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485A - Dynamic spinal orthosis - Google Patents

Dynamic spinal ortho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485A
KR20220143485A KR1020210050058A KR20210050058A KR20220143485A KR 20220143485 A KR20220143485 A KR 20220143485A KR 1020210050058 A KR1020210050058 A KR 1020210050058A KR 20210050058 A KR20210050058 A KR 20210050058A KR 20220143485 A KR20220143485 A KR 2022014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ubject
sensor
dynamic spinal
s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4231B1 (en
Inventor
주민욱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231B1/en
Priority to PCT/KR2022/005458 priority patent/WO2022220641A1/en
Publication of KR2022014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2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which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sensors disposed on a body of a subject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point on the spine of the subject; one or more second sensor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econd point located below the first point on the spine; and a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point from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point from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calculating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sagittal or coronal plane.

Description

동적 척추 보조 장치{DYNAMIC SPINAL ORTHOSIS}DYNAMIC SPINAL ORTHOSIS

본 발명은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의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s spine maintains a normal balance.

근래 들어 경추 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관련이 있다. 무의식적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앞쪽으로 C자형 곡선을 그려야 할 경추가 1자 또는 역C자형으로 변형되는 '거북목 증후군'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뒷목과 어깨 결림,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In recent years, cervical vertebrae diseas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is related to the spread of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If you unconsciously bend your head forward and use a mobile device for a long time, 'turtle neck syndrome' in which the cervical vertebrae, which should be drawn forward with a C-shaped curve, are deformed into a 1 or inverted C-shape may be induced, resulting in stiff neck and shoulders, headache symptoms such as

한편, 척추가 정상적인 정렬을 보이지 않고 휘어지는 척추측만증 역시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척추측만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잘못된 자세도 주요한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any patients also have scoliosis, in which the spine does not show normal alignment and is curved. The exact cause of scoliosis is not known, but incorrect posture is presumed to be the main cause.

이와 같은 척추 관련 질환의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바른 자세이다. 바른 자세를 통해 척추외과학적으로 척추의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척추에 무리를 주는 나쁜 자세들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취해지므로 생활 속에서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The best way to prevent these spine-related diseases is to have a good posture. Through correct postu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normal balance of the spine surgically. However, since most of the bad postures that put stress on the spine are taken unconsciously, it is difficult to always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in life.

종래 척추의 정상 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척추 보조기가 선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재활 치료 용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심리적 의존도 증가, 근육 및 연부조직 손상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분석을 자세 교정에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카메라를 통한 영상 획득이 요구되므로 일상 생활 전반에 적용하기 곤란하며, 과도한 데이터 처리량, 시스템 리소스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Conventionally, spinal orthosis for maintaining the normal balance of the spine has been introduced, but most of them are mad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here are problems in causing a de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a joint, an increase in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damage to muscles and soft tissues. In addition, a technology that utilizes image analysis us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has also been developed,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overall daily life because image acquisition through a camera is required, and excessive data throughput and system resources are pointed out as problems.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세 교정을 위한 기존의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하면서도 일상 생활 속에서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는 능동적 보조기(dynamic orthosis)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such a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ctive orthosis that can be applied without unreasonableness in daily life while inducing active posture correction to the user away from the existing passive method for posture correction.

등록특허 10-2137445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과 자세분석 시스템", 2020.07.20 등록Registered Patent 10-2137445 "Position analysis method and posture analysis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2020.07.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세 교정을 위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하되 일상 생활 속에서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that induces active posture correction away from a passive method for posture correction, but can be applied effortlessly in daily life. will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척추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first sensor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person to be measured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point on the spine of the person to be measured; One or more second sensor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econd point located below the first point on the spin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Dynamic spin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a sagittal or coronal plane auxiliary devic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distance betwee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and the second point is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또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내지 제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int may be a center of gravity of the subject's skull and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cervical vertebrae, and the second point may be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lumbar vertebrae and the sacrum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천추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int may b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person to be measured, and the second point may be the first sacrum of the person to be measured.

또한, 상기 소정의 기준은 2~8㎝에서 선택된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set to a specific value selected from 2 to 8 cm.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earphon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may be attached to any one or more of the back, waist, and buttocks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be formed of an inertial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en a distance betwee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poin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point on the sagittal plane or coronal plan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또한, 상기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ynamic spinal assistanc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by receiving the alarm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척추의 위치 정보를 통해 피측정자의 자세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efficiently determining the posture of a subject throug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pine obtained from two or more sensors disposed on the subject's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시상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관상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시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관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of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first and second points on the spine of a subject on a sagittal plane.
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f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on the spine of a subject on a coronal plan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posture of the subject on the sagittal plane through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posture of the subject on the coronal plane through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spatially relative terms "front", "rear", "upper" or "lower" may be used to describe a correlation with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relative terms determined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may be conversely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o each oth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IGS.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of the dynamic spinal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first and second points on the spine of the subjec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피측정자(100)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101) 및 제 2 지점(102)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의하면, 피측정자(100)의 자세를 쉽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피측정자(100)의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is in a normal balanc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oint 101 and the second point 102 on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 It allows you to determine whether a state is being maintained or not.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fficiently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subject 100 ,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duce active posture correction of the subject 100 . hav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제 1 센서(10), 제 2 센서(20), 제어부(30) 및 알람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ynamic spinal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nsor 10 , a second sensor 20 , a controller 30 , and an alarm unit 40 .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배치되어 피측정자(100)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101)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센서(1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0 i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100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point 101 on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 One or more first sensors 10 may be provided.

이때, 제 1 지점(101)은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지점(101)은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oint 101 may be any on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and the first to seventh cervical vertebrae.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int 101 may b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subject 100 .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배치되어 척추 상에서 제 1 지점(10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102)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제 2 센서(2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20 i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100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point 102 located below the first point 101 on the spine. One or more second sensors 20 may be provided.

이때,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내지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가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의 후상단(후상극)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oint 102 may be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lumbar vertebrae and the sacrum of the subject 100 . For example, the second point 102 may be the first sacrum of the subject 100 . In more detail, the second point 102 may be a posterior upper end (posterior superior pole) of the first sacrum of the subject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관성 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선형 가속도를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는 회전 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참조로 사용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may be formed of an inertial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inertial sensor may refer to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module including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linear acceleration, and the gyro sensor detects rotational speed. In addition, the geomagnetic sensor can measure the Earth's magnetic field used as a reference.

이와 같이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가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가속도, 자이로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의 진행 방향 및 위치 등을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are made of an inertial sensor,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are the first sensor 10 through the acceleration, gyro, and geomagnetic sensors. and the moving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20 may be measured.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가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등과 같은 자료를 근거로 제 1 센서(10)와 제 1 지점(101)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제 2 센서(20)와 제 2 지점(102)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 및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지점(101)의 위치 정보 및 제 2 지점(102)의 위치 정보가 각각 얻어질 수 있다.The first sensor 10 based on data such as X-rays taken while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are fixedly arranged at a specific location by attachment to the body of the subject 100, etc.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d the first point 101 and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sensor 20 and the second point 102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l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oint 101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point 102 may be respectively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2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센서(10)는 2개가 구비되며, 하나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귀에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는 피측정자(100)의 우측 귀에 삽입되어 있다.2 and 3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10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100, respectively. That is, two first sensors 10 are provided, one is inserted into the left ear of the subject 100 , and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right ear of the subject 100 .

예를 들면,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센서(10)가 이어폰 상에 결합될 경우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제 1 센서(10)가 용이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0 may be coupled to earphone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100 . When the first sensor 10 is coupled to the earphone, the first sensor 10 may be easily fixedly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100 .

또한, 이와 같이 제 1 센서(10)가 2개 이상 배치될 경우 복수 개의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지점(101)의 위치가 더욱 정밀하게 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first sensors 10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101 may be more precisely calculated through sens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1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지점(101)은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 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10)와 두개골 무게 중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를 통해 두개골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int 101 may b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subject 100 .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may be determined through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10 on the premise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nsor 10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is determined in advance.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후방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The second sensor 20 may be attached to any one or more of the back, waist, and buttocks of the subject 100 . 2 and 3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or 20 is attached to the rear waist of the subject 100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의 제 1 천추 후상극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센서(20)와 천추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천추 후상극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int 102 may be the first posterior sacral pole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posterior superior pole of the first sacrum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20 on the premise tha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sensor 20 and the sacrum is previously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자신들의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등 공지의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may transmit their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know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and Zigbee may be considered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물론,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와 제어부(30) 사이의 연결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제어부(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and the controller 30 is not limi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the first sensor 10 and the second sensor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by wire.

제어부(30)는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로부터 제 1 지점(101)의 위치를 산출하고,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로부터 제 2 지점(102)의 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시상면(sagittal plane) 또는 관상면(coronal plane) 상에서의 제 1 지점(101) 및 제 2 지점(102)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한다.The controller 30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101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10 and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102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2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 101 and the second point 102 on a sagittal plane or a coronal plane.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 경우 피측정자(100)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을 벗어날 경우 피측정자(100)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and the second point 102 is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point 101 and the second point 102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is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correct posture of the subject 100 is It is determined that , and if it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sture of the subject 100 is not correct.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의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의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인 경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는 특정값(예를 들면, 2~8cm 사이에서 선택된 거리)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기준은 위 특정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기준은 의사의 의학적 소견,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위의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irst point 101 is set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subject 100 and the second point 102 is set as the posterior superior pole of the first sacrum of the subject 100, the spine is in a normal balance state In the case of ,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sagittal or coronal plane and the second point 102 will be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eg, a distance selected between 2-8 cm). can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selected as the above specific value. Meanwhile, the predetermined standar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medical opinion of a doctor, a condition of a patient, etc., and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xample.

제어부(30)는 제 2 지점(102)이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존재하거나 소정의 기준 이하로 떨어져 있는 경우 피측정자(100)의 척추는 균형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oint 102 is o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sagittal plane or coronal plane, or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tandard or less, the The spine can be judged to be in a state of balanc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시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을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관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을 나타내고 있다.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posture of a subject through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determination of the subject's posture on the sagittal plane, and FIG. 5 shows the determination of the subject's posture on the coronal plane.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시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제 2 지점(102)이 존재할 경우(도 4의 중앙),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4, when the first point 101 is set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subject 100 and the second point 102 is set as the first posterior sacral pole of the subject 100, When the second point 102 exists o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sagittal plane (the center of FIG. 4 ),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is in a balanced state. It can be judged to be in

이와 달리 시상면 상에서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후방에 제 1 거리(d1)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도 4의 좌측) 또는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전방에 제 2 거리(d2)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도 4의 우측) 제 1 거리(d1) 또는 제 2 거리(d2)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나 있다면,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피측정자(100)의 신체를 기준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point 102 on the sagittal plane is located at a distance of a first distance d1 behind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left side of FIG. 4) or a second point ( When 102) is located a second distance d2 apart in front of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the right side of FIG. 4), the first distance d1 or the second distance d2 is If it is out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at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is in an abnormal position. Here, the front and rear are ba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100 .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제 2 지점(102)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5, when the first point 101 is set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kull of the subject 100 and the second point 102 is set as the first posterior sacral pole of the subject 100, When the second point 102 exists o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coronal plane,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is in a balanced state. have.

이와 달리 관상면 상에서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좌측에 제 3 거리(d3)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또는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우측에 제 4 거리(d4)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제 3 거리(d3) 또는 제 4 거리(d4)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나 있다면,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은 피측정자(100)의 신체를 기준으로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point 102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101 on the coronal plane, a third distance d3 apart, or the second point 102 is the first point When the fourth distance d4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101, if the third distance d3 or the fourth distance d4 is out of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control unit 30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pine of the subject 100 is in an abnormal position. 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ba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100 .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된 알람 정보는 알람부(40)로 전달되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을 통하여 피측정자(100)는 자신의 자세가 바르지 못함을 인식하게 되고, 의식적으로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30 may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point 101 and the second point 102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alarm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0 may be transmitted to the alarm unit 40 to generate an alarm. Through the alarm, the subject 100 recognizes that his or her posture is incorrect, and can consciously correct the posture.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시간 또는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측정자(100)는 별도의 기기가 아닌 자신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부(30)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활용 편의성이 높아진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point 101 and the second point 102 on the sagittal or coronal plan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time or number of times in advance. Alarm information can be created when it exceeds the standard set in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n this case, the subject 100 can utilize a mobile terminal used by the subject 100 as the control unit 30 instead of a separate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제어부(30)가 피측정자(100)가 기존에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기존 모바일 단말기가 아닌 별도의 기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the control unit 30 i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used by the subject 100 in the past. Therefore, the control unit 3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other tha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알람부(40)는 제어부(30)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알람은 시각 정보, 촉각 정보 및 청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부(40)는 상기 시각 정보를 현출하는 디스플레이,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청각 정보를 재생하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unit 40 receives the alarm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30 and generates an alarm. In this case, the alarm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visual information, tactile information, and auditory information. Accordingly, the alarm unit 4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visual information, a vibrating unit for transmitting tactile information, and a speaker for reproducing the auditory information.

알람부(40)는 제어부(30)와 단일한 기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40)도 제어부(30)와 마찬가지로 피측정자(100)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의해 알람부(40)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부(40)는 제어부(30)와 별개의 기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40)는 피측정자(100)가 사용하는 이어폰 상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40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device with the control unit 30 . For example, the alarm unit 40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f the subject 100 like the control unit 30 . Of course, the shape of the alarm unit 40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alarm unit 4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control unit 30 . For example, the alarm unit 40 may be implemented as a vibration module disposed on the earphone used by the subject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es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 1 센서 20: 제 2 센서
30: 제어부 40: 알람부
10: first sensor 20: second sensor
30: control unit 40: alarm unit

Claims (12)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척추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one or more first sensor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point on the spine of the subject;
one or more second sensors disposed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econd point located below the first point on the spine;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calculating the first point and the first point on the sagittal plane or coronal plane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wo poi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distance betwee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and the second point is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내지 제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인 동적 척추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oint 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ject's skull and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cervical vertebrae, and the second point is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lumbar vertebrae and the sacrum of the subje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천추인 동적 척추 보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oint 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ject's skull, and the second point is the first sacrum of the subje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2~8㎝에서 선택된 특정값으로 설정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that is set to a specific value selected from 2 to 8 c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is a dynamic spinal assistance device that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ensor is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coupled to earphone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su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or is a dynamic spinal assist device that is attached to any one or more of a back, waist, and buttocks of the su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dynamic spinal assistance apparatus for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지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ertial sens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en a distance betwee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point on the sagittal plane or the coronal plane and the second point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standar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ynamic spinal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by receiving the alarm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KR1020210050058A 2021-04-16 2021-04-16 Dynamic spinal orthosis KR102544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en) 2021-04-16 2021-04-16 Dynamic spinal orthosis
PCT/KR2022/005458 WO2022220641A1 (en) 2021-04-16 2022-04-15 Dynamic spinal assi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en) 2021-04-16 2021-04-16 Dynamic spinal orth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85A true KR20220143485A (en) 2022-10-25
KR102544231B1 KR102544231B1 (en) 2023-06-14

Family

ID=8364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en) 2021-04-16 2021-04-16 Dynamic spinal orthosi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4231B1 (en)
WO (1) WO2022220641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868A (en) * 2016-12-23 2018-07-04 주식회사 코엔 A posture monitering system
KR102137445B1 (en) 2020-03-26 2020-07-24 신규승 Posture analysis method and posture analysis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29B1 (en) * 2010-06-10 2012-01-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position correction system
KR101724279B1 (en) * 2015-04-30 2017-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osture correction headset system
KR101995482B1 (en) * 2017-03-10 2019-07-02 주식회사 비플렉스 Mo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ait-monitoring
JP7003469B2 (en) * 2017-07-14 2022-01-20 株式会社ニコン Posture detection device and wearab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868A (en) * 2016-12-23 2018-07-04 주식회사 코엔 A posture monitering system
KR102137445B1 (en) 2020-03-26 2020-07-24 신규승 Posture analysis method and posture analysis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231B1 (en) 2023-06-14
WO2022220641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580B1 (en) Wearable posture correction equipment linking with smart apparatus
EP3010414B1 (en) Gait monitor and method of monitoring gait of person
KR101831968B1 (en) posture correction wearable earphone device
WO2015163503A1 (en) Smart scoliosis correction vest
KR20150072957A (en) Method for measuring posture, terminal thereof, and system thereof
EP2747648A1 (en) A device for monitoring a user and a method for calibrating the device
US20170215769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CN106580335B (en) Neck mobilit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20240108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and movement regulation
KR101777391B1 (en) Method for vertebral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s
JP2019155078A (en) Posture and deep respiration improv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5006441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ture
KR20210000492A (en) Smart vest
KR101105229B1 (en) Portable position correction system
KR101976092B1 (en) Posture correction system to correct round shoulder posture
JP2017170102A (en) Seated-type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angle detection method therefor
KR20170000092A (en) Position correction system for smart device
KR20180074868A (en) A posture monitering system
KR102544231B1 (en) Dynamic spinal orthosis
KR20190018265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KR101622332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neck posture
TWI741409B (en) Wearable posture monitoring device and posture monitoring method
KR20220109572A (en) Smart Device Interlocking Wearable Posture Correction Induction Device
KR102325979B1 (en) Mask type turtle neck posture corrector
KR20180066681A (en) Device for Realigning Po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