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180B1 -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 Google Patents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180B1
KR102619180B1 KR1020230066303A KR20230066303A KR102619180B1 KR 102619180 B1 KR102619180 B1 KR 102619180B1 KR 1020230066303 A KR1020230066303 A KR 1020230066303A KR 20230066303 A KR20230066303 A KR 20230066303A KR 102619180 B1 KR102619180 B1 KR 10261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gripper
automated
robo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원
권기범
어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로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로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로보테크
Priority to KR102023006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0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gripped object in the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25J15/02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actuated b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튀김 작업을 수행하되 다수의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시간이나 시간차를 두고 기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수준의 튀김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리퍼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망을 이송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자동화 로봇, 자동화 로봇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자동화 로봇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가 구비되는 작업대,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에 대응하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분할형 트레이 및,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frying operations and can always provide a constant level of frying by allowing multiple water-battered frying ingredients to be placed in oil at the same time or at different times whi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about,
An automated robo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rticulated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and performs continuous operation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ransport the frying net and inject the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The automated robot is installed on one side.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automated robot, a number of stands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are mounted, a workbench equipped with one or more fryers, and a number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water-mixed frying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form a semi-circular shape. A split tray is formed in a shape and has a gripper corresponding to a gripper at one end,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real-time work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rised including.

Description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본 발명은 물반죽 튀김을 위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튀김 작업을 수행하되 다수의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시간이나 시간차를 두고 기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수준의 튀김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that can be used for water batter frying. More specifically, it automatically performs the frying task, but at the same time or with a time difference while multiple water batter frying ingredie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relates to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that can always provide a constant level of frying by allowing it to be put into oil.

최근, 산업계에 전반적으로 정착되어 있는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에 착안하여 요식업계에서도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된 후 점차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focusing on the automation system using robots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out the industry, automation systems using robot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are gradually spreading.

대표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먹을거리 중 하나인 치킨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튀김 작업을 담당하는 자동화 로봇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튀김 전용의 자동화 로봇은 사람의 수고를 덜어줄 뿐만 아니라 튀김의 질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등 실익이 크기 때문에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is an automated robot that is responsible for frying in the process of cooking chicken, one of the most popular foods in Korea. These automated robots dedicated to frying not only reduce human effort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frying.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will continue to increase because the actual benefits are large, such as the effect of ensuring that this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따라서, 튀김 전용의 자동화 로봇에 관한 개발과 개량이 계속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5897호의 “자동튀김장치 및 그 자동튀김장치의 구동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80078호의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 등의 여러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Therefor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automated robots dedicated to frying are continuing, and as a resul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35897, “Automatic fry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automatic frying device,”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 Several inventions have been proposed and disclosed, including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s” in No. 2480078.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5897호의 “자동튀김장치 및 그 자동튀김장치의 구동방법”에는 구동부, 튀김부, 제어부 및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기존 장치에 결합 설치하기 용이한 튀김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80078호의 “협동로봇을 이용하는 튀김장치 및 튀김방법”에는 멀티 스레드를 이용한 작업의 상태 관리를 통해 다수의 튀김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튀김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automatic fry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automatic frying devic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35897 includes a driving unit, a fry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frame, but is compactly configured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in combination with an existing device. An invention related to a frying device and method has been proposed, and in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480078, “Frying device and method using a collaborative robot,” multiple frying processes are provided through status management of tasks using multi-threads. An invention has been proposed regarding a frying device and method that allows simultaneous performance.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일손을 덜어주고 튀김의 질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충분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In this way, it appears that the use of the automated robot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inventions can sufficiently reduce the user's labor and ensure that the quality of fried food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다만,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이 제안하고 있는 자동화 로봇들은 튀김에 이용되는 재료가 파우더를 입힌 상태인 재료일 때에만 제대로 된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한계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utomated robots proposed by the above-mentioned prior inventions have a common limitation in that the proper effect occurs only when the ingredients used for frying are powdered.

즉, 물반죽한 상태인 재료를 튀김에 그대로 이용할 때에는 튀김옷이 서로 겹친 상태로 재료가 튀겨지거나 튀김망에 흘러내린 물반죽이 먼저 튀겨진 상태로 재료에 붙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는데, 상기한 선행 발명들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water-kneaded ingredients are used for frying, problems such as the ingredients being fried with the batter overlapping each other or the water batter flowing down the frying net sticking to the ingredients after being fried first may occur. , the above-described prior inventions do not provide a solution to this problem.

따라서, 자동화 로봇을 이용할 수 있는 레시피에서 물반죽한 상태인 재료를 튀김에 그대로 이용하는 레시피는 제외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반죽 튀김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recipes that can use automated robots, recipes that use water-kneaded ingredients for frying may have to be excluded, so a solution to this problem of water-kneaded frying is need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5897호(2021. 03. 3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35897 (2021. 03. 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80078호(2022. 12. 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480078 (December 19, 2022)

본 발명에 의한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은 상기한 선행 발명들을 포함한 여러 발명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튀김 전용의 자동화 로봇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발명이다.The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solving problems commonly found in automated robots dedicated to frying proposed in various invention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rior inventions. .

즉, 물반죽한 상태인 재료를 기름에 튀길 때에는 튀김옷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재료가 튀겨지거나 튀김망에 흘러내린 물반죽이 먼저 튀겨진 상태로 재료에 붙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튀김의 질이 저하될 수 있으나, 상기한 선행 발명들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frying water-battered ingredients in oil,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ingredients are fried with the batter overlapping each other, or the water batter that flows down the frying net sticks to the ingredients in the fried state first, which can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frying. 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inventions do not provide a solution to this problem.

따라서, 치킨 전문점과 같이 튀김 요리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튀김 전용의 자동화 로봇을 이용할 수 있는 튀김용 레시피에 제한이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frying recipes that can be used with automated robots dedicated to frying in restaurants that sell fried dishes, such as chicken restaurants, and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그리퍼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망을 이송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자동화 로봇; 상기 자동화 로봇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자동화 로봇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가 구비되는 작업대;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에 대응하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분할형 트레이; 및,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을 제시한다.An automated robot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rticulated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and performing continuous operation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a control unit to transport a frying net and inject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A workbench on which the automated robo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nds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are mounted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automated robot and one or more fryers; A split tray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water-battered fried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are integrally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gripper corresponding to a gripper;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We present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의한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은,The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이격되도록 분할형 트레이에 투입된 다수의 튀김 재료가 동시 또는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기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물반죽한 상태인 재료를 이용하는 상황에 있어서도 신속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튀김의 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Since multiple frying ingredients placed on a split tra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laced in oil simultaneously or at a certain time interval, the speed is maintained even when water-kneaded ingredients are used, and the quality of the frying does not deteriorat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is from happen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동화 로봇, 작업대 그리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a는 하우징을 포함한 그리퍼 작동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하우징을 제외한 그리퍼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그리퍼 작동부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는 작업대의 거치대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가 완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작업대의 튀김기에 튀김망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튀김기에서 작업대의 거치대로 튀김망이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분할형 트레이의 구성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분할형 트레이의 구성 순서도.
도 7a 내지 도 7d는 자동화 로봇에 의해 분할형 트레이가 3단계로 회전되며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ed robot, a workbench, and a control unit that constitutes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gripper operating part including the housing.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per operating part excluding the housing.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gripper operating unit.
Figure 4a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are fully equipped on the holder of a workbench.
Figure 4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ying net is inserted into a fryer on a workbench.
Figure 4c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ying net is transferred from the fryer to the holder of the workbench.
5A to 5D are flowcharts of the configuration of a spli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flowcharts of the configuration of a split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to 7d are example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plit tray is rotated in three stages by an automated robot and fried ingredients are added.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재원으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지역스타기업육성사업 과제 "2개의 크기로 자동 변환되는 지능형 가변 그리퍼와 음성인식이 가능한 스마트 명령 시스템 기술개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반죽 튀김을 위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This invention was made in support of the regional star business development project project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an intelligent variable gripper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o two sizes and a smart command system capable of voice recognition",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with resources from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This is the result of research conduct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that can be used for frying water batter,

그리퍼(110)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망을 이송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자동화 로봇(100); 상기 자동화 로봇(100)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자동화 로봇(100)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210)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220)가 구비되는 작업대(200);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110)에 대응하는 파지부(360)가 구비되는 분할형 트레이(300); 및,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ed robot (tha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ulti-joint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110), performs continuous operation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ransports the frying net, and injects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100); The automated robot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automated robot 100, a number of stands 210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300 are mounted and one or more fryers 220 are provided. workbench (200); A split tray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the water-battered fried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integrally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gripper 360 corresponding to the gripper 110 at one end. ; And, a control unit 400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그리퍼(110)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는 튀김 작업용의 로봇이며, 튀김 작업을 위한 동작을 수행 가능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ed robot 100 is a robot for frying work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rticulated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110, and is set to perform operations for frying work. In this state, continuous oper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o complete the frying.

즉,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다관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동작에 따라 튀김기(220)로 튀김망을 이송하여 투입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며, 튀김이 완료된 후 튀김망을 다시 원위치로 이송하는 등의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튀김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at is, when the automated robot 1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it transfers and inserts the frying net into the fryer 220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using the multi-joint, and inserts the frying net into the frying net. It must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frying operation, including all processes such as putting in the frying net and transferring the frying ne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frying is completed.

또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튀김 재료가 담긴 분할형 트레이(30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일측 말단에 구비된 그리퍼(110)를 제자리에서 180°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도 구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ed robot 100 moves the gripper 110 provided at one end 180 degrees in place to implement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split tray 300 containing the frying ingredients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It must also be constructed in a form that can be rotated by degrees or more.

따라서, 상기 그리퍼(110)는 제자리에서 180°이상으로 회전할 때에 분할형 트레이(300)를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파지되는 분할형 트레이(300)의 일부의 형상도 그리퍼(1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gripper 110 must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can maintain the gripped state of the split tray 300 when rotated by more than 180° in place, and the shape of the part of the split tray 300 to be gripped It should also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ipper 110.

그리고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그리퍼(110)의 작동을 위한 수단으로써 말단에 그리퍼 작동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And the automated robot 10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er operating unit 120 at the end as a means for operating the gripper 110.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퍼 작동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한 쌍의 개방구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21),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는 양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부(122), 상기 양방향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제1 기어(123a)와, 서로 대칭되며 제1 기어(123a)에 맞물린 상태로 종속하여 양방향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기어(1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벨 기어부(12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gripper operating unit 120 has a hollow interior, and a pair of openings on one s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utomated robot 100. a housing 121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121, a motor unit 122 including a bidirectional motor install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housing 121, a first gear 123a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idirectional motor and rotating in both directions, and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evel gear portion 123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pair of second gears 123b that rotate in both directions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23a.

또한, 다각의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 말단부가 한 쌍의 제2 기어(123b) 각각에 축 체결되고, 타(123b)측 말단부가 하우징(121)의 내벽에 베어링 체결된 상태로 양방향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축(124), 상기 구동축(124)이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체결되어 타측 말단부가 스윙하는 형태로 양방향 회전 운동하는 한 쌍의 스윙부(12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polygonal column shape,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haft-fasten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gears 123b, and the other end 123b is bearing-fasten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1 in two directions. A pair of rotating drive shafts 124, the drive shaft 124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swing portions 125 that rotate in both directions in such a way that the other end portion swings.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이어서, 양측 말단부가 상기 스윙부(125)의 타측 말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한 쌍의 U자형 구동부(126) 및, 상기 구동부(126)에 밀착 설치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그리퍼(110)를 작동시키는 그리퍼 조(127)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Next, a pair of U-shaped driving units 126, each end of which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unit 125 and reciproc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126 and reciprocat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ipper jaw 127 that operates the gripper 110.

이때, 상기 모터부(122)는 양방향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속도를 감속하여 제1 기어(123a)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내부에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감속기의 감속비에 비례하여 베벨 기어부(123)를 구성하는 제1 기어(123a)와 제2 기어(123b)의 토크가 증가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unit 122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ducer therein that reduce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two-way motor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gear 123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ducer is An effect occurs in which the torque of the first gear 123a and the second gear 123b constituting the bevel gear unit 123 increases in proportion to .

또한, 상기 제1 기어(123a)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동시에 맞물리는 한 쌍의 제2 기어(123b)도 감속을 위한 목적으로 제1 기어(123a)보다 기어비가 작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기어(123b)에 축 체결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동축(124)의 토크(torque)가 기어비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 pair of second gears 123b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23a in a symmetrical manner may also be configured with a gear ratio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ear 123a for the purpose of reducing speed. Accordingly, an effect occurs in which the torque of the drive shaft 124 rotating while shaft-fastened to the second gear 123b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gear ratio.

즉, 본 발명은 상기 모터부(122)의 내부에 구비된 감속기와 베벨 기어부(123)의 구성을 이용하여 양방향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구동력을 구동축(124)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driving the two-way motor to the drive shaft 124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ducer and the bevel gear unit 123 provided inside the motor unit 122.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will occur.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 기어(123b)는 제1 기어(123a)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며, 이로 인해 각각의 제2 기어(123b)와 연계하여 회전 운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되는 후속 구성들의 운동 방향이 모두 반대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air of second gears 123b are install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first gear 123a, their rotation directions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as a result, each second gear 123b As a result, the movement directions of subsequent components that rotate or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gear 123b are all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구동축(124)은 체결이 발생한 각각의 제2 기어(123b)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양방향 모터의 구동에 의한 구동력을 후속의 스윙부(125)로 전달하는 구성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기어(123b)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한 쌍의 스윙부(125) 각각이 회전 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drive shafts 124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each second gear 123b in which engagement occurred, there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of the two-way motor to the subsequent swing unit 125, as described above. As shown, by being configured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by the second gear 123b, as a result, the rotational movement direction of each of the pair of swing parts 125 can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또한, 상기 스윙부(125)는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에 구동축(124)에 대응하는 원 또는 다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막대형, 기둥형 또는 일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이용하여 구동축(124)에 볼트 체결되거나 그 외 다른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ng part 125 may be configured as a bar, column, or straight shape with a circular or polygonal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drive shaft 124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may be used to It may be bolted to the drive shaft 124 or may be fastened in some other way.

따라서, 상기 스윙부(125)는 구동축(124)에 체결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원위치를 유지하는 일측 말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 말단부가 스윙하는 형태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wing part 125 rotates in place while fastened to the drive shaft 124 and can rotate in such a way that the other end part swings based on one end part that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윙부(12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가 되도록 구동축(124)에 체결되어야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A and 3B, considering that the pair of swing parts 125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y are attached to the drive shaft 124 so that their longitudinal directions are staggered. must be concluded.

또한, 상기 구동부(126)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양측 말단부가 스윙부(125)의 타측 말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U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윙부(125)의 회전 운동과 연계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6 may be configured in a U-shape in which both end portion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correspon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wing portion 125.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wing portion 125 It can reciprocate left and right in conjunc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즉, 상기 구동부(126)는 내입홈을 가진 U자형으로 구성되어 그 내입홈에서의 스윙부(125)의 회전 운동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측 말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상방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내입홈에서의 스윙부(125)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윙부(125)가 회전 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part 126 is configured in a U-shape with an internal groove so that rotational movement of the swing part 125 occurs in the internal groove,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end parts to be inclined upward in a symmetrical form. By forming, the swing part 125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the groove and at the same time, the swing part 125 can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rotates.

이때, 상기 스윙부(125)의 말단부 또는 구동부(126)의 양측 돌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서로가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탄성 재질의 완충구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distal end of the swing part 125 or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part 126 may b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impact when the swing part 125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preventing noise.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부(126)의 양측 말단부에는 스윙부(125)의 타측 말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타측 말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돌출부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both end portions of the driving unit 126,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below the protrusions to allow the other end to be se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other end of the swing unit 125.

따라서, 상기 스윙부(125)는 그리퍼(110)가 파지부(36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고장이나 전원 공급의 차단이 발생하여 양방향 모터의 구동이 중단되더라도 타측 말단이 구동부(126)의 경사면에 안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중력에 의한 스윙부(125)의 회전 운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는 그리퍼(110)가 파지부(360)를 잡고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wing unit 125 has its other en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rive unit 126 even if the drive of the two-way motor is stopped due to a failure or power supply interruption while the gripper 110 is holding the gripper 360. The seated state can be maintained as is, and this limi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wing part 125 due to gravity, resulting in the effect that the gripper 110 can maintain the gripping part 360 as is. occurs.

또한, 상기 그리퍼 조(127)는 몸체의 일부가 구동부(126)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과 크기의 U자형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부는 U자형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21)의 개방구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U자형 몸체가 U자형인 구동부(126)에 포개지는 형태로 밀착 설치됨으로써 구동부(126)와 동일하게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jaw 127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body is U-shaped with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 size as the driving unit 126, and the other par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U-shaped body toward the opening of the housing 121. It can be configured in a formed form, and the U-shaped body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haped driving part 126 in an overlapping form, so that it can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same way as the driving part 126.

즉, 상기 그리퍼 조(127)는 몸체의 일부가 구동부(126)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과 크기로 구성됨으로써 구동부(126)와 일체화되어 스윙부(12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그리퍼(110)로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gripper jaw 127 is integrated with the driving part 126 by having a part of the body of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 size as the driving part 126, so that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swing part 125 is transferred to the gripper 110 as is. It can be delivered.

또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물반죽한 상태인 튀김 재료를 이용하는 튀김 작업의 수행을 기본으로 하되 파우더를 입힌 상태인 튀김 재료를 이용하는 튀김 작업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utomated robot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erform a frying operation using battered frying ingredients, but can also perform a frying operation using powdered frying ingredients.

즉,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물반죽 튀김 전용으로 이용되도록 세팅될 수 있으나,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를 대상으로 하는 동작의 수행을 생략하여 다른 튀김 작업에도 이용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utomated robot 100 can be set to be used exclusively for frying water batter, but it can also be set to be used for other frying tasks by omitting the operation targeting the split tray 300.

따라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몸체의 일측이나 주변에는 정보의 입력 및 표시를 위한 단말 장치가 터치 패널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구비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튀김 작업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튀김 작업의 시작이나 종료를 입력할 수 있으며, 실시 현황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a terminal device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around the body of the automated robot 100, and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frying task using the provided terminal device. You can select, enter the start or end of the frying process, and check information such as implementation status.

또한, 상기 작업대(200)는 상기 자동화 로봇(100)에 의한 튀김 작업이 발생하는 시설물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자동화 로봇(100)이 설치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설치된 자동화 로봇(100)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210)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220)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workbench 200 is a facility where frying work by the automated robot 100 occurs, and as shown in FIG. 1, a space is provided on one side for the automated robot 100 to be installed, and the installed automated robot It must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tands 210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300 are mounted and one or more fryers 220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100.

이때, 상기 거치대(210)는 튀김망이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거치대(211)와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거치대(212) 그리고 조리 완료된 튀김이 담긴 튀김망이 거치되는 배출용의 제3 거치대(213)로 구분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착오 등에 의한 혼용이 방지되도록 위치가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older 210 includes one or more first holders 211 on which the frying net is mounted, one or more second holders 212 on which the split tray 300 is mounted, and a frying net containing the cooked fries. It should be separated by a third holder 213 for discharge, and it is desirable for the locations to be separated to prevent mixing due to user error.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거치대(211)와 제3 거치대(213)는 튀김망이 항상 동일한 자세로 정확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거치대(212)는 분할형 트레이(300)가 항상 동일한 자세로 정확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이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를 정확하게 거치하거나 파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4a to 4c, the first holder 211 and the third holder 213 are configured in a shape so that the frying net can always be accurately mounted in the same posture, and the second holder (2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allows the split tray 300 to be accurately mounted in the same posture at all times. This allows the automated robot 100 to accurately mount the frying net and the split tray 300. You can do it or grab it.

이때, 상기 자동화 로봇(100)에 의한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를 대상으로 하는 이송 동작의 수행에는 제1 거치대(211)와 제2 거치대(212) 그리고 제3 거치대(213)의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가 이용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n performing the transfer operation targeting the frying net and the split tray 300 by the automated robot 100,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holder 211, the second holder 212, and the third holder 213 are used. Information and real-time task information are used, and more detailed processes will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물반죽된 튀김 재료의 투입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도구이며,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기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튀김의 질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이용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lit tray 300 is a tool used for the purpose of adding water-battered frying ingredients, and allows the water-battered frying ingredients to be put into the oil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thereby ensuring that the quality of the frying is always constant. The purpose of use is to ensure that it can be maintained properly.

이를 위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110)에 대응하는 파지부(360)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형태가 구체화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plit tray 300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water-battered frying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and at one end is a gripper 360 corresponding to the gripper 110. ) may be provided, and the above-mentioned form may be embod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수평한 상단면과 빗면인 양측 경사면을 가진 돌출부(312)가 상단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의 상단면에도 다수의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지지대(3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the split tray 300 has a horizontal top surface with insertion grooves 31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rotrusion 312 having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which are inclined surface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310 that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enter and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상기 돌출부(3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입홈(321)이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1)에 대응하는 삽입부(322)가 내입홈(321)의 내부와 양측 하단면에 형성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삽입공(323)이 몸체를 3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입홈(321)과 삽입부(322)를 이용하여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반원판(32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plit tray 300 has an inner groove 3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12 formed downward, and an inner groove 321 is formed downward in the insertion groove 311.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s 322 are formed inside the inner groove 321 and on the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3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in the form of dividing the body into three part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lates 32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using the groove 321 and the insertion portion 322.

그리고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삽입공(323)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분할대(33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2)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되는 파지부(3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5C and 5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dividers 330 installed to simultaneously penetrat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323, and one end of the protrusion 31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ipper 360 that is installed and gripped by the gripper 110 of the automated robot 100.

즉,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지지대(310)에 다수의 반원판(320)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가 완료된 다수의 반원판(320)에 다수의 분할대(33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순서에 관계없이 지지대(310)에 파지부(36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최종 형상의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A to 5D, the split tray 300 has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lates 32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pport 310, and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lates 320 that have been installed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form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330 can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gripping part 36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310 regardless of the order. Fabrication of the final shape can be completed.

이때,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의 상단에 형성된 모든 삽입홈(311)에 대응하도록 반원판(320)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튀김 재료의 크기와 수에 따라 일부 반원판(320)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mi-disc plates 320 do not have to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all the insertion grooves 311 formed at the top of the split tray 300, and some semi-disc plates 320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ze and number of frying ingredients.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수평한 상단면과 빗면인 양측 경사면을 가진 돌출부(312)가 상단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의 상단면에도 다수의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지지대(3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the split tray 300 has a horizontal top surface on which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rotrusion with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that are inclined surfaces. (312)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enter,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310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there is.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상기 돌출부(3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입홈(321)이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1)에 대응하는 삽입부(322)가 내입홈(321)의 내부와 양측 하단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일자형 절개홈(343)이 몸체를 3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입홈(341)과 삽입부(342)를 이용하여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반원부(34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plit tray 300 has an inner groove 3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12 formed downward, and an inner groove 321 is formed downward in the insertion groove 311.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s 322 are formed inside the inner groove 321 and on both lower surfaces, and ar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341 with a pair of straight cut grooves 343 formed in a shape that divides the body into three parts. The portion 34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ortions 34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312.

그리고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343)에 대응하는 다수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반원부(340)에 동시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2)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되는 파지부(3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6C and 6D,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ut grooves 34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installed in a manner that they are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semicircular portions 3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ate 350 and a gripper 36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312 and gripped by the gripper 110 of the automated robot 100.

즉,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지지대(310)에 다수의 반원부(34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가 완료된 다수의 반원부(340)에 한 쌍의 분할판(350)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순서에 관계없이 지지대(310)에 파지부(36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최종 형상의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6A to 6D, the split tray 300 has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arts 34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pport 310, and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arts 340 that have been installed are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formed by installing a pair of partition plates 350 in a semi-cylindrical shape can be formed, and the gripping part 36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310 regardless of the order. Thus, the production of the final shape can be completed.

이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312)의 상단에 형성된 모든 삽입홈(311)에 대응하도록 반원부(340)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튀김 재료의 크기와 수에 따라 일부 반원부(340)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semicircular portion 340 does not have to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all the insertion grooves 311 formed at the top of the protrusion 312, and some semicircular portions 340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ze and number of frying ingredients. It may be omitted.

그리고 도 5d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에는 파지부(360)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부(310)의 일측면의 양측에 고정구(370)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거치대(212)에도 고정구(370)가 끼워지거나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고정대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5D and 6D, fixtures 370 are installed in the split tray 300 in a protruding form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10 with the grip portion 360 as the reference. Correspondingly, the second holder 212 may also be provided with a fixture in a form that allows the fixture 370 to be inserted or seated.

이후,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에 형성된 다수의 보관홈에 물반죽된 튀김 재료를 하나씩 투입한 상태에서 그 분할형 트레이(300)를 제2 거치대(212)에 거치하게 되면, 파지부(360)에 대한 자동화 로봇(100)의 파지와 튀김기(220) 상방으로의 이송이 발생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plit tray 300 is placed on the second holder 212 while the water-battered frying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into the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formed in the split tray 300, the holding portion 360 ) The grasping of the automated robot 100 and the transfer to the upper part of the fryer 220 occur.

이어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튀김기(220)에 투입된 튀김망의 상방에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7A to 7D, the split tray 300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bove the frying net inserted into the fryer 220.

따라서, 일부의 튀김 재료가 1차로 동시간에 기름에 투입되고, 다른 일부의 튀김 재료가 2차로 동시간에 기름에 투입되며, 남은 일부의 튀김 재료가 3차로 동시간에 기름에 투입됨으로써 모든 튀김 재료가 뒤섞인 채로 동시에 기름에 투입될 때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Therefore, some of the frying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oil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time, some of the other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oil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time, and some of the remaining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oil at the same time as the third time, so that all the fried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oil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of mixing ingredients and adding them to the oil at the same time can be solv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자동화 로봇(100)에 의해 단순히 이송될 뿐만 아니라 튀김기(220)의 상방에서 최대 200°까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리퍼(110)에 매우 견고하게 파지되어야 한다.Meanwhile, as mentioned above, the split tray 300 must not only be simply transported by the automated robot 100 but also be stably rotated up to 200° above the fryer 220, so the gripper 110 It must be held very firmly.

즉,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그리퍼(110)가 분할형 트레이(300)의 파지부(360)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안 그리퍼(110)와 파지부(360)의 서로 맞물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파지부(360)의 형상은 단순한 일자형을 지양하고 굴곡이나 돌기를 가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퍼(110)의 형상도 파지부(360)의 형상에 맞춤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ile the gripper 110 of the automated robot 100 rotates while holding the gripper 360 of the split tray 300, the gripper 110 and the gripper 360 remain engaged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it is desirable that the shape of the gripper 360 avoid a simple straight shape and be composed of a shape with curves or protrusions, and the shape of the gripper 110 is also tailored to the shape of the gripper 360.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자동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어 장치이며,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거치대(210)와 튀김기(220)의 좌표 정보 그리고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그 자동화 로봇(100)에 의한 튀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s a control devic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automatic control of the automated robot 100,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holder 210 and the fryer 220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real-time task information so that the frying task can be performed by the automated robot 100.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공지의 컴퓨터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입력된 하나 이상의 거치대(210)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220) 각각에 대한 좌표 정보 그리고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의 수행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계속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자동화 로봇(100)에 의한 동시 다발적인 튀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400 may be composed of a known computer device, and includes pre-entered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of one or more holders 210 and one or more fryers 220 and preset By continuously generating control signals using task information generated in real time by performing the frying task according to the method, multiple frying task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one automated robot 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단말 장치나 작동 스위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때에 작업대(200)에 구비된 거치대(210) 중 튀김망이 거치된 제1 거치대(211)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input using a terminal device or an operation switch occurs, the control unit 400 us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rst holder 211 on which the frying net is mounted among the holders 210 provided on the work table 200. Thu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ed robot 100 can be generated.

이때, 상기 작업대(200)에 다수의 제1 거치대(21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비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순서가 설정되어야 하며, 그 순서에 따른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first holders 211 are provided on the work table 200, the order must b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st holders 211, and a control signal must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rder.

다만, 사용자는 단말 장치의 화면에 다양한 방식 중 특정의 방식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제1 거치대(2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선택이 발생할 때에는 선택된 제1 거치대(211)의 좌표 정보를 이용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However,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ders 21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in a specific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and when such user selection occur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first holder 211 is provided. A control signal using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작업대(200)에 구비된 튀김기(220)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ed robot 100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ryer 220 provided on the worktable 200.

이때, 상기 작업대(200)에 다수의 튀김기(22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비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순서가 설정되어야 하며, 그 순서에 따른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fryers 220 are provided on the work table 200, the order must b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ryers 220, and a control signal must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rder.

따라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제1 거치대(211)에 거치된 튀김망의 파지를 위한 동작과 파지된 튀김망을 튀김기(220)에 거치하기 위한 동작을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utomated robot 100 can continuously perform an operation for holding the frying net mounted on the first holder 211 and an operation for mounting the held frying net on the fryer 220.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작업대(200)에 구비된 거치대(210) 중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된 제2 거치대(212)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use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lder 212 on which the split tray 300 is mounted among the holders 210 provided on the work table 200 to control the automated robot 100. Control signals can be generated.

이때, 상기 작업대(200)에 다수의 제2 거치대(21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비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순서가 설정되어야 하며, 그 순서에 따른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second holders 212 are provided on the worktable 200, the order must b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cond holders 212, and a control signal must be generated according to that order.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튀김망이 거치된 상태이거나 거치될 예정인 튀김기(220)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ed robot 100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ryer 220 in which the frying net is mounted or is scheduled to be mounted.

따라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제2 거치대(212)에 거치된 분할형 트레이(300)의 파지를 위한 동작과 파지된 분할형 트레이(300)를 튀김기(220)에 거치된 튀김망의 상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송이 완료된 이후 분할형 트레이(30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튀김망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automated robot 100 performs an operation for gripping the split tray 300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212 and moves the grasped split tray 300 above the frying net mounted on the fryer 220.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to transfer to , and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split tray 300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water-kneaded frying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frying net.

이때,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로봇(100)에 의한 분할형 트레이(300)의 회전은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3단계로 분할되어 진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A to 7D, the rotation of the split tray 300 by the automated robot 100 may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with a certain time difference.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분할형 트레이(300)를 튀김기(220)에 투입된 튀김망의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1차로 60° 또는 90° 회전시킨 후 일시 정지하도록 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 60° 더 회전시킨 후 일시 정지하도록 하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로 60° 더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automated robot 100 first rotates 60° or 90° while positioning the split tray 300 above the frying net inserted into the fryer 220. After doing so, it is allowed to pause, and as shown in FIG. 7C, it can be rotated an additional 60° in the second step and then paused, and as shown in FIG. 7D, it can be rotated an additional 60° in the third step.

이때,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분할형 트레이(300)가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위치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튀김망에 튀김 재료가 투입되는 위치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tomated robot 100 can cause the split tray 300 to rotate at the same position, but by changing the position while the rotation is stopped, the position where the frying ingredients are put into the frying net can be evenly distributed.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분할형 트레이(300)를 파지할 때 이용한 제2 거치대(212)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거치대(212)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로봇(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ed robot 100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lder 212 used when holding the split tray 300, and the seco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tomated robot 100 can be generated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holder 212.

따라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물반죽된 튀김 재료의 투입이 완료된 이후 분할형 트레이(3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거치대(212)로 이송하여 거치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mated robot 100 can perform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split tray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the input of the water-mixed frying material is completed, and transfer the divided tray 300 to the second holder 212 and place it thereon. can be performed.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이 과정까지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모두 동시에 생성하거나 각 과정마다 별개로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may simultaneously generate all control signals used up to this process or generate them separately for each process.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분할형 트레이(300)의 회전에 따른 물반죽된 튀김 재료의 투입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카운트에 의한 시간 정보와 튀김기(220)의 좌표 정보 그리고 제3 거치대(213)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튀김망을 제3 거치대(213)로 이송하여 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can count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put of the water-kneaded frying material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lit tray 300, and includes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cou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ryer 220, and 3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holder 213, the frying net can be transferred to the third holder 213 and placed thereon.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dditionally,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자동화 로봇
→ 110 : 그리퍼
→ 120 : 그리퍼 작동부
→ 121 : 하우징
→ 122 : 모터부
→ 123 : 베벨 기어부 → 123a : 제1 기어
→ 123b : 제2 기어
→ 124 : 구동축
→ 125 : 스윙부
→ 126 : 구동부
→ 127 : 그리퍼 조
200 : 작업대
→ 210 : 거치대 → 211 : 제1 거치대
→ 212 : 제2 거치대
→ 220 : 튀김기
300 : 분할형 트레이
→ 310 : 지지대 → 311 : 삽입홈
→ 312 : 돌출부
→ 320 : 반원판 → 321 : 내입홈
→ 322 : 삽입부
→ 323 : 삽입공
→ 330 : 분할대
→ 340 : 반원부 → 341 : 내입홈
→ 342 : 삽입부
→ 343 : 절개홈
→ 350 : 분할판
→ 360 : 파지부
400 : 제어부
B : 튀김망
100: Automation robot
→ 110: Gripper
→ 120: Gripper operating part
→ 121: Housing
→ 122: Motor part
→ 123: Bevel gear part → 123a: 1st gear
→ 123b: 2nd gear
→ 124: Drive shaft
→ 125: swing part
→ 126: Drive part
→ 127: Gripper jaw
200: workbench
→ 210: Holder → 211: First stand
→ 212: 2nd stand
→ 220: Fryer
300: Split tray
→ 310: Support → 311: Insertion groove
→ 312: protrusion
→ 320: Semicircular plate → 321: Internal groove
→ 322: Insertion part
→ 323: Insertion hole
→ 330: Divider
→ 340: Semicircular part → 341: Inner home
→ 342: Insertion part
→ 343: Cut groove
→ 350: Split plate
→ 360: gripping part
400: control unit
B: frying net

Claims (5)

그리퍼(110)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망을 이송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자동화 로봇(100);
상기 자동화 로봇(100)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자동화 로봇(100)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210)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220)가 구비되는 작업대(200);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110)에 대응하는 파지부(360)가 구비되는 분할형 트레이(300); 및,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수평한 상단면과 빗면인 양측 경사면을 가진 돌출부(312)가 상단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의 상단면에도 다수의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지지대(310);
상기 돌출부(3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입홈(321)이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1)에 대응하는 삽입부(322)가 내입홈(321)의 내부와 양측 하단면에 형성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삽입공(323)이 몸체를 3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입홈(321)과 삽입부(322)를 이용하여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반원판(320);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삽입공(323)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분할대(330); 및,
상기 돌출부(312)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되는 파지부(3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
An automated robot (tha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ulti-joint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110), performs continuous operation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ransports the frying net, and injects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100);
The automated robot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automated robot 100, a number of stands 210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300 are mounted and one or more fryers 220 are provided. workbench (200);
A split tray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water-battered fried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integrally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gripper 360 corresponding to the gripper 110 at one end. ; and,
A control unit 400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The split tray 300,
A protrusion 312 having a horizontal top surface on which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that are inclined surfaces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op, and the upper surfaces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A support 310 o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An inner groove 3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12 is formed downward, and insertion portions 322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311 are formed inside the inner groove 321 and on both lower surface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3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in the form of dividing the body into three par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is inserted using the inner groove 321 and the insertion portion 322.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lates 32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plurality of straight dividers 330 installed to simultaneously penetrat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323; and,
A gripper 36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312 and held by the gripper 110 of the automated robot 100;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comprising:
그리퍼(110)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암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부(40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연속 동작을 수행하여 튀김망을 이송하고, 튀김망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는 자동화 로봇(100);
상기 자동화 로봇(100)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자동화 로봇(100)의 작업 반경 내에 튀김망과 분할형 트레이(300)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210)와 하나 이상의 튀김기(220)가 구비되는 작업대(200);
물반죽된 튀김 재료가 하나씩 투입되는 다수의 보관홈이 일체로 반원주 형상을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그리퍼(110)에 대응하는 파지부(360)가 구비되는 분할형 트레이(300); 및,
기설정된 방법에 따른 튀김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좌표 정보와 실시간의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수평한 상단면과 빗면인 양측 경사면을 가진 돌출부(312)가 상단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의 상단면에도 다수의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지지대(310);
상기 돌출부(3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입홈(321)이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1)에 대응하는 삽입부(322)가 내입홈(321)의 내부와 양측 하단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일자형 절개홈(343)이 몸체를 3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입홈(341)과 삽입부(342)를 이용하여 돌출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반원부(340);
상기 절개홈(343)에 대응하는 다수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반원부(340)에 동시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분할판(350); 및,
상기 돌출부(312)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그리퍼(110)에 파지되는 파지부(3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
An automated robot (tha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ulti-joint robot arm equipped with a gripper 110), performs continuous operation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ransports the frying net, and injects frying ingredients into the frying net. 100);
The automated robot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automated robot 100, a number of stands 210 on which a frying net and a split tray 300 are mounted and one or more fryers 220 are provided. workbench (200);
A split tray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to which the water-battered fried ingredients are placed one by one, integrally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gripper 360 corresponding to the gripper 110 at one end. ; and,
A control unit 400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ry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The split tray 300,
A protrusion 312 having a horizontal top surface on which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that are inclined surfaces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op, and the upper surfaces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A support 310 o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11 are formed;
An inner groove 3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12 is formed downward, and insertion portions 322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311 are formed inside the inner groove 321 and on both lower surfaces.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straight cut grooves 343 are formed to divide the body into thirds, they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12 using the inner groove 341 and the insertion portion 342. Multiple semicircular portions 340;
A pair of split plates 350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grooves 34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installed to be simultaneously fitted into a plurality of semicircular portions 340; and,
A gripper 36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312 and held by the gripper 110 of the automated robot 100;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compris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한 쌍의 개방구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기 자동화 로봇(100)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21);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는 양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부(122);
상기 양방향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제1 기어(123a)와, 서로 대칭되며 제1 기어(123a)에 맞물린 상태로 종속하여 양방향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기어(1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벨 기어부(123);
다각의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 말단부가 한 쌍의 제2 기어(123b) 각각에 축 체결되고, 타측 말단부가 하우징(121)의 내벽에 베어링 체결된 상태로 양방향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축(124);
상기 구동축(124)이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체결되어 타측 말단부가 스윙하는 형태로 양방향 회전 운동하는 한 쌍의 스윙부(125);
양측 말단부가 상기 스윙부(125)의 타측 말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한 쌍의 U자형 구동부(126); 및,
상기 구동부(126)에 밀착 설치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그리퍼(110)를 작동시키는 그리퍼 조(12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리퍼 작동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tomated robot 100,
A housing 121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automated robot 100, which has a hollow interior and a pair of openings 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otor unit 122 including a two-way motor install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housing 121;
It is composed of a first gear (123a)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wo-way motor and rotating in both directions, and a pair of second gears (123b)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rotate in both directions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23a). Bevel gear portion 123;
A pair of drive shaft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and rotating in both directions wit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ly fasten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gears 123b and the other end being bearing fasten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1. (124);
A pair of swing parts 125 in which the drive shaft 124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s in both directions in such a way that the other end portion swings;
A pair of U-shaped driving units 126, each end of which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unit 125, and which reciproc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gripper jaw 127 that reciprocates whil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unit 126 and operates the gripper 110;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ripper operating unit 120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로봇(100)은,
상기 분할형 트레이(300)를 튀김기(220)에 투입된 튀김망의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1차로 60° 또는 90° 회전시킨 후 일시 정지하도록 하고,
2차로 60° 더 회전시킨 후 일시 정지하도록 하며,
3차로 60° 더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반죽 튀김을 위한 자동화 튀김 로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tomated robot 100,
The split tray 300 is positioned above the frying net inserted into the fryer 220, and is first rotated 60° or 90° and then paused,
Rotate an additional 60° for the second time and then pause.
A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water bat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otate an additional 60° in three directions.
KR1020230066303A 2023-05-23 2023-05-23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KR102619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03A KR102619180B1 (en) 2023-05-23 2023-05-23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03A KR102619180B1 (en) 2023-05-23 2023-05-23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180B1 true KR102619180B1 (en) 2023-12-29

Family

ID=8933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303A KR102619180B1 (en) 2023-05-23 2023-05-23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1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78B1 (en) * 2014-03-26 2014-12-05 서강인 Vacuum fryer
KR102235897B1 (en) 2020-12-29 2021-04-05 주식회사 알트 Automatic fry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automatic frying device
KR102363025B1 (en) * 2021-07-05 2022-02-15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Automatic robot system for frying chicken
KR102480078B1 (en) 2021-04-22 2022-12-23 주식회사 뉴로메카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78B1 (en) * 2014-03-26 2014-12-05 서강인 Vacuum fryer
KR102235897B1 (en) 2020-12-29 2021-04-05 주식회사 알트 Automatic fry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automatic frying device
KR102480078B1 (en) 2021-04-22 2022-12-23 주식회사 뉴로메카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using collaborative robot
KR102363025B1 (en) * 2021-07-05 2022-02-15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Automatic robot system for frying chick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177B1 (en) Chef robot with curved gripper
CN107225264B (en) A kind of more specification diplopore hardware knob drilling equipments
CN204091789U (en) Automatic kitchen system
US20200030966A1 (en) Food cooking device
KR101300079B1 (en) Robotic hand
US20180279835A1 (en) Automated cooking system
KR102619180B1 (en) Automated frying robot system for frying dough
CN107552168A (en) A kind of Apparatus for producing chopped meat
CN108814253A (en) A kind of cooking robot and its cooking methods
CN100360040C (en) Cooking-cutting integrated device for fast food roasted meat string, and method thereof
US10869575B2 (en) Automatic cooking system
US10799064B2 (en) Automated cooking system
KR102375796B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Having Eccentric Rotating Cooking Tool
EP3013198B1 (en) Stand mixers
US11591170B2 (en) Robotic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ance of items
KR102150399B1 (en) Dish-plate suppling apparatus
US20130327224A1 (en) Cooking system capable of automated stirring and mixing of food ingredients
KR102373903B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Having Bracket Unit Having Selective Fixing Function for Cooking Unit
CN208645610U (en) The multi-angle cutting mechanism of full-automatic wood multi-angle cutting machine
CN210643657U (en) Cooking apparatus
CN217452677U (en) No trace welding heat preservation nail welding machine
JP7054321B2 (en) Granular material supply device
KR102488952B1 (en) Food cutting device
CN214803232U (en) Cooking table platform based on double-arm robot
JP6679056B1 (en) Food cutting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