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545A - Vacuum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Vacuum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545A
KR20220145545A KR1020210052245A KR20210052245A KR20220145545A KR 20220145545 A KR20220145545 A KR 20220145545A KR 1020210052245 A KR1020210052245 A KR 1020210052245A KR 20210052245 A KR20210052245 A KR 20210052245A KR 20220145545 A KR20220145545 A KR 2022014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orage device
vacuum storage
dispos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0425B1 (en
Inventor
김성훈
안태성
전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앤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to KR102021005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42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A vacuum storage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objects in a vacuum is disclosed. In the vacuum stora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part and a cover part may be detachably coupled. Therefore, the storage part can be washed with water or washing water, and a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to ensure convenience during washing.

Description

진공 보관 장치{VACUUM STORAGE APPARATUS}VACUUM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torage device.

특히, 커버부와 보관부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vacuum storage device i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storage par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곡물은 탄수화물의 공급원으로 건조되면 장기간 보관되어 섭취될 수 있으므로, 인류의 주된 식량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곡물은 대부분 대량으로 포장되어 공급되는데 최근에는 가족 구성원 수의 감소로 인하여 곡물이 보관되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As a source of carbohydrates, grains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ngested when dried, so they are treated as the main food of mankind. Most of these grains are packaged and supplied in bulk. Recently, the storage period of grains is getting longer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곡물의 보관 기간이 장기화 됨에 따라 곡물이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일례로 곡물 중 하나인 쌀이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면, 쌀은 산화되어 식감이 나빠지기도 하며, 쌀의 영양분이 파괴되고, 쌀벌레가 증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As the storage period of grains is prolonged, the grains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time, causing problems. For example, when rice, one of the grains,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rice is oxidized and the texture deteriorate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쌀을 진공 밀폐하여 쌀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보관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이 기술의 도입으로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보이나 쌀을 진공 밀폐하는 기술은 예기치 못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 이는 위생의 문제이다. In order to prevent this, recently, a technology of vacuum sealing rice to prevent the rice from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oring it has been introduced.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technology seems to have solved the problem to some extent, the technology for vacuum sealing rice is causing an unexpected problem, which is a hygiene issue.

곡물을 진공 밀폐하는 장치는 진공 밀폐를 위하여 각종 전자장치들(예를 들어 진공펌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밀폐를 하는 장치를 수분으로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에는 곡물 가루들을 수분이 있는 천으로 닦는 정도의 세척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A device for vacuum sealing grains is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eg, a vacuum pump, etc.) for vacuum seal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cuum sealing device cannot be washed with moisture. Currently, cleaning is performed to the extent of wiping the grain powder with a damp cloth.

또한, 만약 수분으로 이 장치를 세척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간단하지 않다. 곡물을 진공으로 보관하는 장치는 가정용으로 소형으로 제조되는 바, 그 내부를 청소하기 매우 난감하기 때문이다. Also, even if it is possible to clean the device with water, it is also not simple. A device for storing grains in a vacuum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for home use,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clean the inside thereof.

국내 등록특허 출원번호 2019-0100063 (2020.08.24 공개)Domestic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umber 2019-0100063 (published on August 24, 2020)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물 또는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조되더라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세척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storage unit that can store grains can be washed with water or washing water, and even though i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spac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wash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storage device.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대상물을 진공 보관할 수 있다.The vacuum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 object in a vacuum.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여 연결부가 형성된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보관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The vacuum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open, a space is formed so as to store an object therein, and is disposed in an open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the storage part in which a connection part is formed adjacent to the open part, and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It can make a vacuum inside the part, and includes a cover part including a locking part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상기 연결부는 결합홈이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connecting part is a coupling groove, and the locking part is a coupling block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고정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블록은 일면에 개방된 개방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결합블록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A fixing block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n open par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block so that the fixing block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block.

상기 고정블록은 일방향으로 돌출된 방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방해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fixed block is formed with an obstruction surfac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coupling block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when moving in one direc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bstruction surface and mov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oved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so as not to be included.

상기 방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연속되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obstructive surface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tinuous in one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결합블록은 설치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설치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힌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case having an installa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 fixing part hingedly connected to the case and disposed in a form to close the installation hole.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부 부분보다 하부 부분이 일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cludes a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more in one direction.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On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includes a connection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lock.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연속되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보관부의 상기 연결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락킹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상기 보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A bindin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a detachable part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locking part of the cover part.

상기 탈착부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착부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detachable part may be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when it is moved in one direction,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inding part.

상기 결착부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커버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하측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The binding part includes a binding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detachable par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nd rotates about an axis, and the lower side includes a detachable protrusion that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상기 커버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해제홀이 형성된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제홀을 개폐하는 진공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releas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nd a vacuum release part movably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to open and close the release hole.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곡물을 보관하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될 수 있으며, 커버부에 전자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관부를 세척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grains and the cover unit may be separated, and since electronic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cover unit, the storage unit may be washed.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세척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can be separated, sufficient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washing can be promoted.

그러면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될 때 견고하게 결합되어 곡물을 진공으로 보관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irmly coupled when the storage unit and the cover unit are combined to store the grains in a vacuum.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매우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very easil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2b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폐쇄부와 락킹부를 힌지 연결하는 각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홈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are separated, and 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are combined.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for hinge-connecting the clos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B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7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A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vacuum relea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n installa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c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acuum rele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될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곡물, 야채, 채소 등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보관될 수 있는 대상을 통칭하여 대상물이라고 명명하도록 하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since grains, vegetables, vegetables, etc. can be stored, the objects that can be stored will be collectively named as objects.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a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2b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are separated, and 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are combined.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를 포함한다.The vacuum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nd a cover unit 200 .

보관부(10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관부(100)는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보관부(100)는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대상물이 배치될 수 있다.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에는 커버부(200)가 배치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may be formed in a jar shape. The storage unit 100 may have an upper side open. The storage unit 100 may have an object disposed therein through the open part. The cov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open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0 to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0 .

커버부(200)는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여 보관부(100)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200)에는 진공부(230)(일례로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보관부(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보관부(10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에는 진공해제부(235)가 배치되어 보관부(100) 내부를 다시 대기압으로 만들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에 대한 구조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cover unit 200 may be dispos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0 to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0 to seal the storage unit 100 . A vacuum unit 230 (eg, a vacuum pump) is installed in the cover unit 200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storage unit 100 to the outside to create a vacuum inside the storage unit 100 . In addition,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disposed in the cover unit 200 to make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100 back to atmospheric pressure. The structure of the vacuum release unit 235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보관부(100)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부(200)는 보관부(100)와 결합되고, 보관부(1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진공부(230), 동작을 위한 디스플레이(미도시) 등 다양한 전자장치는 커버부(20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관부(100)는 세척수와 같은 수분으로 세척하여도 문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cover unit 200 are detachably coupled. That is, when it is desired to vacuum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100 , the cover unit 200 is combined with the storage unit 100 , and in the case of cleaning the storage unit 100 ,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cover unit ( 200) can be separated. Here, sinc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he vacuum unit 230 and a display (not shown) for operation are formed in the cover unit 200 , the storage unit 100 is not a problem even if it is washed with water such as washing water.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폐쇄부와 락킹부를 힌지 연결하는 각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for hinge-connecting the clos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커버부(200)는 폐쇄부(210)와 락킹부(250)를 포함한다.The cover part 200 includes a closing part 210 and a locking part 250 .

폐쇄부(210)는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형성된다. 폐쇄부(210)는 보관부(100)의 일면에서 배치되는 경우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폐쇄부(210)의 내측에는 각종 전자장치(진공부(230) 등)이 배치되어 있다. 폐쇄부(210)의 일측에는 탈착부(26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락킹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폐쇄부(210)는 락킹부(25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250)가 보관부(100)의 연결부(110)에 연결된 경우, 폐쇄부(210)는 락킹부(250)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The closing part 210 is formed to have a set area. The closing part 210 may close the open part of the storage part 100 when it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part 100 .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he vacuum unit 230 ) are disposed inside the closing part 210 . A detachable part 2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losing part 21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part 250 on the other side. The closing part 210 may be hinge-coupled to the locking part 250 . Therefore, when the locking part 2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10 of the storage part 100, the closing part 210 is rotated around the locking part 250 to open the open part of the storage part 100. can

즉, 락킹부(250)는 양측면에 홀이 형성되고, 락킹부(250)가 정렬되어 폐쇄부(210)에 배치되는 경우 락킹부(250)의 홀에 대응되는 배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락킹부(250)의 홀과 폐쇄부(210)의 홀에는 연결핀(241)이 배치될 수 있다. 폐쇄부(210)의 홀 주위에는 치합부(242)가 배치될 수 있고, 락킹부(250)에는 치합부(242)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치합부(242)와 맞닿아 배치되는 힌지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locking part 250 has holes formed on both sides, and when the locking parts 250 are aligned and disposed in the closing part 210 , the holes may be formed in an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locking part 250 . . In addition, a connection pin 241 may be disposed in the hole of the locking part 250 and the hole of the closing part 210 . A meshing part 242 may be disposed around the hole of the closing part 210 , and the locking part 250 is dispos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meshing part 242 and a hinge part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meshing part 242 . (243) may be included.

치합부(242)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는 치합부(242)의 둘레를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43)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면에는 치합부(242)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치합부(242)와 힌지부(243)는 각각 나사산과 나사홈이 대응되어 치합된 채 폐쇄부(210)가 회전 시 이것들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meshing part 24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eshing part 242 . In addition, the hinge part 243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threa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engaging part 24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 meshing part 242 and the hinge part 243 may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closing part 210 rotates while the screw thread and the screw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engaged.

정리하자면, 폐쇄부(210)와 락킹부(250)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치합부(242)와 힌지부(243)가 각각 배치되고, 이 홀에는 연결핀(241)이 배치되어 폐쇄부(210)와 락킹부(250)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치합부(242)가 힌지부(243)와 치합된 채 회전될 수 있다.In summary, a hole is formed in the closing part 210 and the locking part 250 , and a meshing part 242 and a hinge part 243 are disposed in the hole,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in 241 is disposed in this hole to close the hole. The part 210 and the locking part 250 are rotatably connected, and as the closing part 210 is rotated, the engaging part 242 may be rot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hinge part 243 .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상면도이다.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보관부(100)에 형성된 연결부(110)는 설정된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110)일 수 있으며, 커버부(200)에 형성된 락킹부(250)는 결합블록(250)일 수 있다. 보관부(100)와 커버부(200)의 연결은 결합홈(110)에 결합블록(250)이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결합홈(110)은 보관부(100)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10)을 기준으로 결합홈(110)은 상측과, 상측과 연결된 일측이 연통되며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10)는 양측면, 타측면, 하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10 formed in the storage part 100 may be a coupling groove 110 recessed into a set shape, and the locking part 250 formed in the cover part 200 may be a coupling block 250 .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cover unit 200 may be connected by a coupling block 250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110 . The coupling groove 1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100 , and the coupling groove 110 is opened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oupling groove 110 . .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rt 110 may include both sides, the other side, and a lower side.

연결부(110)는 고정블록(111), 연결돌기(112), 체결돌기(113),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art 110 may include a fixing block 111 , a connecting protrusion 112 , a fastening protrusion 113 , and a guide protrusion 114 .

고정블록(111)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의 타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111)은 일면에 방해면(1111)을 포함할 수 있다. 방해면(1111)은 고정블록(111)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방해면(1111)은 경사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방해면(111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lock 11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10 . The fixing block 111 may include an obstruction surface 1111 on one surface.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fixing block 111 .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may be formed with an inclination.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연결돌기(112)는 고정블록(11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111)과 연결돌기(112)를 연결하면 삼각형의 형상으로 그려질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되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돌기(112)의 최상측의 직경은 최하측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lock 111 .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may be composed of two and may be disposed at a symmetrical position. When the fixing block 111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are connected, it can be drawn in the shape of a triangle.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diameter i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That is, the uppermost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may be smaller than the lowermost diameter.

체결돌기(113)는 고정블록(111)과 연결돌기(11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는 연결돌기(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돌기(112)가 보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면 체결돌기(113)는 외측에 배치된다. 체결돌기(113)도 연결돌기(112)와 마찬가지로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는 작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lock 111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is disposed on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orage unit 100 ,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is disposed on the out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may also be configured in two like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 height.

가이드돌기(114)는 연결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4)는 연결부(110)의 양측면에서 연결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110 . The guid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110 .

도 5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B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결합블록(250)은 개방부(252), 인입홀(253), 체결홀(254), 가이드홀(255)이 형성된 케이스(2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block 250 may include a case 251 in which an opening 252 , an inlet hole 253 , a fastening hole 254 , and a guide hole 255 are formed.

케이스(251)는 결합블록(25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51)는 결합홈(11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51)는 적어도 하면, 측면을 포함하며 형성된다. 케이스(251)의 하면에는 개방부(252), 인입홀(253), 체결홀(254), 가이드홀(25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25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oupling block 250,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case 251 may be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110 . The case 251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 opening 252 , an inlet hole 253 , a fastening hole 254 , and a guide hole 255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se 251 , respectively.

개방부(252)는 케이스(251)가 정렬되어 결합홈(110)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블록(11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개방부(252)의 크기는 고정블록(111)의 전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opening 252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xing block 111 when the case 251 is aligned and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110 . Here, the size of the opening 252 is formed larger than the overall size of the fixing block 111 .

인입홀(253)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연결돌기(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인입홀(253)은 개방부(25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인입홀(253)은 연결돌기(112)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돌기(112)가 2개인 경우 인입홀(253)도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인입홀(253)은 설정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전술한 연결돌기(112)의 최하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In the same case as the above case, the inlet hole 253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 That is, the inlet hole 253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252 . In addition, the inlet hole 253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112 .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are two connecting protrusions 112 , two inlet holes 253 are also configured. In addition, the inlet hole 253 has a diameter of a set size, which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sid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12 described above.

체결홀(254)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체결돌기(113)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체결홀(254)은 인입홀(253)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홀(254)도 체결돌기(113)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254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in the same case as the above case. That is, the fastening hole 254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let hole 253 .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s 254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113 .

가이드홀(255)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가이드돌기(11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홀(255)도 가이드돌기(114)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The guide hole 255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114 in the same case as the above case. In addition, the guide holes 255 are also form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s 114 .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 하강하며 배치되는 경우 고정블록(111)은 개방부(252)에, 연결돌기(112)는 인입홀(253)에, 체결돌기(113)는 체결홀(254)에, 가이드돌기(114)는 가이드홀(255)에 배치되며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돌기(112)는 상측이 하측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바, 연결돌기(112)는 인입홀(253)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114)가 가이드홀(255)에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락킹부(250)는 위치가 정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체결돌기(113)가 체결홀(254)에 배치됨으로써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part 250 descends on the connection part 110 and is disposed, the fixing block 111 is in the open part 252 , the connection protrusion 112 is in the inlet hole 253 ,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is the fastening hole. At 254 , the guide protrusion 114 is disposed in the guide hole 255 , and the locking part 250 may be sea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110 . Here, since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side, the connecting protrusion 112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53 . 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 114 is disposed in the guide hole 255, whereby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250 can be aligned, and finally the locking par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113 is disposed in the fastening hole 254. 250 may be sea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110 .

한편,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경우, 락킹부(2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는 락킹부(250)가 안착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락킹부(250)와 연결부(110)가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방해면(1111)과, 락킹부(250)의 고정부(2522)를 통해 가능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ing part 250 is seated and fixed on the connection part 110 , in order for the locking part 250 to be stably fixed, the locking part 25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art 250 is seated. and the connection part 110 are coupled. This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aforementioned blocking surface 1111 and the fixing part 2522 of the locking part 250 .

고정부(2522)는 락킹부(250)의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되어 방해면(1111)과 맞닿아 락킹부(250)를 연결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5c를 기준으로 연결부(110)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방해면(1111)의 돌출된 하측의 하부면에 맞닿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250)를 상승 이동시키려면 방해면(1111)은 고정부(2522)와 맞닿아 이 이동을 방해하여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2522 may be moved at least from on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25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to fix the locking part 250 to the connection part 110 . That is, the connection part 110 may move to the right with reference to FIG. 5C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lower side of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 Therefore, in order to move the locking part 250 upward, the blocking surface 1111 may contact the fixing part 2522 to prevent this movement, thereby preventing the locking part 250 from moving in the connection part 110 .

고정부(2522)는 케이스(251)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게 연결된다. 케이스(251)에는 설치홀(2511)이 형성되고, 케이스(251)는 설치홀(2511)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고정부(2522)는 고정핀(2524)을 통하여 케이스(251)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2522)는 고정핀(2524)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고정부(2522)는 상측이 하측보다 케이스(251)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이동된 경우, 고정블록(111)의 방해면(1111)과 고정부(2522)는 맞닿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회동되어 위치가 역전된 경우 고정부(2522)의 하측이 방해면(1111)과 맞닿을 수 있다.The fixing part 2522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251 . An installation hole 2511 is formed in the case 251 , and the case 251 is disposed to close the installation hole 2511 . The fixing part 2522 is fixed to the case 251 through the fixing pins 2524 . Accordingly, the fixing part 2522 may be rotated about the fixing pin 2524 as an axis. Whe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2522 is rotat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se 251 rather than the lower side, the interfering surface 1111 and the fixing unit 2522 of the fixing block 111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position is reversed,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25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obstruction surface 1111 .

고정블록(111)이 개방부(252)를 통하여 케이스(251) 내로 인입된 후 고정부(2522)의 하측이 상측보다 내측으로 이동되어 방해면(1111)과 고정부(2522)가 맞닿도록 됨으로써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After the fixing block 111 is drawn into the case 251 through the opening 252,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unit 2522 is moved inward than the upper side so that the blocking surface 1111 and the fixing unit 25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art 25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110 .

한편, 고정부(2522)는 동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탄성부(25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고정핀(2524)에는 탄성부(2523)가 고정핀(2524)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52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고정핀(2524)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part 2522 may include an elastic part 2523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at is, the elastic part 2523 may be disposed on the fixing pin 2524 described above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in 2524 .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ortion 2523 doedoe radially projecting from the fixing pin 2524, respectively,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케이스(251)의 내부와 고정부(2522)의 일면에는 탄성부(252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2522)가 고정핀(2523)을 축으로 힌지 운동되면 탄성부(2523)의 일측 단부가 케이스(251)의 안착면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형태로 고정부(2522)는 힌지 운동할 수 있다.A seating surfac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ase 251 and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522 so that each end of the elastic part 2523 can be seated and disposed. Therefore, when the fixing part 2522 is hinged about the fixing pin 2523 as an axis, one end of the elastic part 2523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251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2522 by the hinge movement. can do.

도 6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상면도이다.6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보관부(100)의 연결부(110)가 형성된 부분과 대칭되는 부분에는 결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락킹부(250)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탈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결착부(150)와 탈착부(260)는 결합되어 커버부(200)가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결착부(150)는 연결부(110)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결착부(150)는 일면에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결착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A binding portion 15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0 symmetrical to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110 is formed. In addition, a detachable part 26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ocking part 250 of the cover part 200 . The binding part 150 and the detachable part 260 are coupled to allow the cover part 200 to close the open part of the storage part 100 . The binding part 150 may include a groove having a set shape like the connection part 110 . The binding part 150 may have a binding protrusion 15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7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탈착부(260)는 그립부(261), 탈착돌기(262), 회동핀(263), 탄성인가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261)는 단차져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탈착돌기(262)는 그립부(261)와 반대 부분이 형성되며 결착돌기(151)와 맞닿아 폐쇄부(21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unit 260 may include a grip unit 261 , a detachable protrusion 262 , a rotation pin 263 , and an elastic applying unit 264 . The grip portion 261 is formed to be stepp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corresponding portion. The detachable protrusion 262 may have a portion opposite to the grip portion 261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inding protrusion 151 to fix the closing portion 210 .

일례로 탈착돌기(262)는 결착돌기(151)의 하측과 맞닿아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탈착부(260)는 회동핀(263)을 통하여 폐쇄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탈착부(260)를 회동핀(263)이 관통하고, 회동핀(263)이 폐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탈착부(260)는 회동핀(263)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부(210)는 회동 시 결착돌기(151)와 탈착돌기(262)가 맞닿지 않게 되어 폐쇄부(210)는 락킹부(25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achable protrusion 262 may be disposed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binding protrusion 151 . The detachable part 260 may be connected to the closing part 210 through the rotation pin 263 . That is, the rotation pin 263 passes through the detachable part 260 , and the rotation pin 26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losing part 210 , so that the detachable part 260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pin 263 . can Therefore, when the closing part 210 is rotated, the locking protrusion 151 and the detaching protrusion 262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losing part 21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locking part 250 .

회동핀(263)에는 회동핀(263)을 둘러싸는 형태로 탄성인가부(264)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인가부(264)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641)와, 제1연장부(2641)와 반대 위치에서 제1연장부(264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2642), 그리고 위치는 제1연장부(2641)와 반대 위치이지만 제1연장부(2641)와 유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2643)를 포함한다.An elastic applying part 264 may be disposed on the rotation pin 263 in a shape surrounding the rotation pin 263 . The elastic applying part 264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2641 extending to one side, and a second extension part 2642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641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641 . ), and a third extension 2643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extension 2641 but extending at an angl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xtension 2641 .

탈착부(260)는 탄성인가부(264)의 제1연장부(2641), 제2연장부(2642), 제3연장부(2643)를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part 260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first extension part 2641 , the second extension part 2642 ,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2643 of the elastic applying part 264 .

일례로 탈착부(2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연장부(2641)는 탈착부(260)의 하측과 맞닿게 되고, 제2연장부(2642)는 폐쇄부(210)의 하측과 맞닿게 되며, 제3연장부(2643)는 후술하여 설명할 밀폐부(270)와 맞닿게 될 것이다. 탈착부(260)의 위치를 유지하는 물리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탈착부(260)는 제1연장부(2641), 제2연장부(2642), 제3연장부(2643)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etachable part 26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first extended part 26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detachable part 260 , and the second extended part 2642 is the closing part 210 . I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2643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part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hysical forc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detachable part 260 is no longer applied, the detachable part 260 is forme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641 , the second extension part 2642 ,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2643 . will be rotated clockwise.

이러한 방식으로 결착부(150)는 탈착부(26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astening part 15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art 260 .

도 8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홈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측면도이다.8A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vacuum rele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B is an enlarged top view of an installa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c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acuum rele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커버부(200)에는 진공부(230)와 진공해제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진공부(230)는 일례로 진공펌프일 수 있으며 전원공급에 따라 보관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보관통 내부에 대상물이 배치되고, 커버부(200)가 보관부(100)를 밀폐하여 배치된 후 진공부(230)가 동작되면, 보관통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vacuum part 230 and a vacuum release part 235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200 . The vacuum unit 230 may be, for example, a vacuum pump, and may discharge the air in the storage tank to the outside according to power supply. When the object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vacuum unit 230 is operated after the cover part 200 is disposed to seal the storage part 100,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진공해제부(235)는 커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진공해제부(235)는 설치홈(22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200 . The vacuum release unit 235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20 .

설치홈(220)은 커버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홈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기둥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groove 220 is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00,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1 may be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and the pillar hole 22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진공해제부(235)는 양측에 레그부(2351)를 포함하며,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여 기둥부(23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해제부(235)의 측면에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해제홀(2353)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홀(2353)은 진공해제부(235)의 측면을 따라 진공해제부(23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cuum release unit 235 includes leg portions 2351 on both sides, and a pillar portion 2352 is formed in the center toward the lower side. In addition, a release hole 235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acuum release unit 235 at a set interval. The release hole 2353 may b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cuum release unit 235 .

진공해제부(235)는 레그부(2351)가 연통홀(221)에 배치되고, 기둥부(2352)가 기둥홀(222)에 위치되는 형태로 설치홈(220)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위에 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진공해제부(235) 자체가 다단의 형태를 가져서 설치홈(220)을 밀폐하다가 직경이 작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 설치홈(220)을 밀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상승, 하강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가 하강되어 배치된 경우에는 설치홈(220)을 밀폐시키고, 진공해제부(235)가 상승되어 배치된 경우 해제홀(2353)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220)의 연통홀(221)은 해제홀(2353)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해제부(235)가 상승된 경우 연통홀(221)과 해제홀(235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보관부(100)로 인입될 수 있다.The vacuum release unit 235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220 in such a way that the leg part 2351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21 , and the pillar part 2352 is positioned in the pillar hole 222 . Although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not shown, a ring may be disposed around it to improve airtightness. Alternatively, when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tself has a multi-stage shape to seal the installation groove 220 and a portion having a small diame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stallation groove 220 may not be sealed. The vacuum release unit 235 may rise and fall. When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disposed to be lowered, the installation groove 220 is sealed, and when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disposed to be raised, the release hole 235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hole 221 of the installation groove 220 may communicate with the release hole 2353 . Accordingly, when the vacuum release unit 235 is raised,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unit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1 and the release hole 2353 .

또한, 본 발명의 커버부(200)는 전원단자(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참조) 전원단자(280)는 락킹부(250)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단자(280)는 고정부(2522)의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원단자(280)는 그 배치로 인하여 커버부(20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terminal 280 . (See FIG. 5A ) The power terminal 28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locking unit 250 . Here, the power terminal 280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fixing part 2522 . The power terminal 280 may not be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unit 200 due to its arrangement.

또한, 커버부(200)에는 밀폐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270)는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으며, 폐쇄부(21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밀폐부(270)는 커버부(200)가 정렬되어 보관부(100)와 배치된 경우, 커버부(200)와 보관부(10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진공부(230)가 동작된 경우 보관통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part 270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200 . The closure 270 may be made of a polymer, and is preferab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losure 210 . The sealing part 270 serves to seal between the cover part 200 and the storage part 100 when the cover part 200 is aligned and disposed with the storage part 100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cuum unit 230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in a vacuum stat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such as, and it will be said that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보관부
110 : 연결부(결합홈)
111 : 고정블록
1111 : 방해면
112 : 연결돌기
113 : 체결돌기
114 : 가이드돌기
150 : 결착부
151 : 결착돌기
200 : 커버부
210 : 폐쇄부
220 : 설치홈
221 : 연통홀
222 : 기둥홀
230 : 진공부
235 : 진공해제부
2351 : 레그부
2352 : 기둥부
2353 : 해체홀
241 : 연결핀
242 : 치합부
243 : 힌지부
250 : 락킹부(결합블록)
251 : 케이스
2511 : 설치홀
2522 : 고정부
2523 : 탄성부
2524 : 고정핀
252 : 개방부
253 : 인입홀
254 : 체결홀
255 : 가이드홀
260 : 탈착부
261 : 그립부
262 : 탈착돌기
263 : 회동핀
264 : 탄성인가부
2641 : 제1연장부
2642 : 제2연장부
2643 : 제3연장부
270 : 밀폐부
280 : 전원단자
100: storage unit
110: connection part (combination groove)
111: fixed block
1111: obstruction
112: connecting projection
113: fastening protrusion
114: guide projection
150: binding part
151: binding protrusion
200: cover part
210: closed part
220: installation home
221: communication hole
222: pillar hall
230: vacuum unit
235: vacuum release unit
2351: leg
2352: pillar part
2353: dismantling hall
241: connection pin
242: occlusion
243: hinge part
250: locking part (combination block)
251 : Case
2511: installation hole
2522: fixed part
2523: elastic part
2524: fixing pin
252: opening
253: inlet hole
254: fastening hole
255: guide hole
260: detachable part
261: grip part
262: detachable projection
263: rotation pin
264: elastic part
2641: first extension
2642: second extension
2643: third extension
270: sealing part
280: power terminal

Claims (13)

대상물을 진공 보관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여 연결부가 형성된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보관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In the vacuum storage device capable of vacuum storage of an object,
a storage unit having an open side, a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an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pen portion; and
The cover part is disposed in the open part of the storage part, can make a vacuum inside the storage part according to power supply, and includes a locking part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결합홈이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is a coupling groove,
The locking unit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coupling block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고정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블록은 일면에 개방된 개방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결합블록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xing block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block has an open part disposed on one side so that the fixed block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block.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일방향으로 돌출된 방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방해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block is formed with an obstruction surfac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he coupling block may be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when moving in one direction, a connection part is formed so that it cannot be mov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oved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bstruction surface.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연속되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bstruct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tinuous in one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설치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설치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힌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upling block is disposed in the form of closing the case and the installation hole in which the installation hole is formed, and includes a fixing part hingedly connected to the case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부 부분보다 하부 부분이 일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art more protrudes in one direction than the upper part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돌기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connection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lock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연속되어 증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increasing continuously from top to bottom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상기 연결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락킹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상기 보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indin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orage part,
A detachable part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locking part of the cover part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착부와 맞닿을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etachable part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when it is moved in one direction,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inding part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커버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하측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inding part includes a binding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he detachable par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nd rotates about an axis, and the lower side includes a detachable protrusion that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A vacuum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해제홀이 형성된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제홀을 개폐하는 진공해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art
Comprising an installation groove having a releas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vacuum release unit movably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to open and close the release hole
Vacuum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52245A 2021-04-22 2021-04-22 Vacuum storage apparatus KR102490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en) 2021-04-22 2021-04-22 Vacuum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en) 2021-04-22 2021-04-22 Vacuum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5A true KR20220145545A (en) 2022-10-31
KR102490425B1 KR102490425B1 (en) 2023-01-19

Family

ID=8380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en) 2021-04-22 2021-04-22 Vacuum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4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148A (en)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Hooks for the console box open
KR20190100063A (en) 2018-02-20 2019-08-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fatty liver comprising of azela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147530B1 (en)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KR102185722B1 (en)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Vaccum rice dispen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148A (en)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Hooks for the console box open
KR20190100063A (en) 2018-02-20 2019-08-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fatty liver comprising of azela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147530B1 (en)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KR102185722B1 (en)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Vaccum ric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425B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en) Airtight container
US20140109344A1 (en) Door hinge
KR200423018Y1 (en) A vessel of cosmetics
ES2251805T3 (en) WASHING MACHINE AND / OR DRYER OF FRONT LOAD CLOTHING, WITH PERFECTED MEDIA FOR DOOR OPENING.
JP7393796B2 (en) valve
KR20220145545A (en) Vacuum storage apparatus
KR101975660B1 (en) An Airtight Container
KR102015281B1 (en) Portable vacuum container
KR200462508Y1 (en) Container with open/close structure for hinge
KR101134236B1 (en) Container
KR102311406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dish washer
JP2018509353A (en) One-touch cap
KR200486122Y1 (en) Cap for wet tissue storage case
KR200443654Y1 (en) The door hinge
JP6368381B2 (en) Cover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KR200432805Y1 (en) vessel equiped open and close apparatus
KR20150045110A (en) The latch endowed elasticity
KR20120117301A (en) Turn check for window
KR20140110236A (en) Ventilation duct damper
KR200454556Y1 (en) Capsule bean having burst prevention structure when discharging capsule
KR200258675Y1 (en) Seansoning receptacl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able lid
JP6554521B2 (en) Liquid discharge container
KR200230226Y1 (en) Spouting hole switch structure of cosmetics spouting nozzle
KR101962935B1 (en) Portable vacuum container
KR100647542B1 (en) Door clo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