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950A -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950A
KR20220147950A KR1020210055109A KR20210055109A KR20220147950A KR 20220147950 A KR20220147950 A KR 20220147950A KR 1020210055109 A KR1020210055109 A KR 1020210055109A KR 20210055109 A KR20210055109 A KR 20210055109A KR 20220147950 A KR20220147950 A KR 2022014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ystem
high current
voltage
cell
parall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950A/ko
Publication of KR2022014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고전류를 배터리시스템에 인가하는 고전류 인가부; 배터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병렬 단위 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전류 인가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와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하여 각 병렬 단위 셀의 DCIR(Ω)을 산출하는 복수의 DCIR 산출부; 및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불량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Single cell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in a battery system in which parallel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본 발명은 xEV(HEV, PHEV 및 EV)용 배터리 시스템 양산라인의 최종 생산품(EOL, End Of Line) 검사 시, 배터리시스템 성능검사 중 출력검사를 통해 배터리 시스템의 내부저항 DCIR 및 출력 부합 여부를 검출하여 사전에 불량품을 검출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터리시스템 양산라인에서 최종 조립품의 출력 성능을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검출력이 요구된다.
다만 종래 배터리 시스템 양산라인에서의 출력검사 방식은 DCIR 및 충전 및 방전 출력 값을 계산하여 배터리시스템의 불량을 검출할 수는 있으나, 저전압 셀(고장 셀)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배터리 시스템에서 저전압 셀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출력 성능 검사가 필요하고, 동시에 추가 장비 및 추가 검출 소요 시간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 xEV용 배터리시스템 양산라인에서 진행하고 있는 출력검사 공정에서의 검출력을 개선할 수 있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고전류를 배터리시스템에 인가하는 고전류 인가부, 상기 배터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병렬 단위 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전류 인가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와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하여 각 병렬 단위 셀의 DCIR(Ω)을 산출하는 복수의 DCIR 산출부; 및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불량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시스템은, 배터리 셀이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류 인가부는, 방전 전류 또는 충전 전류 중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전류 인가부가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는 고전류가 충전 전류이면, 상기 불량 검출부는,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셀 최대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셀 최대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류 인가부가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는 고전류가 방전 전류이면, 상기 불량 검출부는,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셀 최소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셀 최소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은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충전 전류가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시스템내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 상기 병렬 단위 셀을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은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고전류가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소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 상기 병렬 단위 셀을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수립되어 있는 출력검사 공정을 활용하여 배터리시스템의 특정 모니터링 값으로 셀 저전압 고장을 검출할 수 있어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 장비 및 검사 시간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배터리시스템 내 복수의 셀 구성이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검출력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저전압 고장 검출력 향상으로 저전압 셀 이슈로 인한 Field 고장 접수율 낮출 수 있어, A/S 비용 및 고장 분석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시스템내 병렬 단위셀과 DCIR 산출부간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고전류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그래프.
도 4는 도 1에서 충전 및 방전 시, 검출되는 OCV(V), DCIR(Ω), 출력(W)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5는 도 1에서 고전류 인가부가 방전 전류 인가 시, 불량 병렬 단위 셀에서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도 1에서 고전류 인가부가 충전 전류 인가 시, 불량 병렬 단위 셀에서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은 고전류 인가부(110), DCIR 산출부(120) 및 불량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은 기존 출력 검사 공정에서 진행되는 방전 또는 충전 출력 검사에서의 모니터링 값을 기반으로 셀 저전압 또는 용접 불량 및 버스바 체결 불량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용되는 배터리시스템(100)은 복수개의 개별 셀이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병렬 단위 셀(101)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병렬 단위 셀(101)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터리 셀(1, 2)이 병렬로 이루어지는 병렬 단위 셀(101)을 형성하고, 이러한 병렬 단위 셀(101) 6개가 직렬로 구성된 배터리시스템(100)에서 단위 셀의 불량을 검출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고전류 인가부(11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고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전류 인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류와 상기 방전 전류의 역전류인 충전 전류 중 어느 하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할 수 있다.
DCIR 산출부(120)는 배터리시스템(100)에 구비된 병렬 단위 셀(101)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배터리시스템(100)의 병렬 단위 셀(101)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DCIR 산출부(120)는 고전류 인가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와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하여 병렬 단위 셀(101)의 DCIR(Ω)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전류 인가부(100)가 제공하는 고전류가 방전 전류인 경우, 전압 변화량(ΔV)은 Cell Min Voltage OCV (전류 인가 전) - Cell Min Voltage CCV (전류 인가 말단)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불량 검출부(130)는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불량 검출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류 인가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의 종류 즉, 충전 전류인지 방전 전류인지에 따라 COV(V), DCIR 출력(W)을 산출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고전류 인가부(1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고전류 중 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할 수 있다. 고전류 인가부(110)가 고전류 중 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면, 배터리시스템(100)내 병렬 단위 셀(101) 중 불량인 단셀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저항 등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여기서, 저전압 셀 검출 메커니즘을 통한 펄스 전류별 검출 기준 전압 변화값(△V) 산출식은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기준 전압 △V [mV] = (0.7914X Pulse 전류)-28
[표 1]은 저전압 셀 검출 메커니즘을 통한 방전 펄스 전류별 검출 기준 전압 변화값 산출식을 통해 산출된 변화 값을 나타낸 표이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고전류 인가부(1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고전류 중 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할 수 있다. 고전류 인가부(110)가 고전류 중 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면, 배터리시스템(100)내 병렬 단위 셀(101) 중 불량인 단셀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저항 등에 따라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배터리시스템(100)의 병렬 단위 셀(101)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DCIR 산출부(120)는 상기 고전류 인가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 전류와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하여 DCIR(Ω)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전류 인가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가 충전 전류이면, 전압 변화량(ΔV)은 Cell Max Voltage CCV (전류 인가 말단) - Cell Max Voltage OCV (전류 인가 전)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압 셀 검출 메커니즘을 통한 펄스 전류별 검출 기준 전압 변화값(△V) 산출식은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기준 전압 △V [mV] = (0.7554X Pulse 전류)-12
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시스템내 셀 구성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병렬 단위 셀(101) 중 하나의 셀이 불량인 경우 종래 배터리시스템에서는 검출이 어려운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병렬 구성 내에 있는 단셀의 불량 검출이 OCV(Open Circuit Voltage) 상태에서 어려우나 고전류를 인가하여 셀간 편차를 확인하여 병렬 단위 셀(101)에서 불량 단셀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 저전압 또는 용접 불량 및 버스바 체결 불량 경우, 국부적인 셀 내부 또는 외부 저항으로 인해 고전류의 방전 또는 충전 펄스 인가 시 방전 경우 전압 강하, 충전 경우 전압 상승으로 △V 값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며, 기존 배터리시스템 전체 전압의 △V 값이 아닌 단셀의 Min/Max 값을 활용하여 충전 및 방전 시 △V 값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여 검증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불량 검출부(300)는 배터리시스템(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고전류 인가부(110)에 의해 충전 전류 인가 시, 병렬 단위로 연결된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배터리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셀 전압값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셀 최대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셀 최대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검사와 종래 출력 검사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표이다.
[표 3]
Figure pat00003
한편, 저전압 셀 경우 셀 내부 여러가지 고장 사유로 셀 자체 내부저항 (DCIR) 값이 높기 때문에 순간전인 Pulse 고전류 인가 시 충전 전류인 경우 전압 상승 △V 값이 커지며, 방전 전류인 경우 전압 강하 △V 값이 커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출력검사 검출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전류 인가부(110)가 고전류 중 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여 배터리시스템 내 단셀의 불량을 검출한 후 다시 검증을 위해 고전류 인가부(110)가 고전류 중 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여 배터리시스템 내 단셀의 불량을 검증하거나 그 반대 방법을 통해 배터리시스템 내 단셀의 불량을 검증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셀이 병렬로 연결된 병렬 단위 셀(101)이 직렬로 연결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각 병렬 단위 셀(101)에 각각 연결된 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충전 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의 최대 전압을 측정한다(S710).
이어서,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한다(S720).
이후,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한다(S730).
이어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한다(S740).
상기 판단 단계(S740)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YES),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을 불량으로 결정한다(S750).
이에 반해, 상기 판단 단계(S740)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NO), 배터리시스템을 정상으로 판정한다(S760). 배터리시스템(100)이 정상인 경우, DCIR을 연산한 후 출력 전압을 연산하고,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고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의 최소 전압을 측정한다(S810).
이어서,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한다(S820).
이후, 고전류 인가부(110)를 통해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고전류를 인가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한다(S830).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한다(S840).
상기 판단 단계(S840)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YES), 상기 병렬 단위 셀(101)을 불량으로 결정한다(S850).
이에 반해, 상기 판단 단계(S840)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101)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NO), 배터리시스템을 정상으로 판정한다(S860). 배터리시스템(100)이 정상인 경우, DCIR을 연산한 후 출력 전압을 연산하고,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설정된 시간동안 고전류를 배터리시스템(100)에 인가하는 고전류 인가부;
    상기 배터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병렬 단위 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전류 인가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류와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하여 각 병렬 단위 셀의 DCIR(Ω)을 산출하는 복수의 DCIR 산출부; 및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불량 검출부를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시스템은,
    배터리 셀이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류 인가부는,
    방전 전류 또는 충전 전류 중 하나를 인가하는 것인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류 인가부가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는 고전류가 충전 전류이면,
    상기 불량 검출부는,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셀 최대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셀 최대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인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류 인가부가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는 고전류가 방전 전류이면,
    상기 불량 검출부는,
    각각의 상기 DCIR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DCIR(Ω)을 모니터링하되, 폐회로전압의 상태 셀 최소 전압 값이 오픈회로전압 상태 셀 최소 전압 값 대비 일정 전압 변화량 값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인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6.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충전 전류가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시스템내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 상기 병렬 단위 셀을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
  8.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고전류가 배터리시스템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소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고전류 인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상기 병렬 단위 셀의 최대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병렬 단위 셀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과 같거나 크면, 상기 병렬 단위 셀을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시스템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최대 전압의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변화값 이하이면, 출력 검사 합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방법.
KR1020210055109A 2021-04-28 2021-04-28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7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09A KR20220147950A (ko) 2021-04-28 2021-04-28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09A KR20220147950A (ko) 2021-04-28 2021-04-28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950A true KR20220147950A (ko) 2022-11-04

Family

ID=8404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109A KR20220147950A (ko) 2021-04-28 2021-04-28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9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591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modular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storage cells
EP3933422A1 (en) Diagnosis method for distinguishing micro-short-circuit fault of battery from small-capacity fault of battery
CN112838631B (zh) 动力电池的充电动态管控装置和动力电池的充电诊断方法
US9678163B2 (en) Differential current monitoring for parallel-connected batteries
US8635038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 battery
US11462777B2 (en) Battery pack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for anomaly detection via voltage comparison over time
US10355325B2 (en) Method for reusing vehicle rechargeable battery
US11686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maly detection and total capacity estimation of a battery
CN102854473A (zh) 电动汽车动力电池自动测试诊断系统和方法
CN108333548A (zh) 绝缘电阻测量设备及故障自诊断方法
JP2014134467A (ja) 二次電池の状態診断方法
CN110949175B (zh) 一种电动汽车用电池寿命控制方法
KR20220147950A (ko) 병렬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시스템에서 단셀 불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1336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US8502541B2 (en) Battery testing dynamic delta voltage measurement
CN112379271B (zh) 一种考虑钝化的碳包式锂亚硫酰氯电池容量检测方法
CN113848479B (zh) 一种融合均衡信息的串联电池组短路及低容量故障诊断方法、系统及设备
US2022021440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attery state and battery state determination device
CN114487884A (zh) 电池检测方法、装置、电池系统及电子设备
KR20220013167A (ko) 이상 셀 진단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JP4436947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圧バランス測定装置
CN113748353A (zh) 诊断电池电芯的装置和方法
US20240133965A1 (en) Battery diagnosis method and battery system applying the same
JP2000060011A (ja) 集合電池の状態検出方法及び状態検出装置
US202401207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banks and battery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