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28A -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28A
KR20220145628A KR1020210052428A KR20210052428A KR20220145628A KR 20220145628 A KR20220145628 A KR 20220145628A KR 1020210052428 A KR1020210052428 A KR 1020210052428A KR 20210052428 A KR20210052428 A KR 20210052428A KR 20220145628 A KR20220145628 A KR 2022014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pace
corner
draina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9547B1 (en
Inventor
장대호
전혁
김순곤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05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ner drainage device provided to be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a window frame profile to form a closed window frame with a profile cover covering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profile. The corner drainage device comprises: a water inlet part forming a water inlet space communicating with a fresh water space formed in the profile cover so that inf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and a drainage part having a drai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inlet space and having a drain opening portion at a front surface so that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Description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Corner drainage system and windows having the same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코너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drainage device and a lift sliding type window including the same.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채광을 목적으로 개구부에 창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슬라이딩식,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단순히 창호의 창짝을 움직여 개폐하는 일반적인 창호와 창호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차음성 등 기능을 높이기 위해 프로파일 내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 작동을 통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로 분류될 수 있다.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windows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ccess and lighting. Such windows can be divided into sliding, opening, or fixed types 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In order to increase it, it can be classified as a system window that opens and closes by organically combining and operating the parts in the profile.

시스템 창호는 개폐방식에 따라 Tilt & Turn(창짝이 들려서 젖혀짐), Parallel(창짝이 젖혀저서 겹침), Lift & Sliding (창짝이 들려서 슬라이딩 됨) 등의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 중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슬라이딩되거나 고정된 창짝과, 이러한 창짝을 둘러싸고 건축물의 내외벽과 고정된 창틀을 포함한다. 창틀로 인해 형성된 개구는 슬라이딩되는 창짝을 이용해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손잡이의 리프트업, 다운 동작을 통해 프로파일 내 러너를 통해 창짝을 승하강 시키고, 이로 인해 창호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System windows are divided into Tilt & Turn (windows are lifted and folded), Parallel (windows are lifted and overlapped), and Lift & Sliding (windows are lifted and sliding)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Among them, the lift sliding window includes a sliding or fixed window, and a window frame that is fixed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building surrounding the window. The opening formed by the window frame can be opened and closed using a sliding window sill. On the other hand, the lift sliding window raises and lowers the window through the runner in the profile through the lift-up and down operation of the handle, thereby locking and unlocking the window.

즉, 잠금 상태의 경우 슬라이딩 가능한 창짝이 다운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켜 런너를 작동시키면 슬라이딩 가능한 창짝은 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locked state, the slidable slats are in the down state, 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to operate the runner, the slidable slats can slide to the up state.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창짝은, 기밀성 향상을 위해 창틀의 내측면 중 하측에 위치하는 내측면에 눌려지거나 눌려지지 않는 형태로 작동하는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작동형태로 인해 창틀에 형성되는 단턱이나 레일의 높이가 일반 미서기 창호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창틀의 단턱이나 레일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경우, 창짝이 리프트 동작을 위해 승강하여야 하는 높이가 매우 커져 창호의 기밀유지에 매우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The window sill used in the lift sliding window has a state of being pressed or not pressed on the inner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to improve airtightness. Due to this type of operation, the height of the steps or rails formed on the window frame may be lower than that of general Miseogi windows. This is because when the step of the window frame or the height of the rail is formed high, the height at which the window must be lifted for the lift operation becomes very large, which is very disadvantageous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따라서 기존의 미서기 창호와는 다르게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서는 창틀의 단턱에 의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창틀 내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 측으로 범람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Miseogi windows, lift sliding windows are formed by the step of the window frame, so there may not be enough space for fresh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has a problem of overflowing to the interior sid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의 실외 측에 형성된 고정창부와 상대적으로 실내 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하는 창짝부 간의 높이 차를 두어 최대한 물이 실내 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물이 충분히 실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창틀의 프레임의 여러 부분에 배수공을 가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eneral lift sliding window can be formed in such a way a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ide as much as possible by provid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xed window form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the sliding window portion formed on the relatively indoor side of the window frame. have. In addition, a method of processing drainage holes in various parts of the frame of the window frame may be used so that the introduced water can be sufficiently drained to the outdoor side.

그러나, 창틀 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창틀 프레임의 면적이 넓어져 개구되는 부분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재실자의 조망 및 건축물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입사면적이 축소될 수 있고, 건축물 전체 단열성능 저하를 초래하여 냉난방에너지 소비가 증가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as the height of the sash frame increases, the area of the sash frame becomes wider and the opening portion is reduced, which not only impairs the occupant's view and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but also reduces the area of incidence of sunlight, and thermal insulation of the entire building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uses a decrease in performance and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실내로 범람(물 넘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외 측으로 배수를 원활하게 한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 corner drainage device that smoothly drains the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to prevent overflow (water overflow) into the room, and a lift sliding method having the same to provide a window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의 일면을 덮는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형성되는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입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공간에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 를 포함한다.In order to form a closed sash frame together with a profile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ash pro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drainage device provided to be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sash profile is stored An acquisition unit that forms an acquisi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resh water space formed in the profile cover so as to be; and a drainage unit having a drain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cquisition space, and having a drainage port opened in the front so that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면을 덮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커버와, 상기 담수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상기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귀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전달된 유입수가 전방의 실외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후로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한다.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ndow frame profil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outdoor side is low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side, and a fresh water space in which the inflo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catch can be stored by covering the inner side of the window frame profile a window frame frame including a profile cover and a corner drainage device provided to discharge the inflow water transferred from the fresh water space to the front; and a window sill slidably coupled to the profile cov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portion of the window frame, wherein the corner drainage device forms the closed window frame together with the profile cover, It is disposed at the lower corner of the window frame profile, and the corner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age unit having a drain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resh water space, and a drainage port having a drainage port open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inflow water transferred to the drainage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utdoor side. includ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높이를 낮춰 기밀성 및 외관에 미려함을 부여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창틀 프레임으로 유입된 유입수를 창틀 일면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담수부로 유입되어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실외 측으로 배수되어 실내 측으로 물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irtightness and aesthetics to the appearance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of the window, and at the same time,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window frame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into the fresh water part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it flows outdoors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It can be drained to the side to prevent overflow of water to the indoor side.

또한, 본 발명의 코너배수장치는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게끔 형성됨으로써 실내 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ner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inflow water can be discharged only to the outdoor side, thereby preventing the backflow to the indoor sid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코너배수장치는 유입수 미배출시 폐쇄되어 있어 실외로부터 실내 측으로 해충, 이물질, 미세먼지 등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ner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when the inflow water is not dis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substances such as pests,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from the outside to the indoor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일 귀퉁이를 잘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프로파일 커버 및 레일의 일부분과 코너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에서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는 경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 중 코너배수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일부분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rner of the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off.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rofile cover and rail of the window and the corner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 view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from top to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damper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is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of FIG. 5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amper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viewed from the top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damper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BB′ of FIG. 8 .
10 is a view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water exits through a corner drainag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area of the window is viewed from the top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water exits through a corner drainage device in a sliding area of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sliding area of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rner drainage device is not dispos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창호(1)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전방은 실외 측 방향과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후방은 실내 측 방향과 같은 것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ront-back, left-right, and up-down directions are referred t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However, this direction is determ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s (1) are arranged. The front side is described as the same as the outdoor side direction, and the rear side is described as the same as the indoor side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창호에 대하여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을 으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Hereinafter, the window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On the other hand,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 프레임에 유입된 물인 유입수가 실내로 범람하지 않고, 실외로 원활하게 배수되어 창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창틀 프레임 중 후방의 내측면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창틀 프레임 내부 중공부분(담수부)를 통해 코너배수장치를 거쳐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The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of the windows and doors by smoothly draining the inflow water, which is water tha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window frame, without overflowing it indoors, and is hollow inside the window frame through the water sump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of the window fram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by moving forward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through the part (fresh water part).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 창짝을 포함하며, 일 예로, 창호(1)는 창틀 프레임(10), 고정창(20) 및 창짝(30)을 포함하며, 전후로 개구된 창틀 프레임(10)에 고정창(20)과 창짝(30)이 결합되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일 수 있다.The windows and d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ill, for example, the window 1 includes a window frame 10, a fixed window 20 and a window sill 30, and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10 opened in front and behind. The window 20 and the window sill 30 may be combined to be a lift sliding window that can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window frame 10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일 귀퉁이를 잘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off a corner of the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창(20)Fixed window (20)

고정창(20)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된 부분의 일부를 덮는 창이다. 고정창(20)은 창짝(30)과 달리 창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고정창(20)은 도 1에서 창틀 프레임(10) 내에 배치되되 창짝(30)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창호에 따라 미배치될 수도 있다.The fixed window 20 is a window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ash frame 10 to cover a portion of the opened portion of the sash frame 10 . The fixed window 20 is fixed to the window sill frame 10 unlike the window sill 30 and may not have relative movement. The fixed window 20 is disposed in the window frame 10 in FIG. 1 , but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window sill 30 , but the lo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not be disposed depending on the window or door.

고정창(20)은 고정창 틀과 고정창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 틀은 전후로 개구된 틀 형태를 가지고, 고정창 투과부는 고정창 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창 틀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다. 고정창 투과부는 실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fixed window 20 may include a fixed window frame and a fixed window transmission unit. The fixed window frame has a frame shape opened front and rear, and the fixed window transmission part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window frame to cover the opened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The fixed window transmitting part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to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but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창짝(30)Window (30)

창짝(30)은 창틀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창틀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창짝(30)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ash 30 may be coupled to the sash frame 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sash frame 10 . The window sill 3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 rotatably coupled around one axis, or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창짝(30)에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해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난 상황에서만 창짝(30)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이외의 상황에서는 창틀 프레임(10)에 대한 창짝(30)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창짝(30)의 하면이 하측 레일(151)과 인접한 창틀 프레임(10) 상의 영역에 밀착하여 창짝(30)의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난 상태에서는 창짝(30)의 하면이 창틀 프레임(10)로부터 이격되어, 하측 레일(151)을 따라서 창짝(30)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조작 상태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한 방법이 창짝(3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A handle may be coupled to the window sill 30, for example, the window sill 30 is slidable only in a situation where a lift-up operation has occurred using the handle, and in other situations, The relative posi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lift-up operation does not occur,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sill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rea on the window frame 10 adjacent to the lower rail 151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in which sliding of the sash 30 is impossible. .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ift-up operation occurs,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sill 30 is spaced apart from the sash frame 10 , and the window sill 30 may be in a slidable state along the lower rail 151 . However, this describes an exemplary operation state, and various methods may be use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window sill 30 .

창짝(30)은 창짝 프레임과 창짝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창짝 프레임은 전후로 개구된 틀 형태를 가지고, 창틀 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레일(151, 154)에 의해 창짝(30)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창짝 프레임에는 레일(151, 154)이 인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 중 창짝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홈에는, 슬라이딩 홈을 정의하는 창짝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레일(151, 154)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하는 호차가 위치할 수 있다. 창짝(30)은 호차를 포함하여, 레일(151, 154)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changjjak 30 may include a changjjak frame and a changjjak transmissive part. The window frame has a frame shape opened back and forth, and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window frame frame 10 . A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rails 151 and 154 can be introduced may be formed in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sliding of the window sill 30 can be guided by the rails 151 and 154 formed on the window frame 10 . Among the sliding grooves, in the sliding groov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ngjjak, a door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gjjak frame defining the sliding groove and is seated on the rails 151 and 154 and slides may be located. The windows 30 can slide smoothly along the rails 151 and 154, including the car.

창짝 투과부는 창짝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창짝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다. 창짝 투과부는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changjjak penetrat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gjjak frame to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changjjak frame. The window-transmitting part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to transmit light, but the material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창틀 프레임(10)Window Frame(10)

창틀 프레임(10)은 고정창(20)과 창짝(30)이 결합될 수 있는 틀로, 건축물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하 및 좌우로 연장된 부분들을 포함하여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에 창짝(30)과 고정창(20)이 삽입되고 결합될 수 있다.The window frame 10 is a frame in which the fixed window 20 and the window sill 30 can be coupled, and the opening can be defined by including portions extend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surround the opening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uilding. . Changjjak 30 and the fixed window 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se openings.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은 창틀 프레임(10)의 면 중 상술한 개구를 바라보며, 개구를 둘러싸 정의하는 면을 의미한다.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의 전단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의 후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이 포함하는 창틀 프로파일(11, 12, 13)의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에서,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유입수가 흘러 실외 측의 유입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sash frame 10 refers to a surface defined by surrounding the opening while looking at the above-described opening among the surfaces of the sash frame 10 . The front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ash frame 1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rear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ash frame 10 . The lower part of the outdoor side of the sash profile 11, 12, 13 included in the sash frame 1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side. Accordingly,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 the inflow water flow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nd the inflow of the outdoor water into the room can be prevented.

창틀 프레임(10)은 창틀 프로파일(11, 12, 13)로서 외측 프로파일(11), 중간 프로파일(12) 및 내측 프로파일(13)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프로파일(11), 중간 프로파일(12) 및 내측 프로파일(13)은, 금속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ash frame 10 may comprise an outer profile 11 , an intermediate profile 12 and an inner profile 13 as sash profiles 11 , 12 , 13 . The outer profile 11 , the intermediate profile 12 , and the inner profile 13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preferably of a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창틀 프로파일들(11, 12, 13)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프로파일(11)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 프로파일(11)의 후측에 중간 프로파일(12)이, 중간 프로파일(12)의 후측에 내측 프로파일(13)이 배치된다. 즉 중간 프로파일(12)은 외측 프로파일(11)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창틀 프로파일(12, 13, 14)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window frame profiles 11 , 12 , 13 may be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t a distance from the outer profile 11 in the interior directio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is arranged behind the outer profile 11 and the inner profile 13 behind the intermediate profile 12 . That is, the intermediate profile 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rofile 11 and the inner profile 13 . Each of the window frame profiles 12 , 13 , 1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도 2에는 각 프레임 중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우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하측 귀퉁이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외측 프로파일(11)이 포함하는 외측프로파일 하부재 및 외측프로파일 우측부재와, 중간 프로파일(12)이 포함하는 중간프로파일 하부재(121) 및 중간프로파일 우측부재(124)와, 내측 프로파일(13)이 포함하는 내측프로파일 하부재(131) 및 내측프로파일 우측부재(134)가 각각 연결되어 귀퉁이를 형성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lower corner portion in which a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each frame and a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profile lower material and the outer profile right member included in the outer profile 11, the middle profile lower material 121 and the middle profile right member 124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A state in which the inner profile lower member 131 and the inner profile right member 134 including thi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rner is shown.

창틀 프레임(10)은 단열을 위한 외측 단열부재(18)와 내측 단열부재(19)를 포함한다. 외측 단열부재(18)는 외측 프로파일(11)과 중간 프로파일(12) 사이에 배치된다. 내측 단열부재(19)는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측 단열부재(18)를 매개로 외측 프로파일(11)과 중간 프로파일(12)이 결합될 수 있고, 내측 단열부재(19)를 매개로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이 결합될 수 있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성의 창틀 프로파일들(11, 12, 13) 사이에 이중으로 단열부재(18, 19)가 배치되어, 단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window frame 10 includes an outer heat insulating member 18 and an inner heat insulating member 19 for heat insulation. An outer thermal insulation member (18) is arranged between the outer profile (11) and the intermediate profile (12). The inner insulation 19 is arranged betwee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 Therefore, the outer profile 11 and the intermediate profile 12 can be coupled through the outer heat insulating member 18, and the middl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can be coupled through the inner heat insulating member 19 as a medium. can A double insulating member (18, 19) is disposed between the metal window frame profiles (11, 12, 13)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a thermal insulation effect.

각각의 단열부재(18, 19)는 창틀 프레임(10)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어, 중심에 개구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열부재(18, 19)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부분들이 합쳐져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s 18 and 19 may be formed along the exterior of the window frame 10 to have an opening in the center. Accordingly, each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s 18 and 19 may be formed by combining part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외측 단열부재(18)는 흡습성이 낮은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단열부재(19)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발포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복적으로 포함한 고분자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각 단열부재가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면으로 각 단열부재를 자른 단면에서의 내측 단열부재(19)의 단면적은, 외측 단열부재(18)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outer insulation member 18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high-strength rigid polyurethane with low hygroscopicity, and the inner insulation member 19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olyurethane foam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have. Polyurethane refers to a high molecular compound repeatedly containing a polyol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isocyanat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eat insulating member 19 in a cross section of each heat insulating member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each heat insulating member may be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heat insulating member 18 .

내측 단열부재(19)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위치한 공간에 주입되어 공간을 완전히 충전시키며, 양 측 프레임과 함께 일체를 이룸으로써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의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에 우수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내측 단열부재(19)로 사용되는 발포 폴리우레탄은, Azon 사의 폴리우레탄 폼인 Azo-Core™ 일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ember 19 may be made of polyurethane foam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and is injected into the space located betwee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to completely fill the space, and both sides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by forming an integral with the window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to the windows. The polyurethane foam used as the inner insulation member 19 may be Azo-Core™, a polyurethane foam of Azon.

이때, 상기 발포 폴리우레탄은 발포 경화시 모서리에서 중심부까지의 밀도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액체 형상의 폴리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각종 첨가제들을이 혼합되어 경화된 것으로, 경화가 된 이후에는 소정의 온도범위(-50 ~ 115℃의 조건)에서 변형이 없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amed polyurethane has the same density from the corner to the center during foam curing, so that uniform strength can be imparted. There may be no deformation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conditions of -50 to 115°C) after

외측 단열부재(18)로 사용되는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알루미늄 틀에 액상으로 된 주원료와 경화제가 같이 충진되어 경화되어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한다. 발포 폴리우레탄의 경우 기공으로 인해 단열성이 우수하나, 마찬가지로 기공에 의해서 만약 외측 단열부재(18)에 사용될 경우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창호의 내구성, 내풍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폴리우레탄은 내측에 배치하고, 누수 등의 문제가 없는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Azon 사의 고강도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The high-strength rigid polyurethane used as the outer insulation member 18 means a polyurethane formed by filling an aluminum frame with a liquid main raw material and a curing agent together and curing. In the case of polyurethane foam, it is excellent in thermal insulation due to pores, but likewise, if it is used for the outer insulating member 18 due to pores, water leakage may occur, and durability and wind pressure resistance of windows and doors may be reduced. Therefore, polyurethane foam is disposed on the inside, and high-strength rigid polyurethane without problems such as leakage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The high strength rigid polyurethane may be a high strength polyurethane from Azon.

창틀 프레임(10)은 평탄 스트립(16)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 스트립(16)은,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서 내측 단열부재(19)의 상측에 배치된다. 발포 폴리우레탄일 수 있는 내측 단열부재(19)가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될 경우, 발포 시 창틀 프레임(10)의 상면 이상으로 부풀어 올라 창틀 프레임(10)의 레일(151, 154)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거나 적절한 높이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평탄 스트립(16)을 배치하여 방지하고 창틀 프레임(10)의 면을 평탄화 할 수 있다.The sash frame 10 may include a flat strip 16 . A flat strip 16 is arranged above the inner insulation 19 betwee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 When the inner heat insulating member 19, which may be foamed polyurethane, is made of foamed polyurethane, it swell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during foaming, so that the rails 151 and 154 of the window frame 10 are kept horizontal. It may not be possible or the proper height may not be maintained. This situation can be prevented by placing a flattening strip 16 and leveling the face of the window sill frame 10 .

창틀 프레임(10)은 프로파일 커버(141, 14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는 구성요소이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어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공간(140)은 내측 프로파일(13)과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는 공간이다. 담수공간(140)은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부분과, 이러한 부분을 덮는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의 후단 일부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담수공간(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The sash frame 10 may include profile covers 141 and 144 .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are components that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may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o form a fresh water space 140 in which influent water may be stored. The fresh water space 140 is a space that can be defined by the inner profile 13 and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 The fresh water space 140 may be formed by a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rofile 13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profile cover lower material 141 covering this por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resh water space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을 덮을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평탄 스트립(16)을 내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are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 and may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rofile 13 . Profile covers 141 , 144 may cover flat strip 16 from the inside.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창틀 프레임(10)의 외관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의 내측면에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으로 파인 레일 홈(1410)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1410)에는 후술할 레일(151, 154)이 삽입될 수 있다.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may extend along the exterior of the window frame 10 .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may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 and a fine rail groove 1410 may be formed to the outside. Rails 151 and 15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410 .

도 2에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 중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와, 우측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 및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후술할 코너배수장치(4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2, the profile cover lower member 141, which is a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profile cover right member 144, which is a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s shown. The profile cover lower member 141 and the profile cover right member 144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by a corner drainage device 40 to be described later.

창틀 프레임(10)은 레일(151, 154)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창짝(30)이 슬라이딩 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결합되어, 프로파일 커버(141, 144)로부터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 중 하측에서 하측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배치되는 하측 레일(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레일(151)은 창짝(30)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될 수 있고, 하측 레일(151)에 호차가 안착되어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ndow frame 10 may include rails 151 and 154 . The rails 151 and 154 are coupled to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to guide the sliding of the window sill 30 , and from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 It may have a protruding shape. The rails 151 and 154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ails 151 and 154 may include lower rails 151 disposed on the lower profile covers 141 and 144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 The lower rail 151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window sill 30 , and the door car may be seated on the lower rail 151 to perform sliding.

도 2에는 레일(151, 154) 중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인 하측 레일(151)과, 우측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우측레일(154)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하측 레일(151) 및 우측레일(154)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코너배수장치(4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FIG. 2 shows a lower rail 151 as a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ails 151 and 154 and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right rail 154 as a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rail 151 and the right rail 154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by the corner drain device 40 .

코너배수장치(40)Corner Drain (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프로파일 커버 및 레일의 일부분과 코너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rofile cover and rail of the window (1) and a corner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코너배수장치(40)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10)을 형성하기 위해, 창틀 프로파일(11, 12, 13)의 일 귀퉁이인 하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창틀 프레임(10)은 코너배수장치(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로파일(11, 12, 13) 중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우하단 귀퉁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만약 좌하단 귀퉁이에 코너배수장치(40)가 배치되도록 하는 변형예에 따라 본 발명이 실시될 경우, 이하의 설명은 좌우를 반전시켜 적용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disposed at the lower corner, which is one corner of the sash profile 11 , 12 , 13 to form a closed sash frame 10 together with the profile covers 141 , 144 . The sash frame 10 includes a corner drainage device 4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at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middle profile 12 and the inner profile 13 among the window frame profiles 11, 12, 13, but the position is not Not limited. Therefor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corner drain device 40 is disposed at the lower left corner,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by inve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가 전달되는 입수공간(420)을 형성하고, 입수공간(420)에 연통되는 배수공간(430)을 가져, 배수공간(430)에 유입수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receive influent water from the fresh water space 140 .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inflow water transferred from the fresh water space 140 to the front.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forms an intake space 420 through which inflow water is transmitted from the fresh water space 140 , and has a drainage space 430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space 420 , be stored and then released.

코너배수장치(40)는 몸체(41)를 가질 수 있다. 몸체(41)는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코너배수장치(40)의 다른 부분들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몸체(41)는 배수부(43) 및 입수부(42)와 연결되어, 배수부(43)와 입수부(42)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몸체(41)는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프로파일 커버(141, 14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창짝(30)이 부드럽게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몸체(4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have a body 41 . The body 41 is a part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 and may be a part to which other parts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are connected. The body 41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unit 43 and the acquisition unit 42 to fix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rainage unit 43 and the acquisition unit 42 to each other. The body 41 has an appearance in a cross 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so that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10. When the changjjak 30 can be smoothly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file cover (141, 144) and the body (41).

코너배수장치(40)는 입수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부(42)는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을 덮어 입수공간(42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입수부(42)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여,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고 담수공간(140)과 연통되는 입수공간(420)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공간(140)과 연통되기 위해, 입수공간(420)은 내측 프로파일(13)과 입수부(42)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는 공간이다. 입수부(42)는 몸체(41)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공간(420)은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부분과, 이러한 부분을 덮거나 둘러싸는 입수부(4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include an acquisition unit 42 . The acquisition part 42 is a component that covers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rofile 13 to form the acquisition space 420 . The acquisition unit 42 includes a portion cove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inflow water may be stored and may form an acquisition space 420 in communication with the fresh water space 140 .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fresh water space 140 , the acquisition space 420 is a space that can be defined by the inner profile 13 and the acquisition part 42 . The acquisition part 42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41 . The acquisition space 420 may be formed by a par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rofile 13, and the acquisition part 42 covering or surrounding this part.

코너배수장치(40)는 레일연장부재(44, 4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연장부재(44, 45)는 하측 레일(151)로부터 이어지게 배치되는 하측 레일연장부재(44)와, 우측레일(154)로부터 이어지게 배치되는 외측 레일연장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레일연장부재(44)는 몸체(4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레일연장부재(45)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배수부(4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include rail extension members 44 and 45 . The rail extension members 44 and 45 may include a lower rail extension member 44 arranged to be connected from the lower rail 151 and an outer rail extension member 45 arranged to be connected from the right rail 154 . The lower rail extension member 4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1 , and the outer rail extension member 45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unit 43 in the left-right direction.

하측 레일연장부재(44)는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하측 레일(151)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창짝(30)의 호차가 하측 레일(151)과 하측 레일연장부재(44) 상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The lower rail extension member 44 has the same appearance as that of the lower rail 151 in a cross 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10 . When it is, the door car of the Changjak 30 can run smoothly on the lower rail 151 and the lower rail extension member 44 .

외측 레일연장부재(45)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우측레일(15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고 창짝(30)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창짝(30)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홈에 우측레일(154)과 같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창짝(30)의 창틀 프레임(10)에 대한 밀착이 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rail extension member 45 has the same appearance as that of the right rail 154 in a cross-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indow frame 10 . When the window sill 30 is disposed in a position to close the opening of the sash frame 10, it is easily inserted like the right rail 154 into the groov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window sill 30. Adhesion to the window frame 10 can be maintained well.

코너배수장치(40)는 끼움부(471, 47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471, 472)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형성된 삽입홀(1411, 1412)에 삽입되도록 몸체(41)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다. 끼움부(471, 472)는 몸체(41)로부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471, 472)는 제1 끼움부(471)와, 제1 끼움부(47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끼움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끼움부(471)와 제2 끼움부(47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삽입홀(1411, 1412) 역시 제1 삽입홀(1411)과 제1 삽입홀(14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삽입홀(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1411, 1412)은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include fitting portions 471 and 472 . The fitting portions 471 and 472 are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body 41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411 and 1412 formed in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 The fitting portions 471 and 472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body 41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tting portions 471 and 472 may include a first fitting portion 471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472 dispos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tting portion 471 . Therefor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471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472, the insertion holes 1411 and 1412 are also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1411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1411 rearward. It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hole 1412 disposed. The insertion holes 1411 and 1412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lower profile cover material 14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 삽입홀(1411)과 제1 끼움부(471)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412)과 제2 끼움부(472)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이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412)과 제2 끼움부(472)의 하단은, 제1 삽입홀(1411)과 제1 끼움부(471)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제1 끼움부(471)의 내측단은 'I'자 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제2 끼움부(472)의 내측단은 'H'자 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각 끼움부(471, 472)의 내측 말단은 내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 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높이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hole 1411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471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greater than a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2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472 may be formed so that a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s greater than a heigh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2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472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ends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411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471 . The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47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have an 'I'-shaped exterior. The inner end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472 may have an 'H'-shaped exterior. The inner end of each fitting portion (471, 47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height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ecreases toward the in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view of the corner drain device 40 from top to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damper 46 of the corner drain device 40 is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amper 46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of the corner drain device 40 from top to bottom when the damper 46 of the corner drain device 40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8 .

코너배수장치(40)는 배수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43)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몸체(41)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43)는 배수공간(430)을 가져,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배수공간(430)은 입수공간(420)과 연통된다.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후단에서 배수공간(430)과 입수공간(420)이 만날 수 있다.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may include a drainage unit 43 . The drainage part 43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41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rainage part 43 is a part having a drainage space 430 so that the inflow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The drainage space 430 communicates with the acquisition space 420 . The drainage space 430 and the intake space 420 may meet at the outer rear end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배수부(43)는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482)를 가진다. 배수구(482)는 배수공간(430)에 저장되는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배수구(482)는 배수부(43)의 전면이 전후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part 43 has a drain hole 482 opened at the front side. The drain port 482 is formed so that the inflow water stored in the drain space 430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The drain port 482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rain part 43 back and forth.

배수부(43)는 배수부(43)의 전면을 포함하는 전측벽(435), 전측벽(435)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측벽(432),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벽(433), 외측벽(433)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몸체(41)와 연결되는 내측벽(434)을 포함하는 측벽들을 가져, 이러한 측벽들에 의해 둘러싸인 배수공간(430)을 형성할 수 있다. 배수공간(430)은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rainage unit 43 includes a front side wall 435 inclu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rainage unit 43 , a rear side wall 432 dispos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wall 435 , and an outer wall disposed out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433, the outer wall 433 is disposed spaced apart inwardly has sidewalls including the inner wall 434 connected to the body 41, it is possible to form a drainage space 430 surrounded by these sidewalls. . The drain space 430 may have a shape that is opened on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배수부(43)의 후측벽(432)의 하단은 배수부(43)의 바닥면(431)에 접촉하지 않고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이격된 공간이 입수구(481)가 될 수 있다. 입수구(481)는 입수공간(420)과 배수공간(430)을 연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432 of the drainage unit 4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431 of the drainage unit 43 . Therefore, this spaced-apart space may be the inlet 481 . The inlet 481 may be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inlet space 420 and the drain space 430 .

배수부(43)의 외관은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로파일(11, 12, 13) 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와의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The exterior of the drainage part 43 is formed to have the same exterior as the exterior of the profile cover right member 144 in a cross-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s provided with the window frame profiles 11, 12, 13) can be smoothly connected without forming a step between the profile cover right member 144 when installed at the corner.

배수부(43)의 바닥면(431)은, 전방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수공간(430)에 유입된 유입수는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고, 배수구(482)를 통해 실외 측으로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431 of the drainage part 43 may have a shap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Therefore,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space 430 may be naturally guided forward, and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through the drain hole 482 may be induced.

코너배수장치(40)는 댐퍼(46)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6)는 배수구(482)를 개폐하기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배수공간(430)으로부터 배수구(482)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유입수에 의해서 밀려나 배수구(482)를 개방하고, 이외의 상황에서는 배수구(482)를 개방하지 않고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만약 외부로부터 배수공간(430)으로 배수구(482)를 통해 후방으로 유입수가 진입하려 하는 경우, 댐퍼(46)는 이러한 유입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배수구(482)를 폐쇄할 수 있다.The corner drain device 40 may include a damper 46 . The damper 46 is a component dispos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hole 482, and is pushed by the inflow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space 430 forward through the drain hole 482 to open the drain hole 482, and other situations The drain port 482 may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without opening. That is, if the influent from the outside tries to enter the drainage space 430 from the rear through the drainage port 482 , the damper 46 may block the flow of the inflow water and close the drainage port 482 .

상술한 배수구(482)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댐퍼(46)는 배수부(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구(482)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부(43)의 전면의 일부분에, 판형의 댐퍼(46)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등을 통해 배수부(43)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 배수구(482)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댐퍼(46)가 있어, 실외에 위치한 물이 배수구(482)를 통해 실내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측으로 해충, 이물질, 미세먼지 등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amper 46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rain part 43 to enable the aforementione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ain port 482 . The upper end of the plate-shaped damper 46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rain 43 through a hinge or the like on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ain 43 positioned above the drain 482 . In the general case where the inflow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there is a damper 46 provided to close the drain port 482, so that water located outdoor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drain port 482, and pests, It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from entering.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슬라이딩 영역(A1)과 고정창짝 영역(A2)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유입수가 빠져나가는 경로인 유입수 배수 경로(P)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넘어온 상기 유입수는 집수구(145)를 통해 상기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되고, 연통된 코너배수장치(40)의 배수공간(430)으로 흘러서 상기 배수구(482)를 통해 실외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슬라이딩 영역에(A1)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유입수가 빠져나가는 경로(P)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코너배수장치(40)가 배치되지 않은 고정창짝 영역(A2)의 종단면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flow water exits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area A1 and the fixed window pane area A2 of the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iewed from the top down. It is a view showing the drainage path (P). Specifically, the inflow water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flows into the fresh water space 140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145, flows into the drain space 430 of the connected corner drainage device 40, and flows through the drain port 482. It can be drained outdoors.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th P through which the inflow water exits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in the sliding area A1 of the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xed window sill area A2 in which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of the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sposed.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의 중간 영역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집수구(14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창호(1)의 고정창짝 영역(A2) 중 집수구(145)가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딩 영역(A1)은 창호(1)가 폐쇄될 때 창짝(30)이 위치하는 부분이고, 고정창짝 영역(A2)은 고정창(20)이 배치되는 부분이다.At the rear end of the middle region of the profile cover lower material 141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water collecting port 145 that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water catchment port 145 is formed among the fixed window-jaw area A2 of the window and door 1 . The sliding area A1 is a portion where the changjjak 30 is positioned when the window 1 is closed, and the fixed changjjak area A2 is a portion where the fixed window 20 is disposed.

실외 측으로부터 실내 측 방향으로 프로파일을 넘어온 유입수가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에 낙하하고, 집수구(145)를 통해서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형성된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된다.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된 유입수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코너배수장치(40)를 향해 유동한다. 코너배수장치(40)의 입수부(42)와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형성된 입수공간(420)으로,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가 전달될 수 있다. 입수공간(420)으로 유입된 유입수는, 전후방향을 따라 개구된 입수구(481)를 통해서 실외 측으로 이동하여 배수공간(430)에 도달할 수 있다. 배수공간(430)에 도달한 유입수는 배수부(43)의 경사진 바닥면에 의해 배수구(482)로 유도되고, 댐퍼(46)를 밀어내며 실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실외 측으로 배수된 유입수는, 실외 측으로 가면서 더 높아지는 구간을 창틀 프레임(10)이 가지지 못하므로, 실내 측으로 다시 유입되지 않고 중간 프로파일(12)과 외측 프로파일(11)을 거쳐 실외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수의 배수 경로(P)중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경로는 실선 화살표를 이용해,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의 경로는 점선으로 도 10과 도 11에 표시되었다. 확인할 수 있듯이, 집수구(145), 담수공간(140), 배수공간(430) 및 배수구(482)가 순서대로 연통되어, 유입수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배출되는 경로인 유입수 배수 경로(P)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flow water flowing over the profile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falls on the profile cover lower material 141, and the fresh water space 140 formed between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and the inner profile 13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145.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water introduced into the fresh water space 140 flows toward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disposed out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inflow water may be delivered from the fresh water space 140 to the inlet space 420 formed between the inlet 42 and the inner profile 13 of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acquisition space 420 may reach the drainage space 430 by moving to the outdoor side through the inlet 481 open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inflow water reaching the drain space 430 may be guided to the drain port 482 by the inclined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art 43 , and may be drained outdoors while pushing the damper 46 . Since the influent water drained to the outdoor side does not have a section that becomes higher as it goes to the outdoor side, the influent does not flow back into the indoor side and can be drain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intermediate profile 12 and the outer profile 11. Among these drainage paths P of the influent, the path of the influent coming in from the outside is indicated by a solid arrow, and the path of the influent entering the interior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S. 10 and 11 . As can be seen, the water collecting port 145, the fresh water space 140, the drain space 430, and the drain port 482 are sequentially communicated to form an influent drainage path P,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influent is discharged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can be

이와 같이 유입수를 코너배수장치(40)로 우회시켜 배수하는 배수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측 프로파일(13)과 프로파일 커버(141, 144) 사이에 형성되는 담수공간(140)의 부족함을 보완해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실외로부터 내부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물이 역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by having a drainage structure that diverts the inflow water to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and drains it, the lack of the fresh water space 140 formed between the inner profile 13 and the profile covers 141 and 144 is compensated for overflowing with water. can be prevented, and a situation in which water flows backward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4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can be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상기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유입수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므로, 창틀 프레임 여러 부분에 다수 배수공을 가공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상기 배수공을 통해 먼지나 벌레 등 외부물질의 실내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유입수가 실내측으로 범람하지 않기 때문에 창틀 프레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개구되는 부분이 향상되어 건축물에 미려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조망 및 태양광입사면적을 증가시켜, 건축물 전체 단열성능의 효율성을 높혀 냉난방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ift sliding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mooth drainage of influent water through the corner drainage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process multiple drainage holes in various parts of the window frame frame,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insect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drainage holes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inflow water does not overflow to the indoor side even if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is not formed high, the area of the window frame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opening part is improved, which not only gives beauty to the building, but also gives the view of the occupants and the incident area of sunlight. It is possible to reduce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창호
10 : 창틀 프레임
11 : 외측 프로파일
12 : 중간 프로파일
13 : 내측 프로파일
16 : 평탄 스트립
18 : 외측 단열부재
19 : 내측 단열부재
20 : 고정창
30 : 창짝
40 : 코너배수장치
41 : 몸체
42 : 입수부
43 : 배수부
44 : 하측 레일연장부재
45 : 외측 레일연장부재
46 : 댐퍼
121 : 중간프로파일 하부재
124 : 중간프로파일 우측부재
131 : 내측프로파일 하부재
134 : 내측프로파일 우측부재
140 : 담수공간
141 : 프로파일커버 하부재
144 :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
145 : 집수구
151 : 하측 레일
154 : 우측레일
420 : 입수공간
430 : 배수공간
431 : 배수부의 바닥면
432 : 배수부의 후측벽
433 : 배수부의 외측벽
434 : 배수부의 내측벽
435 : 배수부의 전측벽
471 : 제1 끼움부
472 : 제2 끼움부
481 : 입수구
482 : 배수구
1410 : 레일 홈
1411 : 제1 삽입홀
1412 : 제2 삽입홀
A1 : 슬라이딩 영역
A2 : 고정 구역
P : 유입수 배수 경로
1: window
10 : window sill frame
11: outer profile
12: middle profile
13: inner profile
16: flat strip
18: outer insulation member
19: inner insulation member
20: fixed window
30: window
40: corner drainage device
41: body
42: intake part
43: drain part
44: lower rail extension member
45: outer rail extension member
46: damper
121: middle profile lower material
124: middle profile right member
131: inner profile lower material
134: inner profile right member
140: fresh water space
141: profile cover lower material
144: profile cover right member
145: catchment
151: lower rail
154: right rail
420: intake space
430: drain space
431: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art
432: rear wall of the drainage part
433: outer wall of the drainage part
434: inner wall of the drainage part
435: the front wall of the drain part
471: first fitting part
472: second fitting part
481: inlet
482: drain
1410: rail groove
1411: first insertion hole
1412: second insertion hole
A1: sliding area
A2: fixed area
P : Influent drainage path

Claims (7)

창틀 프로파일의 일면을 덮는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형성되는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입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공간에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코너배수장치.
In order to form a closed sash frame together with a profile cover covering one side of the sash profile, the corner drainage device is provided to be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sash profile,
an acquisition unit forming an acquisi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resh water space formed in the profile cover so that the inf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and
A corner drainage device comprising a; having a drain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cquisition space, and having a drainage port opened in the front so that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의 바닥면은, 전방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코너배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unit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corner drain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배수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배출되는 유입수에 의해서 밀려나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나, 후방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동하는 물에 의해서는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배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너배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wherein the damper is pushed by the inflow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space to the front to open the drain hole, but to close the drain hole by the wate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drain hole, A corner drainage device rotatably coupled to the drain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및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파일 커버 및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코너배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ody connected to the drainage part and the acquisition par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file cover and the window frame profile; and
The corner drain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t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profile cover.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면을 덮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커버와, 상기 담수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상기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귀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전달된 유입수가 전방의 실외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후로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창호.
A window frame profil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outdoor side is low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side, and a profile cover that covers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profile to form a fresh water space in which the inflow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atch can be stored; Window frame frame including a corner drainage device provided to discharge the influent to the front; and
and a window sill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profile cov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portion of the window frame,
the corner drainage device is disposed at a lower corner of the sash profile to form the sash frame closed together with the profile cover;
The corner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resh water space, and a drainage unit having a drainage port open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inflow water transferred to the drainage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in fro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파일 커버의 중간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창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collecting port is formed by ope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iddle region of the profile cov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6항에 있어서,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넘어온 상기 유입수는 집수구를 통해 상기 담수공간으로 유입되고, 연통된 코너배수장치의 상기 배수공간으로 흘러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수되는, 창호.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flow water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flows into the fresh water space through a water collecting port, flows into the drain space of a communicating corner drainage device, and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KR1020210052428A 2021-04-22 2021-04-22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KR102599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en) 2021-04-22 2021-04-22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en) 2021-04-22 2021-04-22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28A true KR20220145628A (en) 2022-10-31
KR102599547B1 KR102599547B1 (en) 2023-11-07

Family

ID=838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en) 2021-04-22 2021-04-22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4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778A (en) * 2000-12-25 2002-09-11 Tateyama Alum Ind Co Ltd Highly watertight device (drain mechanism) for outdoor barrier-free sash
KR200323598Y1 (en)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drainage of window prof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778A (en) * 2000-12-25 2002-09-11 Tateyama Alum Ind Co Ltd Highly watertight device (drain mechanism) for outdoor barrier-free sash
KR200323598Y1 (en)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drainage of window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47B1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557B1 (en) Weep hole construction
US10844654B1 (en) Corner key with drainage pathway
CA2780995C (en) Watertight patio door assembly
KR200474799Y1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s
US11692390B2 (en)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ill assemblies
KR101760719B1 (en) Sliding windows having elastic windbreak structure and multi heat insulation structure
US20090199496A1 (en) Window frame head and sill members
KR102368036B1 (en) Insulation structure for curtain wall window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KR102347829B1 (en) Insulation structure for curtain wall project window
KR102329603B1 (en) sliding window
KR102458788B1 (en) Sliding window structure
KR20220145628A (en) 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KR20090072866A (en) Dual doors having horizontal cross-ventilation function
KR101502665B1 (en) a lift and sliding window capable of being opened on both sides
KR101731038B1 (en) Airtight device with variable type of sliding window having improved insulation and airtight
US8074410B1 (en) Interlocking mainframe rail and sash slot system
KR200242636Y1 (en) Drainning Structure for Lift Sliding Window
KR102450987B1 (en) Simple fastener for windproofing
KR102455797B1 (en) Insulation window for improve insulation performance
KR101694490B1 (en) Windows and doors having improved insulation and windproof
CN211115483U (en) Waterproof sliding window and caravan applying same
KR200497752Y1 (en) Lift sliding window
KR200375065Y1 (en) An assemble type window frame structure for system windows
CN213450126U (en) Thermal insulation door and window for blocking cold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