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55A -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 Google Patents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55A
KR20220148955A KR1020210035193A KR20210035193A KR20220148955A KR 20220148955 A KR20220148955 A KR 20220148955A KR 1020210035193 A KR1020210035193 A KR 1020210035193A KR 20210035193 A KR20210035193 A KR 20210035193A KR 20220148955 A KR20220148955 A KR 2022014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creen
information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형수
Original Assignee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서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955A/en
Priority to JP2021175819A priority patent/JP2022145452A/en
Publication of KR2022014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eeting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It is to enable individual connection and voice conversation between a participating computers (10) in a state where a remote meeting is in progres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smooth privat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is possible in the course of a remote meeting, thereb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remote meeting and increasing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Private Conversation Parallel Video Conferencing Method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회의에 관한 것으로,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참여 컴퓨터(10)간 쌍방 개별 연결 및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nferenc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enables individual connection and voice conversation between participating computers (10) while the video conference is in progress.

인터넷 통신의 속도 및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 향상으로 인하여, 전용 통신선과 고가의 영상장비 및 신호처리 시스템의 구축 없이도 인터넷 및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다자간 화상회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특허 제1771400호에서와 같이 화상회의에 참여하는 컴퓨터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화상회의를 목적으로 개설된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화상회의의 진행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가 비약적으로 향상된 바 있다.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speed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ersonal computers, multi-party video conferences through the Internet and personal computers are possible without a dedicated communication line, expensive video equipment, and signal processing systems. In particular, as in Patent No. 1771400, The user's convenience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as the browser mounted on the computer participating in the video conference accesses a web page opened for the purpose of the video conference.

또한, 고속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등 무선망의 보급이 확대되고 무선망 접속 및 고속, 대용량 정보처리가 가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컴퓨터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회의의 수행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극적으로 완화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spread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high-spe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wireless LANs is expanding, and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capable of wireless network access and high-speed and large-capacity information processing has become common, images based on computers and the Internet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in the conduct of meetings are being relieved dramatically.

즉, 탁상용 컴퓨터를 기반으로 사무실 또는 회의실 등 고정된 공간에서 수행되던 종래의 화상회의에서 탈피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무선망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정보기기가 화상회의에 활용됨에 따라,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 또는 야외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화상회의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 various information devices capable of wireless network acces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PCs are used for video conferences,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es that were performed in fixed spaces such as offices or conference rooms based on desktop computers. Accordingly, video conferencing may be 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t home as well as in a public place or outdoors.

이렇듯, 회상회의 수행에 있어서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완화되고, 다양한 장소에서 화상회의가 진행됨에 따라 산업분야는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서 화상회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비대면 추세 및 재택근무 등의 확산으로 인하여 화상회의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As such, as the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in conducting videoconferences are relaxed and videoconferences are held in various places,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is expanding not only in the industrial field but also in everyday life. As such, interest and demand for video conferencing services are explosively increasing.

전술한 바와 같이 회상회의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화상회의는 직접 회합 및 대면이 아닌 통신망을 통한 간접 소통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est and demand for videoconferencing, videoconferencing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of indirect commun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rather than direct meetings and face-to-face meetings.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화상회의의 한계점 중 대표적인 예로서 화상회의의 진행 과정에서의 특정 시점(時點)에서 화자(話者)와 청자(聽者)가 고정되고 화자의 발언 이외의 개별 대화가 극히 제한되는 특성을 들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imitations of such video conferences, the speaker and listener are fixed at a specific point in the course of the video conference, and individual conversations other than the speaker's speech are extremely limited. can

즉, 종래의 화상회의가 수행되는 특정 시점의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화상회의 참여자의 컴퓨터(10) 화면은 당 시점에서 발언을 진행하는 화자를 표시하는 화자화면(11)과, 화상회의 참여자이자 해당 컴퓨터(10)의 사용자를 표시하는 본인화면(12)과, 여타의 회상회의 참여자인 청자화면(13)으로 구분되는데, 동 도면에서와 같이 당해 컴퓨터(10)의 음성 출력장치는 화자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음성만을 출력하고 있고 다수의 청자 컴퓨터(10)의 송출 음성이 차단됨은 물론 물론 해당 컴퓨터(10)로 입력되는 본인의 입력 음성도 송출되지 않고 있다.That is, as in FIG. 2 illustrating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t which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e is performed,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of the video conference participant is a speaker screen ( 11), a video conference participant and a user screen 12 displaying the user of the computer 10, and a listener screen 13 that is another video conference participa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puter 10 of the voice output device outputs only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computer 10, and the voice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listener computers 10 is blocked, as well as the user's input voice inputted to the computer 10 is not transmitted. .

이렇듯 종래 화상회의에 있어서의 음성 유통이 화자 집중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유는 분할을 통한 다중 화면 출력이 가능한 영상정보와 달리 음성정보의 경우 분할 내지 동반 출력시 실질적 청취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설령 불완전한 청취가 가능하다 하여도 산만한 회의 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The reason that voice distribution in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e is conducted in a speaker-focused method is that, unlike video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on multiple screens through division, in the case of audio information, it is not only practically impossible to hear when divided or accompanied by output, but even incomplete listening is possible. Even if it is possible, it is inevitable that a distracting meeting environment will be created.

따라서, 종래의 화상회의에서는 참여 컴퓨터(10)간 음성정보의 유통은 화자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음성정보를 중심으로 진행하되,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10) 화면에 메시지창(90) 등의 문자 입출력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회의 참여자간 부분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e, the distribution of voice information between the participating computers 10 is conducted mainly on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computer 10, but as shown in FIG. 2, the message window 90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 etc., were implemented to enable partial communication between meeting participants.

그러나, 이러한 문자 메시지 표시는 음성 기반 직접 대화에 비하여 그 편리성 및 효율성에 있어서 상당한 격차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문자의 입력을 위하여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야 할 뿐 아니라, 문자 기반 메시지의 출력으로 인한 컴퓨터(10) 화면의 잠식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text message display inevitably has a significant gap in convenience and efficiency compared to voice-based direct conversation, 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to input text, as well as output text-based message. There was an unavoidable problem of encroachment of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due to this.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 수행에 있어서의 컴퓨터(10)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들 휴대형 정보기기 대부분은 입출력 겸용 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이 적용되고 있는 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와 송수신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창(90)이 협소한 화면에 동반 또는 교대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심각한 사용자 불편 및 혼란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PCs as the computer 10 in performing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ing has become common, and most of thes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use a touch screen as an input/output device. In the process of being accompanied or alternately implemented on a narrow screen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text input and the message window 90 for outputting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serious user inconvenience and confusion are inevitable.

이렇듯, 화상회의 진행에 있어서의 음성정보 유통이 화자 중심으로 국한되고, 보조 소통 수단으로서 문자 기반 메시지가 제공되는 종래의 화상회의 방법은 화상회의 참여자의 다양한 소통 욕구를 충족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다변화되는 화상회의 수행 여건에 대응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As such,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method,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voice information in the video conference is limited to the speaker, and a text-based message is provided as an auxiliary communication means, does not satisfy the various communication needs of the video conference participants and is diversified.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that it cannot cope with the conditions for performing video conferenc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회의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 실행되어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실행단계(S10)와,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지정단계(S21),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이 지정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의 식별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2)와,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가 수락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수락단계(S31)와,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n a video conference method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 conference program mounted on the computer 10 is executed to conduct a video conference Step (S10), the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the designated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corresponds to the designat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ollower computer 10 to the Internet In the transmission step (S22) of transmitting to the, the acceptance step (S31) in which the slav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acceptance information to the Internet, and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ster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by opening and exchanging voice information (S40) )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al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상기 지정단계(S21)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표시된 표시자가 객체로서 선택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is with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where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It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displayed indicator as an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상기 지정단계(S21)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표시된 화자화면(11) 또는 청자화면(13)이 객체로서 선택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is with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where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It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 conferen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ed speaker screen 11 or the listener screen 13 is selected as an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상기 연결단계(S40)에서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활성 상태의 표시자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In the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the voice information input in (10)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in the active state 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It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is displayed.

본 발명을 통하여, 화상회의 진행 과정에서 사용자간 일층 원활한 개별 소통이 가능하며, 이로써 화상회의의 효용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 사용자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 smoother individual communication between users is possible in the process of video conference, thereby improving the utility and efficiency of video conference and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특히, 화상회의 참여자간 개별적인 대화가 가능하면서도 주 화자의 발언 및 타 청자의 청취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어, 다변화되고 활발한 소통은 보장하되 화상회의의 몰입성은 고도로 유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have individual conversa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the videoconferenc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peaker's remarks and the listening of other listeners, thus ensuring diversified and active communication while maintaining the high level of immersion in the videoconference.

또한, 회의 참여자간 개별 소통에 있어서 문자 기반 메시지의 송수신 없이도 음성 기반 직접 대화가 가능하여 키보드 등 입력 장치 조작에 따른 사용자 불편을 경감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가 적용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에 따른 화면 잠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individual communication between meeting participants, voice-based direct conversation is possible without sending and receiving text-based messages, so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manipulation of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s can be reduced.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een encroachment due to text input.

도 1은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의 컴퓨터 연결 상태 예시도
도 2는 종래 화상회의의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컴퓨터인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단계가 수행되는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단계가 수행되는 컴퓨터인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단계가 화자와 수행되는 상황의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지정단계의 일 실시예가 수행되는 컴퓨터의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지정단계 수행에서 청자화면이 클릭되는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정단계 수행에서 청자화면이 터치되는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화자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연결단계가 수행되는 상황의 화자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수행과정상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의사 확인 실시예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의사 확인 실시예 수행과정상 컴퓨터 화면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mputer connection state of an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2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uter screen of a conventional video conference;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ute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phone screen, which is a 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uter screen in which the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smartphone that is a computer in which the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7 is a computer screen illustr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with the speaker
8 is a screen of a computer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design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n which a listener screen is clicked in performing the design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n which a celadon screen is touched in performing the design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peaker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speaker computer scre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13 is a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uter screen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the intention confi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uter screen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a doctor confirm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를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간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롯한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는 기본적으로 영상 촬영 및 음성 입출력 기능이 탑재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며, 이들 다수의 컴퓨터(10)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First, FIG. 1 shows components for performing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and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mponents. As shown,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and audio input/output functions. It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and these plurality of computers 10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또한, 동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21) 또는 서버(20)가 구성되어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가 이들 웹페이지(21) 또는 서버(2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the figure, the web page 21 or the server 20 is configured so that the computer 10 participating in the video conference can be connected via these web pages 21 or the server 20 have.

이러한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를 수행하는 컴퓨터(10)로는 카메라가 장착되고 음성 입출력이 가능한 통상의 탁상용 컴퓨터(10) 또는 랩탑 컴퓨터(10) 뿐 아니라, 도 1에서도 예시된 바와 같이 촬상기능이 탑재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정보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As the computer 10 for performing such an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a camera is mounted and not only a typical desktop computer 10 or a laptop computer 10 capable of voice input and output, but also an imaging function is mounted as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Internet A variety of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that can be accessed can be applied.

여타의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 방법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간 주요 송수신 정보 역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로서, 이들 정보는 컴퓨터(10)간 개설된 통신로(session)를 통하여 유통되는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의 입출력 및 유통을 수행하는 회의프로그램이 컴퓨터(10)에 탑재되어 실행됨에 따라 화상회의가 진행된다.As in other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methods, the ma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mputers 10 participating in the videocon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nd thes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etween the computers 10. The video conference is conducted as a conference program for input/output and distribu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s loaded and executed on the computer 10 .

이러한 본 발명의 회의프로그램은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의 송수신 기능이 자체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의 송수신 플러그인(plug-in)이 설치된 브라우저 또는 화상회의 목적의 통신로 개설 및 정보 송수신을 담당하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ows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 browser installed with a plug-i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or a communication path for video conference purposes and information It may have a variety of formats, such as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in charg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특히, 도 1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와 연결된 웹페이지(21)가 구축되고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이 웹페이지(21)를 매개로 회의서버(20)와 접속되는 방식이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의프로그램으로는 전술한 브라우저가 적용될 수 있으며, 브라우저는 일반 인터넷 사용자에게 친숙한 프로그램이므로 회의프로그램으로서 브라우저가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편의 확보에 있어서 유리하다.In particular,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1 , the web page 21 connected to the server 20 is built, and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computer 10 is connected to the conference server 20 via the web page 21 .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browser can be applied as the conference program, and since the browser is a program familiar to general Internet users, i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user convenience when the browser is applied as the conference program.

도 2는 종래의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가 수행되는 컴퓨터(10)의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의 화면에는 화상회의의 각 참여자 컴퓨터(10)에서 송출된 영상정보 즉, 각 참여자가 자신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데, 이들 각 컴퓨터(10)별 송출 영상정보는 화자화면(11), 본인화면(12) 및 청자화면(13)으로 구분되어 출력된다.2 illustrates a screen of a computer 10 on which a conventional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is performed. , each participant is output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his/her own computer 10,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each computer 10 is divided into a speaker screen 11, an individual screen 12, and a listener screen 13 and is output

화자화면(11)은 당 시점(時點)에서 발언하는 주 발언자를 촬영한 화면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 중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본인화면(12)은 당해 컴퓨터(10)의 사용자가 당해 컴퓨터(10)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으로서, 동 도면에서는 우측 상단부에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화자 및 본인을 제외한 여타의 참여자 컴퓨터(10)에서 송출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청자화면(13)이 역시 PIP 방식으로 도면 하단부에 배열 구현되어 있다.The speaker screen 11 is a screen that captures the main speaker speaking at the time, and generally occupies the largest area among the screen areas of the computer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person screen 12 is A screen on which a user of the computer 10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mounted on the computer 10, which is implemented in a picture-in-picture (PIP) method i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figure, and the speaker and the person themselves A plurality of listener screens 13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ther participant computers 10 except for are also arranged and impleme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in a PIP manner.

또한, 도 2의 우측 하단부에서와 같이, 당해 컴퓨터(10)의 사용자인 본인과 화자 또는 청자간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서, 문자 메시지를 수발하는 메시지창(90)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인 본인은 키보드 등 컴퓨터(10)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전송함으로써, 회의 참여자들과 문자 기반의 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lower right part of FIG. 2 , as a mea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who is the user of the computer 10 and the speaker or listener, a message window 90 for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may be implemented, and the user who is the user may be implemented. By manipulating the input device of the computer 10 such as a keyboard to input and transmit text, text-based communication with meeting participants can be perform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창(90) 등 문자 기반 소통으로 인하여 컴퓨터(10) 화면의 상당 부분이 잠식될 수 밖에 없으며, 컴퓨터(10)의 사용자는 화상회의의 진행 도중 키보드 등 문자 입력장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바, 회의 참여자간 영상정보의 유통에도 상당한 장애가 야기될 뿐 아니라, 화상회의에 대한 몰입도 역시 저하될 수 밖에 없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is inevitably eroded due to text-based communication such as the message window 90 , and the user of the computer 10 may use a character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during the video conference. , which not only causes significant obstacles in the distribution of video information among meeting participants, but also lowers immersion in video conferences.

특히,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회의를 수행하는 컴퓨터(10)로서 탁상용 컴퓨터(10) 또는 랩탑 컴퓨터(10)와 같이 화면과 별도로 구성되는 입력장치로서 키보드가 구비된 컴퓨터(10)가 아니라,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겸용 장치로서 적용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가 활용되는 경우, 메시지창(90)은 물론 다수의 문자 입력용 키가 화면에 구현되어야 하는 바, 전술한 화면 잠식이 더욱 심각해질 수 밖에 없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a computer 10 equipped with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configured separately from a screen such as a desktop computer 10 or a laptop computer 10 as a computer 10 for performing videoconferencing is provided. Rather, when a smartphone or tablet PC to which a touch screen is applied as an input/output device is utilized, the message window 90 as well as a number of character input keys must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so the above-mentioned screen erosion may become more serious. there is on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의 사용자인 본인과 타 참여자인 청자 또는 화자와의 일대일 개별 직접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로써 활발한 소통은 보장하되 화상회의의 몰입성은 고도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15 , a one-to-one individual direct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who is the user of the video conference participating computer 10 and the listener or speaker who is another participant is possible, thereby ensuring active communication. The immersiveness of videoconferencing is highly maintainabl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회의가 개시된 상태 즉,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회의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로서 태블릿PC가 적용된 상황을 예시하고 있고, 도 4는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로서 스마트폰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3 and 4 show a state in which a video conferen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tarted, that is, a state in which a video conference progra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running, and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is applied as the computer 10 participating in the video conference.

이렇듯,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 직접 연결되거나, 인터넷상에 구축된 웹페이지(21) 또는 이와 연결된 서버(20) 등을 경유하여 상호 간접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회의 방법으로서,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이 컴퓨터(10)로 적용될 수 있는 바,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무선랜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망을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하여, 화상회의 수행상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완화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conferencing method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or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eb page 21 built on the Internet or a server 20 connected thereto. As a bar,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can be applied to the computer 10 as shown in FIG. 3 or FIG. 4, and it is easy to carry, as well as easy to access the Internet via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mporary and spatial constraints on meeting performance can be relaxed.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10) 화면에는 기본 구성으로서 전술한 도 2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화자화면(11), 본인화면(12) 및 청자화면(13)이 구성될 수 있고, 이 밖에도 화자화면(11)의 출력 음량을 표시하거나 본인화면(12)의 입력 음량을 표시하는 다양한 표시자가 구현되는데,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2와 본 발명을 예시한 도 3의 대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화자화면(11)의 출력 음량을 표시하는 스피커 형상의 표시자 또는 본인화면(12)의 입력 음량을 표시하는 마이크로폰 형상의 표시자 외에도, 역시 스피커 형상을 가지는 청자화면(13)의 출력 음량 표시자와, 참여자간 개별 대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자가 추가로 구성된다.3 and 4,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peaker screen 11, the person screen 12, and the listener screen 13 as in the prior art of FIG. 2 described above as a basic configuration. In addition, various indicators for displaying the output volume of the speaker screen 11 or displaying the input volume of the person screen 12 are implemented. As can be confirmed through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peaker-shaped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output volume of the speaker screen 11 or the microphone-shaped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input volume of the user screen 12, the speaker shape is also An output volume indicator of the listener screen 13 having a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의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다수의 참여 컴퓨터(10)간 영상정보가 유통되면서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화자의 발언 이외에 타 참여자간 개별 대화는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화자화면(11)의 출력 음량 표시자만이 활성화되어 있을 뿐, 본인화면(12)의 입력 음량 표시자 및 청자화면(13)의 출력 음량 표시자는 모두 비활성 상태이며, 도면상 귓속말을 묘사한 픽토그램(pictogram) 형태로 표현된 개별 대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 표시자 역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된다.3 and 4 show a situation in which a video conference is in progress while the conference progra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executed and video information is circulated between a plurality of participating computers 10, but individual conversations between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speaker's remarks are To express a state that has not yet progressed, only the output volume indicator of the speaker screen 11 is activated, and both the input volume indicator of the user screen 12 and the output volume indicator of the listener screen 13 are inactive , and an indicator of whether an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is activated, expressed in the form of a pictogram depicting a whisper in the drawing, is also set to an inactive state.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화상회의 참여자간 개별 대화 기능이 수행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는 마우스에 의하여 조작되는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것으고, 도 6 및 도 10은 터치에 의하여 조작되는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5 to 10 show a situation in which an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is performed between video conferenc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7 to 9 illustrate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operated by a mouse, 6 and 10 illustrate the screen of the computer 10 operated by touch.

우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개별 대화 기능이 수행되는 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 5 및 도 6을 개별 대화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대비하면, 도 3 및 도 4에서는 귓속말을 묘사한 개별 대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 표시자 전체가 비활성 상태인 반면, 도 5 및 도 6에서는 본인화면(12) 및 특정 청자화면(13)의 개별 대화 표시자가 활성 상태이며, 도 3 및 도 4에서는 화자화면(11)의 출력 음량 표시자만이 활성 상태이고 청자화면(13)의 출력 음량 표시자는 모두 비활성 상태인 반면,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특정 청자화면(13)의 출력 음량 표시자가 활성 상태이다.First, FIGS. 5 and 6 exemplify a situation in which the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se FIGS. 5 and 6 are compared with FIGS. 3 and 4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is not performed, In FIGS. 3 and 4 , all indicators of whether an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depicting a whisper are activated or not are in an inactive state, whereas in FIGS. 5 and 6 , individual conversation indicators of the user screen 12 and a specific listener screen 13 are active 3 and 4, only the output volume indicator of the speaker screen 11 is active and all of the output volume indicators of the listener screen 13 are inactive, whereas in FIGS. 5 and 6, the specific listener screen 13 ) output volume indicator is active.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개별 대화 기능 작동시 본인화면(12)의 출력 음량 표시자는 부분 활성 상태를 가지는데, 이는 개별 대화 기능을 활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상태와 해당 본인이 화자의 지위로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태를 구분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인화면(12)의 입력 음량 표시자는 비활성 상태이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인화면(12)의 입력 음량 표시자는 부분 활성 상태이며, 후술할 도 11의 본인화면(12) 입력 음량 표시자는 활성 상태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as in FIGS. 5 and 6 , whe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he output volume indicator of the user screen 12 has a partially active state, which corresponds to the user's voice input state using the individual conversation function and the corresponding state. The user classifies the status of the video conference by the speaker's status. The input volume indicator of the user screen 12 shown in FIGS. 3 and 4 is inactive, and the user screen shown in FIGS. 5 and 6 ( The input volume indicator of 12) is in a partially active state, and the input volume indicator of the personal screen 12 of FIG.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dicates an active state.

즉, 도 11의 본인화면(12)에서와 같은 활성 상태 입력 음량 표시자는 당해 본인이 화자의 지위를 가지는 상태로서 본인의 컴퓨터(10)로 입력되는 음성정보가 화상회의의 전체 참여 컴퓨터(10)로 송출되는 상태이고, 전술한 도 5 및 도 6의 부분 활성 상태의 본인화면(12) 입력 음량 표시자는 개별 대화를 진행하는 특정 참여자 컴퓨터(10)로만 본인의 음성정보가 전송되는 상태를 표시하며, 도 3 및 도 4의 비활성 상태 본인화면(12) 입력 음량 표시자는 본인 컴퓨터(10) 입력 음성정보의 송출이 차단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active state input volume indicator as in the screen 12 of FIG. 11 indicates that the person has the speaker's posi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person's computer 10 is the computer 10 participating in the video conference. The input volume indicator of the user screen 12 in the partially active state of FIGS. 5 and 6 above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only to the specific participant computer 10 conducting an individual conversation, , 3 and 4, the input volume indicator on the screen 12 of the inactive state of Figs.

이러한 입력 음량 표시자의 비활성, 부분 활성 및 활성 상태의 표시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동일한 마이크로폰 형태의 표시자에 취소(取消)를 의미하는 사선(斜線)을 표시함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에서는 실선의 사선을 표시하고, 부분 활성 상태에서는 점선의 사선을 표시하며, 활성 상태에서는 사선을 제거하는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이 밖에도 명암 조절 또는 문자 표시 등 다양한 표시 방식이 가능하다.In the display of the inactive, partially active, and active states of the input volume indicator,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iagonal line indicating cancell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of the same microphone type. In the partially active state, a dotted line is displayed, and in the active state, an oblique line is removed. However, various display methods such as contrast control or character display are possible.

이렇듯,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호를 표시자로서 활용하되, 활성 여부 및 기능의 속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시 형식 및 픽토그램 형태의 표시자를 도입함으로써, 일반 사용가 본 발명의 기능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으며,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만으로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such, general users can easily acquire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commonly used symbols as indicators, but by introducing indicators in the form of display and pictograms that can intuitively grasp whether active or not and the properties of functions. , It is possible to activate and deactivate functions only by clicking the mouse or touching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s operation convenience can be secured.

한편, 본 발명의 개별 음성 대화는 회의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실행되고 인터넷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 중 특정 쌍방의 컴퓨터(10) 사이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타 참여 컴퓨터(10)로 개별 대화를 시도하는 컴퓨터(10)와 개별 대화 시도를 접수하여 개별 대화를 허용하는 컴퓨터(10)를 각각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로 구분하면, 본 발명의 화상회의 수행중 개별 대화는 주동 컴퓨터(10)의 개별 대화 시도에 따라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 연결되거나, 주동 컴퓨터(10)의 개별 대화 요청을 종동 컴퓨터(10)가 수락함에 따라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 연결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는 전술한 본인, 화자 또는 청자로 구분되는 화상회의상 지위와 관계 없이 누구든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voice convers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computers 10 of specific parties among a plurality of video conference participating computers 10 that are loaded and executed with a conference program and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re transferred to other participating computers 10 . If the computer 10 that attempts an individual conversation and the computer 10 that accepts the individual conversation attempt and allows the individual conversation are divided into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respectively, during the video confer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The conversation is connected to the host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nversation attempt of the host computer 10, or as the slave computer 10 accepts the individual conversation request of the host computer 10, the host computer 10 ) and the follower computer 10 ar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follower computer 10 can be set to anyone regardless of the position in the video conference divided into the above-mentioned person, speaker or listener.

즉, 본인의 컴퓨터(10)가 주동 컴퓨터(10)인 경우 종동 컴퓨터(10)로는 청자화면(13)의 출력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청자 컴퓨터(10)는 물론, 화자화면(11)의 출력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화자 컴퓨터(10)도 지정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실시예가 도 7 및 도 8에 예시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user's computer 10 is the main computer 10 , the slave computer 10 transmits the output image information of the listener screen 13 as well as the output image of the speaker screen 11 as well as the listener computer 10 . A speaker computer 10 that transmits information may also be designated, an embodiment of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

도 7은 도시된 당해 컴퓨터(10)의 사용자 본인이 화자화면(11)의 개별 대화 표시자를 클릭하여 화자에게 개별 대화를 요청하고, 화자가 이를 수락하거나 또는 거부 내지 중단 조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본인과 화자간 개별 대화가 진행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주동 컴퓨터(10)인 본인의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인 화자의 컴퓨터(10)간 유통되는 음성정보는 청자 컴퓨터(10)로 전달되지 않는다.7 shows that the user of the illustrated computer 10 clicks an individual conversation indicator on the speaker screen 11 to request an individual conversation from the speaker, and the speaker does not accept or reject or stop the user. It shows a situation in which an individual convers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s in progress. 10) is not transmitted.

한편, 도 8은 주동 컴퓨터(10)가 종동 컴퓨터(10)로 개별 대화를 시도 내지 요청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대화 표시자를 클릭 또는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메뉴를 호출하는 방식을 예시한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표시된 청자화면(13) 자체가 선택 객체로서 거동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청자화면(13)을 클릭 또는 터치함으로써 개별 대화를 요청하게 되며, 도면상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청자화면(13) 뿐 아니라 화자화면(11) 역시 선택 객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렇듯 주동 컴퓨터(10)의 종동 컴퓨터(10)에 대한 개별 대화 요청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시될 수 있으며, 개별 대화의 진행 여부에 대한 표시는 도 9 및 도 10에서도 예시된 바와 같이, 개별 대화 진행상 종동 컴퓨터(10)에 대응되는 청자화면(13)을 타 청자화면(13)에 비하여 부각되도록 출력하는 등의 방식을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8, when the master computer 10 attempts or requests an individual conversation to the slave computer 10,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rather than clicking or touching the individual conversation indicator as described above. It exemplifies a method of calling a menu while placing a cursor on a screen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FIGS. 9 and 10 are configured so that the celadon screen 13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itself behaves as a selection object Thus, the user requests an individual conversation by clicking or touching the listener screen 13,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not only the listener screen 13 but also the speaker screen 11 can act as a selection object. The individual conversation request to the follower computer 10 of ( 10 ) may be initiated in various ways, and the indication of whether the individual conversation is in progress is shown in FIGS. 9 and 10 , as shown in FIGS. ) and outputting the celadon screen 13 corresponding to the celadon screen 13 so as to be emphasized compared to the other celadon screens 13, or the like.

이러한 청자화면(13) 또는 화자화면(11) 자체의 클릭 또는 터치 객체로서의 거동을 통하여, 화면상 출력 요소에 있어서 별도의 개별 대화 표시자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표시자 등으로 인한 화면 잠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화면의 절대 면적이 협소한 휴대형 정보기기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behavior of the listener screen 13 or the speaker screen 11 itself as a click or touch object, a separate individual dialog indicator can be omitted from the output element on the screen, so screen encroachment caused by the indicator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considerable advantages can be obtained in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PCs, in which the absolute screen area is narrow.

도 11 및 도 12는 당해 컴퓨터(10)의 사용자 본인에게 화상회의 진행상 화자의 지위가 부여된 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이 경우에도 임의의 청자 컴퓨터(10)를 종동 컴퓨터(10)로 지정하여 개별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도 11은 개별 대화가 개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도면상 하단 중앙에 위치한 청자화면(13)에 해당되는 컴퓨터(10)가 종동 컴퓨터(10)로 지정되어 개별 대화가 진행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11 and 12 exemplify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of the computer 10 is given the speaker's status during the video conference. Even in this case, an arbitrary listener computer 10 is designated as the follower computer 10 to Conversation can be performed,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an individual conversation is not started, and FIG. 12 shows th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listener screen 13 locat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drawing as the follower computer 10 . It is designated and shows the situation in which an individual conversation is in progress.

이렇듯,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에 있어서 참여 컴퓨터(10) 중 주동 컴퓨터(10) 및 종동 컴퓨터(10)가 특정되고, 화자의 발언이 전체 참여자 컴퓨터(10)로 송출됨과 동시에, 상기 주동 컴퓨터(10) 및 종동 컴퓨터(10) 쌍방간에 개별 대화가 병행되는 것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다수의 참여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 실행되어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실행단계(S10)로 개시된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follower computer 10 are specified among the participating computers 10, and the speaker's speech is transmitted to all the participant computers 10,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computer 10 (10) and the follower computer 10 as a parallel individual conversation between both sides, as shown in FIG. 13, a conference program mounted on a plurality of participating computers 10 is executed and the video conference is started as an execution step (S10) do.

이후,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 입력되는 지정단계(S21)가 수행되는데, 지정정보의 회의프로그램 입력은 주동 컴퓨터(10)의 사용자 본인이 개별 대화의 상대방을 지정하는 조작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정단계(S21)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표시된 표시자가 객체로서 선택 내지 조작되거나,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표시되는 화자화면(11) 또는 청자화면(13) 자체가 객체로서 선택 내지 조작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as in FIGS. 13 and 14, a designation step (S21) of inputting designated information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is performed, and the user of the host computer 10 is individually assigned to the conference program input of the designated information. It is performed through an operation to designate the counterpart of the conversation, and this designation step (S21) is, as in FIGS. The indicator displayed in the area is selected or manipulated as an object, or the speaker screen 11 or the listener screen 13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as shown in FIGS. 8 to 10 is selected or manipulated as an object. can be

즉, 전술한 개별 대화 표시자가 개별 대화의 진행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자인 동시에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을 통하여 선택 내지 조작되는 GUI 객체(Graphic User Interface Object)로서 작용하거나, 화자화면(11)이나 청자화면(13) 자체 또는 이들 화자화면(11)이나 청자화면(13)의 주동 컴퓨터(10) 화면상 영역이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을 통하여 선택 내지 조작되는 GUI 객체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동 컴퓨터(10)의 사용자는 화면상 표시된 해당 객체를 클릭하거나 터치함으로써 종동 컴퓨터(10)를 지정하는 지정단계(S21)를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individual dialog indicator serves as an indicator for displaying whether an individual conversation is in progress and at the same time acts as a GUI object (Graphic User Interface Object) that is selected or manipulated through a mouse click or a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or the speaker screen 11 or the listener screen 13 itself or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of the speaker screen 11 or the listener screen 13 acts as a GUI object that is selected or manipulated through a mouse click or a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That is, the user of the master computer 10 performs a designation step (S21) of designating the slave computer 10 by clicking or touching the correspond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선택 객체 겸용 개별 대화 표시자가 적용될 경우 본 발명 수행을 위한 사용자 조작법을 원클릭(one click) 방식으로 극히 단순화할 수 있고, 특히 도 5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겸용 표시자를 귓속말 등을 묘사한 픽토그램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라도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화자화면(11) 또는 청자화면(13)이 객체로 거동하는 경우 표시자로 인한 화면 잠식을 방지할 수 있고 협소한 화면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an individual dialog indicator combined with a selection object is applied, a user manipulation method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remely simplified in a one-click method, 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By composing it with pictograms depicting the back, intuitive operation is possible even for users who are not fully familiar with how to use it, and when the speaker screen 11 or the listener screen 13 behaves as an object, screen encroachment by the indicator can be prevented. and efficient use of a narrow screen is possible.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지정단계(S21) 이후,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이 지정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의 식별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2)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식별정보는 지정단계(S21)의 지정정보와 일대일 대응되는 정보로서, 본 발명의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에 대하여 자타 구분이 가능하도록 부여된 고유정보이며, 식별정보를 통하여 특정된 쌍방의 컴퓨터(10)간 통신로 개설을 매개하는 정보이다.13 and 14, after the designation step (S21),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lav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information to the Internet (S22) is performed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ion step (S21) one-to-one, and is unique information given to enable self-identification for the video conference participating compu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pecif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information that mediate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omputers 10 of both sides.

이렇듯 종동 컴퓨터(10)의 식별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2)는 당 시점(時點)에서 화상회의의 진행 목적으로 개설되어 화자 발언의 음성정보가 유통되는 통신로 이외에, 주동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이 종동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으로 개별 대화 음성정보의 유통을 위한 통신로 개설을 개시 내지 요청하는 과정으로서, 화상회의 참여 컴퓨터(10)가 인터넷을 통하여 직결되는 경우 주동 컴퓨터(10)에서 발송된 식별정보가 종동 컴퓨더로 직접 전달되고, 도 1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의 참여 컴퓨터(10)가 웹페이지(21) 또는 서버(2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경우 주동 컴퓨터(10)에서 발송된 식별정보를 서버(20)가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서버(20)가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 개설을 중개하거나, 서버(20)를 경유하는 통신로가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개설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transmission step (S22) of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ollower computer 10 to the Internet is open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a video conference at that time, and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speaker's speech is distributed, the main computer 10 ) is a process of starting or requ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path for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conversation voice information as a conference program mounted on the follower computer 10, in which the video conference participating computer 10 is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main computer 1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llower computer, and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1 , the conference participating computer 10 is via the web page 21 or the server 20 When connected, the server 2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erver 20 us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pen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Mediation, or a communication path via the server 20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이어서,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가 수행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통한 참여자간 개별 대화가 화상회의와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n,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to the slave computer 10 . A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the input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performed, whereby individual conversations between participant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video conference.

한편, 연결단계(S40)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활성 상태의 표시자가 표시되거나,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개별 대화 상대에 해당되는 청자화면(13)이 타 청자화면(13)에 비하여 소폭 확대 내지 강조되는 등의 방식으로 부각되도록 출력됨으로써, 주동 컴퓨터(10)의 사용자 본인이 현재 개별 대화가 진행중인지 여부와 개별 대화의 대상자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로써 다수 참여자의 영상정보가 협소한 화면상에 혼재된 상황에서도 개별 대화 상대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화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 step (S40), as shown in Figs. 5 to 7, an indicator of an active state 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to which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is displayed, or Fig. 9 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listener screen 13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conversation partner is output to be highlighted in a manner such as slightly enlarged or emphasized compared to the other listener screen 13, so that the user of the main computer 10 is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an individual conversa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the person to whom the individual conversation is being conduc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individual conversation partners and prevent confusion in conversations even when video information of multiple participants is mixed on a narrow screen.

또한, 첨부된 도면상 그 구체적인 상황이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단계(S40)가 완료되어 회의 참여자간 개별 대화가 진행되는 도중 어느 일방이 개별 대화를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지정단계(S21)에서의 사용자 조작 방식에서와 같이, 표시자 또는 청자화면(13) 등의 객체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개별 대화가 중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pecific situation is not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connection step ( S40 ) is completed and one party wants to stop the individual conversation while the individual conversation between the meeting participants is in progress, the designation step ( S21 ) As in the user manipulation method in , an individual conversation may be interrupted by manipulating an object such as an indicator or the listener screen 13 .

이렇듯,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동 컴퓨터(10) 사용자와 종동 컴퓨터(10) 사용자간의 개별 대화는 주동 컴퓨터(10) 사용자의 일방적인 연결 시도가 즉각 수용되고 그에 따라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됨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은 화상회의는 참여자간 상호 소통 허용에 대한 동의 내지 공감대 확립이 전제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인 바, 어느 일방의 개별 대화 시도가 즉각 수용되는 방식이 타방의 의사를 경시하는 것이라 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개별 대화의 일방 개시 방식을 통하여 참여자간 의사 소통에 있어서의 신속성, 편의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대화 참여자 일방의 간단한 중단 조작이 가능하므로, 회의 참여자 의사에 반하는 개별 대화로 인한 문제가 심화되지는 않는다.As such, i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of the host computer 10 and the user of the slave computer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lateral connection attempt of the user of the host computer 10 is immediately accepted, and accordingly, the host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 10) It proceeds by opening a communication path, and the video conferenc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of establishing a consensus or consensus on allowing mutual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so either party's individual conversation attempts are immediately accepted. This method cannot be said to be disrespecting the other party's opinion, and through this one-way initiation method of individual conversations, not only can spe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be secured, but also, as described above, individual conversations can be Since a simple interruption operation by one of the participants is possible, problems caused by individual conversations against the will of the participants in the meeting are not aggravated.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개별 대화의 개시에 앞서 종동 컴퓨터(10)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참여자 의사에 반하는 개별 대화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Neverthe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user of the follower computer 10 prior to the start of the individual conversa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participant, and the specific process is shown in FIGS. 15 and 16 . has been

이러한 본 발명의 의사 확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전송단계(S22) 이후,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가 수락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수락단계(S31)가 수행되는데, 상기 지정단계(S21) 내지 수락단계(S31)는 도 16에서와 같이, 주동 컴퓨터(10) 사용자가 청자화면(13) 중 특정 청자화면(13) 자체 또는 특정 청자화면(13)상 표시자를 선택하면, 해당 청자화면(13)에 대응되는 종동 컴퓨터(10) 화면의 주동 컴퓨터(10) 대응 청자화면(13)에 수락 의사를 확인하는 GUI 객체가 표시되고, 종동 컴퓨터(10)의 사용자가 상기 의사 확인 GUI 객체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e intention confirm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step (S22), an acceptance step (S31) in which the follower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s acceptance information to the Internet is performed, the designation step (S21) ) to the acceptance step (S31), as shown in FIG. 16, when the user of the main computer 10 selects the specific celadon screen 13 itself or the indicator on the specific celadon screen 13 among the celadon screens 13, the corresponding celadon screen A GUI object for confirming the acceptance intention is displayed on the listener screen 13 corresponding to the master computer 10 of the screen of the slav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13), and the user of the follower computer 10 selects the intention confirmation GUI object It can be done in a manipulative way.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수락단계(S31)가 완료되면,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가 수행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통한 참여자간 개별 대화가 화상회의와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15 and 16, when the acceptance step (S31)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in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the voice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A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primary computer 10 is performed, whereby individual conversations between participant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videoconferencing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10 : 컴퓨터
11 : 화자화면
12 : 본인화면
13 : 청자화면
20 : 서버
21 : 웹페이지
90 : 메시지창
S10 : 실행단계
S21 : 지정단계
S22 : 전송단계
S31 : 수락단계
S40 : 연결단계
10: computer
11: Speaker screen
12: own screen
13: celadon screen
20 : Server
21: web page
90: message window
S10: Execution step
S21: Designation stage
S22: transmission step
S31: Acceptance stage
S40: Connection stage

Claims (5)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회의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 실행되어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실행단계(S10)와;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지정단계(S21);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이 지정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의 식별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2)와;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In the video conference method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 execution step (S10) in which a conference program mounted on the computer 10 is executed to conduct a video conference;
A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A transmission step (S22) of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lav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information to the Interne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ster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in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화상회의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 실행되어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실행단계(S10)와;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지정단계(S21);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이 지정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의 식별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22)와;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종동 컴퓨터(10)가 수락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수락단계(S31)와;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In the video conference method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ers (1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 execution step (S10) in which a conference program mounted on the computer 10 is executed to conduct a video conference;
A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A transmission step (S22) of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10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lave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information to the Internet;
an acceptance step (S31) in which the follower computer 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s acceptance information to the Interne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ster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in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지정단계(S21)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표시된 표시자가 객체로서 선택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main computer 10, the indicator displayed 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selected as an object.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 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동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에 지정정보가 입력되는 지정단계(S21)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표시된 화자화면(11) 또는 청자화면(13)이 객체로서 선택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designation step (S21), in which designated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ference program of the main computer 10, the speaker screen 11 displayed 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to which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or An individual conversation parallel videoconferen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listener screen 13 as an objec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동 컴퓨터(10)와 종동 컴퓨터(10)간 통신로가 개설되고 음성정보가 교환되어, 주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종동 컴퓨터(10)로 출력되고 종동 컴퓨터(10)로 입력된 음성정보가 주동 컴퓨터(10)로 출력되는 연결단계(S40)에서는 종동 컴퓨터(1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주동 컴퓨터(10)의 화면상 영역내 활성 상태의 표시자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ster computer 10 and the slave computer 10 is opened and voice information is exchanged,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 computer 10 is output to the slave computer 10 and input to the slave computer 10 In the connection step (S40) in which the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main computer 10, an indicator of the active state in the area on the screen of the main computer 10 to which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puter 10 is output is displayed. Individual conversational parallel video conferencing method.
KR1020210035193A 2021-03-18 2021-03-18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KR2022014895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93A KR20220148955A (en) 2021-03-18 2021-03-18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JP2021175819A JP2022145452A (en) 2021-03-18 2021-10-27 Individual dialog parallel type video conferen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93A KR20220148955A (en) 2021-03-18 2021-03-18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55A true KR20220148955A (en) 2022-11-08

Family

ID=8346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93A KR20220148955A (en) 2021-03-18 2021-03-18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145452A (en)
KR (1) KR20220148955A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073A (en) * 2002-05-14 2003-11-21 Ginga Net:K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remonial occasion service
EP1381237A3 (en) * 2002-07-10 2004-05-12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participant conference system with controllable content and delivery via back-channel video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5452A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1804B2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RU2144283C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of participants into conference call system
US7480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rallel conversation thread during a remote collaboration
US8692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video data in a video conference environment
US8817061B2 (en) Recognition of human gestures by a mobile phone
EP291533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080137559A1 (en) Conference system
US11924581B2 (en) Multi-device teleconferences
KR101771400B1 (en) Remote meeting method using meeting room object
KR100611255B1 (en) Remote conference method of sharing work space
WO2015046628A1 (en)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JP2009253625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collection-video conference implementation control and video conference system
KR20220148955A (en) Private conversation providing remote meeting method
TW201112755A (en) Video call system, master-side terminal, slave-side terminal, and program
US20220236944A1 (en) Audio video intercom device, system, and methods
US202301007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563964B1 (en) PDA for providing of multitude internet telephony and method thereof
JP2003167856A (en) Network conference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and terminal for network conference system, authentication system thereof
KR20180108165A (en) Remote meeting method using web object
US20240121279A1 (en)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chann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s of online meeting room and system using the same
WO2023223585A1 (en) Conference management device,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24047431A (en) Control system,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method
JP5729021B2 (en) Unified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TWI416906B (en) Laptop computer with instant messen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229902A (en) Conference suppor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