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057A -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057A
KR20220142057A KR1020210048349A KR20210048349A KR20220142057A KR 20220142057 A KR20220142057 A KR 20220142057A KR 1020210048349 A KR1020210048349 A KR 1020210048349A KR 20210048349 A KR20210048349 A KR 20210048349A KR 20220142057 A KR20220142057 A KR 2022014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bio
composition
ink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670B1 (ko
Inventor
김기수
한동욱
강문성
이소윤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8Vitamins, e.g. tocopherol, riboflav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인쇄적성을 가지며,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를 가지므로, 3D 프린팅을 위한 바이오잉크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HYALURONIC ACID-COLLAGEN BASED 3D BIO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인쇄적성을 가지며,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를 가지므로, 3D 프린팅을 위한 바이오잉크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D 프린팅이 본격적으로 의료분야에 접목되면서 의료기술의 대대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정형외과, 신경외과, 성형외과, 치과 등을 중심으로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에 3D 프린팅이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잉크는 생체재료 또는 바이오 분자를 적절히 조합하여 제작되며, 이는 다종의 세포, 생체 재료 및 바이오 분자를 융합하여 컴퓨터 디자인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사용된다.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의 핵심소재인 바이오잉크는 3차원 가공을 위한 적절한 인쇄적성 및 바이오잉크로부터 제조된 3차원 구조체가 생물학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를 가져야 한다. 특히, 상기 두가지 물성은 바이오잉크에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조성의 바이오잉크가 개발되어 왔으며, 담지된 세포에 적합한 미세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잉크를 활용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소재로는 고분자 하이드로겔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하이드로겔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한 바이오잉크의 구체적인 조성 및 환경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어진 3차원 구조체의 생체활성이 다르게 발현될 수 있다. 즉, 바이오잉크는 3D 프린팅을 위한 기본 물성을 만족하면서도 최종적으로 얻어진 구조체의 생체활성을 담보하기 위해 체내의 조직과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공지된 기술들은 피부세포의 생장에 적합한 생체재료의 조성만을 개시하거나, 가교결합 과정의 세포독성으로 인해 세포를 포함한 바이오잉크를 함께 양생하는 in-situ 가교결합 방식이 아닌 가교결합 이후 세포를 주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적합한 인쇄적성을 확인할 수 없으며, 후자의 경우 체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제작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이로부터 제조된 3D 프린팅된 구조체가 적용될 체내 조직과 다른 조성을 가질 경우, 높은 생체활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Ng, Wei Long et al, "Development of polyelectrolyte chitosan-gelatin hydrogels for skin bioprinting" Procedia Cirp 49 (2016): 105-112
본 발명자들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조직재생을 위한 구조체 제조를 위해 노력한 결과, 세포외기질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을 주재료로 하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인쇄적성이 뛰어나고 세포독성이 현저히 낮으며,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을 0.3 %(w/v) 초과 내지 1.1 %(w/v) 미만;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2.5 %(w/v) 내지 3.5 %(w/v);로 포함하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및 b)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세포전달용 조성물, 조직공학적 지지체, 하이드로겔 패치 또는 드레싱을 제공한다.
이하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의 구체적인 서술에 의해 본 발명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은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을 0.3 %(w/v) 초과 내지 1.1 %(w/v) 미만;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2.5 %(w/v) 내지 3.5 %(w/v);로 포함하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바이오잉크”는 살아있는 세포 또는 바이오 분자를 포함하며,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응용하여 필요로 하는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친수성인 생체적합성 천연물질이다. 다양한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어 있는 CD44 단백질과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칼륨, 히알루론산마그네슘, 히알루론산칼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콜라겐”은 교원질 또는 아교질로 지칭되기도 하는, 종류에 따라 뼈나 피부, 연골, 결합 조직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종이다. 생체조직의 구조적 지지체 역할만이 아니라 세포의 분화, 부착, 이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바이오잉크 조성물들은 체내 조직과 다른 조성을 가지고 있어 생체활성도가 낮은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피부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생체적합성 소재인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을 주소재로 하며, 피부와 유사한 조성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종래 기술이 가지던 낮은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 문제를 극복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은 각각 HA-Tyr 및 Col-Tyr로도 지칭되며,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은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티라민과 혼합한 후, 종래 공지된 기술을 적절히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은 전체 조성물 대비 0.3 %(w/v) 초과 내지 1.1 %(w/v)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은 전체 조성물 대비 0.5 %(w/v) 내지 0.9 %(w/v)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은 전체 조성물 대비 2.5 %(w/v) 내지 3.5 %(w/v)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은 전체 조성물 대비 3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이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은 특히 중요하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높은 인쇄적성 및 해상도를 확보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 역시 확보할 수 없을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및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이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은 낮은 점성 및 강도로 인해 생체에 적용될 구조체를 제작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이 폴리머와 용매가 분리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바이오잉크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의 특정 함량 범위의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및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3D 프린팅을 위한 바이오잉크 조성물로서 최적의 조성을 가진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티라민이 부착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티라민이 부착된 콜라겐은 중량비(HA-Tyr:Col-Tyr)가 1:4 내지 1:6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중량비는 0.7: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HRP(horseradish peroxidase) 및 H2O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HRP(horseradish peroxidase)”는 생화학적 응용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는 양고추냉이 뿌리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본 발명에서 H2O2와 함께 가교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HRP은 농도가 4 내지 12 μg/ml,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μ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μg/ml,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μg/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RP는 농도가 6.25 μg/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H2O2는 전체 조성물 대비 0.01 내지 0.03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2 wt%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2O2는 0.015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실험예에서는 3D 프린팅에 적합한 인쇄적성 및 해상도를 가지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조합의 조성물에 대한 실험들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HRP 및 H2O2는 특정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특히 적합한 인쇄적성 및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입증하였다. 상기 인쇄적성 및 해상도는 생체적용에 적합한 점성 및 강도, 폴리머와 용매의 분리, 생체구조의 재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stem cell), 모낭모유두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HFDPC), 흑색세포(melanocyte), 조골세포(osteoblast), 근아세포(myoblast), 건세포(tenocyte), 신경아세포(neuroblast), 섬유아세포(fibroblast), 인간 진피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신경교아세포(glioblast), 배세포(germ cell), 간세포(hepatocyte), 신장세포(renal cell), 지대세포(Sertoli cell), 연골세포(chondrocyte), 상피세포(epithelial cell), 심혈관세포, 각질세포(keratinocyte), 평활근세포(smooth muscle cell), 심장근세포(cardiomyocyte), 신경교세포(glial cell),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호르몬 분비세포, 면역세포, 췌장섬세포(pancreatic islet cell) 및 신경세포(neuron)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는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는 배양된 세포일 수 있으며, 상기 세포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Cell &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Freshney (1987)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사, 예를 들면, 괴사, 세포사멸, 또는 자율흡수작용을 억제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사를 억제하는 물질은 예를 들면, 소분자, 항체, 펩티드, 펩티바디, 항-TNF 물질, 인터류킨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인터페론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GCSF(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대식세포 염증성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MMP(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카스페이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MAPK/JNK 신호전달 캐스케이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Src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및 JAK(야누스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피부재생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피부의 세포외기질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생체적합성 소재인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을 주소재로 하여, 피부재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므로 높은 생체활성도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하이드로겔을 인 시츄(in situ)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 시츄(in situ)”는 한 용기 내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물질들을 함께 양생(curing)하여 가교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교결합 과정에서 in situ 방식은 체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종래에는 가교결합 과정에서의 세포독성으로 인해 세포를 포함한 바이오잉크를 함께 양생시키는 방식이 아닌, 가교결합 이후 세포를 주입하거나 담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를 포함한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함께 양생하여 가교결합시켜 체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예에서는 세포를 포함한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in situ 가교결합 시킴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세포와 함께 in situ 가교결합을 통해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어 체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의 하이드로겔 제조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제조된 하이드로겔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활성도를 가져 피부재생을 위한 용도로 유용히 사용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리보플래빈(riboflavin) 0.5 mM 및 APS(ammonium persulfate) 0.1 내지 0.01 mg/ml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보플래빈 및 APS는 가교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가교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가교결합시키기 위해서 리보플래빈 및 APS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10분 내지 30분 동안 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0분 조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및
b)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가교결합하기 위해 리보플래빈 및 APS를 사용하는 경우, UV를 조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세포전달용 조성물, 조직공학적 지지체(tissue engineering scaffold), 하이드로겔 패치(patch) 또는 드레싱(wound dressing)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전달”은 조직재생,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료 등의 목적으로 하이드로겔 내의 세포를 적용 부위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세포를 담는 담체로서의 역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생체 조직의 대용품을 만들어 이식함으로써 신체의 기능을 유지, 향상 또는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 공학(tissue engineering)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지지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 패치 또는 드레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유연성, 강도 및 최적의 수분 함량을 부여할 수 있는 3차원적인 네트워크를 가져 생체 내 주입되어 조직재생을 유도하거나 상처 치료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 상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세포전달용 조성물, 조직공학적 지지체, 하이드로겔 패치 또는 드레싱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이상 동일하게 적용되며,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반복기재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적합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해상도를 가지므로 인쇄적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외기질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을 주소재로 하므로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며,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체내의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져 높은 생체활성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세포친화성 및 낮은 세포독성을 가지므로, 세포와 함께 양생하는 in situ 가교결합이 가능하여 체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3D 프린팅 실험 조건과 HA-Tyr 및 Col-Tyr 혼합농도에 따른 인쇄적성을 확인한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HA-Tyr, Col-Tyr, HRP 및 H2O2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3D 프린팅된 구조체를 3~7일간 배양한 후, 공초점주사현미경을 통해 수득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A-Tyr, Col-Tyr, 리보플래빈 및 APS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이드로겔의 내부구조 및 유동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HA-Tyr, Col-Tyr, 리보플래빈 및 APS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구조체를 4일간 배양한 후, 공초점주사현미경을 통해 수득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예
(1)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의 제조
히알루론산 100 mg을 증류수에 넣고 3 내지 5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한 후, 수득된 용액에 티라민 645 mg, EDC(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144 mg, NHS(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163 mg을 혼합하고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용액을 투석 후 동결건조하여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이하, HA-Tyr)을 제조하였다.
(2)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의 제조
콜라겐 200 mg을 증류수에 넣고 3 내지 5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한 후, 수득된 용액에 티라민 100 mg, EDC 36.8 mg, NHS 11.3 mg을 혼합하고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용액을 투석 후 동결건조하여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이하, Col-Tyr)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HA-Tyr 및 Col-Tyr의 티라민 치환여부 및 함량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HA-Tyr 및 Col-Tyr의 티라민 치환여부 및 함량은 NMR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HA-Tyr 및 Col-Tyr은 모두 높은 티라민 함유량을 나타내어 성공적으로 티라민이 치환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제조된 HA-Tyr 및 Col-Tyr는 높은 티라민 함량으로 인해 가교결합 시 적은 양의 가교제를 사용하더라도 높은 가교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HA- Tyr Col - Tyr 농도에 따른 인쇄적성 확인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적합한 인쇄적성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 다른 HA-Tyr 및 Col-Tyr 혼합농도를 가지는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점성 및 강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 조건 및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3 %(w/v) HA-Tyr 및 3.0 %(w/v) Col-Tyr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낮은 점성과 강도로 인해 적층이 불가능하고 낮은 해상도를 가져 바이오잉크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았으며, 1.1 %(w/v) HA-Tyr 및 3.0 %(w/v) Col-Tyr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폴리머와 용매가 분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바이오잉크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0.3 %(w/v) 초과 내지 1.1 %(w/v) 미만의 HA-Tyr 및 3.0 %(w/v) Col-Tyr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인쇄에 최적화된 점성 및 강도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바이오잉크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가교제 농도에 따른 인쇄적성 및 해상도 확인
본 발명에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제의 농도에 따른 인쇄적성 및 해상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점성 및 강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 조건 및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O: 적합, X: 부적합)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교제의 농도가 6.25 μg/ml의 HRP 및 0.015 wt%의 H2O2로 포함되는 실시예 4의 경우에 가장 적절한 인쇄적성 및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세포생존능 확인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세포와 함께 in situ 가교결합되어 구조체를 형성하는 경우, 세포생존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면역형광염색법을 통한 3D 피부조직 구조체 이미징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의 조성물 및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in situ 가교결합시켜 피부조직 구조체를 3D 프린팅하고, 상기 3D 프린팅된 피부조직 구조체를 3일, 5일 및 7일간 배양한 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scanning microscopy)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미징하였으며,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in situ 가교결합되어 담지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는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과 상호작용하며 정상적인 세포 성장 및 증식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및 6의 조성물 제조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5 및 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실험예 5. 인쇄적성 확인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광가교결합에 의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지 여부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UV를 15분간 조사하고, 동결건조된 하이드로겔의 SEM 이미지를 통해 형성된 하이드로겔의 내부구조 및 유동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약 50 μm 직경의 미세기공을 가지며 이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구조와 유사하여 세포 성장 촉진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적합한 수분함유율 및 효소분해능을 나타내어 섬유아세포에 대한 높은 세포친화성 및 성장공간 확보에 유리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세포생존능 확인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이 세포와 함께 in situ 가교결합되어 구조체를 형성하는 경우, 세포생존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면역형광염색법을 통한 3D 피부조직 구조체 이미징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 및 6의 조성물 및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 혼합 후 UV를 15분간 조사하여 in situ 가교결합시켜 피부조직 구조체를 3D 프린팅하고, 상기 3D 프린팅된 피부조직 구조체를 4일간 배양한 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scanning microscopy)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미징하였으며,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과 함께 in situ 가교결합되어 담지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는 바이오잉크와 상호작용하며 정상적인 세포 성장 및 증식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히알루론산(HA-Tyr)을 0.3 %(w/v) 초과 내지 1.1 %(w/v) 미만; 및
    티라민 작용기가 부착된 콜라겐(Col-Tyr)을 2.5 %(w/v) 내지 3.5 %(w/v);로 포함하는 바이오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HRP(horseradish peroxidase) 및 H2O2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잉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RP은 농도가 4 내지 12 μg/ml이며, 상기 H2O2는 전체 조성물 대비 0.01 내지 0.03 wt%로 포함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stem cell), 모낭모유두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HFDPC), 흑색세포(melanocyte), 조골세포(osteoblast), 근아세포(myoblast), 건세포(tenocyte), 신경아세포(neuroblast), 섬유아세포(fibroblast), 인간 진피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신경교아세포(glioblast), 배세포(germ cell), 간세포(hepatocyte), 신장세포(renal cell), 지대세포(Sertoli cell), 연골세포(chondrocyte), 상피세포(epithelial cell), 심혈관세포, 각질세포(keratinocyte), 평활근세포(smooth muscle cell), 심장근세포(cardiomyocyte), 신경교세포(glial cell),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호르몬 분비세포, 면역세포, 췌장섬세포(pancreatic islet cell) 및 신경세포(neuron)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겔을 인 시츄(in situ) 형성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재생용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보플래빈(riboflavin) 0.5 mM 및 APS 0.1 내지 0.01 mg/ml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10. a)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및
    b)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KR1020210048349A 2021-04-14 2021-04-14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KR10263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49A KR102634670B1 (ko) 2021-04-14 2021-04-14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49A KR102634670B1 (ko) 2021-04-14 2021-04-14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57A true KR20220142057A (ko) 2022-10-21
KR102634670B1 KR102634670B1 (ko) 2024-02-06

Family

ID=8380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49A KR102634670B1 (ko) 2021-04-14 2021-04-14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6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301A (en) * 1966-04-06 1969-02-11 Us Agriculture Crosslinking of collagens employing a redox system comprising persulphate and a reducing agent
KR20180117417A (ko) * 2017-04-19 2018-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JP2020168388A (ja) * 2012-09-04 2020-10-15 アントフロゲネ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組織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301A (en) * 1966-04-06 1969-02-11 Us Agriculture Crosslinking of collagens employing a redox system comprising persulphate and a reducing agent
JP2020168388A (ja) * 2012-09-04 2020-10-15 アントフロゲネ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組織製造方法
KR20180117417A (ko) * 2017-04-19 2018-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rea Schwab et al., "Tissue mimetic hyaluronan bio-ink containing oriented collagen fibers to modulate hMSC spreading and differentiation." BioRxiv (2020), pp. 1-21* *
Ng, Wei Long et al, "Development of polyelectrolyte chitosan-gelatin hydrogels for skin bioprinting" Procedia Cirp 49 (2016): 105-112
Rachel H. Koh et al., "Chondrogenically primed 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encapsulated in riboflavin-induced photocrosslinking collagen-hyaluronic acid hydrogel for meniscus tissue repairs.* *
Shinji Sakai et al., "Peroxidase-catalyzed microextrusion bioprinting of cell-laden hydrogel constructs in vaporized ppm-level hydrogen peroxide." Biofabrication (2018), Vol. 10, pp. 1-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670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Precisely printable and biocompatible silk fibroin bioink for digital light processing 3D printing
Latifi et al. A tissue-mimetic nano-fibrillar hybrid injectable hydrogel for potential soft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Jung et al. Development of printable natural cartilage matrix bioink for 3D printing of irregular tissue shape
de Oliveira Barud et al. A multipurpose natural and renewable polymer in medical applications: Bacterial cellulose
Morris et al. Mechanical properties, cytocompatibility and manufacturability of chitosan: PEGDA hybrid-gel scaffolds by stereolithography
Jeon et al. Biodegradable, photocrosslinked alginate hydrogels with independently tailorable physical properties and cell adhesivity
CN113679888B (zh) 光固化成型复合水凝胶基质前驱体及其制备方法和带有其的支架
Yang et al. Emerging 3D bioprinting applications in plastic surgery
CN106474560B (zh) 一种用于3d生物打印的水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hen et al. Engineering a highly biomimetic chitosan-based cartilage scaffold by using short fibers and a cartilage-decellularized matrix
Wang et al. An overview of extracellular matrix-based bioinks for 3D bioprinting
Zhou et al. Functionalized hydrogels for articula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Negahi Shirazi et al. A novel strategy for softening gelatin–bioactive-glass hybrids
Zhang et al. Advances in photocrosslinkable materials for 3D bioprinting
Bashiri et al. 3D-printed placental-derived bioinks for skin tissue regeneration with improved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properties
Kim et al. Fabrication parameter-depend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iolated gelatin/PEGDA interpenetrating network hydrogels
US9173969B2 (en) Biomaterial for wound healing
CN110755685A (zh) 一种3d打印瓜尔胶水凝胶支架及其制备方法
Senturk et al. 3D bioprinting of tyramine modified hydrogels under visible light for osteochondral interface
Wang et al. 3D Contour Printing of Anatomically Mimetic Cartilage Grafts with Microfiber‐Reinforced Double‐Network Bioink
Liang et al. Advance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in periodontal regeneration
Sah et al. Eggshell membrane protein modified silk fibroin-poly vinyl alcohol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in vitro and in vivo study
KR102634670B1 (ko) 히알루론산-콜라겐 기반 3d 바이오잉크 조성물
Kafili et al. Development of printable nanoengineered composite hydrogels based on human amniotic membrane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
US11541148B2 (en) POSS nanocomposite hydrogel for 3D bio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