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002A -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 Google Patents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002A
KR20220147002A KR1020210134672A KR20210134672A KR20220147002A KR 20220147002 A KR20220147002 A KR 20220147002A KR 1020210134672 A KR1020210134672 A KR 1020210134672A KR 20210134672 A KR20210134672 A KR 20210134672A KR 20220147002 A KR20220147002 A KR 2022014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fety
road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혁중
최유승
윤상혁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윤성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윤성산업개발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002A/en
Publication of KR2022014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0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multipl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includes: a bottom member (110) including a body (112) elongated in a rod shape, a fastening part (114)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2), and through holes (116)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12); and a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ncluding a bottom plate (122)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114) of the bottom member (110) and constituting the bottom, an intermediate plate (124)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2) and located at an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to separate a first space part (A) formed in a vehicle road direction and a second space part (B) formed in a sidewalk direction, a left plate (125) and a right plate (126)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24)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rushing from the direction of the road, and an upper plate (128)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and forming a ro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the air of the city.

Description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본 발명은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와 인도의 경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시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고, 도로상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고, 도시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quipment for protecting pedestrians having a complex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at the interface between a road and a sidewalk to protect the safety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when the vehicle is operating, and to absorb harmful gases generated on the road. It relates to a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that can reduce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오늘날 교통문화의 발달은 인적 자원의 교류와 물적 자원의 이동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있다. 교통문화의 주류는 화석연료를 동력발생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는 버스, 트럭, 승용차,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을 포함한 자동차를 예시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culture today dramatically increases the exchange of human resources and the movement of material resources. The mainstream of transportation culture can be exemplified by automobiles, including buses, trucks, passenger cars, and sports utility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as the driving force for power generation.

자동차는 인적 물적 자원의 이동을 원활화시키는 유익함을 인류에게 선사하였지만,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자동차의 이동중에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는 오히려 도시환경을 해치고 있고, 시민들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다. 대기 중으로 배출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은 인체의 허파 꽈리 등의 호흡기의 가장 깊은 곳까지 침투하고, 다시 혈관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utomobiles have provided mankind with the benefits of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ut in return, fine dust and harmful gases emitted during the movement of automobiles are rather damag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are among the factors that deteriorate the health of citizens. make up one Fine dust and harmful gase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re known to be very dangerous because they penetrate to the deepest part of the respiratory tract, such as the alveoli of the human body, and then enter the blood vessels again.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들에서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중앙정부 차원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도로 수송 부문에 있어서는, 경유차의 미세먼지 배출 차량의 퇴출,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장착, 전기차 또는 수소차와 같은 친환경차의 개발 및 보급 활성화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차량의 이동이 심한 도시의 경우, 도로 수송부문의 버스, 트럭, SUV 경유차를 비롯한 도로이동오염이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In most cities today, policies to reduce fine dust and harmful gases are being pursued in various ways not only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but also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in the road transport sector, the removal of fine dust emitting vehicles from diesel vehicles, the installation of fine dust reduction devices, and activation of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or hydrogen vehicles are being realized. Among them, in the case of cities with heavy vehicle movement, road transport pollution, including buses, trucks, and SUVs, is the highest cause of air pollution in the road transport sector, and a solution is urgently requested.

한편, 도로의 차량이 인도로 돌진하여 도로 위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승객이나 도로 위를 걸어가는 행인을 덮쳐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현상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주의력이 약한 어린아이들의 경우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 종종 언론에 등장하고 있는 스쿨 존에서의 안전사고가 대표적인 사례로서 거론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phenomenon in which a vehicle on the road rushes to the sidewalk and hits a passenger waiting for a vehicle on the road or a passerby walking on the road often causes a safety accident. This phenomenon is especially severe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with weak attention. Recently, a safety accident in the school zone, which has often appeared in the media, is being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case.

도로 차량에 의한 시민들의 보호장치는, 주로 대중교통의 정차장 주변이나 학교 주변의 스쿠 존 영역에서 더욱 필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심의 정차장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주의력이 산만한 어린아이들의 스쿨 존 영역에서의 어린아이들의 보호 설비가 극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The protection of citizens by road vehicles can be said to be more necessary in the area of scu zones, mainly around public transport stops or schools. This is because, in the area centered on the city bus stop, the safety of citizen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nnot but be considered, and protection facilities for children in the school zone area for children who are distracted are extremely necessary.

그러나, 아쉽게도, 이와 같은 도심의 교통 안전설비에 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대응기술은 아직까지 미미한 것으로 여겨지고,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선행기술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Unfortunately, however, a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response technology for such urban traffic safety facilities is still considered insignificant, and it seems that there are few prior technologies developed for this purpose.

종래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를 예시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It is thought that the following cases can be illustrated as a prior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16641호 "식물의 식생이 용이한 친환경 중앙분리대"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116641 "Environment-friendly median zone for easy plant vegetation"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78376호 "식물 식생이 용이한 가드레일"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678376 "Guardrail for easy plant vegetation"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18059호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 온도 저감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8059 "Smart Planter System with Road Fine Dust and Ground 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시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고, 도로상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고, 도시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install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it can protect the safety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can absorb and reduce harmful gases generated on the roa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a complex function that can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이고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다기능 안전부재의 바닥판을 결합시키는 다수의 볼트들로 구성된 체결부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고 있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다기능 안전부재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와 인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공간부(B)를 구분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합되어 있고 도로 방향에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력을 받아 견뎌낼 수 있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중간판의 위쪽에 결합되어 있고 지붕을 형성하는 상면판을 포함하고 있는 다기능 안전부재;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long rod shape, and a plurality of structur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and coupling the bottom plate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a floor member comprising a fastening part composed of bolts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body and penetrating the concret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space portion (A)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loor member and is formed in the road direction by being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floor,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nd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A) ) and an intermediate plate dividing the second space (B) formed in the direction of delivery, the left and right plate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impact force of a vehicle rushing in the road direction, and the middle plate A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ate and including a top plate forming a ro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도로에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강도를 견뎌내는데 필요한 찬넬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찬넬는 전체적인 제품의 미관을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게 된다.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may further form a channel required to withstand the impact strength of a vehicle rushing on the road. The channel simultaneously exert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aesthetics of the overall product.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은 위쪽에서 그 폭이 좁고 그 아래쪽에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plate and the right plate ar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which is narrow at the upper side and wide at the lower 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는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의 외부에 삽입하여 결합되어지는 덮개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전체적인 외부의 형상에 미감을 부가해주고, 외부에서 돌진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The cover part adds a sense of aesthetics to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and makes it possible to handle the impact force applied from a vehicle rushing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시공방법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인 콘크리트 몸체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들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있는 바닥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body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 fastening pa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s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and both sides of the concrete body Manufacturing a floor member including a through hole formed in (S210) and;

상기 바닥부재의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합되어 있고 도로 방향에서 좌우측에 배열된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중간판의 위쪽에 지붕을 형성하는 상면판을 포함하고 있는 다기능 안전부재; 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a bottom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a middle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left and right plates coupled to the middle plate and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road direction ,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including an upper plate forming a roof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manufacturing a (S 220) and;

상기 바닥부재를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을 차도를 따라 파내고 그 자리에 상기 바닥부재를 위치하여 배치하고, 상기 관통구에 고정 파일을 상하방향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바닥부재를 경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 230)와; Digging the floor member along the roadway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positioning and arranging the floor member there, and inserting a fixing file into the through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floor member to the interface ( S 230) and;

상기 바닥부재의 체결부에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의 바닥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단계(S 240)와; a coupling step of firmly coupling the bottom plate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to the fastening part of the bottom member (S240);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의 중간판을 분리장벽으로 하여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에 대해서는 차량들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흡착제를 설치하는 반면에, 상기 제1 공간부(A)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공간부(B)에 대해서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물성 바구니를 설치하는 기능성 부여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An adsorbent for adsorbing and removing harmful gas or fine dust discharged from vehicles is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 formed in the road direction by using the middle plate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as a separation barrier, while the first For the second space portion (B)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portion (A) includes a functional imparting step (S250) of installing a vegetable basket for purifying air.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S 250)는 상기 제2 공간부(B)에 대하여 상기 식물성 바구니 대신에 도시 미관을 고려한 광고용 장식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The functional imparting step (S 250) may install a decorative member for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urban aesthetics instead of the vegetable basket for the second space (B).

본 발명은, 도로의 경계석 위에 설치함으로써,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들에서 내품어져 나오는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도시의 대기를 맑게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urify the air of the city because it is possible to remove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by installing it on the boundary stone of the road.

또한, 본 발명은 식생식물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식생식물을 통하여 도시의 길거리를 녹색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개선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in the atmosphere using vegetation plants, and changing and improving the city streets into a green environment through the vegetation plants.

또한, 본 발명은 일단 설치되어진 이후, 일정한 기간동안 자동적으로 유지되고 작동되어질 수 있으므로, 설치 이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maintained and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nage after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분리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결합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결합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흡착제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 관한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의 주요부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사다리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 관한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흡착제 모듈 및 사다리체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에 사다리체를 설치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자료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of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adsorbent module is installed in the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state in which a ladder body is installed in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dsorbent module and the ladder body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in the safety facility for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ic data showing an embodiment of installing a ladder body in the safety equipment for protecting pedestri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in detail. Specific numerical values or specific exampl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only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좌측이라 함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왼편 방향을 의미하는 반면에, 우측이라 함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오른편 방향을 의미하며, 상측이라 함은 기준이 되는 중간 영역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좌측과 우측 및 상측은 상대적인 방향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refers to the left direction viewed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while the right side refers to the right direction viewed from the observer's position, and the upper side refers to the intermediate region as a reference. means upward direc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left, right, and upper side mean a relative direction.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that can be easily cre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known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에 설치되어지는 경계석의 위치에 고정되는 바닥부재(110)와, 상기 바닥부재(110)와 결합되어 있고 도로 방향과 차도 방향으로 제1 공간부(A)와 제2 공간부(B)를 각각 분리하여 형성하고 있는 다기능 안전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The safety equipment 100 for protecting pedestrians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member 110 fixed to a position of a boundary stone installed on a boundary surface between a road and a sidewalk, and the floor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road. It includes a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that is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space portion (A)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B) in the direction and the road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바닥부재(110)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이고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석재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몸체(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12)는 그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어 막대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몸체(112)는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석재를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The floor member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includes a body 112 made of stone or concrete. The body 11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is form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rod. The body 112 may be formed by curing concrete, or may be formed by processing stone.

상기 바닥부재(110)는 상기 몸체(1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1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체결부(114)는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바닥판(122)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볼트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재(110)는 상면이 평평한 단면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상기 바닥판(122)을 다수의 볼트들로 나사결합시켜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The bottom member 1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2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114 . The fastening part 114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lts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bottom plate 122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 The bottom member 110 has a flat top surface and is detachably coupled by screwing the bottom plate 122 thereon with a plurality of bolts.

상기 바닥부재(110)는 상기 몸체(11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1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통구(116)는 상기 몸체(112)를 양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구(116)에는 파이프 형상이나 막대 형상 또는 H 형 빔과 같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막대(P)를 삽입시키고, 상기 고정막대(P)를 위에 내리 누르거나 내리쳐서 지중에 박아넣고 상기 바닥부재(110)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The bottom member 110 includes through holes 11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12 . The through hole 116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12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s. A fixing rod (P) formed long in a shape such as a pipe shape, a rod shape, or an H-beam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6), and the fixing rod (P) is pressed down or struck down to drive it into the ground and the bottom It is used for fixing the member 110 .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에 배치되어지는 바닥부재(110)의 위쪽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s us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member 110 disposed on the interface existing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바닥부재(110)의 체결부(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1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닥판(122)과 상기 체결부(114)의 결합관계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114 of the bottom member 110 and includes a bottom plate 122 constituting the flo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fastening part 114 is detachably formed by screw coupling.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바닥판(122)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간판(1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간판(124)은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있고, 차량들이 이동하는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와 행인들이 다니거나 대중교통을 기다리는 승객들이 서 있는 인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공간부(B)를 분리판재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중간판(124)이 상기 제1 공간부(A)와 상기 제2 공간부(B)로 각각 분리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들 공간부에 각각 다른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설비들을 각각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ncludes an intermediate plate 124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2 . The intermediate plate 124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and the first space portion (A)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where vehicles move and where passers-by or passengers waiting for public transportation stand The second space (B) formed in the direction of delivery is formed by dividing it with a separating plate material. Since the intermediate plate 124 is formed separately into the first space part (A) and the second space part (B), it is possible to install equipments each exhibiting different functions in those space parts, respectively. will be.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중간판(124)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판(12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중간판(124)을 대칭으로 하여 그 반대편에 우측판(1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좌측판(125) 또는 상기 우측판(126)은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운전자의 과실로 인하여 도로 방향에서 인도방향으로 돌진하게 되는 차량의 충격력을 받아 견뎌낼 수 있는 강철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ncludes a left plate 125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24 .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ncludes a right side plate 126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symmetrically. The left plate 125 or the right plate 126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that can withstand the impact force of a vehicle rushing from the road direction to the sidewalk due to the driver's negligence or driver's negligence. do.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중간판(124)의 위쪽에 결합되어 있고 지붕을 형성하는 상면판(128)을 포함하고 있다.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ncludes a top plate 128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and forming a roof.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도로 방향에서 인도 방향으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강도를 견뎌내거나 그 충격강도를 받아들이는데 필요한 찬넬(219)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찬넬(219)는 상기 좌우측판(125)(126)과 상기 상면판(128)의 전면에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전체적인 제품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B 참조)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may further form a channel 219 necessary to withstand the impact strength of a vehicle rushing from the road direction to the sidewalk direction or to accept the impact strength. The channel 219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25 and 126 and the upper plate 128, thereby simultaneously exhibiting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overall product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do. (See FIGS. 1 and 2B)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125) 및 상기 우측판(126)은 위쪽에서 그 폭이 좁고 그 아래쪽에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로 인도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부(B)의 위쪽 영역이 상기 상면판(128)에 의해 보호되는 부분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비오는 날에 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그 결과 상기 제2 공간부(B)에 설치된 식물 바구니를 빗물에 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참조.) In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the left side plate 125 and the right side plate 126 are preferably formed in an inclined shape which is narrow at the upper side and wide at the lower side. In this case,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space B, which is mainly present in the delivery direction, narrows the portion protected by the upper plate 128, so that it can receive rainwater on a rainy day, and as a result, th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nt basket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B) can be exposed to rainwater. (See Fig. 6.)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는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외부에 덮개부(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그 내부의 안전설비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를 설치할 경우,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전체적인 외부 형상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돌진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더욱 잘 감당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equipment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cover part (not shown) on the outside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to protect the safety equipment therein. When the cover part is installed, it not only protects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better handle the impact force applied from the vehicle rushing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은, 바닥부재(110)를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equipment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210) of manufacturing the floor member 110 .

상기 바닥부재의 제조 단계(S 210)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인 콘크리트 몸체(112)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들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14)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116)를 포함하고 있는 바닥부재(110)를 제조한다. The manufacturing step (S210) of the floor member includes a concrete body 11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 fastening part 114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s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112, and the concrete body The bottom member 110 including the through-holes 11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112 is manufactured.

상기 바닥부재(110)는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조할 수 있고, 석재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를 양생할 경우에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부어넣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몸체(112)를 형성할 수 있다. 석재를 가공할 경우에는 대략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길이방향으로 막대형상으로 가공하여 석재 몸체(112)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loor member 110 may be manufactured by curing concrete, or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stone.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concrete body 112 can be formed by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mortar into the mold using a formwork. When processing a stone, it has an approximate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processed into a ro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stone body 112 .

상기 바닥부재(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나사 못들을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의 내부에 설치한 다음 양생하거나, 상기 석재 몸체(112)의 상면 내부에 박아넣어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crew nails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body 1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member 110 and then cured, or may be formed by driv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ne body 112 .

또한, 상기 바닥부재(110)의 양쪽 방향에 또는 그 이외의 추가적인 부분에 관통구(116)를 형성한다. 상기 관통구(116)는 파이프 형상이나 막대 형상 또는 H 형 빔과 같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막대(P)를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닥부재(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진다. 콘크리트 양생의 경우에는 양생 이전에 관통구 형상을 미리 형성해두는 것이 좋고, 석재의 경우에는 별도로 관통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rough holes 116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of the bottom member 110 or in additional portions other than that. The through hole 116 is for inserting a fixed rod P having a long shape such as a pipe shape, a rod shape, or an H-beam shape, and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floor member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concrete curing, it is good to form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n advance before curing, and in the case of stone, the penetrat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은, 다기능 안전부재(120)를 제조하는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equipment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220) of manufacturing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제조 단계(S 220)는 상기 바닥부재(110)의 체결부(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바닥판(122)과, 상기 바닥판(122)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간판(124)과, 상기 중간판(124)에 결합되어 있고 도로 방향에서 좌우측에 배열된 좌측판(125) 및 우측판(126)과, 상기 중간판(124)의 위쪽에 지붕을 형성하는 상면판(128)을 포함하고 있는 다기능 안전부재(120)를 제조한다. The manufacturing step (S220)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ncludes a bottom plate 12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114 of the bottom member 110 an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122 . The intermediate plate 124 coupled to, the left plate 125 and the right plate 126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24 and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road direction, and a roof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ncluding the upper surface plate 128 to form is manufactured.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122)에 대해 중간판(124)을 수직으로 세워서 용접결합시키고, 상기 중간판(124)의 좌측에 좌측판(125)을 용접결합시키고, 상기 중간판(124)의 우측에 우측판(126)을 용접결합시킨 다음, 상기 중간판(124)의 위쪽에 상면판(128)을 용접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middle plate 124 is vertically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22 and welded, the left plate 125 is welded to the left side of the middle plate 124 ,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4 is formed by welding. After welding the right side plate 126 on the right side, it is preferable to weld the upper surface plate 128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를 완성하게 되면, 차량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와 인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공간부(B)를 포함하게 되고, 이들 각각의 공간부(A)(B)에는 각각의 독립된 장치 또는 설비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When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s completed in this way, it will include a first space portion (A) formed in the vehicle road direc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B) formed in the delivery direction, and each of these space portions ( In A)(B), a space for installing each independent device or facility is secured.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은, 상기 바닥부재(110)를 경계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equipment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230) of fixing the floor member 110 to the boundary surface.

이를 위하여,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을 차도를 따라 파내고, 그 자리에 상기 바닥부재(110)를 위치하여 배치한다. 상기 바닥부재(110)는 차도 또는 인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누워있는 모습을 취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is dug along the road, and the floor member 110 is positioned and disposed therein. The floor member 110 takes a shape ly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oad or sidewalk.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재(110)의 관통구(116)에 고정 파일(P)을 상하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위에서 상기 고정 파일(P)을 내리쳐서, 상기 바닥부재(110)를 경계면에 고정시킨다. 통상적으로 경계석에 대해서는, 별도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한 바닥부재(110)에 대해서는 상기 관통구(116)를 통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state, by inserting the fixed file P into the through hole 116 of the floor member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itting the fixed file P from above, the floor member 110 is fixed to the boundary surface. make it In general, for the boundary stone, a separate means for fixing to the ground is not provided, but for the floor memb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through hole 116 .

이는 상기 바닥부재(110)가 그 위에 결합되어지는 다기능 안전부재(120)와 결합되어 일체형을 이루게 되고, 외부에 차량이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에 충돌할 경우, 그 충격강도를 받아 상기 바닥부재(110)가 지면에서 뒤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when the floor member 110 is combined with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coupled thereon to form an integral body, and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from the outside, the floor member receives its impact strength. This is to prevent the member 110 from being twisted on the ground.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은, 상기 바닥부재(110)의 체결부(114)에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바닥판(122)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step of firmly coupling the bottom plate 122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to the fastening part 114 of the floor member 110 . (S 240) is included.

상기 바닥부재(110)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면, 상기 바닥부재(110)의 위쪽에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바닥판(122)을 살며시 내려가면서, 상기 체결부(114)의 나사못들이 상기 바닥판(122)에 각각 삽입되어지도록 조절한 다음, 상기 나사못들을 볼트너트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재(110)와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When the floor member 110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while gently lowering the bottom plate 122 of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above the floor member 110, the screw of the fastening part 114 is After adjusting so that they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bottom plate 122, the screws are bolted and nut coupled. Through this, the floor member 110 and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 공간부(A)와 상기 제2 공간부(B)에 각각의 기능성 부재들을 결합시키는 기능성 부여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facility 100 for pedestria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al imparting step (S250) of coupling each functional member to the first space part (A) and the second space part (B). contains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S 250)는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중간판(124)을 분리장벽으로 하여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에 대하여, 차량들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흡착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제는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구슬모양의 비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비즈들을 포함하고 있는 흡착모듈(M)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착제는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를 완성한 다음, 곧바로 상기 제1 공간부(A)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functional imparting step (S250)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pace portion (A) formed in the road direction by using the intermediate plate 124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as a separation barrier, harmful gas or fine gas discharged from vehicle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adsorbent for adsorbing and removing dust. The adsorbent may be composed of beads-shaped beads that adsorb harmful gas or fine dust, and may be composed of an adsorption module (M) including these beads. The adsorbent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S 250)는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중간판(124)을 분리장벽으로 하여 인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공간부(B)에 대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물성 바구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바구니는 그 내부에 공기 정화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들을 식재하여 성장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바구니는 상기 제2 공간부(B)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체(L)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바구니의 내부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은 공기정화에 유익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한 느낌을 주는 화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 참조) The functional imparting step (S 250) is to install a vegetable basket for purifying air in the second space (B) formed in the direction of delivery by using the intermediate plate 124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as a separation barrier. it is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 basket is grown by planting and growing plants that exert an excellent effect on air purification t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getable basket spans the ladder body (L) which is inclinedly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B). Plants planted in the interior of the vegetable baske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lowers that are beneficial for air purification while giving a beautiful appearance. (See Fig. 7)

또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S 250)는 상기 제2 공간부(B)에 대하여 상기 식물성 바구니 대신에, 도시 미관을 고려한 광고용 장식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고용 장식부재는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디지털 전자기기를 포함한 모니터로 구성되어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unctional imparting step (S 250), a decorative member for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urban aesthetics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B) instead of the vegetable basket. The decorative member for advertising may be installed in a fixed manner, and may be installed in a manner that provides a moving picture by being composed of a monitor including a digital electronic devic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을 가진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 및 그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e been specifically presented, but this is only embodi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items mentioned abo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at it applies only to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clear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not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 (본 발명)
110 : 바닥부재, 112 : 몸체,
114 : 체결부, 116 : 관통구,
120 : 다기능 안전부재, 122 : 바닥판,
124 : 중간판, 125 : 좌측판,
126 : 우측판, 128 : 상면판,
129 : 찬넬,
A : 제1 공간부, B : 제2 공간부,
L : 사다리체, M : 흡착제 모듈,
P : 고정 파일,
100: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the present invention)
110: floor member, 112: body,
114: fastening part, 116: through hole,
120: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2: bottom plate,
124: middle plate, 125: left plate,
126: right side plate, 128: top plate,
129: Chanel,
A: 1st space part, B: 2nd space part,
L: trapezoid, M: adsorbent module,
P: fixed file,

Claims (6)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이고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12)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바닥판(122)을 결합시키는 다수의 볼트들로 구성된 체결부(114)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몸체(11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116)를 포함하고 있는 바닥부재(110)와;
상기 바닥부재(110)의 체결부(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122)과, 상기 바닥판(122)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다기능 안전부재(120)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차량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공간부(A)와 인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공간부(B)를 구분하는 중간판(124)과, 상기 중간판(124)에 결합되어 있고 도로 방향에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력을 받아 견뎌낼 수 있는 좌측판(125) 및 우측판(126)과, 상기 중간판(124)의 위쪽에 결합되어 있고 지붕을 형성하는 상면판(128)을 포함하고 있는 다기능 안전부재(12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A plurality of bolts that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112 and the concrete body 11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long rod shape and coupling the bottom plate 122 of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A fastening part 114 composed of ;
The bottom plate 122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114 of the bottom member 110 and constituting the bottom, and the bottom plate 122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 An intermediate plate 124 that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and divides the first space portion A formed in the vehicle road direc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B formed in the sidewalk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4 is coupled to the road It includes a left plate 125 and a right plate 126 that can withstand the impact force of a vehicle rushing in the direction, and a top plate 128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124 and forming a roof, a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ca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safety equipment 100 for protection of multi-functional pedestri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A)는 차량 도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도로의 차량에서 발생된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흡착제 설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pace portion (A)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road, and a safety facility 100 for protecting pedestrians with complex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an adsorbent facility for adsorbing harmful gas or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vehicle on the vehicle road is install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B)는 행인들이 다니는 인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물성 바구니를 설치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pace portion (B)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idewalk where passersby go, and safety equipment 100 for protection of multifunctional pedestri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by installing a vegetable basket that purifies the ai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B)는, 상기 식물성 바구니 대신에, 도시 미관을 고려한 광고용 장식부재를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pace portion (B), instead of the vegetable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used by installing a decorative member for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urban aesthetics, safety equipment 100 for protection of complex functional pedestri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도로에서 돌진하는 차량의 충격강도를 견뎌내는데 필요한 찬넬(219)을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functional safety member 120 is a safety facility 100 for protecting pedestrians with complex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nel 219 necessary to withstand the impact strength of a vehicle rushing from the road is further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안전부재(120)는 상기 좌측판(125) 및 상기 우측판(126)으로 하여금 위쪽에서 그 폭이 좁고, 그 아래쪽에서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경사 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 기능성 보행자 보호용 안전설비(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function safety member 120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because the left plate 125 and the right plate 126 are narrow at the top and wide at the bottom. One, a safety facility for multi-functional pedestrian protection (100).
KR1020210134672A 2021-04-26 2021-10-12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KR202201470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672A KR20220147002A (en) 2021-04-26 2021-10-12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69 2021-04-26
KR1020210134672A KR20220147002A (en) 2021-04-26 2021-10-12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69 Division 2021-04-26 2021-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002A true KR20220147002A (en) 2022-11-02

Family

ID=8408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672A KR20220147002A (en) 2021-04-26 2021-10-12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00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76B1 (en) 2004-12-01 2007-02-02 재 술 나 Protection equipment for guard rail of Plant bring up make short work
KR20110116641A (en) 2010-04-20 2011-10-26 육동철 A median strip which the vegetation of the plant is superior
KR102018059B1 (en)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Smart Planter System Having Reduction Function Fine Dust and Surface Temper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76B1 (en) 2004-12-01 2007-02-02 재 술 나 Protection equipment for guard rail of Plant bring up make short work
KR20110116641A (en) 2010-04-20 2011-10-26 육동철 A median strip which the vegetation of the plant is superior
KR102018059B1 (en)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Smart Planter System Having Reduction Function Fine Dust and Surface Temper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DE69003846T2 (en) Road baffles.
CN204611640U (en) A kind of highway street lamp
US9004808B2 (en) Systems for converting an existing traffic intersection into an intersection having a roundabout, and related methods
KR20220147002A (en)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with complex functions
CN103469707A (en) Multifunctional urban road
CN1779075A (en) Two-storey and three-storey connected overpass without cross with one-storey on ground surface
KR200391860Y1 (en) Shielding plate fixation bracket
CN102337712A (en) Crossed directional barrier-free overpass
KR101231559B1 (en) Safety pence
JP2003328325A (en) Light transmitting type sound insulating wall for road with falling object protective function
CN1834352A (en) City system having man and vehicles fully separated
JP2001336125A (en) Multi-function support integrated protection fence
CN202164518U (en) Cross directional barrier-free overpass
KR100979555B1 (en) Multi-functional handrail
CN204690646U (en) A kind of guardrail of highway integral structure
US6752564B1 (en) Roadway barrier for protecting pedestrians
CN201962982U (en) Sky parking space
KR200339918Y1 (en) Soundproofing rail for sidewalk
KR102151677B1 (en) Splashback for protecting glass and transparent soundproof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0357085Y1 (en) Protection apparatus for road
JPS6032171Y2 (en) Protective fence with handrail for both car and sidewalk use
KR200323080Y1 (en) Safety fence
KR20110005026A (en) Bicycle road
JP2003041527A (en) Sound insulat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