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674A -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674A
KR20220146674A KR1020227035923A KR20227035923A KR20220146674A KR 20220146674 A KR20220146674 A KR 20220146674A KR 1020227035923 A KR1020227035923 A KR 1020227035923A KR 20227035923 A KR20227035923 A KR 20227035923A KR 20220146674 A KR20220146674 A KR 2022014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station
packet
fram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316B1 (ko
Inventor
안우진
손주형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704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237A/ko
Publication of KR2022014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개시된다. 무선 통신 단말은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제1 모듈레이션 방법과 다른 제2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한 첫번째 프레임 교환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AKE-UP RADIO}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에게 빠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AN)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디드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을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은 2.4GHz 주파수를 이용한 초기의 무선랜 기술을 지원한 이래,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먼저, IEEE 802.11b는 2.4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최고 11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IEEE 802.11b 이후에 상용화된 IEEE 802.11a는 2.4GHz 밴드가 아닌 5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혼잡한 2.4GHz 밴드의 주파수에 비해 간섭에 대한 영향을 줄였으며, OFDM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최대 54Mbps까지 향상시켰다. 그러나 IEEE 802.11a는 IEEE 802.11b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g는 IEEE 802.11b와 마찬가지로 2.4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통신속도를 구현하며,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하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았는데, 통신 거리에 있어서도 IEEE 802.11a보다 우위에 있다.
그리고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서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중 IEEE 802.11ac는 5GHz 주파수에서 넓은 대역폭(80MHz~160MHz)을 지원한다. IEEE 802.11ac 표준은 5GHz 대역에서만 정의되어 있으나 기존 2.4GHz 대역 제품들과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초기 11ac 칩셋들은 2.4GHz 대역에서의 동작도 지원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이 규격에 따르면 다중 스테이션의 무선랜 속도는 최소 1Gbps, 최대 단일 링크 속도는 최소 500Mbps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는 더 넓은 무선 주파수 대역폭(최대 160MHz), 더 많은 MIMO 공간적 스트림(최대 8개), 다중 사용자 MIMO, 그리고 높은 밀도의 변조(최대 256 QAM) 등 802.11n에서 받아들인 무선 인터페이스 개념을 확장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기존 2.4GHz/5GHz 대신 60GHz 밴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IEEE 802.11ad가 있다. IEEE 802.11ad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최대 7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전송규격으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나 무압축 HD 비디오 등 높은 비트레이트 동영상 스트리밍에 적합하다. 하지만 60GHz 주파수 밴드는 장애물 통과가 어려워 근거리 공간에서의 디바이스들 간에만 이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802.11ac 및 802.11ad 이후의 차세대 무선랜 표준으로서, 고밀도 환경에서의 고효율 및 고성능의 무선랜 통신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논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차세대 무선랜 환경에서는 고밀도의 스테이션과 AP(Access Point)의 존재 하에 실내/외에서 높은 주파수 효율의 통신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또한 무선랜의 속도 및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과 동시에 무선랜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건전지와 같이 매우 한정된 전력 소스에 기반해 동작하는 기기들에도 무선랜을 탑재하기 위해, 효율적인 무선랜 전력 절약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에 제안된 무선랜 전력 절약 기법들은 주기적으로 기기들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전력을 줄이는 방법들인데, 이 경우 해당 기기의 전력 절약 효율이 높아질수록 더 긴 주기로 깨어나게 되므로 해당 기기와의 통신이 더 지연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저전력 웨이크-업(wake-up) 라디오를 사용하는 전력 절약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웨이크-업 라디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은,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과 다른 제2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한 첫번째 프레임 교환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duty-cycle period)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on-duration)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 및 상기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턴온(turn-on)하는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온-듀레이션은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에 따라 턴온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간 및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상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 및 상기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웨이크-업한 때부터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은,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PCR 전환 딜레이를 기초로 산정되는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의 웨이크-업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제1 무선 모듈레이션 방법을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의 PCR 전환 딜레이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을 나타내는 최대 PCR 전환 딜레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을 산정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CR 전환 딜레이는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PCR 전환 딜레이는 그룹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식별자를 기초로 최대 PCR 전환 딜레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에게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에게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은 그룹 식별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의 그룹 식별자 필드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별로 구별되는 후속 동작 정보 및 상기 웨이크-업 패킷이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WUR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UR 식별자 및 상기 후속 동작 정보를 기초로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게 할당된 WUR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획득한 WUR 식별자와 상기 웨이크-업 패킷에 포함된 WUR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롤(role)을 가지는 무선 통신 단말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롤(role)을 가지는 무선 통신 단말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롤을 가지는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롤(role)을 가지는 무선 통신 단말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정보는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비트맵 정보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별로 할당되는 하나이 비트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롤을 가지는 무선 통신 단말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이크-업 비활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웨이크-업 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시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비활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오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오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와 관련된 협상을 요청하는 WUR 협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WUR 협상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게 할당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식별하는 웨이크-업 라디오 식별자(Wake-up radio identifier)를 포함하는 응답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duty-cycle period)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on-duration)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턴온(turn-on)하는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온-듀레이션은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에 따라 턴온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duty-cycle period)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on-duration)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 및 상기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온-듀레이션 동안 비콘(beacon)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은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 간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시간 동기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온-듀레이션을 시작하는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를 시작한 시점부터 상기 온-듀레이션 동안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가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상기 온-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나타내는 이동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가능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부터 상기 온-듀레이션 동안 상기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성 정보가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이 이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듀레이션이 경과한 이후 다음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까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성 정보가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이 이동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으로 통신하는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은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과 다른 제2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무선 전송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을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프레임을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에게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시점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까지 소요되는 PCR 전환 딜레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PCR 전환 딜레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제1 모듈레이션 방법을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의 PCR 전환 딜레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의 PCR 전환 딜레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의 PCR 전환 딜레이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을 나타내는 최대 PCR 전환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최대 PCR 전환 딜레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group identifier)를 포함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때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게 제2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까지 소요되는 PCR 전환 딜레이를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프레임을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에게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제1 웨이크-업 패킷이 트리거 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제1 모듈레이션 방법을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웨이크-업 라디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인 독립 BSS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AP와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방법을 보여준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확인을 위한 프레임 교환 실패시의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이 AP의 유도에 따라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2 및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이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WUR 비콘 전송을 도시한다.
도 1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UR을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단말의 컨텍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WUR 단말의 컨텍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 WUR 가능 AP의 WUR mode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이상” 또는 “이하”라는 한정 사항은 실시예에 따라 각각 “초과” 또는 “미만”으로 적절하게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7-0007158호(2017.01.16) 및 제10-2017-0055994호(2017.05.02)를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상기 각 출원들에 서술된 실시 예 및 기재 사항은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하는데,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기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은 이 중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테이션(STA-1, STA-2, STA-3, STA-4, STA-5),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스테이션인 액세스 포인트(PCP/AP-1, PCP/AP-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PCP/AP-1, PCP/AP-2)를 연결시키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로서, 광의로는 비 액세스 포인트(Non-AP)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AP)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스테이션과 AP 등의 무선랜 통신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스테이션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며, 그 밖에 스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본 개시에서 프레임 또는 패킷의 수신은 성공적인 수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공적인 수신은 프레임 또는 패킷에 포함된 FCS(frame check sequence)을 통해 실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수신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자신에게 결합된(associated)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분배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 AP 스테이션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지만,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에서 AP는 PCP(Personal BSS Coordination Point)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광의적으로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배 시스템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인 독립 BSS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BSS-3는 독립 BSS이며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스테이션(STA-6, STA-7)이 AP와 접속되지 않은 상태이다. 독립 BSS는 분배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며,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독립 BSS에서 각각의 스테이션들(STA-6, STA-7)은 다이렉트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프로세서(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120), 유저 인터페이스부(140), 디스플레이 유닛(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스테이션(100)을 위한 패킷 전송과 수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스테이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2.4GHz, 5GHz 및 60GHz 등의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션(100)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과, 6GHz 이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이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무선랜 규격에 따라 AP 또는 외부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스테이션(100)의 성능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번에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만을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100)이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경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각각 독립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칩으로 통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스테이션(100)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입/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스테이션(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10)의 명령에 기초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5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0)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스테이션(100)에서 사용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에는 스테이션(100)이 AP 또는 외부 스테이션과 접속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접속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테이션(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스테이션(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AP와의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AP가 전송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통신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스테이션(100)의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스테이션(100)의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AP에 대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스테이션(10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션(100)의 일부 구성들, 이를 테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40) 및 디스플레이 유닛(150) 등은 스테이션(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이하, ‘AP’)(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P(200)는 프로세서(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AP(200)의 구성 중 도 3의 스테이션(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AP(200)는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AP(20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에서 BSS를 운영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를 구비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AP(2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P(20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 이를 테면 2.4GHz, 5GHz, 60GHz 중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P(200)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과, 6GHz 이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이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무선랜 규격에 따라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는 AP(200)의 성능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번에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만을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260)는 AP(200)에서 사용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에는 스테이션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AP(2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스테이션과의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에 대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설정 메시지에는 각 스테이션의 접속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스테이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 설정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STA)(100)이 AP(200)와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STA(100)와 AP(200) 간의 링크는 크게 스캐닝(scanning), 인증(authentication) 및 결합(association)의 3단계를 통해 설정된다. 먼저, 스캐닝 단계는 AP(200)가 운영하는 BSS의 접속 정보를 STA(100)가 획득하는 단계이다.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AP(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 메시지(S101)만을 활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과, STA(100)가 AP에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고(S103), AP로부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수신하여(S105)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이 있다.
스캐닝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무선 접속 정보를 수신한 STA(100)는 인증 요청(authentication request)을 전송하고(S107a), AP(200)로부터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을 수신하여(S107b) 인증 단계를 수행한다. 인증 단계가 수행된 후, STA(100)는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를 전송하고(S109a), AP(200)로부터 결합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수신하여(S109b) 결합 단계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association)은 기본적으로 무선 결합을 의미하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의의 의미로의 결합은 무선 결합 및 유선 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802.1X 기반의 인증 단계(S111) 및 DHCP를 통한 IP 주소 획득 단계(S113)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인증 서버(300)는 STA(100)와 802.1X 기반의 인증을 처리하는 서버로서, AP(2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존재하거나 별도의 서버로서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AP(200)는 ad-hoc 네트워크와 같이 외부의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에 연결되지 않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에서 통신 매개체 자원을 할당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AP(200)는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또한, AP(200)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eNB, 및 트랜스미션 포인트(T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에너지 효율을 위해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단말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 도즈 상태(doze state)에 진입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도즈 상태를 중단하고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도즈 상태는 무선 통신 단말이 무선 통신 단말의 일부 기능과 관련된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즈 상태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통신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무선 통신 단말이 도즈 상태로부터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웨이크-업(wake-up)이라 지칭할 수 있다.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효율을 낮출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이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trigger)하는 웨이크-업 라디오(wake-up radio, 이하 ‘WUR’)에 따라 웨이크-업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이 WUR에 따라 웨이크-업하는 경우 불필요한 웨이크-업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WUR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도즈 상태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어 전력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은 일반적인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에 비해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웨이크-업 수신부(wake-up receiver, WURx)를 포함하고, 일반적인 무선랜 신호 송수신 등의 기능을 정지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WUR에 따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파워 세이브 동작을 WUR 기반 파워 세이브 동작이라 지칭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무선랜 신호는 WUR 신호와 구별되는 Primarily Connected Radio (이하, ‘PCR’) 신호로 지칭될 수 있다. WUR 신호의 일부는 PCR 신호의 모듈레이션과 다른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WUR 신호의 일부는 OOK(On-Off Keying)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CR 송수신부는 WURx와 다른 웨이브-폼을 사용하는 모듈레이션(wave-form modulation) 방법을 통해 모듈레이션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UR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및 WUR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8을 통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는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AP 및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P 및 스테이션은 일반적인 무선랜 표준인 802.11a/b/g/n/ac/ax의 PCR 송수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P 및 스테이션은 WUR 송수신을 지원하지 않고 PCR 송수신만을 지원하는 일반 스테이션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네트워크는 WUR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일반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PCR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을 지원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transceiver, T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송수신부는 PCR을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AP는 WUR을 통한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제2 무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전송부는 웨이크-업 전송부(wake-up transmitter, WUTx)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WUR 신호는 PCR 신호에서 이용되는 제1 모듈레이션 방법과 다른 제 2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WUR 신호의 일부는 OOK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전송부는 WUR을 통해 스테이션으로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P가 WURx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AP는 WURx를 통해 외부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제1 무선 송수신부와 제2 무선 전송부는 하나의 송수신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는 하나의 송수신부를 통해 PCR 신호의 송수신 및 WUR 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는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웨이크-업 패킷(Wake Up Packet, WUP)을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WURx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을 지원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와 별도로 존재하는 제2 무선 수신부인 WUR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무선 송수신부는 PCR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PCR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수신부는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제1 모듈레이션 방법과 다른 제2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WURx는 AP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WURx는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가 도즈 상태에서 동작하는 동안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경우, 내부적인 웨이크-업 신호를 통해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와 WURx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WURx는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URx는 PCR 송수신부로 내부적인 신호를 통해 PCR 송수신부을 웨이크-업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WURx는 프로세서를 통해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도즈 상태에서 PCR 및 프로세서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WURx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프로세서의 전력 차단을 중단하고, 프로세서를 통해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x는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 WURx는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 송수신부에게 웨이크-업 후속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속 동작에 관한 정보는 후속 동작을 식별하는 후속 동작 식별자(Sequence ID, SID)일 수 있다. 또한, PCR은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WUR 기반 파워 세이브 동작에 필요한 WURx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WURx는 웨이크-업 프리앰블 감지부(Wake-up Preamble Detector, WU Preamble Detector), 무선 통신 단말 식별자 감지부(STA ID Detector) 및 메시지 파서(Message Parser)를 포함할 수 있다. WU 프리앰블 감지부는 웨이크-업 패킷이 포함하는 신호 패턴 시퀀스를 식별하여 웨이크-업 패킷을 감지한다. 또한, WU 프리앰블 감지부는 감지한 신호 패턴 시퀀스를 기초로 WUR에 대한 AGC(Automatic Gain Control) 및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식별자 감지부는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를 감지한다. 이때, 무선 통신 단말 식별자 감지부는 웨이크-업 패킷의 프리앰블을 기초로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 식별자 감지부는 웨이크-업 패킷의 WU 시그널링 필드(wake-up Signaling field)를 기초로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 식별자 감지부는 웨이크-업 패킷의 프리앰블 및 WU 시그널링 필드를 기초로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이크-업 패킷의 WU 시그널링 필드는 웨이크-업 패킷이 지시하는 웨이크-업에 관련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메시지 파서는 웨이크-업 패킷이 포함하는 메시지를 파싱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파서는 웨이크-업 패킷이 포함하는 메시지를 파싱하여 웨이크-업 패킷이 지시하는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이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성공하는 것으로 인지하는 시점까지, 스테이션은 WURx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9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이크-업 패킷은 PCR 송수신부가 디모듈레이션할 수 있는 레거시 파트(legacy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패킷은 PCR 송수신부가 디모듈레이션할 수 있는 레거시 파트와 PCR 송수신부가 디모듈레이션할 수 없는 웨이크-업 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SS는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및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스테이션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의 동작은 BSS에 존재하는 레거시 스테이션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레거시 파트는 기존 802.11 표준에서 사용하는 레거시 프리앰블(L-Preambl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거시 프리앰블은 숏 트레이닝 신호를 포함하는 L-STF, 롱 트레이닝 신호를 포함하는 L-LTF 및 레거시 무선 통신 단말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L-SIG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스테이션은 L-SIG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패킷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거시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이 전송되는 동안 웨이크-업 패킷이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에 액세스 하지 않을 수 있다.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은 WURx을 통해 웨이크-업 파트를 디모듈레이션할 수 있다. 이때, 웨이크-업 파트는 웨이크-업 프리앰블(WU Preamble)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WU Signaling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업 프리앰블은 웨이크-업 패킷임을 나타내는 신호 패턴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는 웨이크-업 프리앰블에 모듈레이션에 기반한 의사 노이즈(Pseudo Noise) 시퀀스를 삽입할 수 있다. AP는 OOK를 사용하여 의사 노이즈 시퀀스를 삽입할 수 있다. 신호 패턴 시퀀스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패턴일 수 있다.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의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를 파싱하여 수신된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웨이크-업 라디오 식별자(WUR identifier, WI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WID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경우,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AP는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BSS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일부 특정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WUR 식별자(WID)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웨이크-업 패킷이 복수의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경우, 웨이크-업 패킷의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Group indentifier, GI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 식별자는 그룹 어드레스(Group Address, G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P는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에 웨이크-업의 대상이되는 스테이션의 후속 동작을 나타내는 후속 동작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는 웨이크-업 이후 후속 동작을 식별하는 후속 동작 식별자(SID)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스테이션 및 AP는 WUR에 기반한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및 AP임을 전제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방법을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은 WUR 기반 동작에 앞서 WUR 협상(WUR negot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WUR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WUR 협상 절차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WUR 능력 요소(WUR capability element)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은 WUR 능력 요소를 WUR 협상 절차와 별도의 WUR 결합 절차를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WUR 능력 요소는 웨이크-업에 관련된 능력(capabilities)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웨이크-업에 관련된 능력은 무선 통신 단말이 지원하는 WUR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이 지원하는 WUR 관련 기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이 지원하는 WUR 관련 기능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분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이 WURx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WUR에 기반한 웨이크-업이 가능한 단말(WUR Rx)임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이 웨이크-업 패킷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WUR에 기반한 웨이크-업 패킷 전송이 가능한 단말(WUR Tx)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WUR 능력 요소는 WUR 능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UR 능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단말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무선 통신 단말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딜레이(wake-up delay, WU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이 WURx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소요되는 웨이크-업 딜레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웨이크-업 딜레이는 PCR 전환 딜레이(PCR transition delay)로 지칭될 수 있다. PCR 전환 딜레이는 웨이크-업 패킷 수신한 이후 PCR 송수신부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PCR 전환 딜레이는 WURx가 PCR 송수신부에게 웨이크-업을 지시하고, PCR 송수신부가 웨이크-업 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R 전환 딜레이는 WURx를 통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이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의 WUR 모드 요소(WUR mode element)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WUR 모드 요소는 무선 통신 단말이 WUR 기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WUR 모드 요소를 WUR 협상 절차에서 WUR 능력 요소와 함께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은 WUR 모드 요소를 WUR 협상 절차와 별도의 WUR 결합 절차를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WUR 결합 절차를 통해 시그널링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WURx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WUR 결합 요청(WUR association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WUR 결합 요청에 대한 WUR 결합 응답(WUR association response)을 통해 WUR 기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때, WUR 결합 요청은 액션 프레임(action frame)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후술할 WURx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전송하는 WURx 모드 요청과 함께 WUR 결합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AP는 WURx 모드 요청에 대한 WURx 모드 응답과 함께, WUR 결합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UR 모드 요소는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할 WUR 식별자(WID) 및 그룹 식별자(G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WUR 모드 요소는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할 신호 패턴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웨이크-업 패킷의 웨이크-업 프리앰블이 포함하는 신호 패턴 시퀀스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신호 패턴 시퀀스가 BSS 별로 다르거나 무선 통신 단말 별로 다른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신호 패턴 시퀀스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신호 패턴 시퀀스는 도 8을 통해 설명한 신호 패턴 시퀀스일 수 있다. 또한, WUR 모드 요소는 무선 통신 단말의 그룹 웨이크-업 동작과 관련된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와 관련하여서는 도 1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서 WUR STA 1은 AP인 WUR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또한, WUR STA 2는 AP가 아닌 WUR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도 9의 part 1을 참조하면, WURx를 포함하는 스테이션(WUR STA 2)은 AP (WUR STA 1)와 WUR 기반 파워 세이브 동작을 위한 WUR 결합 절차 및 WUR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 및 스테이션은 PCR 신호를 통해 WUR 모드 요소 및 WUR 능력 요소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로 WUR 모드 요소 및 WUR 능력 요소를 포함하는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요청 프레임은 WUR 관련 기능에 따른 스테이션(WUR STA 2)의 분류(WUR Rx)와 웨이크업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WUD(d))을 포함할 수 있다. AP(WUR STA 1)는 PCR 송수신부를 사용해 스테이션(WUR STA 2)으로부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AP(WUR STA 1)는 스테이션(WUR WUR STA 2)에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응답 프레임은 WUR 관련 기능에 따른 AP(WUR STA 1)의 분류(WUR Tx), 웨이크-업 패킷의 WU 프리앰블이 포함하는 신호 패턴 시퀀스(Preamble Seq),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할 SA 및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할 D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해 AP(WUR STA 1)의 분류(WUTx),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될 신호 패턴 시퀀스(Preamble Seq),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될 SA 및 웨이크-업 패킷에 사용될 DA를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 협상 절차 및 결합 절차 중 적어도 하나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스테이션과 AP 사이의 링크 설정 절차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와 스테이션 사이에 최초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스테이션의 WUR 능력 요소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액티브 스캐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통해 WUR 능력 요소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결합 과정에서 결합 요청 프레임을 통해 WUR 능력 요소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AP는 스테이션의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또는 결합 응답 프레임을 통해 스테이션으로 AP의 WUR 능력 요소 및 WUR 모드 요소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URx를 포함하는 스테이션(WUR STA 2)이 AP(WUR STA 1)와 WUR 협상을 수행한 이후 WURx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에 대해 도 9의 part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은 웨이크-업 기반의 파워 세이브를 위하여, WURx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WURx 모드는 무선 통신 단말의 PCR 송수신부가 도즈 상태에 있고, WURx를 통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이 WURx 모드에서 동작중인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WURx을 사용해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의 part2를 참조하면, 스테이션(WUR STA 2)이 WURx 모드에 진입하려는 경우,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에게 WURx 모드 요청(WURx mode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WUR STA 2)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해 AP(WUR STA 1)로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로부터 WURx 모드 요청에 대한 WURx 모드 응답(WURx mode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AP(WUR STA 1)는 스테이션(WUR STA 2)에게 스테이션(WUR STA 2)의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status)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WUR STA 1)는 스테이션(WUR STA 2)에게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진입을 허용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와 관련하여서는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로부터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한다. 스테이션(WUR STA 2)은 수신된 WURx 모드 응답을 기초로 PCR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에게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한 시점에 WURx 모드 요청을 재전송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는(expired) 시점까지 스테이션(WUR STA 2)이 AP(WUR STA 1)로부터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스테이션(WUR STA 2)은 WURx 모드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이 AP(WUR STA 1)로부터 WURx 모드 진입을 허용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WUR STA 2)은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하고, WURx를 사용하여 웨이크-업 기반의 파워 세이브를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이 WURx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스테이션(STA 2)은 WURx를 통해 AP(STA 1)로부터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웨이크-업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AP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은 PCR 신호와 다른 모듈레이션 방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WURx를 통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웨이크-업 패킷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의 WUR 식별자(WID), 웨이크-업 패킷이 전송된 시간(timestamp) 및 웨이크-업 후속 동작을 나타내는 후속 동작 식별자(SI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WURx을 통해 수신된 웨이크-업 패킷의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를 파싱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시그널링 필드를 파싱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파싱된 어드레스 정보가 스테이션의 WUR 식별자(WID) 또는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식별자(GID)를 나타내는 경우,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가 어웨이크 상태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때, PCR 송수신부의 어웨이크 상태는 PCR 송수신부가 송수신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x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으로부터 웨이크-업 이후 동작 시퀀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이크-업 이후 동작 시퀀스에 관한 정보는 후속 동작을 식별하는 SI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는 웨이크-업 후속 동작을 나타내는 후속 동작 식별자(SID)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속 동작 식별자(SID)는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송수신할 프레임의 유형(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형 정보는 송수신될 프레임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전송 방향에 따라, 스테이션으로부터 AP로 전송되는 상향(up-link, UL) 전송 프레임 및 AP로부터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하향(down link, DL) 전송 프레임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프레임을 통해 AP와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의 개수에 따라, 단일 유저(single-user, SU) 및 멀티 유저(multi-user, MU) 프레임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x는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시키는 과정에서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 WURx는 웨이크-업 패킷을 파싱하여 획득한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WURx는 PCR 송수신부가 어웨이크 상태가 되면, 저장된 일부 정보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URx는 WID 또는 GID, 웨이크-업 이후 후속 동작 식별자(SID), 웨이크-업 패킷이 수신된 시간(timestam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WURx는 PCR 송수신부에게 웨이크-업 패킷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가 어웨이크 상태에서 동작하는 동안 WURx을 통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WURx의 전원을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테이션은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여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성공적인 웨이크-업을 인지(recognize)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웨이크-업에 실패한 것을 인지한 AP가 웨이크-업 패킷을 다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스테이션은 AP로부터 전송되는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성공적인 웨이크-업은 웨이크-업 패킷이 전송된 이후 스테이션과 AP 간에 PCR 프레임 교환에 성공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패킷이 전송된 이후, 스테이션과 AP 간에 PCR 프레임 교환이 최초로 성공한 경우,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WUR 신호 보다 전송 시간이 짧은 PCR 신호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웨이크-업을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성공적인 웨이크-업의 확인을 위한 프레임 교환은 스테이션과 AP 간의 프레임 송수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베이스 AP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AP와 성공적으로 프레임을 교환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적어도 프레임 교환 시간 동안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교환 시간은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AP와 성공적으로 프레임을 교환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AP는 스테이션으로로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AP일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 교환은 스테이션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한 AP가 수신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1 경우 및 AP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이 수신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2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우와 관련하여서는 도 9의 part 3을 통해, 제2 경우와 관련하여서는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제1 경우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 도 9의 part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part 3을 참조하면, WURx를 포함하는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에게 PCR 신호를 사용하여 PCR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에게 어웨이크 프레임(awake frame)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 프레임은 PCR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에, PCR 송수신부를 통해 AP에게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어웨이크 프레임은 PCR 송수신부가 어웨이크 상태임을 나타내는 프레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WUR STA 2)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WUR STA 2)은 웨이크-업한 때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채널 경쟁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AP에서 지시된 시간일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웨이크-업 패킷에 포함되는 웨이크-업 후속 동작 정보를 통해 채널 경쟁 절차를 시작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WUR STA 2)은 앞서 설명한 링크 설정 절차 또는 WUR 협상 절차를 통해 채널 경쟁 절차를 시작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정보를 AP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테이션이 웨이크-업하는 경우, AP는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을 위한 채널 액세스 시작 시점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에게 지정된 채널 액세스 시작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AP는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복수의 스테이션의 채널 경쟁(contention) 동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채널 경쟁 절차를 시작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정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간(timestamp) 및 웨이크-업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채널 경쟁을 시작하기 위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결정된 시간을 기초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 경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웨이크 프레임은 PCR 송수신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특정 프레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어웨이크 프레임은 무선 통신 단말이 PCR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상태임을 AP에게 전달하는 웨이크-업 리포트(WU repor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웨이크 프레임은 매니지먼트 프레임 또는 컨트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어웨이크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WUR STA 2)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이후, AP(WUR STA 1)로부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awake response, 이하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AP(WUR STA 1)는 AW 응답 프레임을 스테이션(WUR STA 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W 응답 프레임은 PCR 송수신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특정 프레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AP(WUR STA 1)는 PCR 신호를 사용하여 스테이션(WUR STA 2)으로 AW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이 AP(WUR STA 1)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WUR STA 2)은 스테이션(WUR STA 2)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WUR STA 2)은 적어도 AP(WUR STA 1)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은 적어도 AP(WUR STA 1)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 의 전원(power)을 턴온(turn-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WUR STA 2)이 AP(WUR STA 1)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스테이션(WUR STA 2)이 WURx의 전원을 턴 오프(turn-off)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AP가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이후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 동작이 불필요해진 경우, AP는 스테이션으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AW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로부터 스테이션의 웨이크-업이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비활성 정보를 포함하는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은 WURx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이크-업 비활성 정보를 기초로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하고, WURx를 통한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가 웨이크-업 패킷을 보내지 않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AP는 웨이크-업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AW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웨이크-업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AP와 WUR 협상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AP는 스테이션에 대해 새로운 WID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은 새로 할당된 WID를 이용하여 WUR에 기반한 파워 세이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공적인 웨이크-업 확인을 위한 프레임 교환에 실패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에 관해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확인을 위한 프레임 교환 실패시의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내에 AP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WURx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간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시점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일 수 있다. 기 설정된 타이머는 AP 또는 스테이션에 의해 설정된 시간값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값은 WUR 협상 과정 또는 링크 설정 과정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AP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AP와 스테이션 간에 기 설정된 시간 값이 교환되지 않는 경우, 스테이션은 디폴트 값으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 값은 모든 스테이션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디폴트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까지 AP로부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전술한 WURx 모드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까지 AP로부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절차에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오류 정보(wrong WU)를 WURx 모드 요청에 삽입할 수 있다.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한 스테이션은 AP로부터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WURx 모드 응답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는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진입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nega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WURx 모드 진입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는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진입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posi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AP로부터 수신된 WURx 모드 응답을 기초로 WURx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AP가 전송한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스테이션의 동작을 나타낸다. AP는 스테이션의 WURx 모드 요청에 대해 ‘nega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AP가 스테이션에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 이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WURx 모드 요청이 수신된 경우, AP가 전송한 응답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였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스테이션은 ‘nega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한 경우, WURx 모드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성공적인 웨이크-업 확인을 위한 프레임이 교환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은 ‘nega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을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이 AP로부터 ‘nega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한 때, 스테이션이 WURx를 턴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AP로부터 WURx 모드 요청에 대해 ‘positive’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WURx 모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WURx를 사용하여 웨이크-업 기반의 파워 세이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가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시점부터 타이머가 만료되어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WURx 패스트 리커버리(fast recovery) 과정으로 지칭할 수 있다. 패스트 리커버리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은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패스트 리커버리 과정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스테이션에게 추가적인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AP는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때부터 기 설정된 패스트 리커버리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추가적인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스트 리커버리 시간은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 및 프레임 전송에 소요되는 에어타임(airtime)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타임은 전송 매체를 통해 프레임이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프레임 교환에 있어서 제2 경우와 같이,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 이후 즉시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AP로부터 전송되는 PCR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한 이후 AP의 유도에 따라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AP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유도하는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요청 프레임을 수신함에 따라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스테이션의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AP의 유도에 따라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1에서 WUR STA 1은 AP인 WUR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또한, WUR STA 2는 AP가 아닌 WUR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웨이크-업한 이후 AP의 유도에 따라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어웨이크 요청 프레임(awake request, 이하 ‘AW 요청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통해 AP로부터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AW 요청 프레임은 스테이션의 수신자 주소(R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AW 요청 프레임은 PCR 송수신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특정 프레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AW 요청 프레임은 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요청하는 폴(poll) 프레임과 같은 컨트롤 프레임일 수 있다. 또는 AW 요청 프레임은 하향(down link, DL)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AW 요청 프레임은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일 수 있다. 이때, AP는 스테이션으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에 기초한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를 기초로 AW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시점 및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를 기초로 AW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AP는 결정된 전송 시점에 스테이션으로 AW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는 앞서 설명한 WUR 결합 과정 또는 WUR 협상 과정에서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후에 스테이션은 어웨이크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이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스테이션은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이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후, 스테이션은 새로운 채널 경쟁에서 전송 기회를 획득하여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때,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적어도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을 완료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프레임 교환 시간 동안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이후, 스테이션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교환 시간은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경쟁을 통해 전송 기회를 획득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 및 AW 요청 프레임 및 어웨이크 프레임이 전송되는 에어타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한 이후 AP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AP는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후에 AW 응답 프레임을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는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스테이션에게 AW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AP가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후, AP는 새로운 채널 경쟁에서 전송 기회를 획득하여 스테이션에게 AW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에,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에 성공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테이션은 적어도 AP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AP로부터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스테이션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 동안 PCR 송수신부를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AP로부터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WURx 모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스테이션이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은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이크-업 패킷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인 경우,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은 그룹의 후술할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은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 및 프레임의 전송에 소요되는 에어타임(airtime)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채널 혼잡으로 인해 채널 경쟁에서 전송 기회를 획득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기 위해,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을 SIFS 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웨이크-업 딜레이 및 SIFS가 경과한 시간보다 긴 시간을 AW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AP가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AP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후에 제2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AP가 소정의 시간 내에 스테이션로부터 어떠한 프레임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AP는 스테이션이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P는 제1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때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스테이션으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2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웨이크-업 패킷은 AP가 가장 마지막으로 전송한 웨이크-업 패킷일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제2 웨이크-업 패킷은 첫번째 전송된 제1 웨이크-업 패킷과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일 수 있다. 또는 제2 웨이크-업 패킷은 제1 웨이크-업 패킷과 동일한 웨이크-업 패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패킷은 제1 웨이크-업 패킷의 수신자로 설정된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웨이크-업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웨이크-업 패킷은 제1 웨이크-업 패킷의 전송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패킷 실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제1 웨이크-업 패킷 및 제2 웨이크-업 패킷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웨이크-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제1 웨이크-업 패킷이 수신된 이후에 제2 웨이크-업 패킷이 수신된 경우, 제2 웨이크-업 패킷에 포함된 웨이크-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AW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때부터 기 지정된 시간 내에 스테이션으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1 웨이크-업 패킷 전송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는 스테이션에게 제2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AP가 AW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때부터 기 지정된 시간 내에 스테이션으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AP는 PCR 신호를 통해 스테이션으로 AW 요청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AP는 스테이션으로 웨이크-업 패킷을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웨이크-업 패킷의 경우 1 비트(bit)가 하나의 OFDM symbol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AW 요청 프레임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 길 수 있다. 따라서, AP는 웨이크-업 패킷을 재전송하기에 앞서, PCR 신호를 통해 AW 요청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 있다. AP가 AW 요청 프레임을 재전송한때부터 기 지정된 시간 내에 스테이션으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AP는 스테이션으로 새로운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WUR을 통한 웨이크-업 패킷의 전송은 한 비트가 하나의 OFDM 심볼의 길이를 지니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에서 큰 오버헤드가 될 수 있다. AP는 하나의 웨이크-업 패킷을 사용해 BSS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AP는 그룹 식별자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통해 하나의 웨이크-업 패킷으로 BSS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웨이크-업 패킷을 사용해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의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2 및 13을 통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웨이크-업 하기 위해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group management element)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AP로부터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WUR 결합 절차 또는 WUR 협상 절차에서 수신되는 PCR 프레임을 통해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AP로부터 PCR 송수신부를 통해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포함하는 별도의 WUR 그룹 매니지먼트 프레임(WUR group management, WUR GM)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테이션이 WUR GM 프레임을 통해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수신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WUR GM 프레임에 대한 WUR GM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는 스테이션이 속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G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식별자(GID)는 그룹 어드레스(GA)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WURx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WUR 협상 절차를 통해 AP로부터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WUR 식별자(WID)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WUR 결합 절차 또는 WUR 협상 절차에서, 스테이션에게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WID를 할당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P는 AP가 운영하는 BSS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해,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이 포함되는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AP는 각각의 그룹에 대해 각각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GID)를 할당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통해, AP로부터 스테이션에게 할당된 GID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는 그룹에 포함된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 중에서 가장 긴 웨이크-업 딜레이를 나타내는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max. WU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가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보다 작은 경우, 스테이션 외의 다른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를 기초로 프레임이 송수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대한 어웨이크 프레임 전송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그룹 리포트(group repor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리포트가 비활성 상태(group report off)인 경우, 스테이션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롤(role)을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어느 스테이션에게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룹 리포트가 활성 상태(group report on)인 경우, 스테이션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룹 리포트가 활성 상태인 경우,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는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이후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롤이 스테이션에게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report rol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롤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스테이션이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한 후 PCR 송수신부를 통해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의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role)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통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role)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WUR 결합 또는 WUR 협상 과정을 통해,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롤(role)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AP는 각각의 스테이션에게 부여된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떠한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부여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트맵 정보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에 매핑되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형식의 정보는 제1 스테이션(WUR STA 2)의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활성 상태로 표시하고, 제2 스테이션(WUR STA 3)의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비활성 상태로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트맵 정보는 스테이션 별로 어웨이크 프레임 롤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의 비트를 사용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정보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에 매핑되는 어웨이크 롤을 나타내는 (‘0’ 또는 ‘1’) 복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AP로부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어웨이크 프레임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활성 상태(report role on)인 경우, 스테이션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후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비활성 상태(report role off)인 경우, 스테이션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후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이 AP로부터 스테이션의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활성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 경우,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한 후에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적어도 AP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이 AP로부터 스테이션의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비활성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 경우,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한 후에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한 후에 AP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이 AP로부터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적어도 AW 요청 프레임에 대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웨이크-업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웨이크-업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일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에게 PCR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복수의 스테이션을 웨이크-업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동일한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G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은 그룹 식별자(GID)를 기초로 웨이크-업 후속 동작에서 사용할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스테이션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수행할 후속 동작을 나타내는 후속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복수의 스테이션 별로 구별되는 후속 동작 정보를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는 복수의 스테이션 별로 서로 다른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복수의 스테이션 별로 구별되는 후속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복수의 스테이션 별로 구별되는 각각의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후속 동작을 식별하는 후속 동작 식별자(S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포함되는 스테이션 별 후속 동작 정보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일부 특정 스테이션을 웨이크-업 하기 위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AP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AP는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맵 형식으로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는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의 WID에 매핑되는 웨이크-업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떠한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부여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는 비트맵 정보를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해당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떠한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이 부여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스테이션의 WURx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WUR 협상 절차를 통해 스테이션에게 할당한 어웨이크 프레임 롤 정보와 다른 어웨이크 프레임 롤 정보를 스테이션에게 할당할 수 있다. AP는 스테이션에게 할당된 어웨이크 프레임 롤 정보를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는 WUR 협상 절차를 통해 제1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하고, 제2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AP는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게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변경된 어웨이크 프레임 롤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AP는 제1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하지 않고, 제2 스테이션에게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하는 비트맵 정보를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 대한 그룹 웨이크-업 패킷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받은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는, 스테이션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또는 웨이크-업한 이후 채널 액세스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는 스테이션이 채널 경쟁 절차를 시도하기 시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는 채널 액세스를 위한 파라미터 결정에 사용되는 AC(Access Category)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AP는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받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채널 액세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그룹 웨이크-업 패킷은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받은 복수의 스테이션 각각 마다 서로 다른 채널 경쟁 절차를 시도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은 WURx를 통해 AP로부터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과정에서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이 속하는 그룹의 그룹 식별자(GID)를 기초로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WURx을 통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의 시그널링 필드를 파싱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수신된 그룹 웨이크-업 패킷의 시그널링 필드가 지시하는 그룹 식별자(GID)와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로부터 획득한 그룹 식별자를 비교하여,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그룹 웨이크-업 패킷의 시그널링 필드가 지시하는 그룹 식별자(GID)와 그룹 매니지먼트 요소를 통해 획득한 그룹 식별자(GID)가 같은 경우,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WURx는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시키는 과정에서 웨이크-업 패킷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URx는 그룹 식별자(GID), 후속 동작 식별자(SID), 웨이크-업 패킷이 수신된 시간(timestam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PCR 송수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룹 웨이크-업 패킷의 경우 동일한 스테이션이 서로 다른 복수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그룹에 대한 웨이크-업인지 구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스테이션이 웨이크-업한 이후 동작과 관련하여,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 받은 제1 스테이션(WUR STA 2)의 동작(도 12) 및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 받지 않은 제2 스테이션(WUR STA 3)의 동작(도 13)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 받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웨이크-업 후에 AP(WUR STA 1)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을 대기하지 않고 AP(WUR STA 1)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AP(WUR STA 1)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제1 스테이션(WUR STA 2)을 포함하는 그룹의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를 기초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간 및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에 기초하여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결정된 전송 시점에 어웨이크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한 이후에 AP(WUR STA 1)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하기 전에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성공적인 프레임 교환에도 불구하고 웨이크-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하기 전에 웨이크-업 딜레이가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보다 짧은 무선 통신 단말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다른 무선 통신 단말이 웨이크-업하기 전에, AP(WUR STA 1)가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게 되어 웨이크-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AP(WUR STA 1)는 제1 스테이션(WUR STA 2)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 프레임은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속한 그룹 식별자(G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속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 응답 프레임은 제1 스테이션(WUR STA 2)로부터 수신한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그룹 응답 프레임은 제1 스테이션(WUR STA 2)을 포함하는 그룹 내의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AW 응답일 수 있다. 그룹 응답 프레임은 그룹 식별자(GID) 및 후술할 그룹 응답 프레임 수신 이후 후속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WUR STA 1)는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속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AP(WUR STA 1)가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한 후, AP(WUR STA 1)는 새로운 채널 경쟁에서 전송 기회를 획득하여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속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AP로부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웨이크-업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 설명된 스테이션이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와 관련된 실시예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응답 프레임은 스테이션이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후속 동작을 나타내는 후속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속 동작 정보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PCR 신호를 사용하여 AP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WUR STA 1)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어떠한 스테이션이 실제로 PCR 단에서 데이터 송수신에 참여할지 식별할 수 있는 비트맵 형식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P는 생성된 비트맵 형식의 정보를 그룹 응답 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 AP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일부 특정 스테이션을 웨이크-업 하기 위해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AP(WUR STA 1)는 그룹 내의 모든 스테이션이 웨이크-업한 이후, 웨이크-업 상태의 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AP로부터 그룹 응답 프레임을 기초로 웨이크-업 상태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WUR STA 1)는 AP(WUR STA 1)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PCR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TIM 정보는 제1 스테이션(WUR STA 2)이 AP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제1 스테이션(WUR STA 2)은 PCR 송수신부를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션(WUR STA 2)과 동일한 그룹 내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일부에 대해 TIM 정보가 AP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할 것임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제1 스테이션(WUR STA 2)과 동일한 그룹 내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일부는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한 일부 스테이션은, AP에게 별도의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WURx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 받지 못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웨이크-업한 경우, AP(WUR STA 1)로부터 전송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AP(WUR STA 1)는 PCR 신호를 통해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그룹 응답 프레임은 도 12를 통해 설명된 그룹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그룹 응답 프레임은 그룹 식별자(GID) 및 후속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AP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어느 스테이션에게도 어웨이크 프레임 롤을 부여하지 않은 경우, 그룹 응답 프레임은 AP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응답 프레임은 도 11을 통해 설명된 제2 스테이션(WUR STA 3)의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AW 요청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WUR STA 1)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한 그룹의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를 기초로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WUR STA 1)가 그룹의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하기 전에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복수의 스테이션 중 웨이크-업 하지 못한 스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AP(WUR STA 1)는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및 웨이크-업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을 기초로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AP(WUR STA 1)는 결정된 전송 시점에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WUR STA 3)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WUR STA 1)는 그룹 웨이크-업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을 기초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의 그룹 웨이크-업 패킷 수신 예정 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AP(WUR STA 1)는 복수의 스테이션의 그룹 웨이크-업 패킷 수신 예정 시간으로부터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한 이후에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WUR STA 1)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그룹 식별자(GID)를 포함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일부 스테이션의 경우, 그룹에 포함된 다른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를 식별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스테이션(WUR STA 2)과 동일한 제1 그룹에 속한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제1 그룹의 그룹 식별자(GID)를 식별하지만, 제1 스테이션(WUR STA 2)의 MAC 어드레스는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제1 그룹 및 제1 그룹과 다른 제2 그룹에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제1 그룹의 그룹 식별자(GID)를 기초로 제1 그룹에 대한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소정의 시간 동안 AP(WUR STA 1)로부터 전송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 동안 제2 스테이션(WUR STA 3)의 PCR 송수신부를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속한 그룹의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및 그룹 응답 프레임의 전송에 소요되는 에어타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가 경과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까지 PCR 송수신부를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은 SIFS 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AP가 그룹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경쟁에서 전송 기회를 획득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소정의 시간 내에 AP(WUR STA 1)로부터 전송되는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PCR 송수신부를 도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AP(WUR STA 1)로 별도의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WURx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 응답 프레임은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속한 그룹에 포함된 다른 스테이션(예를 들어, 도 12의 제1 스테이션(WUR STA 2))로부터 전송된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AP의 그룹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때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스테이션(WUR STA 3)이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AP의 응답인 그룹 응답 프레임을 통해,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웨이크-업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아닌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AP의 응답인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제2 스테이션(WUR STA 3)은 제2 스테이션(WUR STA 3)이 웨이크-업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WUR 비콘을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WUR 비콘(beacon) 전송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PCR을 통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이 AP의 라디오 범위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스테이션은 AP가 전송하는 비콘(beacon)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AP와 연결이 유실(connection lost)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새로운 AP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스캐닝을 시도할 수 있다.
반면,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은 비콘을 비롯해 AP가 PCR로 전송하는 모든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다. 또한,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거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시점까지,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은 PCR 송수신부를 통해 어떠한 프레임도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은 스테이션 또는 AP가 이동함에 따라 AP의 비콘 수신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스테이션이 AP와 송수신 불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지할 수 없다. 스테이션은 PCR 비콘이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테이션이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PCR 신호를 통한 송수신을 시도하는 시점까지, 스테이션은 AP와의 접속이 유실되었음에도 AP로부터 전송되는 웨이크-업 패킷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과 결합되어있는 AP는 WUR을 사용하여 WUR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WUR 비콘은 BSS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UR 비콘은 PCR을 통해 전송되는 비콘이 시그널링하는 정보와 같은 정보를 시그널할 수 있다. WUR 비콘은 웨이크-업 패킷과 마찬가지로 레거시 파트와 WUR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WUR 비콘의 레거시 파트는 웨이크-업 패킷의 레거시 파트와 동일한 역할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WUR 비콘의 WUR 파트는 AP의 식별자 정보와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무선 통신 단말이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한 TSF(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스테이션으로 WUR 비콘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가 WUR 비콘을 전송하는 주기는 PCR 비콘이 전송되는 주기보다 긴 주기일 수 있다. WUR 비콘은 웨이크-업 패킷과는 다르게 수신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정상적인 WUR 비콘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액티브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 하지 않을 수 있다. 수신된 WUR 비콘의 AP의 식별자가 결합한 AP와 다른 경우,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 비콘이 전송되는 주기는 PCR 신호를 통해 송수신되는 WUR 모드 요소, WURx 모드 요청 및 WURx 모드 응답 과정에서 AP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UR 비콘이 주기적으로 전송됨에 따라,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은 상향(uplink, UL)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WURx 를 도즈 상태로 동작시켜 추가적인 파워 세이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테이션은 WUR 비콘이 전송되는 주기를 기초로 WUR 비콘이 전송되는 시점에 WURx를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AP가 PCR을 사용하여 스테이션에 대해 하향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AP는 스테이션에게 WUR 비콘 전송 직후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AP는 WUR 비콘에 PCR을 통해 전송될 하향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Traffic Indication Map(TIM)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는 AP는 PCR을 통해 전송될 하향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TIM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WURx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WUR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스테이션은 네트워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네트워크 채널 환경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스테이션이 결합된 AP로부터 PCR 비콘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액티브 스캐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은 PCR을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와 연결이 유실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UR을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owrk)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센서 및 센서 단말은 WUR 기반 파워 세이브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다.
WUR 주요 응용 네트워크 중의 하나는 센서 네트워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환경은 특정 지역에 다수의 고정된 센서(sensor) 단말이 코인 배터리(coin battery)와 같은 저용량 배터리로 동작하며, 주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CR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센서 단말은 일반적으로 서버(server)가 데이터를 요청(query)하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특별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서버의 요청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PCR 송수신부 외에 추가적으로 WUR 모듈(예를 들어, WURx)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배터리의 제한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센서 단말이 설치된 공간적 범위가 넓고 개방된 공간인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A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내에 설치된 센서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간헐적인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고정된 AP를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 내의 센서 단말이 WURx 모드로 동작이 가능한 경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듀티 사이클 모드(duty-cycl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듀티 사이클 모드는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duty-cycle period) 중 일부 시간 동안 WURx를 도즈 상태로 동작시키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듀티 사이클 주기는 센서 단말이 WURx를 턴온하는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센서 단말이 듀티 사이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센서 단말은 온-듀레이션(on-duration)동안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온-듀레이션은 센서 단말은 듀티 사이클 주기에 따라 턴온된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듀티 사이클 모드를 통해 WURx를 도즈 상태로 동작시켜 추가적인 파워 세이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주기는 WUR 비콘이 전송되는 주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WUR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비콘 수신 시점에 WURx를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단말은 WUR 비콘 주기를 기초로 WUR 비콘이 수신되는 시점에 AP의 데이터 요청을 대기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이 WUR 비콘을 수신하는 시점에 특별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센서 단말은 긴급 리포트(emergency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특별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센서 단말은 WUR 비콘을 수신하는 시점에 긴급 리포트(emergency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WUR 비콘이 수신되는 주기에는 AP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듀티 사이클 주기는 WUR 비콘이 전송되는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단말은 AP와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을 동기화 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단말은 WUR 비콘을 이용하여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을 동기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WUR 비콘은 AP와 센서 단말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한 TSF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단말은 AP로부터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온-듀레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온-듀레이션은 PCR 신호를 통해 센서 단말과 AP간에 송수신되는 WUR 모드 요소, WURx 모드 요청 및 WURx 모드 응답 과정에서 AP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AP는 센서 단말 별로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온-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는 결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온-듀레이션을 각각의 센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단말은 PCR 송수신부를 통해 AP로부터 센서 단말의 듀티 사이클 주기 및 온-듀레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단말은 듀티 사이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부터 온-듀레이션 동안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단말은 WURx를 통해,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부터 온-듀레이션 동안 AP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part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서, 센서 단말은 웨이크-업한 이후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단말은 AP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AW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단말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AP로부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 및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이 AP로부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온-듀레이션이 만료된 이후, 센서 단말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서, 센서 단말은 웨이크-업한 이후 AP로부터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AW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센서 단말은 AP에게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단말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AP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 및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WURx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이 AP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온-듀레이션이 만료된 이후, 센서 단말이 WURx를 턴 오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센서 단말은 웨이크-업 패킷 수신 이후 WURx를 유지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센서 단말이 고정되어 있고 AP가 이동하는 경우, 고정된 센서 단말이 AP로부터 WUR 비콘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은 AP로부터 WUR 비콘이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 동안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AP의 링크 설정을 위한 스캐닝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단말 주변에 AP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센서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센서 단말에게 WUR 비콘이 들리지 않을 경우, 센서 단말은 다시 AP가 센서 단말과 근접한 거리로 오는 시점까지 WURx mode를 유지하다가 WUR 비콘이 들리는 시점에 데이터 요청 수신을 기다리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센서 단말이 센서 단말과 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AP가 이동 가능한 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지 않는 경우, 센서 단말은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이 WUR 협상 과정에서 컨텍스트(context)를 표시(indication)하는 방법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통해 설명한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단말의 컨텍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AP와 관련된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컨텍스트 표시 정보를 센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표시 정보는 링크 설정 절차에서 송수신되는 프로브 요청 및 결합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WUR 능력 요소는 컨텍스트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표시 정보는 링크 설정 절차에서 송수신되는 프로브 요청 및 결합 요청에 포함된 하나의 비트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컨텍스트 표시 정보를 위해 두 비트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가 AP의 이동성(mobility) 여부를 포함하는 경우, AP의 이동성 여부 외에 이동의 정도(예를 들어, 평균 이동 속도)를 추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두 비트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텍스트는 AP가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AP의 이동성(mobility)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AP의 이동성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수 있다. WURx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이동성 여부 표시를 활성화한 AP와 링크를 설정한 경우, WUR 비콘 수신이 중단된 시점에 스테이션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의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테이션은 AP의 WUR 비콘이 다시 수신되는 시점까지 WURx 모드를 유지하고 새로운 AP를 스캐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에서 고정된 센서 단말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로부터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만 AP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AP의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스테이션이 WUR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WURx 모드에서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PCR 송수신부를 통해 AP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랩탑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은 기존 AP로부터의 WUR 비콘이 들리지 않을 경우,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링크 설정을 위한 스캐닝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 여부 표시(Mobility indication)는 스테이션 측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센서 단말과 같은 이동성이 없는 고정형 단말은 WUR 기반 동작 관련 정보를 통해, AP로 센서 단말의 이동성 여부를 비활성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가 이동성이 없는 것으로 시그널링한 센서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AP는 센서 단말의 작동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 단말의 이동성 표시가 비활성화되어 있음에도, AP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위치된 센서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이때, AP는 센서 단말에 배터리 방전과 같은 하드웨어 상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텍스트는 AP의 WUR 동작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는 AP의 WURx 모드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WUR 기반 파워 세이브와 관련하여 AP의 전력 소모 감소 및 간섭(interference)에 의한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 WU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AP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P가 WURx 모드로 동작 가능한 경우, AP가 아닌 스테이션은 AP의 WURx 모드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AP는 WUR 비콘을 전송할 수 없다.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이 AP가 WURx 모드에 진입 한다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스테이션은 비콘 수신 시간에 AP로부터 WUR 비콘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링크 설정을 위한 스캐닝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AP는 스테이션의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응답하지 못할 수 있다. 이동성이 있는 스테이션이 AP가 WURx mode로 동작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이동성으로 인해 연결이 유실(lost)되었거나,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인지 판단하기 위해 AP에게 웨이크-업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의 웨이크-업 패킷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AP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여 WURx 모드를 중단하고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AP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소정의 시간 내에 AP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이동성으로 인해 AP와의 연결이 유실(lost)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다른 AP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이 고정형 센서 단말인 경우 스테이션은 AP의 컨텍스트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의 이동성 여부가 비활성화 되어있고, WURx 모드 동작 여부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스테이션은 AP가 WURx 모드에 있는 것으로 식별(identify)할 수 있다. 스테이션 및 AP가 이동성이 없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AP의 이동성 여부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WURx 모드 동작 여부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지 않고 WURx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UR 단말의 컨텍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에서 설명한 컨텍스트 표시는 WUR 협상 과정에서 WUR 모드 요소 또는 WUR 능력 요소에 포함되어 스테이션과 AP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WURx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이 이동성 여부 표시를 활성화한 AP와 링크를 설정한 경우, 도 16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은 WUR 비콘 수신이 중단된 시점에 스테이션의 후속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8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URx 모드로 동작 가능한 AP의 WURx 모드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AP와 연결된 스테이션은 AP의 WURx 모드 동작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AP가 아닌 스테이션은 연결된 AP에게 WURx 모드 요청을 전송하여 즉각적인 응답(immediate response)과 같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WURx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즉각적인 응답은 어느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미리 지정된 간격은 SIFS일 수 있다. AP와 같이 링크가 설정되어있는 스테이션의 수가 복수인 무선 통신 단말의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연결된 모든 스테이션에게 WURx 모드 요청 및 응답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WURx 모드 요청을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할 경우, 일부 스테이션이 AP의 WURx 모드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테이션 중에서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일부 스테이션은 AP의 WURx 모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AP는 WURx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BSS내에 포함된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WURx 모드 요청을 복수회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또는 AP는 웨이크-업 패킷 또는 WUR 비콘에 AP가 WURx 모드로 진입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AP는 AP가 WURx 모드로 진입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 또는 WUR 비콘을 스테이션에게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AP는 WUR 신호를 기반으로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에게 WURx 모드로 동작할 것임을 전송할 수 있다.
WURx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AP가 WURx 모드로 진입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패킷 또는 WUR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은 상향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웨이크-업을 수행한 후에 PCR 송수신부를 통해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는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 동안 WURx 모드로 동작중인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어웨이크 프레임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한, AP가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딜레이 내에 어웨이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AP는 WURx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AP의 WUR 동작 관련 정보는 WUR 비콘에 포함되는 WUR 비콘 주기(interval) 필드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데, WUR 비콘에 포함된 WUR 비콘의 주기가 0 또는 기 설정된 최대 값(maximum value)인 경우, 스테이션은 해당 WUR 비콘을 수신한 시점부터 AP가 WURx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WUR 비콘의 비콘 주기 필드가 0 또는 기 설정된 최대 값인 경우, 스테이션은 AP로부터 WUR 비콘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AP가 WURx 모드 동작을 마친 경우 AP는 WUR 비콘 주기를 재 조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AP가 WURx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경우, 도 16에서 컨텍스트 표시와 관련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WUR 비콘이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의 동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AP는 WURx 모드로 동작하면서 기 설정한 WUR 비콘 주기 마다 AP의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WUR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CR 송수신부가 도즈 상태에서 AP는 기 설정한 WUR 비콘 주기 마다 AP의 PCR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여 WUR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는 WUR 비콘 주기를 PCR이 도즈 상태가 아닌 경우 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AP는 변경된 WUR 비콘 주기를 스테이션으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을 통해 AP는 스테이션이 WUR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AP는 WUR 비콘 주기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WUR 비콘을 WURx 모드로 동작 중인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는 WUR 비콘 주기를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AP는 WUR 비콘 주기를 나타내는 심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AP는 WUR 비콘 주기를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duration)을 갖는 구간의 개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AP는 변경된 WUR 비콘 주기에 따라 이전의 WUR 비콘 주기에 비해 몇 개의 구간이 증감되었는지를 시그널링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WURx 모드 및 듀티 사이클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AP가 시그널링하는 WUR 비콘 주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WUR 비콘 수신을 위해 스테이션의 WURx를 액티브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WURx 모드 및 듀티 사이클 모드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적어도 결정된 시간 구간까지 WURx를 액티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제1 웨이브 폼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1 웨이브 폼과 다르고, 온-오프 킹(on-ff keying)을 기초로 생성된 제2 웨이브 폼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한 첫 번째 프레임 교환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duty-cycle period)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on-duration)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 및 상기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턴온(turn-on)하는 주기를 나타내며,
    상기 온-듀레이션은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에 따라 턴온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어웨이크 프레임을 요청하는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 상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웨이크-업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첫 번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주기의 시작 시점부터 기 설정된 온-듀레이션 동안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 및 상기 온-듀레이션이 만료되는 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턴온하는 주기를 나타내며,
    상기 온-듀레이션은 상기 듀티 사이클 주기에 따라 턴온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어웨이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어웨이크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기초로 웨이크-업한 때부터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은,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PCR 전환 딜레이를 기초로 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에게 상기 제1 웨이브-폼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의 PCR 전환 딜레이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을 나타내는 최대 PCR 전환 딜레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을 산정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PCR 전환 딜레이는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PCR 전환 딜레이는 그룹 별로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식별자를 기초로 최대 PCR 전환 딜레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각각에게 상기 제1 웨이브 폼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트리거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웨이크-업 패킷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에게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무선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은 그룹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의 그룹 식별자 필드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패킷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별로 구별되는 후속 동작 정보 및 상기 웨이크-업 패킷이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WUR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UR 식별자 및 상기 후속 동작 정보를 기초로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무선 통신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게 할당된 WUR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획득한 WUR 식별자와 상기 웨이크-업 패킷에 포함된 WUR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의 웨이크-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웨이크-업하는, 무선 통신 단말.
KR1020227035923A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62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5195A KR20240005237A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7158 2017-01-16
KR1020170007158 2017-01-16
KR20170055994 2017-05-02
KR1020170055994 2017-05-02
KR1020197023761A KR102456702B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PCT/KR2018/000766 WO2018131991A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61A Division KR102456702B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95A Division KR20240005237A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674A true KR20220146674A (ko) 2022-11-01
KR102620316B1 KR102620316B1 (ko) 2024-01-03

Family

ID=6283984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923A KR102620316B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237045195A KR20240005237A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197023761A KR102456702B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95A KR20240005237A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197023761A KR102456702B1 (ko) 2017-01-16 2018-01-16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765657B2 (ko)
KR (3) KR102620316B1 (ko)
WO (1) WO2018131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16B1 (ko) 2017-01-16 2024-01-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10433253B2 (en) * 2017-02-21 2019-10-01 Intel IP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ode transition for wake up receiver
CN108811047A (zh) 2017-04-26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接入点、终端设备及无线接入点唤醒终端设备的方法
EP4344314A1 (en) * 2017-05-05 2024-03-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cedures and mechanisms for narrowband multi-channel transmission for wake up radios
US20190059056A1 (en) * 2017-08-18 2019-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wakeup signal through millimeter wave and sub-6 ghz bands
EP3671661A4 (en) * 2017-09-06 2020-08-12 Sony Corporation DOOR DEVICE AND PROCESS FOR DOOR DEVICE
US20190132796A1 (en) * 2018-01-29 2019-05-02 Po-Kai Huang Wake-up frame indication
WO2019156478A1 (ko) * 2018-02-06 2019-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US11147016B2 (en) * 2018-05-07 2021-10-12 Intel Corporation Transition delay indication
EP3847853B1 (en) * 2018-09-04 2024-01-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uty cycled low power multi-user transmission
CN110913461B (zh) * 2018-09-18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1356946B2 (en) * 2019-05-02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wake-up signal
US11985597B2 (en) * 2021-08-05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periodic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ommunications
CN117955783A (zh) * 2022-10-31 202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8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콘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20100034392A (ko) * 2008-09-24 2010-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US9191891B2 (en) * 2012-11-0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up sign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for WLAN
US20150334650A1 (en) * 2014-05-16 2015-11-19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existence between low power stations and non-low power s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811A (ko) * 2010-03-10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상태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098725A1 (en) * 2012-10-10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rotocol data units
US9826482B2 (en) * 2015-06-26 2017-11-21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ine grained wake-up modes for Wi-Fi/BT utilizing wake-up receiver
US9736779B2 (en) * 2015-06-26 2017-08-1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obile platform power management using low-power wake-up signals
KR20170141541A (ko) * 2016-06-15 2017-12-26 주식회사 벤플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097679A1 (ko) * 2016-11-28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웨이크 업 라디오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20316B1 (ko) 2017-01-16 2024-01-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8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콘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20100034392A (ko) * 2008-09-24 2010-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US9191891B2 (en) * 2012-11-0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up sign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for WLAN
US20150334650A1 (en) * 2014-05-16 2015-11-19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existence between low power stations and non-low power station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 Discovery using WUR, IEEE (2016.11.08.) *
LP-WUR(Low-Power Wake-Up Receiver) Follow-Up, IEEE (2016.03.14.) *
Overall MAC Procedure for WUR, IEEE (2016.11.07.) *
WUR MAC Consideration, IEEE (2016.11.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5657B2 (en) 2023-09-19
KR102456702B1 (ko) 2022-10-20
KR20190105069A (ko) 2019-09-11
US20230397108A1 (en) 2023-12-07
WO2018131991A1 (ko) 2018-07-19
KR20240005237A (ko) 2024-01-11
KR102620316B1 (ko) 2024-01-03
US20200015166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702B1 (ko)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439805B1 (ko) 무선랜 환경에서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1134376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wake-up radio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KR101507868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절약-폴링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373415B2 (ja)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ベースの動作方法及び装置
JP6313460B2 (ja)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に基づく動作方法及び装置
US20170071022A1 (en) Session management between different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17707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ake-up radio
KR20200091886A (ko)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2015002336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0953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저전력 장치를 위한 프레임 교환 방법 및 장치
US10506513B2 (en) Method for performing pag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WO2015105392A1 (ko)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5013815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 어드레스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9159A (ko) 가변 길이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202302173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wake-up radio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200116674A (ko) 무선랜 광대역 환경에서 웨이크업 라디오 단말의 디스커버리 프레임 처리 방법
KR20190047372A (ko) 무선랜 광대역 환경에서 웨이크업라디오 단말의 프레임 구성 방법
KR20190117401A (ko) 블룸 필터를 이용한 wur 멀티캐스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