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913A - Ergonomical bicycle seat - Google Patents

Ergonomical bicycle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913A
KR20220147913A KR1020210055030A KR20210055030A KR20220147913A KR 20220147913 A KR20220147913 A KR 20220147913A KR 1020210055030 A KR1020210055030 A KR 1020210055030A KR 20210055030 A KR20210055030 A KR 20210055030A KR 20220147913 A KR20220147913 A KR 2022014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base frame
reference shaft
pla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0435B1 (en
Inventor
박수신
Original Assignee
박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신 filed Critical 박수신
Priority to KR102021005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3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rgonomic bicycle saddle which comprises: a base frame having a reference shaft; a lef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 righ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nd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support unit; and a nose-shaped support unit arranged between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and having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more than the two support units,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toward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re configured to respectively rotate independently and operate around the reference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applied by a user when pedal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event specific body parts of a user from being compressed.

Description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ERGONOMICAL BICYCLE SEAT}ERGONOMICAL BICYCLE SEAT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설계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saddle designed from an ergonomic point of view.

일반적으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좁다. 그러한 구조 속에서, 자전거 이용자가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상대적으로 좁고, 뒤 쪽은 이용자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받치는 부분과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를 받치는 부분이 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중이 사타구니와 중앙(낭심부)으로 집중되게 된다.In general, a bicycle saddle is to support the weight of a bicycle rider, and has a smaller area than a normal chair. In such a structure, the front of the saddle is relatively narrow in order to fre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egs because the cyclist has to turn the pedals by moving both legs, and the rear is relatively wid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Thereby, the portion supporting the ischial and femoral bone portions and the portion supporting the perineum between both legs are formed in the opposi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groin and the center (sacrum).

이런 구조는,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항문과 생식기 사이)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까지 이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주행 중 사타구니 및 회음부가 안장에 밀착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시마다 사타구니 및 회음부가 안장에 대한 압착상태에서 유동되는 현상에 의해 이용자에게는 통증과 발진, 멍이 발생하기도 한다.This structure allows the user's load-bearing force to act a lot to the part of the human body where there are sensitive organs, such as the perineum between the legs (between the anus and the genitals). Accordingly, whenever the pedal is pressed while the groin and perineum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addle while driving, the user may experience pain, rash, and bruising due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groin and perineum are moved in a compressed state against the saddl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자전거 이용시 이용자의 사타구니와 회음부 등이 압박받는 구조를 개선하여 해당 부분에서 통증, 발진, 멍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rgonomic bicycle saddle that prevents pain, rash, bruising, etc. from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part by impro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user's groin and perineum are pressed when using a bicyc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은, 기준 샤프트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 유닛;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 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 ergonomic bicycle sadd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frame having a reference shaft; a lef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 righ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eft support unit; and a nose-shaped support unit disposed between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and having a length more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than them, and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bout the reference shaft, wherein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dependently about the reference shaft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by a user when pedaling.

여기서, 상기 기준 샤프트는, 기준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라인에 의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shaft includes a straight member extending along a reference line, and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re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same axis of rotation by the reference line. can

여기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각각의 양 단부 중 인접한 일 단부 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line,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each of both ends of the nose-shaped support unit may be positioned to be biased toward an adjacent one end.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기준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그가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회전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ase frame, installed on the reference shaft,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nose-shaped support un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restoring member for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state after it is rotated can do.

여기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이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기준 샤프트와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각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body formed to support a user's pelvis, wherein the support body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bout the reference shaft. a first angular section defining an area; and a second angular section forming a second support region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based on a point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shaft.

여기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제2 각도 구간을 덮는 소프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ft cover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to cover the first angular section and the second angular section.

여기서,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 몸체; 및 상기 중앙 몸체에서 상기 기준 샤프트로부터 상기 지지 몸체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nose-shaped support unit may include: a central body formed to have a third radius of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and a protrusion body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ody from the reference shaft in the central body.

여기서,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각도 구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entral body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haft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a height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gular section.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전후 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a front-back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base frame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은, 제1 고정 부재;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1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s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 first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base frame; and a first movement restoring member configured to restore the first movable member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rst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first fixed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have.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1-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movable member may include: a 1-1 plat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 1-2 plate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 first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1-1 plate and the 1-2 th plate.

여기서, 상기 제1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마운팅 샤프트; 및 상기 마운팅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향해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movement restoration member may include: a mounting shaft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first-2 plate; and a coil spring installed on the mounting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2 plate toward the first fixing member.

여기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support un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a second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front/rear supporting unit; and a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configured to restore the second movable member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second fixed member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have.

여기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2-1 플레이트; 상기 전후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제2-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movable member may include a 2-1 plat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 2-2 plat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s; and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2-1 plate and the 2-2 plate.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제2-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movement restoration member may include a leaf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2-1 plate and coupled thereto to elastically support the 2-2 plate. have.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a height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base frame to move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support un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a second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base frame; and a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configured to restore the second movable member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second fixed member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ha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좌측 지지 유닛, 우측 지지 유닛, 및 코형 지지 유닛이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들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받는 힘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자전거 이용시 이용자의 사타구니와 회음부 등이 압박받지 않게 하여 해당 부분에서 통증, 발진, 멍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re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reference shaft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nd they are installed when the user pedals. Since each rotates independently by the force received from the bicycle, the user's groin and perineum are not pressed when using the bicycle, so that pain, rash, bruising, etc. do not occur in the relevant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측 지지 유닛(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을 보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rgonomic bicycle saddle 100 viewed from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100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sal support unit 140 of FIG. 1 .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and the height support unit 160 of FIG. 1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n ergonomic bicycle sad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rgonomic bicycle sad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100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을 포함하고, 나아가서는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100 includes a base frame 110 , a left support unit 120 , a right support unit 130 , and a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and further supports front and rear It may also include a unit 150 , and a height support unit 160 . These will be described in turn.

먼저, 베이스 프레임(110)은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을 지지하는 기반이 되는 구성이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기준 샤프트(111), 기반 샤프트(113), 서포트(115), 그리고 회전 복원 부재(117)를 가질 수 있다. First, the base frame 110 is a base for supporting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The base frame 110 may include a reference shaft 111 , a base shaft 113 , a support 115 , and a rotation restoring member 117 .

기준 샤프트(111)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상물이다. 기준 샤프트(111)는 기준 라인(SL)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직선형 부재일 수 있다. 그 경우,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은 기준 라인(SL)이라는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S)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기준 샤프트(111)는 또한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의 인접한 일 단부 측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The reference shaft 111 is an object on which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are rotatably installed. The reference shaft 111 may be a straight member disposed to extend along the reference line SL. In this case,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rotat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S about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reference line SL. The reference shaft 111 may also be disposed biased toward one end side adjacent to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기반 샤프트(113)는 기준 샤프트(111)가 지지되는 기반이 되는 부재이다. 기반 샤프트(113)는 대체로 기준 샤프트(111)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기준 샤프트(11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115)는 높이 방향(H)을 따라 배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와 기반 샤프트(113)를 연결할 수 있다. 서포트(115)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에 대응하여 3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포트(115)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중 하나, 또는 둘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 복원 부재(117)는 기준 샤프트(111)에 설치되어,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자에 의해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하는 스프링이다. 회전 복원 부재(117)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씩 설치되거나 하나로 연결된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base shaft 113 is a member on which the reference shaft 111 is supported. The base shaft 113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eference shaft 111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ference shaft 111 . The support 115 may be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H to connect the reference shaft 111 and the base shaft 113 . The support 115 may be provided as three corresponding to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Alternatively, the support 115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corresponding to one or two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The rotation restoring member 117 is installed on the reference shaft 111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fter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s rotated by the user. It is a spring that elastically restores. The rotation restoration member 117 may be installed one by o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or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connected as one.

좌측 지지 유닛(120)은 이용자의 좌측 골반 및 좌측 엉덩이 그리고 궁둥이(엉덩이 아래 부분)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좌측 지지 유닛(1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left support unit 120 is a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left pelvis, left hip, and buttocks (lower buttocks). The left support unit 12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around the reference shaft 111, as mentioned above.

우측 지지 유닛(130)은 이용자의 우측 골반 및 우측 엉덩이 그리고 궁둥이(엉덩이 아래 부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좌측 지지 유닛(1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우측 지지 유닛(130)은 코형 지지 유닛(140)를 기준으로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지지 유닛(130)은, 좌측 지지 유닛(120)과 동일하게, 대체로 곡면 형태인 상면을 가진다.The right support unit 130 is a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right pelvis, right buttocks, and buttocks (lower buttocks), and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eft support unit 120 . Furthermore, the right support unit 13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eft support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 The right support unit 130, like the left support unit 120, has a generally curved upper surface.

코형 지지 유닛(140)은 자전거의 코너링시에 이용자의 몸이 측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몸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그를 위해,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사이에 배치되며, 그들보다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코형 지지 유닛(140)의 기준 라인(SL)을 따른 폭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각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user's body from being pulled to the side during cornering of the bicycle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body. To that e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 and has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110 beyond them. In addition, the width along the reference line SL of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

이러한 코형 지지 유닛(140)도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동일하게,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방향(S)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그들과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s also rotatably rotatabl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S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about the reference shaft 111 in the same manner as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 Connecte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s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 so that it rotates independently of them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when pedaling.

전후 지지 유닛(150)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전후 방향(A)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도 포함]을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후 지지 유닛(150)은 베이스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기반 샤프트(1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ront-back support unit 150 is a base frame 110 (left support unit 120, right support unit 130, and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by the force generated during pedaling of the user. is also configured to support the movement]. To this e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110 , specifically, the base shaft 113 .

높이 지지 유닛(160)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높이 방향(V)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도 포함]을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높이 지지 유닛(160)은 전후 지지 유닛(150)에 결합되고, 그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eight support unit 160 is the base frame 110 (left support unit 120, right support unit 130, and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n the height direction (V) by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is also configured to support the movement]. To this end, the height support unit 16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and disposed below it.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전거를 타는 이용자는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의 곡면 형상의 상부면에 걸터 앉을 수 있게 된다. 이용자의 엉덩이 및 궁둥이는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므로, 그들이 아래로 처지면서 중앙으로 모이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의 사타구니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지 않으며 회음부의 눌림이 없어지므로, 사타구니 등에 통증과 멍, 발진 등이 생기는 일이 없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user riding a bicycle can sit on the curved upper surfaces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 The user's hips and buttocks are fully supported by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so that they do not droop down and converge to the center. Thereby, excessive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user's groin, and since the perineum is not pressed, pain, bruising, rash, and the like do not occur in the groin or the like.

나아가, 코형 지지 유닛(140)에 의해 이용자는 자전거의 코너링 및 좌우 흔들림이 있을 시에 측방으로 몸이 쏠리지 않게 하여 몸의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코형 지지 유닛(140)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페달링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이 작은 압력에도 회전하므로 그에 사타구니가 압착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이용자의 페달링 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들이 이용자에 가하는 압박을 고루 분산하고 흡수되게 한다.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그리고 코형 지지 유닛(140)의 회전에도, 그들의 상면은 곡면형이여서 이용자의 엉덩이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Furthermore, by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the user is able to hold the center of the body by preventing the body from leaning to the side when the bicycle is cornering or shakes left and right. In addition, since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also rotates,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rotates even with a small pressure during pedaling, so that the groin is not squeezed. When the user pedals,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rotates about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so that the pressure they apply to the user is evenly distributed and absorbed. Even when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rotate, their upper surfaces are curved, so that the height of the user's hips can be maintained as it is.

또한,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에 의하면, 이용자의 페달링에 연동하여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그리고 코형 지지 유닛(140)이 전후 방향(A) 및/또는 높이 방향(V)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들의 고정에 의해 이용자의 궁둥이 및 사타구니 등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ont-rear support unit 150 and the height support unit 160,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interlock with the user's pedal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and/or may b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V).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buttocks, groin, etc. by fixing them.

이상의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도 3은 도 1의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of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좌측 지지 유닛(120)은 이용자의 좌측 골반(및 엉덩이)을 지지하는 지지 몸체(121)를 가진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left support unit 120 has a support body 121 that supports the user's left pelvis (and hip).

지지 몸체(121)는 대체로 곡면 형태인 상면을 가지는 것임은 앞서 언급한 바오 같다. 해당 상면의 구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지지 몸체(121)를 제1 각도 구간(123)과 제2 각도 구간(126)으로 구분할 수 있다. It is the same as mentioned above that the support body 121 has a generally curved upper surface. In order to describe the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the support body 12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ngular section 123 and a second angular section 126 .

제1 각도 구간(123)은 도면상 우측의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1)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1 지지 영역(124)이라 칭해질 수 있다. The first angular section 123 is a region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has an outer surface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111 . Its outer su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 region 124 .

제1 각도 구간(123)은 도면상 수직한 경계선(B)의 우측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하는 제1 곡률 반경(R1)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1 지지 영역(124)이라 칭해질 수 있다. The first angular section 123 is a region on the right side of the vertical boundary line B in the drawing, and has an outer surface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 1 centered on the reference shaft 111 . Its outer su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 region 124 .

제2 각도 구간(126)은 도면상 수직한 경계선(B)의 좌측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가 아닌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곡률 반경(R2)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2 지지 영역(127)이라 칭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곡률 반경(R2)은 제1 곡률 반경(R1) 보다 큰 것으로서, 예를 들어 3배 가량 큰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angular section 126 is a region on the left side of the vertical boundary line B in the drawing, and has an outer surface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 2 centered on a point other than the reference shaft 111 . The outer su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upport region 127 . Here,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 2 is larg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 1 ,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three times larger.

또한, 지지 몸체(121)에는 스톱퍼(129)가 설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걸리게 된다. 이는 지지 몸체(121)의 회전 방향(S)을 따른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범위 제한에 의해, 페달링시에 지지 몸체(12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제1 지지영역(124)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opper 129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121 to be caugh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111 . This limits the rotation rang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S of the support body 121 . By limiting the rotation range,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region 124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despite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ody 121 during pedaling.

좌측 지지 유닛(120)은, 지지 몸체(121)를 덮는 소프트 커버(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다. 소프트 커버는 제1 지지 영역(124)과 제2 지지 영역(127)을 덮어서, 이용자와 지지 몸체(121) 간의 부드러운 접촉을 유도한다. The left support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oft cover (not shown) covering the support body 121 . The soft cover covers the first support area 124 and the second support area 127 to induce a soft contact between the user and the support body 121 .

이상에서는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우측 지지 유닛(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left support unit 12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ight support unit 130 .

다음으로, 도 4는 도 1의 코측 지지 유닛(140)에 대한 단면도이다.Nex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sal support unit 140 of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코형 지지 유닛(140)은 중앙 몸체(141)와 돌출 몸체(145)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may have a central body 141 and a protruding body 145 .

중앙 몸체(141)는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R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곡률 반경(R3)은 제1 곡률 반경(R1)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것일 수 있다. 중앙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오목부(143, 도 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43)는 기준 샤프트(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그에 대한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의 대응 부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The central body 141 may be formed to have a third radius of curvature R 3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111 . Here, the third radius of curvature R 3 may be the same as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 1 . A concave portion 143 (refer to FIG. 1 )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41 . The concave portion 143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haft 111, and forms an outer surface with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surface of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left support unit 120 and the right support unit 130 thereto. do.

돌출 몸체(145)는 중앙 몸체(141)에서 기준 샤프트(111)로부터 지지 몸체(121)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몸체(145)는 전후 방향(A)을 따라 중앙 몸체(141) 보다 몇 배는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protruding body 145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beyond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ody 121 from the reference shaft 111 in the central body 141 . The protruding body 145 may have a length several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body 14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또한, 중앙 몸체(141)에는 스톱퍼(149)가 설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걸리게 된다. 이는 중앙 몸체(141)의 회전 방향(S)을 따른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stopper 149 is installed in the central body 141 , and is caugh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111 . This is to limit the rotation rang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S) of the central body (14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몸체(141)는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회전 복원 부재(117)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중앙 몸체(141)의 오목부(143)는 회음부를 수용하기에, 회음부가 압박되는 일이 없게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entral body 141 is a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shaft 111 , and may be elastically restored by the rotation restoring member 117 . Further, the concave portion 143 of the central body 141 to accommodate the perineum, so that the perineum is not pressed.

돌출 몸체(145)는 이용자의 양쪽 허벅지 사이에 위치하여, 코너링 및 측면 흔들림 발생시에 이용자가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돌출 몸체(145)는 중앙 몸체(141)에 연결되어 중앙 몸체(141)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그 회전 각도를 크지 않게 유지할 수 있기도 하다. 이는 페달링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이 회전 방향(S, 도 1 참조)을 따라 급격하지 않게 회전하면서 이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The protruding body 145 is located between the user's both thighs,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his/her body balance when cornering and side shaking occurs. This protruding body 145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ody 141 and rotates based on the central body 141, so that the rotation angle can be kept small. This enables the nose-shaped support unit 140 to respond to the user's body movement while not abruptly rotating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S, see FIG. 1) during pedaling.

나아가, 중앙 몸체(141)와 돌출 몸체(145)도 소프트 커버(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Furthermore, the central body 141 and the protruding body 145 may also be covered by a soft cover (not shown).

도 5는 도 1의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을 보인 측면도이다.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and the height support unit 160 of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지지 유닛(150)은, 제1 고정 부재(151), 제1 가동 부재(153), 그리고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151 , a first movable member 153 , and a first movement restoring member 155 .

제1 고정 부재(151)는 대체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바닥부(151a)와 그에서 절곡된 측벽부(151b), 그리고 측벽부(151b)의 자유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상단부(151c)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상단부(151c)는 대체로 바닥부(151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벽부(151b)로부터 바닥부(151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151 may have a substantially bent plate shape. Specifically, it may have a bottom portion 151a, a sidewall portion 151b bent therefrom, and an upper end portion 151c bent and extended from a free end of the sidewall portion 151b. Accordingly, the upper end portion 151c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51a, and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sidewall portion 151b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ttom portion 151a.

제1 가동 부재(153)는 제1 고정 부재(151)와 베이스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기반 샤프트(11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가동 부재(153)는, 제1-1 플레이트(153a)와, 제1-2 플레이트(153b), 그리고 제1 힌지(153c)를 가질 수 있다. 제1-1 플레이트(153a)는 제1 고정 부재(151)의 바닥부(15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제1-2 플레이트(153b)는 기반 샤프트(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153c)는 제1-1 플레이트(153a)와 제1-2 플레이트(153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2 플레이트(153b)는 상단부(151c)에 의해 측벽부(151b)에 대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The first movable member 153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base frame 110 , specifically, the base shaft 113 of the base frame 110 . The first movable member 153 may include a 1-1 plate 153a, a 1-2 th plate 153b, and a first hinge 153c. The first-first plate 153a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151a of the first fixing member 151 . In contrast, the 1-2 first plate 153b may be coupled to the base shaft 113 . The first hinge 153c rotatably connects the 1-1 plate 153a and the 1-2 th plate 153b. The 1-2-th plate 153b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art 151b by the upper end part 151c.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엉덩이와 궁둥이의 뒤쪽으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제1 가동 부재(153)가 제1 고정 부재(151)로부터 전후 방향(A)을 따라 변위시 제1 가동 부재(15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성이다.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구체적으로, 마운팅 샤프트(155a)와 코일 스프링(155b)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 샤프트(155a)는 제1 고정 부재(151)와 제1-2 플레이트(153b)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55b)은 마운팅 샤프트(155a)에 설치되어, 제1-2 플레이트(153b)를 측벽부(151b)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타구니에 끼는 구조의 안장이 아닌, 걸터 앉는 형태의 안장에서 페달링시 엉덩이와 궁둥이가 뒤로 밀리는 공간이 없으면 많은 저항이 동반되는데,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그러한 저항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first movable member 155 is displaced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1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by the force generated behind the buttocks and the buttocks during the user's pedaling, the first movable member 153 is displaced It is a configuration for restoring the first movable member 153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movement restoring member 155 may have a mounting shaft 155a and a coil spring 155b. The mounting shaft 155a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1-2th plate 153b. The coil spring 155b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shaft 155a to elastically support the 1-2th plate 153b toward the side wall portion 151b. In general, when pedaling in a sitting-type saddle rather than a saddle having a structure that fits in the groin, if there is no space for the hips and buttocks to be pushed back, a lot of resistance is accompanied, and the first movement restoration member 155 serves to resolve such resistance. do.

높이 지지 유닛(160)은, 제2 고정 부재(161), 제2 가동 부재(163), 그리고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를 가질 수 있다. The height support unit 160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161 , a second movable member 163 , and a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165 .

제2 고정 부재(161)는 자전거의 받침 기둥에 삽입 고정되는 안장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may serve as a saddle support inserted and fixed to a support post of the bicycle.

제2 가동 부재(163)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전후 지지 유닛(150),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151)의 바닥부(151a)를 연결한다. 제2 가동 부재(163)는, 제2-1 플레이트(163a), 제2-2 플레이트(163b), 그리고 제2 힌지(163c)를 가질 수 있다. 제2-1 플레이트(163a)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연결되고, 제2-2 플레이트(163b)는 바닥부(15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163c)는 제2-1 플레이트(163a)와 제2-2 플레이트(163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힌지(163c)는 제2-2 플레이트(163b)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작동하게 하는 스톱퍼(stopper, 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해당 스톱퍼는 제2 힌지(163c)의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정지홈과 가동부 측에 형성되며 특정 각도에서 상기 정지홈과 맞물리게 되는 정지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connects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s 150 ,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151a of the first fixing member 151 . 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may include a 2-1 plate 163a, a 2-2 plate 163b, and a second hinge 163c. The second-first plate 163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 and the second-second plate 163b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51a. The second hinge 163c rotatably connects the 2-1 plate 163a and the 2-2 plate 163b. The second hinge 163c may have a stopper (not shown) that allows the 2-2 second plate 163b to operate only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xed part of the second hinge 163c and a stopper formed on the side of the movable part and engaged with the stop groove at a specific angle.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는,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제2 가동 부재(163)가 제2 고정 부재(161)로부터 높이 방향(V)을 따라 하강시에 제2 가동 부재(16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성이다.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제2-1 플레이트(163a)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제2-2 플레이트(163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에는 탄성 조정볼트(165a)가 설치되어 제2-2 플레이트(163b)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165 is a second movable member when 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descends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in the height direction V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pedals. (163) is a configuration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165 may be a leaf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and the second-first plate 163a and coupled thereto. The leaf spring elastically supports the 2-2 plate 163b. In addition, an elastic adjustment bolt 165a is installed on the leaf spring and disposed to contact the 2-2 plate 163b, through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can be adjusted.

이상에서는 기반 샤프트(113)와 제2 고정 부재(161) 사이에 전후 지지 유닛(150) 및 제2 가동 부재(163), 그리고 제2 이동 복원 부재(165)가 모두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 지지 유닛(150)이 불필요한 경우라면, 기반 샤프트(113)를 제2 가동 부재(163) 또는 제2 고정 부재(161)에 대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고정 부재(151)가 제2 고정 부재(161)에 바로 결합되게 하여, 제2 가동 부재(163) 및 제2 이동 복원 부재(165)가 배제된 형태가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 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 and the second movement restoration member 165 are all provided between the base shaft 113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y may be comb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need. For example, if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0 is unnecessary, the base shaft 11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or the second fixed member 161 . Alternatively, a form in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151 is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161 may be implemented in which the second movable member 163 and the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165 are excluded.

상기와 같은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100: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10: 베이스 프레임
111: 기준 샤프트 117: 회전 복원 부재
120: 좌측 지지 유닛 121: 지지 몸체
123: 제1 각도 구간 126: 제2 각도 구간
130: 우측 지지 유닛 140: 코형 지지 유닛
141: 중앙 몸체 145: 돌출 몸체 150: 전후 지지 유닛 151: 제1 고정 부재
153: 제1 가동 부재 155: 제1 이동 복원 부재
160: 높이 지지 유닛 161: 제2 고정 부재
163: 제2 가동 부재 165: 제2 이동 복원 부재
100: ergonomic bike saddle 110: base frame
111: reference shaft 117: rotation restoring member
120: left support unit 121: support body
123: first angle section 126: second angle section
130: right support unit 140: nose-shaped support unit
141: central body 145: protruding body 150: front and rear support unit 151: first fixing member
153: first movable member 155: first movement restoring member
160: height support unit 161: second fixing member
163: second movable member 165: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Claims (18)

기준 샤프트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 유닛;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 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 base frame having a reference shaft;
a lef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 right suppor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round the reference shaf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eft support unit; and
a nose-shaped support unit disposed between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and having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more than them, and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bout the reference shaft,
wherein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re configured to rotate independently about the reference shaft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by a user when peda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샤프트는,
기준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라인에 의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shaft is
a straight member extending along a reference line;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wherein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re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same axis of rotation by the reference l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각각의 양 단부 중 인접한 일 단부 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erence line is
An ergonomic bicycle saddle that is biased toward an adjacent one of both ends of each of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기준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그가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회전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rame is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restoring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reference shaft and restores to its original state after it is rotat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the right support unit, and the nose-shaped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이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기준 샤프트와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각도 구간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Comprising a support body formed to support the user's pelvis,
The support body,
a first angular section forming a first support region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and
and a second angular section about a point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shaft defining a second support area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제2 각도 구간을 덮는 소프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of the left support unit and the right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further comprising a soft cover covering the first angular section and the second angular 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 몸체; 및
상기 중앙 몸체에서 상기 기준 샤프트로부터 상기 지지 몸체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se-shaped support unit,
a central body formed to have a third radius of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haft; and
An ergonomic bicycle saddle comprising a protruding body protruding beyond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ody from the reference shaft in the central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각도 구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entral body is
An ergonomic bicycle saddle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haft and including a concave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a height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gular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전후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Connected to the base frame,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further comprising a front and rear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base frame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a user pedal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은,
제1 고정 부재;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1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s,
a first fixing member;
a first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base frame; and
A human body comprising a first movement restoring member for restoring the first movabl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rst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first fixed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during pedaling by a user Engineered bike sadd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1-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movable member,
a 1-1 plat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 1-2 plate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n ergonomic bicycle saddle comprising a first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1-1 plate and the 1-2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마운팅 샤프트; 및
상기 마운팅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향해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movement restoration member,
a mounting shaft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first 1-2 plate; and
An ergonomic bicycle saddle that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shaft and includes a coil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1-2 plate toward the first fix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further comprising a height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 and supporting the base frame to move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a user pedal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ight support unit,
a second fixing member;
a second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front/rear supporting unit; and
A human body comprising a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for restoring the second movabl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second fixed member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a user pedals. Engineered bike sadd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2-1 플레이트;
상기 전후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제2-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movable member,
a 2-1 plat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 2-2 plat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units; and
An ergonomic bicycle saddle comprising a second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2-1 plate and the 2-2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제2-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movement restoration member,
and a leaf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second-first plate and coupled thereto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The ergonomic bicycle saddle further comprising a height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base frame to move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a user peda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height support unit,
a second fixing member;
a second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base frame; and
A human body comprising a second movement restoring member for restoring the second movabl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movable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second fixed member in a height direction by a force generated when a user pedals. Engineered bike saddle.
KR1020210055030A 2021-04-28 2021-04-28 Ergonomical bicycle seat KR102480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en) 2021-04-28 2021-04-28 Ergonomical bicy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en) 2021-04-28 2021-04-28 Ergonomical bicycle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913A true KR20220147913A (en) 2022-11-04
KR102480435B1 KR102480435B1 (en) 2022-12-22

Family

ID=8404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en) 2021-04-28 2021-04-28 Ergonomical bicycle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3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369A (en) * 2003-11-27 2005-06-01 박광용 Horse-riding typed saddle used in bicycle
WO2009040771A1 (en) * 2007-09-28 2009-04-02 Hobart Anthony Kay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KR20120086470A (en) * 2011-01-26 2012-08-03 박민서 Suppor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US20150321718A1 (en) * 2014-05-12 2015-11-12 Nan Kai University Of Technology Bicycle saddle structure
KR20160053513A (en) * 2014-11-05 2016-05-13 김원수 Bicycle hybrid Saddle
CN207072396U (en) * 2017-06-14 2018-03-06 韩社军 A kind of antifatigue vehicle seat of riding
US20200102033A1 (en) * 2018-10-02 2020-04-02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Bicycle Seat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369A (en) * 2003-11-27 2005-06-01 박광용 Horse-riding typed saddle used in bicycle
WO2009040771A1 (en) * 2007-09-28 2009-04-02 Hobart Anthony Kay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KR20120086470A (en) * 2011-01-26 2012-08-03 박민서 Suppor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US20150321718A1 (en) * 2014-05-12 2015-11-12 Nan Kai University Of Technology Bicycle saddle structure
US9409614B2 (en) * 2014-05-12 2016-08-09 Nan Kai University Of Technology Bicycle saddle structure
KR20160053513A (en) * 2014-11-05 2016-05-13 김원수 Bicycle hybrid Saddle
CN207072396U (en) * 2017-06-14 2018-03-06 韩社军 A kind of antifatigue vehicle seat of riding
US20200102033A1 (en) * 2018-10-02 2020-04-02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Bicycle Sea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35B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1496B2 (en) Bicycle seat
JP3613762B2 (en) Cycle seat
US5769492A (en) Back saver sport seat
US5863094A (en) Saddle for bicycle
US6786542B1 (en) Articulating adjustable resistance suspension seat
US7178869B2 (en) Bicycle seat
WO1993004907A1 (en) Anatomically compensating cycle saddle
KR101230633B1 (en) Saddle for bicycle
US11760431B2 (en) Bicycle seat for improved comfort, performance, and safety
JPH06171566A (en) Seat and saddle for use on bicycle or exerciser
WO2009040771A1 (en)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KR20220147913A (en) Ergonomical bicycle seat
WO2009040861A1 (en) Saddle
US6874849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US20060061022A1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wheeled vehicle
JP3195343U (en) Saddle, saddle mounting member, and bicycle
KR20180108634A (en) Bicycle saddle
KR200417492Y1 (en) Bike Saddle
JPH09109972A (en) Suspension device for bicycle
GB2524471A (en) A bicycle saddle
JPH05112269A (en) Sheet for pedal-operated device
CN210912708U (en) Electric bicycle
CA2716831A1 (en) Twin-pad bicycle seat for long distance cycling
JPH04110286A (en) Saddle for bicycle
CA3193414A1 (en) Bicycle seat for improved comfort, performance, and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