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168A -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168A
KR20220146168A KR1020210053104A KR20210053104A KR20220146168A KR 20220146168 A KR20220146168 A KR 20220146168A KR 1020210053104 A KR1020210053104 A KR 1020210053104A KR 20210053104 A KR20210053104 A KR 20210053104A KR 20220146168 A KR20220146168 A KR 2022014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ration panel
front portion
manipulation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섭
김정윤
박정아
최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168A/ko
Priority to PCT/KR2022/003004 priority patent/WO2022225171A1/ko
Publication of KR2022014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168A/ko
Priority to US18/452,564 priority patent/US202400112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와,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과,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operation panel asssembly for electric appliances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물 및 습기로부터 조작 패널 조립체 내부의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기는 전기 기기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전기 기기의 동작를 표시하는 조작 패널 조립체를 구비한다.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전기 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전기 기기의 사용환경에 따라서 외부의 습기 및/또는 물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전장품을 포함한다. 전장품은 사용자의 조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조작부와 전기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은 조작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가 마련된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이 물 및/또는 습기에 노출되면 전장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전기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조작 패널 조립체를 채용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조가 마련된 본체; 조작 입력과 상기 본체의 작동 상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조작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코팅층은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조작 패널 기판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전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면에 융착되는 융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과 마주보는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은 부품면이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부품면을 덮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을 채우는 방수 몰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코팅층은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조작 패널 기판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전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면에 융착되는 융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과 마주보는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은 부품면이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부품면을 덮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을 채우는 방수 몰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컨포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면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과 마주보며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전면부와 함께 제2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면부를 구비하는 제2커버; 부품면이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부품면을 덮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을 채우는 방수 몰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조작 패널 기판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전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면에 융착되는 융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이 제1커버의 제1전면부에 의하여 덮여 있으므로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이 습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방수 몰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조작 패널 조립체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D-D'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E-E'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A-A'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제1커버(100)의 개구,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전자 부품 등은 생략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제1커버(100), 조작 패널 기판(300), 제2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101)와, 제1전면부(101)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00)는 제1전면부(101)의 반대쪽, 즉 후면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전면부(101)와 제1측면부(102)는 조작 패널 기판(300)을 수용하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측면부(102)는 제1전면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전면부(101)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을 받기 위한 제1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전기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2개구(12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121)는 스위치 소자, 다이얼 소자 등을 위한 개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개구(122)는 점멸 표시 소자, 예를 들어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위한 개구일 수 있으며, 제2개구(123)는 디스플레이 소자, 예를 들어 세븐 세그먼트 표시 소자(seven segment display element)를 위한 개구일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커버(100)의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301)과 제1면(301)의 반대면인 제2면(302)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수용 공간(390)에 수용된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커버(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면(301)이 제1전면부(101)을 향하도록 제1커버(100)의 내측, 즉 제1수용 공간(390)에 배치된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커버(100)에 예를 들어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면(301)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단면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1면(301)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전자 부품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을 받기 위한 조작 소자(3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소자(321)는 예를 들어 누름 압력, 정전기 등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 소자, 회전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다이얼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소자(321)는 누름 압력에 의하여 동작되는 택트 스위치이다.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되면, 조작 소자(3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0)의 제1개구(121)와 정렬된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도 6: 500)의 조작부(도 6: 521)를 누름으로써, 제1개구(121)를 통하여 조작 소자(3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전자 부품은 전기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322)(32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322)(323)는 각각 제1커버(100)의 제2개구(122)(123)와 정렬된다. 표시 소자(322)는 예를 들어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점멸 표시 소자일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되면, 표시 소자(3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0)의 제2개구(122)와 정렬된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도 6: 500)의 표시부(도 6: 522) 및 이와 연통된 제2개구(122)를 통하여 표시 소자(322)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소자(323)는 예를 들어 세븐 세그먼트 표시 소자(seven segment display element)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도면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되면, 표시 소자(323)는 제1커버(100)의 제2개구(123)와 정렬된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도 6: 500)의 표시부(도 6: 523) 및 이와 연통된 제2개구(123)를 통하여 표시 소자(323)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복수의 조작 소자(3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에는 복수의 조작 소자(32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개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복수의 표시 소자(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에는 복수의 표시 소자(322)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개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복수의 표시 소자(3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에는 복수의 표시 소자(323)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개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커버(200)는 조작 패널 기판(300)을 기준으로 하여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제2커버(200)는 제1전면부(101)와 마주보게 제1커버(100)에 결합되어 제1수용 공간(390)을 폐쇄한다.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 및 제1측면부(102)와 함께 조작 패널 기판(300)이 수용되는 닫힌 제1수용 공간(39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과 마주보는 제1수용 공간(390)을 닫는 제2전면부(20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와 제2커버(200)의 제2전면부(201)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 제2커버(200)의 제2전면부(201), 및 제1커버(100)의 제1측면부(102)에 의하여 닫힌 제1수용 공간(390)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커버(200)는 스냅핏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하여 제1커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의 제1측면부(10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커버(200)에는 제1커버(100)의 제1측면부(102)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커버(100)의 제1측면부(102)와 연장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 제2커버(200)의 제2전면부(201), 제1커버(100)의 제1측면부(102), 및 제2커버(200)의 연장부에 의하여 닫힌 제1수용 공간(390)이 정의될 수 있다.
종래의 제1커버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조작 패널 기판은 부품면이 개방된 전면부를 향하도록 제1커버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커버는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이 조작 패널의 후면부를 향하도록, 즉 제1커버의 개방된 전면부가 조작 패널의 후면부를 향하도록 조작 패널에 결합된다. 이 구조에서는, 제1커버의 전면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커버와 조작 패널 기판이 결합된 기판 조립체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이 제1커버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하여 습기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기판 조립체가 조작 패널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 패널을 통하여 조작 패널 기판에 습기가 침투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조작 패널 기판이 제1커버에 조립된 후에 조작 패널 기판의 부품면이 완전히 묻히도록 제1커버의 내부에 방수 몰딩액,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몰딩액을 주입하고, 경화하여 방수 몰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공정에는, 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 및 혼합하기 위한 장비, 경화를 위한 건조 장비, 및 이를 운용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설비 비용과 인건비로 인하여 조작 패널 조립체의 제조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제1커버(100)가 제1전면부(101)의 반대쪽, 즉 후면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조작 패널 기판(300)은 제1면(301), 즉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부품면이 제1전면부(101)를 향하도록 제1커버(100)에 결합된다.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의 개방된 후면부를 폐쇄한다.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에 결합되어 조작 패널 기판(300)이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390)을 닫는다. 이에 의하여, 제1커버(100), 조작 패널 기판(300), 및 제2커버(200)를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10)가 구현된다. 조작 패널 기판(300)이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390)은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에 의하여 거의 폐쇄된다. 또한, 조작 패널 기판(300)의 부품면, 즉 제1면(301)이 제1커버(100)의 전면부(101)에 의하여 덮여 있으므로, 제1커버의 전면부가 완전히 개방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작 패널 기판(300)의 부품면이 습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우레탄 방수 몰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조작 패널 조립체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 패널 조립체는 조작 패널 기판(300)의 부품면, 즉 제1면(301)에 방수 코팅층(310)이 형성된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작 패널 조립체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방수 코팅층(310)은 유기 용매 코팅제를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1면(301)에 분사 또는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컨포멀 방수 코팅층(3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일 수 있다. 유기 용매 코팅제는 예를 들어 다우코닝사의 LDC 2577과 같은 톨루엔 기반의 코팅제일 수 있다.
기판 전체가 묻히는 몰딩층과는 달리 컨포멀 방수 코팅층은 기판 표면에만 형성되므로, 코팅제의 소요량이 몰딩제의 약 1/10 정도이다. 가열 건조가 필요한 몰딩층과 달리 컨포멀 방수 코팅층은 자연 건조가 가능하다. 몰딩층은 약 40분의 건조시간이 필요한데 대하여, 콘포멀 방수 코팅층의 건조 시간은 약 10분 정도이다. 몰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조작 패널 기판(300)에 몰딩제가 통과되는 다수의 홀이 마련되어야 하며, 몰딩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커버(100)의 수평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스위치 소자나 표시 소자가 몰딩층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몰딩층에 잠겨서 작동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컨포멀 방수 코틴층은 도포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제1커버(100)의 수평 설계가 필요없으며, 스위치 소자나 표시 소자의 코팅층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적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제2커버(200)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와 마주보는 제2전면부(201)와, 제2전면부(201)로부터 제1커버(100)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측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2커버(200)는 제2전면부(201)의 반대쪽, 즉 후면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제2커버(200)의 제2전면부(201)와 제2측면부(202)에 의하여 제2수용 공간(4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 공간(490)에 메인 기판(400)이 배치된다. 메인 기판(400)은 전기 기기의 구동과 제어를 위한 전기/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도시되지 않은 연결 수단, 예를 들어 케이블 등에 의하여 메인 기판(400)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기판(400)은 부품면(401)이 제2전면부(201)의 반대쪽, 즉 개방된 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메인 기판(400)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메인 기판(400)의 부품면을 덮는 방수 몰딩층(410)이 마련될 수 있다. 방수 몰딩층(410)은 예를 들어 제2수용 공간(490)을 채울 수 있다. 방수 몰딩층(41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몰딩층일 수 있다. 메인 기판(400)의 부품면(401)은 방수 몰딩층(410)에 묻힌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패널 기판(300)이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390)을 폐쇄하는 제2커버(200)를 메인 기판(400)의 설치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으므로,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전기 기기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조작 소자(321)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력이 작용된다. 조작력은 예를 들어 조작 소자(321)를 누르는 힘일 수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은 평탄하게 제1커버(100)에 결합될 필요가 있다. 조작 패널 기판(300)이 아래쪽으로 휘면, 조작 소자(321)와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사용자의 조작력이 조작 소자(321)에 전달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소자(321)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조작 패널 기판(300)이 아래쪽으로 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력이 조작 소자(321)에 전달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조작 패널 조립체에는 조작 패널 기판(30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 기판(300)에 관통공(331)이 마련된다. 관통공(331)은 조작 패널 기판(3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공(331)은 조작 소자(32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커버(100)에는 융착 돌기(130)가 마련된다. 융착 돌기(130)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로부터 후면부쪽으로 돌출된다. 융착 돌기(130)는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될 때에 관통공(331)에 삽입되어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2면(302)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1커버(100)에는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1면(301)이 지지되는 지지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32)는 예를 들어 제1전면부(101)로부터 후면부쪽으로 돌출된 리브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32)로부터 융착 돌기(130)의 단부(131a)까지의 길이는 조작 패널 기판(300)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되면, 융착 돌기(130)의 단부(131a)는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2면(30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131a)를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2면(302)에 융착한다. 융착은 예를 들어 초음파 융착 공정, 열 융착 공정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며,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2면(302)에 융착 머리(131)가 형성된다. 융착 머리(131)의 직경은 관통공(331)의 직경보다 크다.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2면(302)이 융착 머리(13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조작 패널 기판(300)이 제1커버(100)에 결합될 때에 조작 패널 기판(300)의 후방으로의 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소자(321)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한 조작 패널 기판(300)의 후방으로의 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D-D'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제1커버(100)의 개구,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전자 부품 등은 생략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의 개략적인 E-E'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작 패널 조립체는 조작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500)은 제1커버(100)의 개구(121)(122)(123)를 통하여 조작 패널 기판(300)의 제1면(301)에 실장된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와 대향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기판 조립체(10)는 조작 패널(50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 조립체(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 패널(500)은 조작 패널 조립체의 최외곽을 형성한다. 조작 패널(500)은 프레임(501)과 표시 조작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조립체(10)는 프레임(501)의 내측에 나사 체결 방식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조작부(502)는 프레임(501)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조작부(502)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는 조작부(521)와 사용자가 전기 기기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시부(522)(523)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521)는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 또는 터치하는 부분으로서, 조작부(521)임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표시 조작부(502)의 표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조작부(521)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다. 표시부(522)(523)는 광이 통과될 수 있는 부분이다. 표시부(522)(523)는 예를 들어 광을 산란시키도록 디밍 처리될 수 있다. 표시 조작부(502)에는 조작부(521)와 표시부(522)(523)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도안이 인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501)에는 제3개구(511)가 마련된다. 제3개구(511)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에 마련된 제1개구(121)와 정렬된다. 제3개구(511)에는 버튼(503)이 마련될 수 있다. 버튼(503)은 예를 들어 탄력 아암(504)에 의하여 프레임(501)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521)는 버튼(503)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조작부(521)에 조작력이 가해지면,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 아암(504)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버튼(503)에 조작 패널 기판(300) 쪽으로 눌린다. 그러면, 버튼(503)의 누름부(503a)가 조작 패널 기판(300)에 실장된 조작 소자(321)를 눌러 조작 소자(3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조작 소자(321)의 조작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을 통하여 메인 기판(400)으로 전달되며, 메인 기판(400)은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521)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버튼(503)은 탄력 아암(50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501)에는 제4개구(512)가 마련된다. 제4개구(512)는 제1커버(100)의 제1전면부(101)에 마련된 제2개구(122)와 정렬된다. 표시부(522)는 제4개구(512)를 덮는다. 표시 소자(322)가 점등되면 광이 제2개구(122) 및 제4개구(512)를 통과하며, 사용자는 표시부(522)를 통하여 표시 소자(322)가 점등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전기 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501)에는 제1커버(100)에 마련된 제2개구(123)와 정렬되는 제5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523)는 제5개구를 덮는다. 표시 소자(323), 예를 들어 세븐 세그먼트 표시 소자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는 제2개구(123) 및 제5개구를 통하여 표시부(523)에 투사되며, 사용자는 표시부(523)를 통하여 표시 소자(323)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전기 기기는 탑로딩방식의 세탁기이다. 도 10에 도시된 전기 기기는 드럼방식의 세탁기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세탁기는 본체(1)와, 조작 입력과 본체(1)의 상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조작 패널 조립체(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는 세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12)는 본체(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될 수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는 세탁조(11)로 물을 공급하고 세탁조(11)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급수 및 배수 구조, 세탁조(11) 또는 세탁조(11) 내부의 물과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구동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 조립체(2)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조작 패널 조립체(2)는 본체(1)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 패널(500)는 하우징(11)과 함께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작 패널(500)의 조작부(521)를 통한 조작 입력은 조작 패널 기판(300)을 거쳐 조작 신호의 형태로 메인 기판(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 기판(400)은 조작 신호에 따라서 본체(1)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다. 본체(1)의 조작 상태는 조작 패널(500)의 표시부(522)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 기기는 건조기일 수 있다. 본체(1)는 건조 대상물, 예를 들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 용기와, 건조 용기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구조, 필요에 따라서 건조 용기를 회전시키는 구동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기기는 탈수기일 수도 있다. 본체(1)는 탈수조, 탈수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배수 구조,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구동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식기 세척기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세탁조가 마련된 본체;
    조작 입력과 상기 본체의 작동 상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조작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코팅층은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기판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전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면에 융착되는 융착 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과 마주보는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이 개방된 형상인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은 부품면이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부품면을 덮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을 채우는 방수 몰딩층;을 포함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된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전면부로부터 연장된 제1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
    상기 개구와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전면부을 향하도록 상기 제1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 기판;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을 닫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코팅층은 컨포멀(conformal)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기판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전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작 패널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면에 융착되는 융착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과 마주보는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이 개방된 형상인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은 부품면이 상기 제2전면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의 상기 부품면을 덮도록 상기 제2수용 공간을 채우는 방수 몰딩층;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면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KR1020210053104A 2021-04-23 2021-04-23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KR20220146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04A KR20220146168A (ko) 2021-04-23 2021-04-23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PCT/KR2022/003004 WO2022225171A1 (ko) 2021-04-23 2022-03-03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US18/452,564 US20240011214A1 (en) 2021-04-23 2023-08-21 Operation panel assembly for electric appliances and washing machine employ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04A KR20220146168A (ko) 2021-04-23 2021-04-23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168A true KR20220146168A (ko) 2022-11-01

Family

ID=8372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04A KR20220146168A (ko) 2021-04-23 2021-04-23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11214A1 (ko)
KR (1) KR20220146168A (ko)
WO (1) WO20222251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665A (ko) * 2005-03-17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코팅 가이드 위치 결정 구조
KR101166192B1 (ko) * 2005-08-29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100959979B1 (ko) * 2007-12-17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JP5938553B2 (ja) * 2012-01-13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6051153B2 (ja) * 2013-12-25 2016-12-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171A1 (ko) 2022-10-27
US20240011214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0352B2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485709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odule set and wash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258541B2 (ja) 操作表示装置
US11291131B2 (en) Electrical appliance device containing a knob
JP2008000251A (ja) 操作表示装置
CN108532234B (zh)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JP2015043826A (ja) 洗濯機
KR20080000442A (ko) 세탁기
JP2014054491A (ja) 洗濯機
JP2014054491A5 (ko)
TW201540895A (zh) 洗濯機
US11162203B2 (en) Appliance control module with in-molded electronics
KR20220146168A (ko) 전기 기기의 조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세탁기
KR20070080071A (ko) 세탁기
JP2016059715A (ja) 洗濯機
KR100465699B1 (ko) 세탁기의 컨트롤러 어셈블리
KR20070067367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2014217778A (ja) 洗濯機
KR20020023065A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부
KR100495054B1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CN217279538U (zh) 一种触摸显示按键及触摸显示装置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3928676B1 (en) Dishwasher
CN211722733U (zh) 烹饪器具
KR20040073774A (ko) 세탁기의 인쇄회로기판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