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20A -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020A
KR20220144020A KR1020210049958A KR20210049958A KR20220144020A KR 20220144020 A KR20220144020 A KR 20220144020A KR 1020210049958 A KR1020210049958 A KR 1020210049958A KR 20210049958 A KR20210049958 A KR 20210049958A KR 20220144020 A KR20220144020 A KR 20220144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witching element
electrode
nod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천우영
황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020A/ko
Priority to US17/670,905 priority patent/US20220335884A1/en
Priority to CN202210382915.8A priority patent/CN115223477A/zh
Publication of KR2022014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픽셀은 발광 소자, 구동 스위칭 소자 및 노이즈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노이즈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픽셀의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IXE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리커를 감소시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복수의 에미션 라인들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에미션 라인들에 에미션 신호를 제공하는 에미션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이 상시 표시 모드(always on mode)로 동작하는 경우,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해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전류 리키지로 인해 플리커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픽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은 발광 소자, 구동 스위칭 소자 및 노이즈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노이즈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픽셀의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2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에미션 구동부 및 노이즈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픽셀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신호를 상기 픽셀에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픽셀에 인가한다. 상기 에미션 구동부는 에미션 신호를 상기 픽셀에 인가한다.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픽셀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결정하는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을 기초로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는 노이즈 전압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이 낮을수록, 상기 노이즈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 및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기초로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는 노이즈 전압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노이즈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2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합쳐진 노이즈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기입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 및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 및 상기 노이즈 전압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에 에미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1의 노이즈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가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할 때 도 1의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가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의 2배일 때 도 1의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6의 노이즈 전압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전압 및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에 따른 시그널 노이즈 비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표시 패널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노이즈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에미션 구동부(600) 및 노이즈 생성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WL, GIL, GBL, GCL, EB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에미션 라인들(E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WL, GIL, GBL, GCL, EB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에미션 라인들(E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WL, GIL, GBL, GCL, EB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제4 제어 신호(CONT4)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를 생성하여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WL, GIL, GBL, GCL, EB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WL, GIL, GBL, GCL, EBL)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에 응답하여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을 구동하기 위한 에미션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에미션 신호들을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 주파수를 높게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상기 구동 주파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상기 노이즈 신호의 세기를 의미하는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노이즈 게이트 라인(EBL)을 통해 상기 픽셀들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의 일부분이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의 제1 부분은 상기 구동 제어부(200)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형성되고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의 제2 부분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나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2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모두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은 각각 발광 소자(EE)를 포함한다.
상기 픽셀들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보상 게이트 신호(GC),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 상기 데이터 전압(VDATA) 및 상기 에미션 신호(EM)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의 레벨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EE)를 발광시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픽셀은 발광 소자(EE), 상기 발광 소자(EE)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T1) 및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EB)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 노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스위칭 소자(T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셀은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상기 발광 소자(E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는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 상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싱글 트랜지스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듀얼 트랜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싱글 트랜지스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듀얼 트랜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5 픽셀 스위칭 소자(T5)는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6 픽셀 스위칭 소자(T6)는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는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8)는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노이즈 신호(VNOISE)가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제어 전극은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입력 전극은 소스 전극,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출력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EE)는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는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로 명명할 수 있고,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8)는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로 명명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1 구간(DU1) 동안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에 의해 상기 제1 노드(N1)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초기화 된다. 제2 구간(DU2) 동안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에 의해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의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되고, 상기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된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이 상기 제1 노드(N1)에 기입된다. 제3 구간(DU3) 동안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이 초기화 된다. 제4 구간(DU4) 동안 상기 에미션 신호(EM)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가 발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구간(DU1)에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가 활성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의 상기 활성화 레벨은 로우 레벨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가 상기 활성화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가 턴 온되어, 상기 초기화 전압(VINT)이 상기 제1 노드(N1)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DU2)에는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활성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의 상기 활성화 레벨은 로우 레벨이고,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의 활성화 레벨은 로우 레벨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상기 활성화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 및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가 턴 온된다. 또한, 상기 초기화 전압(VINT)에 의해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도 턴 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의 제어 전극 및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의 제어 전극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는 동일한 타이밍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의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의 활성화 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을 갖되,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동일한 타이밍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턴 온된 제1 내지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1, T2, T3)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노드(N1)에는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에서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의 쓰레스홀드 전압의 절대값(|VTH|)만큼 뺀 전압이 설정된다.
상기 제3 구간(DU3)에는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가 활성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의 상기 활성화 레벨은 로우 레벨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가 상기 활성화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가 턴 온되어, 상기 초기화 전압(VINT)이 상기 발광 소자(EE)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4 구간(DU4)에는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활성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미션 신호(EM)의 상기 활성화 레벨은 로우 레벨일 수 있다.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상기 활성화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5 픽셀 스위칭 소자(T5) 및 상기 제6 픽셀 스위칭 소자(T6)가 턴 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에 의해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도 턴 온된다.
구동 전류는 상기 제5 픽셀 스위칭 소자(T5),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 및 상기 제6 픽셀 스위칭 소자(T6) 순서로 흘러 상기 발광 소자(EE)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류의 세기는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의 레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EE)의 휘도는 상기 구동 전류의 세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게이트 신호들의 타이밍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은 각각 발광 소자(EE)를 포함한다.
상기 픽셀들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보상 게이트 신호(GC),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 상기 데이터 전압(VDATA) 및 상기 에미션 신호(EM)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의 레벨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EE)를 발광시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게이트 신호(GI)의 활성화 구간은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게이트 신호(GW)의 활성화 구간과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트 신호(GW)의 상기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3 게이트 신호(GB)의 활성화 구간은 서로 같은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의 제어 전극 및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의 제어 전극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제1 구간(DU1) 동안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에 의해 상기 제1 노드(N1)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초기화 된다. 제2 구간(DU2) 동안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에 의해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의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되고, 상기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된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이 상기 제1 노드(N1)에 기입된다. 상기 제2 구간(DU2) 동안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이 초기화 된다. 제3 구간(DU3) 동안 상기 에미션 신호(EM)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가 발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픽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게이트 신호들의 타이밍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은 각각 발광 소자(EE)를 포함한다.
상기 픽셀들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보상 게이트 신호(GC),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 상기 데이터 전압(VDATA) 및 상기 에미션 신호(EM)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의 레벨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EE)를 발광시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게이트 신호(GI)의 활성화 구간은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게이트 신호(GW)의 활성화 구간과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신호(GI)의 상기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3 게이트 신호(GB)의 활성화 구간은 서로 같은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의 제어 전극 및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의 제어 전극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제1 구간(DU1) 동안 상기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에 의해 상기 제1 노드(N1) 및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초기화 된다. 상기 제1 구간(DU1) 동안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이 초기화 된다. 제2 구간(DU2) 동안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 및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에 의해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의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되고, 상기 쓰레스홀드 전압(|VTH|)이 보상된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이 상기 제1 노드(N1)에 기입된다. 제3 구간(DU3) 동안 상기 에미션 신호(EM)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EE)가 발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도 6은 도 1의 노이즈 생성부(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는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 및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는 상기 구동 주파수(FR)를 기초로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는 상기 구동 주파수(FR)에 상응하는 값을 갖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플리커 감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는 상기 구동 주파수(FR)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는 일정한 주파수(예컨대, FNOISE)를 갖는 구형파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주기(TN)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의 역수(1/FNOISE)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는 상기 구동 주파수(FR)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PES)을 기초로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은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되는 노이즈 신호의 인텐시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이 큰 것은 상기 플리커 보상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픽셀의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 및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를 통해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전류 리키지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전류 리키지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리키지로 인해 픽셀의 휘도가 감소하면 다음 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압(VDATA)이 리프레시될 때 깜빡거림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전류 리키지는 플리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전류 리키지의 양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증가시켜 플리커 보상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이 낮을수록, 상기 노이즈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프레임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이 낮으면 종료점에서의 휘도가 시작점의 휘도보다 많이 감소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전류 리키지의 양이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이 낮으면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증가시켜 플리커 보상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은 표시 패널(100)의 구조, 픽셀의 구조, 배선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해당 표시 패널(100)의 전기적 특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PES)을 반영하여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와 동일할 때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6의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의 2배일 때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노이즈 신호를 반영하지 않은 픽셀의 휘도 파형을 나타내고, 도 9는 주기성을 갖지 않는 노이즈 신호를 반영한 픽셀의 휘도 파형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를 반영한 픽셀의 휘도 파형을 나타낸다.
도 8에서는 프레임(FRM)의 시작점의 휘도가 최대 휘도(LMAX)일 수 있고, 프레임(FRM)의 종료점의 휘도가 최소 휘도(LMIN)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FRM) 내에서 휘도가 감소하는 것은 상기 픽셀 내의 스위칭 소자(예컨대, T3, T4)의 전류 리키지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저주파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FRM)의 구간이 길어지므로, 상기 전류 리키지의 양이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최대 휘도(LMAX) 및 상기 최소 휘도(LMIN)의 차이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는 상기 최대 휘도(LMAX) 및 상기 최소 휘도(LMIN)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플리커가 시인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데이터 전압(VDATA)에 주기성을 갖지 않는 노이즈 신호를 반영하였으므로 휘도가 노이즈 성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휘도의 파형은 도 8과 동일하며, 도 9의 비교예에서도 상기 최대 휘도(LMAX) 및 상기 최소 휘도(LMIN)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플리커가 시인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데이터 전압(VDATA)에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를 반영하였다. 도 10에서 프레임(FRM)의 제1 절반 지점에서는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을 수 있고, 프레임(FRM)의 제2 절반 지점에서는 휘도를 증가시키는 노이즈가 인가되면서 휘도의 값이 LMAX에 가까운 위치로 증가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어 LMIN의 값이 도 8 및 도 9에 비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플리커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가 30Hz인 경우,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도 30Hz일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가 15Hz인 경우,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도 15Hz일 수 있다.
도 12에서,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의 2배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기인 프레임(FRM)은 상기 노이즈 제서 신호(EB)의 주기(TN)의 2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가 30Hz인 경우,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도 60Hz일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가 15Hz인 경우,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의 노이즈 주파수도 30Hz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로 인해 LMIN의 값이 도 8 및 도 9에 비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플리커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에 의해 결정되는 노이즈 전압(VNOISE) 및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종료 시작 비율, ES)이 높을 경우, 이는 전류 리키지가 약한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노이즈 신호의 세기(VNOISE)를 작게 설정하여 플리커 보상 정도를 적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ES)이 낮을 경우, 이는 전류 리키지가 심한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노이즈 신호의 세기(VNOISE)를 크게 설정하여 플리커 보상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13의 C1은 노이즈가 없는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고, C2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96.78인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고, C3은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90.77인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고, C4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87.27인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고, C5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84.76인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내고, C6은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82.84인 경우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른 플리커 지수를 나타낸다. 시그널 노이즈 비율이 작다는 것은 노이즈 신호의 세기(VNOISE)를 크게 설정한 것을 의미한다.
도 13에서 보듯이,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작으면 전류 리키지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작을수록 플리커 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그널 노이즈 비율을 감소시켜야(C1에서 C6 방향으로 이동) 플리커 지수를 최소로 낮출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1에서 C6으로 갈수록 그래프의 최저점(플리커 지수가 최소인 지점)은 우측(ES 100%)에서 좌측(ES 70%)으로 이동한다.
도 14에서는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에 따라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값의 예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99인 경우에는 노이즈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98인 경우에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85.3으로,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96인 경우에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87.8로,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90인 경우에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83.3으로,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ES)이 80인 경우에는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을 80 미만의 값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를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표시 패널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노이즈 생성부의 구조 및 픽셀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4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A)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 및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 및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 및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기초로 노이즈 성분이 추가된 데이터 전압(VDN)을 상기 픽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픽셀은 제1 내지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7),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상기 발광 소자(E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은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신호가 합쳐진 노이즈 데이터 전압(VDN)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T5),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T6),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E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합쳐진 노이즈 데이터 전압(VDN)을 출력하는 데이터 기입 스위칭 소자(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 기입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T1)에 인가하는 별개의 노이즈 스위칭 소자(T8)를 포함하는 대신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합쳐진 노이즈 데이터 전압(VDN)을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를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노이즈 생성부(700B)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노이즈 생성부의 구조 및 동작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4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700B)는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 및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720)는 상기 구동 주파수(FR)를 기초로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는 상기 구동 주파수(FR)에 상응하는 값을 갖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플리커 감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 주파수(FR)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FNOISE)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B)는 상기 구동 주파수(FR),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PES) 및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 데이터(GR)를 기초로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은 상기 계조 데이터와의 비율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노이즈 전압 결정부(740B)는 상기 구동 주파수(FR), 상기 표시 패널(100)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PES)뿐만 아니라 상기 계조 데이터(GR)를 이용하여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을 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신호의 세기는 상기 시그널 노이즈 비율(SNR)로 정의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계조 데이터가 증가하면 상기 노이즈 전압(VNOISE)이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를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픽셀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픽셀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4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픽셀은 제1 초기화 전압(VINT) 및 제2 초기화 전압(AINT)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을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셀은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상기 발광 소자(E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픽셀 스위칭 소자(T2)는 상기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GW)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상기 보상 게이트 신호(GC)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 상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싱글 트랜지스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3 픽셀 스위칭 소자(T3)는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듀얼 트랜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GI)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싱글 트랜지스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4 픽셀 스위칭 소자(T4)는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듀얼 트랜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5 픽셀 스위칭 소자(T5)는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6 픽셀 스위칭 소자(T6)는 상기 에미션 신호(EM)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7 픽셀 스위칭 소자(T7)는 상기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GB)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2 초기화 전압(AINT)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EE)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8)는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EB)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노이즈 신호(VNOISE)가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제어 전극은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입력 전극은 소스 전극, 상기 제1 내지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1 내지 T8)의 출력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EE)는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T1)는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로 명명할 수 있고,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T8)는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로 명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정지 영상이거나,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시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주파수(FR)를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구동 스위칭 소자(T1)의 입력 전극에는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이 저주파 구동될 때 전류 리키지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에미션 구동부
700, 700A, 700B: 노이즈 생성부 720: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
740, 740B: 노이즈 전압 결정부

Claims (20)

  1.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 및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노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픽셀의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이고,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2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이고,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5.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게이트 신호를 상기 픽셀에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전압을 상기 픽셀에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에미션 신호를 상기 픽셀에 인가하는 에미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생성하는 노이즈 생성부;
    상기 픽셀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결정하는 노이즈 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주파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을 기초로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는 노이즈 전압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가 감소하면, 상기 노이즈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시작점 대비 종료점의 비율이 낮을수록, 상기 노이즈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구동 주파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휘도의 종료 시작 비율 특성 및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기초로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는 노이즈 전압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노이즈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이고,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픽셀 스위칭 소자;
    보상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3 픽셀 스위칭 소자;
    데이터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4 픽셀 스위칭 소자;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5 픽셀 스위칭 소자;
    상기 에미션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6 픽셀 스위칭 소자;
    발광 소자 초기화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제2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7 픽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노이즈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어 전극,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8 픽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픽셀 스위칭 소자이고,
    상기 노이즈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8 픽셀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은
    데이터 기입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합쳐진 노이즈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기입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출력하고,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상기 노이즈 주파수 및 노이즈 전압을 결정하여 상기 노이즈 주파수 및 상기 노이즈 전압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표시 패널의 구동 주파수를 기초로 노이즈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극에 상기 노이즈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에 에미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주파수는 상기 구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10049958A 2021-04-16 2021-04-16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144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58A KR20220144020A (ko) 2021-04-16 2021-04-16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7/670,905 US20220335884A1 (en) 2021-04-16 2022-02-14 Pix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CN202210382915.8A CN115223477A (zh) 2021-04-16 2022-04-13 像素、包括其的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58A KR20220144020A (ko) 2021-04-16 2021-04-16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20A true KR20220144020A (ko) 2022-10-26

Family

ID=8360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958A KR20220144020A (ko) 2021-04-16 2021-04-16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5884A1 (ko)
KR (1) KR20220144020A (ko)
CN (1) CN1152234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869A (ko) * 2022-09-16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1258B (zh) * 2020-03-25 2021-04-0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12634832B (zh) * 2020-12-31 2022-05-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驱动方法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5884A1 (en) 2022-10-20
CN115223477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335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9012801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161053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647169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2216244B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模组
KR102544572B1 (ko) 표시 장치
KR20190142791A (ko) 표시 장치
KR2021005062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1006932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0012828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44091A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1350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144020A (ko) 픽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220105999U (zh) 显示设备
KR20220111820A (ko)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639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3537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0001495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219738517U (zh) 显示面板
US202301543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2023039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20147762A (ko)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43650A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66201A (ko) 표시 장치의 화소
KR2024003886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