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653A -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653A
KR20220143653A KR1020227026767A KR20227026767A KR20220143653A KR 20220143653 A KR20220143653 A KR 20220143653A KR 1020227026767 A KR1020227026767 A KR 1020227026767A KR 20227026767 A KR20227026767 A KR 20227026767A KR 20220143653 A KR20220143653 A KR 2022014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graft
main
graft system
graf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커어
데이비드 씨. 마저어카크
Original Assignee
메이저 메디컬 디바이시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저 메디컬 디바이시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메이저 메디컬 디바이시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14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in a bifur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22Means for mounting a stent or stent-graft onto or into a placeme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61F2002/067Y-shaped blood vessels modular

Abstract

동맥류(예를 들어, 복부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를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주 이식편 본체는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표적 혈관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서,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 또는 대상체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혈관의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명세서에 인용되는 모든 참고문헌들은, 특허 및 특허 출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동맥류는 혈관의 비정상적 비대 또는 돌출부이다. 대동맥류는 가지 혈관으로의 색전증, 대동맥 혈전증 및 대동맥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 손상된 혈관은 수술이나 혈관내 이식편 배치로 치료하거나 수복할 수 있다.
대동맥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복부로 연장되는 신체에서 가장 큰 동맥이다. 대동맥은 2개의 장골동맥으로 분기된다. 동맥 동맥류(AA)는 대동맥과 그 가지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한다. Sabiston Textbook of Townsend, et al., Surgery: The Biological Basis of Modem Surgical Practice 20th Edition, pp.1722-1753 (2017)를 참조하라.
AA는 일반적으로 개복 수술 또는 혈관내 동맥류 수복(EVAR)으로 수복된다. EVAR은 AA를 수복하기 위해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사용하는 최소 침습 시술로 선전된다.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혈관 손상을 수복하기 위해 함께 전개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스텐트 부분과 이식편 부분을 포함하는 조합 장치이다.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혈관에 삽입되고 수축, 손상 또는 폐색된 혈관을 개방하도록 확장되는 확장 가능한 금속 격자 장치이다. 혈관을 개방하는 것 외에도 스텐트는 혈관이 다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스텐트는 종종 풍선 혈관 성형술과 함께 사용된다.
보철 이식편은 병든 혈관을 교체하거나 수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의료 장치이다. 이식편은 수복이 필요한 혈관의 직경에 근사하게 확장될 수 있는 합성 재료(예를 들어, ePTFE,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될 수 있다. 이식편 재료는 혈액 누출 없이 정상적인 혈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을 제공한다.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정상적인 혈류의 압력 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식편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과 스텐트의 지지 구조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보철 이식편과 스텐트의 조합은 동맥류의 경부를 가로질러 위치할 때 동맥류를 유압적으로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전개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는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전달 시스템 프로파일(즉, 전달 쉬쓰의 외경)이 중요할 수 있어서 장치를 삽입하고 표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탐색하고 전개하기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몇몇 로우 프로파일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예를 들어 미국 특허번호 10,105,209; 9,050,182; 8,257,423; 7,105,017; 7,175,651; 6,981,982; 6,015,422; 6,102,918; 및 6,168,620가 개발되어 왔다.
AA는 종종 무증상이며 6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AA는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조기 발견 및 수복이 중요하다. EVAR는 적절한 후보인 대동맥류 환자에게 덜 침습적인 대안으로서 개복 수술보다 선호된다. 개복 수술보다 더 안전하고 더 빠르며 덜 침습적이지만 EVAR은 여전히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수술 후에 이환율을 유발할 수 있다.
신하 대동맥류에 대한 EVAR 시술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대퇴동맥에 하나의 천공 또는 절개를 필요로 하고, 제약된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상부 방향으로, 유도관 쉬쓰에 제약된 가이드와이어 위의 신하 대동맥의 위치로, 두방 방향(대퇴부 접근)으로 조작해야 한다.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일부가 신하 대동맥에 전개된다. 그 다음에,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하나의 장골동맥에 배치하고 전개된다. 그런 다음, 또 다른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다른 쪽 대퇴동맥의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다른 장골동맥에 배치되고 전개된다. 이러한 시술은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격막 아래로부터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삽입하고 전개하는 것에 의존한다.
요약하면, 표준 EVAR 시술은 동맥 접근을 위해 양측성 대퇴골 천공(즉, 각각의 대퇴동맥에 하나의 천공 또는 절개)를 필요로 하고, 대퇴골 접근 배향으로부터(횡경막 아래로부터) 스텐트-이식편 장치에 대한 움직임을 미세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EVAR는 개복 수술보다 우수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근을 위해 사용되는 양측성 대퇴골 천공으로부터 환자의 회복이 필요하다. 환자는 종종 며칠 동안 침대에 누워 있고 진통제가 필요하며 추가 비용(예를 들어, 입원, 약물 치료, 근무 시간 손실)이 발생한다.
현재 이용 가능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전달 시스템 프로파일은 이러한 장치의 도입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혈관을 제약한다. 이러한 장치는, 부분적으로는,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구성요소가 전달에 사용되는 카테터 기반 시스템에 배열되거나 및/또는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인해 직경이 넓다.
현재 이용 가능한 스텐트-이식편 장치보다 더 작은 직경의 혈관에 더 쉽게 전개되고 시술 후 이환율 및 환자의 불편함이 덜한, 개선된 로우 프로파일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동맥류 수복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방법은, 일부 양태에서,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에 도입/삽입되고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 로우 프로파일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제공한다. 초기 전개 이후에,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배치를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추가 양태는 표적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전개 위치를 중앙에 배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센터링 장치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양태는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표적 혈관의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는,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을 천공하고 삽입 부위 혈관에 통로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방법을 제공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삽입 부위 혈관의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로 분기되는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예를 들어 환자의 표적 혈관에 배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추가 양태는 대상체 또는 환자의 표적 혈관에 내이식편을 전개하기 위한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예를 들어,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경우에서, 내이식편은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격막 아래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내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튜브 및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를 가질 수 있다. 테더 와이어는 꼬리 단부와 더 두방 부분(즉, 머리 또는 몸의 상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을 가질 수 있다.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싸는 상부 스텐트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 및 복수의 봉합사를 갖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한다.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경우에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테더 와이어의 움직임은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의 복수의 봉합사 제거를 제어할 수 있고,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를 릴리스하며, 환자 또는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 양태는, 제1 대퇴동맥 및 제2 대퇴동맥에 천공하고 각각의 대퇴동맥에 통로를 생성하며, 내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튜브 및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으로 제1 대퇴동맥 또는 제2 대퇴동맥의 통로에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함으로써, 환자 또는 대상체에서 스텐트-이식편을 전개하는 제2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내이식편은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격막 위 또는 횡격막 아래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제2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테더 와이어는 꼬리 단부와 더 두방 부분을 갖는다. 상부 스텐트가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쌀 수 있고,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한다. 제2 방법의 일부 예는 복수의 봉합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된다.
테더 와이어는 이동되어,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하고,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릴리스하고, 및, 대상체 또는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한다. 일부 경우에서, 봉합사가 환자에게 남아 있을 수 있는 동안 테더 와이어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는, 주 이식편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스텐트를 포함하는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표적 혈관의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제3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추가 양태는,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을 표적 혈관에서 표적 위치로 전진시킴으로써, 대상체의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를 위치시키는 제3 방법을 제공한다.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이식편 본체와 센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는 표적 혈관에서 표적 위치의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위치에서 표적 혈관의 중앙에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제3 방법은 이식편 본체를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혈관에 삽입하는 방법일 수 있다.
센터링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혈관의 표적 위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표적 혈관에서 중앙 위치에 전개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혈관의 표적 위치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주 이식편 본체는 표적 혈관에서 중앙 위치로부터 결정된 제2 위치에 재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및 주 이식편 본체를 갖는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는 표적 혈관의 동맥류 수복을 위한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올가미 루프를 포함하는 올가미 튜브를 포함한다.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올가미 튜브에 배치될 수 있다.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가 올가미 튜브로부터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내부 부재 주위로 올가미 튜브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올가미 튜브는 내부 부재에 평행할 수 있고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전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양태는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및 주 이식편 본체를 갖는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는 표적 혈관의 동맥류 수복을 위한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고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가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360도보다 큰 상부 스텐트 주위의 회전 각도로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배치된 올가미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내부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하행 흉부 대동맥, 신상 복부 대동맥, 신동맥, 신하 대동맥, 및 동측 및 대측 장골동맥의 예시적인 도면;
도 2A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평평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커넥터 및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예시적인 상부 스텐트 부분을 도시한다;
도 3B는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에서 상부 스텐트를 연결 링에 연결하는 예시적인 커넥터 및 리셉터클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C 및 3D는 예시적인 커넥터 및 리셉터클에 대한 대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연결 링의 암의 대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장골 다리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6B는 전형적인 EVAR 시술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대퇴골 위치설정 및 전개를 도시한다;
도 7A-7D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예시적인 전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장치는 횡격막(예를 들어, 액와 또는 상완 동맥) 위의 접근 지점으로부터 삽입/도입되고;
도 8A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본체의 예시적인 미세 배치를 도시하고, 도 8B는 도 8A의 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의 도입 및 배치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봉합사의 제거를 보장하는 대안의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안적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선택적인 선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내부 부재 주위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올가미 튜브 내의 올가미 루프를 갖는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A는 공개된 선택적인 센터링 장치를 갖는 도 11의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B는 도 12A의 장치의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3은 내부 부재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올가미 루프 단부 및 540도의 회전 각도를 갖는 상부 스텐트 상의 아일렛을 통해 배치된 올가미 루프를 갖는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 및 12A의 예시적인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및
도 15는 도 13의 예시적인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도입, 배치 및 전개를 개선하기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혈관에 대한 접근이 횡격막 아래에 위치한 동맥을 통해 이루어지는 임의의 적절한 혈관에서 동맥류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현대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14-24F(프렌치)의 외경을 가지며 횡경막 아래로부터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삽입을 통해 EVAR 시술에 사용된다. 현재의 일반적인 EVAR 시술에서, 각각의 대퇴동맥에 하나씩 2개의 천공 또는 절개가 이루어진다. 각각의 천공에 캐뉼러를 삽입한 후에, 각각의 천공을 통해 가이드와이어를 배치하고 전개되어, 추가 시간이 필요하고 변동 및 오류의 잠재적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양쪽 대퇴동맥의 천공을 막는 것은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이는 EVAR 시술과 관련된 이환율 문제를 증가시켜,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르면, 스텐트-이식편 장치(또는 그의 구성요소)는 단일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격막 위에(예를 들어, 소구경 동맥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작은 직경(예를 들어, 약 6 내지 약 13 프렌치 또는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 외경 프로파일 범위)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장골동맥과 신하 대동맥에서 더 쉽고 빠른 배치 및 전개를 위해 신하 대동맥이 "하향식" 배향에 위치된다. "하향식"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혈관에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도입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지칭한다.
"하향식" 접근 방식은 전형적인 양측성 대퇴동맥 접근 방식이 제기하는 문제 및 접근 시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이유는 양측성 접근 방식은 환자의 양쪽 다리에 있는 장치의 접근 및 계측을 필요로 하며, (예를 들어) 복부 동맥류로 고통받는 환자는 종종 고도로 각져 있고 질병이 있어 중재술사에게 EVAR 시술의 설정이 훨씬 더 복잡하기 때문이다. 상기 양태에서, 시술은 더 빠르고 오류가 덜 발생하며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동맥의 천공 또는 절개로부터 환자가 회복된다. 접근 위치(횡격막 위)는 일반적인 EVAR 시술의 다수의 해부학적 문제를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는 EVAR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접근 장치/도구의 캐뉼러 삽입 및 배치와 관련된 덜 비틀림 및 더 낮은 질병 위험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를 사용하여, 환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단일 천공(횡격막 위에 접근) 기술을 사용하여 "하향식" 접근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덜 불편하고 더 빠른 회복을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한 양태는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환자의 표적 혈관에서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다.
"삽입 부위 혈관"이라는 용어는 혈관 수복을 위한 시술(예를 들어, EVAR 시술) 중에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초기에 삽입되는 혈관을 지칭한다.
용어 "표적 혈관"은 질병 또는 상태(예를 들어, 대동맥류)에 대한 수복 부위인 혈관을 지칭한다. 표적 혈관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튜브(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크롬 코발트 합금)로부터 레이저 절단되거나, 초탄성 니티놀의 가는 와이어로 제조된 메쉬 또는 격자 튜브 구조를 지칭하며, 제약된 상태에서는 혈관에 삽입될 수 있고 비제약된 상태에서는 전개될 수 있다.
"제약된"이라는 용어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구성, 또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또는 이의 구성요소의 직경이 완전히 확장된 또는 "비제약된" 구성에 비해 최소 또는 더 작은 양이 되도록 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제한된 구성은 횡격막 위에 위치된 삽입 부위 혈관 내로 도입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에 있거나 및/또는 환자의 대퇴동맥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표적 혈관은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약된 구성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약된 구성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약 6 내지 약 13 프렌치일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추가 실시예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제1 스텐트는 고밀화된 재료(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ePTFE의 적어도 하나의 층 또는 2개의 층) 내에 캡슐화된다. 일부 경우에서, ePTFE는 실질적으로 공극이 없다.
용어 "고밀화된 재료"는 변형되지 않은 동일한 재료에 비해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변형된 재료(예를 들어, ePTFE)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고밀화된 재료는 적어도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의 증가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PTFE는 기계적 압축력의 제공에 의해 고밀화될 수 있다.
고밀화된 재료가 고밀화되지 않은 재료와 동일하거나 더 큰 인장 강도를 가지며, 고밀화되지 않은 재료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밀화된 재료를 사용하여, 이식편 재료를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의 삽입 부위 혈관 위치 또는 같은 환자 또는 대상체의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갖는 혈관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직경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삽입 부위 혈관(즉,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 소혈관)은 상완, 요골, 척골, 액와 및 경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경우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이다. 일 양태에서, 삽입 부위 혈관 또는 소혈관의 직경은 2 내지 8 mm이다. 또 다른 예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쇄골하 동맥이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가 대상체 또는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된 삽입 부위 혈관 내로 신하 대동맥과 같은 표적 혈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카테터 및/또는 와이어는 가지 혈관(예를 들어, 상부 장간막 동맥, 복강 동맥, 신동맥 및 하부 장간막 동맥)에 삽입할 수 있고, 천공 이식편이 카테터 및/또는 와이어를 통해 대동맥과 같은 표적 혈관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와이어는 천공에서 나와 가지 중 하나로 들어간다.
대안으로, 천공 이식편이 천공 이식편의 천공을 통과하는 와이어 없이 대상체 또는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 내로 신하 대동맥과 같은 표적 혈관으로 도입될 수 있다. 가지 혈관은 선택적으로 카테터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장치가 장착될 때 와이어가 쉬쓰 내부의 각각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지만, 본체 장치가 전개될 때까지 가지 혈관은 카테터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 링을 포함한다. 연결 링은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은 스텐트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 위치에 스폿 용접됨).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추가 실시예는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봉합사를 포함한다. 연결 링의 확장 각도가 약 90도보다 클 수 있다.
"연결 링"이라는 용어는 제1 스텐트에 연결되고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구조물(예를 들어, 링)을 지칭한다. 연결 링은 환형 링이라고도 한다. 연결 링은 제1 스텐트를 주 이식편 본체에 연결하고, 1차 밀봉을 제공하며, 로우 프로파일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커넥터"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2개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연결 링 상에 배치된 커넥터(예를 들어, 지그재그 또는 다른 구조)가 예를 들어 도 3A-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상에 배치된 리셉터클 상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텐트와 연결 링 사이의 축방향 하중의 대부분을 견디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커넥터-리셉터클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후크, 반원, 삼각형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리셉터클은 후크, 반원, 삼각형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일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예시적인 커넥터-리셉터클 시스템 대신에 또는 추가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봉합사가 제공될 수 있다.
용어 "단대단 구성"은 스텐트 이식편의 한 구성요소를 그 마진에서 또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하는 것(예를 들어, 나란히 또는 단대단으로)을 지칭한다. 단대단 구성은 스텐트-이식편 삽입기 쉬쓰에서 구성요소가 중첩되는(즉 동축인)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껍고 강한 상부 스텐트는 ePTFE 이식편 또는 고밀화된 ePTFE 이식편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구성요소는 동축 대신에 직렬로 배열된다. 구성요소의 동축 구성은 더 큰 직경의 삽입기 쉬쓰, 혈관의 더 큰 구멍, 및 잠재적으로는 스텐트-이식편을 도입하기 위한 더 큰 혈관을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은, 더 작은 직경의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예를 들어 횡격막 위에 위치된 동맥 및/또는 소동맥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 양태에서, 제1 스텐트는 본체 이식편과 중첩되는 배향이 아니기 때문에 더 두껍고 보다 견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단대단 구성"이라는 용어는 또한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된 연결 링의 벽 두께가 제1 스텐트와 이식편, 또는 일부 경우에서는, 복수의 커넥터가 복수의 리셉터클을 수용하는 경우의 연결 링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벽 두께보다 작은 경우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링 상의 복수의 커넥터와 제1 스텐트 상의 복수의 리셉터클 사이의 연결은 장치의 전체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 구성은 약 90도보다 큰 연결 링의 확장 각도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이 구성은 전달 쉬쓰에서 크림핑할 때 매우 안정적이며, 연결 링의 안정화를 허용한다(단대단 부착으로 인해). 연결 링이 상부 스텐트에 의해 안정화되지 않으면, 크림핑 시 안정적이지 않고, 잠재적으로 손상을 일으키거나 및/또는 예상하거나 원하는 크림프 직경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포함하는 2개의 가지로 분기된다. 이 양태에서,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측 장골동맥(18)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가지는 분기되지 않고, 흉부 대동맥 또는 대동맥 이외의 혈관 또는 장골 분기점으로 연장되지 않는 신하 동맥류 또는 대동맥 및 1개의 장골동맥에 배치하기 위한 대동맥-단-장골 관 내이식편에 위치되고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적어도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적어도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횡격막 또는 소동맥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을 통해, 주 이식편 본체를 통해, 그리고 제1 림 게이트 또는 제2 림 게이트를 통해 제약되지 않은 상태로 전개될 수 있는 동측 또는 대측 장골동맥으로 제약된 상태에 위치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와 제1 림 게이트의 중첩부는 제2 장골 구성요소와 제2 림 게이트의 중첩부보다 직경이 크지 않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혈관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미늘을 포함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장골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구성요소는 고밀화된 재료(예를 들어, 고밀화된 ePTFE)을 포함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즉, 본체의 바닥 또는 테일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 연결된 제2 스텐트 및 제2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에 연결된 제3 스텐트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꼬리 배치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즉, 본체의 단부 또는 후방을 향하여) 주 이식편 본체, 제2 스텐트, 및 제3 스텐트 각각의 꼬리 단부에 배치된 테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꼬리 배치 시스템"은 운영자(즉, 의사)가 표적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위치를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해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꼬리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도구(예를 들어, 카테터, 가이드와이어, 트리거 또는 테더 와이어 등)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봉합사를 추가로 포함한다. 봉합사는 대안 또는 추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혈관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미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미늘"은 혈관 내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또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서로 부착, 결합 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된 뾰족한 돌출부를 지칭한다. 이 양태에서, 복수의 미늘은 원하는 위치로부터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미늘은 디자인에 통합되거나(즉, 별도로 형성된 다음 부착되지 않음) 제자리에 스폿 용접될 수 있다. 복수의 미늘은 서로에 대해 교번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미늘 각각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와 제1 림 게이트의 중첩부 및 제2 장골 구성요소와 제2 림 게이트의 중첩부는 직경이 더 크지 않다(예를 들어, 특대형).
선택적인 테더가 예를 들어 배치 시스템(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 카테터, 트리거 와이어)에 의한 조작을 허용하고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조작하고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원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테더는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밀거나 당기기 위해 배치 시스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용어 "테더"는 예를 들어 배치 시스템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고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배치 및 전개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루프(들)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지칭한다. 테더는 임의의 적절한 봉합사 재료나 얇은 금속성 와이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강성이거나 유연할 수 있다.
제1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일부 실시예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 내부에 배치된 선택적 환형 요소, 및 상기 환형 요소 상의 복수의 위치와 결합된 복수의 연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제1 스텐트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 및 제2 축방향 스텐트 단부를 갖고, 본체 이식편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및 제2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갖는다. 환형 요소는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식편에 통합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이식편의 외주 또는 이식편의 외주의 일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대단 축방향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예를 들어, 이식편 재료, 생체적합성 금속, ePTFE)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식편 재료에 비해 상이한 특성(예를 들어, 상이한 밀도)을 갖는 별개의 환형 요소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연결 부재는 환형 요소의 필요 없이 주 이식편 본체 내부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주 이식편 본체 내부 주위의 외주 방향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용어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재"는 스텐트 단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단대단 배열로 유지되고 결합되는 연결 부재의 특징을 지칭한다.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재의 예는, 예를 들어, 도 3A, 3B, 3C, 및 3D에 도시된다.
일부 구성에서, 복수의 커넥터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넘어 돌출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커넥터는 외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추가 양태에서, 복수의 커넥터는 만곡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또 다른 커넥터와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길이, 곡률, 재료).
일 양태에서,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은 제1 스텐트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사이의 간극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간극은 0 내지 2mm이다. 다른 경우에서, 복수의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간극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1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실시예가, 센터링 장치가 확장된 후에 주 이식편 본체가 신하 대동맥에 재배치될 수 있는 신상 대동맥에 배치되고 확장되도록 구성된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어 "센터링 장치"는 또 다른 장치(예를 들어,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센터링 장치에 대해 혈관의 또 다른 부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동맥 또는 혈관(예를 들어, 신상 대동맥)에서 제거 가능하게 또는 일시적으로 전개되고 확장될 수 있는 구조물을 지칭한다.
일 양태에서, 센터링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복수의 암을 갖는 장치일 수 있으며, 각각의 암은 혈관의 벽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센터링 장치는 풍선일 수 있는데, 풍선은 팽창될 수 있고 혈관의 벽과 접촉할 수도 있다.
센터링 장치(예를 들어, 바스켓, 풍선)는, 운영자(예를 들어, 의사)가 예를 들어 혈관의 벽과 결합되도록 센터링 장치를 확장시킴으로써,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표적 혈관에 배치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운영자는 센터링 장치가 혈관 내에서 확장될 때 센터링 장치의 중간점에 대해 제2 장치(예를 들어,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센터링 장치는 예를 들어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에 굴곡 또는 각도가 있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신상 대동맥 굴곡, 예를 들어 Mathlouthi 등의, Clinical research study Abdominal aortic and iliac artery anuyrysms, Impact of suprarenal neck angulation on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outcomes, Journal of Vascular Surgery, Volume 71, ISSUE 6, P1900-1906, June 01, 2020 참조). 이러한 상황에서, 센터링 장치는 테더, 봉합사 또는 다른 연결에 의해 제2 장치에 연결되어 센터링 장치에 대해 제2 장치를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을 추가로 보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장치의 대칭 확장을 위해 중앙 부재를 둘러쌀 수 있거나, 혹은 센터링 장치의 편심 확장을 허용하도록 중앙 부재의 외주 상의 오직 한 지점에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터링 장치는 대동맥 만곡의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중앙 부재를 대동맥의 한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바스켓 및 센터링 풍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바스켓은 확장될 수 있으며, 센터링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풍선은 팽창될 수 있으며, 센터링 풍선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된다.
추가 양태는, 횡격막 위의 삽입 부위 혈관을 천공하고 삽입 부위 혈관에 통로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이 삽입 부위 혈관의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환자의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위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제1 방법은 예를 들어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직선 관형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예를 들어 더 작은 혈관(즉, 동일한 환자의 대퇴동맥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은 혈관), 동맥(예를 들어, 총 대퇴동맥, 표재 대퇴동맥, 슬와 동맥, 전방 경골 동맥, 후방 경골 동맥, 비골 동맥, 액와 동맥 및 장골동맥) 및 정맥(예를 들어, 상대 정맥, 하대 정맥, 대퇴 및 슬와 정맥, 요골 정맥, 두부 정맥, 기저 정맥, 액와 정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삽입 부위 혈관은 쇄골하 동맥이다. 일부 경우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은 혈액투석 이식편 및/또는 기타 인공 혈관 이식편을 삽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사용하면 다수의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필요로 하는 이전 시스템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위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의 제2 또는 근위 제3 부분일 수 있다. 이 삽입 부위는 견갑하동맥의 기점에 근위인(예를 들어, 심장에 더 가까운) 액와 동맥이다. 예를 들어, 이 삽입 부위를 사용하면 상완 신경총의 가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방법의 또 다른 예에서, 대퇴동맥은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삽입에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다리에 위치하지 않는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소동맥")에 단일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시술은, 환자가 즉시 걸을 수 있기 때문에, 대퇴동맥 천공 또는 절개와 관련된 회복 시간 및 불편함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예를 들어 복부 대동맥류의 수복을 위해 대동맥의 "하향식" 배향에서 양쪽 다리로 더 쉽게 조작되고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에 시간이 덜 걸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환자에게 통증이 적고, 회복 기간이 짧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는 소동맥(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의 대퇴동맥과 직경이 작거나 같은 동맥)에서 형성된다. 소동맥은 횡격막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동맥은 상완, 요골, 척골, 대퇴, 장골, 액와 및 경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동맥은 상완 동맥이다. 추가 양태에서, 동맥은 대퇴동맥 또는 쇄골하 동맥이다. 또 다른 경우에서, 동맥은 액와 동맥의 제2 또는 근위 제3 부분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신하 복부 대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신상 복부 대동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동맥, 복강 동맥 및 상 장간막 동맥을 위해 이식편 가지가 제공될 수 있다.
"위치된"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예를 들어, 배치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텐트-이식편 장치(예를 들어, 제약된 구성 또는 부분적으로 제약된 구성에서)를 혈관을 통해 혈관 내의 원하는 위치(예를 들어, 축방향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배치 시스템은, 가이드 와이어, 가이드와이어 위의 쉬쓰, 하나 이상의 카테터, 트리거 와이어, 및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밀고 당기고, 전개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는 적절한 위치에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통해 혈관 조영술, 형광경 또는 기타 시각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치 시스템 및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진행 상황을 시각화할 수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최하측 신동맥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대측 림 게이트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배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형광투시 안내 하에서 대측 게이트의 배향을 위해 마커(예를 들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신동맥 위에 전개될 수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신하 대동맥에 전개될 수 있으며,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신하 대동맥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다. 용어 "전개된" 또는 "전개하는"은,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동맥류 또는 다른 상태를 치료할 수 있는 비제약된 또는 개방 구성으로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또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배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배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제1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이식편 가지를 통해) 주 이식편 본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또한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용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은 내강누출(예를 들어, EVAR 시술 후에 동맥류 낭으로 다시 혈액 누출)을 제거하거나 제한하는(예를 들어, 95, 90, 85, 또는 80%까지) 것을 의미한다.
제1 방법의 또 다른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약된 상태에서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위치된다. 주 이식편 본체는 주 이식편 본체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추가로 위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가 신하 대동맥에 전개된 후에는 주 이식편 본체가 제약되지 않는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밀봉 스텐트가 주 이식편 본체에 전개될 수 있다. "밀봉 스텐트"라는 용어는 내강누출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텐트를 의미한다.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주 이식편 본체를 통해 제약된 상태에서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또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추가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가 완전히 벗겨지고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전개된 후에는 제약되지 않는다.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주 이식편 본체를 통해 제약된 상태에서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또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추가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장골동맥의 제2 분지에서 완전히 벗겨지고 전개된 후에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가 제약되지 않는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스텐트 및 연결 링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고 연결 링은 복수의 리셉터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연결 링은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선택적인 환형 요소가 주 이식편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가 환형 요소의 복수 위치와 관련된다. 이 양태에서, 제1 스텐트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 및 제2 축방향 스텐트 단부를 갖고, 본체 이식편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및 제2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갖는다. 환형 요소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식편에 통합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이식편의 외주 또는 이식편의 외주의 일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대단 축방향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형 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예를 들어, 이식편 재료, 생체적합성 금속, ePTFE)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식편 재료에 비해 상이한 특성(예를 들어, 상이한 밀도)을 갖는 별개의 환형 요소일 수 있다.
제1 방법의 추가 경우에서, 연결 부재는 환형 요소의 필요 없이 주 이식편 본체 내부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주 이식편 본체 내부 주위의 외주 방향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대단 축방향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커넥터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넘어 돌출된다.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은 외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은 제1 스텐트와 이식편 사이에 간극(예를 들어, 0 초과 내지 2 m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커넥터는 간극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추가 양태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내이식편을 전개하기 위한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을 갖는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한다.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내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를 갖는 외부 튜브 및 꼬리 단부 및 더 많은 두방 부분을 갖는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싸는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후크를 포함하며, 및 복수의 봉합사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된다.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는 예를 들어 테더 와이어에 부착될 수 있다. 테더 와이어의 움직임은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 제거를 제어할 수 있고,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를 릴리스하며,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봉합사가 환자에게 남아 있을 수 있는 동안 테더 와이어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전개 후에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봉합사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는 루프 내에 형성되고, 루프는 테더 와이어의 꼬리 단부 주위에 배치된다.
봉합사는 EVAR를 포함하는 다수의 외과적 시술에서 중요하거나 필수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심혈관 수술 후에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일부가 존재하면, 색전증, 혈관 치유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관상 동맥 손상을 포함하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e et al., Suture knot embolism-a rare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arterial closure device, Cardiovascular Pathology Volume 19, Issue 1, January-February 2010, Pages 63-64; Osama Hazim Al Hayini, Effect of different suture materials on healing of blood vessels in dogs, Iraqi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s 26:77-82(January 2012); Annuloplasty Rings 510(k) Submissions - Final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US FDA Guidance January 31, 2001을 참조하라.
일부 경우에서,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초기에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선반 위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 아래에 배치된 선반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선반은 중앙 내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캐리어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복수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제3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제3 개구는 3개의 부분 개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제2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2 방법은, 대퇴동맥을 천공하고 대퇴동맥에 통로를 생성하는 단계, 내부 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튜브 및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를 갖는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퇴동맥의 통로에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테더 와이어는 꼬리 단부와 더 두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스텐트 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싸는 상부 스텐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복수의 후크; 및 복수의 봉합사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된다.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는 예를 들어 테더 와이어에 부착될 수 있다.
테더 와이어는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하고,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를 릴리스하며,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는 루프로 형성될 수 있고, 루프는 테더 와이어의 꼬리 단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제1 림 게이트는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배치 및 전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제1 림 게이트는 주 이식편 본체와 장골동맥의 제1 가지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다.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제2 림 게이트는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위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서 제2 림 게이트의 배치 및 전개는 상응하는 대퇴동맥에서 제2 천공 또는 절개에 대한 필요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장골동맥의 제2 가지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는 또한 대퇴동맥을 천공하거나 절개하고 대퇴동맥에 통로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대안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예를 들어,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이 대퇴동맥의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환자의 신하 대동맥에 배치 및 전개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신하 대동맥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배치 및 전개될 수 있고,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본체 이식편과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측 림 게이트(즉, 제2 림 게이트의 출구)는 조정 가능한 가이드와이어 및 조정 가능한 카테터를 사용하여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예를 들어, 액와 동맥)으로부터의 접근을 이용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부터 캐뉼러를 삽입할 수 있다. 대안으로, 카테터와 가이드와이어를 함께 사용하는 대신, 노즈콘 근처에 구부러진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역행성 대퇴동맥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약된 상태에서 신하 대동맥에 위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주 이식편 본체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신하 대동맥에 추가로 위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가 신하 대동맥에 전개된 후에는 주 이식편 본체는 제약되지 않는다.
양태는 대퇴동맥을 천공하고 대퇴동맥에 통로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추가 대안의 방법을 제공한다.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대퇴동맥의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주 이식편 본체는 환자의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 배치되고 전개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주 이식편 본체는 신하 대동맥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다.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주 이식편 본체는 표적 혈관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오직 하나의 대퇴동맥만 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주 이식편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스텐트를 포함하는 주 이식편 본체를 갖는 표적 혈관에서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제3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제한된 구성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소동맥(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의 대퇴동맥보다 작거나 같은 동맥)에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일부 경우에서, 제한된 구성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 또는 6 내지 약 13 프렌치이다.
일 양태에서,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스트럿을 갖는다. 복수의 스트럿은 약 0.013 내지 0.016인치의 스트럿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스트럿을 갖고 복수의 스트럿은 약 0.016 내지 약 0.020 인치의 스트럿 벽 두께를 갖는다.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제1 축방향 단부 및 제2 축방향 단부를 갖는다. 밀봉 스텐트는 제1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후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후크는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축방향 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후크 각각은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복수의 후크 각각은 우측 배향 또는 좌측 배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후크 각각의 배향은 인접한 후크와 상이하다.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후크는 신하 대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재배치를 위해 루프형 와이어에 의해 가역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서, 루프형 와이어는 재포획 쉬쓰를 통해 표적 혈관에 삽입된다. 재포획 쉬쓰는 약 2 내지 4 프렌치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재포획 및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재배치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으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는 복수의 후크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루프형 와이어는 복수의 후크 아일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전체 스텐트-이식편 장치(예를 들어, 내이식편)는 시술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10 프렌치 쉬쓰를 사용하여 재포획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서, 전체 시술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전체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재포획하기 위해 시술 중에 더 큰 크기의 쉬쓰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a) 약 3프렌치의 제1 접근 프로파일을 갖는 소동맥에 제1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고; (b) 약 5 프렌치의 제2 접근 프로파일을 갖는 동측 장골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며; (c) 약 10 프렌치의 제3 접근 프로파일을 갖는 환자의 신하 대동맥에 주 이식편 본체 전개 시스템으로부터 주 이식편 본체를 전개하고; (d) 주 이식편 본체 전개 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를 제거하며 신하 대동맥에 제1 쉬쓰 및 제1 가이드와이어를 남기고; (e) 제1 쉬쓰 및 제1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동측 장골동맥에 제1 림 게이트를 전개하며; (f) 제1 가이드와이어를 동측 장골동맥으로부터 대측 장골동맥으로 이동시키고; 및 (g) 제1 쉬쓰 및 제1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대측 장골동맥에 제2 림 게이트를 전개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대안의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 양태는, (a) 환자의 동측 장골동맥 내로 소동맥 내로 제1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고; (b) 본체 이식편과 제1 쉬쓰를 제1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신하 대동맥에 삽입하며; (c) 환자의 신하 대동맥에 본체 이식편을 전개하고; (d) 제1 림 게이트를 환자의 동측 장골동맥에 삽입하며 제1 림 게이트를 전개하고; (e) 동측 동맥으로부터 제1 가이드와이어를 제거하며; (f) 제1 쉬쓰를 통해 4-5 프렌치의 방향성 카테터를 삽입하고; (g) 제1 가이드와이어로 대측 장골 게이트 및 대측 장골동맥에 캐뉼러를 삽입하며; (h) 대측 장골동맥에 제2 림 게이트를 삽입하고; 및 (i) 제2 림 게이트를 대측 장골동맥에 전개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대안의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서, 방법은 신하 대동맥에 하나 이상의 밀봉 스텐트를 전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 스텐트는 내강누출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는,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을 표적 위치로 전진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신하 대동맥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 방법을 제공하며,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본체 이식편 및 센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체 이식편은 표적 위치의 제1 위치에서 신하 대동맥에 위치될 수 있고,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위치에서 신하 대동맥의 중앙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센터링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에서 신하 대동맥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중앙 위치의 신상 대동맥에 전개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는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에서 신하 대동맥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중앙 위치로부터 결정된 제2 위치의 신하 대동맥에 재배치될 수 있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위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바스켓 및 센터링 풍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바스켓은 확장될 수 있으며, 센터링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풍선은 팽창될 수 있으며, 센터링 풍선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된다. 일부 경우에서, 센터링 풍선의 외부 표면 또는 센터링 바스켓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은 혈관의 곡률에 부합할 때 쉬쓰 또는 다른 전달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종방향 힘보다 더 크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쉬쓰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쉬쓰의 철회는 주 이식편 본체를 신하 대동맥에 위치시키기 전에 주 이식편 본체를 신하 대동맥에 노출시킨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쉬쓰는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쉬쓰의 추가 철회는 센터링 장치를 전개하기 전에 센터링 장치를 신상 대동맥에 노출시킨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 및 주 이식편 릴리스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 두방 단부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 릴리스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를 비제약된 구성으로 릴리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하도록 구성된"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운영자(예를 들어, 의사)가 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예를 들어, 주 이식편 본체를 꼬리 또는 두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약 와이어를 움직이는 기능을 지칭한다.
제3 방법의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 릴리스 장치는 주 이식편을 신하 대동맥에 릴리스하도록 구성된 올가미 루프를 포함한다. 용어 "올가미 루프"는 루프의 직경을 표적 주위에서 감소시킬 수 있는 루프 또는 원형 형태로 구성된 재료(예를 들어, 와이어, 봉합사)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8,628,540를 참조하라. 수술 관점에서, 루프는 표적 주위에 또는 표적을 통해 배치될 수 있고 표적을 제거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텐트에 부착된 아일렛을 통해 배치된 올가미 루프).
일부 경우에서, 올가미 루프는,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의 확장 및 신하 대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축방향 위치의 재배치를 제어한 후에,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를 재제약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운영자에 의해 신하 대동맥에 위치 및 재배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올가미 루프는 대상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꼬리 단부는 트리거 와이어에 의해 전달 시스템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방법의 추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꼬리 단부 및 두방 단부를 갖고, 제1 위치의 위치가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 상의 마커(예를 들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경우에서, 마커의 위치는 신동맥의 꼬리 부분이다. 일부 경우에서, 방법은 주 이식편 본체의 꼬리 단부를 트리거 와이어로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재배치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으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상부 스텐트를 갖는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서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을 갖고;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가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인 주 이식편 본체를 가지며;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고; 올가미 루프를 포함하는 올가미 튜브를 가지며, 여기서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올가미 튜브에 배치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가 올가미 튜브로부터,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내부 부재 주위에서, 올가미 튜브 내로 배치되며; 올가미 튜브는 내부 부재와 평행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는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에 인접해 있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선택적으로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예가 도 11에 예시된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각각은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을 통해 배치된다.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된 외부 쉬쓰를 추가로 포함한다.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약된 구성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 또는 약 6 내지 약 13 프렌치일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분기되고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림 게이트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림 게이트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일 수 있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추가 실시예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트리거 또는 테더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배치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림 게이트 테더와 제2 림 게이트 테더는 트리거 와이어로 유지될 수 있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하 대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를 중앙에 배치하기 위한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 상부 스텐트, 및 센터링 장치는 초기에 외부 쉬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쉬쓰가 주 이식편 본체와 상부 스텐트로부터 제거되면, 상부 스텐트는 전개될 수 있고, 센터링 장치는 대동맥 경부(예를 들어, 동맥류 위의 비확장 영역)에 대해 꼬리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주 이식편 본체로 밀릴 수 있다. 센터링 장치는 이식편 내부에서 심장에 가장 가까운 주 이식편 본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센터링 장치는 철회되고, 올가미 루프는 릴리스되어 상부 스텐트를 전개할 수 있다.
대안의 양태는, 올가미 루프의 길이를 단축하여 상부 스텐트가 전개된 구성으로부터 제약된 구성으로 접혀지며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로 이동되고; 신하 대동맥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며; 및 올가미 루프를 넓게 하여 상부 스텐트가 외부 쉬쓰로부터 이동되고 상부 스텐트는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표적 혈관의 전개된 구성으로 확장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표적 혈관(예를 들어, 도 11)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재배치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으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높은 부신 각도(예를 들어, 신동맥에서 시작하는 각도)가 하위 최적 전개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올가미 루프가 개방될 수 있고, 센터링 장치는 꼬리 방향으로 신하 대동맥으로 이식편의 최두방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올가미 루프를 폐쇄하고 후크를 재제약하여 센터링 장치가 신하 대동맥에서 내이식편을 중앙에 오도록 할 수 있다. 센터링 장치를 철회시키기 위해 올가미 루프를 개방할 수 있다. 센터링 장치는 내이식편의 상부 단부를 균일하게 개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예를 들어, 도 12A), 올가미 루프 및 올가미 튜브는 센터링 장치의 주변 외부 및 외부 쉬쓰의 주변 내부에 배치된다. 이 예에서, 센터링 바스켓을 아래로 누르면 올가미 루프의 중앙, 상부 스텐트를 통과하여 내부 부재로 들어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는, 상부 스텐트를 갖는 표적 혈관(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에서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제공하며,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가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이며,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고; 올가미 루프가 360도 초과(예를 들어, 300 내지 800도, 540도)의 상부 스텐트 주위의 회전 각도로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배치되며,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내부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예를 들어,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추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각각은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을 통해 배치된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된 외부 쉬쓰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약된 구성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은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 또는 약 6 내지 약 13 프렌치일 수 있다.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 주 이식편 본체는 분기되고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림 게이트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림 게이트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트리거 또는 테더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림 게이트 테더와 제2 림 게이트 테더는 트리거 와이어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태는, 올가미 루프의 길이를 단축하여 상부 스텐트가 전개된 구성으로부터 제약된 구성으로 접혀지며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로 이동되고; 표적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며; 및 올가미 루프를 넓게 하여 상부 스텐트가 외부 쉬쓰로부터 이동되고 상부 스텐트는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표적 혈관의 전개된 구성으로 확장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표적 혈관(예를 들어, 도 13)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양태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재배치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하행 흉부 대동맥(10), 신상 복부 대동맥(12), 신동맥(14), 동맥류 신하 대동맥(16), 및 동측 장골동맥(18) 및 대측 장골동맥(19)을 포함하는 대동맥의 한 부분의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일부 경우에 따른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20)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20)는 이식편(21), 제1 스텐트(22), 연결 링(24), 주 이식편 본체(26), 연결 바(28), 제1 림 게이트(30), 제2 림 게이트(32), 제2 스텐트(34), 제3 스텐트(36),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를 포함한다. 연결 링(24)과 스텐트(22, 34 및 36)는 이식편 본체 재료(26)에 완전히 캡슐화되거나, 혹은 이식편 본체 재료(26)에 부분적으로 캡슐화되거나 또는 이식편 본체 재료(26)에 전혀 캡슐화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도 2A의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평평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하부 미늘(42) 및 상부 미늘(44) 및 리셉터클(46)을 갖는 제1 스텐트(22)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한다. 커넥터(48)는 이식편(21)에 매립된 연결 링(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는 커넥터(48)와 결합되고 끼워지도록 구성된 리셉터클(46)의 각진 지그재그 구성을 갖는 커넥터(48) 및 리셉터클(46)의 확대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선택적인 봉합사(50)가 리셉터클(46) 내부에서 커넥터(48) 주위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된다. 선택적인 리셉터클 스태빌라이저(52)가 추가적인 축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48)에 인접하여 도시된다.
도 3C는 제1 스텐트(22)의 일부, 연결 링(24)의 일부, 리셉터클(46), 커넥터(48), 봉합사(50), 및 리셉터클 스태빌라이저(52)의 대안의 구성의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선택적인 커넥터 스태빌라이저(54)가 리셉터클 스태빌라이저(5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도 3D는 제1 스텐트(22)의 일부, 연결 링(24)의 일부, 리셉터클(46), 및 커넥터(48)의 대안의 구성의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커넥터(48)는 삼각형 형태의 리셉터클(46)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도 4는 제1 스텐트(24) 또는 연결 링의 암(56)이 서로에 대해 110도의 각도에 있는 대안의 양태를 도시한다. 기존의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스텐트 또는 연결 링의 암 사이의 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 불안정할 수 있다.
약 60도보다 큰 스텐트 암 사이의 각도를 사용하는 단대단 구성의 종래의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불안정하기 쉽다. 도 4는 인접한 암(56)이 90도보다 큰 각도에 있는 연결 링(24)을 도시한다. 독립형 z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60도보다 큰 각도에서 불안정하다. 이 양태에서, 커넥터/리셉터클을 통해, 연결 링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제1 스텐트(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제1 스텐트(22)와 같은)에 부착은 연결 링에 대한 증가된 각도를 제공한다. 증가된 각도는 짧은 스텐트 길이를 제공하고 따라서 더 짧은 밀봉 길이를 제공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밀봉 길이는 이식편의 두개골 에지로부터 스텐트 동격의 제1 전체 링까지의 길이와 결합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짧은 경부 동맥류는 밀봉 영역에 긴 스텐트가 있는 일부 디자인에 따라 치료할 수 없다. 일부 경우에서, 연결 링과 스텐트는 이식편에 캡슐화될 수 있거나, 이식편에 캡슐화될 수 없거나, 혹은 이식편에 부분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도 5는 다리 구성요소 테더(60), 다리 구성요소 상부 스텐트(62), 다리 구성요소 모듈식 접합 미늘(64), 다리 구성요소 연결 링(66), 다리 구성요소 커넥터(68), 하부 미늘(74) 및 상부 미늘(76)을 갖는 다리 구성요소 외부 스텐트(72) 상의 다리 구성요소 리셉터클(70)을 갖는 장골 다리 구성요소(58)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장골 다리 구성요소(58)는 다리 구성요소 테더(60)를 사용하여 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장골 다리 구성요소(58)가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이동할 때, 장골 다리 구성요소(58)의 전개는 다리 구성요소 상부 스텐트(62) 및 다리 구성요소 외부 스텐트(72)를 확장한다. 비제약된 구성에서, 장골 다리 구성요소(58)는 장골동맥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다리 구성요소 미늘(64)은 본체 가지 내에 장골 다리 구성요소(58)를 위치시키는 것에 대해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리 구성요소 연결 링(66)은 다리 구성요소 외부 스텐트(72)의 다리 구성요소 리셉터클(7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다리 구성요소(68)를 갖는 것을 포함하여 연결 링(24)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장골 다리 구성요소(58)는 대측 장골동맥, 동측 장골동맥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둘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전형적인 EVAR 방법을 사용하여 동시대의(현재 전형적인) 주 이식편 본체를 배치하고 전개하는 예를 도시한다. 패널 1에서, 가이드와이어(78)는 대퇴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장골동맥(18), 동맥류 신하 대동맥(16), 신동맥(14)을 지나,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신상 복부 대동맥(12)으로 삽입된다. 패널 2에서, 주 이식편 본체(82)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쉬쓰(80)는 가이드와이어(78) 위로 삽입되고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신상 복부 대동맥(12)으로 추적된다. 패널 3에서, 주 이식편 본체(82)는 위치되고, 부분적으로 벗겨지며, 최종 릴리스 전에 조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패널 4에서, 본체(82)는 완전히 벗겨져 신동맥(14) 바로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하 복부 대동맥(12)에 전개된다.
도 6B는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현재 전형적인 EVAR 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전형적인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배치하고 전개하는 예를 보여준다. 전달 시스템 쉬쓰(80)는 제자리에 남아 있다. 패널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구성요소(84)는 전달 시스템 쉬쓰(80) 내로 삽입되고 대퇴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가이드와이어(78) 위의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주 이식편 본체(82)의 이식편 가지 내로 삽입된다. 장골 다리 구성요소 쉬쓰(84)는 위치되며 부분적으로 철회되고 노출되어 장골 다리 구성요소가 중첩 영역에서 확장되도록 한다. 패널 2에서, 다리 구성요소(84)는 완전히 벗겨져 장골동맥(18)의 한쪽 다리에 전개된다.
패널 3에서, 가이드와이어(78)는, 캐뉼러 삽입으로 지칭되는, 주 이식편 본체(82)의 또 다른 다리 가지에 배치시키기 위해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제2 대퇴골 천공 또는 절개부에 삽입된다. "하향식 접근"에서 캐뉼러 삽입에 의한 다리 구성요소(84)의 정확한 배치는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패널 4에서,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캐뉼러 삽입이 구현되면, 다리 구성요소(84)는 장골동맥(18)의 다른 다리에 배치되고 전개된다.
도 6A 및 6B에 예시된 EVAR 접근 방식과 대조적으로, 도 7A의 패널 1 내지 4는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혈관으로부터 본체 이식편 모듈의 예시적인 삽입 및 전개를 도시한다.
패널 1에서, "하향식"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에 천공 또는 절개를 형성하고, 방향성 카테터(도시되지 않음)의 제거 후에 전달 쉬쓰(80)가 삽입된다. 가이드와이어(78)는 내부 부재(79)를 통해 삽입되고, 대측 장골동맥(19)이 계측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동안, 신상 복부 대동맥(12) 아래로 전진하여, 신동맥(14)을 지나서, 동맥류성 신하 대동맥(16)을 가로질러, 동측 장골동맥(18) 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도시된다.
패널 2에서, 내강 내에 주 이식편(26)(도시되지 않음)을 포함/제약하는 전달 쉬쓰(80)는 제1 노즈콘(86)의 내강을 통해 내재된 가이드와이어(78) 위로 스레딩되고, 이어서 상기 소동맥 천공(혈관 접근 지점)을 통해 도입/삽입되며, 그 다음, 신상 복부 대동맥(12) 아래로 전진하고, 신동맥(14)을 지나, 동맥류성 신하 대동맥(16)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도입/삽입되며, 대측 장골동맥(19)이 계속 계측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1 노즈콘(86)은 동측 장골동맥(18) 바로 위에 위치된다.
도 7A의 패널 3 및 4는 동맥류성 신하 대동맥(16)에서 주 이식편(26)의 초기 전달/릴리스 및 전달 쉬쓰(80)의 전개를 예시한다.
도 7A의 패널 3에서, 주 이식편 본체(26),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88)를 갖는 제1 림 게이트(30) 및 제2 림 게이트(32)는 표적 해부학에서 원하는 대로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배향되고 부분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88)는 형광투시 하에서 장치의 배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분 전개는, 동맥류성 신하 대동맥(16)에서 제1 노즈콘(86)을 갖는 내부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주 이식편 본체(26)의 고정 위치를 일반적으로 유지하면서, 신상 대동맥(12) 위쪽의 신동맥(14)을 향한 방향으로 전달 쉬쓰(80)를 부분적으로 철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동측 장골동맥(18)에서 가이드와이어(78)의 위치도 유지된다.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는 전개 동안 주 이식편 본체(26)의 "올라가거나" 또는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을 허용하기 위해 주 이식편 본체(26)의 원위 단부를 제1 노즈콘(86)에 실질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널 3은 전달 쉬쓰(80)의 철회(또는 근위) 후퇴에 의한 내이식편의 부분 전개를 나타낸다.
도 7A의 패널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달 쉬쓰(80)가 완전히 철회될 때, 주 이식편 본체(26)의 근위 및 원위 단부가 제약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주 이식편 본체(26)는 릴리스되며 자가 팽창된다. 이것은, 테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원위 단부 상의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를 제1 노즈콘(86)에 고정적으로 제약하고, 유사한 시스템 또는 장치(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근위 단부 상의 제1 스텐트(22) 상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이식편 본체(26)의 구겨짐은 배치 및 전개 동안 방지된다.
도 7B는 주 이식편 본체의 전개와 유사한 방식으로 우측 장골 림 구성요소에 대한 전개 순서를 보여준다. 도 7B의 패널 1은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여 완전히 릴리스된 주 이식편 본체를 보여준다. 도 7B의 패널 2는 쉬쓰가 우측 외부 장골동맥으로 전진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7C의 패널 3은 쉬쓰가 부분적으로 철회되어 우측 장골 림 게이트가 부분적으로 릴리스 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7B의 패널 4는 우측 장골 림 게이트가 완전히 릴리스 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7B의 패널 1에서, 주 이식편 본체(26), 제1 림 게이트(30), 및 제2 림 게이트(32)는 원위 단부 상의 제1 노즈콘(86)으로부터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를 릴리스하고 주 이식편 본체(26)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모두의 근위 단부 상에 시스템을 고정함으로써 완전히 전개된다(즉, 제1 테더(38), 제2 테더(40) 및 제1 스텐트(22)는 더 이상 제약되지 않음). 이 패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이식편 본체(26)는 완전히 제약되지 않고 이제 혈관에 이식된 스텐트 이식편과 함께 전달 쉬쓰(80)로부터 릴리스 된다.
도 7B의 패널 1은 동맥류성 신하 대동맥(16)과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상태에 있는 주 이식편 본체(26)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7B의 패널 1에서 제1 스텐트(22)는 신동맥(14)에 걸쳐 이러한 중요한 혈관으로의 혈액 흐름을 방해하거나 또는 관류를 차단하는 주 이식편 본체(26)의 덮인 부분이 없이 도시된다. 추가로, 도 7B의 패널 1-4에 설명된 전개 거동 전반에 걸쳐, 가이드와이어(78)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동측 장골동맥(18)에서 유지된다.
도 7B의 패널 1에서 주 이식편 본체(26)의 완전한 전개가 완료되면, 전달 시스템은 조심스럽게 철회되고 제거되어, 이 조작 동안 제1 노즈콘(86)이 동측 다리 구성요소(98)의 에지를 횡단하도록 보장한다. 제1 노즈콘(86)은 내부 부재(79)에 부착된다. 제1 노즈콘(86)은 또한 이 시술 조작 동안 형광투시로 노즈콘의 철회 관찰을 통해 주 이식편 본체 본체(26)로부터 전달 시스템의 안전한 철회를 보장하기 위해 방사선 불투과성이 될 수 있다.
도 7B(패널 2로부터 시작) 및 7C는 도 7A의 주 이식편 본체(26) 전개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측 다리 구성요소(98) 및 대측 다리 구성요소(106)(도시되지 않음)의 예시적인 배치 및 전개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달 쉬쓰(80)는 주 이식편 본체(26) 내에서 각각의 전개 동안 다리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일반적으로 유지하면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된다.
도 7B의 패널 2에서, 전달 쉬쓰(80)는 제자리에 남아 있고 가이드와이어(78) 위의 전달 쉬쓰(80)를 통해 그리고 "하향식" 배향으로부터 제1 림 게이트(30) 및 주 이식편 본체(26)를 통해, 횡격막 위의 삽입 부위 혈관 위치의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제약된 형태로 동측 다리 구성요소(98)가 장착되고, 쉬쓰를 벗기기 위해 배치된다. 가이드와이어(78)는 제2 노즈콘(96)을 통해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B의 패널 3에서, 동측 다리 구성요소(98)는 부분적으로 벗겨져 동측 장골동맥(18)에 미세하게 위치된다. 동측 다리 구성요소(98)의 원위 단부는, 예를 들어, 테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동측 다리 구성요소(98)의 원위 단부 상의 테더(도시되지 않음)를 제2 노즈콘(96)에 고정적으로 제약함으로써, 도 7A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약된다. 이 단계에서, 동측 다리 구성요소(98)의 근위 단부는 전달 쉬쓰(80)에서 여전히 제약된다.
도 7B의 패널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측 다리 구성요소(98)는 완전히 벗겨져 동측 장골동맥(18)에 전개된다.
도 7C의 패널 1 및 2는 도 7B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측 장골동맥(19)에서 대측 다리 구성요소(99)의 동등한 완전한 전개(즉, 이식)를 보여준다. 도 7C의 패널 1은 가이드와이어(78)가 좌측 외부 장골동맥(19)으로 전진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7C의 패널 2는 완전히 전개된 대측 다리 구성요소(99)를 보여준다.
도 7D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을 추가로 강화하기 위해, 자체 확장형 추가 스텐트(105)가 두개골 이식편 에지에 걸쳐 있는 밀봉 구역에 전개될 수 있는 대안을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대안의 전개 시스템의 횡단면도(도 8A) 및 확대도(도 8B)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는 제1 림 게이트(30) 및 제2 림 게이트(32)를 제어하기 위해 테더 와이어(107) 및 선반(103) 주위에 루핑되고 부착된다. 제1 테더(38)와 제2 테더(40)는 각각 제1 림 게이트(30)와 제2 림 게이트(32)의 외주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103)은 내부 부재(79)에 고정 연결된다. 테더 와이어(107)의 팁을 제1 노즈콘(86)의 내부로부터 선반(103)까지 또는 선반의 근위 위치로 캐리어 카테터(도시되지 않음)로 철회시키면, 주 이식편 본체(26)의 전개 전에 제1 테더(38) 및 제2 테더(40)가 릴리스된다.
도 9는 대상체의 표적 혈관에 스텐트-이식편(118)를 전개하기 위해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에 따른 예시적인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108)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2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대퇴동맥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중앙 내부 부재(112) 및 캐리어 튜브(114) 주위에 외부 튜브(110)를 포함한다. 중앙 내부 부재(112)는 팁(115)과 두방 단부(116)이 있는 꼬리 단부를 가지며 스텐트-이식편(118)로 둘러싸여 있다. 캐리어 튜브(114)는 테더 와이어(117)를 포함한다. 테더 와이어(117)는 꼬리 단부와 더 두방 부분을 갖는다.
상부 스텐트(119)는 중앙 내부 부재(112)를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스텐트(119)는 복수의 리셉터클(122)을 갖는 복수의 후크(12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리셉터클(122)은 후크(120)에 일체형이다. 리셉터클(122)은 예를 들어 후크(120)에 스폿 용접될 수 있다. 후크(120)는 또한 리셉터클로서 기능하도록 구부러지거나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봉합사(124), 여기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제약된 구성에 상부 스텐트(119)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122)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117)의 더 두방 부분에 고정된다. 선택적인 선반(126)이 캐리어 튜브(114)와 내부 부재(112)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내부 부재(112)와 캐리어 튜브(114)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부재(112)는 선반(126)에서 내부 부재 구멍(128)을 통해 배치될 수 있고, 캐리어 튜브(114)는 선반(126)에서 캐리어 튜브 구멍(130)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선반(126)은 리셉터클(122)을 통해 봉합사(124)를 스레딩 하고, 그리고 내부 부재(112)와 캐리어 튜브(114)를 실질적으로 함께 유지하여 시스템에 추가적인 반경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리셉터클 구멍(132)은 예를 들어 리셉터클(122)을 통해 배치된 봉합사(124)와 함께 리셉터클(12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테더 와이어(117)의 움직임은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의 제거를 제어할 수 있고,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117)를 릴리스할 수 있다. 복수의 봉합사(124)는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대상체에 남아 있는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일부의 부정적인 부작용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봉합사를 혈관으로부터 제거한다.
도 11은 표적 혈관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올가미 루프 배치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4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외부 쉬쓰(134)는 내부 부재(164) 및 올가미 튜브(136)를 둘러싼다. 센터링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외부 쉬쓰(134)에 의해 둘러싸인다. 올가미 루프(138)는 운영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단부와 함께 올가미 튜브(136) 내부 및 올가미 튜브를 통해 배치된다. 올가미 루프(138)는 복수의 아일렛(140)을 통해 스레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스텐트(142)는 아일렛(140)에 배치된 복수의 후크(144)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상부 스텐트(142)는 제약된 또는 폐쇄된 구성에 있다. 가이드와이어(160)는 제3 노즈콘(158)을 통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스텐트(142)는 주 이식편 본체(144)와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 이식편 본체(144)는 고밀화된 재료(예를 들어, 고밀화된 ePTFE)로 제조될 수 있다. 테더 와이어(146)는 외부 쉬쓰(124) 및 주 이식편 본체 본체(144)를 통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동측 림 게이트(148)는 트리거 와이어 홀더(156)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측 테더(152)는 대측 림 게이트(150)를 통해 배치되고 테더 와이어(146)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동측 테더(154)는 동측 림 게이트(148)를 통해 배치되고 테더 와이어(146)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테더 와이어(146)는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를 사용하여 대측 림 게이트(150) 및 동측 림 게이트(148)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예를 사용하여, 운영자는 예를 들어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제3 노즈콘(158) 및 횡격막 위에 위치한 소동맥의 단일 천공에서 "하향식"으로 신하 대동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올가미 루프(138)는 후크(144)를 사용하여 상부 스텐트(142)를 철회하고 외부 쉬쓰(134) 내로 당길 수 있다. 스텐트 이식편은 선택적으로는 운영자에 의해 원하는 대로 혈관에서 축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올가미 루프(138)를 릴리스 하는 것은, 일단 스텐트-이식편이 운영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나면, 전개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142)를 릴리스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방식에서, 스텐트-이식편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정 및 재조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가미 루프(138)는 철회되고, 상부 스텐트(142)는 제약된 구성에 있으며, 상부 스텐트(142)는 쉬쓰(134) 내로 철회될 수 있다. 그 다음,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2A는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외부 쉬쓰(134)가 철회되면 센터링 바스켓(162)이 드러난다. 올가미 루프(138)는 철회되지 않고 상부 스텐트(142)는 비제약된 구성으로 전개된다. 센터링 바스켓(162)은 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 본체(144)을 위치시키고 중앙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센터링 바스켓(162)의 암은, 외부 쉬쓰(134)를 철회시켜 센터링 바스켓(162)이 전개될 때,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위치는 예를 들어 신하 대동맥에서 중앙에 위치된 주 이식편 본체(144)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센터링 바스켓(162)은 센터링 장치(예를 들어, 바스켓, 풍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2A는 상부 스텐트(142)를 전개하는 비제약된 구성 또는 릴리스된 구성의 올가미 루프(138)를 도시한다. 운영자가 주 이식편 본체(144)의 위치를 조정하기를 원하는 경우, 올가미 루프(138)는 조여져서 상부 스텐트(142)가 다시 제약될 수 있다. 그 다음, 주 이식편 본체 본체(144)는 신하 대동맥의 보다 바람직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축방향으로(두방 또는 꼬리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그 그런 다음, 올가미 루프(138)가 느슨해지거나 릴리스되어 새로운 위치에 상부 스텐트(142)가 재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12A의 예시적인 장치는 내부 부재(164)에 대해 비대칭 구성의 올가미 튜브(136)를 도시한다.
도 11 및 12A의 예에서,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는 테더(152) 및 테더(154)가 상부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테더 와이어(146)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는 카테터에 배치될 수 있다. 테더 와이어는 테더 바로 위의 카테터를 빠져나갈 수 있다. 테더 와이어는 테더의 중앙을 통해 배치될 수 있고,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 바로 아래에 있는 카테터의 구멍을 통해 카테터 내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는 카테터 외부의 작은 길이의 와이어에 고정될 수 있다. 대측 테더(152) 및 동측 테더(154)는 테더 와이어(146)가 제거될 때 릴리스될 수 있다.
추가 대안의 예에서, 주 이식편 본체(144), 상부 스텐트(142), 및 센터링 바스켓(162)은 초기에 외부 쉬쓰(134) 내에 포함된다. 이 양태에서, 외부 쉬쓰(134)가 주 이식편 본체(144)로부터 제거될 때, 상부 스텐트(142)는 전개될 수 있으며 센터링 바스켓(162)은 대동맥 경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꼬리 방향으로 밀려서 주 이식편 본체(144)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센터링 바스켓(162)은 주 이식편 본체(144) 내부에서 심장에 가장 가까운 주 이식편 본체(144) 부분에 전개될 수 있다. 그 뒤, 센터링 바스켓(162)은 철회될 수 있고 올가미 루프(138)는 상부 스텐트(142)를 전개하기 위해 릴리스될 수 있다.
제4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B는 올가미 루프(138) 및 올가미 튜브(136)가 센터링 바스켓(162)의 주변 외부이지만 외부 쉬쓰(134)의 주변 내부에 배치되는 도 12A의 스텐트-이식편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대안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센터링 바스켓(162)이 아래로 밀리면, 올가미 루프(135)의 중심, 상부 스텐트(142)를 통과하여 내부 부재(164)로 들어갈 것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혈관에 사용되는 쉬쓰는 자연적으로 직선을 따라 곧게 펴지는 경향이 있다고 믿어진다. 쉬쓰가 구부러진 혈관에 삽입되면, 곧게 펴기 위해 혈관 벽을 밀어낼 수 있다. 혈관 벽에 대한 쉬쓰의 힘은 재료와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예시적인 센터링 장치(예를 들어, 바스켓, 풍선)의 와이어 또는 외벽은 센터링 장치가 혈관의 측면에 대해 접히지 않도록 쉬쓰의 외부 방향의 "똑바로 펴는" 힘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예시적인 센터링 장치를 사용하여 혈관에서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센터링 바스켓의 와이어 또는 센터링 풍선의 외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쉬쓰의 힘에 대해 혈관의 중앙에 상부 스텐트를 고정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쉬쓰에 의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쉬쓰가 자체적으로 접히지 않을 정도로 충분하다(예를 들어, 이것은 쉬쓰를 전진시키고 내이식편을 릴리스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동시에, 쉬쓰는 "옆으로" 이동하는 양태에서 유연할 수 있지만 쉬쓰의 곧게 펴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더 강성을 갖는다. "옆으로" 이동하기 위한 추가적인 유연성은 스텐트-이식편 장치가 혈관 벽에 대해 밀려서 대칭으로 전개되지 않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내강누출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3은 내부 부재(164)에 대한 올가미 루프(138)의 대칭 구성을 갖는 제5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도 13은 올가미 루프(138)가 후크(144) 위에 부착된 아일렛(140)을 통해 스레딩되는 상부 스텐트(142)를 갖는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예시하는데, 여기서 올가미 루프(138)는 360도보다 큰 상부 스텐트(142) 주위의 회전 각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회전 각도는 360도 내지 800도 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40도의 회전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가미 루프(138)는 내부 부재(164)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올가미 루프(138)가 상부 스텐트(142)를 외부 쉬쓰(134) 내로 철회시키거나 운영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의 외부 쉬쓰(134)로부터 상부 스텐트(142)를 전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상부 스텐트(142)는 한쪽으로 당겨지기보다 대칭적으로 내부를 향해 당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표적 혈관에 대해 보다 중앙에 위치된 구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스텐트-이식편 장치의 다리의 바닥은 트리거 와이어에 의해 유도관에 고정될 수 있다. 트리거 와이어를 사용하여 스텐트-이식편 장치를 구기지 않고도 대동맥에서 전체 내이식편을 위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텐트-이식편 장치는 상부의 올가미와 바닥의 트리거 와이어 사이에서 상부와 바닥 모두에서 고정될 수 있다(최종 전개 시에는 둘 다 릴리스될 수 있음).
도 14는 내부 부재(164)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올가미 튜브(136)에 배치된 올가미 루프(138)를 보여주는 도 11 및 12A에 도시된 양태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4의 우측 패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가미 튜브(136)는 내부 부재(164)의 한쪽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올가미 루프(138)의 단부가 내부 부재(164)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도 13에 도시된 양태의 예시적인 횡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가미 루프(138)의 두 스트랜드는 실질적으로 대칭 구성의 동심 내부 부재(164)의 한 면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서,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가지 이식편은 e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PTFE는 예를 들어 약 0.00015"만큼 얇은 층을 갖는 10개 이상의 플라이 층으로 구성된 초박형 복합재이다. 모든 ePTFE 층을 접착하기 위해 압축과 함께 고온 하에서 소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ePTFE는 크리프를 방지하는 층의 배향으로 단일 방향 강도를 갖는다. 이 양태에서, ePTFE의 크리프 또는 이동은 이식편의 지속적인 확장을 허용하므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ePTFE는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FEP(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층(들)을 추가함으로써 혈청에 대해 불투과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소결된 ePTFE의 총 두께는 약 0.0015"이다.
일부 경우에서,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는 인간 또는 동물 조직 또는 인공 조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eken 등의, Differentiation of Biologic Scaffold Materials Through Physicomechanical, Thermal, and Enzymatic Degradation Techniques. Annals of Surgery, March 2012; 미국 특허출원공보번호 US20180326120를 참조하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양태에 대한 수많은 수정,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양태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 청구범위 및 그 균등예의 언어에 의해 정의된 전체 범위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9)

  1.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환자의 표적 혈관의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 이식편 본체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표적 혈관은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약된 구성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이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텐트는 고밀화된 재료 내에 캡슐화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고밀화된 재료는 ePTFE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ePTFE에는 공극이 실질적으로 없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제1 스텐트는 적어도 2개의 층의 ePTFE에 캡슐화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상완, 요골, 척골, 액와 및 경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의 제2 또는 근위 제3 부분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쇄골하 동맥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셉터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은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은 스텐트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제 위치에 스폿 용접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봉합사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연결 링의 확장 각도가 약 90도 초과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림 게이트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와 제1 림 게이트의 중첩부의 직경이 제2 장골 구성요소와 제2 림 게이트의 중첩부보다 크지 않은,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혈관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미늘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제1 장골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구성요소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고밀화된 재료는 ePTFE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6. 제19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에 연결된 제2 스텐트 및 제2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에 연결된 제3 스텐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꼬리 배치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주 이식편 본체, 제2 스텐트, 및 제3 스텐트 각각의 꼬리 단부에 배치된 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 내부에 배치된 환형 요소, 및 상기 환형 요소 상의 복수의 위치와 연관된 복수의 연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스텐트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와 제2 축방향 스텐트 단부를 가지며, 본체 이식편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와 제2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갖고, 환형 요소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며,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되고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대단 축방향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넘어 돌출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는 외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은 제1 스텐트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사이에 간극을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간극은 약 0 내지 2 mm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간극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4. 제1항에 있어서, 신상 대동맥에 배치 및 확장되도록 구성된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주 이식편 본체는 센터링 장치가 확장된 후에 신하 대동맥에 재배치될 수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바스켓 및 센터링 풍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센터링 바스켓은 확장될 수 있고, 센터링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센터링 풍선은 팽창될 수 있고, 센터링 풍선의 적어도 일부는 신상 대동맥의 벽과 결합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38. 환자의 복부 대동맥류를 수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을 천공하고 삽입 부위 혈관에 통로를 생성하는 단계;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삽입 부위 혈관의 통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스텐트, 주 이식편 본체,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포함하고;
    환자의 표적 혈관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환자의 표적 혈관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를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표적 혈관은 신하 대동맥, 신주위 대동맥, 부신 대동맥, 흉부 대동맥, 또는 신상 대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는,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는 표적 혈관의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는,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추가로: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배치하고 전개하는 단계; 및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배치하고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본체 이식편과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는,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본체 이식편과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혈액이 새지 않는 밀봉 상태에 있는, 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약된 상태로 표적 혈관에 위치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주 이식편 본체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표적 혈관에 추가로 배치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주 이식편 본체가 표적 혈관에 전개된 후에는 제약되지 않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에 밀봉 스텐트를 전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0. 제43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주 이식편 본체를 통해 제약된 상태에서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위치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추가로 위치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가 장골동맥의 제1 가지에 전개된 후에는 제약되지 않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여 주 이식편 본체를 통해 제약된 상태에서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위치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벗겨냄으로써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추가로 위치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가 장골동맥의 제2 가지에 전개된 후에는 제약되지 않는, 방법.
  56. 제38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연결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연결 링은 복수의 리셉터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연결 링은 주 이식편 본체에 배치되며, 제1 스텐트 및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는 복수의 리셉터클에 대해 각을 이루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리셉터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봉합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9. 제43항에 있어서,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혈관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 및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미늘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0. 제38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제1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에 연결된 제2 스텐트 및 제2 림 게이트의 꼬리 단부에 연결된 제3 스텐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배치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주 이식편 본체, 제2 스텐트, 및 제3 스텐트 각각의 꼬리 단부에 배치된 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2. 제38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상완, 요골, 척골, 액와 및 경동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인,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액와 동맥의 제2 또는 근위 제3 부분인, 방법.
  65. 제38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쇄골하 동맥인, 방법.
  66. 제38항에 있어서, 환형 요소가 주 이식편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연결 부재가 환형 요소 상의 복수의 위치와 연관되고, 제1 스텐트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 및 제2 축방향 스텐트 단부를 가지며, 본체 이식편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및 제2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갖고, 환형 요소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며,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스텐트 단부에 연결되고 제1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대단 축방향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를 넘어 돌출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는 외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방법.
  69. 제66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은 제1 스텐트와 제1 축방향 이식편 단부 사이에 간극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간극은 약 0 내지 2 mm인, 방법.
  71. 제69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간극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방법.
  72. 대상체의 표적 혈관에 내이식편을 전개하기 위한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내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 및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를 포함하는 외부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테더 와이어는 꼬리 단부 및 더 많은 두방 부분을 가지며;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싸는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고; 및
    복수의 봉합사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되며; 및
    테더 와이어의 움직임은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 제거를 제어할 수 있고,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상부 스텐트를 릴리스하여,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3. 제7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루프로 형성되고, 루프는 테더 와이어의 꼬리 단부 주위에 배치되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4. 제72항에 있어서, 초기에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선반 위에 유지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를 선반 아내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 아래에 배치된 선반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선반은 중앙 내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6. 제75항에 있어서, 캐리어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7. 제76항에 있어서, 복수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제3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식편 전개 시스템.
  78. 환자 내에 스텐트-이식편을 전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대퇴동맥 및 제2 대퇴동맥을 천공하고 각각의 대퇴동맥에 통로를 생성하는 단계;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으로 제1 대퇴동맥 또는 제2 대퇴동맥의 통로에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텐트-이식편 전개 시스템은 내이식편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부재를 갖는 외부 튜브 및 테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튜브를 포함하고, 여기서 테더 와이어는 꼬리 단부 및 더 많은 두방 부분을 가지며; 중앙 내부 부재를 둘러싸는 상부 스텐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부 스텐트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후크를 포함하며, 및 복수의 봉합사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셉터클 중 하나를 통해 배치되고, 제1 봉합사의 제2 단부가 테더 와이어의 더 두방 부분에 부착되며;
    테더 와이어를 이동하여, 복수의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하고, 상부 스텐트를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비제약된 구성으로 릴리스하고, 및,
    대상체의 혈관으로부터 복수의 봉합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는 루프로 형성되고, 루프는 테더 와이어의 꼬리 단부 주위에 배치되는, 방법.
  80. 제78항에 있어서, 초기에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선반 위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 아래에 배치된 선반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선반은 중앙 내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캐리어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복수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제3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4. 주 이식편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스텐트를 포함하는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표적 혈관의 동맥류를 수복하기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으로서, 주 이식편 본체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격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5. 제84항에 있어서,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스트럿을 갖고, 복수의 스트럿은 약 0.013 내지 0.016인치의 스트럿 폭을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6. 제84항에 있어서,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스트럿을 갖고, 복수의 스트럿은 약 0.016 내지 약 0.020인치의 스트럿 벽 두께를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7. 제84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제1 축방향 단부 및 제2 축방향 단부를 갖고, 밀봉 스텐트는 제1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밀봉 스텐트는 복수의 후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8. 제87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 각각은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축방향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89. 제87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 각각은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0. 제87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 각각은 우측 배향 또는 좌측 배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1. 제90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 각각의 배향이 인접한 후크와 상이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2. 제87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는 신하 대동맥에서 주 이식편 본체의 재배치를 위해 루프형 와이어에 의해 가역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3. 제92항에 있어서, 루프형 와이어는 재포획 쉬쓰를 통해 표적 혈관에 삽입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4. 제93항에 있어서, 재포획 쉬쓰는 약 2 내지 4 프렌치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5. 제92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는 복수의 후크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6. 제95항에 있어서, 루프형 와이어는 복수의 후크 아일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97. 대상체의 표적 혈관에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주 이식편 본체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을 표적 혈관의 표적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본체 이식편 및 센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표적 위치의 제1 위치에 표적 혈관의 주 이식편 본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위치에서 표적 혈관의 중앙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혈관의 표적 위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표적 혈관의 센터링 장치를 중앙 위치에 전개하는 단계; 및
    주 이식편 본체의 제1 위치가 표적 혈관의 표적 위치의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 표적 혈관의 주 이식편 본체를 중앙 위치로부터 결정된 제2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바스켓 및 센터링 풍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센터링 바스켓은 확장될 수 있고, 센터링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표적 혈관의 벽과 결합되는, 방법.
  100. 제98항에 있어서, 센터링 풍선은 팽창될 수 있고, 센터링 풍선의 적어도 일부는 표적 혈관의 벽과 결합되는, 방법.
  101. 제97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는 쉬쓰를 추가로 포함하고, 쉬쓰를 철회하면 주 이식편 본체를 표적 혈관에 위치시키기 전에 주 이식편 본체가 신하 대동맥에서 노출되는, 방법.
  102. 제98항에 있어서, 쉬쓰는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쉬쓰의 추가 철회는 센터링 장치를 전개하기 전에 센터링 장치를 표적 혈관에 노출시키는, 방법.
  103. 제97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 전달 시스템은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 및 주 이식편 본체 릴리스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는 제약된 구성에서 주 이식편 본체 두방 단부를 유지하고, 주 이식편 본체 릴리스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를 비제약된 구성으로 릴리스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104. 제103항에 있어서, 제약 장치는 주 이식편 본체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와이어를 포함하는, 방법.
  105. 제103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 릴리스 장치는 표적 혈관에서 주 이식편을 릴리스 하도록 구성된 올가미 루프를 포함하는, 방법.
  106. 제105항에 있어서, 올가미 루프는,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의 확장 및 표적 혈관에서의 주 이식편 본체의 재배치를 제어한 후에,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를 재제약할 수 있는, 방법.
  107. 제105항에 있어서, 대상체로부터 올가미 루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8. 제97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꼬리 단부 및 두방 단부를 갖고, 제1 위치의 위치가 주 이식편 본체의 두방 단부 상의 마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마커의 위치는 신동맥에 대한 꼬리인, 방법.
  110. 제103항에 있어서, 트리거 와이어로 주 이식편 본체의 꼬리 단부를 주 이식편 본체 제약 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1. 표적 혈관의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을 갖는 상부 스텐트;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고,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며;
    올가미 루프를 포함하는 올가미 튜브를 포함하되,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올가미 튜브 내에 배치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가 올가미 튜브로부터,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내부 부재 주위에서, 올가미 튜브 내로 배치되며, 올가미 튜브는 내부 부재에 평행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는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에 인접하고; 및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은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2. 제1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각각은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을 통해 배치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3. 제111항에 있어서,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된 외부 쉬쓰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4. 제111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5. 제111항에 있어서, 제약된 구성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이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6. 제111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7. 제111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분기되고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8. 제117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19. 제118항에 있어서, 제2 림 게이트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0. 제111항에 있어서,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1. 제117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트리거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2. 제121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3. 제122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는 트리거 와이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4. 제111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를 신하 대동맥의 중앙에 배치하기 위한 센터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5. 표적 혈관에 제113항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올가미 루프의 길이를 단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는 전개된 구성으로부터 제약된 구성으로 접히고,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 내로 이동되며;
    표적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올가미 루프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로부터 이동되고, 상부 스텐트는 표적 혈관에서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전개된 구성으로 확장되는, 방법.
  126. 표적 혈관의 동맥류의 수복을 위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을 갖는 상부 스텐트;
    주 이식편 본체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고,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며;
    올가미 루프가 360도 초과의 상부 스텐트 주위의 회전 각도로 배치 리셉터클을 통해 배치되고, 올가미 루프의 제1 단부가 내부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및
    주 이식편 본체는 단일 동맥 천공 또는 절개를 통해 환자의 횡경막 위에 위치한 삽입 부위 혈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7. 제126항에 있어서, 복수의 배치 리셉터클 각각은 아일렛을 추가로 포함하고, 올가미 루프의 제2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을 통해 배치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8. 제126항에 있어서,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된 외부 쉬쓰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29. 제126항에 있어서, 삽입 부위 혈관은 환자의 대퇴동맥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0. 제126항에 있어서, 제약된 구성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직경이 약 13 내지 약 22 프렌치인,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1. 제126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고밀화된 재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2. 제126항에 있어서, 주 이식편 본체는 분기되고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3. 제132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는 제1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4. 제133항에 있어서, 제2 림 게이트는 제2 장골 다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5. 제126항에 있어서, 상부 스텐트와 주 이식편 본체는 실질적으로 단대단 구성에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6. 제132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및 제2 림 게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트리거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7. 제136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8. 제137항에 있어서, 제1 림 게이트 테더 및 제2 림 게이트 테더는 트리거 와이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스텐트-이식편 시스템.
  139. 표적 혈관에 제128항의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올가미 루프의 길이를 단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는 전개된 구성으로부터 제약된 구성으로 접히고,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 내로 이동되며;
    표적 혈관에서 스텐트-이식편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올가미 루프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부 스텐트는 외부 쉬쓰로부터 이동되고, 상부 스텐트는 표적 혈관에서 제약된 구성으로부터 전개된 구성으로 확장되는, 방법.
KR1020227026767A 2020-02-20 2021-02-19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3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79008P 2020-02-20 2020-02-20
US62/979,008 2020-02-20
US202063067678P 2020-08-19 2020-08-19
US63/067,678 2020-08-19
PCT/US2021/018777 WO2021168248A1 (en) 2020-02-20 2021-02-19 System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 stent-graft through a blood vessel located above a diaphrag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653A true KR20220143653A (ko) 2022-10-25

Family

ID=7739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767A KR20220143653A (ko) 2020-02-20 2021-02-19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25012A1 (ko)
EP (1) EP4106673A1 (ko)
JP (1) JP2023514137A (ko)
KR (1) KR20220143653A (ko)
CN (1) CN115038408A (ko)
AU (1) AU2021224755A1 (ko)
BR (1) BR112022014285A2 (ko)
CA (1) CA3171343A1 (ko)
WO (1) WO2021168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7741B2 (en) 2017-03-01 2024-01-02 W. L. Gore & Associates, Inc. Looped wire for advanced stent graf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40074843A1 (en) * 2022-09-07 2024-03-07 Michael C. Gianturco Vascular Stent Connector, Vascular Stent-Graft Employ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273B1 (en) * 2000-10-02 2003-07-08 Impr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ning a blood vessel
US20040243221A1 (en) * 2003-05-27 2004-12-02 Fawzi Natalie V. Endovascular graft including substructure for positioning and sealing within vasculature
EP2194921B1 (en) * 2007-10-04 2018-08-29 TriVascular, Inc. Modular vascular graft for low profile percutaneous delivery
US8974518B2 (en) * 2008-03-25 2015-03-10 Medtronic Vascular, Inc. Eversible branch stent-graft and deployment method
US20100049294A1 (en) * 2008-06-04 2010-02-25 Zukowski Stanislaw L Controlled deploy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771333B2 (en) * 2009-06-23 2014-07-08 Cordis Corporation Stent-graft securement device
WO2012068175A2 (en) * 2010-11-16 2012-05-24 Trivascular, Inc. Advanced endovascular graft and delivery system
EP3583916B1 (en) * 2011-04-28 2023-12-0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ployment of an endoluminal prosthesis
US9144510B2 (en) * 2012-06-13 2015-09-2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a portion of a stent using at least one coiled member
EP2943153A1 (en) * 2013-01-10 2015-11-18 TriVascular, Inc. Gate wire for contralateral leg access
US20160184076A1 (en) * 2014-12-31 2016-06-30 Cordis Corporation Implantable Endoprosthesis for Aortic Aneurysm
US10188538B2 (en) * 2015-12-30 2019-01-2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Hybrid trigger wire for endograf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14285A2 (pt) 2022-09-20
CN115038408A (zh) 2022-09-09
US20230125012A1 (en) 2023-04-20
JP2023514137A (ja) 2023-04-05
AU2021224755A1 (en) 2022-08-18
CA3171343A1 (en) 2021-08-26
WO2021168248A1 (en) 2021-08-26
EP4106673A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748B2 (en) Prosthesis with guide lumen
US11744722B2 (en) Method of use for delivery system for radially constricting a stent graft
US11547584B2 (en) Delivery system and method to radially constrict a stent graft
CN109561958B (zh) 血管医疗装置和系统
US20230338133A1 (en) System and method to radially constrict a stent graft
US9757263B2 (en) Stent graft and introducer assembly
US6918926B2 (en) System for transrenal/intraostial fixation of endovascular prosthesis
US7699883B2 (en) Vascular graft and deployment system
US636834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aluminal placement of a bifurcated intraluminal garafat
EP2344072B1 (en) Stent graft and introducer for deploying said stent graft in a curved lumen
US9237960B2 (en) Apparatus for curv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in a lumen
JP2020508086A (ja) シースが収縮されたステントグラフト送達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US20070168013A1 (en) Vascular graft and deployment system
US20070225797A1 (en) Prosthesis With Adjustable Opening for Side Branch Access
US9717611B2 (en) Stent graft and introducer assembly
KR20220143653A (ko) 횡경막 위에 위치한 혈관을 통해 스텐트-이식편을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763816B2 (en) Endoluminal prosthesis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220265416A1 (en) Closure mechanism
US11376114B2 (en) Introducer for deploying a stent graft in a curved lumen and stent graft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