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69A -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69A
KR20220144669A KR1020210051288A KR20210051288A KR20220144669A KR 20220144669 A KR20220144669 A KR 20220144669A KR 1020210051288 A KR1020210051288 A KR 1020210051288A KR 20210051288 A KR20210051288 A KR 20210051288A KR 20220144669 A KR20220144669 A KR 20220144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nit
virtual
combin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663B1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21005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6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 공간에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를 인식하는 모바일 유닛; 및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고, 액추얼 코드에 매칭하는 버추얼 코드를 선별하여 모바일 유닛에 제공하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Code matching with function for forming contents information by selectively composing unit cube}
본 발명은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차원 코드로부터 가상의 공간에 형성된 3차원 코드를 매칭하고 선별하여 3차원 코드 내에 포함된 정보의 선택적 오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화 코드 매칭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2차원 바코드는 다양한 국가에서 제조, 유통, 물류 등의 분야를 망라하고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차원 바코드는 문자, 숫자, 한글 기호, 바이너리 제어 코드 등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 개의 코드 안에 데이터의 크기는 7,089 문자(숫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표현하기에 크기 또한, 작아 유통, 물류, 제조, 보안, 의료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모바일 SNS, QR코드 등을 활용한 마케팅 방법이 기업 등에 확산되고 있다.
해외 예컨대, 일본에서는 기업 홍보로부터 개인 명함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와 일반 소비자 영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홈페이지와 연결해주는 등 기업 등에서 사이트 홍보 및 제품 홍보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2차원 코드는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어 보안이나 안전에 취약하며, 복수 인증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2차원 코드 또한 내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에 한계가 존재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다양한 판독과 데이터를 내포하도록 하는 기술적인 시도는 여럿 존재해 왔었는데, 그중 “도트 매트릭스 QR 코드의 코딩과 판독방법(등록번호 제10-2029727호,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인용발명 1의 경우, 도트 매트릭스 QR 코드의 코딩과 판독방법을 개시하는데 상기 도트 매트릭스 QR 코드는 M×N개의 가상코드 포인트 저장블록으로 조성되고 가상 코드 포인트 저장블록 내에 코드 포인트를 충전함으로써 다수의 좌표 보정블록, 다수의 데이터 저장블록과 하나의 방향지시블록을 각각 형성하며; 다수의 좌표 보정블록 내에 충전된 코드 포인트는 모두 가상 코드 포인트 저장블록의 중심위치에 위치하고; 방향지시블록 내에는 적어도 두개의 코드 포인트가 충전되되 여기서 하나의 코드 포인트만 가상 코드 포인트 저장블록의 중심위치에 위치하며; 다수의 좌표 보정블록과 방향지시블록은 모두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데이터 저장블록 사이에 분포하고; 다수의 데이터 저장블록 내에 충전된 코드 포인트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M≥4, N≥4, M와 N은 모두 짝수를 취한다.
또한, “QR 코드,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등록번호 제10-2159712 호, 이하 인용발명 2라 한다.)”도 존재한다.
인용발명 2의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단위 QR코드 이미지들을 구비하고, 이들 각각은 프레임을 구성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동영상 형태로 재생되고, 상기 각 단위 QR 코드 이미지는 3개의 위치 검출 패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다른 단위 QR 코드 이미지들은 일부분은 모두 동일하게 제작하고, 나머지 부분은 서로 상이하게 제작하여 정지화면으로 촬영하는 경우 복수개의 QR 코드 중 동일한 부분만 이용되고, 상기 적어도 다른 단위 QR 코드 이미지들은 훼손가능한 부분에 추가적인 정보 또는 보안성 있는 정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매트릭스 QR코드 해독방법(등록번호 제10-1612700호, 이하 인용발명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인용발명 3의 경우, 해독되는 매트릭스 QR코드 화상은 다수개의 동일한 유닛 코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QR코드 부호 연결 코드 어레이이고, 스캔하여 획득한 화상은 하나의 완전한 유닛코드 패턴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며, 해독과정은 해독하고자 하는 매트릭스 QR코드 부호 연결 코드 어레이의 이진화 화상을 획득하고 각 코드점 및 위치결정점의 유닛 코드 패턴에서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유닛 코드 패턴을 회복한 후 해독하는 매트릭스 QR코드 해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최악의 코드 스캔 조건하에서 해독하고자 하여도, 다만 유닛 코드 패턴보다 2배 큰 면적이 필요하고, 기존기술의 해독방법은 최악의 코드 스캔 조건하에서 적어도 유닛 코드 패턴보다 6배 큰 면적이 있어야 해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 패턴 화상이 기울어진 경우에도 적용되고 연산량이 기존기술보다 작아 자원을 절약한다.
그러나 종래의 문헌들의 경우, 코드의 이미지에 대하여 패턴을 해독하는 내용에 대한 연구와 코드 내에 더 많은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하나의 코드를 통한 가상의 코드로의 연결과 가상의 코드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2029727호 등록번호 제10-2159712 호 등록번호 제10-1612700호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3차원 코드가 가상의 공간에 형성되고 3차원의 코드가 2차원의 코드를 통하여 오픈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3차원의 코드는 소정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며, 3차원의 코드에 포함된 소정의 콘텐츠는 선택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3차원 코드 내 단위셀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를 형성하고 단위 큐브의 길이와 높이의 설정을 통하여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실 공간에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를 인식하는 모바일 유닛; 및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얼 코드에 매칭하는 버추얼 코드를 선별하여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제공하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제공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액추얼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촬상부; 상기 코드 촬상부가 획득한 상기 액추얼 코드를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으로 제공하는 코드 제공부; 및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을 통해 추출된 상기 버추얼 코드를 수신하는 버추얼 코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액추얼 코드는, 2차원으로 제공되고, 상기 버추얼 코드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버추얼 코드는,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 상에서 3차원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은, 상기 코드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는 코드 수신부; 상기 코드 수신부로부터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얼 코드 내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매칭하는 상기 버추얼 코드를 선별하는 버추얼 코드 추출부; 및 상기 버추얼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버추얼 코드를 상기 모바일 유닛에 송신하는 버추얼 코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유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상기 버추얼 코드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콘텐츠 정보는, 소정의 영상 정보, 소정의 이미지 정보, 소정의 소리 정보, 소정의 유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유통 정보는, 소정의 결제 정보, 소정의 주문 정보, 소정의 스펙 정보, 소정의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버추얼 코드에 구비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버추얼 코드는, 3차원의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단위셀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단위 큐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단위 큐브는, 상기 단위셀의 3차원 조합, 상기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 조합, 상기 단위셀의 컬러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코드 제공부는, 상기 액추얼 코드의 이미지를 n등분하여 임의의 방향 전환 후 복수 개의 중복된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에 송신되도록 하는 코드 이미지 분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드 이미지 분할부는, 상기 n등분된 상기 액추얼 코드의 이미지에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되는 난수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상기 버추얼 코드 추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중복된 이미지를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되는 난수를 매개로 재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차원 코드 내에 3차원 코드와 매칭 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여 가상의 공간에 형성되는 3차원 코드를 선별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3차원 코드는 가상 바운더리 라인을 형성하고 단위셀이 제공되어 단위셀의 임의 조합을 통하여 콘텐츠 정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단위셀의 3차원 조합,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 조합, 단위셀의 컬러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 정보가 버추얼 코드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에 제공되는 소정의 콘텐츠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액추얼 코드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레스토랑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의 3차원 도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이 조합을 통하여 단위 큐브가 형성되고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이 조합을 통하여 단위 큐브가 형성되고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과 컬러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모바일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오브젝트 매칭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코드 이미지 분할부가 액추얼 코드 이미지를 분할하고 난수가 포함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에 제공되는 소정의 콘텐츠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액추얼 코드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레스토랑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내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의 3차원 도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이 조합을 통하여 단위 큐브가 형성되고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이 조합을 통하여 단위 큐브가 형성되고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과 컬러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모바일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오브젝트 매칭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코드 이미지 분할부가 액추얼 코드 이미지를 분할하고 난수가 포함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은 모바일 유닛(mobile unit, 100), 오브젝트 매칭 유닛(object matching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유닛(100)의 경우, 실 공간에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10, actual code)를 인식할 수 있다.
액추얼 코드(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의 코드로 형성되는 것으로, 데이터를 수평과 수직 방향에 모두 코드화하여 내포할 수 있다.
액추얼 코드(10)는 예컨대,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코드, PDF417, 맥시코드(Maxi Code)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추얼 코드(10)는 어느 방향으로나 인식이 가능하며, 약간의 훼손이 있어도 인식을 통해 상당 부분 복구가 가능할 수 있다.
실 공간이라 함은, 현실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2차원 코드는 현실의 공간 상에 인쇄물 또는 육안으로 보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유닛(100)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혹은 컴퓨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PC(tablet PC), 랩탑(labtop)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모바일 유닛(100)으로부터 액추얼 코드(10)를 수신하고, 액추얼 코드(10)에 매칭하는 버추얼 코드(20)를 선별하여 모바일 유닛(10)에 제공할 수 있다.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모바일 유닛(100)과 네트워크를 연결되어 액추얼 코드(10)의 수신과 버추얼 코드(20)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미리 제공되는 버추얼 코드(20, virtual code)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인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모바일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한 액추얼 코드(10)과 매칭되는 버추얼 코드(20)를 선별하도록 하는 것으로,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 내에 존재하는 버추얼 코드 중 모바일 유닛(100)이 인식한 액추얼 코드(10)와 매칭되는 버추얼 코드(20)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모바일 유닛(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촬상부(110), 코드 제공부(120), 버추얼 코드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코드 촬상부(110)의 경우, 모바일 유닛(100)에 제공된 카메라를 통해 액추얼 코드(10)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유닛(100)은 모바일 단말기 등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액추얼 코드(10)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유닛(100)을 통하여 인식되는 액추얼 코드(10)는 코드 촬상부(110)를 통하여 액추얼 코드(1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코드 제공부(120)는, 코드 촬상부(110)가 획득한 액추얼 코드(10)를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코드 제공부(120)의 경우, 획득한 액추얼 코드(10)에 대한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유닛(100)과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추얼 코드 수신부(130)의 경우,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을 통해 추출된 버추얼 코드(20)를 수신할 수 있다.
버추얼 코드 수신부(130)는 버추얼 코드(20)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버추얼 코드(20)는 모바일 유닛(1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모바일 유닛(100)에 제공되는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액추얼 코드(10)는, 2차원으로 제공되고, 버추얼 코드(20)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어드레스(address) 정보라 함은, 버추얼 코드(20)를 매칭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버추얼 코드(20)를 불러오기 위한 정보로서 문자, 숫자 등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어드레스 정보 또한, 액추얼 코드(10) 내에 2차원의 정보의 조합으로 저장되어질 수 있으며, 어드레스 정보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에 의하여 그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2차원으로 형성되는 액추얼 코드(10)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형태 내에 점자 또는 모자이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차원 액추얼 코드(10)는 실 공간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2차원으로 형성되는 아웃라인(outline) 내에 코드화를 통하여 버추얼 코드(20)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20)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상에서 3차원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버추얼 코드(20)는 가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3차원으로 형성되는데, x, y, z에 해당하는 가로, 높이, 세로로 구성되며, 도형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위 큐브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의 도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버추얼 코드(20)는 다양한 도형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버추얼 코드(20)는 3차원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버추얼 코드(20) 내에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구비할 수 있는데, 소정의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버추얼 코드(20)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이라는 가상의 공간 상에 존재하지만,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구비하는 실체하는 것으로 소정의 모양을 구비하여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의 도형 내에 코드화된 정보를 가지는 버추얼 코드(20)는 코드화되는 단위셀의 조합에 의하여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내포할 수 있으며, 코드화 단위셀 조합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수신부(210),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 버추얼 코드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수신부(210)의 경우, 코드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10)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연결된 모바일 유닛(100)과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은 액추얼 코드(10)를 송신하고 버추얼 코드(20)를 수신할 수 있다.
코드 수신부(210)는 모바일 유닛(100)으로부터 액추얼 코드(10)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액추얼 코드(10)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지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패킷의 형태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는 코드 수신부(210)로부터 액추얼 코드(10)를 수신하고, 액추얼 코드(10) 내의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여 어드레스 정보에 매칭하는 버추얼 코드(20)를 선별할 수 있다.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는 액추얼 코드(10) 내에 내포된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어드레스 정보의 확인을 통하여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 내에 제공되는 버추얼 코드(20) 중 하나를 선별할 수 있다.
어드레스 정보는 버추얼 코드(20)와 액추얼 코드(10)를 매칭되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 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버추얼 코드(20)는 각각의 어드레스 정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추얼 코드(10)도 이와 매칭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추얼 코드 송신부(230)는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버추얼 코드(20)를 모바일 유닛(100)에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유닛(100)으로 송신된 버추얼 코드(20)는 모바일 유닛(100)의 버추얼 코드 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되고 모바일 유닛(100)에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모바일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버추얼 코드(20)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유닛(100)은 모바일 단말기 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버추얼 코드(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된 버추얼 코드(20)는 모바일 유닛(1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버추얼 코드(20)는 모바일 유닛(100)의 화면을 통해서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버추얼 코드(20)의 3차원 형태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과 전후좌우 조절에 의하여 모두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추얼 코드(20)의 경우, 코드를 3차원으로 내포하고 있기에 모바일 유닛(100)은 버추얼 코드(20)의 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하며, 모바일 유닛(100)을 통한 버추얼 코드(20)의 촬영, 복사, 캡처 등은 제한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버추얼 코드(2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추얼 코드(10)가 모바일 유닛(1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되는 동안에만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액추얼 코드(10) 인식이후 관리자 혹은 제작자가 설정한 시간을 통한 일정 시간 동안의 디스플레이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소정의 콘텐츠 정보는, 소정의 영상 정보, 소정의 이미지 정보, 소정의 소리 정보, 소정의 유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콘텐츠 정보는, 사진, 이름, 판매자, 스펙(specification), 판매처, 동영상, 홈페이지 UR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추얼 코드(20) 내에 포함되는 정보는 권리자에 의하여 콘텐츠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소정의 유통 정보는, 소정의 결제 정보, 소정의 주문 정보, 소정의 스펙 정보, 소정의 판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의 결제 정보는, 제품 구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제에 필요한 마일리지, 예치금, 카드, 계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시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문 정보의 경우, 주문 내역, 옵션 선택, 딜리버리 내역, 추가 주문 등에 대한 물건에 대한 주문 정보에 대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스펙 정보의 경우, 예컨대, 레스토랑의 경우, 레스토랑의 메뉴, 레스토랑의 인포메이션, 레스토랑 평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물건의 경우, 물건의 사양, 설명서, 재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정의 판매 정보의 경우, 판매자의 정보, 예컨대, 판매 물건의 경우, 평점, 사용자의 반응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판매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영상 정보의 경우, 물건의 경우, 물건의 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옷의 경우, 옷에 대한 참고 영상, 광고, 실제 착용 영상 등에 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정보의 경우,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정보로서 메뉴의 이미지, 옷의 이미지, 음식의 이미지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소리 정보의 경우,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제공되어질 수도 있으며, 소리 정보만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스펙, 제품의 소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모바일 유닛(100)은, 버추얼 코드(20)에 구비된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픈하도록 할 수 있다.
버추얼 코드(20)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콘텐츠 정보는 선택적으로 오픈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소정의 콘텐츠 정보 중 필요한 정보가 오픈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임의 설정에 따라 소정의 콘텐츠 정보 중 필요한 정보가 임의 오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레스토랑에 구비된 액추얼 코드(10)를 모바일 유닛(100)을 통하여 인식하는 경우, 버추얼 코드(20)가 모바일 유닛(100) 내에 나타나게 되며, 버추얼 코드(20)에 포함되어 있는 레스토랑의 인포메이션, 메뉴 정보의 확인과 함께 주문한 내역과 결제 내역까지 한 번에 하나의 코드 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드내 정보들을 임의에 따라 선택하여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의류에 액추얼 코드(10)가 제공되는 경우, 의류에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10)는 의류 재고 정보, 의류 코디 정보, 코디 패션 동영상 등을 버추얼 코드(20) 내에 구비할 수 있으며, 의류에 포함된 액추얼 코드(10)를 모바일 유닛(100)을 통하여 인식함으로 인하여 소정의 콘텐츠가 포함된 버추얼 코드(20)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의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virtual boundary line, L)을 형성하고,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을 따라 선택적으로 단위셀(unit cell)이 배치되며, 단위셀의 선택적 3차원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추얼 코드(1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셀의 선택적 3차원 조합을 통하여 단위 큐브(unit cube)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 큐브는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L) 내에 배치와 조합에 따라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형성될 수 있다.
버추얼 코드(20)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은, 3차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상 바운더리 라인은(L)은 엣지(edgr), 모서리(vertex), 곡면을 가지는 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은 임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은 포함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의 길이와 크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바운더리 라인(L1~L4)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라인으로 버추얼 코드(20)의 단위셀의 조합을 통하여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의 형태가 육안으로 확인되어질 수 있다.
즉, 가상 바운더리 라인(L)은 개념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단위셀에 의하여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다.
단위셀은 3차원의 조합에 따라 단위 큐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단위 큐브로 형성된 단위셀 집합이 가상 바운더리 라인(L)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큐브는 단위셀의 조합에 따라 단위 큐브의 크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단위셀의 조합에 따른 단위 큐브는 소정의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단위 큐브에 형성된 정보는 버추얼 코드(20)가 구비하는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정보의 종류와 정보의 양에 따라 단위 큐브의 크기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단위 큐브는, 단위셀의 3차원 조합,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 조합, 단위셀의 컬러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하여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형성될 수 있다.
단위셀은 3차원 조합을 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큐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 조합과, 단위셀의 컬러 조합을 통하여 소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단위셀의 3차원 조합은 단위셀이 3차원의 형태로 길이와 너비가 선택적으로 설정됨을 통하여 콘텐츠 정보를 형성할 수 있으며, 3차원 조합과 함께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의 조합과 컬러의 조합이 임의 설정됨을 통하여 단위 큐브가 형성되고 단위 큐브의 다양한 조합의 형태와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합의 형태와 색상을 통하여 단위 큐브는 내포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며, 단위 큐브로 형성되는 버추얼 코드(20)는 다양한 콘텐츠와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코드 제공부(120)는, 액추얼 코드(10)의 이미지를 n등분하여 임의의 방향 전환 후 복수 개의 중복된 이미지로 생성하여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에 송신되도록 하는 코드 이미지 분할부(140)를 더 포함하되, 코드 이미지 분할부(140)는, n등분된 액추얼 코드(10)의 이미지에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되는 난수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의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는, 복수 개의 중복된 이미지를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되는 난수를 매개로 재 조합할 수 있다.
코드 제공부(120)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코드 이미지를 복수 개로 나누는 코드 이미지 분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n등분이라 함은,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으로 권리자 혹은 임의의 설정에 따라 n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n 은 3, 4, 5, 6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n등분된 이미지는 각과 각의 크기와 선분의 길이가 같도록 이미지가 나누어질 수 있다.
분할된 액추얼 코드(10)의 이미지는 임의 방향 전환 후 복수 개의 분할된 액추얼 코드(10)가 하나의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n등분된 액추얼 코드(10)는 랜덤한 난수가 제공되는데 도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유닛(100)을 통하여 인식된 액추얼 코드(10)는 n등분으로 분할되는 동안 연속되는 난수를 포함하게 되며, 연속되는 난수는 액추얼 코드(10)의 재 조합의 매개로 사용될 수 있다.
코드 이미지 분할부(140)는 코드의 이미지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후 난수를 포함한 액추얼 코드(10)를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에 제공하고, 버추얼 코드 추출부(220)에서는 난수를 매개로 분할된 코드의 이미지를 복원하여 액추얼 코드(10) 내 어드레스 정보를 통하여 버추얼 코드(20)를 선별하도록 함으로, 외부에서는 액추얼 코드(10)와 버추얼 코드(20) 사이의 이미지를 통한 매칭이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재 조합은 모바일 유닛(100)과 오브젝트 매칭 유닛(200) 사이에 일정한 시간 내의 난수를 매개로 하는 것으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난수는 재 할당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L: 가상 바운더리 라인
10: 액추얼 코드
20: 버추얼 코드
100: 모바일 유닛
110: 코드 촬상부
120: 코드 제공부
130: 버추얼 코드 수신부
140: 코드 이미지 분할부
200: 오브젝트 매칭 유닛
210: 코드 수신부
220: 버추얼 코드 추출부
230: 버추얼 코드 송신부

Claims (10)

  1. 실 공간에 제공되는 액추얼 코드를 인식하는 모바일 유닛; 및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얼 코드에 매칭하는 버추얼 코드를 선별하여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제공하는 오브젝트 매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제공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액추얼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촬상부;
    상기 코드 촬상부가 획득한 상기 액추얼 코드를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으로 제공하는 코드 제공부; 및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을 통해 추출된 상기 버추얼 코드를 수신하는 버추얼 코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얼 코드는,
    2차원으로 제공되고, 상기 버추얼 코드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코드는,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 상에서 3차원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매칭 유닛은,
    상기 코드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는 코드 수신부;
    상기 코드 수신부로부터 상기 액추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액추얼 코드 내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매칭하는 상기 버추얼 코드를 선별하는 버추얼 코드 추출부; 및
    상기 버추얼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버추얼 코드를 상기 모바일 유닛에 송신하는 버추얼 코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상기 버추얼 코드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콘텐츠 정보는,
    소정의 영상 정보, 소정의 이미지 정보, 소정의 소리 정보, 소정의 유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유통 정보는,
    소정의 결제 정보, 소정의 주문 정보, 소정의 스펙 정보, 소정의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은,
    상기 버추얼 코드에 구비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코드는,
    3차원의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가상 바운더리 라인 내에 단위셀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단위 큐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큐브는,
    상기 단위셀의 3차원 조합, 상기 단위셀의 그레이 레벨 조합, 상기 단위셀의 컬러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KR1020210051288A 2021-04-20 2021-04-20 큐브의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KR10260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88A KR102606663B1 (ko) 2021-04-20 2021-04-20 큐브의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88A KR102606663B1 (ko) 2021-04-20 2021-04-20 큐브의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69A true KR20220144669A (ko) 2022-10-27
KR102606663B1 KR102606663B1 (ko) 2023-11-24

Family

ID=8381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288A KR102606663B1 (ko) 2021-04-20 2021-04-20 큐브의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6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897A (ko) * 2011-08-30 2013-03-08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Qr코드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단말기, 서버, 제공 방법, 기록매체 및 제공 장치
KR101572870B1 (ko) * 2014-11-20 2015-11-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코드 큐브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KR101612700B1 (ko) 2012-05-11 2016-04-15 선전 엠피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매트릭스 qr코드 해독방법
KR101797425B1 (ko) * 2017-01-02 2017-12-1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디지털tv에서 방송 중인 vod 콘텐츠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단말에 구현하는 방법
KR20180014489A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9727B1 (ko) 2016-02-06 2019-11-29 선전 엠피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도트 매트릭스 qr 코드의 코딩과 판독방법
KR102159712B1 (ko) 2019-07-29 2020-09-24 박준영 Qr 코드가 저장된 단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897A (ko) * 2011-08-30 2013-03-08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Qr코드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단말기, 서버, 제공 방법, 기록매체 및 제공 장치
KR101612700B1 (ko) 2012-05-11 2016-04-15 선전 엠피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매트릭스 qr코드 해독방법
KR101572870B1 (ko) * 2014-11-20 2015-11-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코드 큐브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KR102029727B1 (ko) 2016-02-06 2019-11-29 선전 엠피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도트 매트릭스 qr 코드의 코딩과 판독방법
KR20180014489A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797425B1 (ko) * 2017-01-02 2017-12-1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디지털tv에서 방송 중인 vod 콘텐츠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단말에 구현하는 방법
KR102159712B1 (ko) 2019-07-29 2020-09-24 박준영 Qr 코드가 저장된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663B1 (ko)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multi-dimensional codes with time and visual recognition information
CN103295143B (zh) 商品防伪验证方法
CN107392583B (zh) 一种二维码图形数据生成方法和装置
KR20200106510A (ko) 복합 코드 패턴, 생성 장치, 판독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1114837A1 (zh) 识别图形码的方法及装置
CN105046504A (zh) 一种多元密钥核对查验防伪溯源形成的方法及防伪标签
CN109583894A (zh) 二维码的提供、验证方法和装置
CN102968654A (zh) 在二维码所占平面内实现肉眼可识别信息的制作方法、系统及二维码
CN108537315A (zh) 一种安全二维码的生成和认证方法
CN114692802A (zh) 一种利用二维码标签作为元宇宙生态入口的方法及系统
CN109102046A (zh) 新型互联网防伪系统及方法
EP2953084A1 (en) Social network messaging with integrated advertising
CN105913104B (zh) 书法码生成方法及系统、解析方法及系统以及书法码标签
CN109934322A (zh) 动态三维码的生成方法、生成装置、识别方法及识别装置
KR20220144669A (ko) 단위 큐브의 선택적 배치 조합을 통한 콘텐츠 정보 형성 기능을 구비하는 코드 매칭 시스템
CN108021965A (zh) 一种立体二维码以及立体二维码的扫码方法
US20220318536A1 (en) Qr ent. (entertainment) ware
KR20190014223A (ko) 이종 코드와 결합되는 qr 코드,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2085561B1 (ko) Qr코드 위변조 방지장치 및 방법
CN108830364B (zh) 一种动态二维码生成方法及系统
Bunma et al. Using augment reality to increase capacity in QR code
KR20190093183A (ko) Qr 코드,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CN110175661A (zh) 二维码分享路径的生成方法和装置
US10621482B2 (en) Graphic two-dimensional barcode and creating method thereof
CN113168621A (zh) 用于生成令牌化图像的系统、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