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211A -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 Google Patents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211A
KR20220147211A KR1020210054037A KR20210054037A KR20220147211A KR 20220147211 A KR20220147211 A KR 20220147211A KR 1020210054037 A KR1020210054037 A KR 1020210054037A KR 20210054037 A KR20210054037 A KR 20210054037A KR 20220147211 A KR20220147211 A KR 2022014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abnormality
data
water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4085B1 (en
Inventor
정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인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8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toilet management method. The temporary toilet management method comprises: a first quantity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quantity of water used in a first toilet; and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rst toilet based on the measured quantity. Therefore, the temporary toilet management method can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such as water leakage, a clogged pipe, or the like has occurred by installing a water quantity sensor in a temporary toilet installed outdoors.

Description

간이화장실 관리방법{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본 발명은 사용되는 수량의 측정을 통하여 공중화장실의 누수, 배관막힘 등의 이상상태를 간단하게 모니터링 하기 위한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or simply monitoring abnormal conditions such as leaks and pipe clogging of public toilets by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을 하고, 이에 따라 위생, 안전, 친환경 등의 문제가 항상 동반된다. In general, public toilets are used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and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hygiene, safety, and environment are always accompanied.

특히 공중화장실 중 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에 위치하는 간이 화장실의 경우 1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자가 깨끗하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 비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배관 막힘 등의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imple toilets located in parks, walking trails, and hiking trails among public toilets, most of them are used by one person. there are man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henomena such as clogging of pipes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occur compared to public toilets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at the same time.

그러나 배관막힘 또는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넓은 지역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가 되어 있어, 일반적인 공중화장실에 비하여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관리가 어렵거나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problems such as clogging of pipes or water leakage occur, they ar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large area,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periodically manage or cost a lot of money compared to general public toile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50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685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장실의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의 이상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or monitoring abnormal conditions such as leaks or clogging of the toilet by using measured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public toil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판단단계를 포함한다.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first quantity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ilet is abnormal based on the measured quantity includes steps.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water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includes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the quantity used in the urinal, and the quantity used in the sink, and the abnormality determining step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the urinal and the wash basin. If it is us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leak.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includes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the quantity used in the urinal, and the quantity used in the sink, and the abnormality determining step is a time when the quantity is set in at least one of the toilet, the urinal and the sink. If no abnormal input is made, it can be judged as abnormal.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단계 및 제2수량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수량을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를 검증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second quant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and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the result determine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through the quantity measured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ing step.

상기 제1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1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step includes a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and a first use count determinat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by the user based on the quantity data measured in the first quantity measuring process an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by comparing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first toilet secured during the set period with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during the period for which the abnormality is to be determined, the error beyond the set range If this occurs, it can be judged as abnormal.

상기 제2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2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에서는 상기 제2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 오차와 상기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includes a second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and a second use count determination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a user uses based on the quantity data measured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ing process. process, wherein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compares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second toilet secured during the set period with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during the period for which the abnormality is to be determined, and the abnormality is determined In the step,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error of the data for the first toilet with the error of the data for the first toilet.

상기 간이화장실의 냄새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odor sensor for measuring the smell of the simple toilet, and may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data of the odor sensor.

상기 출입감지센서의 입력을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input of the access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야외에 설치되는 간이화장실에 수량센서의 설치를 통하여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 이상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bnormalities such as water leakage or clogging of pipe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water quantity sensor in a simple toilet installed outdoors.

둘째, 간이화장실 또는 다수의 간이화장실에서 측정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일정기간 취합을 하고, 이를 통하여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 이상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ata on the quantity measured in a simple toilet or multiple toilets is coll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verify abnormalities such as leakage or clogging of pipes.

셋째, 간이화장실 관리에 있어서 직접 설치 장소에 방문을 하지 않고도 넓은 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는 다수의 간이화장실 중 이상이 있는 화장실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onitor a toilet with an abnormality among a number of simple toilets distributed in a large area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installation site in the management of the simple toilet.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다수의 간이화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간이화장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imple toilets are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n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simple toilet in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toilet in the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Figure 4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urinal in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washbasin is input in the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suggest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다수의 간이화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간이화장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imple toilets are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n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도1 내지 도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간이화장실(1)은 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 넓은 지역에 소수의 인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가 되게 된다. 1 to 2, the simple toilet 1 to which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rranged so that a small number of people can use it in a wide area such as a park, a walking trail, a hiking trail.

간이화장실(1)의 내부에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가 구비된다.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는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량센서(6)가 각각 구비된다. A toilet 3, a urinal 4, and a washbasin 5 are provided inside the simple toilet 1 . The toilet 3, the urinal 4, and the washbasin 5 are each provided with a water quantity sensor 6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water used.

간이화장실 내부에는 악취를 측정하기 위한 악취센서(7)가 설치될 수 있고, 악취센서(7)는 일반적으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소변기 및 배수구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n odor sensor 7 for measuring bad od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imple toilet, and the odor sensor 7 is preferably installed near a urinal and a drain where a lot of odor is generated in general.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서의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 및 화장실 내부의 악취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data on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toilet 3 , the urinal 4 , and the washbasin 5 and data on the odor inside the toilet.

한편, 수량센서(6) 및 악취센서(7)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지속적으로 취합이 되고, 처리가 되어 저장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처리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간이화장실(1)에서의 측정된 결과는 관리를 위한 서버로 전송이 될 것이고, 이를 위한 통신방법 역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data measured by the quantity sensor 6 and the odor sensor 7 will be continuously collected, processed, and stored as described below. As a treatment method for this,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used. And the measured result in each simple toilet (1) will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for management, the communication method for this will also be used a known method.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is input in the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urinal in the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bathroom is input, and FIG. 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washbasin is input in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그리고 양변기(3), 소변기(4) 및 세면대(5)에서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는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측정이 되고, 이를 개략적으로 그래프로 표현을 하는 경우 도3 내지 도5와 같다. In addition, the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3, the urinal 4, and the washbasin 5 are continuously meas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schematically expressed as a graph, as shown in FIGS. 3 to 5 .

즉, 양변기(3) 및 소변기(4)의 경우 사용자에 출수를 하는 경우에 수량데이터가 입력이 되고,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특정기간(일, 주, 월 등) 동안 출수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toilet 3 and the urinal 4, the quantity data is input to the user when water is drawn out, and as can be seen in the graph, the data on the water out for a specific period (day, week, month, etc.) it is possible to obtain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하루 기준의 양변기의 출수량을 통하여 하루 중 어떤 시간에 사용이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양변기 출수를 위한 조작을 몇 번 하는지에 따라 출수량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at what time of day the toilet was used through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toilet on a daily basis. Here,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for flushing the toilet.

양변기(3)의 시간별 출수량을 통하여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양변기의 사용에 있어서 출수버튼 1회 이상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특정 시간의 범위 내의 출수가 복수 회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한 번 사용을 한 것으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hourly discharge amount of the toilet 3,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toilet.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user, it may occur that the water dispense button is pressed more than once when using the toilet. In this case, even if there is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within a specific time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used it once.

예를 들어 도3의 시간별 출수량 그래프에서 설정된 시간(t1)의 범위 내에서 복수 회의 출수가 있더라도 이는 1명의 사용자가 1회 사용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 상의 a1의 경우 3회의 출수가 있었고, a2의 경우 1회의 출수가 있었고, a3의 경우 2회의 출수가 있었지만, 모두 설정된 시간(t1) 내에서의 출수이므로 이는 1회 사용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b1의 경우 3회의 출수가 있었지만, 이는 설정된 범위 내의 2회와 범위 밖의 1회의 출수이므로 이는 2회의 사용으로 판단을 한다. For example, even if there are multiple water discharges within the range of time t1 set in the hourly water extraction graph of FIG. 3 , it is determined that one user has used the water once. Specifically, in the drawing, in the case of a1, there were 3 exits, in the case of a2, there were 1 exits, and in the case of a3, there were 2 exits. And in the case of b1, there were 3 launches, but since this is 2 within the set range and 1 out of the range, it is judged as using 2 times.

소변기(3)의 출수량을 통하여 상기 양변기(2)와 유사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즉 특징기간(일, 주, 월 등) 동안 출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된 시간(t2) 내의 복수의 출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하여 사용자의 1회의 사용으로 판단한다(c1, c2). 그러나 설정된 시간 외에 복수의 출수가 있는 경우에는 2회의 사용으로 판단한다(d1). Information similar to that of the toilet 2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urinal 3 . That is, if there is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s within a set time t2 as well as information on water discharge during a characteristic period (day, week, month, etc.), it is determined as one use by the user (c1, c2). However, if there is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outside of the set time, it is judged to be used twice (d1).

한편,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사용시간이 소변기의 사용시간보다 길고, 사용빈도는 잦기 때문에 사용횟수 판단의 정확성을 위하여 t1은 t2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since the use time of the toilet is longer than that of the urinal and the frequency of use is frequent, it is preferable to set t1 to a longer time than t2 for accuracy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uses.

도5를 참조하면, 세면대(4)의 경우 양변기(2) 및 소변기(3)과 다르게 사용자가 사용을 하는 목적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출수되는 시간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양변기 및 소변기의 경우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를 위한 목적인 반면, 세면기의 경우 세척 이외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출수되는 물의 양 또한 양변기 및 소변기와 같이 설정된 수량에 출수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case of the washbasin 4 , different from the toilet 2 and the urinal 3 , the purposes for which the user uses it are various, and accordingly, the time for draining water is generally different. That is, in the case of a toilet and urinal, the purpose is for the treatment of urine or feces, whereas the washbasin may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washing. Also, the amount of water to be dispensed is not the set amount like the toilet and urinal, but the amount of water dispens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따라서 도5의 시간별 출수량에 대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출수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별 출수량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과정에서 출수량이 변화할 수 있고(e1, e3),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사용을 하는 경우가 발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as can be seen in the graph of the water discharge amount by time of FIG. 5 , the water discharge amount may have a devi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mount of water per minut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may change during the course of use (e1, e3), an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water is continuously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수량측정단계(S10), 이상여부판단단계(S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step (S10) and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0).

제1수량측정단계(S10)에서는 제1화장실(1)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한다.In the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step (S10),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1 is measured.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서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ata on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toilet 2 , the urinal 3 , and the sink 4 .

즉 제1수량데이터측정단계(S10)에서는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 설치된 수량센서(5)를 통하여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력 받는다. That is, in the first water quantity data measurement step (S10), it is used in the toilet 2, the urinal 3, and the sink 4 through the water sensor 5 installed in the toilet 2, urinal 3, and sink 4 Information on the quantity to be made is continuously input.

이에 따라 제1수량데이터측정단계(S10)를 통하여 상기 설명한 도3 내지 도5의 사용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확보된다. Accordingly, through the first quantity data measurement step (S10), data on the quantity used in FIGS. 3 to 5 described above is secured.

이상여부판단단계(S20)는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1)의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한다.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 S20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oilet 1 is abnormal based on the measured quantit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에서 사용되는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of the water used in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is used for more than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leak.

구체적으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수량에 대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수량에 대한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표시가 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물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데이터가 출력이 되는 경우 이상여부판단단계(S20)에서는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관리자에 다양한 방식으로 통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the graph for the quantity shown in FIGS. 3 to 5,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2, the urinal 3, and the washbasin 4, the data on the quantity is displayed intermittently. do. Therefore, when data is output indicating that water is being used for more than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leak in the abnormal determination step (S20), and the administrator may be notified in various ways.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없는 야간시간대에 소량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개별로 판단을 할 수 있어 제1화장실에서 누수가 발생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누수의 포인트가 어딘지 판단하여 조기에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mall amount of water flowing in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individually during the night time when there is no user or manag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early.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수량측정단계(S110), 이상여부판단단계(S120), 제2수량측정단계(S130) 및 이상여부확인단계(S140)을 포함한다.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quantity measuring step (S110),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age (S120), a second quantity measuring stage (S130), and an abnormality checking stage (S140).

제1수량측정단계(S11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first quantity measuring step (S1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한다.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 S120 ), when the quantity is not input to the toilet 3 , the urinal 4 , and the washbasin 5 for more than the set time,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ity.

간이화장실의 경우 일반적인 공중화장실과 달리 1~2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공중화장실보다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In the case of simple toilets, unlike general public toilets, most of them are used by one or two people, and since it is not easy to manage by an administrator than in a public toilet, if a phenomenon such as clogging occurs, users often do not use it. .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수량센서(6)를 통한 데이터가 입력이 되지 않는다.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oilet,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toilet 3, urinal 4, and washbasin 5, so data through the water sensor 6 is not input.

따라서 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어 24시간)으로 데이터가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data is not input for more than a set time (eg, 24 hours), it is determined that a phenomenon such as blockage has occurred.

한편, 수량센서(6)의 데이터에만 의존을 하여 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을 하기 때문에 이상이 없으나 실질적으로 사용을 하지 않아서 물의 소비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toilet because it depends only on the data of the water quantity sensor 6 to determine whether the toilet is abnormal, but there is no water consumption because it is not actually used.

이러한 경우를 차단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과정을 더 포함한다. In order to block such a cas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following abnormalities.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간이화장실(2)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한다.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it is verifi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through comparison with data measured in the adjacent simple toilet 2 .

제2수량측정단계(S30)는 제2화장실(2)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은 설치지역(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제2수량측정단계(S30)에서는 제1수량측정단계(S10)에서 측정대상이 되는 제1화장실(1)과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제2화장실(2)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한다.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S30) measures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2). It is common that a plurality of simple toi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area (parks, walking trails, hiking trails, etc.). And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ing step (S30),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2) installed at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first toilet (1) to be measured in the first quantity measuring step (S10) is measured.

제2수량측정단계(S130)에서는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판단한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위한 데이터의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S130), the purpose is to secure data for verification of the abnormality determine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12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누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다음 실제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that a leak occurs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120 , and then data is acquired to determine whether a leak actually occurs.

공원, 산책로의 특성상 운영상의 이유 또는 날씨 등의 이유로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가변적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이용객이 적은 경우에는 화장실의 사용량은 적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화장실의 사용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Due to the nature of parks and trails,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them for operational reasons or weather is generally variable. Therefore, when the overall number of users is small, the amount of use of the toilet is inevitably small, and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ctually an abnormality through the data on the use state of the adjacent toilet.

즉 이상여부검증단계(S140)에서는 제2수량측정단계(S130)에서 수량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제1화장실(1)의 물의 사용이 없는 것이 해당지역에 사용객이 없어서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화상질(1)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 관리자에 제1화장실(1)에 이상이 없다는 통지를 하게 된다. That is, in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S140), if the quantity is not input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S130), the absence of water in the first toilet 1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120) means that the user in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roblem,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first image quality (1). Therefore, in this case, the manager is notifi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first toilet (1).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다수의 화장실이 있는 경우 다른 화장실의 수량을 추가로 측정을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S140)를 반복하는 경우 다수의 화장실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oilets, the quantity of other toilets is additionally measured, and through this, when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S140) is repeated, more accurate data on the use state of the plurality of toilets is secured will be possible

도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수량측정단계(S210), 이상여부판단단계(S220), 제2수량측정단계(S230) 및 이상여부검증단계(S2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of this embodimen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quantity measurement step (S210),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S230), and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S240 is included.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수량을 통하여 간이화장실의 막힘 등의 이상 여부에 대하여 물의 사용이 있는지 없는지를 통하여 판단을 하고, 이상여부를 검증하는데 있어서 역시 인접하는 화장실의 물의 사용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판단을 하였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 of water in the adjacent toilet is also used in verify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water is used for abnormalities such as clogging of the simple toilet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Judgment was made based on whether or not there was.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양변기, 소변기의 경우 사용자의 사용 양태에 따라 1회의 사용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수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배관의 막힘 등과 같이 이상 여부가 직관적으로 사용자에 인지가 되지 않는 경우 수량의 사용은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는 상태일 가능성도 배제를 할 수 없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oilets and urinals, a difference in the amount used may occur even in one use depending on the user's usage mode. Furthermore, if an abnormality is not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such as a clogging of a pipe,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 is not actually using the quantity although the quantity is used cannot be exclud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량을 통하여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횟수를 판단을 하고, 사용횟수를 기준으로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의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and whether the toilet, urinal, and sink are abnorm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1수량측정단계(S210)는 제1수량측정과정(S211)과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quantity measuring step (S210) includes a first quantity measuring process (S211) and a first use count determining process (S212).

제1수량측정과정(S211)에서는 사용횟수를 판단하고자 하는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고, 이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 S211 ), the quantity used in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for which the frequency of use is to be determined is measured, which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에서는 제1수량측정과정(S211)에서 확보된 수량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를 판단한다. In the first use frequency determination process (S212), the number of times used by the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quantity data secured in the first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S211).

구체적으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설정된 시간(t1, t2)의 복수 회의 수량 데이터의 입력이 있더라도 이는 1회의 사용으로 판단을 하고, 사용횟수에 대한 기간별(시, 일, 주, 년 등) 사용 횟수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input of quantity data multiple times for the set time (t1, t2), it is judged as one use, and the number of uses per period (hour, day, week, year, etc.) data can be obtained.

이상여부판단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을 통하여 확보가 된 다양한 기간별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의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하게 된다.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the pattern set by comparing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for each period to be determined with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for each period to be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number of times of use determination process (S212) If it deviates from it, it is judged that there is something wrong.

제2수량측정단계(S230)은 제2수량측정과정(S231) 및 제2사용횟수측정과정(S232)을 포함하고, 이상여부판단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인접하는 제2화장실(2)의 수량 및 사용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S230) includes a second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S231) and a second use frequency measurement process (S232), and for verification of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result, the quantity and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imes of use.

그리고 이상여부검증단계(S240)에서는 제2화장실(2)에서 역시 상기 제1화장실(1)에 대한 이상여부판단단계(S220)와 유사하게 다양한 기간별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의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가 유사하게 벗어나는 경우 이는 양변기 및 소변기의 이상이 아닌 해당 지역의 운영조건 또는 날씨 등에 따른 이용 사용자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판단하고 이상이 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을 하게 된다. And in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S240), similar to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S220) for the first toilet 1 also in the second toilet 2,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by various periods and the period to be determined If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is similarly deviating,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n abnormality of the toilet and urinal, but a result of the difference of user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r weather in the area,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한편,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의 관리방법을 통하여 수량에 대한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가 다양한 기간별로 누적이 되는 경우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imple toilet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build a reliable database that can make a more accurate judgment when data on quantity and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r use are accumulated for various periods.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이상여부검증에 있어서 수량 또는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인접하는 화장실에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을 하였다. In the above embodiments, in the verification of abnormality, the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quantity or the number of times used by the user with the data in the adjacent toilet.

그러나 인접하는 제2화장실의 데이터의 경우 수량 및 사용횟수에 대한 추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하므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잘못된 검증이 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ata of the adjacent second toilet, there is a possibility of incorrect verification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as it verifi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estimated data on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us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센서(7)를 통하여 화장실의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하게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odor sensor 7 is used to verify whether the toilet is abnormal.

구체적으로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일정 기간 입력이 되지 않거나, 사용횟수가 없는 것으로 나오는 경우에 있어서,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게 된다.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quantity data is not input for a certain period or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not found, the ver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the odor sensor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즉, 배관의 막힘 등이 있는 경우 간이화장실의 특성상 악취가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 That is, if there is a clogging of a pip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bad odor is gener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toilet, and verification of abnormality i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the odor sensor.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채택한다. 따라서 수량에 대한 데이터 또는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출입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실제 간이 화장실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한다. In this embodiment, 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determining the user's entry and exit are employed. Therefore, when there is no input of data on the quantity or the number of times of u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actual simple toilet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access.

출입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 및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사용자의 출입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서 물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서 물이 사용되는 않는 경우라도 출입이 없는 경우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yp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or for determining entry and exit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user entry, but if water is not used in the toilet, urinal, or sink,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oilet and urinal. , even if water is not used in the washbasin, if there is no access, it will be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간이화장실 3: 양변기
4: 소변기 5: 세면대
6: 수량센서
1: Simple toilet 3: Toilet
4: Urinal 5: Washbasin
6: Quantity sensor

Claims (8)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and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ilet is abnormal based on the measured quantity;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includes the quantity used for the toilet, the quantity used for the urinal, and the quantity used for the sink,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is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re is a leak when at least one of the water used in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is used for more than a se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includes the quantity used for the toilet, the quantity used for the urinal, and the quantity used for the sink,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bnormality is abnormal when the quantity of water is not input to at least one of the toilet, urinal, and washbasin for a set time or more.
제3항에 있어서,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단계; 및
제2수량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수량을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를 검증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
를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 second quant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and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the result determine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through the quantity measured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1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step includes a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first toilet and a first use count determinat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by the user based on the quantity data measured in the first quantity measuring process including the process,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secured during the set period of the first toilet is compared with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by the user during the period for which the abnormality is to be determined.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judged b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2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에서는 상기 제2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 오차와 상기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비교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quantity measurement step includes a second quantity measurement process of measuring the quantity used in the second toilet and a second use count determination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based on the quantity data measured in the second quantity measuring process including the process,
In the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secured during the set period of the second toilet is compared with the data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during the period for which an abnormality is to be determined, and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toilet A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or comparing the error of the data for the first toilet with the error of the data for the first toi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화장실의 냄새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dor sensor for measuring the smell of the simple toilet,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performing verification for abnormality based on the data of the odor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화장실의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감지센서의 입력을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ance of a person in the simple toilet,
The simple toilet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an abnormality verification step of performing verification for abnormality based on the input of the access detection sensor.
KR1020210054037A 2021-04-27 2021-04-27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KR102624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en) 2021-04-27 2021-04-27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en) 2021-04-27 2021-04-27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11A true KR20220147211A (en) 2022-11-03
KR102624085B1 KR102624085B1 (en) 2024-01-12

Family

ID=8404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en) 2021-04-27 2021-04-27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08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94A (en)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Toilet system
KR20150127426A (en) *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achine-to Machine 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1868508B1 (en) 2017-10-26 2018-06-19 주식회사 나래젠 Apparatus for managing public rest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529866A (en) * 2015-08-19 2018-10-11 サテリット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ntelligent temporary toilet that collects and communicates data
KR20200123125A (en) * 2018-02-20 2020-10-28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Toile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KR20210015870A (en) * 2018-05-31 2021-02-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Toilet maintenance auto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94A (en)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Toilet system
KR20150127426A (en) *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achine-to Machine 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apparatus
JP2018529866A (en) * 2015-08-19 2018-10-11 サテリット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ntelligent temporary toilet that collects and communicates data
KR101868508B1 (en) 2017-10-26 2018-06-19 주식회사 나래젠 Apparatus for managing public rest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23125A (en) * 2018-02-20 2020-10-28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Toile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KR20210015870A (en) * 2018-05-31 2021-02-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Toilet maintenance auto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085B1 (en)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213B2 (en) Connected sanitaryware systems and methods
CN112424431B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pipe fixture data and health data to user equipment for transmission over a network
Beal et al. A novel mixed method smart metering approach to reconciling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residential end use water consumption
US10508966B2 (en) Water flow analysis
Tabesh Implications of the pressure dependency of outflows of data management, mathematical modelling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DeOreo Analysis of water use in new single family homes
Mazzoni et al.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d uses of water: A worldwide review
US11821766B2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monitoring water consumption
Thackray et al. DISCUSSION. THE MALVERN AND MANSFIELD STUDIES OF DOMESTIC WATER USAGE.
KR101060058B1 (en) Basin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System
Guragai et al. Data logger-based measurement of household water consumption and micro-component analysis of an intermittent water supply system
Moglia et al. Investigation of pump and pump switch failures in rainwater harvesting systems
KR20220147211A (en) 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US11391615B2 (en) Fluid flow probe and analysis
KR100538445B1 (en) Total management/monitoring system for sewer and method thereof
KR20220142755A (en) Smart water-saving system and water-saving control method for recycling of used water
Kurz et al. A proposal for industry-wide standardization of I/I calculations
JP2023136215A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Piatyszek et al. Using typical daily flow patterns and dry-weather scenarios for screening flow rate measurements in sewers
JP2023136214A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JP2023135790A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KR20230021783A (en) Water meter with leaking detection and lcd display with leakage alarm signal and leaked date
Meyer Household water end-use identification in the presence of rudimentary data
FI3705855T3 (en) Method for determining liquid consumption of a plurality of liquid consumers
JPH0768716B2 (en) Drainage system clogging detection method in automatic water wash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