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727A -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727A
KR20220145727A KR1020210090488A KR20210090488A KR20220145727A KR 20220145727 A KR20220145727 A KR 20220145727A KR 1020210090488 A KR1020210090488 A KR 1020210090488A KR 20210090488 A KR20210090488 A KR 20210090488A KR 20220145727 A KR20220145727 A KR 2022014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generating
sig
encoded
e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김진민
전은성
이욱봉
정철호
한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659,60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45349A1/en
Priority to CN202210418724.2A priority patent/CN115242590A/zh
Priority to EP22169588.5A priority patent/EP4084426A1/en
Publication of KR2022014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04L1/000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by supplementing frame payload, e.g. with padding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장치는, 송수신기, 및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그널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반복된 OFDM 심볼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RANGE TRANSMISS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일예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해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기술로, WLAN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 기초할 수 있다. 802.11 표준은 802.11b, 802.11a, 802.11g, 802.11n, 802.11ac 및 802.11ax 등으로 발전했으며, 직교 주파수 분할 방식(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술에 기초하여 1Gbyte/s까지의 송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802.11ac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MIMO) 기법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HE(high efficiency)로 지칭되는 802.11ax에서는, MU-MIMO 뿐만 아니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기술도 적용하여 이용 가능한 부반송파를 사용자들에게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중 접속을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802.11ax가 적용된 WLAN 시스템은 밀집 지역 및 실외에서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EHT(extremely high throughput)로 지칭되는 802.11be에서는, 6GHz 비면허 주파수 대역 지원, 채널당 최대 320MHz의 대역폭 활용,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도입, 최대 16X16 MIMO 지원 등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WLAN 시스템은 5G 기술인 NR(new radio)처럼 저지연성(low latency) 및 초고속 송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원거리 송신을 위하여 설계된 프리앰블(preamble)을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제1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시그널 필드 및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인코딩된 블록을 변조함으로써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OFDM 심볼 블록을 반복함으로써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제2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1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제2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PPDU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제2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OFDM 심볼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장치는, 송수신기, 및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그널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반복된 OFDM 심볼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제1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시그널 필드 및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인코딩된 블록을 반복함으로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변조함으로써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제2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1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제2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PPDU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제2 시그널 필드의 OFDM 심볼들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변조된 블록을 복조함으로써,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다른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장치는, 송수신기, 및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그널 필드는,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이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가 원거리의 수신측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신측은 프리앰블에 포함된 패턴의 반복 횟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의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된 패턴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 송신의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신측은 반복되는 패턴들을 용이하게 결합(combination)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 송신이 복잡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원거리 송신의 높은 신뢰도에 기인하여 무선 통신의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필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필드를 포함하는 블록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필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다중 사용자에 대한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 사용자에 대한 송신 또는 사운딩 NDP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PPDU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원거리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비트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비트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예시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또는 OFDMA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IEEE 802.11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 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NR(new radio),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같은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그 프로그램들 각각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시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성분, 명령어 집합, 절차,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구현에 적합한 그들의 일부를 일컫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말은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말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기타 신호들을 송신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기타 통신링크들을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학 디스크나 삭제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엔트리(entry)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1, AP2),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4 스테이션(ST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1, AP2)는 인터넷,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또는 다른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3)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커버리지 영역(11) 내에서 네트워크(13)에 대한 접속을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4 스테이션(STA4)에 제공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 역시 제2 커버리지 영역(12) 내에서 네트워크(13)에 대한 접속을 제3 및 제4 스테이션(STA3, STA4)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1, AP2)는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다른 임의의 WLAN 접속 기술에 기초하여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4 스테이션(STA4)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subscriber) 스테이션, 단말(terminal),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사용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모바일 폰,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이 휴대형(mobile)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등과 같이 고정형(stationary)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테이션은 제1 장치로서 지칭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장치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의 예시들이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자원 단위(resource unit; RU)를 할당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자원 단위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자원 단위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802.11ax(이하 HE)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자원 단위만을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 할당할 수 있는 한편, 802.11be(이하 EHT) 또는 차세대 IEEE 802.11 표준들(이하 EHT+)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2이상의 자원 단위들을 포함하는 다중 자원 단위(multi-resource unit; MRU)를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4 스테이션(STA4) 중 적어도 하나에 다중 자원 단위를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다중 자원 단위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은 원거리(extended range)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측은 반복된 패턴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원거리의 수신측에 송신할 수 있고, 취약한 채널 상태에도 불구하고 수신측은 반복된 패턴들에 기초하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높은 정확도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리지 영역(11) 및 제2 커버리지 영역(12)이 확장될 수 있다. 도 3 등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프리앰블(preamble)은 PPDU를 처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가 송신측에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원거리 송신을 위하여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앰블에 포함된 정보가 원거리의 수신측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은 프리앰블에 포함된 패턴의 반복 횟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의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된 패턴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 송신의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은 반복되는 패턴들을 용이하게 결합(combination)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거리 송신의 복잡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송신의 높은 신뢰도에 기인하여 무선 통신의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EHT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다른 프로토콜 표준, 예컨대 EHT+에도 적용될 수 있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2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블록도는 무선 통신 시스템(20)에서 상호 통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를 나타낸다. 도 2의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 각각은 무선 통신 시스템(20)에서 통신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 각각은 WLAN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스테이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통신 장치(21)는 안테나(21_2), 송수신기(21_4) 및 처리 회로(21_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 송수신기(21_4) 및 처리 회로(21_6)는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패키지들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무선 통신 장치(22) 역시 안테나(22_2), 송수신기(22_4) 및 처리 회로(22_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안테나(21_2)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고, 송수신기(21_4)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는 빔포밍(beamforming)을 위하여 위상 배열(phased array)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21_4)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안테나(21_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신호를 처리 회로(21_6)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_4)는 처리 회로(21_6)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신호를 안테나(21_2)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21_4)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믹서(mixer), 필터,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오실레이터 등과 같은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21_4)는 처리 회로(21_6)의 제어에 기초하여 안테나(21_2)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또는 처리 회로(21_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회로(21_6)는 송수신기(21_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제2 무선 통신 장치(22)가 송신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21_6)는 송수신기(21_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및/또는 디코딩(decoding)함으로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21_6)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 및/또는 변조(modulation)함으로써 생성된 신호를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1_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이 프로그램가능한(programmable)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이 재구성가능한(reconfigurable)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IP(intellectual property) 코어 등과 같이 고정된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1_6)는 데이터 및/또는 일련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해당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수신기(21_4) 및/또는 처리 회로(21_6)가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가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포함된 송수신기 및/또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스테이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스테이션에 포함된 송수신기 및/또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EHT MU PPDU의 구조를 나타낸다. HE는 HE MU PPDU 및 HE SU(single user) PPDU를 정의하는 한편, EHT는 EHT SU PPDU를 정의하지 아니할 수 있고, EHT MU PPDU를 단일 사용자에 송신할 수 있다. EHT MU PPDU는,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또는 비압축 모드(non-compressed mode)로 설정될 수 있고, 비압축 모드에서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EHT MU PPDU는 트레이닝 필드들 및 시그널링 필드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EHT MU PPDU는 프리앰블에서, L-STF(legacy-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signal) 필드, RL-SIG(repeated legacy-signal) 필드, U-SIG(universal signal) 필드, EHT-SIG(extremely high throughput-signal) 필드, EHT-STF(extremely high throughput-short training field) 및 EHT-LTF(extremely high throughput-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HT MU PPDU는 페이로드에서, 데이터 필드 및 PE(packet exten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U-SIG 필드는 U-SIG으로 단순하게 표현될 수 있고, 제1 필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EHT-SIG 필드는 EHT-SIG으로 단순하게 표현될 수 있고, 제2 필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L-STF는 짧은(short) 트레이닝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검출(frame detec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검출(diversity detection), 조대(coarse) 주파수/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LTF는 긴(long) 트레이닝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정밀(fine) 주파수/시간 동기화 및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IG 필드는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데이터 길이(data l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L-SIG 필드에서 L-SIG 필드가 반복될 수 있다.
U-SIG 필드(또는 U-SIG)는 EHT MU PPDU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 공통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HE의 HE-SIG-A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G 필드는 버전에 독립적인 필드들 및 버전에 종속적인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SIG 필드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및 테일(tail)에 각각 대응하는 필드들 및 보류된(reserved) 비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전에 독립적인 필드들은 상이한 세대(generation) 및/또는 물리 버전(physical version)에서 고정된(static) 위치 및 비트 정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SIG 필드는, 후술되는 EHT-SIG 필드와 상이하게, 단일 변조 방식, 예컨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 U-SIG 필드의 예시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EHT-SIG 필드는 가변적인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및 길이를 가질 수 있고, HE의 HE-SIG-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사용자에 EHT MU PPDU가 송신되는 경우, EHT-SIG 필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필드 및 사용자에 종속적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특정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G 필드는 고정된 길이(예컨대, 8μs)를 가질 수 있는 한편, EHT-SIG 필드는 가변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통 필드는, U-SIG 오버플로우, non-OFDMA 사용자들의 총 수, 자원 단위 할당 서브필드(RU allocation subfield; RUA)를 포함할 수 있다. non-MU MIMO를 위한 사용자 특정 필드는 STA-ID 서브필드, MCS 서브필드, NSTS 서브필드, Beamformed 서브필드 및 코딩(coding)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MU-MIMO를 위한 사용자 특정 필드는 STA-ID 서브필드, MCS 서브필드, 코딩 서브필드 및 공간 구성(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HT-SIG 필드는, 2이상의 변조 방식들, 예컨대 BPSK, QBPSK(quadrature binary phase shift keying) 등 중 하나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EHT MU PPDU에 포함되는 U-SIG 필드를 나타내고,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HT-SIG 필드가 U-SIG 필드에 후속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U-SIG 필드는 U-SIG-1 및 U-SIG-2를 포함할 수 있다. U-SIG-1 및 U-SIG-2는 2개의 OFDM 심볼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6 비트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U-SIG-1은, 버전에 독립적인 필드들로서 3 비트의 물리 버전 식별자 필드, 3 비트의 대역폭 필드, 1 비트의 UL/DL 필드, 6 비트의 BSS 컬러 필드, 7 비트의 TXOP 필드 및 1 비트의 유효(validat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SIG-2는, 버전에 종속적인 필드들로서 2 비트의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 5 비트의 펑처링된(punctured) 채널 정보 필드, 2 비트의 EHT-SIG MCS 필드, 5 비트의 EHT-SIG 심볼 개수 필드, 4 비트의 CRC 필드 및 6 비트의 테일(tai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고,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테이블은 도 4의 U-SIG 필드의 U-SIG-2에 포함되는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와 함께 도 4의 U-SIG 필드의 U-SIG-1에 포함되는 UL/DL 필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L/DL 필드는 1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2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모드 필드로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UL/DL 필드는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하향링크(downlink; DL)를 나타낼 수 있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PPDU가 어떠한 모드를 지원해주는 포맷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PPDU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PPDU는 SU(single user) 또는 NDP(null data packet)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PPDU는 비 OFDMA (non-OFDMA)에 기초한 MU(multi-user)-MIMO(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PPDU는 OFDMA에 기초할 수 있는 한편,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0이 아닌 다른 값인 경우, PPDU는 OFDM에 기초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테이블은 비 OFDMA에서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가 나타내는 펑처링 패턴들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는 U-SIG 필드의 U-SIG-2에 포함될 수 있고, 5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20MHz 대역폭 및 40MHz 대역폭에서 펑처링은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고,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값은 영(zero)일 수 있다. 80MHz 대역폭에서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값은 펑처링 패턴에 따라 1 내지 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160MHz 대역폭에서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값은 펑처링 패턴에 따라 0 내지 12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320MHz 대역폭에서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값은 펑처링 패턴에 따라 0 내지 2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 OFDMA에서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는 0 내지 2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펑처링 패턴을 나타내기 위하여 펑처링된 채널 정보 필드의 5 비트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OFDMA의 경우, 펑처링 채널 정보 필드의 5 비트 중, 4개의 20MHz 주파수 서브블록들을 각각 나타내는 4 비트가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비트는 사용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20MHz, 40MHz 또는 80MHZ 대역폭에서 OFDMA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내고, 도 7b는 160MHz 대역폭에서 OFDMA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내며, 도 7c는 320MHz 대역폭에서 OFDMA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낸다. 또한, 도 7d는 다중 사용자에게 비 OFDMA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내고, 도 7e는 단일 사용자에게 비 OFDMA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내며, 도 7f는 EHT 사운딩 NDP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 포맷을 나타낸다.
EHT-SIG 필드는 U-SIG 필드와 함께 스테이션들이 EHT MU PPDU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HT MU PPDU에서 EHT-SIG 필드는 모든 스테이션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인 U-SIG 오버플로우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HT-SIG 필드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RU(resource unit) 또는 MRU(multi-RU)를 통해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0MHz 대역폭에서 EHT MU PPDU를 위한 EHT-SIG 필드는 1개의 EHT-SIG 컨텐트 채널을 가질 수 있고, 40MHz 또는 80MHz 대역폭에서 EHT MU PPDU를 위한 EHT-SIG 필드는 2개의 EHT-SIG 컨텐트 채널들을 가질 수 있으며, 160MHz 또는 320MHz 대역폭에서 EHT MU PPDU를 위한 EHT-SIG 필드는 80MHz 주파수 서브블록 마다 2개의 EHT-SIG 컨텐트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대역폭에 따른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이 도 11a 내지 도 11d 및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EHT-SIG 필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SIG 필드의 UL/DL 필드 및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드, 예컨대 DL OFDMA 송신, 다중 사용자에 대한 DL 비 OFDMA 송신,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또는 EHT 사운딩 NDP에 따라서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UL/DL 필드의 값이 영(zero)이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영(zero)인 경우 DL OFDMA 송신을 위한 PPDU가 정의될 수 있다. DL OFDMA 송신에서, PPDU의 대역폭이 40MHz 이상인 경우, 각각의 EHT-SIG 컨텐트 채널에서 공통 필드에 따라 컨텐트 채널들에 걸쳐서(across) 사용자 필드들이 분열(split)될 수 있고, 이는 동적 분열(dynamic split)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UL/DL 필드의 값이 영(zero)이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다중 사용자에 대한 DL 비 OFDMA 송신을 위한 PPDU가 정의될 수 있다. 다중 사용자에 대한 DL 비 OFDMA 송신에서, PPDU의 대역폭이 40MHz 이상인 경우, EHT-SIG 컨텐트 채널들에 걸쳐서 사용자 필드들이 분열될 수 있고, 이는 공평한 분열(equitable split)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UL/DL 필드의 값이 영(zero) 또는 1이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을 위한 PPDU가 정의될 수 있다.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에서, PPDU의 대역폭이 40MHz 이상인 경우, EHT-SIG 컨텐트 채널들에 걸쳐서 사용자 필드만이 반복될 수 있다. 도 7d 및 도 7e에서 공통 필드 및 하나의 사용자 필드는 하나의 블록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하나의 인코딩 블록은 도 9a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7f를 참조하면, UL/DL 필드의 값이 영(zero) 또는 1이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EHT 사운딩 NDP를 위한 PPDU가 정의될 수 있다. EHT 사운딩 NDP에서, 사용자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공통 필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공통 필드는 EHT-SIG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필드의 공통 필드는, 4 비트의 spatial reuse 서브필드, 2 비트의 GI+LTF size 서브필드, 3 비트의 number of EHT-LTF symbols 서브필드, 1 비트의 LDPC extra symbol segment 서브필드, 2 비트의 Pre-FEC padding factor 서브필드, 1 비트의 PE disambibuity 서브필드, Nx9 비트의 RU allocation-1 서브필드, 4 비트의 CRC-1 서브필드, 6 비트의 tail-1 서브필드, Mx9 비트의 RU allocation-2 서브필드, 0 또는 4 비트의 CRC-2 서브필드 및 0 또는 6 비트의 tail-2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U-SIG 필드의 BW 필드의 값이 영(zero) 또는 1인 경우, 즉 대역폭이 20MHz 또는 40MHz인 경우, N은 1일 수 있고(N=1), BW 필드의 값이 2, 3, 4, 또는 5인 경우, 즉 대역폭이 80MHz, 160MHz, 320MHz인 경우, N은 2일 수 있다(N=2). U-SIG 필드의 BW 필드의 값이 0, 1 또는 2인 경우, 즉 대역폭이 20MHz, 40MHz 또는 80MHz인 경우, M은 0일 수 있고(M=0), 공통 필드에서 RU allocation-2 서브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BW 필드의 값이 3인 경우, 즉 대역폭이 160MHz인 경우, M은 2일 수 있으며(M=2), BW 필드의 값이 4 또는 5인 경우, 즉 대역폭이 320MHz인 경우, M은 6일 수 있다(M=6). RU allocation-2 서브필드가 생략되는 경우, CRC-2 서브필드 및 tail-2 서브필드 각각은 0 비트일 수 있고, 공통 필드에서 생략될 수 있다.
공통 필드에 포함된 서브필드들 중 RU 할당(allocation) 서브필드는 20MHz 서브채널에 대한 RU 할당 정보(즉, RU의 형태 및 지원하는 사용자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역폭이 증가할수록 공통 필드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수가 증가할 수 있고, RU 할당 서브필드가 나타내는 사용자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사용자 필드들이 컨텐트 채널의 사용자 특성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공통 필드는, 4 비트의 spatial reuse 서브필드, 2 비트의 GI+LTF size 서브필드, 3 비트의 number of EHT-LTF symbols 서브필드, 1 비트의 LDPC extra symbol segment 서브필드, 2 비트의 Pre-FEC padding factor 서브필드, 1 비트의 PE disambibuity 서브필드 및 4 비트의 number of non-OFDMA user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컨텐트 채널의 사용자 특정 필드는, number of non-OFDMA users 서브필드의 값이 나타내는 수의 사용자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EHT 사운딩 NDP 모드에서 EHT-SIG 공통 필드는, 4 비트의 spatial reuse 서브필드, 2 비트의 GI+LTF size 서브필드, 3 비트의 number of EHT-LTF symbols 서브필드, 4 비트의 NSS(number of spatial streams) 서브필드, 1 비트의 beamformed 서브필드, 4 비트의 CRC 서브필드 및 6 비트의 tail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NSS 서브필드의 값은 공간 스트림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고, 예컨대 최대 8개의 공간 스트림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필드를 포함하는 블록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필드를 포함하는 인코딩 블록을 나타내고, 도 9b는 사용자 블록 필드를 나타낸다.
사용자 특정 필드는 영(zero)개 또는 1개 이상의 사용자 블록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모드에 따라서 상이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OFMDA 송신 모드에서, 각각의 비최종(non-final) 사용자 블록은, 페이로드들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되는 2개 스테이션들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2개의 사용자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FMDA 송신 모드에서, 최종 사용자 블록 필드는 EHT-SIG 컨텐트 채널에서 사용자들의 수에 의존하는 1개 또는 2개의 사용자들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필드들의 수는 RU 할당 서브필드들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사용자 블록 필드는 첫번째 사용자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필드들을 사용함으로써 OFDMA 송신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첫번째 사용자 필드는 공통 필드와 함께 인코딩 블록을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 필드들의 수는 number of non-OFDMA users 서브필드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EHT 사운딩 NDP는 사용자 필드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필드가 하나의 인코딩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d 및 도 7e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에 대한 DL 비 OFDMA 송신 또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을 위한 PPDU에서, 공통 필드 및 첫번째 사용자 필드가 하나의 블록, 즉 첫번째 인코딩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블록은 20 비트의 공통 필드, 22 비트의 사용자 필드, 4 비트의 CRC 필드 및 6 비트의 tail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블록 필드는 Nx22 비트의 사용자 필드, 4 비트의 CRC 필드 및 6 비트의 tai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서 N은 사용자 필드들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 블록 필드에서 하나의 사용자만 있는 경우, N은 1일 수 있는 한편(N=1), 다른 경우에서 N은 2일 수 있다(N=2).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필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비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를 나타내고, 도 10b는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비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는 22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는 11 비트의 STA-ID 서브필드, 4 비트의 MCS 서브필드, 4 비트의 NSTS(number of space-time streams) 서브필드, 1 비트의 beamformed 서브필드 및 1 비트의 coding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는 22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MIMO 할당에서 사용자 필드는 11 비트의 STA-ID 서브필드, 4 비트의 MCS 서브필드, 1 비트의 coding 서브필드 및 6 비트의 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다중 사용자에 대한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OFDMA 송신 및 비 OFDMA 송신을 위한 2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1b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OFDMA 송신 및 비 OFDMA 송신을 위한 4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1c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OFDMA 송신 및 비 OFDMA 송신을 위한 8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1d는 다중 사용자에 대한 OFDMA 송신 및 비 OFDMA 송신을 위한 16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다중 사용자에 대한 OFDMA 송신 모드 또는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컨텐트 채널은 주파수 축에서 중복(duplication)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컨텐트 채널은 80MHz 주파수 서브블록마다 상이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다중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컨텐트 채널은 80MHz 주파수 서브블록마다 상이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 사용자에 대한 송신 또는 사운딩 NDP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또는 EHT 사운딩 NDP를 위한 2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2b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또는 EHT 사운딩 NDP를 위한 4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2c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또는 EHT 사운딩 NDP를 위한 80M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2d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또는 EHT 사운딩 NDP를 위한 160MHz PPDU를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을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단일 사용자에 대한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EHT-SIG 컨텐트 채널은 80MHz 주파수 서브블록마다 동일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일 사용자를 위한 비 OFDMA 송신 모드 또는 EHT 사운딩 NDP 모드에서, 하나의 EHT-SIG 컨텐트 채널이 대역폭에 무관하게 20MHz 주파수 서브블록마다 중복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PPDU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EHT ER(extended range) PPDU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13b는 EHT ER 사운딩 NDP의 구조를 나타낸다. EHT는 상호 멀리 떨어진 송신측 및 수신측을 위하여 ER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R에서 송신측은 반복된 패턴을 수신측에 송신할 수 있고, 수신측은 반복된 패턴을 결합(combination)함으로써 수신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a 및 도 13b에 대한 설명 중 상호 중복되는 내용 및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EHT ER PPDU는 프리앰블에서, L-STF, L-LTF, L-SIG 필드, RL-SIG 필드, U-SIG 필드, EHT-SIG 필드, EHT-STF 및 EHT-LT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HT ER PPDU는 페이로드에서, 데이터 필드 및 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EHT MU PPDU와 비교할 때, EHT ER PPDU에서 U-SIG 필드 및 EHT-SIG 필드가 연장될 수 있다. 즉, ER에서 U-SIG 필드 및 EHT-SIG 필드 각각은 반복된 패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a의 EHT ER PPDU가 DL MU OFDMA 송신 모드, DL MU 비 OFDMA 송신 모드, SU 비 OFDMA 송신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ER에서 U-SIG 필드 및 EHT-SIG 필드의 예시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EHT ER 사운딩 NDP는 프리앰블에서, L-STF, L-LTF, L-SIG, RL-SIG, U-SIG 필드, EHT-SIG 필드, EHT-STF 및 EHT-LT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HT ER 사운딩 NDP는 페이로드에서, 데이터 필드 및 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HT ER 사운딩 NDP에서 데이터 필드가 생략될 수 있고, 도 13a의 EHT ER PPDU와 유사하게, EHT ER 사운딩 NDP는 연장된 U-SIG 필드 및 EHT-SI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채널을 추정하기 위하여, 도 13b의 EHT ER 사운딩 NDP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EHT ER PPDU에 포함되는 U-SIG 필드를 나타내고, 도 13a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HT-SIG 필드가 U-SIG 필드에 후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4에 대한 설명 중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U-SIG 필드는 U-SIG-1, U-SIG-1-R, U-SIG-2 및 U-SIG-2-R을 포함할 수 있다. U-SIG-1, U-SIG-1-R, U-SIG-2 및 U-SIG-2-R은 4개의 OFDM 심볼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6 비트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U-SIG-1은, 버전에 독립적인 필드들로서 3 비트의 물리 버전 식별자 필드, 3 비트의 대역폭 필드, 1 비트의 UL/DL 필드, 6 비트의 BSS 컬러 필드, 7 비트의 TXOP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U-SIG-1과 비교할 때, 도 14의 U-SIG-1에서 유효 비트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U-SIG-2는, 버전에 종속적인 필드들로서 2 비트의 PPDU 버전 및 압축 모드 필드, 4 비트의 CRC 필드 및 6 비트의 테일(tai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U-SIG-2와 비교할 때, 도 14의 U-SIG-2에서 펑처링된(punctured) 채널 정보 필드, EHT-SIG MCS 필드, EHT-SIG 심볼 개수 필드가 생략될 수 있다.
U-SIG-1에 후속하는 U-SIG-1-R은 U-SIG-1과 동일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U-SIG-2에 후속하는 U-SIG-2-R은 U-SIG-2와 동일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ER에서 U-SIG은 반복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장된 길이(예컨대, 8μs)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U-SIG-1 및 U-SIG-1-R은 상이한 변조 방식들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는 한편, U-SIG-2 및 U-SIG-2-R은 동일한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테이블은 도 14의 U-SIG 필드의 U-SIG-2에 포함되는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와 함께 도 14의 U-SIG 필드의 U-SIG-1에 포함되는 UL/DL 필드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L/DL 필드는 1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2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단일 사용자뿐만 아니라 하향링크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하여, ER은 SU 송신, DL OFDMA 송신, 비 OFDMA MU-MIMO 송신 등과 같은 송신 모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의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사이 채널을 측정하기 위하여 ER 사운딩 NDP 모드 역시 요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R에서 전술된 모드들은 도 15의 테이블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UL/DL 필드는 상향링크(UL) 또는 하향링크(DL)를 나타낼 수 있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PPDU가 어떠한 모드를 지원해주는 포맷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PPDU는 ER DL OFDMA를 위한 것일 수 있다. 하향링크(DL)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PPDU는 ER SU 또는 ER NDP를 위한 것일 수 있다. 하향링크(DL)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PPDU는 ER DL MU-MIMO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향링크(UL)에서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PPDU는 ER SU 또는 ER NDP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100 내지 S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예시에서 액세스 포인트(161) 및 스테이션(162)은 ER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액세스 포인트(161)는 U-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R에서 액세스 포인트(161)는,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고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U-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U-SIG 필드는 후술되는 단계 S300에서 스테이션(162)에 송신되는 PPDU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SIG 필드는 후술되는 단계 S200에서 생성되는 EHT-SIG 필드를 스테이션(162)이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100의 예시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200에서, 액세스 포인트(161)는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R에서 액세스 포인트(161)는, 반복된 패턴을 포함하고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EHT-SIG 필드는 후술되는 단계 S300에서 스테이션(162)에 송신되는 PPDU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0의 예시들이 도 19 및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300에서, 액세스 포인트(161)는 PPDU를 송신할 수 있고, 스테이션(162)은 P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PDU는 단계 S100에서 생성된 U-SIG 필드 및 단계 S200에서 생성된 EHT-SI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 S300에서 송신되는 PPDU는 도 13a를 참조하여 전술된 EHT ER PPDU일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스테이션(162)은 PPDU로부터 U-SIG 필드를 추출할 수 있고, U-SIG 필드로부터 제1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162)은 PPDU가 ER을 지원하는 것을 U-SIG 필드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식별할 수 있다. U-SIG 필드에 포함된 제1 정보는 PPDU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U-SIG 필드에 후속하는 EHT-SIG 필드를 추출하고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0의 예시들이 도 1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500에서, 스테이션(162)은 PPDU로부터 EHT-SIG 필드를 추출할 수 있고, EHT-SIG 필드로부터 제2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션(162)은 단계 S400에서 식별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EHT-SIG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EHT-SIG 필드를 PPDU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EHT-SIG 필드에 포함된 제2 정보는, 단계 S400에서 식별된 제1 정보와 함께, PPDU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0의 예시들이 도 19, 도 22 및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600에서, 스테이션(162)은 PPDU를 처리할 수 있다. 스테이션(162)은 단계 S400에서 식별된 제1 정보 및 단계 S500에서 식별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PPDU를 처리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162)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에 할당된 사용자 필드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 필드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61)가 스테이션(162)에 제공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고,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메시지도는 도 16의 단계 S100 및 단계 S400의 예시들을 나타내고, 도 18의 상부는 EHT MU PPDU 또는 EHT TB PPDU에 포함되는 U-SIG 필드를 나타내고, 도 18의 하부는 ER에서의 PPDU, 즉 EHT ER PPDU 또는 EHT ER 사운딩 NDP에 포함되는 연장된 U-SIG 필드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7의 단계 S100'에서 U-SIG 필드가 생성될 수 있고, 도 17의 단계 S400'에서 U-SIG 필드가 추출되고 U-SIG 필드로부터 제1 정보가 식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100'은 단계 S110 및 단계 S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액세스 포인트(171)는 제1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U-SIG-1 및 U-SIG-1-R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SIG-1 및 U-SIG-1-R은 U-SIG 필드에서 반복되는 패턴들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들에 공통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71)는, U-SIG-1에 대응하는 필드들의 값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예컨대 FEC(forward error correction; FEC)에 기초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제1 인코딩된 비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제1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U-SIG-1 및 U-SIG-1-R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의 상부를 참조하면, EHT MU PPDU 또는 EHT TB PPDU에서 액세스 포인트(171)는 동일한 변조 방식에 따라 U-SIG-1 및 U-SIG-2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61)는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BPSK(binary phase-shift keying)에 기초하여 U-SIG-1 및 U-SIG2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의 하부를 참조하면, ER에서 액세스 포인트(171)는 상이한 변조 방식들에 따라 U-SIG-1 및 U-SIG-1-R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71)는 BPSK에 기초하여 U-SIG-1을 생성할 수 있는 한편, QBPSK(quadrature binary phase shift keying)에 기초하여 U-SIG-1-R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션(172)은 U-SIG-1에 후속하는 심볼(즉, U-SIG-2 또는 U-SIG-1-R)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U-SIG 필드를 포함하는 PPDU가 ER을 지원하는 포맷인지 여부를 조기에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액세스 포인트(171)는 제2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U-SIG-2 및 U-SIG-2-R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SIG-2 및 U-SIG-2-R은 U-SIG 필드에서 반복되는 패턴들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들에 공통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71)는, U-SIG-2에 대응하는 필드들의 값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예컨대 FEC에 기초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제2 인코딩된 비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U-SIG-2 및 U-SIG-2-R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의 하부를 참조하면, ER에서 액세스 포인트(171)는 동일한 변조 방식에 따라 U-SIG-2 및 U-SIG-2-R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71)는 BPSK에 기초하여 U-SIG-2 및 U-SIG-2-R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EHT ER PPDU 또는 EHT ER 사운딩 NDP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QBPSK에 따라 변조된 U-SIG-1-R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U-SIG-2-R는 U-SIG-2와 동일하게 BPSK에 따라 변조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71)는, U-SIG-1, U-SIG-1-R, U-SIG-2 및 U-SIG-2-R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U-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400'은 복수의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스테이션(172)은 U-SIG-1 및 U-SIG-1-R를 식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U-SIG-1-R은 U-SIG-1의 변조 방식(예컨대, BPSK)과 상이한 변조 방식(예컨대, QBPSK)에 따라 변조될 수 있다. 스테이션(172)은 U-SIG-1에 후속하는 심볼의 변조 방식이 U-SIG-1의 변조 방식과 상이한 경우, U-SIG-1에 후속하는 심볼이 U-SIG-1-R임을 식별할 수 있고, 연장된 U-SIG 필드를 포함하는 EHT ER PPDU 또는 EHT ER 사운딩 NDP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스테이션(172)은 공통의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U-SIG-1 및 U-SIG-1-R은 필드들에 공통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테이션(172)은 U-SIG-1로부터 도출된 인코딩된 블록 및 U-SIG-1-R로부터 도출된 인코딩된 블록을 결합(combination)함으로써 공통의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스테이션(172)은 패턴의 반복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172)은 단계 S420에서 생성된 공통의 인코딩된 블록을 디코딩함으로써 패턴의 반복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의 반복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U-SIG 필드는 패턴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U-SIG 필드는 패턴의 반복 횟수를 암시적으로(implicitly)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원거리 송신을 위한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9의 메시지도는 도 16의 단계 S200 및 단계 S500의 예시들을 나타내고, 도 20a 및 도 20b는 도 16에 의해서 사용되는 EHT-SIG 컨텐트 채널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9의 단계 S200a에서 EHT-SIG 필드가 생성될 수 있고, 도 19의 단계 S500a에서 EHT-SIG 필드가 추출되고 EHT-SIG 필드로부터 제2 정보가 식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9, 도 20a 및 도 20b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계 S200a는 복수의 단계들(S210a, S230a, S250a, S270a, S290a)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a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91)는 EHT-SIG 컨텐트 채널의 값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HT ER PPDU의 EHT-SIG 필드의 구성은 EHT MU PPDU에서 각 송신 모드에 따른 EHT-SIG 필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EHT ER PPDU에서도 EHT-SIG 컨텐트 채널이 대역폭에 따라 중복되는 것은 EHT MU PPDU에서 각 송신 모드에 따라 정의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트스트림은 EHT-SIG 필드의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필드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일련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일련의 비트들 각각은 자신이 속한 필드(또는 서브필드)에서 유효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단계 S210a의 예시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230a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91)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BCC(binary convolution coding) 및/또는 LDPC(low-density parity-check)에 기초한 채널 코딩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BCC가 사용된 경우, BCC 인터리버가 인코딩된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50a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인코딩된 블록으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91)는 미리 정의된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성상도(constellation)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단계 S230a에서 생성된 인코딩된 블록으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70a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OFDM 심볼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단계 S250a에서 생성된 변조된 블록을 적어도 하나의 OFDMA 심볼에 순차적으로 맵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91)는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특정 필드를 포함하는 EHT-SIG 컨텐트 채널로부터 생성된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N개의 OFDM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N은 0보다 큰 정수). 본 명세서에서 EHT-SIG 필드에 대응하는 OFDM 심볼은 EHT-SIG OFDM 심볼로서 지칭될 수 있고, EHT-SIG OFDM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블록은 EHT-SIG OFDM 심볼 블록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단계 S290a에서 액세스 포인트(191)은 OFDM 심볼 블록을 반복함으로써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91)은, N개의 EHT-SIG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EHT-SIG OFDM 심볼 블록을 2회 반복함으로써 EHT-SIG 필드(즉, 연장된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91)은, N개의 EHT-SIG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EHT-SIG OFDM 심볼 블록을 n회 반복함으로써 EHT-SIG 필드(즉, 연장된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n은 2보다 큰 정수). 즉, 도 19, 도 20a 및 도 20b 의 예시에서 EHT ER PPDU의 EHT-SIG 필드에서 반복되는 패턴은 EHT-SIG OFDM 심볼 블록일 수 있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500a에서 스테이션(192)은 반복된 OFDM 심볼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192)은 연장된 EHT-SIG 필드를 포함하는 EHT ER PPDU를 액세스 포인트(191)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EHT ER PPDU의 EHT-SIG 필드에서 반복된 OFDM 심볼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스테이션(192)은 반복된 OFDM 심볼 블록들을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EHT-SIG 필드를 통해서 액세스 포인트(191)가 제공한 정보의 디코딩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의 순서도는 도 19의 단계 S210a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1의 단계 S210'a에서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0a'는 복수의 단계들(S211a 내지 S21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1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 S211a에서 복수의 필드들의 값들로부터 비트열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91)는 EHT-SIG 필드의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필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들(또는 서브필드들)의 값들로부터 비트열(bit string)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2a에서, 패딩의 필요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91)는 단계 S211a에서 생성된 비트열의 길이 및 OFDM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패딩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11a에서 생성된 비트열의 비트수가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하지 아니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91)는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EHT-SIG OFDM 심볼이 56 비트에 대응하고 비트열의 길이가 80 비트인 경우, 32개의 패딩 비트들이 요구될 수 있다(32=56*2-80).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13a가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13a의 수행이 생략될 수 있다.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13a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91)는 단계 S211a에서 생성된 비트열의 비트수가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하도록, 비트열에 추가될 적어도 하나의 비트, 즉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는 패딩 필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계 S214a에서,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은 필요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12a에서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91)는 단계 S211a에서 생성된 비트열을 비트스트림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212a에서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91)는 단계 S211a에서 생성된 비트열 및 단계 S213a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스트림의 비트수는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2의 메시지도는 도 16의 단계 S200 및 단계 S500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2의 단계 S200b에서 EHT-SIG 필드가 생성될 수 있고, 도 22의 단계 S500b에서 EHT-SIG 필드가 추출되고 EHT-SIG 필드로부터 제2 정보가 식별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00b는 복수의 단계들(S210b, S230b, S240b, S250b, S290b)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500b는 단계 S510b 및 단계 S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2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도 22에 대한 설명 중 도 1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 S210b에서 액세스 포인트(221)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고, 단계 S230b에서 액세스 포인트(221)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2의 예시에서, 비트스트림에서 패딩 비트가 생략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은 패딩 비트가 생략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240b에서, 액세스 포인트(221)는 인코딩된 블록을 반복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OFDM 심볼 블록이 반복되는 도 19의 예시와 상이하게, 도 22의 예시에서는 인코딩된 블록이 반복될 수 있다. 즉, 도 22의 예시에서 EHT ER PPDU의 EHT-SIG 필드에서 반복되는 패턴은 인코딩된 블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복된 인코딩 블록들에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가 추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코딩된 블록이 패딩 비트가 생략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단계 S240b의 예시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250b에서 액세스 포인트(221)는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단계 S290b에서 액세스 포인트(221)는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EHT-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9의 예시에서 OFDM 심볼 블록 마다 패딩 비트가 발생하는 것과 상이하게, 도 22의 예시에서는 반복된 인코딩 블록들에 패딩 비트가 추가되므로, 도 22에서 생성된 EHT-SIG 필드의 길이(또는 OFDM 심볼들의 개수)가 도 19에서 생성된 EHT-SIG 필드의 길이(또는 OFDM 심볼들의 개수) 이하일 수 있다.
단계 S510b에서, 스테이션(222)은 EHT-SIG OFDM 심볼들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22)은 변조된 블록을 EHT-SIG 필드에 포함된 EHT-SIG OFDM 심볼들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20b에서, 스테이션(222)은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22)은 단계 S510b에서 생성된 변조된 블록을 미리 정의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복조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 포함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520b의 예시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고, 도 2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비트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3의 메시지도는 도 22의 단계 S240b 및 단계 S520b의 예시들을 나타내고, 도 24는 도 23의 단계 S240b'에 의해서 생성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3의 단계 S240b'에서 인코딩된 블록을 반복함으로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고, 도 23의 단계 S520b'에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이 식별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40b'는 복수의 단계들(S241b 내지 S244b)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520b'는 복수의 단계들(S521b 내지 S5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3 및 도 24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241b에서 인코딩된 블록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231)는 도 22의 단계 S230b에서 생성된 인코딩된 블록을 적어도 2회 반복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블록은 패딩 비트가 생략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EHT-SIG 컨텐트 채널은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특정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EHT-SIG 컨텐트 채널이 FEC에 기초하여 인코딩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 즉 인코딩된 EHT-SIG 컨텐트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EHT-SIG 컨텐트 채널에서 패딩이 생략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또는 ER 인코딩된 블록)이 반복될 수 있다.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242b에서 패딩의 필요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31)는 단계 S241b에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의 길이 및 OFDM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패딩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41b에서 생성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의 총 비트수가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하지 아니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231)는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43b가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43b의 수행이 생략될 수 있다.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43b에서 액세스 포인트(231)는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231)는 단계 S241b에서 생성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의 총 비트수가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하도록,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에 추가될 적어도 하나의 비트, 즉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44b에서, 액세스 포인트(231)는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는 필요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42b에서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251)는 단계 S241b에서 생성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을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242b에서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231)는 단계 S241b에서 생성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 및 단계 S243b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코딩된 블록이 BCC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231)는 패딩 비트가 선택적으로 부가된 비트들에 BBC 인터리버를 적용할 수 있고, BCC 인터리버가 적용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21b에서, 스테이션(232)은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32)은, 변조된 블록을 미리 정의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복조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22b에서, 스테이션(232)은 패딩의 존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의 총 비트수가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 스테이션(232)은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 패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딩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523b가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패딩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단계 S523b의 수행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523b에서, 스테이션(232)은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32)은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무시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가 생략된 부분에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고, 도 2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비트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5의 메지시도는 도 22의 단계 S230b의 예시 및 도 16의 단계 S500의 예시를 나타내고, 도 26은 도 25의 단계 S240b'에서 생성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5의 단계 S230b'에서 인코딩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고,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 S500b'에서 EHT-SIG 필드가 추출될 수 있고 EHT-SIG 필드로부터 제2 정보가 식별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30b'는 복수의 단계들(S231b 내지 S234b)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500b'는 복수의 단계들(S530b, S540b, S55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 S231b에서 액세스 포인트(251)는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251)는 BCC 또는 LDPC와 같은 채널 코딩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EHT-SIG 컨텐트 채널은 공통 필드 및 사용자 특정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EHT-SIG 컨텐트 채널이 FEC에 기초하여 인코딩됨으로써 인코딩된 EHT-SIG 컨텐트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HT-SIG 컨텐트 채널(즉, 비트스트림) 및 인코딩된 EHT-SIG 컨텐트 채널은 패딩 비트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단계 S232b에서, 액세스 포인트(251)는 패딩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51)는 단계 S231b에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의 길이 및 변조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패딩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의 비트수가, 변조 방식에 따른 하나의 신호성상도지점(constellation point)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비트수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 액세스 포인트(251)는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으로서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신호성상도 지점은 4 비트를 가질 수 있고,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이 37 비트인 경우, 3개의 패딩 비트들이 요구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33b가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33b의 수행이 생략될 수 있다.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33b에서 액세스 포인트(251)는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251)는 단계 S231b에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의 비트수가 변조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에 대응하도록,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에 추가될 적어도 하나의 비트, 즉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34b에서, 액세스 포인트(251)는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은 필요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32b에서 패딩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251)는 단계 S231b에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인코딩된 블록으로서 생성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이 반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232b에서 패딩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251)는, 단계 S231b에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 및 단계 S233b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EHT-SIG 컨텐트 채널 및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블록(또는 ER 인코딩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블록이 반복될 수 있고,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들에 필요시 패딩 비트가 추가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530b에서, 스테이션(252)은 패딩의 존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52)은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에서 패딩의 존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인코딩된 비트들(또는 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이 변조 심볼에 대응하는 비트수의 정수배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 스테이션(252)은 인코딩된 블록에 패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딩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540b가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패딩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단계 S540b의 수행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540b에서, 스테이션(252)은 인코딩된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52)은 인코딩된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무시할 수 있고, 인코딩된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가 생략된 부분에서 인코딩된 비트들(또는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550b에서, 스테이션(252)은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252)은 인코딩된 비트들(또는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BCC 또는 LPPC와 같은 채널 코딩에 기초하여 디코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코딩된 비트들(또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SIG 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7은 EHT ER PPDU에 포함된 U-SIG 필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27에 대한 설명 중 도 1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U-SIG 필드는 U-SIG-1, U-SIG-1-R, U-SIG-2 및 U-SIG-2-R을 포함할 수 있다. U-SIG-1 및 U-SIG-1-R은 버전에 독립적인 필드들로서 3 비트의 물리 버전 식별자 필드, 3 비트의 대역폭 필드, 1 비트의 UL/DL 필드, 6 비트의 BSS 컬러 필드, 7 비트의 TXOP 필드 및 k 비트의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k는 0보다 큰 정수). 도 14의 U-SIG-1 및 U-SIG-1-R과 비교할 때, 도 27의 U-SIG-1 및 U-SIG-1-R은 k 비트의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SIG-2는, 버전에 종속적인 필드들로서 2 비트의 PPDU 버전 및 압축 모드 필드, 4 비트의 CRC 필드 및 6 비트의 테일(tai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는 EHT-SIG 필드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는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HT-SIG 필드에서 OFDM 심볼 블록의 반복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U-SIG-1에 포함되는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는 EHT-OFDM 심볼 블록의 개수 필드로서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eld Number of bits Description
Number Of EHT-SIG OFDM symbol block k Indicate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EHT-SIG OFDM symbol block in EHT-SIG field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는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HT-SIG 필드에서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U-SIG-1에 포함되는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는 ER 인코딩된 블록의 개수 필드로서 아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eld Number of bits Description
Number Of ER Encoded Block k Indicate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ER encoded block in EHT-SIG content channel.
액세스 포인트는 패턴(예컨대, OFDM 심볼 블록 또는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 필드(#)를 포함하는 U-SIG 필드를 생성할 수 있고, 스테이션은 U-SIG 필드로부터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를 추출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패턴의 반복 횟수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패턴(예컨대, OFDM 심볼 블록 또는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식별된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반복된 패턴(예컨대, OFDM 심볼 블록 또는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할 수 있고, 반복된 패턴들을 결합함으로써 디코딩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송신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8의 메시지도는 원거리 송신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8의 단계 S100"은 도 16의 단계 S100의 예시일 수 있고, 도 28의 단계 S400"은 도 16의 단계 S4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은 단계 S101 및 단계 S102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400"은 단계 S401 및 단계 S4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단계 S101에서 액세스 포인트(281)는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모드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SIG-2 및 U-SIG-2-R은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281)는 도 15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송신 모드에 따라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액세스 포인트(281)는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패턴의 반복 횟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HT ER PPDU의 EHT-SIG 필드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는 송신 모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OFDMA 송신, 단일 사용자 OFDMA 송신, 다중 사용자 비 OFDMA 송신에서는 2가지 종류의 EHT-SIG 컨텐트 채널들이 반복될 수 있는 한편,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단일 사용자 비 OFDMA 송신 또는 사운딩 NDP에서는 공통의 EHT-SIG 컨텐트 채널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281)는 단일 사용자에 대한 송신 또는 사운딩 NDP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를 n으로 설정하는 경우, 다중 사용자에 대한 송신에서 반복 횟수를 2n으로 설정할 수 있다(n은 1보다 큰 정수). 이에 따라, EHT-SIG 필드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는 송신 모드에 따라 판정될 수 있고,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는 패턴의 반복 횟수를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1에서, 스테이션(282)은 모드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U-SIG-2 및 U-SIG-2-R은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스테이션(282)은 도 15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PPDU 유형 및 압축 모드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스테이션(282)은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패턴의 반복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EHT-SIG 필드에서 패턴의 반복 횟수는 송신 모드에 의존할 수 있고, 스테이션(282)은 단계 S401에서 식별된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패턴의 반복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9은 가정용 기기(291), 가전(292), 엔터테인먼트 기기(293) 및 액세스 포인트(295)를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9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들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원거리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들은 연장된 시그널 필드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연장된 시그널 필드는 반복되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연장된 시그널 필드를 수신한 장치는 패턴들의 결합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되는 패턴은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심볼 블록 및/또는 인코딩된 블록일 수 있다. 또한, 패턴의 반복 횟수는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필드를 통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WLAN 시스템에서 원거리 송신이 가능할 수 있고, WLAN 시스템의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그널 필드 및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블록을 변조함으로써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OFDM 심볼 블록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필드들의 값들로부터 비트열(bit string)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열의 길이 및 상기 OFDM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는, 상기 OFDM 심볼 블록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OFDM 심볼 블록 개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상이한 방식들에 의해서 각각 변조된 제1 및 제2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공통의 방식에 의해서 각각 변조된 제3 및 제4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FDM 심볼 블록 개수 필드는, 상기 제1 인코딩된 비트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 블록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PPDU의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OFDM 심볼 블록의 반복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모드가 단일 사용자(single user; SU) 비 OFDMA(non-OFDMA) 송신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반복 횟수를 n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모드가 OFDMA 송신 또는 다중 사용자(multi-user; MU) 비 OFDMA 송신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반복 횟수를 2n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그널 필드 및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블록을 반복함으로서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변조함으로써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반복된 인코딩 블록들의 길이 및 상기 OFDM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된 인코딩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의 길이 및 변조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드들에서 패딩 필드가 생략되고,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패딩 비트는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는, 상기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상이한 방식들에 의해서 각각 변조된 제1 및 제2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인코딩된 비트들로부터 공통의 방식에 의해서 각각 변조된 제3 및 제4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는, 상기 제1 인코딩된 비트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PPDU의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모드가 단일 사용자(single user; SU) 비 OFDMA(non-OFDMA) 송신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반복 횟수를 n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모드가 OFDMA 송신 또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 MU) 비 OFDMA 송신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반복 횟수를 2n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2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장치로부터,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시그널 필드 및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제2 시그널 필드를 포함하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1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그널 필드에서 반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PDU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시그널 필드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로부터, 변조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블록을 복조함으로써,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인코딩된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된 블록을 복조함으로써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블록 시퀀스에서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블록에서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패딩 비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 필드는, 상기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그널 필드에서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제1 OFDM 심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그널 필드에서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제2 OFDM 심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OFDM 심볼로부터 공통의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블록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인코딩된 블록 개수 필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그널 필드에서 모드 필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블록의 반복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210090488A 2021-04-22 2021-07-09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45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59,603 US20220345349A1 (en) 2021-04-22 2022-04-18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range communication
CN202210418724.2A CN115242590A (zh) 2021-04-22 2022-04-20 无线通信方法和用于无线通信方法的设备
EP22169588.5A EP4084426A1 (en) 2021-04-22 2022-04-22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rang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8166P 2021-04-22 2021-04-22
US63/178,166 2021-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27A true KR20220145727A (ko) 2022-10-31

Family

ID=8380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488A KR20220145727A (ko) 2021-04-22 2021-07-09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7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06202A (ja) 車両環境の物理層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104090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enhanced null data packet announcement
KR20220154684A (ko) Psd(power spectral density) 제한들을 위한 phy(physical layer) 패킷 설계
KR20220062512A (ko) 확률론적 진폭 형상화
US119798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sounding based on aggregated physical protocol data unit
US11737123B2 (en) Communication based on a multi-resource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N113365353A (zh) 在无线局域网中为用户实施多资源单元的装置和方法
US20230261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multi-resource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2000337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런트 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15869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plink beamfor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220101098A (ko) 확률적 진폭 성형을 위한 경계 식별
US2024001571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ased on extended bandwidth and multi-resource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230022862A (ko)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 필드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3542717A (ja) 無線送信におけるプリおよびポストフォワードエラーコレクションならびにパケットパディングのための技術
US116961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of signaling field in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23040318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20145727A (ko) 원거리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40844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range communication
KR20220001433A (ko) 증진된 ndpa에 기초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322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signal field
KR20220137511A (ko) 확장된 시그널 필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793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puncturing
US20230007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sounding
US2024003097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plink beamfor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220003443A (ko)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자원 단위에 기초한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