .

이에 따라, S86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부(170)는 입력부(150)로 입력된 검토 결과를 고려하여, 벙커링 모델 결정부(130)로부터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Accordingly, in step S860 , the design uni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by the bunkering model determination unit 130 in consideration of the review result input to the input unit 150 . do.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고자 하면, 다시 S830 단계로 돌아가 LNG 벙커링 방식 평가를 위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결과값을 재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재산출 과정에서 각 파라미터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변수별 적용할 가중치 조정하고, 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재산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f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s to be chang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830 to recalculate result values for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 LNG bunkering method. In this case, it may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weight to be applied to each variabl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 value of each parameter in the recalculation process, and to recalculate by applying the adjusted weight.

반면, 설계부(170)는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토대로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S870 단계에서 후보 지역별로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ign unit 170 intends to proceed based on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put review result, the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may be designed for each candidate region in step S87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component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LNG 벙커링 설계 장치
110: 후보 영역 선정부
130: 벙커링 모델 결정부
150: 입력부
170: 설계부
100: LNG bunkering design device
110: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130: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150: input unit
170: design department

Claims (12)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벙커링 용량, 부두 시설물 특성, 위험도, 벙커링 관련 규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LNG 벙커링 방식을 평가하여,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selecting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method for the selected candidate area;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by evaluating the determined LNG bunker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bunkering capacity,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제1항에 있어서,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거나,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여, 상기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Designing the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by build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review result or chang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방식은,
차량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1 벙커링 방식(TTS, Truck to Ship), 파이프를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2 벙커링 방식(PTS, Pipe to Ship), 그리고 LNG 벙커링 전용 선박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3 벙커링 방식(STS, Ship to Sh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NG bunkering method is
The first bunkering method (TTS, Truck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hicle, the second bunkering method (PTS, Pipe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pipe, and the second bunkering method,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ship exclusively for LNG bunkering. 3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omprising a bunkering method (STS, Ship to 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벙커링 용량에 따른 파라미터는,
선박 규모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 또는 선박 종류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을 고려하여 산출하되,
상기 선박 종류와 관련된 벙커링 용량은, 기 정해진 기간동안 사용된 연료 소모량에 따른 계수와, 요구 항해 거리에 따른 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bunkering capacity ar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size of the vessel or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type of vessel,
The bunkering capacity related to the type of vessel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uel consumption amoun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equired sailing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두 시설물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는,
부두의 허용 하중, 접근성, 설비 가능성을 고려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r facilities are,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load, accessibility, and facility possibility of the p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에 따른 파라미터는,
LNG 벙커링 작업 과정에서 가스 유출 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확산 범위를 고려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risk are,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usion range in which gas can be diffused in case of gas leakage during the LNG bunker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은,
부두 구조 허용 하중, 기상 등급에 따른 선박 접이안 기준, 위험화물 선적 및 통항 선박 이격거리기 기준, 그리고 항만 기상 및 수역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s,
An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llowable pier structure load, the ship folding standard according to the weather class, the separation distance standard for dangerous cargo loading and transit ships, and the port weather and water area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후보 영역별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벙커링 용량, 상기 부두 시설물 특성, 상기 위험도, 및 상기 벙커링 관련 규정에 따른 파라미터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선정된 후보 영역별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includes:
LNG bunkering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is determined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o the bunkering capac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arf facility, the risk, and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후보 영역을 선정하는 후보 영역 선정부와,
선정된 후보 영역에 대한 LNG 벙커링 방식을 결정하고, 벙커링 용량, 부두 시설물 특성, 위험도, 벙커링 관련 규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결정하는 벙커링 모델 결정부를 포함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A candidate are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andidate area for designing an LNG bunkering operating system;
An LNG bunkering design comprising a bunkering model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n LNG bunkering method for a selected candidate area, and determines an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bunkering capacity, quay facility characteristics, risk, and bunkering-related regulations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분석한 검토 결과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검토 결과에 따라 선정된 후보 영역별로 결정된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거나, 상기 LNG 벙커링 최적화 모델을 변경하여, 상기 LNG 벙커링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는 설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review result of analyz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selected candidate area;
LNG bunkering de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sign unit for designing the LNG bunkering operation system by build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for each candidate area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review result or by changing the LNG bunkering optimization mode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NG 벙커링 방식은,
차량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1 벙커링 방식(TTS, Truck to Ship), 파이프를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2 벙커링 방식(PTS, Pipe to Ship), 그리고 LNG 벙커링 전용 선박을 이용하는 LNG 벙커링 방식인 제3 벙커링 방식(STS, Ship to Sh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설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NG bunkering method is
The first bunkering method (TTS, Truck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vehicle, the second bunkering method (PTS, Pipe to Ship),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pipe, and the second bunkering method, which is an LNG bunkering method using a ship exclusively for LNG bunkering. 3 LNG bunkering design device comprising a bunkering method (STS, Ship to Ship).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LNG 벙커링 설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LNG bunkering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on a computer.
KR1020210056427A 2021-04-30 2021-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KR102495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27A KR102495333B1 (en) 2021-04-30 2021-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27A KR102495333B1 (en) 2021-04-30 2021-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60A true KR20220149160A (en) 2022-11-08
KR102495333B1 KR102495333B1 (en) 2023-02-06

Family

ID=8404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27A KR102495333B1 (en) 2021-04-30 2021-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3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452A (en) * 2012-01-3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lng plant construction project in design phase
KR20190004166A (en) * 2017-07-03 2019-01-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usiness consulting for LNG supply solutions
KR20200060932A (en)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오에스랩 Monitoring system for lng bunke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452A (en) * 2012-01-3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lng plant construction project in design phase
KR20190004166A (en) * 2017-07-03 2019-01-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usiness consulting for LNG supply solutions
KR20200060932A (en)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오에스랩 Monitoring system for lng bunker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en Lu et al. Location Selection of an LNG Bunkering Port in Korea. Journal of Korea Trade, Vol. 23, No. 2, 59-75 page, 2019.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333B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port LNG bunkering station
Iannaccone et al. Inherent safety assessment of alternative technologies for LNG ships bunkering
Fan et al. Safety philosophy and risk analysis methodology for LNG bunkering simultaneous operations (SIMOPs): A literature review
CN110245856A (en) A kind of LNG security risk assessment system based on Bayesian network
Skoupas et al. Parametric design and optimisation of high-speed Ro-Ro Passenger ships
Shao et al. A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n development the fuel gas supply system of a small LNG fueled fishing ship
Zaraphonitis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ROPAX ships considering the SOALS 2009 and GOALDS damage stability formulations
Elkafas Advanced operational measure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onboard ships
KR202201491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ng bunkering
CN104029789B (en) A kind of construction implementation of ocean platform
Parfomak et al. LNG as a maritime fuel: prospects and policy
Shi et al. Analysis of Hull Girder Ultimate Strength and Residual Strength Based on IACS CSR‐H
Xie et al. Conceptual design and parametric optimization of self-propelled semi-submersible repair ships: a novel equipment providing maintenance and repair support at sea
Vassalos et al. Stockholm Agreement—past, present, future (Part 1)
Priftis et al. Parametric design and holistic optimisation of post-panamax containerships
Terün et al. Assessing Alternative Fuel Types for Ultra Large Container Vessels in Face of Uncertainty
Wang et al. Modelling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stowage simulator for container ships
Neto et al. Conversion of Tankers into FPSOs and FSOs: Practical Design Experiences
Spigno et al. The probabilistic approach for the damage stability assessment: An application case in the specific field of megayacht units
Antão et al. Integration of human factors into the ship design process
Skoupas et al. Parametric Design and Optimization of High-Speed, twin-Hull Ro-Ro Passenger Vessels
Siqiang China Classification Society-Sailing Gloriously to the Farthest End of the Earth, CCS is on the Way
Kim et al. Layout Optimization of Process Module on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Using QRA
Wu et al. Risk prevention and mitigation for bulk carrier based on deficiency path analysis
Ericson et al. Lengthening of a Specialized Reefer Ship: Is it economically vi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