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542B1 - Door closer - Google Patents

Door clo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542B1
KR100647542B1 KR1020050067432A KR20050067432A KR100647542B1 KR 100647542 B1 KR100647542 B1 KR 100647542B1 KR 1020050067432 A KR1020050067432 A KR 1020050067432A KR 20050067432 A KR20050067432 A KR 20050067432A KR 100647542 B1 KR100647542 B1 KR 10064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nut
door closer
main body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1189A (en
Inventor
최영철
최수정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102005006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542B1/en
Publication of KR2005008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1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져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문의 개폐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너트;로 구성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loser, the door cl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nk member fixed to the door frame;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In the door closer consisting of a nut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 너트가 삽입되며, 하단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를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소폭 이격하여 수용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commodation portion into which the nut is inserted and protruding portions are formed at both lower ends thereof; A driving uni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unit to vertically drive the accommodating unit; And a body part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slightly apart from each other,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져에 의하면, 문의 각도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끈을 이용하여 수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문이 고정되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문을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oor cl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or is fixed by moving the housing in the upward direction using a strap at any position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d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oor can be rotated by moving downward .

수납부, 구동부, 몸체부 Housing, drive, body

Description

도어클로져{DOOR CLOSER}Door closer {DOOR CLOSER}

도 1은 종래 기술의 도어클로져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loser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져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clo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져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state of the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져의 동작을 보인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clo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문 110: 문틀100: door 110: door frame

120: 고정장치 200: 링크부재 120: fixing device 200: link member

210: 제 1축 220: 제 2축 210: first axis 220: second axis

230: 힌지결합 250: 실린더 회전축 230: hinge coupling 250: cylinder rotation axis

300: 본체 310: 실린더 300: main body 310: cylinder

320: 너트 400: 수납부 320: nut 400: housing

410: 돌출부 500: 구동부 410: protrusion 500: drive

510: 스프링 지지부 511: 일자홈 510: spring support 511: slotted groove

512: 제 1걸림턱 513: 제 2걸림턱 512: first jaw jaw 513: second jaw jaw

520: 스프링 530: 고정핀 520: spring 530: retaining pin

540: 고정핀 지지부 541: 제 1구멍 540: fixing pin support 541: first hole

542: 제 2구멍 543: 연장부542: second hole 543: extension portion

550: 끈 551: 손잡이 550: string 551: handle

600: 몸체부 601: 나사구멍 600: body portion 601: screw hole

602: 나사 603: 사각기둥602: screw 603: square pillar

본 발명은 도어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문의 각도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문을 고정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도어클로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lo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closer that can be fixed or rotated at any position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door.

일반적으로 도어클로져는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틀에 고정되는 링크부재와 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원통형 본체,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문의 개폐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너트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door closer is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the link member is fixed to the door frame and the cylindrical body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it is composed of a nut tha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rotates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클로져는 문(100)이 출입자의 부주의로 또는 기타의 원인으로 인해 닫혀지지 않고, 열려진 상태로 있을 경우 상기 문(100)을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일정형태의 본체(300)가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door closer is a main body of a certain type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100 when the door 100 is not opened due to inadvertent or other reasons, the door 100 is in an open state ( 300) is installed.

상기 본체(300)는 문(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이루어진 실린더(310)와, 상기 문(100)이 열 림에 따라 상기 실린더(310)의 내부에 회전력을 전달해 주도록 문틀(110)과 실린더 회전축(25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00)로 이루어진다. The main body 300 is a cylinder 310 formed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therein by receiving external rotational force in a fixed state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00, and the cylinder 310 as the door 100 is opened. It consists of a link member 200 for connecting the door frame 110 and the cylinder rotating shaft 250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inside.

따라서, 상기 문(100)을 열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200)에 의해 상기 실린더 회전축(250)이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상기 실린더(310) 내부에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oor 100 is opened, the cylinder rotating shaft 2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link member 200 to accumulate elastic force inside the cylinder 310.

또한, 상기 문(1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 회전축(250)이 상기 실린더(310) 내부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상기 문(100)이 닫혀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00 is opened, the cylinder rotation shaft 2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cylinder 310 to impart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door 100 is 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클로져는 문(100)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만 있기 때문에 상기 문(100)을 열린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문(100)의 하단에 고정장치(120)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oor closer as described above only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100, in order to fix the door 100 in an open state, a door fixing device 120 must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oor 100. There was a hassle.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정각도로 문이 열리면 문이 고정되는 도어클로져가나왔으나, 90도 이상 문이 개방되어야만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문을 고정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한 장치의 조작으로 인하여 개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힘 또는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문이 닫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방상태에서 일정힘이 가해지면 문이 닫히게 되어 견고한 고정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oor closer to which the door is fixed came out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cannot fix the door at a desired position because the door is fixed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90 degrees. In addition, the door is closed due to the operation of a specific device, but the door is closed when the user's power or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oor is closed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in the ope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is not firmly fixed.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의 각도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끈을 이용하여 수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문을 고정시키는 도어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closer for fixing a door by moving the receiving portion upward by using a string at any position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doo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져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문의 개폐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너트;로 구성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oor cl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door frame link member;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In the door closer consisting of a nut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 너트가 삽입되며, 하단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를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소폭 이격하여 수용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commodation portion into which the nut is inserted and protruding portions are formed at both lower ends thereof; A driving uni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unit to vertically drive the accommodating unit; And a body part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slightly apart from each other,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너트의 모양보다 각 또는 변의 갯수가 같거나 많은 다각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 is made of the same or more number of sides or sides than the shape of the nu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하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1걸림턱;과 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걸림턱과 제 2걸림턱을 이동하며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외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수납부의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jaw fixing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catching jaw fixing the upper direction, and moving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Fixing pins to fix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rive; A spring support part forming a hol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supporting a spring coupled to the outside; And a string connected to the protrusion of the housing to drive the housing and the driving unit up and dow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져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져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clo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져는링크부재(200), 본체(300), 수납부(400), 구동부(500), 몸체부(600)가 포함된다.2 to 3, the door clos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member 200, a main body 300, an accommodating part 400, a driving part 500, and a body part 600.

상기 링크부재(200)는 문틀(11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제 1축(210)과, 일단은 상기 제 1축(210)에 힌지결합(230)되며 타단은 실린더 회전축(250)에 의하여 후술할 본체(300)에 결합되는 제 2축(2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k member 200 is fixed to the door frame 110, the first shaft 21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one end is hinged 230 to the first shaf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shaf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haft 2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0 to be described later by 250.

상기 실린더 회전축(250)은 상기 링크부재(200)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후술할 실린더(310) 내부에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cylinder rotating shaft 2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link member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in the cylinder 3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본체(300)는 상기 링크부재(200)에 연결되어 문(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310)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문(100)의 개폐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너트(3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300)의 내부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main body 300 is a cylinder 310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200 and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100, and a nut 320 rotating at the lower end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00. It is preferable that is provided.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300 is a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너트(32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후술할 끈(550)을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4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너트(320)와 결합되면, 문을 고정시키고,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너트(320)와 분리되면, 문의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너트(320)는 문의 개폐에 따라서 함께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너트(32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문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너트(320)의 모양보다 다각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너트(320)를 수납해야 하므로 상기 너트(320)의 크기보다는 약간 커야 할 것이나, 상기 너트(320)가 상기 수납부(400)에 고정되지 않아 공회전을 할 정도로 커서는 아니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00 is that the nut 320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410 is formed to connect the string 550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Wh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is moved upward and coupled with the nut 320, the door is fixed, and wh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is separated from the nut 320 by moving downward, the door can be freely rotated. Since the nut 320 rotates together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accommodating part 400 may be manufactured in a polygon shape rather than the shape of the nut 320 in order to fix the door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nut 320. .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400 should be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nut 320 because the nut 320 is to be accommodated therein, but the nut 320 is not fixed to the accommodating part 400 to be idle. It is not big enough.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수납부(4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400)를 상하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링 지지부(510), 고정핀 지지부(540), 끈(550)을 포함한다.The driving part 5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00 to drive the accommodating part 400 up and down, and includes a spring support part 510, a fixing pin support part 540, and a string 550.

상기 구동부(500)는 각종 전자기기의 스위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간단하게는 컴퓨터용 스피커의 온/오프 스위치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 기본적인 동작은 처음 누름동작으로 온(ON)이 되고 두 번째 누름동작으로 오프(OFF)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00)에 관한 것은 공지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간단히 하기로 한다. The driving unit 500 is widely used as a switch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simply the on / off switch of a computer speaker may be considered. The basic operation is to turn ON the first push and to turn OFF the second. Therefore, since the driving unit 500 is known in the a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스프링 지지부(510)는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520)을 지지하는 부분으 로서, 그 상단에 후술할 고정핀(530)이 이동되는 안내홈(51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홈(511)의 하단에는 상기 수납부(400)를 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1걸림턱(512)과, 하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2걸림턱(513)이 형성되어 있다.The spring support 510 is a portion supporting the spring 52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guide groove 511 to which the fixing pin 530 to be described later is mov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511 is formed with a first catching jaw 512 for fixing the receiving portion 400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second catching jaw 513 for fix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고정핀 지지부(540)는 고정핀(53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스프링(520)과 맞닿는 부분에 연장부(5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543)에는 제 1구멍(54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5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부(5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안내홈(5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 지지부(540)에는 상기 연장부(543)의 제 1구멍(541) 하단에 제 2구멍(54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530)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520)에 의하여 상기 제 1걸림턱(512) 및 제 2걸림턱(513)을 이동한다.The fixing pin support part 540 is a part into which the fixing pin 530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art 543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pring 520. A first hole 541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543, and one side of the fixing pin 530 is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511 formed in the spring support part 510. do. In addition, a second hole 54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hole 541 of the extension part 543 in the fixing pin support part 54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53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520. The first catching jaw 512 and the second catching jaw 513 are moved by.

상기 끈(550)은 상기 수납부(400)의 돌출부(410)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400) 및 구동부(500)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힘을 전달하여 준다. 전술한 온/오프 스위치에서 누름동작과 대응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상기 끈(550)을 잡아당기는 동작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끈(550)을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너트(320)가 상기 수납부(400)에 삽입 또는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끈(550)에는 손잡이(551)를 구비하게 하여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ing 550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410 of the accommodating part 400 to transmit a force for driving the accommodating part 400 and the driving part 500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n / off switch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string 55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32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400 by an operation of pulling the string 550. The strap 5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551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상기 몸체부(600)는 상기 본체(300)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나사구멍(601)을 형성하고 나사(602)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부(600)는 상기 수납부(400) 및 구동부(500)를 수용하며,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400) 및 구동부(500)와 일정간격으로 소폭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구동부(500)가 상기 몸체부(600) 안에서 겉돌게 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500) 위의 수납부(400)에 수납된 너트(320)가 함께 겉돌게 되므로 문이 고정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600)의 내부구조는 상기 구동부(500)가 미세하게 움직일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주되, 결론적으로는 겉돌게 하지 않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즉 구동부(500)의 외부형상이 도 2에서와 같이 사각기둥의 형상이라면, 상기 몸체부(600)의 내부형상은 역시 상기 구동부(500)가 수납될 수 있는 크기의 사각기둥(603)형상의 홀이 되어야 할 것이다.The body portion 60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crew hole 601 on both sides and attached by a screw 602. The body part 600 accommodates the accommodating part 400 and the driving part 500, and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400 and the driving part 5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500. Is preferably 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driving part 500 is turned in the body part 600, as a result, the nut 320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00 on the driving part 500 is turned together so that the door cannot be fixed. . Theref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600 is to form a space that the drive unit 500 is finely moved, in conclusion, should be a structure that does not turn out. That is, if the external shape of the driving unit 500 is a shape of a square pillar as shown in FIG. 2, the internal shape of the body portion 600 is also a shape of the square pillar 603 having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driving unit 500. It should be a hall.

상기 몸체부(600)와 상기 구동부(500) 사이의 공간적 여유와 상기 수납부(400)와 상기 너트(320) 사이의 공간적 여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을 특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려 할 때에, 상기 너트(320)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상기 수납부(400)의 모양과 일치하지 않는다면(수납부를 기준으로 너트가 소폭회전하게 되면), 상기 너트(320)가 상기 수납부(400)에 정확히 수납되지 않는 문제점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부(600)와 상기 구동부(500) 사이의 공간적 여유와 상기 수납부(400)와 상기 너트(320) 사이의 공간적 여유, 그리고 상기 수납부(400)가 상기 너트(320)보다 더 많은 각으로 형성된 구조(예컨대, 너트가 사각형일 때 수납부는 6각형)의 특징으로 인하여 끈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상기 너트(320)는 상기 수납부(400)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다. The spatial clearance between the body portion 600 and the drive part 500 and the spatial clearance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and the nut 320 may be regarded as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rying to fix the door at a specific position, if the nut 320 does not match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400 due to the rotation (if the nut is slightly rotated relative to the receiving part), the nut It is conceivable that the problem is that the 320 is not correctl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00. However, the spatial clearance between the body part 600 and the driving part 500 and the spatial clearance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and the nut 320 and the accommodating part 400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nut 320.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ucture formed at many angles (for example, a hexagon when the nut is rectangular), the nut 320 may be sufficiently received in the housing 400 by a pulling force with a str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도어 클로져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clos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져의 동작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을 고정시키려고 할 경우에는 상기 끈(55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551)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끈(550)은 상기 수납부(4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4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스프링(52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수납부(4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너트(320)를 수납하게 되며, 상기 너트(320)의 회전을 방지하여 문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530)은 상기 제 1걸림턱(512)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400)를 상방향으로 고정시킨다.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clos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tries to fix the door, the handle 551 provided in the string 550 is pulled downward. In this case, the string 550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410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00 to move the accommodating part 40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0. 400) is moved upward. As a result, the accommodating part 400 accommodates the nut 320, there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nut 320 to fix the door. Meanwhil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moves upward, the fixing pin 530 is positioned on the first catching jaw 512 to fix the accommodating part 400 upward.

다음으로 문을 회동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끈(55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551)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경우에도 상기 끈(550)은 상기 수납부(4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4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스프링(520)이 수축되면서 상기 수납부(4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너트(320)와 분리되며, 상기 너트(3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문의 회동 또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4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530)은 상기 제 2걸림턱(513)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400)를 하방향으로 고정시킨다.Next, when the door is rotatable, the handle 551 provided in the string 550 is pull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tring 550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410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00 to move the accommodating part 400. As the spring 520 is contracted, the accommodating part ( 400 will be moved downward. As a result, the accommodating part 400 is separated from the nut 320, and the nut 320 may be rotated to allow rotation of the door. Meanwhil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400 moves downward, the fixing pin 53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catching jaw 513 to fix the accommodating part 400 downwar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의 각도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끈을 이용하여 수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문이 고정되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문을 회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fixed when the housing is moved upward by using a string at any position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moved downward, the door can be rotated.

또한, 수납부의 모양을 너트의 모양보다 다각형으로 제조하여 구동부의 회전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ape of the housing is made of a polygon rather than the shape of the nut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rive.

Claims (3)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문의 개폐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너트;로 구성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A link member fixed to the door frame;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In the door closer consisting of a nut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 너트가 삽입되며, 하단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An accommodation portion into which the nut is inserted and protruding portions are formed at both lower ends thereof; 상기 수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를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A driving uni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unit to vertically drive the accommodating unit; And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소폭 이격하여 수용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져.I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housing portion and the drive portion accommodated slightly apart,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rive; door closer comprising a. 청구항 제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납부는 상기 너트의 모양보다 각 또는 변의 갯수가 같거나 많은 다각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져.The accommodating part is a door clo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 is made of the same or more polygons than the number of sides or sides. 청구항 제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하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1걸림턱;과 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걸림턱과 제 2걸림턱을 이동하며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외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수납부의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 및 구동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져.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atching jaw for fix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riving uni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catching jaw for fixing upwards, and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are moved, and the storing unit And a fixing pin to fix the driving unit. A spring support part forming a hol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supporting a spring coupled to the outside; And a strap connected to the protrusion of the housing to drive the housing and the driving unit up and down.
KR1020050067432A 2005-07-25 2005-07-25 Door closer KR100647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32A KR100647542B1 (en) 2005-07-25 2005-07-25 Door cl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32A KR100647542B1 (en) 2005-07-25 2005-07-25 Door clo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189A KR20050081189A (en) 2005-08-18
KR100647542B1 true KR100647542B1 (en) 2006-11-23

Family

ID=3726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32A KR100647542B1 (en) 2005-07-25 2005-07-25 Door clo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5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2141B (en) * 2023-06-02 2023-08-08 贵州迈锐钻探设备制造有限公司 Special rebound device for water hole drill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89A (en) * 1993-08-05 1995-03-20 문찬식 Hydraulic Door Closer
KR960014583A (en) * 1994-10-27 1996-05-22 문찬식 Door closer
KR200202006Y1 (en) 2000-02-10 2000-11-01 정기현 Close control of door clo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89A (en) * 1993-08-05 1995-03-20 문찬식 Hydraulic Door Closer
KR960014583A (en) * 1994-10-27 1996-05-22 문찬식 Door closer
KR200202006Y1 (en) 2000-02-10 2000-11-01 정기현 Close control of door clo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189A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132B1 (en) Handle structure to open-closing apparatus for window
US7111363B2 (en) Door hin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9631410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5146625A (en) Hinge device
KR20140141972A (en) Cov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s
KR100647542B1 (en) Door closer
US20110154615A1 (en) Hinge
KR101100149B1 (en) Stay Bar for Turning Type Window
KR101145725B1 (en) Door hinge with stopper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KR20080057566A (en) Door hinge
JP7221523B2 (en) Lever handle
KR20090103574A (en) A manhole cover with locking apparatus
JP4246057B2 (en) Hinge with damper
JP3798416B2 (en) Hinge, door unit using the same, and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the door unit
KR200305312Y1 (en) Door stopper
KR100522915B1 (en) tilt afterward opening prevention device of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235919B1 (en) apparatus for locking a glove box
KR200340468Y1 (en) Door hinge
CN210091706U (en) Self-locking musical instrument hook
KR200367712Y1 (en) Compact case having a cover which is possible for turning
KR101033072B1 (en) Hinge apparatus and door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205115B1 (en) Door rocking device of refrigerator
KR200208963Y1 (en) Acceptance-type handle
KR200313887Y1 (en) Hinge using spring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