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09A -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 Google Patents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09A
KR20220145609A KR1020210052385A KR20210052385A KR20220145609A KR 20220145609 A KR20220145609 A KR 20220145609A KR 1020210052385 A KR1020210052385 A KR 1020210052385A KR 20210052385 A KR20210052385 A KR 20210052385A KR 20220145609 A KR20220145609 A KR 2022014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unit
basket
robo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0078B1 (en
Inventor
박종훈
허영진
김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메카
Priority to KR102021005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078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ying device using a collaborative robot, comprising: a hand robot unit that grips a basket and performs processes; a fryer unit having an oil tank in which oil is accommodated and frying work is performed; and a holder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baskets are mounted. The hand robot unit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plurality of multi-joint arms; a gripper part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dy part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asket; and a processor part generating a work control command for the body part and the gripper part by using multi-threads. The frying device using a collaborative robot compares and determines status and priority of a plurality of frying works and performs a relatively high-priority work first.

Description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본 발명은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튀김 공정 작업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ying apparatus and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ying apparatus and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that can select and perform a plurality of frying process operation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COBOT)은 인간과 함께 작업하는 로봇으로 주로 생산현장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봇을 의미한다. 종전 생산현장에서 사용되었던 산업용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역할로서 인간과 분리된 작업공간에서 사용되었다면, 협동로봇은 인간을 보완하는 역할로 인간과 함께 일하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A Collaborative Robot (COBOT) is a robot that works with humans, mainly designed to interact with humans in production sites. If industrial robots used in production sites were used in a work space separated from humans as a replacement for humans in the past, collaborative robots complement humans and work together with human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최근에는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로봇 관련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으며, 특히 단순·반복·위험한 업무는 로봇이 진행하고 사람은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는 외식업 분야에서 협동로봇 도입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Recently, robot-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for non-face-to-face servic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particular,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ve robots is growing in the restaurant industry where robots can perform simple, repetitive, and dangerous tasks and humans can focus on services. .

음식의 요리 과정은 공장의 제조 과정과 유사하다. 공장의 제조 과정에 단순 방법만을 입력하게 되면 로봇이 일련의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공장처럼, 요리 또한 요리 방법만 입력될 수 있으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준비된 음식 재료의 운반, 담기, 털기 등의 작업을 미리 정해진 요리 방법대로 로봇이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The cooking process of food is similar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 factory. When only a simple method is input in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actory, like a factory in which a series of tasks is repeatedly performed by a robot, cooking can also be repeatedly performed if only a cooking method can be inp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able the robot to perform tasks such as transporting, putting, and whisking prepared food ingredi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oking method.

다만, 최근에는 위와 같은 단순 반복 작업을 넘어서 외식업 현장에서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고도화된 협동 로봇의 기술의 적용이 요구된다.However,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apply advanced collaborative robot technology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restaurant industry beyond the simple repetitive tasks described above.

일례로 치킨 등의 튀김 음식물에 대한 조리 시스템에 협동로봇이 투입되어 튀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충돌감지, 감속모드 등의 안전기능으로 사람과 같이 같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치킨 등의 음식물의 양산에 기여할 수 있다.For example, a cooperative robot may be input to a cooking system for fried foods such as chicken to perform frying. This can contribute to the mass production of food such as chicken because it is possible to work in the same space as a person with safety functions such as collision detection and deceleration mode.

다만, 튀김 공정에 투입되는 협동로봇에 기존의 일반적인 로봇의 티칭을 통해 작업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경우, 한 작업이 종료되기 이전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많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f the cooperative robot used in the frying process is configured and performed through the teaching of the existing general robot, it is difficult to perform many tasks at the same time because another task cannot be performed until one task is comple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멀티스레드(multi-thread)를 이용하는 방식의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0년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TB201468)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협동로봇 기반의 저가형 모듈 타입 튀김류 조리용(프라잉) 자동화 템플릿 기기 상용화"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ying apparatus and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of a multi-thread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developed through the Seoul Industry Promotion Agency 2020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 (TB201468) "Commercialization of low-cost module-type frying (frying) automation template devices based on cooperative robots for small business owne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8135호 (2016.08.08.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48135 (Registered on Aug. 8, 2016)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스레드(multi-thread)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튀김 작업의 상태 및 우선도를 비교 판단하여 상대적으로 우선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수행하도록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ying apparatus and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that uses a multi-thread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status and priority of a plurality of frying tasks to perform a relatively high-priority task first. is to provide

본 발명의에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는, 바스켓을 파지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핸드로봇부; 기름이 수용되어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유조를 구비한 튀김기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된 거치대부; 상기 핸드로봇부는, 복수 개의 다관절 암을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부; 및 멀티스레드(multi-thread)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그리퍼부에 대해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 robot unit for performing a process by gripping a basket; a frying unit having an oil tank in which oil is accommodated and the fry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cradle provided with a space on which at least one or more baskets are mounted. The hand robot unit may include a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articulated arms; a gripper part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dy part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asket; and a processor unit generating a job control command for the body unit and the gripper unit using a multi-threa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복수 개의 작업 간 우선도를 판단하여,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작업을 결정하는 제1 스레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그리퍼부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제2 스레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발생하는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스레드를 포함하는 멀티스레드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unit may include: a first thread for determining a priority between a plurality of tasks to determine a task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 second thread for chec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gripper part; and a third thread for receiving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in a user interface may be u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복수 개의 작업을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제1 내지 제3 우선작업으로 분류하여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thread may classify and set a plurality of tasks into first to third priority tasks in an order of high priorit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바스켓을 상기 튀김기부의 유조로 투입하는 투입 작업; 튀김 대상 조리물을 기름과 접촉시켜 튀기는 튀김 작업; 상기 유조에 투입된 바스켓을 흔들어주는 흔들기 작업; 상기 유조로부터 바스켓을 꺼내는 인출 작업; 인출된 바스켓에 잔존하는 기름을 분리해내는 탈유 작업; 및 바스켓을 상기 거침대부의 원위치로 이송하는 거치 작업을 포함하여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unit, the input operation of putting the basket into the oil tank of the fryer; a frying operation in which the food to be fri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il to fry; Shaking operation to shake the basket put into the oil tank; withdrawing the basket from the oil tank; deoiling operation to separate the oil remaining in the drawn basket; And it may be to generate a job control command, including a holding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basket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rough b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인출작업, 상기 탈유작업 및 상기 거치작업울 제1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thread may be to set the withdrawal operation, the oil deoiling operation, and the deferred operation as a first priority oper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투입작업을 제2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thread may set the input task as a second priority tas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거치대부에 바스켓의 거치 여부 및 상기 튀김기부에 사용 가능한 유조의 존재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된 이후에, 상기 투입작업에 대한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unit may be to generate a job control command for the input operation after sequentially checking whether the basket is mounted on the holder and whether there is an oil tank usable in the fryer hav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흔들기작업을 제3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thread may set the shaking task as a third priority tas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핸드로봇부의 충돌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에 수행하는 작업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작업 복구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중단된 상태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uni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stop the work performed when the occurrence of a collision of the hand robot unit is recognized, and performs the job in the stopped state when a job recovery command signal is input It may be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본 발명의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은, 튀김 공정의 작업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협동로봇의 상태 또는 튀김공정 수행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 튀김 공정 작업간의 우선순위를 비교 판단하는 제3 단계; 우선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하는 제4 단계; 및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제5 단계에 있어, 작업의 잔존이 확인되면 제2 내지 제4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작업의 잔존이 확인되지 않으면 튀김 공정을 종료하는 것일 수 있다.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receiving a work start signal of the frying process;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e state of the cooperative robot or the state of performing the frying process; a third step of comparing and judging priorities between frying process operations;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high-priority task; and a fifth step of checking the remaining jobs, wherein in the fifth step of checking the remaining jobs, if the remaining jobs are checked, the second to fourth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remaining jobs are not confirmed. Otherwise, it may be the end of the frying proces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협동 로봇이 멀티 스레드를 이용한 작업의 상태 관리를 통해 다수의 튀김 공정 작업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한편,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cooperative robot can sequentially select and simultaneously perform multiple frying process tasks through state management of tasks using multi-threads.

그 결과, 제한된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존의 티칭 방식의 협동로봇이 적용되는 경우와 달리, 메뉴의 특징을 반영한 작업 구성, 실시간 작업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 작업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다수의 작업의 원활한 수행 및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As a result, unlike the case where the existing teaching-type cooperative robot that can be used only in limited situations is applied, the task composition reflecting the menu features and real-time task status are identified and task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is, so that It can ensure smooth performance and increase productivit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튀김장치에 있어 핸드로봇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튀김장치에 있어 튀김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튀김장치에 있어 거치대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의 멀티스레드를 이용한 제어 명령 생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의 멀티스레드를 이용하여 작업간 우선순위에 기초한 공정 제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가 동작 및/또는 작업을 템플릿화한 제어 명령 생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 robot in the frying apparatus of Figure 1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yer in the frying apparatus of Figure 1 separa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holder in the fryer of Figure 1;
6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control command generation using multi-threads of the proces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ocess control process based on priority between tasks using multi-threading of the proces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and/or generation of a control command templated by a proces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of a screen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hronological ord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는 바스켓(1)을 파지하여 튀김 작업을 수행하는 핸드로봇부(10); 바스켓(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을 기름으로 튀기는 유조(21)가 마련된 튀김기부(20); 및 튀김 공정의 투입 전 또는 투입 후 상태인 하나 이상의 바스켓(1)이 거치되는 거치대부(30)를 발명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 robot unit 10 for holding a basket 1 to perform a frying operation; a fryer unit 20 provided with an oil tank 21 for frying the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basket 1 with oil; and a cradle 30 on which one or more baskets 1 in a state before or after the input of the frying process are mounted a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핸드로봇부(10)는 로봇 티칭 방식(교시 방식)을 통해 작업 구현을 하는 것이 아닌, 멀티스레드(multi-thread)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튀김 작업의 상태 및 우선도를 비교 판단하고, 상대적으로 우선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and robot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status and priority of a plurality of frying tasks using a multi-thread, rather than implementing the task through the robot teaching method (teaching meth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nd a task having a relatively high priority is performed first.

도 1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 하나의 핸드로봇부(10)에 대하여 튀김기부(20)와 거치대부(30)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 하나의 핸드로봇부(10)를 기준으로 양 옆 방향에 한 쌍의 튀김기부(20)와 한 쌍의 거치대부(30)가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in one embodiment, the fryer unit 20 and the holder unit 3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one by one for one hand robot unit 10 , as shown in FIG. 2 . Similarly, in another embodiment, a pair of fryers 20 and a pair of cradles 3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in both later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one hand robot unit 10 .

도 1과 도 2의 배치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배치 형태가 또 다른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arrangement of FIGS. 1 and 2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ddition, various arrangements may be applied as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각의 바스켓(1)은 내부에 튀김 대상 조리물이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을 이루되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 공간의 바닥면 및/또는 내벽면은 내외부를 향해 기름이 자유롭게 유입 또는 출입할 수 있는 타공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기름이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어 튀김 대상 조리물과 접촉되도록 하되, 튀김 작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유입되었던 기름이 자엽스럽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형성된다.Each of the baskets 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so that the food to be frie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is formed.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and/or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erforated plate through which oil can freely flow in or out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That is, the oil is free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so tha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d to be fried, but after the frying operation is finished, the oil that has been introduced is formed to naturally escape to the outside.

또한, 각각의 바스켓(1)의 일측에는 핸드로봇부(10)의 그리퍼부(12)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a)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는 거치대부(30)에 체결될 수 있는 고리부(1b)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1a capable of being gripped by the gripper portion 12 of the hand robot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basket 1, an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radle portion 30 is formed. A ring portion (1b) may be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로봇부(10)를 이루는 기술 구성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튀김장치에 있어 핸드로봇부(1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 robot unit 10 in the frying apparatus of FIG. 2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로봇부(10)는 복수 개의 다관절 암을 갖는 바디부(11); 상기 바디부(11)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스켓(1)을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부(12); 및 멀티스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11) 및 상기 그리퍼부(12)에 대해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부(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hand robo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11 having a plurality of articulated arms; a gripper part 12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dy part 11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asket 1; and a processor unit 13 that generates a job control command for the body unit 11 and the gripper unit 12 using multi-threads.

프로세서부(13)는 바디부(11)와 그리퍼부(12)에 대해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내장된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바디부(11)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부(11)와 별도로 구비되는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미도시)에 내장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3 is software in which an algorithm for generating a job control command for the body unit 11 and the gripper unit 12 is built-in, and is either built into the body unit 11 or combined with the body unit 11 . It may be built in a body part (not shown) of the hand robot unit 10 provided separately.

바디부(11)는 핸드로봇부(1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다자유도의 움직임을 실현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다관절 암을 구비한다. 바디부(11)를 이루는 각각의 관절에는 관절을 회동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각각 구비되어, 다양한 움직임 또는 기울임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body part 11 i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hand robot part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rticulated arms in order to realize a movement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Each joint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for rotating and driving the joint, so that various movements or operations such as tilting can be performed.

조리 작업에 투입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협동로봇은 통상 안전한 사용을 위해 바닥 접지면을 갖는 받침대를 사용하거나 또는 영구 고정을 위한 시공 설비를 해야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다만, 이러한 사용 또는 설치 형태는 별도 시공이 수반되어야 하여, 금전적 지출 또는 건축물의 손상 등의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조리 공정을 수행하는 협동로봇에 있어 잦은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A common type of collaborative robot used for cooking is usually installed in a way that requires a pedestal with a ground surface for safe use or a construction facility for permanent fixation. However, since this type of use or installation must be accompanied by separate construction, additional problems such as financial expenditure or damage to the building may occur. Moreo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frequent movement is impossible for a cooperative robot that performs multiple cooking processe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로봇부(10)는, 바디부(1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nd robot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ody part 1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further includes a base part 14 installed to enable position movement. it could be

베이스부(14)는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바디부(11)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4)를 이루는 하우징은, 바디부(11)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의 갖는 상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프로세서부(13)가 내장된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이 설치될 수 있는 중공의 공간이 마련된다. The base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hand robot portion 10 is installed, and the body portion 1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base part 14 has an uppe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which the body part 11 can be stably installed, and a hand robot part (with a processor part 13) built therein. A hollow space in which the body part of 10) can be installed is provided.

이때, 베이스부(14) 내부의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이 설치되는 공간은 하우징의 바닥면 및 내벽면과 소정의 거리를 둔 채로 이격된 상태로 설계된다. 즉,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은 하우징의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업용 주방은 통상 매우 협소한 공간이며, 더욱이 핸드로봇부(10) 의 본체 부분이 기름, 물, 온도 등의 열악한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핸드로봇부(10)의 본체 부분을 보호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pace in which the body part of the hand robot part 10 inside the base part 14 is installed is desig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and inner wall surfaces of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body por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is installed so as not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is is because a commercial kitchen is usually a very narrow space, and moreover, the body part of the hand robot unit 10 can be exposed to a poor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oil, water, temperature, etc. from the influence of this environment. to protect the body part of

또한, 베이스부(14)의 하부면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퀴부(14a)가 형성된다. 이는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수행간 설치 위치를 어려움 없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아래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물 청소 등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t least one pair of wheel portions 14a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 . This is to ensure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can be moved without difficulty during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is formed below to facilitate washing such as cleaning with water.

바람직하게는 두 쌍의 바퀴부(14a)가 베이스부(14)의 하부면 상에서 상호 대칭을 이루어도록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베이스부(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two pairs of wheel portions 14a are dispos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 and may be to stably support the base portion 14 from the ground.

그리퍼부(12)는 일측이 바디부(11)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11)와 일체의 움직임, 기울임 등의 동작을 갖는 한편, 다른 일측은 튀김 대상이 되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된 바스켓(1)을 파지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즉,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하여 튀김기부(20)에 투입하고 인출하거나 또는 흔드는 등의 여러 작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gripper unit 12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body unit 11 and has an operation such as movement and tilting integrally with the body unit 11, while the other side is a basket ( 1) to form a gripping reg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operation operations such as gripping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putting it into the fryer unit 20, withdrawing it, or shaking it.

프로세서부(13)는 멀티스레드를 이용하여 핸드로봇부(10)의 상태, 상기 핸드로봇부(10)를 통해 수행되는 튀김 공정의 작업 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명령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디부(11)와 그리퍼부(12)에 대해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The processor unit 13 uses multi-threads to simultaneously grasp the state of the hand robot unit 10, the operation state of the frying process performed through the hand robot unit 10, and the commands of the user interface in real time. In response, a work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for the body 11 and the gripper 12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는, 사용자의 신호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춘 별도의 단말 장치(미도시)와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부(13)는 별도의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화면을 공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또한 반대로 수행되는 튀김 공정의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are an interface with a separate terminal device (not shown) having a display capable of inputting a user's signal. That is, the processor unit 13 shares a screen with the display of a separate terminal device, and can receive a user's command signal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working state of the frying process performed in reverse. It can be provided to be displayed in real time.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원하는 작업 수행을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로봇부(10)의 상태, 상기 핸드로봇부(10)를 통해 수행되는 튀김 공장의 작업 상태 등의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command signal for performing a desired task through the display screen, and also intuitivel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hand robot unit 1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frying factory performed through the hand robot unit 10 . can be recognized 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의 멀티스레드를 이용하는 공정 수행 제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Process performance control using multi-threads of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로봇부(10)는, 바디부(11)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값은 취득하는 센서장치부(15, 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장치부(15)는 바디부(11)를 이루는 복수 개의 관절 축에 대한 각각의 상태값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The hand robo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device unit 15 (not shown) that acquires an information value on the driving state of the body unit 11 . More specifically, the sensor device unit 15 may sense the respective state values for a plurality of joint axes constituting the body unit 11 .

센서장치부(15)는 바디부(11)의 실시간 움직임, 위치, 기울기 등의 상태값을 획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획득한 상태 값을 핸드로봇부(10)에 충돌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매개 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The sensor device unit 15 can acquire state values such as real-time movement,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body unit 11 ,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acquired state value as a medium for determining whether a collision has occurred in the hand robot unit 10 . It can be used as a variable.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장치부(15)가 획득한 상태값은 프로세서부(13)로 전달된다. 프로세서부(13)는 수신한 상태값이 기설정된 충돌감지 경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미달하는 경우에, 작업을 수행하는 핸드로봇부(10)에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ate value obtained by the sensor device unit 15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unit 13 . The processor unit 13 may have a built-in algorithm for recognizing that a collision has occurred in the hand robot unit 10 performing a task when the received state value exceeds or falls below a preset collision detection boundary value. .

이는 핸드로봇부(10)가 복합적인 튀김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 등의 사고를 미리 감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큰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a bigger accident in advance by allowing the hand robot unit 10 to detect in advance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omplex frying process and take action.

도 4는 도 1의 튀김장치에 있어 튀김기부(2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도 5는 도 1의 튀김장치에 있어 거치대부(3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yer unit 20 in the fryer of FIG. 1 separated,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yer unit 30 in the fryer of FIG. 1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기부(20)는 상부가 개방되며, 중공의 내부 공간을 이루어 튀김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튀김 공간(21)으로서 유조(21)가 마련된다. 상기 튀김 공간(21)에 튀김 대상 조리물을 수용한 상태의 바스켓(1)이 투입되고, 이후 수용된 튀김 기름이 가열된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온도 범위의 튀김 기름이 조리물에 접촉하여 튀김 작업이 수행된다.As shown, the fryer 20 has an open top, and an oil tank 21 is provided as a frying space 21 that can accommodate frying oil by forming a hollow inner space. The basket 1 in a state accommodating the food to be fried is put into the frying space 21 , and then the received frying oil is heated. Accordingly, the frying oil of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is in contact with the food is fried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튀김기부(20)는 핸드로봇부(10)의 바디부(11) 및 그리퍼부(12)가 이동할 수 있는 작업 수행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와 같이 한 쌍의 튀김기부(20)는 핸드로봇부(10)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yer unit 20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within a work execution area in which the body unit 11 and the gripper unit 12 of the hand robot unit 10 can move. If necessary, it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pair of fryers 20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and robot unit 10 .

튀김기부(20)는 튀김 공간(21)의 외곽의 일측에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받치는 지지봉(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봉(22)은 튀김 공간(21)의 외곽 라인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되, 바스켓(1)부의 손잡이부(1a)가 받쳐질 수 있도록 소정의 홈부(22a)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홈부(22a)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홈부(22a)는 튀김 공간(21)에 투입된 각각의 바스켓(1)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됨이 적절하다.The fryer 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ar 22 supporting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frying space 21 . For example, the support rod 22 is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outer line of the frying space 21, and one or more predetermined groove portions 22a are formed so that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part can be supported. it may be When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22a are formed, it is appropriate that each groove portion 22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respective baskets 1 put into the frying space 21 do not overlap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로봇부(10)의 센서장치부(15)는, 지지봉(22)의 홈부(22a)에 바스켓(1)의 손잡이부(1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센서장치가 지지봉(22)의 홈부(22a)에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인식하는 경우, 프로세서부(13)는 상기 홈부(22a)가 이루는 영역의 튀김 공간(21)에서는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device unit 15 of the hand robo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is present in the groove portion 22a of the support rod 22 . may be sensing. At this time, when the sensor device recognizes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in the groove portion 22a of the support rod 22, the processor portion 13 is a frying space 21 in the region formed by the groove portion 22a.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frying operation is taking place.

또한, 튀김기부(20)는 정보 표시 및/또는 신호 입력이 가능한 화면을 갖는 표시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부(23)는 튀김기부(20)의 외면 상의 일측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yer 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3 having a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nd/or inputting a sig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3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display built into one si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yer unit 20 .

표시부(23)는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 상에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즉, 튀김 공간(21)에의 기름의 양, 기름의 온도, 바스켓(1) 투입 여부, 튀김 시간 등의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 may include an area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20 on the screen. That is,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oil in the frying space 21, the temperature of the oil, whether the basket 1 is inserted, and the frying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 frying operation. .

또한, 표시부(23)는 사용자가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에서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튀김기부(20)에 대하여 튀김 기름의 온도, 튀김 시간 등을 설정하거나 조절하는 등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 may include an area on the screen in which the user can in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fryer unit 20 in the frying space 21 . That is, the user may input a signal to set or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rying oil, the frying time, etc. to the fryer unit 2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23)는 핸드로봇부(10)의 프로세서부(13)와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표시부(23)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및/또는 입력되는 신호는 프로세서부(13)와 공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are an interface with the processor unit 13 of the hand robot unit 10 . That is,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3 and/or an input signal may be shared with the processor unit 13 .

상술한 튀김기부(2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부(30)는,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수행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부(30)는 핸드로봇부(10)의 그리퍼부(12)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바스켓(1)의 손잡이부(1a)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Like the fryer unit 20 described above, the cradle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located within the work execution area of the hand robot unit 10, and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if necessar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part 30 is designed so that the handle part 1a of the basket 1 can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gripper part 12 of the hand robot part 10 .

거치대부(30)는 복수 개의 바스켓(1)이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부(30)는 지지판부(32)와 서포트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30 provides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baskets 1 can be mounted. The cradle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late part 32 and a support part 31 .

지지판부(32)는 바스켓(1)을 지지할 수 있는 면(面)을 형성하며, 서포트부(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part 32 forms a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basket 1, and is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spaced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31 .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판부(32)는 서포트부(31)로부터 결합됨은 물론,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튀김 공정의 물량, 작업 속도 등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지지판부(32)를 필요한 개수만큼 서포트부(31)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part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as well as coupled from the support part 31 . That is, the user can install and use the necessary number of the support plate parts 32 in the support part 31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the quantity of the frying proces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work speed, and the like.

서포트부(31)는 거치대부(30)의 프레임을 이루는 구성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서포트부(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부(32)가 수평 방향으로 면(面)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서포트 구조를 갖는다.The support part 3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from the ground in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cradle part 30 . At least one support plate part 32 is installed to form a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31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has a support structure for stable support at the lower part.

한편, 서포트부(31)의 일면에는 바스켓(1)의 고리부(1b)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봉(31a)을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포트부(31)의 일면에는 바스켓(1)부의 고리부(1b)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astening rod 31a to which the ring part 1b of the basket 1 can be fastene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 .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a fastening protrusion to which the ring part 1b of the basket 1 part can be fastene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 .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부(30)는, 바스켓(1)의 바닥면의 일측이 지지판부(32)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서포트부(31)에 체결되도록, 체결봉(31a) 또는 체결돌기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스켓(1)의 하부면이 상기 지지판부(32)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er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support part 31 so th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1 is in a state away from the support plate part 32, the fastening rod 31a ) or a fastening protrusion may be installed. In other word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ket 1 may be designed to be mounted in an inclin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upport plate 32 .

바스켓(1)이 지지판부(32)의 편평한 면(面)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 지게 거치되어, 튀김 공정 작업에 투입되는 시점에 핸드로봇부(10)의 그리퍼부(12)가 용이하게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튀김 공정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바스켓(1)에 잔존하고 있는 기름이 분리되도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basket 1 is mounted at an angle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 at an angle, so that the gripper unit 12 of the hand robot unit 10 is easily installed at the time of input to the frying process. The handle portion 1a of (1) can be provided to be gripped and at the same time, after the frying process is performed, the oil remaining in the basket 1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의 멀티스레드를 이용한 제어 명령 생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의 멀티스레드를 이용하여 작업간 우선순위에 기초한 공정 제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6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 control command using multi-threads of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multi-threading of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lock diagrams conceptually illustrates a process control process based on priorities between tasks using threads is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장치가 핸드로봇부(10)를 통해 수행하는 공정 작업은 프로세서부(13)의 생성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튀김장치가 수행하는 공정 작업은, 거치대부(30)에 거치된 바스켓(1)을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으로 투입하는 투입 작업, 바스켓(1)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기름과 접촉시켜 튀기는 튀김 작업, 튀김 공간(21)에 투입된 바스켓(1)을 흔들어주는 흔들기 작업, 튀김 공정이 종료된 바스켓(1)을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작업, 인출된 바스켓(1)에 잔존하는 기름을 분리해내는 탈유 작업, 바스켓(1)을 거침대부의 원위치로 거치하는 거치 작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ocess operation performed by the f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hand robot unit 10 is performed by a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processor unit 13 . Specifically, the process operation performed by the f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operation of putting the basket 1 mounted on the holder 30 into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unit 20, the inside of the basket 1 The frying operation of fry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oil in contact with the oil, the shaking operation of shaking the basket 1 put into the frying space 21, and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ing unit 20 after the frying process is completed ), a deoiling operation of separating the oil remaining in the withdrawn basket (1), and a mounting operation of mounting the basket (1)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cradle part.

사용자가 작업 개시 또는 선택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한다. 입력된 신호를 인식한 핸드로봇부(10)는 바디부(11)를 기울이거나 이동하도록 하여, 그리퍼부(12)가 작업 수행 영역 내에 위치하는 기 설정된 거치대부(30)를 향해 접근하도록 한다.A user inputs a job start or selection signal through a display of a user interface (UI). Recognizing the input signal, the hand robot unit 10 tilts or moves the body unit 11 so that the gripper unit 12 approaches the preset cradle unit 30 located in the work execution area.

이때, 거치대부(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1)이 내부에 튀김 대상 조리물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퍼부(12)는 상기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하여 튀김기부(20)를 향해 이송한다. 이송된 바스켓(1)은 손잡이부(1a)가 튀김기부(20)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봉(22)의 홈부(22a)에 일측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으로 투입된다. 바스켓(1)의 벽면 또는 바닥면은 타공판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수용 공간으로 기름이 유입되어 튀김 대상 조리물과 접촉한다.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튀김 대상 조리물은 높은 온도의 기름에 의해 튀김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r more baskets 1 are disposed in the holder 30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to be frie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gripper 12 grips the handle 1a of the basket 1 . and transported toward the fryer 20 . The transferred basket 1 is a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a is spanned to one side of the groove portion 22a of the support rod 22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ryer unit 20. is put in The wall or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1 is formed in the form of a perforated plate, and oil flows into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to contact the food to be fried. Thereafter, the food to be fried is fried by high temperature oil for a preset time.

한편, 거치대부(30)에 바스켓(1)이 걸려있지 않거나 또는 튀김기부(20)에 다른 바스켓(1)이 이미 튀김 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어 작업 가능한 튀김 공간(21)이 없는 경우엔, 프로세서부(13)는 위와 같은 바스켓(1) 투입 작업의 수행을 정지시킨다. 이후, 거치대부(30)에 바스켓(1)이 거치되거나 또는 튀김기부(20)에 작업 가능한 튀김 공간(21)이 생기게 되면, 다시금 바스켓(1) 투입 작업을 수행토록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basket 1 is not hung on the holder 30 or there is no frying space 21 that can work because the fryer 20 has already fried another basket 1, the processor unit (13) stops the performance of the basket (1) input operation as above. Thereafter, when the basket 1 is mounted on the holder 30 or the frying space 21 that can work is created in the fryer 20 , a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to perform the basket 1 input operation again.

바스켓(1)이 튀김기부(20)에 수용되어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핸드로봇부(10)는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흔들어 주는 흔들기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튀김 작업 과정에서 조리물이 바스켓(1)에 둘러 붙는것을 방지하고, 고루 기름과 접촉하여 익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While the basket 1 is accommodated in the fryer unit 20 and the fry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hand robot unit 10 grips the handle portion 1a of the basket 1 and shakes it repeatedly within a certain range. carry out This is to prevent food from sticking to the basket 1 during the frying process, and to cook evenly in contact with oil.

프로세서부(13)의 흔들기 작업에 대한 제어 명령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로 흔들기 작업을 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거나, 흔들기 작업의 시간 또는 흔들기 범위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 또는 조정하는 것일 수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흔들기 작업을 생략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흔들기 작업을 개시, 조절, 생략하는 등의 임의적인 조절을 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for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processor unit 13 may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at is, the user may arbitrarily input a signal for starting the shaking oper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or input or adjust a signal for setting the time or shaking range of the shaking operation, and on the other hand, a signal for omitting the shaking operation may be input. Accordingly, the user can make arbitrary adjustments such as starting, adjusting, or omitting the shaking operation during the frying operation.

바스켓(1)의 투입 작업 이후에 기 설정된 튀김 작업 시간이 도과하게 되면, 튀김 작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핸드로봇부(10)는 튀김 공간(21)에 수용된 바스켓(1)을 꺼내는 인출작업을 수행한다.When the preset frying operation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of the basket 1 has elap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frying operation is over, and the hand robot unit 10 takes out the basket 1 accommodated in the frying space 21 . carry out

이후, 인출된 바스켓(1)에 잔존하는 기름을 털어내는 탈유 작업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로봇부(10)는 인출된 바스켓(1)을 제1 시기 동안 등속도로 승강시킨 이후에, 제2 시기 동안 소정의 감속도로 정지시키는 행위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바스켓(1)을 털어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인출된 바스켓(1) 및 수용된 조리물에 잔존하는 기름이 털어져 분리될 수 있다.Thereafter, a deoil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hake off the oil remaining in the withdrawn basket 1 . More specifically, the hand robot unit 10 raises and lowers the drawn basket 1 at a constant speed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n stops the basket 1 at a predetermined deceler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can be brushed off The oil remaining in the basket 1 drawn out in the above manner and the food contained therein may be shaken off and separated.

탈유 작업이 종료되면, 바스켓(1)을 거치대부(30) 상의 원위치에 다시 거치하는 거치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프로세서부(13)는 다른 바스켓(1) 등에 대한 작업의 잔존 여부를 판단한다. 잔존 작업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엔 다시금 거치대부(30)에 거치된 다른 바스켓(1)에 대해 튀김 공정 작업을 수행하며, 잔존 작업이 없는 경우엔 튀김 공정이 종료된다.When the deoiling operation is finished, a mounting operation of mounting the basket 1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on the cradle unit 30 is performed. Thereafter, the processor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ork for the other basket 1 and the like remains. When the presence of the remaining work is confirmed, the fry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other basket 1 mounted on the holder 30 again, and if there is no remaining work, the frying process is termin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Thread)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멀티스테드를 실행시켜,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관리 및 수집함으로써 원활한 작업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threads performing different roles are executed. That is, it is configured to enable smooth job management by executing multi-steady, managing and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작업 간 우선도를 판단하여,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작업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스레드를 실행시키고, 바디부(11) 및 그리퍼부(12)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제2 스레드를 실행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발생하는 명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3 스레드를 실행시키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thread is executed to determine the highest priority task by determining the priority between the plurality of tasks, and the second to check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unit 11 and the gripper unit 12 . The second thread may be executed, and the third thread may be executed to receiv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user interface (UI).

제1 스레드는 튀김 공정을 이루는 복수 개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며, 판단된 우선순위를 기초로 하여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작업을 다음 작업으로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제1 스레드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시스템은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기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thread determines priorities among a plurality of jobs constituting the frying process, and perform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highest priority job as the next job based on the determined priorities. In this case, the system in which the first thread determines the priority may be preset by a built-in algorithm.

제2 스레드는 핸드로봇부(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인식한다. 예컨대, 핸드로봇부(10)에 별도로 설치된 센서장치부(15)에 대한 경계값 또는 센서값의 변경, 감지된 센서값 또는 충돌 감지 여부와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 및 인식한다. 위와 같은 상태 정보는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수행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cond thread collects and recognize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hand robot unit 10 . For example, state information such as a change in a boundary value or a sensor value for the sensor device unit 15 separately installed in the hand robot unit 10, a detected sensor value, or whether a collision is detected, is collected and recognized. Since the above state information directly affects the work performance state of the hand robot unit 10, it is detected in real time and an immediate response is made.

제3 스레드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의 상태 정보,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제1 스레드가 복수 개의 작업간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갖춘 단말장치나 또는 핸드로봇부(10)나 튀김기부(20)에 설치된 화면과 공유되는 것일 수 있다.The third thread receives state information and input signals of the user interface (US) used by the worker. The received data may be a basis for the first thread to determine a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tasks.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the user inputs a signal may be shared with a terminal device having a separate display or a screen installed in the hand robot unit 10 or the fryer unit 20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스레드에 내장되는 알고리즘에 의한 우선순위 결정 방식을 설명한다. 제1 스레드는 복수 개의 작업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을 제1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제2 우선작업과 제3 우선 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priorities by an algorithm built into the first th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thread may set a task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as the first priority task, and sequentially setting the higher priority task as the second priority task and the third priority ta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제1 스레드는 인출작업, 탈유작업 및 거치작업을 제1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이외의 다른 작업과 비교할 때 인출작업, 탈유작업 및 거치작업에 높은 우선도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다음 작업을 결정한다.The first th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set the retrieval operation, the oil removal operation, and the deferred operation as the first priority operations. In other words, when compared with other operations, high priority is given to withdrawal operations, deoiling operations, and deferment operations, and the next operation to be performed sequentially is determined.

튀김 조리 공정의 퀄리티를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가지이나,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간이다. 즉, 정해진 시간 범위를 초과(Over)하여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바스켓(1)을 꺼내는 인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튀김 대상 조리물이 바스켓(1)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튀김 대상 조리물의 품질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튀김장치는 다른 작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선도가 높은 제1 우선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re are many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frying process,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m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rying process takes place. That is, it is most important to make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aking out the basket 1 so that the frying operation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Over). In addition, preventing the food to be fried from sticking to the basket 1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food to be fried. Therefore, th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o preferentially perform a first priority opera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priority compared to other oper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스레드는 투입작업을 제2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우선작업과 비교하여 낮은 우선도를 갖되, 그 이외의 다른 작업과 비교하여 투입작업에 높은 우선도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다음 작업을 결정한다.The first th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set the input task as the second priority task. That is, it has a lower priority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priority task, and gives a higher priority to the input task compared to other tasks, so that the next task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is determined.

투입작업에 대한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함에 있어, 제1 스레드는 선결적으로 거치대부(30)에 거치된 바스켓(1)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후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1 스레드는 거치된 바스켓(1)이 존재하고, 바스켓(1)이 투입될 수 있는 튀김 공간(21)이 존재한다고 인식되는 경우에만 투입 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In generating the job control command for the input operation, the first thread preemptively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basket 1 mounted on the cradle 30 , and then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20 . determine if it can be used. That is, the first threa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the putting operation on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mounted basket 1 exists and the frying space 21 into which the basket 1 can be put exists.

다시 말해, 거치대부(30)에 바스켓(1)이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우선작업에 대한 작업 제어 명령 생성을 중단하고, 다시금 작업간 우선 순위 비교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거치대부(30)에 바스켓(1)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에 작업이 가능한 영역이 있는지 확인한다.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sket 1 is not mounted on the cradle 30 , the generation of the job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priority task is stopped, and the priority comparison between the tasks is performed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sket 1 is mounted on the holder 30 , it is sequentially checked whether there is a workable area in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20 .

이때, 튀김기부(20)의 튀김 공간(21)에 모두 바스켓(1)이 투입되어 작업이 가능한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우선작업에 대한 작업 제어 명령 생성을 중단하고, 마찬가지로 작업간 우선 순위 비교를 다시 수행한다. 작업이 가능한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엔 투입 작업 수행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orkable area because all baskets 1 are put into the frying space 21 of the fryer 20, the generation of the task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priority task is stopped, and, likewise, priority between tasks Perform the rank comparison aga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workable area,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the input work is generated.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스레드는 흔들기작업을 제3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흔들기작업을 전술한 제1 우선작업 및 제2 우선작업보다 낮은 우선도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다음 작업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h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set the shaking task as the third priority task. That is, by giving the shaking operation a lower priority than the above-described first priority operation and the second priority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xt operation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이를 통해, 전술한 다수의 작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메뉴를 수동으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이전에 튀김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엔 작업 완료되거나 흔들기 작업을 수행하는 등 우선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above-described multipl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a complex manner, and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manually select the menu, if the frying operations are in progress b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such as completing the operation or performing a shaking operation, necessary will do the job.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가 동작 및/또는 작업을 템플릿화한 제어 명령 생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and/or generation of a control command templated by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템플릿화(Template)하여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부(13)는 그리퍼부가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하는 동작(파지 동작), 그리퍼부가 바스켓(1)의 손잡이부(1a)를 해지하는 동작(해지 동작), 탈유 작업, 흔들기 작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선택하여 템플릿화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job control command by templates of different types of jobs. For example, the processor unit 13 may perform an operation in which the gripper part grips the handle part 1a of the basket 1 (holding operation), and the gripper part releases the handle part 1a of the basket 1 (release operation). , deoiling operation, shaking operation may be selected as a group and templated.

작업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위와 같이 템플릿화된 동작 및/또는 작업들을 조합하여, 핸드로봇부(10)가 서로 다른 일련의 조리 공정의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템플릿화된 동작 및/또는 작업(T)들에 대하여, 파지 동작과 해지 동작 사이에 흔들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수행 신호(T1)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파지 동작과 해지 동작 사이에 탈유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수행 신호(T2)를 입력하거나, 흔들기 작업과 탈유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행 신호(T3)를 입력할 수 있다.The operator may combine the above-templated actions and/or actions of the user interface (UI) to cause the hand robot unit 10 to perform a series of different cooking process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operator may input a performance signal T 1 such that a sh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holding operation and the releas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templated operation and/or operations T. Alternatively, the performing signal T 2 may be input so that the oil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holding operation and the releasing operation, or the operation signal T 3 may be input such that the shaking operation and the oil removal operation are sequentially performed.

핸드로봇부(10)에 의해 조리 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새로운 작업을 추가하는 경우, 새로운 작업 수행을 위해 일일이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하거나 티칭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작업을 템플화하여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추가되는 작업에 대해서만 티칭하는 것으로 공정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When a new task is added while the cook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hand robot unit 10 , it is unreasonable to manually modify or teach the control algorithm to perform the new task. Contrary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generating a job control command by templa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jobs, the process can be modified by teaching only the added job.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각 동작 및/또는 작업의 여러 조합을 통해, 핸드로봇부(10)가 각기 다른 조리 공정을 수행토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hand robot unit 10 to perform different cooking processes through each operation and/or various combinations of operations.

한편, 프로세서부(13)는 제2 스레드를 통해 핸드로봇부(10)에 충돌 기타 비상 상황이 발생함을 인식하는 경우,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수행을 중단토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레드가 다른 작업에 대한 제어 명령 생성에 앞서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중단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중단 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3 스레드가 핸드로봇부(10)의 작업 중단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cognizing that a collision or other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hand robot unit 10 through the second thread, the processor unit 13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hread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prior to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another operation, or inputting a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 In this case, the third thread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부(13)는, 핸드로봇부(10)에 대해 중단된 작업을 복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부(13)는 제2 스레드를 통해 핸드로봇부(10)의 실시간 상태를 확인하고, 제1 스레드를 통해 상기 핸드로봇부(10)가 수행하는 작업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to restore the interrupted operation to the hand robot unit 10 .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unit 13 may check the real-time state of the hand robot unit 10 through the second thread, and recognize the stat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hand robot unit 10 through the first thread.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스레드를 통해 핸드로봇부(10)의 충돌 등의 발생이 인식되면, 프로세서부(13)는 상기 핸드로봇부(10)에 대해 작업 중단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작업이 중단되면 작업자는 충돌 등의 발생 상황을 해결하고, 핸드로봇부(10)를 대기 상태로 복구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 복구 신호를 입력하고, 프로세서부(13)는 핸드로봇부(10)가 중단된 작업을 재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occurrence of a collision of the hand robot unit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thread, the processor unit 13 generates a work stop control command for the hand robot unit 10 .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the operator solves the occurrence situation such as a collision, and restores the hand robot unit 10 to a standby state. Thereafter, the operator inputs a job recovery signal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processor unit 13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ausing the hand robot unit 10 to re-perform the interrupted job.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영역(H)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H of a screen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13)는 제1 스레드를 통해 인식된 중단된 작업 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영역(H)에 표시한다. 예컨대, 서로 다른 튀김기부(20) 또는 튀김 작업 영역(21)에서 각각 수행되고 있는 튀김 작업 상태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제 작업 중단 상태와는 별개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정도를 선택 가능하도록 화면(H)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As shown, the processor unit 13 displays the interrupted work state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thread on an area H of the screen representing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degree of the frying operation state being performed in different fryers 20 or frying operation area 21,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user interfac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H) so that the degree of work to be performed can be selected separately from the actual work interruption state.

작업자는 화면(H)을 통해 중단된 작업 복구 수행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부(13)는 중단된 상태를 그대로 복구하거나 또는 원하는 상태에서 각 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The operator may input a signal for performing restoration of a stopped job through the screen H to the user interface, and accordingly, the processor unit 13 restores the interrupted state as it is or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each job in a desired state. create

협동로봇의 경우 사람과 같이 작업을 하므로 필연적으로 작업 도중에 충돌이나 갑작스런 상황 등에 의해 작업이 중단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의 튀김장치는 중단된 작업에 대해 핸드로봇부(10)가 중단된 상태로 빠르게 복구되어, 중단된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llaborative robots, since they work together with huma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ork will inevitably be interrupted by a collision or sudden situation during work. In the f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robot unit 10 is quickly restored to the stopped state for the interrupted work, so that the interrupted work can be performed.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을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비단 튀김장치뿐만 아니라,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에 마찬가지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qually applied to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s well as a silk frying apparatu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hronological ord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은, 튀김 공정의 작업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S20); 협동로봇의 상태 또는 튀김공정 수행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S30); 필요한 튀김 공정 작업간의 우선순위를 비교 판단하는 제3 단계(S40); 우선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하는 제4 단계(S50); 및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제5 단계(S60)를 방법의 기본 단계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a frying method using a coope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20) of receiving a work start signal of the frying process; a second step (S30) of confirming the state of the cooperative robot or the state of performing the frying process; a third step (S40) of comparing and judging priorities between the necessary frying process tasks;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high-priority task (S50); and a fifth step (S60) of checking the remaining work a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a basic step of the method.

이때,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단계(S50)에 있어서, 튀김 공정 작업의 잔존이 확인되는 경우엔 다시금 협동로봇의 상태 또는 튀김공정 수행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30)로 돌아가 작업 수행을 반복한다. 이와 달리, 튀김 공정 작업의 잔존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엔 작업 수행을 반복하지 아니하고, 튀김 작업 공정이 종료된다.At this time, in the step (S50) of checking the remaining work, if the remaining of the frying process work is confirmed, the operation returns to the step (S30) of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operative robot or the frying process performed state again and repeats the work.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remaining of the frying process operation, the operation is not repeated, and the frying operation process is terminated.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은 협동 로봇이 작업의 상태 관리를 통해 다수의 튀김 공정 작업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한편,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in the frying apparatus and f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perative robot sequentially selects a plurality of frying process operations through the state management of the operation,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그 결과, 제한된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존의 티칭 방식의 협동로봇이 적용되는 경우와 달리, 메뉴의 특징을 반영한 작업 구성, 실시간 작업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 작업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다수의 작업의 원활한 수행 및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As a result, unlike the case where the existing teaching-type cooperative robot that can be used only in limited situations is applied, the task composition reflecting the menu features and real-time task status are identified and task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is, so that It can ensure smooth performance and increase productivit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바스켓
1a: 손잡이부
1b: 고리부
10: 핸드로봇부
11: 바디부
12: 그리퍼부
13: 프로세서부
14: 베이스부
14a: 바퀴부
15: 센서장치부
20: 튀김기부
21: 유조(튀김 공간)
22: 지지봉
22a: 홈부
23: 표시부
30: 거치대부
31: 서포트부
31a: 체결봉
32: 지지판부
1: Basket
1a: handle part
1b: ring part
10: hand robot unit
11: body part
12: gripper part
13: processor unit
14: base part
14a: wheel part
15: sensor device unit
20: donate fry
21: Yujo (tempura space)
22: support bar
22a: home
23: display unit
30: cradle
31: support part
31a: fastening rod
32: support plate part

Claims (10)

바스켓을 파지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핸드로봇부;
기름이 수용되어 튀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유조를 구비한 튀김기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된 거치대부;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로봇부는,
복수 개의 다관절 암을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부; 및
멀티스레드(multi-thread)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그리퍼부에 대해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A hand robot unit that performs a process by gripping the basket;
a frying unit having an oil tank in which oil is accommodated and the fry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t includes; a cradle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baskets are mounted;
The hand robot unit,
a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articulated arms;
a gripper part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dy part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asket; and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or unit for generating a work control command for the body unit and the gripper unit using a multi-thr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복수 개의 작업 간 우선도를 판단하여,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작업을 결정하는 제1 스레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그리퍼부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제2 스레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발생하는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스레드를 포함하는 멀티스레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unit,
a first thread for determining a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tasks to determine a task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 second thread for chec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gripper part; and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 multi-thread including a third thread for receiving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on a user inte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복수 개의 작업을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제1 내지 제3 우선작업으로 분류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hread,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asks are classified and set into first to third priority tasks in the order of high prior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바스켓을 상기 튀김기부의 유조로 투입하는 투입 작업;
튀김 대상 조리물을 기름과 접촉시켜 튀기는 튀김 작업;
상기 유조에 투입된 바스켓을 흔들어주는 흔들기 작업;
상기 유조로부터 바스켓을 꺼내는 인출 작업;
인출된 바스켓에 잔존하는 기름을 분리해내는 탈유 작업; 및
바스켓을 상기 거침대부의 원위치로 이송하는 거치 작업을 포함하여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unit,
an input operation of putting the basket into the oil tank of the fryer;
a frying operation in which the food to be fri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il to fry;
Shaking operation to shake the basket put into the oil tank;
withdrawing the basket from the oil tank;
deoiling operation to separate the oil remaining in the drawn basket; and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job control command, including a stationary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basket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rough b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인출작업, 상기 탈유작업 및 상기 거치작업울 제1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hread is a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operation, the oil removal operation, and the holding operation are set as a first priority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투입작업을 제2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thread,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peration is set as a second priority oper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거치대부에 바스켓의 거치 여부 및 상기 튀김기부에 사용 가능한 유조의 존재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된 이후에, 상기 투입작업에 대한 작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unit, after sequentially checking whether the basket is mounted on the holder and whether there is an oil tank usable in the fryer, generates a job control command for the input operation. fryer u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레드는, 상기 흔들기작업을 제3 우선작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th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king operation is set as the third priority operation, frying apparatus using a cooperative robo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핸드로봇부의 충돌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에 수행하는 작업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작업 복구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중단된 상태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uni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stop the work performed when the occurrence of a collision of the hand robot unit is recognized,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the job in the stopped state when a job recovery command signal is input. A frying device using a collaborativ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튀김 공정의 작업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협동로봇의 상태 또는 튀김공정 수행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
튀김 공정 작업간의 우선순위를 비교 판단하는 제3 단계;
우선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하는 제4 단계; 및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존하는 작업을 확인하는 제5 단계에 있어, 작업의 잔존이 확인되면 제2 내지 제4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작업의 잔존이 확인되지 않으면 튀김 공정을 종료하는,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방법.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operation start signal of the frying process;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e state of the cooperative robot or the state of performing the frying process;
a third step of comparing and judging priorities between frying process operations;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high-priority task; and
a fifth step of ascertaining the remaining work;
In the fifth step of checking the remaining work, if the remaining work is confirmed, the second to fourth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if the remaining work is not confirmed, the frying process is terminated.
KR1020210052385A 2021-04-22 2021-04-22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KR102480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85A KR102480078B1 (en) 2021-04-22 2021-04-22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85A KR102480078B1 (en) 2021-04-22 2021-04-22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09A true KR20220145609A (en) 2022-10-31
KR102480078B1 KR102480078B1 (en) 2022-12-23

Family

ID=838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385A KR102480078B1 (en) 2021-04-22 2021-04-22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0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80B1 (en) 2023-05-23 2023-12-29 주식회사 에이스로보테크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28A (en) * 2005-06-07 2006-12-21 Fanuc Ltd Robot control device and robot control method
KR101648135B1 (en) 2015-03-23 2016-08-16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Automatic frying machine
US20200047349A1 (en) * 2018-08-10 2020-02-13 Miso Robotics, Inc. Robotic kitchen assistant including universal utensil gripping assembly
US20200316778A1 (en) * 2019-04-05 2020-10-08 Verb Surgical Inc. Robotic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al-Time and Non-Real-Time Traff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28A (en) * 2005-06-07 2006-12-21 Fanuc Ltd Robot control device and robot control method
KR101648135B1 (en) 2015-03-23 2016-08-16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Automatic frying machine
US20200047349A1 (en) * 2018-08-10 2020-02-13 Miso Robotics, Inc. Robotic kitchen assistant including universal utensil gripping assembly
US20200316778A1 (en) * 2019-04-05 2020-10-08 Verb Surgical Inc. Robotic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al-Time and Non-Real-Time Traff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078B1 (en)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258B2 (en) Robotic kitchen assistant for frying including agitator assembly for shaking utensil
US8276506B2 (en) Cooking assistance robot and cooking assistance method
JP5142243B2 (en) Robot work teaching system and work teaching method for robot
Bollini et al. Bakebot: Baking cookies with the pr2
KR102215177B1 (en) Chef robot with curved gripper
US9612727B2 (en) Task changing apparatus, task changing method, and task changing program
KR20220145609A (en)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CN109760042A (en) Program auxiliary device, robot system and program creating method
US9020132B2 (en) Contact center agent filtering and relevancy ranking
Hamabe et al. A programming by demonstration system for human-robot collaborative assembly tasks
JP2010198064A (en) System and method for robot control
Khanna et al. Human-Robot Collaboration in Cleaning Applications: Methods, Limitations, and Proposed Solutions
JP2011200970A (en) Autonomous moving device and work determining method
CN109789555A (en) Robot system and its method of operation
JP7173079B2 (en) WORK RESUME SYSTEM, MANUFACTUR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147120A (en) robot
JP5488930B2 (en) Housework plan creation support device and housework plan creation support method
JP2019188545A (en) Robot control device
TW201601634A (en) Automatic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haved noodles
JP2023516311A (en) robot
KR20230160584A (en) User interface apparatus of cook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robot using the same
Chivarov et 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s for Service Mobile Robots for Elderly Care
CN109822566A (en) Robot control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7271777B1 (en) Program, method, work management device, and work management system
WO20230683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obot controller, robot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