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49A -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49A
KR20220147449A KR1020210054633A KR20210054633A KR20220147449A KR 20220147449 A KR20220147449 A KR 20220147449A KR 1020210054633 A KR1020210054633 A KR 1020210054633A KR 20210054633 A KR20210054633 A KR 20210054633A KR 20220147449 A KR20220147449 A KR 2022014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rs
user terminal
phase noise
base station
compon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449A/ko
Priority to EP22168982.1A priority patent/EP4084389B1/en
Priority to CN202210418714.9A priority patent/CN115250534A/zh
Priority to EP23184680.9A priority patent/EP4231580A3/en
Priority to US17/660,067 priority patent/US20220345345A1/en
Priority to TW111115933A priority patent/TW202249455A/zh
Publication of KR2022014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2Estimation of channel variability, e.g. coherence bandwidth, coherence time, fad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16Stabilisation of local oscil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PT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상 잡음(phase noise) 보상을 위한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를 소정의 운반파에 실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증폭하여 복조 할 수 있다. 조금 더 많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무선 통신 장치는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 즉 다중 운반파로 변조된 RF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가 운반파 묶음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RF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 간의 주파수 변환(conversion) 과정에서 위상 잡음(phase noise)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고주파 영역에서는 위상 잡음은 더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위상 잡음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시그널 지터(signal jitter)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5G NR(new radio) 표준은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중 하나로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를 도입하였다. 5G NR 표준은 빠른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해 밀리미터파(mm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을 정의하고 있어 위상 잡음 문제가 심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PTRS 자원을 운영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PTRS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PTRS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그룹을 이용하여 PTRS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PT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의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TRS CC 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된 상기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에 기초하여, 협동하는(cooperative)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PTR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르면,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별로 PTRS를 중복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PTRS 송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운반파 묶음의 예시적인 유형들 및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들로부터 운반파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 회로의 예시적인 구조들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PTRS 전송을 위한 PTRS 자원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MCS에 따른 PTRS의 시간 밀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5c는 MCS에 따른 PTRS의 주파수 밀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장치인 사용자 단말기(100) 및 기지국(110)을 포함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NR(New Radio) 시스템,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 4G(4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4G(4th generation) LTE-Advanced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시스템, GSM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CDMA 시스템은 광대역 CDMA(WCDMA), 시간 분할 동기화 CDMA(TD-SCDMA), CDMA 2000 등의 다양한 CDMA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5G 시스템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이 존재 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및/또는 다른 기지국(1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및/또는 타 셀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셀(cell), Node B, eNB(evolved-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NR에서의 g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100)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기지국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복수의 기지국들(110, 112) 및 시스템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다수의 셀들 및 다수의 네트워크 엔티티들(Network entities)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10, 112)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다른 셀과 통신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1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114)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100)는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의 위성(13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무선 통신을 위한 라디오(radio)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10) 내의 업링크 채널, 다운링크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주체들 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주체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기지국(110)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기지국(110) 각각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면 기지국(110)은 수신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고, 기지국(110)이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기지국(110) 사이에 데이터 연결 통로로써 다운링크 채널(102) 및 업링크 채널(10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102)의 상태 및 업링크 채널(104)의 상태는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전제할 수 있다. 한편, 다운링크 채널(102) 및 업링크 채널(104)의 상호성은 업링크와 다운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시간 영역에서는 분리된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 TDD)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할 수 있고, 다른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예측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복수의 운반파들을 사용하는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이하 CA)을 지원할 수 있다. CA는 복수 개의 주파수 블록(이른바, 컴포넌트 캐리어)이 동일 사용자에게 할당된 경우 사용자 당 데이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100) 및 기지국(110)은 CA를 통해 제1 신호로 병합된 복수의 운반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즉, (10) 및 기지국(20)은 복수 개의 운반파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CA에서 사용자 단말기(100) 및 기지국(110)이 사용하는 운반파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로서 지칭될 수 있고,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의해서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주파수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다. 주파수 채널은 주파수 밴드(band)에 포함될 수 있고, 주파수 밴드(band)는 복수의 연속적인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및 기지국(110)이 CA에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들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정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요소 운반파 신호'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A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지국(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PTRS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송신기로부터 발생하는 위상 잡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의 문제인 모든 부운반파(sub-carrier)에 발생하는 공통 위상 오류(common phase error: CPE)에 대한 위상 추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110)이 PTRS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PTRS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PTRS를 송신하고, 기지국(110)이 PTRS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5G NR(new radio) 표준에 따르면,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가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동일한 기지국(110)의 RF 소자(또는, 아날로그 소자)가 사용되는지, 사용자 단말기(100)가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각 컴포넌트 캐리어가 경험하는 위상 잡음이 동일할 수도 있고, 각 컴포넌트 캐리어가 경험하는 위상 잡음이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기지국(110)의 RF 소자에 의한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잡음 특성은, '기지국(110)의 위상 잡음 특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RF 소자에 의한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잡음 특성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상 잡음 특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RF 아날로그 소자가 포함될 수 있고, RF 아날로그 소자는, 일 예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LO)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의 컴포넌트 캐리어 별 RF 소자의 정보, 즉, 기지국(110)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를 수신하여야 하고 각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 추적(phase noise tracking)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구현 상,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때 하나의 RF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예를 들어, 하나의 RF 소자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나누어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위상 잡음 특성이 거의 유사할 수 있고, 위상 잡음 특성이 유사한 수신 신호에 대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PTRS를 중복해서 전송하게 되므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 마다 PTRS를 중복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PTRS 송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운반파 묶음의 예시적인 유형들 및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들로부터 운반파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 회로의 예시적인 구조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밴드 간(inter-band) CA를 예시하고, 도 2b는 연속적(contiguous) 주파수 밴드내(intra-band) CA를 예시하며, 도 2c는 비연속적(non-contiguous) 주파수 밴드내 CA를 예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의 예시에서, 2개의 주파수 밴드들(BAND1, BAND2)이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고, 1개의 주파수 밴드는 3개의 주파수 채널들(또는, 3개의 운반파들)을 가질 수 있음을 가정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1개의 주파수 밴드는 더 많은 주파수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주파수 밴드간 CA에서,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은 상이한 주파수 밴드들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CH12, CH22)은 제1 주파수 밴드 및 제2 주파수 밴드(BAND1, BAND2)에 각각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서로 멀리 이격 될 수 있다. 2개의 LNA들(LNA1a, LNA2a)은, 제1 및 제2 운반파 신호(IN1, IN2)를 각각 증폭함으로써 제1 및 제2 출력 신호(또는, 제1 및 제2 증폭된 운반파 신호)(OUT1, OUT2)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출력 신호(OUT1, OUT2)는 주파수 채널들(CH12, CH22)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들(f12, f22)에 의해서 주파수 하향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들로 변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연속적 주파수 밴드내 CA에서,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은 동일한 주파수 밴드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CH11, CH12)은 제1 주파수 밴드(BAND1)에 포함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할 수 있다. LNA(LNA1b)는, 제1 운반파 신호(IN1)를 증폭함으로써 제1 출력 신호(OUT1)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출력 신호(OUT1)는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CH11, CH12)에 대응하는 운반파들의 주파수들(f11, f12)의 중간 주파수(즉, (f11+f12)/2)에 의해서 주파수 하향 변환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비연속적 주파수 밴드내 CA에서,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은 동일한 주파수 밴드 내에서 불연속적으로(또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CH11, CH13)은 제1 주파수 밴드(BAND1)에 포함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비연속적 주파수 밴드내 CA에서 사용중인 주파수 채널들(CH11, CH13)을 분리하기 위한 일 예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A(LNA1c)가 제1 운반파 신호(IN1)로부터 2개의 출력 신호들, 즉, 제1 및 제2 출력 신호(OUT1, OUT2)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출력 신호(OUT1, OUT2)는 주파수 채널들(CH11, CH13)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들(f11, f13)에 의해서 주파수 하향 변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a를 참조하면, 주파수 채널들(CH12, CH22) 별로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각각 PTRS가 전송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컴포넌트 캐리어들(CH11, CH12) 별로 각각 PTRS가 전송될 수 있으며, 도 2c를 참조하면 컴포넌트 캐리어들(CH11, CH13) 별로 각각 PTRS가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위상 잡음 특성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집합을 'PTRS CC group'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상 잡음 특성은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지 여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110)이 PTRS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PTRS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110)이 설정한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110)이 설정한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밴드 간(inter-band)에 배치될 수 없고, 연속적(contiguous) 주파수 밴드 내(intra-band)에 배치될 수 있고, 비연속적(non-contiguous) 주파수 밴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지국(300) 및 사용자 단말기(31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을 활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300) 및 사용자 단말기(310)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들(Ant1_1, Ant1_2, Ant2_1, Ant2_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기지국(300) 및 사용자 단말기(310)가 2개의 안테나들(Ant1_1, Ant1_2, Ant2_1, Ant2_2)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기지국(300) 및 사용자 단말기(310)가 각각 2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지국(300)은 제1 송수신기(11), 제2 송수신기(12), 제1 안테나(Ant1_1) 및 제2 안테나(Ant1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각각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수신기(11)는 제1 안테나(Ant1_1)에 연결되고, 제2 송수신기(12)는 제2 안테나(Ant1_2)에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300)이 송신 장치로 동작할 때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송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고, 기지국(300)이 수신 장치로 동작할 때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는 송신 모드에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C1) 및 제2 컴포넌트 신호(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신호(Sig)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신호(Sig)를 사용자 단말기(31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는 제1 신호(Sig)로부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C1)뿐만 아니라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C2) 역시 추출할 수 있다.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각각의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제1 PTRS 및 제2 PTR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각각은 각각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만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을 병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제1 신호(Sig)로부터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만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기지국(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10)는 같은 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더 많은 운반파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량(throughput)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12)는 제1 송수신기(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제3 송수신기(21), 제4 송수신기(22), 제3 안테나(Ant2_1) 및 제4 안테나(Ant2_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10)는 기지국(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b에서는 기지국(110)이 PTRS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PTRS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기지국(300) 및 사용자 단말기(310)는 각각 프로세서(13, 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 23)는 기저대역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1, 12)의 송신 신호 경로를 위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송수신기(21, 22)의 수신 신호 경로로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110)의 프로세서(13)는 전송될 데이터를 처리하여(예를 들면, 데이터 인코딩, 데이터 변조), 처리된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선택된 송신기(예를 들면, 11_b)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지국(300)의 제1 송수신기(11)는 송신기(11_b)와 수신기(11_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기(11_a)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3)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입력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와 같은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11_a)는 가변 이득 증폭기(VGA), 필터(Filter), 주파수 발진 회로(미도시)에 포함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LO)(302), 믹서(304) 및 전력 증폭기(PA)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1_b)에 포함된 주파수 발진 회로와 국부 발진기(302)는 수신기(11_a)와 공유할 수 있고, 각기 다른 국부 발진기를 포함한 주파수 발진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10)의 송수신기(21)는 송신기(21_a)와 수신기(21_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21_b)는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수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3)에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1_b)는 저잡음 증폭기(LNA), 주파수 발진 회로(미도시)에 포함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LO)(306), 믹서(308), 가변 이득 증폭기(VGA) 및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1_b)에 포함된 주파수 발진 회로와 국부 발진기(302)는 송신기(21_a)와 공유할 수 있고, 각기 다른 국부 발진기를 포함한 주파수 발진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300)이 설정한 PTRS CC group에서, PTRS CC group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서는 기지국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것을 가정한다. 즉,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기지국(300)이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을 송신할 때,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 해당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집합을 'PTRS CC group'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인접한 주파수 채널(CH11, CH12)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송수신기(11)를 사용 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동일한 국부 발진기(302)를 사용하여 병합된 제1 신호(Sig)를 생성 수 있고, 이 때 인접한 2개의 주파수 채널들(CH11, CH12)은 PTRS CC group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접한 주파수 채널들(CH11, CH12)을 사용하여 전송된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여 송신되었고,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하였으므로, '기지국 측의 위상 잡음 특성은 동일하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기지국(400)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410)로 송신하고자 할 때, PTRS CC group 내의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4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400) 및 사용자 단말기(410)의 PTRS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기지국(400)은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된 PTRS CC group을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400)은 동일한 RF 소자(예를 들어,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하나의 PTRS CC group으로 정의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명세서 전반에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여러 통신 환경에 따른 구현 예에 따라,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위상 잡음 특성이 유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S401 단계에서 기지국(400)은 PTRS CC group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고, S402 단계에서 기지국(400)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PTRS CC group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사용자 단말기(4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400)은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서는 기지국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PTRS CC group 표시 정보란,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0)이 10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CA를 지원하고,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C1 내지 C8, 또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내지 제8 컴포넌트 캐리어로 지칭될 수 있다) 중 C1 내지 C4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PTRS CC group 표시 정보란, C1 내지 C4에 대한 정보, 즉, C1 내지 C4에 대하여 기지국 측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함을 나타내는(indicate)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는 수신된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410)의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RS CC group에 포함된 C1 내지 C4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410)는 동일한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내지 제4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4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410)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single CC)를 사용하여 PTRS를 송신해 줄 것을 기지국(400)에 요청할 수 있다.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대표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랜덤하게 결정되거나, 기지국(400)과 사용자 단말기(410) 사이에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PTRS CC group에 1개의 primary cell이 포함된 경우, primary cell을 사용하여 PTRS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410)가 PTRS를 전송 받고자 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예를 들어,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feedback)하여,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PTRS를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402 내지 S404 단계에서 기지국(400)과 사용자 단말기(410) 사이에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한 PTRS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면, S405 단계에서, 기지국(400)은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PTRS를 송신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PTRS를 기초로 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 잡음을 추정(estimation)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는 추정된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른바, 위상 잡음 보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의 위상 잡음을 보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TRS CC group에 포함되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PTRS를 수신하면,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PTRS를 수신할 필요 없이(즉, PTRS를 중복 전송할 필요 없이) PTRS CC group에 포함되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위상 잡음을 추정 및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기지국(400)의 위상 잡음 특성과 사용자 단말기(4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데에서 기인한다.
현재 5G NR 표준의 PTRS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르면,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가 전송되고, PTRS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무선 자원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 마다 PTRS를 중복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한 PTRS 전송을 회피함에 따라 PTRS 송수신에 할당되어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a는 PTRS 전송을 위한 PTRS 자원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MCS에 따른 PTRS의 시간 밀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5c는 MCS에 따른 PTRS의 주파수 밀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a는 PTRS의 패턴의 일 예를 수신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채널 값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인 SCH DMRS의 패턴의 일 예와 함께 나타낸다. 도 5a 및 5G NR 표준을 참고하면, PTRS는 데이터가 수신하는 경우에 함께 전송되는 신호이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인 DMRS와 동일 서브캐리어 위치에 맵핑(mapping)된다.
PTRS 패턴의 경우, 5G NR(new radio) 표준에서 정의하는 PTRS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의 일 예로서, 시간 도메인으로는 매 2개의 심볼(symbol)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는 매 2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마다 하나의 PTRS 자원이 맵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리소스 그리드(Resource Grid)(500)이다.
5G NR 표준에 따르면, 국부 발진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시간 도메인으로는 매 1개, 2개 또는 4개의 심볼(symbol)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는 매 2개 또는 4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마다 PTRS가 전송될 수 있는 PTRS 자원 할당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몇 개의 심볼 마다 PTRS 자원이 할당되는지에 따라 PTRS의 time density가 결정될 수 있고, 몇 개의 PRB마다 PTRS 자원이 할당되는지에 따라 PTRS의 frequency density가 결정될 수 있다.
PRB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위 주파수-시간 자원을 의미하며, 특히 5G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합의된 대역폭인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시작점에서부터의 리소스 블록 번호(예를 들어, PRB #n, PRB #(n+1))으로 정의할 수 있다. 1개의 PRB는 주파수-시간 영역에서 연속하는 복수 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502)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RE(502)는 하나의 심볼(symbol) 및 하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로 이루어진 물리적인 자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스케쥴 된(scheduled) MCS 인덱스에 따라 PTRS가 몇 개의 심볼 마다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며, 5G NR 표준(TS 38.214)에 정의되어 있다. MCS(modulation coding scheme)는 공간 스트림, 변조 방식, 부호화율(coding rate) 등을 조합한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MCS 번호(index)에 따라 전송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는 MCS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지국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때 매 슬롯(slot)마다
Figure pat00002
를 전송할 수 있다. PTRS-MCS1 내지 PTRS-MCS4는 MCS 인덱스 테이블 1이 사용되는 경우 MCS 인덱스 숫자 0에서부터 29까지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MCS 인덱스 숫자의 범위는 어떤 MCS 인덱스 테이블을 사용하는 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PTRS-MCS1 내지 PTRS-MCS4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는 PTRS의 시간 밀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하나의 PTRS 심볼과 다음 PTRS 심볼의 간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MCS 6에 해당하는
Figure pat00004
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에게 할당된 MCS 인덱스인 MCS 6이 PTRS-MCS2 값보다 크고 PTRS-MCS3 값보다 작은 경우,
Figure pat00005
는 2가 되어 매 2개의 심볼 마다 하나의 PTRS 자원이 맵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스케쥴된(scheduled) 대역폭에 따라 PTRS가 몇 개의 리소스 블록(또는, PRB)마다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며, 5G NR 표준(TS 38.214)에 정의되어 있다.
Figure pat00006
는 리소스 블록의 개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지국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때 실제로 할당한 PRB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또는
Figure pat00008
는 기지국이 설정한 정해진 리소스 블록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는 PTRS의 주파수 밀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하나의 PTRS 서브 캐리어와 다음 PTRS 서브 캐리어의 간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기지국이 할당한 PRB의 개수(
Figure pat00010
)가
Figure pat00011
개 이하인 경우 PTRS 전송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PT-RS is not present). 또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기지국이 할당한 PRB의 개수(
Figure pat00012
)가
Figure pat00013
이상인 경우,
Figure pat00014
는 4가 되어 매 4개의 PRB 마다 하나의 PTRS 자원이 맵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Figure pat00015
이상의 충분히 많은 무선 자원을 할당한 경우에는, 비교적 PTRS 주파수 밀도가 낮아도(즉,
Figure pat00016
가 4), 충분히 많은 PTRS가 전송될 수 있다.
5G NR 표준에 따르면, 운반파 묶음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PTRS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가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의 입장에서는, 기지국이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지에 따라 각 컴포넌트 캐리어가 경험하는 위상 잡음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각 컴포넌트 캐리어가 경험하는 위상 잡음이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현재 5G NR 표준에서 정의된 바에 따르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가 전송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는 기지국의 위상 잡음 특성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기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트래킹(tracking)해야 한다. 이 경우,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PTRS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할당되어야 하는데, PTRS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무선 자원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일 예로, PTRS 1-포트(port)가 시간 도메인으로는 매 1개의 심볼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는 매 2개의 PRB마다 전송되는 경우, 전체의 무선 자원들 중 PTRS 전송에 소요되는 무선 자원은 약 3.5%에 해당하게 된다. PTRS 1-포트(port)동일한 구성(configuration)으로 PTRS 2-포트(port)가 시간 도메인으로는 매 1개의 심볼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는 매 2개의 PRB마다 전송되는 경우, 전체의 무선 자원들 중 PTRS 전송에 소요되는 무선 자원은 약 7%에 해당하게 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만 사용하여 PTRS를 전송한다면, PTRS 송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은 증가시킬 수 있어,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기지국(600)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610)로 송신하고자 할 때, PTRS CC group 내의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6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기지국(600) 및 사용자 단말기(610)의 PTRS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기지국(600)은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된 PTRS CC group을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600)은 동일한 RF 소자(예를 들어,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유사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하나의 PTRS CC group으로 정의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명세서 전반에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여러 통신 환경에 따른 구현 예에 따라,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위상 잡음 특성이 유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S601 단계에서, 기지국(600)은 PTRS CC group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고, S602 단계에서, 기지국(600)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PTRS CC group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사용자 단말기(6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600)은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서는 기지국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PTRS CC group 표시 정보란,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600)이 10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CA를 지원하고,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C1 내지 C8, 또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내지 제8 컴포넌트 캐리어로 지칭될 수 있다) 중 C1 내지 C4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동일한 RF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PTRS CC group 표시 정보란, C1 내지 C4에 대한 정보, 일 예로, C1 내지 C4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다는 정보 또는 C1 내지 C4에 대하여 기지국 측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함을 나타내는(indicate)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610)는 수신된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610)의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RS CC group에 포함된 C1 내지 C4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610)는 동일한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내지 제4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610)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610)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 (multi CC)을 사용하여 각각 PTRS들을 송신해 줄 것을 기지국(600)에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602 내지 S604 단계에서 기지국(600)과 사용자 단말기(610) 사이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면, S605 단계에서, 기지국(600)은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multi CC)(일 예로, PTRS CC group이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내지 제N 컴포넌트 캐리어)을 사용하여 PTRS들(multi PTRS)(일 예로, 제1 PTRS 내지 제N PTRS)을 송신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10)는 수신된 PTRS들(일 예로, 제1 PTRS 내지 제N PTRS)을 기초로 하여,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multi CC) 신호들(일 예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내지 제N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각각의 위상 잡음(일 예로, 제1 위상 잡음 내지 제N 위상 잡음)을 추정(estimation)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610)는 추정된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른바, 위상 잡음 보상 정보)(일 예로, 제1 보상 정보 내지 제N 보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610)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일 예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내지 제N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각각의 위상 잡음(일 예로, 제1 위상 잡음 내지 제N 위상 잡음)을 보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TRS CC group 내의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6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를 전송하고, 각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별로 독립적으로 위상 잡음을 측정하고 보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자 할 때,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 측의 위성 잡음 특성 동일 여부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의 PTRS 수신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S7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PTRS CC group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TRS CC group 정보는, 일 예로, 100MHz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인접한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CA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내지 제4 컴포넌트 캐리어가 하나의 PTRS CC group에 해당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PTRS CC group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내지 제4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에 대한 테스트를 시행하여 미리 결정된 테이블(table)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S7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Yes)고 판단한 경우, S704a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single CC)를 사용하여 PTRS를 송신해 줄 것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S705a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S706a, S707a, S708 단계는 도 4의 S406 내지 S408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Yes)고 판단한 경우라면,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만 PTRS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도 사용자 단말기(410)는 시간 동기화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 잡음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No)고 판단한 경우, 704b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 각각을 사용하여 PTRS를 각각 송신해 줄 것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S705b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PTRS들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S706b, S707b, S708 단계는 도 4의 S406 내지 S408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810, 910)가 PTRS 전송을 기지국(800, 900)으로 요청하는 피드백 없이,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수신된 모든 PTRS들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기지국(800, 900) 및 사용자 단말기(810, 910)의 PTRS 전송 시나리오들을 나타낸다. 도 8은 이른 바 협동하는 위상 잡음 보상(Cooperative phase noise compensation), 도 9는 컴포넌트 캐리어 별 위상 잡음 보상(Per component carrier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해 PTRS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S801 단계 및 S901 단계에서, 기지국(800, 900)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PTRS CC group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사용자 단말기(810, 9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의 실시 예들과는 달리,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810)의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컴포넌트 캐리어(single CC) 또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multi CC)을 사용하여 PTRS를 송신해줄 것을 기지국(800)에게 요청하는 과정(이른바, 기지국(800)과 사용자 단말기(810)간의 핸드쉐이킹(handshaking) 과정)이 생략된다. 이는, 일 예로, 기지국(800)과 사용자 단말기(810) 사이의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하여 핸드쉐이킹 과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이거나, 미리 기지국(800)과 사용자 단말기(810) 사이에 상술한 핸드쉐이킹 과정을 진행하지 않기로 정해놓은 상황일 수 있다.
S802 단계 및 S902 단계에서, PTRS CC group에 포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multi CC)을 사용하여 PTRS들(multi PTRS)을 송신할 수 있다.
S803 단계 및 S9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810, 910)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810, 910)의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810)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8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810)는 협동하는 위상 잡음 보상(Cooperative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5G NR(new radio) 표준에 따르면,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각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독립적으로 PTRS가 전송될 수 있고, 각 PTRS는 해당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협동하는 위상 잡음 보상(Cooperative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하게 되면,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전송된 PTRS를 함께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측정 및 보상할 수 있으므로, 위상 잡음을 보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observation의 수가 증가할 수 있고, 위상 잡음 측정 및 보상의 정확도 또는 성능이 더 좋아질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910)가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910)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910)는 컴포넌트 캐리어 별 위상 잡음 보상(Per component carrier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PTRS 전송을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피드백 없이,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수신된 모든 PTRS들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S10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PTRS CC group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등 PTRS CC group이 설정되어, PTRS CC group을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S10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 수신기의 RF 소자에 의한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S10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협동하는 위상 잡음 보상(Cooperative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S10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PTRS CC group과 관련된 어떤 정보도 수신하지 않아 PTRS CC group이 설정되지 않고 PTRS CC group이 사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S1003 단계에서 PTRS CC group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S1005 단계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별 위상 잡음 보상(Per component carrier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에 따른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PTRS 전송을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피드백 없이,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수신된 모든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1a는 사용자 단말기가 협동하는 위상 잡음 보상(Cooperative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S1102a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통해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S1104a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함께 사용하여, 하나의 공통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S1106a 단계에서, 추정된 공통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공통 보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1108a 단계에서, 상기 공통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PTRS CC group에 포함되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에 대하여 위상 잡음을 보상할 수 있다.
제1 PTRS를 이용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의 위상 잡음을 추정 및 보상하고, 제 2 PTRS를 이용하여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의 위상 잡음을 추정 및 보상하는 등의 독립적인 방법으로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경우와는 달리, 임의의 신호의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된 PTRS도 함께 사용하므로 위상 잡음 보상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b는 사용자 단말기가 컴포넌트 캐리어 별 위상 잡음 보상(Per component carrier phase noise compensation)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S1102b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PTRS CC group에 포함된 모든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통해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S1104b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함께 사용하여, 각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 내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에 대한 제1 위상 잡음 내지 제N 위상 잡음을 각각 추정할 수 있다.
S1106b 단계에서, 추정된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제1 보상 정보 내지 제N 보상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S1108b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상 정보 내지 제N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PTRS CC group에 포함되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에 대하여 위상 잡음을 보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200)는 모뎀(MODEM)(미도시) 및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1260)를 포함할 수 있고, 모뎀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121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1230), 메모리(1250), 메인 프로세서(1270) 및 메인 메모리(1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12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RFIC(1260)은 안테나(Ant)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FIC(1260)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상술한 수신 회로들, 또는 도 3a 내지 도 3b에서 상술한 송수신기(Tran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RFIC(1260)는 모뎀과 복수의 운반파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RFIC(1060)는 하나의 안테나(Ant)를 통해 운반파 묶음(CA)을 이용한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신호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RFIC(1260)는 PTRS 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PTRS CC group에 포함된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PTRS를 수신할 수 있다.
ASIP(123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250)는 ASIP(123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123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25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103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7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70)는 ASIC(1210) 및 ASIP(12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2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1290)는 메인 프로세서(127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127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메모리(129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메인 프로세서(127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PT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RS CC 그룹은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기지국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PTRS CC 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각각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각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 동일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PTRS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추정된 상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상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에 기초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기반한 신호들의 제1 위상 잡음 내지 제N 위상 잡음을 각각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상 잡음 내지 상기 제N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 정보 내지 제N 보상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상 정보 내지 상기 제N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기반한 신호들의 상기 제1 위상 잡음 내지 상기 제N 위상 잡음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의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TRS CC 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된 상기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에 기초하여, 협동하는(cooperative)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상기 기지국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각각 마다 동일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하는(cooperative)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에 기초하여, 공통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공통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공통 보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상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보상 정보는 상기 PTRS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의 시간 밀도(time density), 주파수 밀도(frequency density), 시간 축 상의 위치, 또는 주파수 축 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component carrier(CC) group)에 대한 표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상 잡음(phase noise)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PTR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TRS CC 그룹은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상기 기지국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PTRS CC 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각각 제1 PTRS 내지 제N PTRS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위상 잡음 특성이 동일한지 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각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 동일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상기 PTRS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상기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추정된 상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기반한 신호의 상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상기 제1 PTRS 내지 상기 제N PTRS에 기초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기반한 신호들의 제1 위상 잡음 내지 제N 위상 잡음을 각각 추정하고, 상기 제1 위상 잡음 내지 상기 제N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 정보 내지 제N 보상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제1 보상 정보 내지 상기 제N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기반한 신호들의 상기 제1 위상 잡음 내지 상기 제N 위상 잡음을 보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상기 PTRS CC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 랜덤하게 결정된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210054633A 2021-04-27 2021-04-27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47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33A KR20220147449A (ko) 2021-04-27 2021-04-27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22168982.1A EP4084389B1 (en) 2021-04-27 2022-04-2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N202210418714.9A CN115250534A (zh) 2021-04-27 2022-04-20 支持载波聚合的无线通信设备和操作方法
EP23184680.9A EP4231580A3 (en) 2021-04-27 2022-04-2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17/660,067 US20220345345A1 (en) 2021-04-27 2022-04-21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TW111115933A TW202249455A (zh) 2021-04-27 2022-04-27 支持載波聚合的操作方法以及使用者終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33A KR20220147449A (ko) 2021-04-27 2021-04-27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49A true KR20220147449A (ko) 2022-11-03

Family

ID=8134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33A KR20220147449A (ko) 2021-04-27 2021-04-27 운반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5345A1 (ko)
EP (2) EP4084389B1 (ko)
KR (1) KR20220147449A (ko)
CN (1) CN115250534A (ko)
TW (1) TW2022494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5049B2 (en) * 2021-08-18 2024-02-06 Qualcomm Incorporated Phase noise (PN) mitigation pilot allocation on a single component carrier (CC) for PN mitigation on multiple CC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237B (zh) 2017-06-12 2022-10-0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机、接收机、发送方法及接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4389A2 (en) 2022-11-02
CN115250534A (zh) 2022-10-28
EP4084389A3 (en) 2023-02-08
US20220345345A1 (en) 2022-10-27
EP4084389B1 (en) 2024-03-27
EP4231580A2 (en) 2023-08-23
EP4231580A3 (en) 2023-11-15
TW202249455A (zh)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0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iscovery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discovery signal
US10609702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932843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US8817818B2 (en) Backward compatible bandwidth extension
CN110291753B (zh) 在支持窄带物联网的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和基站之间的信号发送/接收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CN110663237B (zh) 发送机、接收机、发送方法及接收方法
KR1017900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용 기준 신호를 위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484852B2 (en) Method and NB-IoT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physical channel on TDD special subframe
CN10932843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US20100027492A1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EP3410771A2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2735112B1 (en) Sequence derivation for reference signal patterns
EP2829101A1 (en) Cycl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new carrier type with backward compatible segment
KR101560027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주파수 리소스 할당 방법, 송신 신호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EP4084389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KR20190127911A (ko)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JP7400794B2 (ja) 無線通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非一時的記録媒体、及びシステム
WO2011052192A1 (ja)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系列番号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