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876A -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876A
KR20220146876A KR1020210053680A KR20210053680A KR20220146876A KR 20220146876 A KR20220146876 A KR 20220146876A KR 1020210053680 A KR1020210053680 A KR 1020210053680A KR 20210053680 A KR20210053680 A KR 20210053680A KR 20220146876 A KR20220146876 A KR 2022014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ir mobility
unit
housing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진
남윤식
김건우
모관호
김영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876A/ko
Publication of KR2022014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64C27/46Blades
    • B64C27/473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0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프로펠러와 구동모터 간의 연결이 차단되고, 프로펠러가 확장되면서 오토자이로가 구현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된다. 아울러,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자세가 안정화됨에 따라 낙하산이 정상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상황이 유지되어, 에어모빌리티가 안정적으로 착지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PROPELLER APPARATUS OF AIR MOBILITY}
본 발명은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오토자이로가 구현되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사고 피해가 감소되도록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물 컨네이너, 의료 수송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 모빌리티가 개발중에 있으며, 에어 모빌리티의 에너지 효율 및 안정화가 개발되어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에어 모빌리티는 프로펠러의 기동을 통해 비행되며, 에어 모빌리티의 추락 상황에 따른 안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에어 모빌리티에는 추락 상황의 대응을 위해 프로펠러의 기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지만, 프로펠러의 기동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모빌리티를 안전하게 착지시키기 위한 대책이 없다.
또한, 에어 모빌리티의 추락에 대응하여 낙하산이 전개되더라도, 에어 모빌리티의 자세가 무너진 상태에서는 낙하산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104582 A (2020.09.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오토자이로가 구현되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사고 피해가 감소된다. 아울러,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자세가 안정화됨에 따라 낙하산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에어모빌리티가 안정적으로 착지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중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시 펼쳐지도록 구성된 윙유닛;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윙유닛의 날개편에 연결되며,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동작되어 각 날개편이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윙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된 메인날개편과, 메인날개편에 회동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유닛이 연결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윙유닛은 메인날개편의 하방으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이 중첩되게 마련되며, 최하방의 확장날개편에 구동유닛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날개편과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은 각각의 하단부에 동일선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각 확장날개편의 상단부에는 마주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가이드홈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확장날개편의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가이드홈의 양끝에는 확장날개편이 완전히 펼쳐질 경우 가이드돌기가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유닛은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동작시 틸팅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연장되어 윙유닛의 날개편에 연결되고 구동부의 동작시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키는 로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용전원이 더 구성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구동부가 비상용전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드부는 일단부가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복수개의 날개편 중 최외측 날개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날개편이 회전되지 않은 초기 상태일 경우 구동부와 날개편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고, 구동부의 동작시 로드부의 일단부가 날개편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타단부에 연결된 날개편이 밀려 회전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클러치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의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비상용전원을 포함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가 비상용전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치합 해제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는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프로펠러와 구동모터 간의 연결이 차단되고, 프로펠러가 확장되면서 오토자이로가 구현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된다. 아울러,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자세가 안정화됨에 따라 낙하산이 정상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상황이 유지되어, 에어모빌리티가 안정적으로 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중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시 펼쳐지도록 구성된 윙유닛(200); 및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윙유닛(200)의 날개편에 연결되며,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동작되어 각 날개편이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100)은 에어모빌리티의 날개 또는 몸체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10)가 장착되어 구동모터(110)의 동작시 회전됨으로써 윙유닛(200)의 회전을 통해 추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하우징(100)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윙유닛(200)이 설치되고, 내부공간에는 윙유닛(200)과 연결되는 구동유닛(3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윙유닛(200)은 복수개의 날개편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날개편이 중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즉, 윙유닛(200)은 복수개의 날개편이 접혀진 상태일 경우 기존 프로펠러의 형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날개편이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전체 면적이 확장된다.
이로 인해, 에어모빌리티는 복수개의 날개편이 접혀진 상태일 경우 프로펠러의 형상을 이루는 윙유닛(200)의 회전을 통해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윙유닛(200)을 이루는 복수개의 날개편이 펼쳐진 상태일 경우 윙유닛(20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오토자이로가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날개편이 펼쳐져 윙유닛(200)의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무동력 회전됨으로써 구동모터(110)가 동작되지 않는 상황에서 윙유닛(200)의 회전을 통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된다. 즉, 단풍나무 씨앗이 낙하하는 듯한 효과가 발생되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윙유닛(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 구동유닛(300)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동작되며, 해당 신호는 제어기로부터 전달받는다. 즉, 에어모빌리티에 구비된 센서장비들을 통해 제어기는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하는 경우 구동유닛(300)에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신호가 입력된 구동유닛(300)이 동작되어 윙유닛(200)을 이루는 복수개의 날개편이 펼쳐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상황 발생시, 구동유닛(300)이 동작되어 윙유닛(200)의 날개편이 펼쳐짐으로써,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하측에서 상측으로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윙유닛(200)이 회전되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가 안전하게 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윙유닛(200)은 하우징(100)에 고정된 메인날개편(210)과, 메인날개편(210)에 회동핀(P)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유닛(300)이 연결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으로 구성된다.
메인날개편(210)은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하우징(1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프로펠러의 전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날개편(210)에는 확장날개편(220)이 마련되도록 함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은 메인날개편(210)에 회동핀(P)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은 메인날개편(210)에서 회동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메인날개편(210)과 함께 프로펠러의 전체 면적이 확장되도록 한다. 또한, 확장날개편(220)에는 구동유닛(300)이 연결됨으로써, 구동유닛(3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윙유닛(200)은 메인날개편(210)의 하방으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이 중첩되게 마련되며, 최하방의 확장날개편(220)에 구동유닛(300)이 연결된다. 이렇게, 메인날개편(210)의 하방으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이 중첩됨으로써 기구적으로 동작되는 확장날개편(220)이 메인날개편(210)을 통해 보호되어 동작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윙유닛(200)은 메인날개편(210)에 회동핀(P)을 중심으로 각각의 확장날개편(220)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 중 최하방의 확장날개편(220)에 구동유닛(300)을 연결시, 최하방의 확장날개편(220)이 회전되면 나머지 확장날개편(220)이 회전되면서 펼쳐지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날개편(210)과 복수개의 확장날개편(220)은 각각의 하단부에 동일선상의 가이드홈(230)이 형성되고, 각 확장날개편(220)의 상단부에는 마주하는 가이드홈(23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240)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6에서 볼 수 있듯이, 메인날개편(210)의 하단부와 각 확장날개편(220)의 하단부에는 동일선상의 가이드홈(230)이 형성되고, 각 확장날개편(220)의 상단부에는 마주하는 가이드홈(23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240)가 형성됨으로써, 메인날개편(210)과 각 확장날개편(220)이 가이드홈(230) 및 가이드돌기(240)를 통해 회전이 가이드된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날개편(210)의 하측으로 제1확장날개편(220a)과 제2확장날개편(220b)이 순차적으로 구성되었을 때, 메인날개편(210)의 하단부에 가이드홈(230-1)이 형성되고, 제1확장날개편(220a)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돌기(240)가 형성됨으로써, 제1확장날개편(220a)의 가이드돌기(240)가 메인날개편(210)의 가이드홈(230)에서 이동되면서 제1확장날개편(220a)의 회전이 가이드된다. 또한, 제1확장날개편(220a)의 하단부에 가이드홈(230-2)이 형성되고, 제2확장날개편(220b)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돌기(240)가 형성됨으로써, 제2확장날개편(220b)의 가이드돌기(240)가 제1확장날개편(220a)의 가이드홈(230-2)에서 이동되면서 제2확장날개편(220b)은 제1확장날개편(220a)으로부터 회전이 가이드된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홈(230)은 회동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확장날개편(220)의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메인날개편(210)에서 회동핀(P)을 매개로 설치된 확장날개편(220)은 회동핀(P)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 가이드홈(230)은 확장날개편(220)의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확장날개편(220)의 가이드돌기(240)가 가이드홈(230)을 따라 원활히 이동됨에 따른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각 가이드홈(230)의 양끝에는 확장날개편(220)이 완전히 펼쳐질 경우 가이드돌기(240)가 접촉되는 스토퍼(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홈(230)에서 가이드돌기(2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돌기(240)가 가이드홈(230)에서 스토퍼(250)가 형성된 위치까지만 회전됨에 따라 확장날개편(220)의 회전 위치가 규제된다. 이러한 스토퍼(250)는 각 확장날개편(220)이 펼쳐진 상태에서, 메인날개편(210)과 확장날개편(220) 사이 또는 확장날개편(220)과 확장날개편(220)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서 가이드돌기(240)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유닛(300)은 하우징(1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동작시 틸팅되는 구동부(310)와, 구동부(310)에서 연장되어 윙유닛(200)의 날개편에 연결되고 구동부(310)의 동작시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키는 로드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3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축(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작시 하우징(100)의 회전방향으로 일정각도 틸팅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310)는 모터축(130)에 설치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10)에는 둘레를 따라 윙유닛(200)과 동일 개수로 로드부(320)가 구비되고, 로드부(320)는 윙유닛(200)의 날개편에 연결된다. 또한, 윙유닛(200)의 날개편은 서로 연동되면서 펼쳐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회전되는바, 구동부(310)에서 연장된 로드부(320)는 어느 하나의 날개편에만 연결된다. 즉, 로드부(320)의 경우 최외측의 날개편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부(320)는 일단부(321)가 구동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322)가 복수개의 날개편 중 최외측 날개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320)는 날개편이 회전되지 않은 초기 상태일 경우 구동부(310)와 날개편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고, 구동부(310)의 동작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320)의 일단부(321)가 날개편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타단부(322)에 연결된 날개편이 밀려 회전되면서 펼쳐진다.
이처럼, 로드부(320)는 구동부(310)와 날개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구동부(310)가 틸팅 동작됨에 따른 회전 이동시 로드부(320)가 회전 이동되면서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킨다.
즉, 도 5 내지 6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부(310)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로드부(320)가 구동부(310)와 날개편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룬다. 이때, 로드부(320)의 타단부(322)는 회동핀(P)이 연결된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연결됨으로써, 로드부(320)의 회전 이동시 날개편이 회동핀(P)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10)의 동작시, 구동부(310)가 틸팅됨에 따라 로드부(320)의 일단부(321)가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타단부(322)가 날개편을 밀어주게 된다. 이로 인해, 날개편은 회동핀(P)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각각의 날개편이 연동되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유닛(300)은 하우징(100)에 구비된 비상용전원(330)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비상용전원(330)은 하우징(1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0)에 공급되는 메인전력과 다른 것으로서, 에어모빌리티의 배러티 또는 전력라인 상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구동부(310)가 비상용전원(330)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구동부(310)는 비상용전원(3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정상 동작될 수 있고, 구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로드부(320)가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날개편이 펼쳐져 오토자이로에 의해 에어모빌리티가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클러치(12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클러치(120)의 치합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거나, 구동모터(110)와 연결이 해제되어 오토자이로 기능을 구현될 수 있다.
즉, 클러치(120)는 평상시의 경우 하우징(100)에 치합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하우징(100)과 함께 윙유닛(200)이 회전된다.
여기서,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120)의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모터(110)와 하우징(100)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하우징(100)과 윙유닛(200)이 자유회전된다. 이와 더불어, 윙유닛(200)은 각각의 날개편이 펼쳐짐에 따라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무동력 회전되어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속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구동유닛(300)은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비상용전원(330)을 포함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120)가 비상용전원(3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치합 해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용전원(330)은 에어모빌리티의 배터리 또는 전력라인 상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클러치(1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120)가 비상용전원(3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정상 동작됨으로써 클러치(120)의 치합 해제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110)와 하우징(100)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후, 구동부(310)는 비상용전원(3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시 로드부(320)가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날개편이 펼쳐져 오토자이로에 의해 에어모빌리티가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는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프로펠러와 구동모터 간의 연결이 차단되고, 프로펠러가 확장되면서 오토자이로가 구현됨에 따라 에어모빌리티의 추락 속도가 저하된다. 아울러, 에어모빌리티의 추락시 자세가 안정화됨에 따라 낙하산이 정상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상황이 유지되어, 에어모빌리티가 안정적으로 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구동모터
120:클러치 200:윙유닛
210:메인날개편 220:확장날개편
230:가이드홈 240:가이드돌기
250:스토퍼 300:구동유닛
310:구동부 320:로드부
321:일단부 322:타단부
330:비상용전원

Claims (11)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날개편이 중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시 펼쳐지도록 구성된 윙유닛;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윙유닛의 날개편에 연결되며,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동작되어 각 날개편이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윙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된 메인날개편과, 메인날개편에 회동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유닛이 연결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윙유닛은 메인날개편의 하방으로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이 중첩되게 마련되며, 최하방의 확장날개편에 구동유닛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날개편과 복수개의 확장날개편은 각각의 하단부에 동일선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각 확장날개편의 상단부에는 마주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홈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확장날개편의 회전반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가이드홈의 양끝에는 확장날개편이 완전히 펼쳐질 경우 가이드돌기가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유닛은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동작시 틸팅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연장되어 윙유닛의 날개편에 연결되고 구동부의 동작시 날개편을 밀어 회전시키는 로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구동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용전원이 더 구성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구동부가 비상용전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로드부는 일단부가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복수개의 날개편 중 최외측 날개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날개편이 회전되지 않은 초기 상태일 경우 구동부와 날개편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고, 구동부의 동작시 로드부의 일단부가 날개편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타단부에 연결된 날개편이 밀려 회전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클러치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의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구동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비상용전원을 포함하고, 에어모빌리티가 추락함에 따른 신호 입력시 클러치가 비상용전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치합 해제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KR1020210053680A 2021-04-26 2021-04-26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KR20220146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80A KR20220146876A (ko) 2021-04-26 2021-04-26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80A KR20220146876A (ko) 2021-04-26 2021-04-26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76A true KR20220146876A (ko) 2022-11-02

Family

ID=8404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80A KR20220146876A (ko) 2021-04-26 2021-04-26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8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2A (ko) 2019-02-27 2020-09-04 박주현 날개 폴딩식 유인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2A (ko) 2019-02-27 2020-09-04 박주현 날개 폴딩식 유인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494B2 (en) Parachute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017246B1 (en) Stopped rotor aircraft
US5560568A (en)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securing an air vehicle to landing platform
US7648105B2 (en) Deployment brake release for a parachute
ES2233806T3 (es) Un cono para el reabastecimiento de combustible en vuelo.
EP2035277B1 (en) Aircraft with a convertible flight system
US11059575B2 (en) Control system for a stopped rotor aircraft
US4131392A (en) Deployable rotor
JP2015217901A (ja) マルチコプター
CN103085978B (zh) 具有旋转部件所用浮力系统的飞行器
KR20190118203A (ko) 제2 비행 조립체가 구비된 항공기
KR20220146876A (ko) 에어모빌리티의 프로펠러 장치
CA3164370A1 (en) Docking station with retractable guide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317239B1 (ko)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
GB2565809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unlocking a moveable wing tip device
CN117480093A (zh) 滑翔降落伞/风筝的操作装置和方法
US20210109549A1 (en) Unmanned aircraft system capable of autonomous flight
KR102486792B1 (ko) 멀티콥터
KR10267682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비행선
JP2020066370A (ja) 飛行体用安全装置、および、飛行体用安全装置を備えた飛行体
CN217396806U (zh) 一种旋翼控制系统
CN216186077U (zh) 一种无人机应急智能安全防护装置
KR20220127659A (ko) 프로펠러 안전 장치
KR20220165961A (ko) 비행체용 윈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