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157A - 시설물용 기둥 - Google Patents

시설물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157A
KR20220144157A KR1020210050476A KR20210050476A KR20220144157A KR 20220144157 A KR20220144157 A KR 20220144157A KR 1020210050476 A KR1020210050476 A KR 1020210050476A KR 20210050476 A KR20210050476 A KR 20210050476A KR 20220144157 A KR20220144157 A KR 2022014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acility
chemical
container
antisep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251B1 (ko
Inventor
윤병일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to KR102021005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6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40 - E04C3/4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부 및 방충 효과를 강화하여 내구성을 증대하고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야외 놀이시설물용 기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둘레에 상하로 잔구멍이 다수 뚫린 중공형 금속재 속주, 상기 속주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부 위에 장착된 목재 겉주, 상기 속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속주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약액통, 상기 약액통의 아가리를 덮어 보호하고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하는 뚜껑 및 상기 속주의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약액통에서 떨어지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빨아들여 상기 잔구멍을 통해 상기 겉주의 내부로 내보내는 전달재를 포함하는 시설물용 기둥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시설물용 기둥{PILLAR FOR FACILITY}
본 발명은 조합놀이대와 같은 야외 놀이시설물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부 및 방충 효과의 지속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시설물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공원, 아파트 따위의 야외에는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놀 수 있는 조합놀이대와 같은 다양한 놀이시설을 비롯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운동시설, 앉아서 쉴 수 있는 정자 등과 같은 생활에 편의를 줄 수 있는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물은 주로 토대나 주춧대 따위의 기초물(podium) 위에 목재 또는 금속재 기둥을 세워 설치하는 데, 목재 기둥의 경우 목재의 특성상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뒤틀림이나 갈라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데다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 및 흰개미가 먹이 활동을 위해 마구 갉아먹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금속재 기둥의 경우 도장이나 도색의 벗겨지면서 미관의 저하는 물론 부식이 발생하여 시설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등에는 금속재 기둥의 바깥쪽 둘레에 목재를 부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단순히 금속재 기둥의 바깥쪽 둘레에 목재를 부착하는 구조는 변형을 최소화 및 미관 개선의 효과만 있을 뿐, 빗물이나 습기 등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흰개미 등으로 인한 충해를 예방하기 어려워 내구연한이 짧은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등록특허10-1097284 B1(2011.12.15) KR등록실용신안20-0462075 Y1(2012.08.17) KR등록특허10-1742299 B1(2017.05.25) KR공개특허10-2012-0105093 A(2012.09.2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시설물용 기둥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변형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높이면서 미관 개선의 효과는 물론 지속성 있는 방부 효과로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방충 효과로 흰개미 등으로 인한 충해를 예방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설물용 기둥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방부 및 방충 효과의 지속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용 기둥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하부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둘레에 상하로 잔구멍이 다수 뚫린 중공형 금속재 속주, 상기 속주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부 위에 장착된 목재 겉주, 상기 속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속주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약액통, 상기 약액통의 아가리를 덮어 보호하고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하는 뚜껑 및 상기 속주의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약액통에서 떨어지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빨아들여 상기 잔구멍을 통해 상기 겉주의 내부로 내보내는 전달재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변형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높이면서 미관 개선의 효과는 물론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기둥의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흰개미 등으로 인한 충해를 예방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약액통의 배출구상에 장착되고, 상기 약액통에 담긴 약액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 입자를 제거하고 상기 전달재로 고르게 분산 및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스트레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약액통의 배출구상에 설치되고, 개폐 면적 변화에 의해 상기 약액통에서 상기 전달재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중앙에 조인트핀이 구비되고, 상기 조인트핀의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출구멍이 다수 형성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위에 조인트핀을 중심으로 겹치듯이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핀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멍과 어긋나거나 통하면서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구멍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조절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습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개폐 면적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약액통에서 상기 전달재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속주의 하단에 외향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기초물 위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전달재가 약액통에서 떨어지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흡수하여 속주의 잔구멍을 통해 겉주의 내부로 서서히 내보내기 때문에 약액이 겉주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방부 및 방충 효과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겉주의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흰개미 등으로 인한 충해를 예방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의 개폐 면적을 임의로 조작하여 약액통에서 전달재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계절 변화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을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의 구성요소 중 유량조절밸브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속주(10), 겉주(20), 약액통(30), 뚜껑(40), 전달재(50) 및 스트레이너(60)를 포함하고 있다.
속주(10)는 겉주(20)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휨 등과 같은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중공형 금속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에는 겉주(20)와 전달재(50)를 받쳐서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한 받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속주(10)의 둘레에는 상하로 잔구멍(12)이 다수 뚫려 있다.
즉, 속주(10)는 길이 방향의 하부가 막히고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금속재 타공관 또는 유공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속주(10)의 하단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구조의 기초블록과 같은 기초물 위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를 위하여 외향 플랜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향 플랜지(13)의 가장자리에는 속주(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초물의 앵커 볼트를 끼우고 너트로 조이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4)이 뚫려 있다.
겉주(20)는 속주(10)의 둘레를 커버하면서 받침부(11) 위에 장착하기 위하여 중공형 목재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겉주(20)는 금속재 속주(10)를 보호하면서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겉주(20)는 속주(10)의 둘레에 밀착하여 부착하기 위하여 속주(1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형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겉주(20)의 내경은 속주(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속주(10)의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겉주(20)는 설치 및 고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속주(10)를 중심으로 적어도 양쪽에 분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겉주(20)는 두 개의 반원통 모양으로 분할 형성하여 속주(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 및 밀착된 상태에서 속주(10)의 둘레를 감싼 채 접착 등의 방법으로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약액통(30)은 겉주(20)의 빗물이나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용 약액과 흰개미가 갉아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용 약액을 일정량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속주(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즉, 약액통(3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의 하부에는 속주(10)의 내부와 통하면서 속주(10)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배출구(3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뚜껑(40)은 약액통(30)의 상부 아가리를 덮어 보호하고 충돌 등의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도록 약액통(30)의 상부 아가리 둘레와 대응되는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40)은 약액통(30)의 상부에 나사못 등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뚜껑(40)은 약액통(30)과의 틈새 등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 및 완충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과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FRP(강화플라스틱), 나일론,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이 외력을 받을 시 자연스럽게 변형되는 탄성과 파손을 방지하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뚜껑(40)은 충돌이나 충격 등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는 고무, 나일론,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재(50)는 약액통(30)에 담긴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빨아들이거나 약액통(30)에서 떨어지는 약액을 흡수하여 속주(10)의 잔구멍(12)을 통해 겉주(20)의 내부로 내보내도록 속주(10)의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다.
즉, 전달재(5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약액통(30) 속의 약액을 정해진 양만큼 겉주(20)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달재(50)는 면섬유, 합성섬유, 스펀지 등과 같이 약액을 흡수하고 내보내는 물질전달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레이너(60)는 약액통(30)에 담긴 약액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 입자를 제거하고 전달재(50)로 약액이 고르게 분산 및 미리 정해진 시간에 맞춰 정해진 양만큼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약액통(30)의 배출구(31)상에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레이너(60)는 다수의 소공이 있는 박판이나 매우 가는 스테인리스 철사(지름 80~25m)로 짠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용 기둥은 속주(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전달재(50)가 스트레이너(60)를 통해 약액통(30)에서 자중에 의해 조금씩 떨어지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흡수하여 속주(10)의 잔구멍(12)을 통해 겉주(20)의 내부로 서서히 내보내는 작용을 함으로써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이 겉주(20)에 지속적으로 스며들어 빗물이나 습기 등의 침투로 인한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흰개미 등으로 인한 충해를 예방하여 내구연한 및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약액통(30)에 담긴 약액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 입자는 스트레이너(60)를 통과하면서 걸러진 채로 약액만이 전달재(50)로 고르게 분산 및 미리 정해진 시간에 맞춰 정해진 양만큼 서서히 떨어지므로 한번 충전으로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뚜껑(40)이 충돌, 충격 등의 외력을 받을 때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 시설물 이용자가 자칫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등 시설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면적 변화에 의해 약액통(30)에서 전달재(50)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70)가 약액통(30)의 배출구(31)상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조절밸브(70)의 바람직한 예로는 약액통(30)의 배출구(31)상에 장착되는 받침판(73) 및 그 받침판(7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절판(7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받침판(73)의 중앙에는 조인트핀(71)이 세워지고, 그 조인트핀(71)의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출구멍(7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판(75)은 받침판(73)의 위에 조인트핀(71)을 중심으로 겹치듯이 장착되어 있고, 아울러 조인트핀(71)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배출구멍(72)과 어긋나거나 통하면서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구멍(74)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량조절밸브(70)는 그 배출구멍(72)과 개폐구멍(74)이 서로 어긋나거나 통하는 위치에 따라 개폐 면적이 변화하면서 약액통(30)에서 전달재(50)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밖에 유량조절밸브(70)로는 계절 변화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방부 및 방충 효과의 지속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열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조절밸브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겉주(20)의 외부에 장착된 습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기나 전자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개폐 면적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약액통(30)에서 전달재(50)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속주 11: 받침부
12: 잔구멍 13: 외향 플랜지
20: 겉주 30: 약액통
31: 배출구 40: 뚜껑
50: 전달재 60: 스트레이너
70: 유량조절밸브 71: 조인트핀
72: 배출구멍 73: 받침판
74: 개폐구멍 75: 조절판

Claims (6)

  1. 하부에 받침부(11)가 형성되고 둘레에 상하로 잔구멍(12)이 다수 뚫린 중공형 금속재 속주(10);
    상기 속주(10)의 둘레를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부(11) 위에 장착된 목재 겉주(20);
    상기 속주(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속주(10)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31)가 형성된 약액통(30);
    상기 약액통(30)의 상부 아가리를 덮어 보호하고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하는 뚜껑(40); 및
    상기 속주(10)의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약액통(30)에서 떨어지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을 빨아들여 상기 잔구멍(12)을 통해 상기 겉주(20)의 내부로 내보내는 전달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30)의 배출구(31)상에 장착되고, 상기 약액통(30)에 담긴 약액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 입자를 제거하고 상기 전달재(50)로 약액이 고르게 분산 및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스트레이너(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30)의 배출구(31)상에 설치되고, 개폐 면적 변화에 의해 상기 약액통(30)에서 상기 전달재(50)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70)는, 중앙에 조인트핀(71)이 세워지고, 상기 조인트핀(71)의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출구멍(72)이 다수 형성된 받침판(73); 및
    상기 받침판(73) 위에 상기 조인트핀(71)을 중심으로 겹치듯이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핀(71)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멍(72)과 어긋나거나 통하면서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구멍(74)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조절판(7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70)는, 상기 겉주(20)의 외부에 장착된 습도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기나 전자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개폐 면적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약액통(30)에서 상기 전달재(50)로 유입되는 방부 및 방충용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초물 위에 고정 설치를 위하여 상기 속주(10)의 하단에 외향 플랜지(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용 기둥.
KR1020210050476A 2021-04-19 2021-04-19 시설물용 기둥 KR10251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76A KR102512251B1 (ko) 2021-04-19 2021-04-19 시설물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76A KR102512251B1 (ko) 2021-04-19 2021-04-19 시설물용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57A true KR20220144157A (ko) 2022-10-26
KR102512251B1 KR102512251B1 (ko) 2023-03-21

Family

ID=8378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476A KR102512251B1 (ko) 2021-04-19 2021-04-19 시설물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5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30Y1 (ko) * 2005-03-23 2005-06-13 청록개발 주식회사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200409297Y1 (ko) * 2005-10-28 2006-02-24 한각수 숯 채운 목재피복 강관 기둥
KR101097284B1 (ko) 2008-12-08 2011-12-21 (주)정해목재방부산업 구조물의 기둥 구조
KR101173895B1 (ko) * 2012-03-15 2012-08-14 아이앤지산업(주) 수경재배용 휀스
KR200462075Y1 (ko) 2011-03-10 2012-08-23 비엔지 주식회사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20120105093A (ko)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742299B1 (ko) 2016-10-11 2017-06-02 두성티앤에스(주)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KR20180091384A (ko) * 2017-02-06 2018-08-16 주동균 균열과 부패가 방지되는 건축용 목재기둥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30Y1 (ko) * 2005-03-23 2005-06-13 청록개발 주식회사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200409297Y1 (ko) * 2005-10-28 2006-02-24 한각수 숯 채운 목재피복 강관 기둥
KR101097284B1 (ko) 2008-12-08 2011-12-21 (주)정해목재방부산업 구조물의 기둥 구조
KR200462075Y1 (ko) 2011-03-10 2012-08-23 비엔지 주식회사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20120105093A (ko)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173895B1 (ko) * 2012-03-15 2012-08-14 아이앤지산업(주) 수경재배용 휀스
KR101742299B1 (ko) 2016-10-11 2017-06-02 두성티앤에스(주)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KR20180091384A (ko) * 2017-02-06 2018-08-16 주동균 균열과 부패가 방지되는 건축용 목재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51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178A (en) Pet watering apparatus with flowing water to simulate a mountain creek
US7676988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6591781B2 (en) Squirrel proof bird feeder
US9485959B2 (en) Pet feeding device
US4145044A (en) Portable basketball set
US6557297B2 (en) Adjustable water plant container support assembly
US7059271B2 (en) Livestock supplement delivery system
US5526773A (en) Anchored pet dish
US9301495B1 (en) Livestock feeder
US6219963B1 (en) Drip type watering device for use in gardening
KR101412366B1 (ko) 내부 미끼 저장소 시일 및 동시에 조정가능한 벌레 접근 포트와 크롤스페이스 치수를 갖는 기어다니는 벌레용 미끼 스테이션
US9901076B1 (en) Exercise wheel for small animals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8172703B2 (en) Wind resistant practice cage
US6318290B1 (en) Automatic bird feeder and waterer
WO1996023555A1 (en) Collapsible hitting practice apparatus and connectable plastic tubing used in same
KR20220144157A (ko) 시설물용 기둥
US5664525A (en) Small animal visual burrowing module
US6585233B1 (en) Animal-repelling apparatus
US6761130B1 (en) Pet litter device
JP3886706B2 (ja) 貯水タンク
JP6585499B2 (ja) 樹木回転装置
CN204168920U (zh) 夜蛾诱捕器
KR200490534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지대를 이용한 가축 사육장
KR20140001313A (ko) 소통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