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000A - 우드 조명 - Google Patents

우드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000A
KR20220147000A KR1020210129009A KR20210129009A KR20220147000A KR 20220147000 A KR20220147000 A KR 20220147000A KR 1020210129009 A KR1020210129009 A KR 1020210129009A KR 20210129009 A KR20210129009 A KR 20210129009A KR 20220147000 A KR20220147000 A KR 20220147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late
wood
dispose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연
Original Assignee
김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35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9526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창연 filed Critical 김창연
Priority to KR102021012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000A/ko
Publication of KR2022014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인 우드 조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플레이트가 나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이 나무결 또는 나이테 등의 미세한 공간을 통해 사이드플레이트 외부로 투사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우드 조명{Wood lighting}
본 발명은 천연 나무재질을 이용한 우드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의 조명을 위한 램프는 백열전구 및 형광램프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백열램프나 형광램프등 보다 밝고 긴 수명이 길며 태양빛에 가까운 빛을 발산하는 삼파장램프 또는 LED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엘이디(LED)는 반도체에 전류를 흘려 빛이 발산되도록 한 것으로서, 주로,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는데 반하여,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우수하다.
최근에는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며,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47543호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커버는 대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 또는 유리 재질로 제조된다.
최근에는 나무 질감을 표출하기 위해 커버의 외면에 시트지를 부착시킨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가열에 의해 시트지가 들뜨거나 형상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질감이 안좋아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754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308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991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9361호
본 발명은 천연 나무재질을 이용한 우드조명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연 나무재질의 무늬를 통해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우드조명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연 나무재질의 향을 발산시킬 수 있는 우드조명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인 우드 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로어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결합홈 및 제 1 결합홈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부에 엑스트라조명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로어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결합홈에 제 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에 제 2 커넥터가 배치되며, 상기 로어결합홈 및 제 1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우드 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이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되고, 상기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일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우드 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이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되고, 상기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메인조명을 통해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고,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통해 간접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째, 사이드플레이트가 나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이 나무결 또는 나이테 등의 미세한 공간을 통해 사이드플레이트 외부로 투사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셋째, 사이드플레이트 내부에 아로마부재가 배치되고, 엑스트라조명의 열을 통해 아로마부재의 방향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넷째, 사이드플레이트 및 로어플레이트의 끼움결합을 통해 엑스트라조명에 외부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어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퍼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의 사이드플레이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어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퍼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은 로어플레이트(10)와, 상기 로어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20)와,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30)과,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50)과, 상기 어퍼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조명(50)에 연결되는 파워케이블(40)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간격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50)의 빛이 투사될 수 있다.
상기 메인조명(50)은, 로어플레이트(10), 어퍼플레이트(20) 및 사이드플레이트(30)에 둘러싸인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의 평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는 나무재질이고, 두께는 갖는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는 나이테 또는 나무 무늬를 갖는 원목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는 나무재질이고, 두께는 갖는 판재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의 상부 내측이 상기 어퍼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하부 내측이 상기 로어플레이트(10)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은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또는 어퍼플레이트(2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와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은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의 좁은면이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 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들 사이로 빛이 투사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플레이트(10)는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로어결합홈(12)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결합홈(12)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의 하측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결합홈(12)은 상기 로어플레이트(10)의 각 가장자리에 복수개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플레이트(10)는 4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각 가장자리에 3개의 로어결합홈(12)이 배치된다.
상기 로어결합홈(12)들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로어결합홈(12)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어결합홈(12)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된다.
상기 로어결합홈(1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홈벽(12a) 및 제 2 홈벽(12b)과, 상기 제 1 홈벽(12a) 및 제 2 홈벽(12b)을 연결시키는 제 3 홈벽(12c)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홈벽(12c)과 대향되게 홈개구부(12d)가 형성되고, 상기 홈개구부(12d)를 통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결합홈(12)에 제 1 커넥터(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16)는 외부전원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에 제공한다. 상기 제 1 커넥터(16)는 각 로어결합홈(1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터(16)는 상기 제 3 홈벽(12c)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홈벽(12c)을 통해 상기 로어결합홈(12)에 노출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로어결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제 3 홈벽(12c)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가 외부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커넥터(16)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0)는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어퍼결합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결합홈(22)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의 상측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결합홈(22)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의 각 가장자리에 복수개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플레이트(20)는 4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각 가장자리에 3개의 어퍼결합홈(22)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결합홈(22)들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어퍼결합홈(22)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결합홈(22)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된다.
상기 어퍼결합홈(22)은 상기 로어결합홈(12)와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어퍼결합홈(2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홈벽(22a) 및 제 2 홈벽(22b)과, 상기 제 1 홈벽(22a) 및 제 2 홈벽(22b)을 연결시키는 제 3 홈벽(22c)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홈벽(22c)과 대향되게 홈개구부(22d)가 형성되고, 상기 홈개구부(22d)를 통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의 상측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내측면(61) 및 외측면(62)이 형성된 사이드바디(60)와, 상기 사이드바디(60)의 내측면(61)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63)과, 상기 사이드바디(60)의 내측면(61)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64)과, 상기 내측면(61)에서 외측면(62)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65)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바디(60)는 폭(W1), 두께(t1) 및 높이(H1)를 갖고, 두께(t1)보다 폭(W1)이 길고, 폭(W1) 보다 높이(H1)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65)은 상기 메인조명(50) 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61)이 상기 메인조명(50)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측면(62)이 상기 메인조명(50)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설치공간(65)의 높이(H2)는 사이드바디(60)의 높이(H1) 보다 짧고, 상기 설치공간(65)의 두께(t2)도 사이드바디(60)의 두께(t1) 보다 짧다.
상기 설치공간(65)은 상기 내측면(61)에서 외측면(62)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엑스트라조명(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이 상기 설치공간(65)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공간(65)이 상기 메인조명(50) 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이 사용자에게 은닉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65)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설치벽(65a) 및 제 2 설치벽(65b)과, 상기 제 1 설치벽(65a) 및 제 2 설치벽(65b)을 연결시키고, 상기 외측면(62)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3 설치벽(65c)과, 상기 제 3 설치벽(65c)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해 개구된 설치개구부(65d)과, 상기 제 1 설치벽(65a) 및 제 2 설치벽(65b)을 연결시키고, 상기 설치공간(65)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5 설치벽(65e)과, 상기 제 1 설치벽(65a) 및 제 2 설치벽(65b)을 연결시키고, 상기 설치공간(65)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 6 설치벽(65f)을 포함한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은 라인조명으로서, 얇은 띠 형태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인쇄회로기판(7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발광소자(74)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74)는 LED(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2)은 상기 제 3 설치벽(65c)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설치벽(65c)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발광소자(74)에서 발생된 빛은 설치개구부(65d)를 통해 투사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2)을 따라 다수개의 발광소자(74)가 배치되기 때문에,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고, 외측을 향해 광원이 투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조명 형태로 빛이 투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설치벽(65a), 제 2 설치벽(65b) 및 제 3 설치벽(65c)은 천연 나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한 나무결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74)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나무결을 통해 사이드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조명(50)을 켜지 않고, 상기 엑스트라조명(70)만 점등한 경우, 천연 나무재질의 나이테 또는 나무결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 내부에 배치되어 점등되는 발광소자(74)는 천연 나무재질에 조명효과를 부가하여 간접조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홈(63) 및 제 2 결합홈(64)은 내측면(61)에서 외측면(62)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홈(63)에 로어플레이트(10)가 삽입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어플레이트(10)의 로어결합홈(12) 및 제 1 결합홈(63)이 서로 맞물리게 끼움결합된다.
상기 로어결합홈(12) 및 제 1 결합홈(63)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사이드플레이트(30)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결합홈(12) 및 제 1 결합홈(63)을 통해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을 위한 전기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홈(63)에 제 2 커넥터(66)가 배치된다.
상기 로어플레이트(10) 및 사이드플레이트(30)의 조립 시, 상기 제 2 커넥터(66)는 상기 제 1 커넥터(16)가 조립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엑스트라조명이 로어플레이트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어퍼플레이트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커넥터(66)는 외부전원을 상기 엑스트라조명(70)에 제공한다. 상기 제 2 커넥터(66)는 각각의 제 1 결합홈(6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넥터(66)는 상기 제 3 홈벽(12c)과 대향되는 제 1 결합홈(63)의 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플레이트(10) 및 사이드플레이트(30)의 조립을 통해 상기 엑스트라조명(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수리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에 불량 또는 고장이 발생될 경우, 해당 사이드플레이트(3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2) 및 제 2 커넥터(66)를 연결하는 케이블(4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1)은 제 1 설치벽(65a) 내지 제 6 설치벽(65f)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72) 및 제 2 커넥터(66)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우드조명은 상기 메인조명(50) 및 엑스트라조명(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은 LED의 발광소자(74)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무드등과 같은 간접조명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의 사이드플레이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은 사이드플레이트(130)에 아로마부재(90)가 더 배치되고, 상기 아로마부재(90)를 통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30)에 방향성분을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는 제 3 설치벽(65c) 및 외측면(6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바디(60)에 상기 아로마부재(90)가 삽입될 수 있는 아로마공간(9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로마공간(95)은 상기 사이드바디(60)의 상측면(67)을 통해 개구되고, 상기 사이드바디(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공간(95)은 상기 제 3 설치벽(65c) 및 외측면(62)에 배치되고, 상측면(67)이 개구된다. 상기 아로마부재(90)는 상기 개구된 아로마공간(95)의 상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는 아로마오일과 같은 방향성분이 침지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의 아로마성분이 천연재질의 사이드플레이트(30)에 흡수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바디(70)의 나무결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를 피톤치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바디(70) 전체가 방향성분을 발산시키는 디퓨져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2) 및 외측면(6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의 작동 시, 상기 엑스트라조명(7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에서 제공된 열은 상기 아로마부재(90)의 방향성분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엑스트라조명(70)에서 제공된 열은 방향성분이 흡수된 사이드플레이트(30)에서 방향성분의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아로마부재(90)는 교체 가능하고, 아로마부재(9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단(91)이 상측면(67)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30)에 각기 다른 종류의 방향성분이 포함된 아로마부재(9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아로마부재(90)는, 라벤더, 유칼립투스, 로즈마리, 레몬그라스, 편백나무 오일 등 각기 다른 종류의 아로마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트라조명(70)은 서로 다른 색온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0)에서 점등되는 조명 색에 따라 다른 종류의 방향성분을 더 많이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드조명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우드조명 제어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및 저장 장치(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우드조명 제어 장치(1000)는 일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우드조명 제어 장치(100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 및/또는 저장 장치(10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020)와 저장 장치(10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우드조명 제어 장치는 센싱 모듈을 통해 일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움직임 정보에 따라 일 방향에 움직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영역은 센싱 모듈에 따라 일 방향 내의 특정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드 조명 제어 장치는 움직임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우드 조명에 인접하게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를 기설정된 밝기까지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우드조명 제어 장치는 통신 모듈을 통해 특정 사용자 단말을 미리 연동 또는 등록시켜둘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조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정보는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조절 정보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는 미리 정해진 메인조명의 복수의 색상 후보들 중 특정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는 미리 정해진 메인조명의 복수의 밝기 후보들 중 특정 밝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는 미리 정해진 엑스트라조명의 복수의 색상 후보들 중 특정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는 미리 정해진 엑스트라조명의 복수의 밝기 후보들 중 특정 밝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조명의 복수의 색상 후보들의 개수는 엑스트라조명의 복수의 색상 후보들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드조명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드 조명일 수 있다. 즉, 상기 우드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일 수 있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드조명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를 통해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은 외부 기기(예를 들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서버 또는 전자 장치)와 통신을 설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로어플레이트 20 : 어퍼플레이트
30 : 사이드플레이트 50 : 메인조명
60 : 사이드바디 70 : 엑스트라조명

Claims (7)

  1. 우드 조명으로서,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인 우드 조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로어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결합홈 및 제 1 결합홈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우드 조명.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부에 엑스트라조명이 더 배치된 우드 조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로어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결합홈에 제 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에 제 2 커넥터가 배치되며,
    상기 로어결합홈 및 제 1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우드 조명.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되는 우드 조명.
  6.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우드 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이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되고,
    상기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일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실행되는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
  7.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우드 조명은,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 및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메인조명;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재질이 천연 나무재질이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명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이 형성된 사이드바디;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사이드바디의 내측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배치된 엑스트라조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트라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내측면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 측으로 투사되고,
    상기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조절 정보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조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조명의 색상, 상기 메인조명의 밝기,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색상 및 상기 엑스트라조명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실행되는 우드 조명의 제어 장치.
KR1020210129009A 2021-04-22 2021-09-29 우드 조명 KR20220147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009A KR20220147000A (ko) 2021-04-22 2021-09-29 우드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2597 2021-04-22
KR1020210053580A KR102309526B1 (ko) 2021-04-22 2021-04-26 우드 조명
KR1020210129009A KR20220147000A (ko) 2021-04-22 2021-09-29 우드 조명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80A Division KR102309526B1 (ko) 2021-04-22 2021-04-26 우드 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000A true KR20220147000A (ko) 2022-11-02

Family

ID=8410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009A KR20220147000A (ko) 2021-04-22 2021-09-29 우드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0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13Y1 (ko) 2005-08-09 2005-11-01 이준호 외부전극형광램프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기구
KR200447543Y1 (ko) 2009-08-13 2010-02-03 (주)에이치맥스 천장매립형 엘이디 등기구
KR200469361Y1 (ko) 2011-09-28 2013-10-18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0473087Y1 (ko) 2012-12-21 2014-06-10 이기종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13Y1 (ko) 2005-08-09 2005-11-01 이준호 외부전극형광램프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기구
KR200447543Y1 (ko) 2009-08-13 2010-02-03 (주)에이치맥스 천장매립형 엘이디 등기구
KR200469361Y1 (ko) 2011-09-28 2013-10-18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0473087Y1 (ko) 2012-12-21 2014-06-10 이기종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ssho et al. Latest trends in LED lighting
CN205858766U (zh) 一种散热风扇
US20110286214A1 (en) Led light fixture
KR20110085117A (ko) 소켓형 led 조명등기구
CN202327907U (zh) 可直接替换钠灯的led路灯光源
US10174889B2 (en) LED bar lighting with uniform illumination
KR102309526B1 (ko) 우드 조명
CN204099951U (zh) 广角度led灯
KR20220147000A (ko) 우드 조명
KR101768902B1 (ko) Led 등기구
AU2013371192B2 (en) Fluorescent lamp-type LED lighting device
CN102032462A (zh) 可提高照明亮度的led照明装置
Sebitosi et al. New technologies for rural lighting in developing countries: White LEDs
CN103953869B (zh) 整体式led灯泡
JP2002324408A (ja) トンネル内照明システム
CN104654079A (zh) 一种高性能360度发光led灯
CN204678102U (zh) Led灯散热结构
US20160061394A1 (en) Stand-type led lighting device
CN205979617U (zh) 一种具有均匀发光照度的led条形灯
CN204806287U (zh) Led灯具及其光学透镜
Tuenge SSL pricing and efficacy trend analysis for utility program planning
CN204062584U (zh) 一种led灯
KR101479620B1 (ko) Led 등기구용 투광커버
KR101616818B1 (ko) 엘이디 조명 타일 및 그 조립체
CN201014291Y (zh) Led投光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