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602A -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602A
KR20220148602A KR1020210055891A KR20210055891A KR20220148602A KR 20220148602 A KR20220148602 A KR 20220148602A KR 1020210055891 A KR1020210055891 A KR 1020210055891A KR 20210055891 A KR20210055891 A KR 20210055891A KR 20220148602 A KR20220148602 A KR 2022014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display
balloon
display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열
박지석
Original Assignee
최양열
박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양열, 박지석 filed Critical 최양열
Priority to KR102021005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602A/ko
Publication of KR2022014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58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gas-bags; Fil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면위로 띄워진 벌룬(Balloon)에서 능동적으로 빛을 방출하여 구조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자가 승선한 구조선박과 조난자의 거리에 따라 적용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빛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을 조난위치로 쉽고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랙시블 재료로 제작되는 광전지나, 풍력발전용 팬(Fan)을 구성하여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을 함으로써, 날씨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풍력을 이용하여 벌룬이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적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구조선박이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더라도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및 구조 분야, 구명조끼 분야, 구명용 장치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Distress display device for life preserver}
본 발명은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면위로 띄워진 벌룬(Balloon)에서 능동적으로 빛을 방출하여 구조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자가 승선한 구조선박과 조난자의 거리에 따라 적용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빛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을 조난위치로 쉽고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관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 등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및 레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를 즐기는 경우, 바다를 운항하는 여객선이나 어선 등에 탑승한 경우에는, 조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조끼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착용자(조난자)를 수면으로 띄우기 위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체온저하를 방지하는 발열기능,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해상의 조난사고는 사고지역이 해상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조난자의 위치파악 및 구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론, 조난자가 앞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의 구명조끼를 착용한 경우, 조난사고에서 조난자의 생존성을 높여주기는 하지만, 장시간 표류하게 될 경우 조난자의 체력저하 및 체온저하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신속한 구조는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조난자가 착용한 구명조끼에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기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조난지역이 해상인 점을 고려하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GPS를 이용하여 조난자가 있는 위치와 가까운 인접위치까지 접근한다 하더라도 파도 등으로 인해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172호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구명조끼에 연결된 조난 표시용 기구를 띄워서 조난자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선행기술의 기술적 특징은, 헬륨가스가 주입된 공기주머니를 하늘로 띄움으로써, 구조자가 육안이나 망원경으로 쉽게 관측하도록 한다는 점과, 공기주머니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야간에도 빛이 반사되도록 한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맑은 날씨인 경우, 파도에 반사된 햇빛으로 인해 하늘로 띄워진 공기주머니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점.
둘째,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 이러한 날씨 자체로 인해 하늘로 띄워진 공기주머니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점.
셋째, 야간에 구조선박이 사고지역의 인근에 위치하여 조명을 비추더라도, 공기주머니를 정확히 비추기 전까지는 그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
넷째, 공기주머니에 조명이 반사되더라도, 야간에도 달빛이나 별빛 등이 파도에 반사되므로, 공기주머니에 반사된 빛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
다섯째, 광활한 해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므로, 구조자의 집중력이 쉽게 저하되어 공기주머니의 위치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점.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선행기술만으로는 조난자를 쉽게 찾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172호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면위로 띄워진 벌룬(Balloon)에서 능동적으로 빛을 방출하여 구조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자가 승선한 구조선박과 조난자의 거리에 따라 적용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빛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을 조난위치로 쉽고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하여 날씨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풍력을 이용하여 벌룬이 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이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더라도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는, 구명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로프로 연결되며,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하는 조난표시용 벌룬(Balloon);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며, 조난상황 발생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에 헬륨을 공급하는 팽창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Lamp);가 구성되며,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투명방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방출부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산란되도록 하는 빛산란부; 및 상기 LED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집중되도록 하는 빛집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상기 빛산란부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1 LED램프; 및 상기 빛집중부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2 LED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는, 일정시간마다 번갈아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구조선박과 통신이 가능한 조난용 통신모듈이 더 구성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구조선박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상기 로프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로프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바람이 유입되는 바람유입부; 및 상기 바람유입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바람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배출부는, 상기 바람유입부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상기 램프로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람유입부의 내부에 구성되며, 유입된 바람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2차전지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날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와 조난표시용 벌룬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케이스 및 조난표시용 벌룬과 각각 로프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케이스가 수중으로 잠수되면 상기 팽창기로부터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수면으로 부상한 후,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을 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조난표시용 부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면위로 띄워진 벌룬(Balloon)에서 LED램프를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휘도가 높은 강한 빛을 방출함으로써, 현장 상황(파도나 달빛, 별빛 등)에 의한 빛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구조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구조자가 승선한 구조선박과 조난자의 거리에 따라 적용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빛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을 조난위치로 쉽고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자와 구조선박 간에 조난용 통신망을 통해 확인되는 대략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의 빛을 변경하여 방출함으로써, 구조선박이 조난자의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랙시블 재료로 제작되는 광전지나, 풍력발전용 팬(Fan)을 구성하여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을 함으로써, 날씨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벌룬이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적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구조선박이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더라도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상에서의 조난사고 및 구조 분야, 구명조끼 분야, 구명용 장치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조난표시용 벌룬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는 본체케이스(100), 팽창기(200) 및 조난표시용 벌룬(300)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00)는 구명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벨크로 테이프나 지퍼, 버클, 끈 등을 이용하여 구명기구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명기구는 조난자가 사용하는 구명용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조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뿐만 아니라, 구명보트 등의 다양한 물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해상에 빠진 경우를 대비하여,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구명조끼에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난자가 구명보트에 탑승하여 표류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구명보트에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본체케이스(100)와 로프로 연결되는 것으로,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본체케이스로(100)부터 일정높이로 상승한다.
예를 들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해상에서 육안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도록 주황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난자의 위치(해수면)로부터 일정 높이(예를 들어, 15m 내지 20m로 본체케이스와 연결된 로프에 의해 간격이 유지됨)에 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해상이라는 환경적 특징으로 인해 빗물이나 높은 습도로부터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팽창기(200)로부터 유입되는 헬륨가스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륨가스의 양을 유지하는 구성 등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팽창기(200)는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구성되며, 조난상황 발생시 조난표시용 벌룬(300)에 헬륨을 공급하는 것으로, 평상시 압축된 헬륨가스를 보관하고 있으며, 조난상황이 발생하면 수동(조난자의 조작) 또는 자동(조난자가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 센서에 의해 동작)으로 동작하여 조난표시용 벌룬(300)으로 헬륨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팽창기(200) 또한 방수기능을 갖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며, 그 동작 방법 및 구성 또한 당업자에 의해 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대한 동작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조난상황이 발생하면, 조난자가 구명조끼 또는 구명보트에 설치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의 작동버튼(또는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자는 본체케이스(100)에 구성된 커버를 열고 버튼을 누르거나 별도의 끈에 연결된 핸들을 당기게 된다.
만약, 조난자가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를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 침수 또는 잠수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보빈(물에 녹아서 자동으로 팽창기를 작동시키는 장치)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팽창기(200)가 작동되면서 조난표시용 벌룬(300)에 헬륨가스가 공급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팽창하면서 본체케이스(100)에서 이탈하여 수면위쪽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팽창시 본체케이스(100)의 일부가 강제적으로 개방되면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이후, 수면위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된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하기에 설명될 램프(LED등)를 작동시켜, 외부로 빛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때, 램프인 LED등은 일정간격(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SOS'를 요청하는 모스부호로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바닷물이나 빗물, 습도 등으로부터 LED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LED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내부에 구성하면서, LED등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플랙시블 재질의 투명창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외부면에 반사필름 등이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조난표시용 벌룬(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Lamp, 310)와 더불어, 조난표시용 벌룬(300)의 적어도 일부에, 램프(310)에서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투명방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난사고 현장으로 급파된 구조선박이 구조자와의 거리에 따라 구조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투명방출부(320)는 램프(310)에서 방출된 빛이 산란되도록 하는 빛산란부(321) 및 램프(310)에서 방출된 빛이 집중되도록 하는 빛집중부(3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310)는 빛산란부(321)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1 LED램프(311) 및 빛집중부(322)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2 LED램프(3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산란부(321)는 제1 LED램프(311)에서 발생된 빛을 산란시켜 방출하므로, 구조선박이 가까운 거리에서 구조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빛집중부(322)는 제2 LED램프(312)에서 발생된 빛을 집중하여 방출하므로, 구조선박이 먼 거리에서도 구조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빛산란부(321) 및 빛집중부(322)는 플랙시블형의 시트형태 등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빛집중부(322)에 의해 빛이 집중되면 빛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는 길어지지만 범위는 좁아지므로,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회전되면서 전 방향으로 집중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조난표시용 벌룬(300)의 회전속도에 따라 비시인구간(시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시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구조선박의 구조자는 조난자와 먼 거리에서는 일정간격으로 보이는 빛을 따라 대략적인 위치를 추정하여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빛산란부(321)에 의해 방출되는 빛이 확산하게 되면 빛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는 짧아지지만 범위는 넓어지므로, 구조선박과 조난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빛산란부(321)를 통해 확산된 빛이 지속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선박의 구조자가 방출되는 빛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조난자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난자와 구조자가 탑승한 구조선박의 거리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기 위하여, 제1 LED램프(311) 및 제2 LED램프(312)는 일정시간마다 번갈아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ED램프(311)를 이용하여 'SOS'를 나타내는 모스부호로 빛을 방출한 후, 제2 LED램프(312)를 이용하여 'SOS'를 나타내는 모스부호로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내부에 구조선박과 통신이 가능한 조난용 통신모듈(3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난용 통신모듈(3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선박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LED램프(311) 및 제2 LED램프(312)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할 수 있다.
특히,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본체케이스(100) 또는 팽창기(200)와 로프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LED램프(311) 및 제2 LED램프(312)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로프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표시용 벌룬(300)과 로프는 볼베어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별도의 회전구동부(3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조난표시용 벌룬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바람이 유입되는 바람유입부(301)와, 바람유입부(301)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바람배출부(도시하지 않음)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람배출부는 바람유입부(301)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 또는 팽창기(200)와 연결되는 로프(R)와 더불어 헬륨가스가 공급되는 튜브(T)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내부에 램프(310)로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조난표시용 벌룬(300)의 바람유입부(301) 내부에는, 유입된 바람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켜 2차전지(350)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360)이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조난표시용 벌룬(300)의 상부에는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광전지가 구성될 수 있으며, 광전지는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보관 및 팽창됨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플랙시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날개(3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에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비정형으로 과도하게 움직임으로써, 조난표시용 벌룬(300)의 바람유입부(301)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유지날개(370)를 구성하게 되면, 수평유지날개(370)에 의해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풍력발전모듈(360)이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난자가 착용한 구명조끼(LP)에 구성된 본체케이스(100)와 조난표시용 벌룬(300) 사이에 조난표시용 부표(4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자가 수중으로 가라앉은 경우,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선박에 탑승한 구조자가 조난표시용 벌룬(300)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조난자가 수중으로 가라앉은 경우에는, 조난자가 착용한 구명조끼(LP)에 구성된 본체케이스(100)에서 1차적으로 조난표시용 부표(400)가 방출되어 해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조난표시용 부표(400)가 해수면에 도착하면, 조난표시용 벌룬(300)이 조난표시용 부표(400)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난표시용 부표(400)는 본체케이스(100) 및 조난표시용 벌룬(300)과 각각 로프 및 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본체케이스(100)가 수중으로 잠수되면, 조난표시용 부표(400)는 팽창기(200)로부터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수면으로 부상한 후, 조난표시용 벌룬(300)을 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조난표시용 부표(400)는 구조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근에 위치한 다른 조난자 등이 해당 조난표시용 부표(400)에 탑승하여 대피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조난자가 수중이 아닌 해수면에 위치한 경우에도, 해당 조난자가 해당 조난표시용 부표(400)에 탑승하여 대피할 수 있다.
도 7에서, 조난표시용 벌룬(3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점선의 점 간격에 따라 각각 확산되는 빛과 집중되는 빛을 표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본체케이스 200 : 팽창기
300 : 조난표시용 벌룬
310 : 램프
311 : 제1 LED램프 312 : 제2 LED램프
320 : 투명방출부
321 : 빛산란부 323 : 빛집중부
330 : 조난용 통신모듈 340 : 회전구동부
350 : 2차전지 360 : 풍력발전모듈
370 : 수평유지날개
400 : 조난표시용 부표

Claims (11)

  1. 구명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로프로 연결되며,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하는 조난표시용 벌룬(Balloon);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며, 조난상황 발생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에 헬륨을 공급하는 팽창기;를 포함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Lamp);가 구성되며,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투명방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방출부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산란되도록 하는 빛산란부; 및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이 집중되도록 하는 빛집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빛산란부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1 LED램프; 및
    상기 빛집중부를 통과하는 빛이 발생되는 제2 LED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는,
    일정시간마다 번갈아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구조선박과 통신이 가능한 조난용 통신모듈이 더 구성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구조선박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상기 로프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LED램프 및 제2 LED램프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로프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바람이 유입되는 바람유입부; 및
    상기 바람유입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바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배출부는,
    상기 바람유입부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휘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내부에 상기 램프로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람유입부의 내부에 구성되며, 유입된 바람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2차전지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은,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날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와 조난표시용 벌룬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케이스 및 조난표시용 벌룬과 각각 로프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케이스가 수중으로 잠수되면 상기 팽창기로부터 헬륨을 공급받아 팽창하여 수면으로 부상한 후, 상기 조난표시용 벌룬을 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조난표시용 부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KR1020210055891A 2021-04-29 2021-04-29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KR20220148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91A KR20220148602A (ko) 2021-04-29 2021-04-29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91A KR20220148602A (ko) 2021-04-29 2021-04-29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02A true KR20220148602A (ko) 2022-11-07

Family

ID=8404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891A KR20220148602A (ko) 2021-04-29 2021-04-29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6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647B1 (ko) * 2023-11-30 2024-04-23 김동한 맨홀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부표
KR102660182B1 (ko) 2023-09-22 2024-04-24 대한민국 갯벌 방향상실자 구조를 위한 갯벌 방향 구조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172U (ko) 2011-02-16 2011-03-04 김상일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172U (ko) 2011-02-16 2011-03-04 김상일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82B1 (ko) 2023-09-22 2024-04-24 대한민국 갯벌 방향상실자 구조를 위한 갯벌 방향 구조등 장치
KR102659647B1 (ko) * 2023-11-30 2024-04-23 김동한 맨홀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8602A (ko) 구명기구용 조난표시장치
DK2397401T3 (en) Dummy with a positioning system to help in rescue operations of persons and ships at sea
CN206476070U (zh) 一种智能水上应急救生装置
US3618150A (en) Beacon buoy marker containing lifesaving and signaling devices
CN209241272U (zh) 一种防侧翻的救生艇
EP3590819B1 (en)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CN105292401B (zh) 一种用于应急救援的救生艇
KR102219469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101890493B1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JP3979988B2 (ja) 折り畳み格納型浮き輪
CN207045643U (zh) 一种消防员用水域救生腕带
CN207972761U (zh) 多功能游艇
KR20190082476A (ko) 수중 이동이 가능한 구명조끼
CN2422234Y (zh) 海难自救装置
JP2002282675A (ja) ガス発生装置、自動ガス発生装置、自動出力装置
CN214930505U (zh) 一种落水救生用定位标
KR101844146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표시 장치
KR20110002172U (ko)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CN210912821U (zh) 带有自动前行装置的救生衣
JP2000062687A (ja) 救命用ライト
GB2229414A (en) Inflatable balloon distress marker
WO2022183270A1 (en) Improved personal flotation device
CN210027846U (zh) 一种多功能抛掷充气救生设备
JP2006096317A (ja) 救助船や航空機からの早期発見を可能にする救命筏
TWM510288U (zh) 救生衣構造改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